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嘉靖29年銘 〈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의 형식적 독창성과 도상해석학적 고찰

        강소연(姜素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3 No.-

        본 논고에서는 가정29년명 〈관세음보살32응탱(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이하, 본도)의 형식 및 양식 고찰의 기반 위에 그 도상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본도에는 조선시대의 모범적 전형(典型)이 되는 관세음보살이 등장하는데, 먼저 전시대의 고려 수월관음과 비교하여 그 형식과 양식의 상이점을 밝혀 보았다. 그리고 같은 시대의 중국 및 일본의 유사 주제 작례와의 비교를 통해,「관세음보살보문품」의 내용이 얼마나 독창적으로 본도에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보문품의 내용을 한 폭의 산수화 속에 앉힌 본도의 구도는 여타 작례에서는 볼 수 없는 대담하고도 획기적인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통찰하는 관점을 조감도식(鳥瞰圖式) 관점으로 묘사한 화사 이자실의 탁월한 불교적 해석력을 찾아볼 수 있었다. 산수화 및 불화, 두 개의 장르에 모두 통달한 이자실은 과연 어떤 가계(家系)의 인물인지, 화승(畵僧)으로서의 그의 내력을 살펴보았다. 이에 조선전기 이자실 작품으로 추정되는 〈금니수월관음도〉와 〈아미타삼존도〉를 예로 들어, 형식적 유사성과 화기(畵記) 내용의 공통점을 비교 분석하여, 이자실이 ‘비구희안(比丘希顔)’일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도의 제명으로 쓰인 ‘삼십이응신(三十二應)’에 대한 종교적 의미를, 초기경전『삼십이상경(三十二相經)』을 통해 밝혀보았다.『법화경』의 방편바라밀의 구현으로서의 삼십이응신이 어떻게 보문관음의 자비행과 연결되는지, 그 신앙적 의의를 논하였다. 이 같은 작업을 통하여 본도에서 나타내고자 한 진면목을 밝혀, 본도의 의의와 기능을 고찰하였다. In this paper, the iconographical meanings of the early Joseon period 〈Thirty-two Nirāmaṇakāya Avalokiteśvara Painting(觀世音菩薩三十二應幀)〉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form and style consideration. In the center of the painting, Avalokiteśvara is shown in such a lively way in bright color which became an exemplary model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out. First, this main figure was compared with the Water-moon Avalokiteśvara in the Goryeo Dynasty of the previous perio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orm and style were discussed. And by comparing with the works of similar subjects in China and Japan of the same period, how creatively the contents of「 the Universal Gate of Avalokiteśvara(觀世音菩薩普門品)」 in Lotus Sutra were embodied in this work. Through this kind of comparis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painting which shows organic harmony of the multiple scenes well-placed in the background of a magnificent landscape to be bold and original, can not be found in any other similar themed works. Representing the perspective of Avalokiteśvara’s insight of the world in a bird"s eye view style(鳥瞰圖式) drawing shows that Lee Jasil(李自實) the painter of this work was outstanding at interpreting Buddhist scriptures. He seems to be master in both landscape and Buddhist paintings. Therefore, the possibility that he could be a monk painter(畵僧) was examined by tracing down the history of his family and through the records found in his art works. Taking the example of 〈Water-moon Avalokiteśvara in Gold(金泥水月觀音圖)〉 and 〈Amitabha-Triad(阿彌陀三尊圖)〉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works of Lee Jasil, the formal similarity and the same phrase of records in the paintings were analyzed. Finally, the religious meaning of the term “Thirty-two Nirāmaṇakāya (三十二應)” as the title of the painting was revealed through the early Buddhist scripture Lakkhana-Sutta(or mahā-puruṣa lakṣaṇa sutra, 三十二相經). By looking into the fundamental meaning, it became clesr that the thirty-two Nirāmaṇakāya was proposed as an implementation of Upaya-pāramitā in Lotus Sutra directly relating to the mercy or compassion of the Universal Gate Avalokiteśvara. Through this work, the basic meaning of the painting was revealed and the significance and function of this work were examined.

      • KCI등재

        ‘大乘菩薩’로서 ‘餓鬼’의 造形的 表現과 象徵

        강소연(姜素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7 No.-

        본 논고는 조선시대 감로탱에 나타난 ‘아귀’ 도상이 ‘보살의 형식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그 의미를 밝혀 보았다. 아귀가 욕계(欲界)의 원천이 되는 ‘업(業)’을 상징하는 동시에 그 업으로부터 중생을 구제하는 역할을하는 메타포로서 묘사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그래서 먼저 감로탱의 하단에 표현된 욕계를 대표하는 윤회의 상징으로서의 아귀 도상의 형식적 특징과 도상해석, 그리고 관련 불전(佛典) 상의 해석들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아귀의 장엄적 요소에 보살의 형식적 특징이 있음을 밝히고 또 작품의 화기에도 ‘비증보살(悲增菩薩)’이라는 근거를 들어, 관련 불전과 더불어 도상해석을 진행하였다. 감로탱의 아귀는, 현존하는 작품에 근거하면 17세기 중엽부터, 한 구에서 두 구로 묘사되는데 이러한 도상학적 현상을 불교의 핵심 개념인 ‘자비와 지혜’에 대응하여 고찰하였다. 즉, 자비를 상징하는 ‘비증보살’과 지혜를 상징하는 ‘지증보살(智增菩薩)’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조선시대 당시 불교계에서 중심이 되었던 경전 및 불교의례집에서 그 타당성을 찾아보았다. 그리하여 결론적으로, 아귀는 중생의 업을 대표하는 상징이자, 그 업을 한 몸에 받아 중생을 깨달음으로 이끄는 중간적 존재임을 고찰하였다. 즉, 아귀는 보살의 화신(化身)으로서 이중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논하였다. 이에 대승불교의 핵심 사상인 보살 정신과 여래장 사상이, 당시 조선시대 영가천도용 탱화 속에도 십분반영되었음을 고찰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iconographical features of ‘the main preta(大餓鬼)’ shown in the Joseon Buddhist paintings titled the Nectar(Amṛta) painting(甘露圖). Nectar Ritual paintings were most likely used during the salvation rites, among which were the Rites of Forty-nine Days, the Festival of Hungry Ghosts, the Water and Land Assembly, all of which were related to sending the dead soul to the pure land(Sukhāvatī). The main preta figure in the painting shows formalistic characteristics of Boddisattva such as halo, crown and beads ornaments. And in Gukchungsa Nectar painting’s case, inscription ‘We prostrate ourselves to the Great Saint Bijeung Boddisattva(南無大聖悲增菩薩)’ can be found brsides the pretaindicating that the preta is incarnation of Jijeung Boddisattva. And from the 17th century, the main preta figure doubles and two figures of the pretas settles in. Since one figure is the incarnation of Bijeung(悲增) Boddisattva representing the Great Mercy(maitrī-karunā), the other should be Jijeung(智增) Boddisattva representing the Wisdom(prajna) which are two main concepts in Buddhist philosophy. The scriptural basis presented in the paper was mainly drawn from the Five Commentaries of the Diamond Sutra(金剛經五家解), and Seongyushicron(成唯識論) which are representative texts that influenced greatly in the Buddhism of Joseon dynasty. In the such Buddhist scriptures mentioned above, the idea ofJijeung Boddisattva and Bijeung Boddisattva is described as the key concept of Boddhisattva. Through such formalistic and scriptural analysis, the fact that the main preta presented in the Nectar painting in Joseon period is mid-multilateral metaphor bridging the Dharma(法界) realm and the Karma world(欲界) is proved.

      • KCI등재

        조선전기 왕실발원〈安樂國太子經變相圖〉의 불교적 주제 고찰

        강소연(姜素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9 No.-

        본 논고에서는 조선전기 왕실발원〈안락국태자경변상도(安樂國太子經變相圖)〉(이하 본도)에 나타난 ‘불교적 주제’를 고찰하였다. 특히 불교적 주제를 강조한 이유는, 본도에 관한 기존 연구는 통상적으로 국어국문학자들에 의해 어문학적 관점에서 그 의의가 다루어졌기 때문이다. 본도에 표기된 초창기 한글 표기가 국어국문학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이에 본 논고에서는 본도의 형식과 내용의 구성을, 본도가 기본적으로 ‘왕실발원 불교회화(佛敎繪畫)’임에 착안하여, 불교적 맥락에서 그 본의(本意)를 밝혀 보았다. 불화를 비롯한 종교미술의 가장 근본적인 기능은 그 안에 담겨있는 교화적(敎化的) 기능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먼저 작품의 화기(畵記)에 기입된 발원문에서 ‘발보리지심(發菩提之心)’과 ‘동수선근(同樹善根)’이라는, 중생교화를 위한, 핵심 문구를 찾아 그 뜻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속세에서 극락으로, 차안에서 피안으로 가는 화면 구성을 주인공들의 동선을 따라 제시하여 대표적 장소의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격적인 주제 고찰에 들어가서는 ‘불 · 보살의 전생담(前生譚)’으로서의 본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주인공들의 공덕 행위를 분석했다. 그리고 신앙적 차원에서 왕생게와 염불신앙이라는 방편이 내용 전개에 어떠한 주요 역할을 하는지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속세적 관점과 불교적 관점의 비교에서 대승불교의 핵심사상인 ‘보살정신’과 그것을 완성시키는 보살행의 필수 과정으로서의 ‘육바라밀’이, 작품 속의 주인공들을 통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원앙부인, 사라수대왕, 안락국태자 세 명의 주인공의 삶을 통해 구현되는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 바라밀이 보살이 되는 지름길로서 대승경전류에 집중적으로 강조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대승본생심지관경(大乘本生心地觀經) · 불설욕상공덕경(佛說浴像功德經) · 불설보살내계경(佛說菩薩內戒經) · 대방광불화엄경수자분(大方廣佛花嚴經修慈分) 등에서 관련 문구를 발췌하여 작품의 기본적인 맥락에 대한 사상적 배경 및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 같은 작업을 통하여 본도의 기능과 의의를 고찰하여, 본도에서 나타내고자 한 궁극적인 진면목을 밝혀 보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iconographical features of the 〈Prince Anrakguk Narrative Painting(安樂國太子經變相圖)〉 of the royal patron origin in Early Joseon Dynasty based on its ‘Buddhist themes’.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painting is explained based on the Buddhist truth and values to reveal its fundamental function as religious art. The life story of the main characters shown in the painting mainly expresses the Mahayana Buddhist thought, a bodhisattva[菩薩]mind. Bodhisattva is a being who is dedicated to achieving complete Buddhahood through six pāramitās[六波羅蜜]. Bodhisattva keep practices compassionate mind for the benefit of all sentient beings to attain Buddhahood. The Six pāramitās required of Mahayana bodhisattvas in order to attain Buddhahood. The Sanskrit word pāramitā is interpreted as “perfection” or “having reached the opposite shore,” i.e., to cross from the shore of delusion to the shore of enlightenment. The six pāramitās are (1) almsgiving(dāna), which includes material almsgiving, almsgiving of the Law, and almsgiving of fearlessness (meaning to remove fear and give relief); (2) keeping the precepts(shīla); (3) forbearance(kshānti), or to bear up patiently and continue one’s Buddhist practice under all opposition and hardships; (4) assiduousness(vīrya), to practice the other five pāramitās ceaselessly, with utmost physical and spiritual effort; (5) meditation(dhyāna), to focus the mind and contemplate the truth with a tranquil mind; and (6) the obtaining of wisdom(prajnā), which enables one to perceive the true nature of all things.

      • KCI등재

        《달마도》의 형식적 특징과 도상 해석 - ‘벽관(壁觀)’의 구현과 의미를 중심으로 -

        강소연(姜素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7 No.-

        본 논고에서는 《달마도》라는 주제의 회화의 감상 포인트가 무엇인지, 달마의 교법을 근거로 밝히고자 한다. 우선 대표 작품의 형식적 특징을 고찰하고 그 도상학적 의미를 해당 전거(典據)와 연결해 살펴본다. 요지를 먼저 기술하자면, 달마도의 핵심적 특징은 ‘벽관(壁觀)의 눈’이다. 어째서 그러한 도상학적 특징을 거론하였는지, 달마의 친설(親說)이라고 전하는 『보리달마사행론(菩提達磨四行論)』에서 벽관이라는 핵심 용어를 찾아 설명하였다. 달마의 이론으로 유명한 이입(理入)과 사행(四行), 나아가 견불(見佛)이 결론적으로 벽관의 경지와 어떻게 연결되는 지 논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이 어떻게 《달마도》에 반영되었는지, 먼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김명국의 〈달마도〉를 통해 형식적 특징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중국 송대의 〈달마도〉(대만 고궁박물원 소장) 및 일본 무로마치 시대의 〈달마도〉등을 선별하여, 한국 · 중국 · 일본의 동아시아의 맥락 속에서 그 전통과 특징을 비교하였다. 얼굴을 강조한 상반신의 《달마도》 이외, 달마 관련 주제인 달마도강(達磨渡江) 또는 달마도해(達磨渡海) · 노엽달마(蘆葉達磨) · 절로도강(折蘆渡江) 등의 작품들의 양상도 간략히 다루어, 《달마도》에 대한 이해를 더했다. 마지막으로 달마 친설로 전하는 ‘견불(부처를 본다는 것)’에 대한 정의에 의거하여, 기존 학계에서 강조된 이입과 사행도 중요하지만, 이입과 견불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달마의 교시를 함축하는 용어로서 벽관을 들어 그것의 구현으로서의 《달마도》의 의의를 논하였다.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clarify what points of appreciation for the painting under the theme of Bodhi-Dharma(《Dalmado》) are based on the teaching method of Bodhi-Dharma. First of all, it examine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ve works, and examines its iconographic meaning by linking it with the relevant authority (典據). To describe the point first, the core characteristic of Bodhi-Dharma painting is the "eye of the wall or state of the wall(壁觀 Byeokgwan) ". Why was such an iconographical feature mentioned, and explained the key term "byeokgwan" in 『Bodhi-Dharma’s Four Act theory(菩提達磨四行論 Borridalmasahaengron)』, which is said to be Bodhi-Dharma"s kinship. In conclusion, the theory of Bodhi-Dharma"s theory of engagement(理入 yiyip) and four deed(四行 sahaeng), as well as ‘seeing Buddha (見佛 gyeonbul) or truly seeing’, is conclusively discussed how it is connected to ‘the state of the wall’. And how these characteristics were reflected in 《Dalmado》, first of all, we analyzed the formal characteristics in detail through 〈Dalmado〉 masterpiece by Kim Myung-guk representing Korea of Joseon period. Next, we selected 〈Dalmado〉 in the Song Dynasty(owned by the National Palace Museum in Taiwan) and 〈Dalmado〉 in the Muromachi period in Japan, and compared the traditions and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of East Asia in Korea, China, and Japan. Lastly, based on the definition of ‘seeing Buddha’, which is conveyed by Bodhi-Dharma, the importance of ‘engagement and speculation’ emphasized in the existing academia is also important, but the importance of ‘engagement and seeing Buddha’ was emphasized. In conclusion, the meaning of 《Dalmado》 as its realization was discussed with the "eye of the wall or state of the wall". as a term that implies this core teaching of Bodhi-Dharma.

      • KCI등재

        언어 문화적 인종주의와 '요보(ヨボ)', '아이고(アイゴ)'

        강소영(Kang So Young,姜素英)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6 日本硏究 Vol.0 No.68

        Centering around discourse and the text of "Yobo (ヨボ)" and Aigo (アイゴ 哀号)", this paper analyzes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physically close Japanese colonists and the colonized Koreans is standardized and maintained as cultural racism. It was discussed that this "Language System" plays a role in the mechanism that forges "Differences" and "Superiority" of oneself and others by Japan. The pro-Japanese Korean writer, Hyeonryong, appears in "Pegasus" of Kim Saryang which shows his views on national identity and culture. The structure of "contempt" and "others" to the "discriminated" Korean maintained and re-produced verbal communication of the imperial Japan through the derogatory term of "Yobo".Colonial writer, Kim Saryang became the subject to use Japanese, the colonial langauage, and can write only Japanese novels to Japanese people to express the awareness of the issues of "Yobo" is ironical. The discrimination and the most fundamental problem in the language system is hidden in such irony. Usuda Jan'un attempted to lock in the "ethnicity" immobilization of the negative image that not visible by using the "old fuddy-duddy (Yobo)" in order to support the Japanese imagined superiority, so he created, displayed, and diffused a cultural boundary of the colony and the colony.The words "Yobo" and "Aigo" represent a symbol of the others, "they Koreans" as a negative binomial confrontational value different from "we Japanese". In other words, the "symbol" of "Yobo" and "Aigo" as a "cross-cultural" colonial Korea may be assumed to be representative practice act of differentially settling in a language that the colonized Korean, the object of the "symbol", is different from "we, Japanese" in the people using Japanese language system used in the "symbol". 本稿は身体的に近い日本の植民者と植民地の朝鮮人の間の差異を文化的人種主義をもとにして創出しようとした例を、「ヨボ」と「アイゴ」の言説及びテキストを中心に分析したものである。日本帝国主義の自他の差異、優越をつくるメカニズムの中でこのような「言語システム」がどんな役割を果たしたかを考察した。 金史良は文化の独自性を描いた「天馬」で「ヨボ」という蔑称を通じて帝国日本との言語的コミュニケーションの中で「被差別者」の朝鮮人の一般についての「蔑視」と「他者化」の構造が維持 · 再生産されたことを暴露している。植民地の作家である金史良が、宗主国の言語の日本語を駆使する主体になって、日本人に日本語の小説として「ヨボ」の持っている問題意識を表現できたというアイロニも存在する。まさにこのようなアイロニに差別と言語システムの一番根元的な問題が潜んでいるといえよう。 薄田斬雲は『ヨボ記』を書くことで、日本の想像された優位を裏付けるために「老耄(ヨボ)」という単語を使って可視的ではないマイナスイメージの「民族性」の固定化を図り、そうすることで植民地と被植民地の文化的境界を創出し、拡散させた。 金石範「哀号について」、姜尚中『在日』、梶山季之『梶山季之朝鮮小説集)』を通じては、「アイゴ=哀号」として悲しみの部分だけが流通した経緯を辿った。そこで「アイゴ=哀号」という単語は「我々日本人」とは違う「彼ら朝鮮人」を象徴しながら紋切り形の否定的で二項対立的価値表現として機能したことが分かった。 植民地朝鮮の「異文化」として「ヨボ」と「アイゴ」にたいする表象は、表象に使われる日本語という言語システムを共有する人たちの中で、表象の対象である朝鮮人を言語で差別的に定着させた代表的実践行為だったと言え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