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시기에 있어서 ‘기생(妓生)’과 ‘삼패(三牌) 출신’의 개념적 구분에 관한 연구-‘기생(妓生)’과 ‘삼패(三牌) 출신’의 ‘법적ㆍ정책적ㆍ사회적 속성’과 개념적 차이-

        水谷淸佳 ( Mizutani Sayaka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7 No.-

        본 연구는 식민지시기의 ‘기생(妓生)’과 ‘삼패(三牌) 출신’에 관한 기사 및 자료들을 최대한 빠짐없이 총망라하여 ‘한국의 기록과 사료들’만을 토대로, 식민지시기 ‘기생(妓生)’과 ‘삼패(三牌) 출신’의 ‘법적ㆍ정책적ㆍ사회적 속성’과 개념적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식민지초기(1910년 8월 29일~1916년 5월 19일)에 존재했던 ‘삼패(三牌) 출신들’은 ‘기생(妓生)’이 아니다. 이 시기의 ‘삼패 출신들’은 항상 ‘시곡(詩谷)’, ‘시곡예기조합’, ‘시곡기생조합’, ‘신창기생조합(新彰妓生組合)’이라는 단어가 앞에 붙어 ‘기생(妓生)’이라고 단독으로 불리는 경우가 없었으며, 이로써 당시 ‘온전한 기생(갑종 기생)들’과 ‘사회적’으로 뚜렷이 구별되었다. 즉 이 시기의 ‘삼패 출신들’은 ‘○○ 기□(○○ 妓生)’이라고 불리기는 했지만 ‘법적ㆍ정책적ㆍ사회적’으로 여전히 ‘공창제도 하의 예창기(藝娼妓)’로서 ‘온전한 기생’은 아니었으며, 조선총독부 역시 1916년 5월 19일까지 이 시기의 ‘삼패 출신들’을 ‘온전한 기생(갑종 기생)’으로 공인해주지 않았다. 둘째, 식민지초기(1916년 5월 19일~1923년 8월)에 존재했던 ‘삼패(三牌) 출신들’이 중심이 된 ‘신창기생조합(경화권번) 기생’은 ‘식민지시기 조선총독부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기생(妓生)’이다. 다만 같은 ‘가무(歌舞)를 전업(專業)으로 하는 전문 여성 예인(藝人)’이라 할 지라도 그 ‘기원 및 역사적 전통성과 사회적 인식’을 고려해볼 때 한반도에서 900년 이상 여악(女樂)의 전통을 이어온 당시 관기(官妓) 출신들을 중심으로 한 ‘광교기생조합(한성권번) 기생’ 및 ‘다동기생조합(대정권번) 기생’ 등과 1916년 5월 19일 ‘조선총독부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기생’인 ‘신창기생조합(경화권번) 기생’은 분명한 개념적 차이가 있음을 구분하여 인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일패(一牌)’라는 용어도, ‘삼패(三牌)도 기생에 포함된다’ 따라서 ‘기생(妓生)에는 일패(一牌), 이패(二牌), 삼패(三牌)의 3종류가 있었다’라는 사(史)적으로 틀린 분류법도, ‘조선의 기생은 갈보(蝎甫)ㆍ매춘부(賣春婦)이다’라는 왜곡된 정의도 모두 ‘재한일본인들’과 ‘친일파 이능화’가 남겨놓은 ‘기생에 관한 왜곡된 역사의 잔재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한반도의 기생에 관한 왜곡된 정의와 분류법’은 이제 그만 한일 양국의 학계에서도, 일반사회에서도 청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include articles and materials about “Gisaeng” and “Former Sampae Group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much as possible to clarify “Legal, Institutional, and Social Attribute and Conceptual Difference” of “Gisaeng” and “Former Sampae Groups” during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based on “Korean Records and Historical Records” empirically. First, “Former Sampae Groups” that existed during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August 29, 1910 - May 19, 1916) were not “Gisaeng”. During this period, “Former Sampae Groups” were not called “Gisaeng”. Instead, they were called “Sigok”, “Sigok Female Entertainer Union”, “Sigok Gisaeng Union”, “Sinchang Gisaeng Union”. These names show that “Former Sampae Groups” we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rue Gisaeng (Top Gisaeng)” of the time in legal, institutional, and social aspects. In other words, while “Former Sampae Group” was called “OO Gisaeng” during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Former Sampae Group” was still different from “Gisaeng” as the Yechanggi under “Licensed Prostitution System” and the Residency-General did not authorize “Former Sampae Group” as “True Gisaeng (Top Gisaeng)” until May 19, 1916. Secondly, “Gisaengs of Sinchang Gisaeng Union and Gyeonghwa Gwonbeon” existed during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May 19, 1916 - August 1923) and they were largely composed of “Former Sampae Groups”. These groups of Gisaeng were newly made by “Residency-General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le both “Sinchang Gisaeng Union” and “Gisaeng” are both female entertainers specialized in singing and dancing,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the clear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Gisaengs” who continued the tradition of female musicians for about 900 year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Gisaengs of Sinchang Gisaeng Union” who were newly made by the “Residency-General” on May 19, 1916 in consideration of their origins and historical traditions. Lastly, defining Gisaeng of the Joseon Dynasty as Galbo and prostitute, dividing Gisaeng into Ilpae, Ipae, Sampae, using the term, Ilpae, including Sampae in Gisaeng are all “Remains of the distorted history recorded by the Japanese residents in Korea and pro-Japanese groups.” Therefore, it is time to end such distort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n Gisaeng of Korea in Korean and Japanese academics and the general public.

      • KCI등재

        이능화의 『조선해어화사』에 의한 기생사(史) 및 기생상(像)의 왜곡에 관한 연구 Ⅰ : 이능화의 친일 반민족 행적과 신라시대의 왜곡을 중심으로

        水谷淸佳(Mizutani Sayak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2

        본 연구는 우선 이능화의 생애 및 시기별 활동을 ‘친일 반민족 행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후 신라시대의 원화(源花)와 기생과의 관련성, 김유신과 천관녀의 일화에 등장하는 천관녀(天官女)의 사회적 속성, 그리고 신라시대의 매춘풍속(賣春風俗)의 존재여부를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능화는 식민지시기에 일본 제국으로부터 고위관직, 훈장, 포상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조선사편수회, 친일 불교단체, 친일 학회, 친일 조직들에 적극적으로 가담하여 한국사 왜곡과 식민사관 전파에 앞장섰으며, 심지어는 일본 천황들을 찬양하는 한시(漢詩)를 지어 바치며 일제의 조선 식민지 지배를 합리화시키기까지 하였다. 즉 이능화는 ‘단순히 왜곡된 조선사 편찬에 참여한 정도’가 아니라 다방면에서 매우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친일 활동을 전개해 간 식민지시기의 대표적인 ‘친일 반민족 행위자’이다. 신라시대의 원화(源花)는 진골 신분 이상이거나 왕실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진 최상의 신분을 가진 여성들로 기생(倡)과는 거리가 먼 존재였다. 즉 원화(源花)가 기생(妓生)이라는 이능화의 주장은 사실(史實)에 반(反)하며, 구체적인 논증도 없는 이능화의 추상적이고 개인적인 견해일 뿐이다. 또한 ‘화랑(花郞)≒미동(美童), 비역(屁役), 남색(男色)’, ‘택견(擇其緣)≒미동(美童)을 차지하기 위한 전통 유희(遊戲)’, ‘낭도(郞徒)≒외입장(外入匠)’이라는 주장 역시 화랑, 낭도, 택견의 본질적인 성격을 심하게 변질시킨 이능화에 의한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역사 왜곡의 일부이다. 천관녀(天官女)의 사회적 속성은 여종(女隷)이었으며, 최초 기록자인 이인로는 천관녀의 사회적 기능을 기생(妓生)과 같은 존재로 간주하였다. 하지만 이능화는 천관녀(天官女)를 ‘매음을 주업으로 하는 창녀(娼女)’로 왜곡시켰고, 구체적인 근거나 논리적 타당성이 결여된 채로 “신라시대에 매춘풍속(賣春風俗)이 있었다”고 주장하면서 식민지시기의 공창제도(매춘제도)의 기원을 신라시대까지 끌어올렸다. 즉 ‘천관녀(天官女)=매소부(賣笑婦)의 창녀(娼女)’, ‘음방=창녀를 두고 매음하는 집’, 그리고 ‘신라시대에 매춘풍속이 있었다’라는 『조선해어화사』의 내용은 이능화에 의해 왜곡된 사실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ee Neung Hwa’s life and activities by focusing on his pro-Japanese and anti-national activities. I also investigate the Wonhwa of the Silla Dynast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Gisaeng, the social attributes of Cheongwannyeo from the story of Kim Yu Shin, and the existence of prostitution during the Silla Dynasty. Lee Neung Hwa served in a high-ranking position in the Japanese Empire and won medals and rewar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Lee Neung Hwa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pro-Japanese Buddhist organizations, pro-Japanese societies, and pro-Japanese groups. His contributions led to a distortion of Korean history, and he advocated colonialism. Lee Neung Hwa even wrote and dedicated a Chinese poem praising the Japanese emperors and rationalizing the Japanese empire’s colonial rule of th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Lee Neung Hwa went beyond simply participating in compiling a distorted history of Joseon. Instead, Lee Neung Hwa was pro-Japanese and anti-nationalist who carried out pro-Japanese activities in a practical and detailed manner. The Wonhwa of the Silla Dynasty refers to women of high rank with authority over the Jingol. They were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oyal court. The Wonhwa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Gisaeng. Thus, Lee’s claim that the Wonhwa and Gisaeng were the same is untrue and merely a personal opinion, lacking detailed reasoning. In addition, Lee Neung Hwa regarded the Hwarang as male prostitutes who committed sodomy; he regarded Taekgyeon as a traditional game of winning male prostitutes and he regarded a Nangdo as a person who enjoys brothels. However, these were part of Lee’s intended and planned distortion of history and they severely degrade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Hwarang, Nangdo, and Taekgyeon. Cheongwannyeo’s social standing was that of female servant. Lee In Ro, who was the first person to record Cheongwannyeo, regarded Cheongwannyeo’s social standing as equivalent to that of a Gisaeng. However, Lee Neung Hwa distorted Cheongwannyeo as “a prostitute involved in prostitution.” He also claimed that “the Silla Dynasty approved prostitution” and pointed out that state-regulated prostitu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riginated from the Silla Dynasty, without grounds or logical validity. 『Joseonhaeeohwasa』 claimed that Cheongwannyeo equals prostitute and Eumbang equals a house for prostitution, and that the Silla Dynasty approved prostitution. These allegations were not true. The truth was distorted by Lee Neung Hwa.

      • KCI등재

        대한제국기 및 식민지시기 재한일본인들에 의한 기생사(史) 및 기생상(像)의 왜곡에 관한 연구 : 쓰네야 세이후쿠와 이마무라 도모에 의한 ‘왜곡된 기생의 정의와 분류법’ 「기생=갈보 매춘부: 일패, 이패, 삼패」를 중심으로

        水谷淸佳(Mizutani Sayaka),이정남(Lee Jeongna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9

        본 연구는 우선 대한제국기인 1901년 재한일본인이었던 ‘식민주의 정치인’ 쓰네야 세이후쿠(恒屋盛服)에 의한‘자의적이고 왜곡된 기생의 정의와 분류법‘인 「기생=갈보(蝎甫) : 일패(一牌), 이패(二牌), 삼패(三牌)」의 등장과 이의 확산 및 굴절과정을 살펴보았고, 이후 식민지시기인 1914년 이러한 ‘왜곡된 기생의 정의와 분류법‘을 그대로 수용하여 내용을 보다 굴절 확장시킨 ‘제국주의 경찰관료’ 이마무라 도모(今村鞆)의 「기생=매춘부(賣春婦) : 일패(妓生), 이패(妓生), 삼패(準妓生)」에 등장하는 다양한 학술적 오류와 왜곡된 내용들을 한국과 일본의 1차자료들과 당대의 사료들을 총망라하여 객관적이고 실증적으로 하나하나 규명하였다. 비록 조선시대와 대한제국기 및 식민지시기의 기생들이 유교문화와 일제의 식민지 지배 하에서 남성들의 성적유희와 착취로부터 자유로웠던 존재는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매일매일을 매음으로 생계를 꾸려갔던 갈보 매춘부는 아니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사 , 한국근대사 , 한국여성사 , 음악사 , 무용사 등의 ‘기생(妓生)’ 관련 연구들에 있어서 ‘가무(歌舞)를 전업으로 하였지만 성(性)적 유희나 착취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던 기생(妓生)집단’과 ‘국가의 관리 하에 지정된 지역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금전거래를 통해 매일매일을 성매매(性賣買)로생업을 이어갔던 창녀(娼女) 매춘부(賣春婦)’는 ‘분명하게 구별하여 인식’하고 연구를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무엇보다도 이러한 ‘과거 재한일본인들’과 ‘비틀린 기생관(觀)을 가진 근현대 일부 기생 관련 연구자들’ 에 의해 왜곡된 ‘한국의 기생사(史)와 기생상(像)’을 객관적이고 실증적으로 바로잡는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할 것이며, 한국의 각 시대별 시기별 ‘법적 정책적 사회적 인식’을 토대로 한 ‘기생(妓生)의 사회적 역사적 존재적 실체’를 분명하게 규명하는 새롭고 신선한 연구들도 활발히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일패(一牌)’라는 용어도, ‘삼패(三牌)도 기생에 포함된다’ 따라서 ‘기생(妓生)에는 일패(一牌), 이패(二牌), 삼패(三牌)의 3종류가 있었다’라는 사(史)적으로 틀린 분류법도, ‘조선의 기생은 갈보(蝎甫) 매춘부(賣春婦)이다’라는 왜곡된 정의도 모두 ‘재한일본인들’과 ‘친일파’가 남겨놓은 ‘왜곡된 역사의 잔재들’이란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한반도의 기생에 관한 왜곡된 정의와 분류법’은 이제 그만 한일 양국의 학계에서도, 일반사회에서도 철저하게 청산해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vent and spread of Gisaeng=Galbo : Ilpae, Ipae, Sampae , which is the arbitrary and distorted classification method by Tsuneya Seifuku in the Daehan Empire, to investigate the numbers of academic errors and distortions objectively and empirically one by one found in Gisaeng=prostitute : Ilpae, Ipae, Sampae of Imamura Tomo who adopted, distorted, and expanded such distorted classification method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based on reviewed whole materials and records of the time. Although the Gisae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Daehan Empire,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not free from the sexual amusement and exploitation of the men under the Confucian society and the Japanese colonial rule, Gisaeng was not a prostitute who made a living by the prostitution. Defining Gisaeng of the Joseon as Galbo and prostitute, dividing Gisaeng into Ilpae, Ipae, Sampae, using the term, Ilpae, including Sampae in Gisaeng are all “Remains of the distorted history recorded by the Japanese residents in Korea and pro-Japanese groups.” Therefore, it is time to end such distort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n Gisaeng of Korea in Korean and Japanese academics and the general public.

      • KCI등재

        대한제국기에 있어서 ‘기생(妓生)’과 ‘삼패(三牌)’의 개념적 구분에 관한 연구 : ‘기생(妓生)’과 ‘삼패(三牌)’의 ‘법적 정책적 사회적 속성’과 개념적 차이

        水谷淸佳(Mizutani Sayak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본 연구에서는 대한제국기의 ‘기생(妓生)’과 ‘삼패(三牌)’에 관한 기사 및 자료들을 최대한 빠짐없이 총망라하여‘한국의 기록과 사료들’만을 토대로 대한제국기 당시의 ‘기생(妓生)’과 ‘삼패(三牌)’의 ‘법적 정책적 사회적 속성’과 개념적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삼패(三牌)’는 ‘기생(妓生)’이 아니다. 본 연구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대한제국기(현재까지 기록상1899년 8월 등장~1910년 8월 소멸)에 존재했던 ‘삼패(三牌)’는 ‘법적 정책적 사회적’으로 ‘예창기(藝娼妓)’였지‘기생(妓生)’이 아니었다. 즉 대한제국기에 있어서 ‘기생(妓生)’과 ‘삼패(三牌)’는 ‘법적 정책적 사회적 속성과 역할’이 다른 별개의 집단이었고, ‘삼패(三牌)’는 ‘기생(妓生)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무엇보다도 조선사회와 조선인들 사이에 「기생(妓生)에는 일패(一牌), 이패(二牌), 삼패(三牌)의 3종류가 있었다」라는 분류법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1901년 조선개화사 의 쓰네야 세이후쿠에 의해 자의적으로 만들어진 「기생(妓生)에는 일패(一牌), 이패(二牌), 삼패(三牌)의 3종류가 있었다」라는 ‘왜곡되고 틀린 기생의 분류법’의 무분별한 인용 및 재생산을 이제 그만 멈추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이 120년간 ‘가무를 전업으로 했던 기생(妓生)’이 「‘삼패=기생’→‘삼패=가무와 매음을 겸업하던 집단’→따라서 ‘기생=가무와 매음을 겸업하던 집단’」이라는 ‘왜곡된 논법’에 의해 ‘기생(妓生)은 가무(歌舞)와 매음(賣淫)을 겸업으로 하던 존재’로 왜곡되어 온 ‘기존까지의 학술적 오류’와 ‘기생(妓生)에대한 왜곡된 역사인식’을 올바르게 바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삼패(三牌)도 기생에 포함된다’ 따라서 ‘기생(妓生)에는 일패(一牌), 이패(二牌), 삼패(三牌)의 3종류가 있었다’라는 사(史)적으로 틀린 분류법도, ‘조선의 기생은 갈보(蝎甫) 매춘부(賣春婦)이다’라는 왜곡된 정의도 모두 ‘재한일본인들’과 ‘친일파’가 남겨놓은 ‘기생에 관한 왜곡된 역사의 잔재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왜곡된 기생의 정의와분류법’은 이제 그만 한일 학계 및 일반사회에서도 청산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include articles and materials about “Gisaeng” and “Sampae” during theKorean Empire Period as much as possible to clarify “Legal, Institutional, and Social Attributeand Conceptual Difference” of “Gisaeng” and “Sampae”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basedon “Korean Records and Historical Records” empirically. “Sampae” that existed during Korean Empire Period (Emerged in August 1899 and disappearedin August 1910) was not “Gisaeng”. From August 1899 when it first emerged in the record toAugust 1910 when the term, “Sampae”, rapidly disappeared from the historical records, “Sampae”was constantly controlled and managed by the Korean Empire government and the JapaneseColonial Residency-General as Yechanggi. In the aspect of legal, institutional and social perception,“Sampae” had different properties from “Gisaeng”. Therefore, the Joseon society and people didnot treat “Sampae” as “Gisaeng”. Defining Gisaeng of the Joseon as Galbo and prostitute, dividing Gisaeng into Ilpae, Ipae,Sampae, using the term, Ilpae, including Sampae in Gisaeng are all “Remains of the distortedhistory recorded by the Japanese residents in Korea and pro-Japanese groups.” Therefore, it istime to end such distort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n Gisaeng of Korea in Korean andJapanese academics and the general public.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서지학적 고찰과 그 가치 및 특징

        水谷淸佳(Mizutani Sayaka ),이정남(Jeongnam Lee) 한국교방문화학회 2021 교방문화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우선 그동안 자주 오인(誤認)·오독(誤讀)되어 왔던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본질적인 성격을 명확히 밝히고, 이후 기존에 생산된 4개의 해제(解題)와 1988년 마이크로필름화부터 현재 온라인 서비스에 이르기까지의 자료 현황 검토,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종합적인 서지 내용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를 거쳐 대한제국기에 이르기까지 여악(女樂)이라는 한반도의 전통문화예술을 계승해 온 한국의 ‘기녀(기생)제도’가 전근대에서 근대로의 전환기인 대한제국기에 있어서 스스로의 힘으로 ‘근대식 기생제도’로 전환되지 못하고, 일제 통감부 경찰권력에 의해 타의적이고 강제적으로 이루어진 것임이 명백히 기록된 역사적으로 매우 개탄스럽고 안타까운 타자의 기록물이다. 둘째, 1876년 개항 이후의 매우 혼란한 정치적, 사회적 상황 속에서도 국가가 공인한 성매매제도가 존재하지 않았던 한반도에, 일제강점기를 코앞에 둔 1908년 9월 25일, 일제 통감부는 조선인 창기(娼妓)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공인 성매매제도인 ‘공창제도’를 한반도에 실제적으로 이식(移植)시켰다. 즉 역사적으로 금전거래를 통한 성(性)의 매매가 엄격히 금지되었던 한반도가 돈만 있으면 성(性)을 마음대로 사고 팔 수 있고, 어떠한 법적 처벌도 받지 않는 ‘성매매 공인 국가’로 전락해버린 것이다.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은 이러한 ‘한반도로의 공창제도 이식’이라는 피식민자들의 원통한 역사적 상흔(傷痕)이다. 마지막으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전체내용을 포괄하는 구체적인 해제(解題) 연구와 ‘기생’ 및 ‘창기’에 관한 각각의 서류들을 한국어로 번역한 단행본 발간 작업이 진전을 이루어, 관련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한제국기라는 근대화의 전환점에서 ‘기생(妓生)’과 ‘창기(娼妓)’가 각각 어떠한 존재들이었는지를 구체적이고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여악의 전통을 계승한 예술인(藝術人) 집단이었던 기생집단’과 ‘성매매만으로 생계를 이어갔던 매춘부(賣春婦) 집단인 창기집단’에 대한 정확한 개념구분과 새로운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larified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which are frequently misunderstood and misread, examined related data ranging from four existing bibliographies to microfilms since 1988 and the current online service, and thoroughly explored the overall description for the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First,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re historically deplorable and miserable records that clearly show that the Gisaeng System, which has been inheriting the traditional cultural art of the Korean Peninsula, female musician,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and The Korean Empire Period, was forcibly changed by the Japanese Residential-General and police authority without having own power to convert into the Modern Gisaeng System, during the turning point from a pre-modern time to a modern time in the Korean Empire Period. Secondly, even though the Korean Peninsula went through extremely chaotic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s since opening a port of Busan in 1876, there was no nationally authorized prostitution system. On September 25, 1908, which was right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Japanese Resident-General implanted a Prostitution System, which is the first official prostitution system involving Korean prostitutes. In other words, the Korean Peninsula, which strictly prohibited any prostitution involving money, was degraded into an immoral society (country with an official prostitution system) where people trade sex without any legal punishments. The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re the bitter historical scars of colonized Koreans who were victims of the prostitution system implanted in the Korean Peninsula. Lastly, there needs to be more detailed bibliographical studies that cover the whole contents of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nd publish books that interpret each document about “Gisaeng” and “Prostitute” in Korean. This would allow both related researchers and ordinary people to approach more easily and understand the concept of “Gisaeng” and “Prostitute” during The Korean Empire’s turning point of modernization in more detailed and correct ways. Moreover, there should be clear definitions and new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Gisaeng Group” as the artist group that inherited the tradition of female musicians and “Prostitute Group” as the prostitute group who lived on prostitution.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온라인 원문이미지 제공 현황 분석 및 개선 과제

        水谷淸佳(Mizutani Sayaka ),이정남(Jeongnam Lee) 한국교방문화학회 2023 교방문화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와 ‘조선총독부 기록물 홈페이지’에서의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 원문이미지 제공 현황 및 관련 내용 항목들을 구체적이고 정치(精緻)하게 분석·고찰하여 그 안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도출해내고, 이를 바탕으로 각 홈페이지에서 개선해야 할 주요 사항들을 체계적으로 정리·제안하였다. 각 홈페이지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은 부적절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메인 해제(解題)로, 이는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은 대한제국 말기인 1908년 6월부터 1910년 5월까지 일제 통감부 경찰권력이 생산한 문서들을 그들 스스로가 다시 1910년 후반에 편철한 것으로, 기록물의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기생(妓生) 관련 서류들’과 ‘창기(娼妓) 관련 서류들’ 이상 2종류의 기록물로 구성되어 있고, 각 기록물들은 독립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생산기관’은 ‘통감부 경시청(경시총감)과 내부 경무국(제2과장)’이고, ‘생산년도’는 ‘1908~ 1910년’이며, ‘편철기관’은 ‘조선총독부 경무총감부(警務總監部)’, 그리고 ‘편철년도’는 ‘1910년’이다. 대한제국 말기인 1908년 9월 25일에는 900여년을 이어온 한반도의 ‘기생제도(관기제도)’가 일제 통감부 경찰권력에 의해 해체되고, 민간 기생조직인 ‘기생조합소’라는 ‘근대식 기생제도(기생단속령)’가 시작되었다. 또한 동시에 공식적인 성매매에 관한 법률이나 제도가 존재하지 않았던 한반도에 일제 통감부는 공인(公認) 성매매제도인 ‘공창제도(창기단속령)’를 이식시켰다. 그리고 이 「기생단속령(근대식 기생제도)」의 제정준비에서부터 근대 여성 예술인(藝術人)집단인 ‘한성기생조합소(1908년)’의 설립과정 및 국내외 공연과 「창기단속령(공창제도)」의 제정준비에서부터 공인 성매매집단인 ‘한성창기조합(1909년)’의 설립과정 및 실제 공창제도 실시의 전말이 담긴 ‘유일한 공적 일제(日帝) 문서’가 바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이다. 결론적으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은 대한제국 말기 일제 통감부가 당시 ‘가무(歌舞) 전문 예술인(藝術人)이었던 기생(妓生)’과 ‘매음(賣淫)을 전업으로 하던 창기(娼妓)’를 근대적인 방식으로 통제·관리하기 위해 정책방향을 설정하고,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관련 법령을 제정하고, 세부 실시 지침을 마련하고, 실제 정책적·제도적 실시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에서의 ‘근대식 기생제도’와 ‘공창제도’의 ‘성립과정의 전말’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법적·정책적 사료’이다”와 같이 수정·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와 ‘조선총독부 기록물 홈페이지’에 실린 모든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에 관한 세부 내용 항목들과 ‘주요기록물들(5개)’에 대한 간략한 설명 등은 이정남(2022-2023)과 水谷淸佳(2022-2023)에 의한 일련의 연구 결과들을 참고하여 정확한 내용과 올바른 정보로 수정·재탑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ferred to the National Archives and Government-General of Chosun Records Archive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in providing the images of original script from the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 and related content in a detailed manner, find the problems in the websites, and organize and point out the main items to be improved in each website.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at the main bibliography on the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 is the record complied in the late 1910s by the Resident-General of Korea on the documents they produced during the late Korean Empire, from June 1908 to May 1910. As the title indicates, the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 are composed of two types of records on the documents related to Gisaeng and prostitutes, and each record has independent characteristics. During the late Korean Empire, the Korean Peninsula’s 900-year-old “Gisaeng System (Official Gisaeng System)” was disorganized by the Resident-General of Korea in September 25, 1908. After disorganization, it enforced the modern Gisaeng system (Gisaeng Regulation Law) called the Gisaeng Association. The Resident-General of Korea also implanted a licensed prostitution system, “Licensed Prostitution System (Prostitute Regulation Law),” in the Korean Peninsula that did not have laws or systems regarding licensed prostitution. In addition, the websites also need to be revised and clarify that the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 are the only Japanese documents that include the preparation process of the [Gisaeng Regulation Law (Modern Gisaeng System)],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modern female entertainer group named “Hanseong Gisaeng Association (1908),” its performances in Korea and overseas, preparation on establishment of the [Prostitute Regulation Law (Licensed Prostitute System)],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licensed prostitute group called “Hanseong Prostitute Association (1909), and the circumstances of enforcing the state-regulated prostitution system. Furthermore, the details of the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 and brief explanations of the main records in each website should be revised and re-written based on accurate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research by Lee Jeong-nam (2022-2023) and Mizutani Sayaka (2022-2023).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2022년 새로운 칼라복제본에 관한 연구

        이정남(Jeongnam Lee),水谷淸佳(Mizutani Sayaka ) 한국교방문화학회 2022 교방문화연구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우선 그동안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활용한 ‘선행 연구들’과 ‘기존 해제들’, 그리고 이들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과 학술적 오류 및 왜곡된 내용들을 올바르게 정정한 ‘최근 연구들의 동향(動向)’을 살펴보고, 이후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복제본들의 현황 및 제반 문제점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기존 복제본들에서 발견되는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복제본의 필요성’ 강조와 국가기록원에의 학술적 제안 및 요청을 통한 ‘새로운 복제본(2022년 6월 30일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 칼라스캔본)’의 입수 과정, 그리고 이 ‘새로운 칼라복제본’의 사료적 가치 및 향후 활용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2022년 새로운 복제본’과 이를 토대로 한 번각본(翻刻本) 및 정확한 한글 번역본, 그리고 최근의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에 관한 논문들을 엮은 단행본의 등장으로 그동안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활용한 선행 연구들과 기존 해제들에서 발견된 다양한 학술적 오류들과 왜곡된 부분들에 대한 ‘정정 내용’이 일반사회 및 학계에 널리 알려져 잘못 알려져 있었던 내용들은 올바르게 바로잡아지고, 새롭게 밝혀진 내용들은 폭넓게 확산되어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본질적인 성격 및 실체’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이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쉽게 다가가 그 가치와 본질적인 성격뿐만 아니라 대한제국기라는 근대화의 전환점에서 ‘여악(女樂)의 전통을 계승한 예술인(藝術人) 집단이었던 기생집단(妓生集團)’과 ‘성매매(性賣買)만으로 생계를 이어간 매음녀(賣淫女) 집단이었던 창기집단(娼妓集團)’에 대한 정확한 개념적 구분과 이해 등 한국 근대 기생사(妓生史) 및 창기사(娼妓史)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새로운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비록 조선시대와 대한제국기 및 일제강점기의 기생들이 유교문화와 일제의 식민지 지배 하에서 남성들의 성적 유희와 착취로부터 자유로웠던 존재는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매일매일을 매음으로 생계를 꾸려갔던 갈보ㆍ매춘부는 아니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사』, 『한국근대사』, 『한국여성사』, 『음악사』, 『무용사』 등의 ‘기생(妓生) 관련 연구들’에 있어서 ‘가무(歌舞)를 전업으로 하였지만 성(性)적 유희나 착취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던 기생집단’과 ‘국가의 관리 하에 지정된 지역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금전거래를 통해 매일매일을 성매매(性賣買)로 생업을 이어갔던 창기집단’은 ‘분명하게 구별하여 인식’하고 연구를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Preceding Studies” and “Existing Bibliography” that utilized the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s well as “Recent Research Trends” that verified and corrected the academic errors and distortions found in those studies and bibliography to derive the state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copies of the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fter figuring out the problems found in the existing copies,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for new copy and described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new copy (the colored copy of the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 on June 30 2022) based on academic proposal and request to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n, this study came up with the value and utilization direction of the new colored copy. To establish the correct understanding on “Fundamental Characteristic and Truth of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it is necessary to publish the new 2022 copy for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nd books that compile reprinted copy, accurately translated copy, and the recent studies o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These new copy and books will correct academic errors and distortions discovered in previous studies and existing bibliographies based o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s well as widely spread the corrections as well as newly discovered facts.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should be easily accessible to both researchers and ordinary people in order to highlight the value and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Gisaeng and prostitute, as well as to promote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new perception toward the Korean modern history of Gisaeng and prostitute by clearly distinguishing and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Gisaeng Group” as the artist group that inherited the tradition of female musicians and “Prostitute Group” as the prostitute group who lived on prostitution during The Korean Empire’s turning point of modernization. Lastly, Although the Gisae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Daehan Empire,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not free from the sexual amusement and exploitation of the men under the Confucian society and the Japanese colonial rule, Gisaeng was not a prostitute who made a living by the prostitution. Gisaeng was an entertainer who learned music and dance every day at Jangakwon in the Joseon Dynasty, Goybangsa in the Daehan Empire, and Gisaeng Association and Gwonbeo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isaeng also made a living by doing music and dance at the royal court events, public events, private events, theaters, and restau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