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한집(補閑集)』에 나타난 최자(崔滋)의 사륙문(四六文) 비평(批評)

        張玲玉 ( Zhang Lingyu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7 No.-

        고려시기 사륙문은 고문보다 더 성행하였다. ‘사륙문’이란 명칭은 중국 당나라 때 이상은에 의해서 생긴 것으로 표, 장, 계, 전 등의 공문서를 포함하고, 후대에 주로 사용되는 ‘변려문’이나 ‘여문’이라는 명칭보다 범위가 상대적으로 좁은 편이다. 사륙문의 성행에 따라 고려시대 사륙문 작품은 비교적 많이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시화·시평집인 『보한집』에는 사륙문과 관련된 이론까지 등장하였다. 최자는 『보한집』에서 사륙문은 중국 위진시기에 윗사람에게 올리는 글에서 기원하였고, 수·당 시대에 들어와 율부의 영향을 받은 이후부터 정착되었다고 보았다. 최자의 주장에 따르면 사륙문은 위진시기에 기원하고 당나라 때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고려시기 사륙문의 문풍은 유화와 같은 문인들에 의해서 구절이 길고, 옛사람의 말을 그대로 베낀 데에서 기인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김부식을 고려시기 사륙문 창작의 전범으로 여기면서, 임종비와 정지상의 사륙문을 모방하거나 이규보의 표문을 배우는 것에 반대하기도 하였다. 최자는 사륙문을 구체적으로 논평할 때 대구가 사실과 부합해야 한다고 주장했을 뿐만 아니라, 글의 서사까지 언급하여 당시의 다른 사륙문 비평과 차이점을 보인다. 이처럼 『보한집』에 실려 있는 사륙문에 관한 비평의 분석을 통해 고려시기 이미 사륙문에 대한 체계적인 인식과 이론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Koryo Dynasty Pianliwen(騈儷文), which was always called Foursix(四六文) at that time, was more prevalent than Guwen(古文). The name Foursix was first used by Lishangyin(李商隱) and it contained official documents such as Biao(表), Zhuang(狀), Qi(啓), Jian(箋) etc, whose confines was more narrow than Pianliwen or Liwen(儷文) in the Joseon Dynasty. Because of the prevalence of Foursix, there were not only many Foursix proses in Koryo Dynasty, but also proses that criticize Foursix in the book of poetic criticisms, Bohanjip(補閑集). In Bohanjip, in Choi Ja(崔滋)'s opinion Foursix's origion could be found in proses presented to one's superiors in China's Weijin(魏晉) period. And this kind of writing was completed in Sui(隋) Dynasty and Tang(唐) Dynasty under the influence of Lvfu(律賦). In his opinion Foursix originated in Weijin period and completed in Tang Dynasty. He also thought that in Koryo Dynasty writers began to use long sentences in Foursix after Ryuhwa(柳和). Choi Ja also thought that Kim Busik(金富軾) was the paradigm of Foursix writing in Koryo Dynasty, but Lim Jongbi(林宗庇), Jeong Jisang(鄭知常)'s Foursix or Lee Kyubo(李奎報)'s Biao(表), on the contrary, should not be the model that other writers learnt from. In Choi Ja's view, the sentences in Foursix should accord with facts. He also criticized the narration skill of Kim Ji Dae(김지대)의 Foursix.

      • KCI등재후보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중국 박물관의 장소성 표현 연구 - 서북 지역 중소형 박물관을 중심으로 -

        장령옥 ( Zhang Ling-yu ),나일민 ( Nah Ilmi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4 전시디자인연구 Vol.21 No.1

        개혁개방 이후 중국은 급속한 도시화와 상업 건축붐을 경험하며 획일적 도시 경관과 유의미한 장소 상실과 같은 문제에 당면하고 있다. 박물관 역시 맹목적인 현대화를 추구하며 지역의 자연이나 역사, 문화 맥락을 반영하기보다는, 양적 팽창을 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중국 내에서도 다소 소외되어 발전해온 서북지역 박물관이 어떻게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차별화된 장소성을 표현하는지 고찰한다. 중국 내 최대 규모의 타클라마칸 사막이 있는 서북지역은, 건조한 기후와 척박한 자연 조건에도 불구하고 실크로드의 교차로로 기능을 하며 중원과 서역문화가 어우러 진 고대 불교 예술과 둔황 막고굴과 같은 세계적 문화유산을 꽃피운 곳이다. 먼저 장소성의 개념과 형성 요소 및 서북 지역의 자연과 역사문화환경의 특수성을 고찰하고, 해당 지역의 박물관 3곳(수동구 지역박물관, 둔황 막고굴 센터, 서안 취장 미술관)의 건축 외관과 내부 콘텐츠 속 지역문화 활용법을 알아보았다. 모두가 건축 공간적으로는 지역의 (자연)풍광과 색, 역사를 현지의 자연 재료 및 현대적 인공 재료를 혼합하여 상징적으로 시각화하였고, 전시 프로그램 면에서는 척박한 사막의 선사 및 고대 불교 문화의 태동지로서의 역사를 녹여낸 스토리텔링이나 첨단 기술을 활용한 체험 콘텐츠로 역사성을 강조하며 장소성을 강화하고 있는 곳이었다. 이처럼 중국 서북의 박물관 공간 전략과 동향을 확인한 본 연구가 전 지구적 도시화와 기후 위기로 인한 세계의 자연과 문화유산의 위기에 당면한 현 상황에서, 지역 공동체의 기억과 문화유산을 전승하며 세계 문화의 다양성을 보존하는 유의미한 장소로서의 지속가능한 박물관의 지역 문화 활용법과 디자인 연구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up, China has experienced rapid urbanization and commercial architectural construction boom, and is currently facing the problems of monotonous urban landscape and loss of meaningful place. In their blind pursuit of modernization, museums have also pursued quantitative expansion rather than reflecting the locality. This study explores how museums in northwest China use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o express different sense of place. The northwest region has China's largest Taklimakan Desert. Despite its dry climate and barren natural environment, the region serves as the intersection of the Silk Road, melting the cultures of Central Plains and the West, and has world cultural heritage sites such as ancient Buddhist art and the Dunhuang Mogao Grottoes. After clarifying the definition of sense of place and the nature, history, and cultural environment of the northwest region, we have examined how the local culture is integrated in the space and contents design of three local museums (Shuidonggou Site Museum, Dunhuang Mogao Grottoes Digital Center, Xi'an QujiangArt museum). The case study demonstrates that most of the museums symbolically visualized local (natural) landscapes, colors, and history through a mixture of local natural elements and modern materials in the architecture. The sense of place was also strengthen by their exhibitions’ storytelling or new technology experience contents, melting the local identity as the birthplace of ancient Buddhist art and culture in the barren desert. As such, this study brings insights on the contemporary museum space strategies of northwest China. In the current global urbanization and climate crisis context, we hope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uture sustainable museum design research, to become as a place to protect the local identity and world's cultural diversity.

      • KCI등재

        廟堂과 自然 사이 - 해좌 정범조 산수전원시의 고찰

        田娟(Juan, Tian),張玲玉(Zhang, Lingyu)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4 No.-

        해좌가 남긴 2000수 가량의 방대한 작품에서 산수전원시는 절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는 단지 한시 작가라면 누구나 산수전원시를 많이 창작한다는 사실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평생토록 ‘隱士的’ 삶의 태도를 견지하였다. 후반기에 창작한 작품이 절대다수를 차지한다. 40대 전후로 하여 시 학습과 창작에 있어 변화가 생겼다. 해좌의 산수전원시는 이 세 가지 요소가 결합해 나타난 결과로 그의 인생과 문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해좌 산수전원시의 주제적 양상을 살펴보면, ‘산수 사이의 노닒과 吟詠’, ‘전원에서의 일상과 自適’, ‘늙어감에 따른 희락과 인생의 성찰’, ‘애민·염군의 감정과 태평성세의 氣象’, 이 네 가지로 귀결할 수 있다. 또 해좌 산수전원시가 지닌 풍격미 및 그 조성 기법을 검토하였다. 그의 시는 ‘맑고 전아한 미감’ 및 ‘천근하고 담백한 미감’, 이 두 가지의 풍격미를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풍격 조성을 위해 활용한 예술적 기법을 확인하는 동시에 해좌의 學詩 궤적과 산수전원시 풍격미 형성의 관계를 살폈다. Beomjo Jeong, also called Haizuo, is representative of Korean poetry from the 18th century. In this paper, his pastoral poems are reviewed in detail. Due to leading a life similar to a hermit, most of his existing works were written in the last half of his life, and he changed his poetic style and started to write more around the age of 40. Pastoral poems are the products of three factors, from which his artistic style can be manifested the most. In this paper, the contents of Haizuo’s pastoral poems are reviewed in detail, and their themes can generally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four themes: praise of mountains and rivers, daily pastoral life, the happiness of older people and overview of life, love for citizens and the emperor, and the prosperous mundane world. The styles of Haizuo’s pastoral poems can also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elegant style and realistic style. Combined with the learning trajectory of his poetry, the specific reasons for the adoption of these two styles are specifically analy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