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릉지 토양인 아산통의 분류 및 생성

        관철(Kwan-Cheol Song),현병근(Byung-Geun Hyun),손연규(Yeon-Kyu Sonn),박찬원(Chan-Won Park),전현정(Hyen-Chung Chun),문용희(Yong-Hee Moon) 한국토양비료학회 2011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4 No.6

        Soil Taxonomy 분류체계 변화에 대응하여 구릉지에 널리 분포하는 토양으로 Inceptisols인 Typic Dystrudepts로 분류되고 있는 아산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아산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A층 (0∼18 cm)은 암황갈색 (10YR 4/4)의 자갈이 있는 양토이고, BA층 (18∼30 cm)은 진갈색 (7.5YR 5/6)의 자갈이 있는 양토, Bt1층 (30∼52 cm)은 적색 (2.5YR 4/6)의 자갈이 있는 식양토, Bt2층 (52∼98 cm)은 적색 (2.5YR 4/8)의 자갈이 있는 식양토, C층 (98∼160 cm)은 적색 (2.5YR 4/8)의 자갈이 있는 양토이다. 구릉지 잔적층을 모재로 하는 토양으로 주로 임지로 이용되고 있다. udic 토양수분상과 mes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하며, 배수 양호하다. 아산통은 0∼18 cm 깊이에 ochric 감식표층을 보유하고, 30∼98 cm 깊이에서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argillic층 상부경계에서 125 cm 아래 깊이인 155 cm 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7.8%로 35% 미만이다. 따라서 아산통은 Incept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아산통은 udic 토양수분상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Udults로 분류할 수 있으며, Hapludults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Typic Hapludults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으며,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토성속이 식양질이고, 토양온도상이 mesic 온도상이기 때문에 아산통은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Dystrudepts가 아니라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로 재분류되어야 한다. 아산통은 경사가 비교적 완만하여 지형이 안정되어 있는 구릉지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침식이 일어나는 것에 비하여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집적작용과 염기용탈작용이 우선되고 있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는 토양으로 생성 발달되었다. 또한 Alfisols과 Ultisols을 구분하는 가장 기본적인 분류기준인 기준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 미만으로서 Alfisols이 아니라 강산성 토양인 Ultisols로 발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Asan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Asan series distributed on the rolling to hilly areas.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Asan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of Asan series has dark yellowish brown (10YR 4/4) gravelly loam Ap horizon (0<SUP>-1</SUP>8 cm), strong brown (7.5YR 5/6) gravelly clay loam BA horizon (18-30 cm), red (2.5YR 4/6) gravelly clay loam Bt1 horizon (30-52 cm), red (2.5YR 4/8) gravelly clay loam Bt2 horizon (52-98 cm), and red (2.5YR 4/8) gravelly clay loam C horizon (98<SUP>-1</SUP>60 cm). The typifying pedon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30 to 98 cm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cm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I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Inceptisol. It has udic soil moisture regime, and can be classified as Udult.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ypic Hapludults. It has 18-35%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s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Therefore Asan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 not as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Dystrudepts. Asan series occur on rolling to hilly areas in residual materials derived from granite gneiss, schist, and gneiss rocks. They are developed as Ultisols with clay mineral weathering, translocation of clays to accumulate in an argillic horizon, and leaching of base-forming cations from the profile for relatively long periods under humid and temperate climates in Korea.

      • KCI등재

        작업장 민주성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십의 조절효과

        관철(Kwancheol Song),신은종(Eunjong Shin)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6 産業關係硏究 Vol.26 No.4

        이 연구는 작업장의 민주성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 이 영향관계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적 역할을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민주성과 사회적 자본 형성 간 영향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가치와 조직 원리에서 차이를 보이는 직원협동조합과 일반 기업(주식회사)을 비교분석했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직원협동조합에서 근무하는 근로자(121명)와 기업에서 근무하는 근로자(185명) 등 총 306명에 대한 설문조사다. 분석결과, 근로자들이 지각하는 민주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자본 형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업장의 민주성이 높을수록 근로자들이 상호 호혜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며 그 결과 사회적 자본이 상대적으로 더 축적됨을 의미한다. 변혁적 리더십 역시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데 긍정적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민주성과 사회자본 형성 간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기능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직원협동조합에서는 조절효과가 뚜렷이 발견되고 있는 반면, 일반기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이 궁극적 가치와 운영원리에서 차이가 있는 양 집단에서 서로 다르게 기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causality between workplace democracy and the social capital at the workplace level. It also examines the moderating role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is relationship. In particular, the focus is put on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corporations and workers’ cooperatives which are distinguished in terms of primary goals, values and the organizational principles. This study uses the survey conducted on workers (121employees in the workers’ cooperative and 185 employees in corporations). We found the positive causality in which the workplace democrac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t the workplace level. It means that the democracy at the workplace functions as a universalistic element to enhance the quality of social capital through promoting trust, mutual-reciprocity, and democratic norms. The evidence also shows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impacts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ocracy and social capital, however, differ along with the workers’cooperatives and corporations. While we can find the positive moderating roles of the leadership in the sample of workers’ cooperatives,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leadership’s role in the case of corporation.

      • ESG 노동 생태계 조성 방향

        관철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22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Vol.2022 No.9

        ○ 최근 ESG 열풍이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면서 재활용, 플라스틱, 전기차 등 친환경 이슈 및 에너지, 기후변화, 재생에너지 등 탄소 중립과 관련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그러나 이와 같은 분위기는 자칫 ESG에서 사회(S)나 지배구조(G)보다 환경(E)에만 집중하게 되는 불균형성을 야기할 수 있음. ○ ESG 경영은 주주의 부를 극대화하는 것이 기업이 목표가 아니며, 사회 전체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기업이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음. ○ ESG 경영을 촉구하는 동력은 ESG 투자 움직임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글로벌 ESG 투자 규모는 2016년 41.3조 달러에서 2020년 58.6조 달러로 41.6% 증가하였음. - 7가지 ESG 투자 유형 중 ESG 통합, 네거티브 스크리닝, 기업관여 및 주주활동 등 3가지 유형의 비중이 2016년 81.7%에서 2020년 86.6%로 계속 증가하고 있음. - 투자 매니저가 재무적 분석에 ESG 요소를 체계적이고 명시적으로 포함시키는 투자방식인 ESG 통합 투자는 자금 규모가 2016년에 비해 2020년 143.4% 증가하였으며, 7가지 유형 내 비중이 2016년 25.0%에서 2020년 43.0%로 확대되는 등 기업 평가 시 비재무적 요인을 평가하는 움직임이 심화되고 있음. ○ ESG 경영은 UNGC 10대 원칙, UN PRI 6대 원칙을 통해 추구하는 가치를 살펴볼 수 있고, UN SDGs를 통해 실천 목표를, ISO 26000을 통해 실행 방안을 확인할 수 있으며, GRI 등의 표준을 통해 작성된 보고서를 각종 ESG 평가 도구를 통해 측정할 수 있음. ○ K-ESG 가이드라인에서 제시된 국내·외 13개 ESG 평가기관 지표의 평가영역을 살펴보면, 노동, 다양성 및 양성평등, 산업안전, 인권 등 여러 영역에서 노동과 관련된 이슈를 ESG 주요 평가 항목으로 다루고 있음. - 서스틴베스트는 근로조건, 고용평등 및 다양성, 노사관계관리, 근로자 보건 및 안전 등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노동을,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은 고용 및 근로조건, 노사관계, 직장 내 보건 및 안전, 인력개발 및 지원, 직장 내 기본권(인권) 등 근로자 차원에서 노동을 평가하고 있음. ○ ESG와 관련된 국제표준, 평가지표, 중대성 평가 결과, 법·제도 사례 등을 살펴본 결과 해외에서는 노동을 포함한 ESG 주요 이슈와 관련된 사안에 대해서는 공급망 차원에서 관리가 필요하다고 보고 협력사에 ESG 경영을 촉구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ESG 노동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음. - 이러한 움직임은 글로벌 생산망 운영과정에서 발생한 강제노동, 환경오염 등의 이슈가 원청기업의 ESG 평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임. - 그러나 여전히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움직임이 미비한 수준이며 일부 대기업의 자율성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임. ○ 국내에도 ESG 노동 생태계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기업 차원, 가치사슬 차원 및 사회적 차원의 환경 조성이 요구됨. - 기업은 ESG 경영과 관련된 계획, 실행, 평가, 환류 등 모든 활동에 대하여 노동자 대표 등 핵심 이해관계자를 참여시키고 이들과 소통해야 함. - 협력사에서도 ESG 경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급망 관리가 진행되어야 함. - ESG 평가 산식 설계 시 적어도 법정 기준 등에 대해서는 미준수 기업에 대한 평가를 엄격하게 진행하고 현재 상태뿐만 아니라 추세를 함께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해야 함.

      • Mossbauer 分光法과 選擇的 抽出方法에 의한 濟州島 土壤에서의 酸化鐵의 特性 究明

        宋寬哲,姜東佑,金斗哲,高正大,洪性樂 濟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7 基礎科學硏究 Vol.10 No.1

        濟州島의 8개 代表土壤을 對象으로 하여 X-線 螢光分析, X-線 回折 分析, oxalate와 dithionite-citrate를 사용한 選擇的 抽出方法 및 Mossbauer 分光法으로 一次鑛物, ferrihydrite, 結晶質 酸化鐵의 種類, 含量 및 非磁性 Al이온의 置煥程度에 대하여 考察하였다. 1. X-線 螢光 分析에 의한 濟州島 8개 土壤統의 酸化鐵(Fe₂O₃) 含量은 噴石口 토양인 松岳統에서 18.21%로 가장 높았고 논토양인 大靜統에서 8.03%로 가장 낮았다. 2. X-線 回折 分析 結果 8개 土壤統 모두에서 ferrihydrite와 結晶質 goethite의 回折 피크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結晶質 hematite는 松岳統, 舊巖統 및 黑岳統에서 檢出할 수 있었다. 3. 선택적 침출방법으로 측정한 ferrihydrite 含量은 흑색토인 松堂과 吐坪統, 농암갈색의 분석구 토양인 柑山統 및 갈색삼림토인 黑岳統에서 20.9-35.2g/㎏으로 높았고, 논토양인 大靜統에서 0.85g/㎏으로 가장 낮았다. 結晶質 酸化鐵 含量인 Fed-Feo 含量 松岳統에서 28.7g/㎏으로 가장 높았고 黑岳統에서 7.6g/㎏으로 가장 낮았다. 4. 濟州島 8개 土壤統에 함유되어 있는 常磁性 Fe³+ 鑛物들은 化學造成이 거의 같은 ferrihydrite, 超常磁性 goethite, 층형 硅酸鑒粘土鑛物로서 柑山統에서 그 含量이 가장 높았고 松岳統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常磁性 Fe²+ 一次鑛物은 柑山統과 黑岳統에서 olivine, illite의 含量이 優勢하였으나 그 외 土壤에서는 小量의 chlorite, augite, biotite, hornblende 등이 含有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 18K에서 측정된 超微細磁氣場값으로 부터 大靜統에서는 미세한 goethite 만이 含有되어 있는 것으로 確認되었고, 그외 7개 土壤에서는 입자 크기가 작은(∼180Å) 結晶質 hematite와 goethite이 것으로 分析되었다. 6. 濟州島 8개 土壤統에 함유되어 있는 酸化鐵의 구조에서 Fe³+와 非磁性 Al³+이 相堂量 部分 置煥되었음을 確認할 수 있었다. Iron oxide compounds in 8 selected Cheju Island soil samples have been analized by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XRF), X-ray diffractometry(XRD), selected chemical techniques, and Mossbauer spectroscopy. The result of this analysis by XRF shows that the rate of quantity of Fe₂O₃ in 8 soil samples was from 8.03wt.%(Daejeong paddy soil ) to 18.21wt.%(Songag soils). Songag, Heugag and Gueom soils were detected to have lower peaks of intensity of hematite by XRD. In addition, these soils were not detected to have hematite and goethite peaks. Ferrihydrite, which is a short-range-order mineral commonly present in volcanic ash soil, was not detected by XRD due to low concentration and/or poor cristallinity. Ferrihydrite contents estimated from Feo values were 8.8∼35.2g/㎏ for volcanic ash soils and 0.85g/㎏ for the Daejeong soil. Most of the soil samples represented by the paramagnetic Fe³+ doublet obtained from Mossbauer spectra at room temperature and 18K were considered to arise from the presence of ferrihydrite, superparamagnetic goethite, and silicate minerals. Also the paramagnetic Fe²+ doublets are attributable to primary minerals such as olivine, illite, chlorite, augite, biotite, and hornblende. Goethite and hematite were identified as the dominant crystalline iron oxides in these soils from Mossbauer spectra obtained at room temperature and 18K. All the soil samples exhibited strong superparamagnetic relaxation. Collapse of the Mossbauer magnetic hyperfine splitting at room temperature was due to the small size(∼180Å) of the oxide particles and/or Al-subsituted goethite.

      • KCI등재
      • Mossbauer 분광법과 XPS을 이용한 제주도 화산회토의 결정학적.자기적 특성연구

        관철,홍성락,고정대,강동우 濟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8 基礎科學硏究 Vol.11 No.2

        제주지역 고도 50m, 150m, 400m, 700m, 1100m, 1700m의 화산회토를 채취하여 이것에 함유된 합철 점토광물과 산화철의 결정학적 및 자기적 특성을 X-선회절법과 X-선광전자분광법 그리고 Mossbauer분광법으로 조사하였다. 1100m와 1700m의 적갈색 화산회토에서 결정도가 높은 hematite가 X-선회절 스펙트럼으로 검출되었다. 이들 시료에 대한 XPS스펙트럼을 통해 Si-O는 SiO₂형태로 Al-Si-O는 NaAlSi₃O??의 결합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50m와 700m 사이에서 채취한 4개 시료에 대한 Fe(2p3/2)전자의 결합에너지 711.4~712.0 eV로 부터 화산회토의 Fe는 geothite와 점토광물의 구조철 Fe³+로 존재하며 1100m와 1700m에서 채취한 2개 시료에 대한 Fe(2p3/2)전자의 결합에너지710.8eV로부터 Fe는 hematite와 점토광물의 구조철 Fe??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성질체 이동값으로부터 Fe의 원자가 상태는 대부분 산화된 높은 스핀 상태의 +3가임을 알 수 있었고, 20K에서 300K까지의 온도 범위에서 취한 화산회토의 Mossbauer스펙트럼에 의하면 goethite는 입자크기가 매우 미세하거나 혹은 반자성 Al³+이 Fe³+과 치환되었기 때문에 초상자성 완화현상이 나타났다고 본다. 화산회토에 함유된 goethite의 Neel온도와 포화 자기장값은 각가 약 230~260K와 약 497~500kOe를 갖으며, 400m이상의 고지대에 분포하는 화산회토에만 함유된 hematite의 Morin 전이온도는 약 250K 부근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Using X-ray diffraction(XR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 and Mossbauer spectroscopy, we studied the crystallographic and magnetic properties of the iron-bearing clay minerals and iron oxides in six volcanic-ash soil samples collected on Cheju island at heights of 50, 150, 400, 700, 1100, and 1700m. Hematite is associated with the strong XRD peaks for the reddish brown soil samples collected at 1100 m, and 1700 m. The XPS spectra for these soil samples showed that the Si-O bond was SiO₂,and the Al-Si-O bond was NaAlSi₃O?? . In the four soil samples collected from heights between 50m and 700 m, the peaks from 7114eV to 712.0eV were assigned to goethite and the structural iron of clay minerals, and in the two soil samples collected from heights between 1100 m and 1700 m, the peaks at 710.7 eV were assigned to hematite and the structural iron of clay minerals. Isomer shifts indicated that the valence of the iron ions was almost oxidized trivalent at high spin states. For various temperatures ranging from 20 K to 300K, the Mossbauer spectra of the six soil samples exhibited superparamagnetic relaxation effects due to the small-sized particles of goethite and/or isomorphous substitution of diamagnetic Al³+ for Fe³+ in the goethite structure. The Neel temperature and the saturated magnetic fields of goethite in the six soil samples were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230K~260K and 497~500kOe, respectively. It is believed that the Morin temperature of the hematite in the four soil samples was approximately 250K.

      • KCI등재
      • KCI등재

        제주도 토양인 제주통의 분류 및 생성

        관철(Kwan-Cheol Song),현병근(Byung-Geun Hyun),문경환(Kyung-Hwan Moon),전승종(Seung-Jong Jeon),임한철(Han-Cheol Lim),이신찬(Shin-Chan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2

        제주도 중산간지대의 용암류대지에 분포하며 현무암 및 현무암에서 유래된 화산분출쇄설물을 모재로 하는 토양으로 Andisols로 분류되고 있는 제주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제주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제주통은 oxalate 침출성 (Al + 1/2 Fe) 함량이 1.3~2.1%, 인산보유능이 65.3~72.2%, 용적밀도가 0.99~1.27 Mg m?³으로 andic 토양 특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Andisols로 분류할 수 없다. 반면에 22~150 ㎝ 깊이에서 argillic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토층에서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 미만으로 낮기 때문에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제주통은 argillic층의 상부 15 ㎝ 깊이에서의 유기탄소 함량이 0.9% 이상이므로 Humults 아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기준깊이에서 fragipan, kandic층, sombric층, plinthite 등을 보유하지 않으며, Haplohumults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제주통은 무기질 토양 표면에서 75 ㎝ 이내 깊이에서 세토의 용적밀도가 1.0 Mg m?³ 이하이고, oxalate 침출성 (Al + 1/2 Fe) 함량이 1.0% 이상인 토층의 두께가 18 ㎝ 이상이므로 Andic Haplohumults로 분류 할 수 있다.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점토함량이 35% 이상이고, therm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하므로 제주통은 Ashy, thermic family of Typic Hapludands가 아니라 Fine, mixed, themic family of Andic Haplohumults로 분류되어야 한다. 비교적 건조한 제주도 서부 및 북부 해안지방에는 non-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되고, 보다 습윤한 그 외의 지역에서는 알로판 또는 Al-유기복합체가 주가 되는 Andisols 토양이 주로 생성 발달한다. 제주도 서부와 북부 지역에서 해발이 높아짐에 따라 온도가 낮아지고 강우량이 많아져 증발산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Andisols이 생성되기 시작한다. 제주도 북부 중산간 지역의 용암류대지에 분포하는 제주통은 And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생성 발달되고 있다. 그러나 non-Andisols 토양에서 Andisols 토양이 분포하는 전이 지대에 분포하고 있어서 Andisols로 분류되지는 않으나 그 특성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Ultisols의 Andic 아군으로 발달되고 있다. Andisols로 생성 발달되지 않은 제주통은 안정한 지형인 용암류 대지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토양이 거의 침식되지 않고 충적물이 별로 퇴적되지 않기 때문에 오랫동안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 집적작용과 염기용탈작용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 층이 생성되고, 기준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양이온 합)가 35% 미만인 강산성 토양인 Ultisols로 생성발달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Jeju Island is a volanic island which is located about 96 ㎞ south of Korean Peninsula. Volcanic ejecta, and volcaniclastic materials are widespread as soil parent materials throughout the island. Soils on the isl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ypical volcanic ash soi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Jeju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Jeju series in Jeju Isl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Jeju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has dark brown (10YR3/3) silt clay loam A horizon (0~22 ㎝), strong brown (7.5YR4/6) silty clay BAt horizon (22~43 ㎝), brown (7.5YR4/4) silty clay Bt1 horizon (43~80 ㎝), brown (7.5YR4/6) silty clay loam Bt2 horizon (80~105 ㎝), and brown (10YR 5/4) silty clay loam Bt3 horizon (105~150 ㎝). It is developed in elevated lava plain, and are derived from basalt, and pyroclastic materials. The typifying pedon contains 1.3~2.1% oxalate extractable (Al + 1/2 Fe), less than 85% phosphate retention, and higher bulk density than 0.90 Mg m?³. That can not be classified as Andisol. But it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22 to 150 ㎝,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Tha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Andisol. Its has 0.9% or more organic carbon in the upper 15 ㎝ of the argillic horizon, and can be classified as Humult. It dose not have fragipan, kandic horizon, sombric horizon, plinthite, etc. in the given depths, and key out as Haplohumult. A hoizon (0~22 ㎝) has a fine-earth fraction with both a bulk density of 1.0 Mg ㎝?³ or less, and Al plus 1/2 Fe percentages (by ammonium oxalate) totaling more than 1.0. Thus, it keys out as Andic Haplohumult. It has 35% or more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s thermic soil temperature regime. Jeju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mixed, themic family of Andic Haplohumults, not as ashy, thermic family of Typic Hapludands. In the western, and northern coastal areas which have a relatively dry climate in Jeju Island, non Andisols are widely distributed. Mean annual precipitation increase 110 ㎜, and mean annual temperature decrease 0.8 ℃ with increasing elevation of 100 m. In the western, and northern mid-mountaineous areas Andisols, and non Andisols are distributed simultaneously. Jeju series distributed mainly in the western and northern mid-mountaineous areas are developed as Ultisols with Andic sub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