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thylenediammonium Chromate의 합성 및 결정구조 연구

        남궁해,박상수,NamGung, Hae,Park, Sang-Su 한국결정학회 2006 韓國結晶學會誌 Vol.17 No.1

        The crystal structure of Ethylenediammonium chromate, $C_2H_{10}N_2{\cdot}CrO_4$, has been determined by X-ray crystallography. Crystal data: a=6.667(2), b=8.845(2), c:11.827(2) ${\AA}$, Orthorhombic, $P2_12_12_1$(Space Group No=19), Z=4, V=697.4(3) ${\AA}{^3},\;Dc=1.696gcm^{-3},\;{\mu}=1.594mm^{-1}$. The structure was solved by Patterson method and refined by full matrix least-square methods using unit weights. The final R and S values were $R_1=0.0254,\;R_w=0.070,\;R_{all}=0.0255$ and S=1.133 for the observed 1195 reflections. Bond length and angles of two ions are similar to the previously reported data. The ethylenediammonium ion has trans-configuration and are linked through many hydrogen bonds with neighboring anions. Ethylenediammonium chromate, $C_2H_{10}N_2{\cdot}CrO_4$ 결정구조는 a=6.667(2), b=8.845(2), c=11.827(2) ${\AA}$, 사방정계(Orthorhombic), 공간군 $P2_12_12_1$, 공간군 번호 19이며, Z=4, V=697.4(3) ${\AA}{^3},\;Dc=1.696gcm^{-3},\;{\mu}=1.594mm^{-1}$이었다. 구조분석은 중금속법으로 풀었으며, 최소 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고, 최종 신뢰도 값들은 1204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R_1=0.0254,\;R_w=0.070,\;R_{all}=0.0255$, S=1.133이었다. 두가지 이온들의 자료들은 기존 유사물질들의 자료에 상응하였으며, Ethylenediammonium 이온은 trans 구조로써 주위의 음이온과 사이에 많은 수소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 4-크로로-4'-메톡시-2-니트로디페닐아민의 X-선 결정 및 분자구조 결정

        남궁해,유재혁,이현미,Nam, Gung-Hae,Yu, Jae-Hyeok,Lee, Hyeon-Mi 한국결정학회 1991 韓國結晶學會誌 Vol.2 No.2

        4-크로로-4'-메톡시-2-니트로디페닐아민, (C12H11N2O3CL, FW=278.70)의 단것세포 상수는 a=8,169(3), b=8.883(1), c=9.150(1) h, α =82. 98(1), β=104.80(2), y=101.43(2)", V=627.3 A3, F(000)=288.0, Dc=1.48g/cm3, u=3.06cm-1, 7=295" K, 공간군 Pi, 번호 2, 삼사 정계 이며, Z=2이다. λ (Mo-Ka)=0.7107A을 사용 하여 수집한 독립적인 회절 반점 1541개로 구조분 석한 최종 신뢰도 값은 각각 R=0.032, Rw=0.033 이며, S=0.46이다. 본 화합물은 암모니아의 두개 의 수소 대신에 4-크로로-페닐기와 4-메톡시-페닐기로 치환된 물질로써, 질소와 두 페닐기 사이의 각과 결합거리 들은 각각 125.42", 1.362 및 1.428 A 인바 수소와 함께 SP2_혼성결합을 하고있다. 질소를 포함한 두 면간 각은 63.29"이다. 분자간 어 떠 한 수소결합을 하고 지지 않다.

      • Dinitroethylenediamine Palladium(II)의 합성 및 결정구조 연구

        남궁해,Namgung Hae 한국결정학회 2004 韓國結晶學會誌 Vol.15 No.2

        Dinitroethylenediaminepalladium(II), $Pd(C_2H_8N_2)\;(NO_2)_2$의 결정구조는 a=7.425(3), b=8.480(4), c=11.885(2)${\AA}$, 사방정계(Orthorhombic), 공간군 $A2_1ma$, 공간군 번호 36이며, Z=4, V=748.3(4)${\AA}^3,\;D_c=2.295\;gcm^{-3},\;{\mu}=2.457mm^{-1}$이었다. 구조분석은 중금속법으로 풀었으며, 최소 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고, 최종 신뢰도 값들은 377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R_1=0.0306,\;R_w=0.0802,\;R_{all}=0.0320,\;S=1.166)$이었다. 최종 분석한 착염의 결합거리와 각들은 기존에 알려진 해당 자료들에 상응하였다. 착염의 구조는 Reiset's salt type 유사체와 같은 일차원 구조로써 c축을 따라서, Pd-Pd 거리가 3.762(2) $(\AA)$이고, 각 <Pd-Pd-Pd이 $161.41(5)^{\circ}$인 지그재그 사슬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사슬내에서나 사슬간에는 질소와 산소사이에 각각 3.05(1)과 3.15(1) ${\AA}$인 수소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다. The crystal structure of Dinitroethylenediaminepalladium(II), $Pd(C_2H_8N_2)(NO_2)_2$, has been determined by X-ray crystallography. Crystal data: a=7.425(3), b=8.480(4), c=11.885(2) ${\AA}$, Orthorhombic, $A2_1ma$ (Space Group No=36), Z=4, V=748.3(4) ${\AA}^3,\;D_c=2.295 gcm^{-3},\;{\mu}=2.457mm^{-1}$. The structure was solved by Patterson method and refined by full matrix least-square methods using unit weights. The final R and S values were $R_1=0.0306,\;R_w=0.0802,\;R_{all}=0.0320,\;and\;S=1.166)$ for the observed 377 reflections. Bond lengths and angles of palladium complex are similar to the previously reported data. The complex structure is one dimensional Reiset's salt type analogue showing zigzag chain of Pd-Pd length and angle of 3.762(2) ${\AA}$ and $161.41(5)^{\circ}$. The complex molecules are linked through inter-and intramolecular hydrogen bonds of 3.05(1) and 3.15(1) ${\AA}$ between oxygen and nitrogen.

      • N-Methylphenazinium-Tetracyanopalladate(II) Hydrate의 합성 및 결정구조 연구

        남궁해,이현미,NamGung, Hae,Lee, Hyun-Mi 한국결정학회 2006 韓國結晶學會誌 Vol.17 No.1

        Bis(N-Methylphenazinium)-Tetracyanopalladate(II) Hydrate $(C_{13}H_{11}N_2){_2}[Pd(CN)_4]{\cdot}H_2O$의 단위 착이온 및 결정의 구조들을 X-선 회절법으로 연구하였다. 이 결정은 사방정계이고 공간군은 $P2_1/b$(군번호=14)이다. 단위세포 a=9.783(4), b=10.788(4), c=13.666(4) ${\AA},\;{\beta}=104.59(5),\;V=1392.9{\AA}{^3},\;Z=2,\;Dc=1.476gcm^{-3},\;F(000)=632,\;{\mu}=7.05cm^{-1}$이다. 구조분석은 중금속법으로 풀었으며,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 하였고, 최종 신뢰도 값들은 1930 회절반점에 대하여 R=0.0257, Rw=0.0732, Rall=0.0283 및 S=1.07 이었다. 두 이온들은 근본적인 평면구조로써, 이들의 충진구조는 착음이온을 두개의 양이온들이 거의 평행하게 둘러싸고 있는 삼중체들을 형성하고 있다. 양이온과 음이온들의 이면각은 $10.16(4)^{\circ}$인 삼중체들이 b축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삼중체내 및 삼면체간의 면간 거리들은 3.419(3)와 $3.402(4){\AA}$이었다. Crystal structure of Bis(N-Methylphenazinium)-Tetracyanopalladate(II) hydrate has been determined by X-ray crystallography. Crystal data: $(C_{13}H_{11}N_2){_2}[Pd(cn)_4]{\cdot}H_2O$, Monocline, Space group $P2_1/b$(No=14), a=9.783(4), b=10.788(4), c=13.666(4) ${\AA},\;{\beta}=104.59(5),\;Z=2,\;V=1392.9{\AA}{^3},\;Dc=1.476gcm^{-3},\;F(000)=632,\;{\mu}=7.05cm^{-1}$. The structure was solved by Patterson method and refined by full matrix least-square methods using unit weights. The final R and S values were R=0.0257, Rw=0.0732, Rall=0.0283 and S=1.07 for 1930 observed reflections. Both cation and anion complexes are essentially planar and have dihedral angles of $10.16(4)^{\circ}$. The planar complex anions are sandwiched between slightly bent cations. The interplanar separations in one triad and between two triads are 3.419(3) and $3.402(4){\AA}$, respectively. The triads are stacked along b-axis.

      • K₂Cu(C₂O₄)₂·2H₂O의 결정구조 연구

        남궁해,고기영 국민대학교 2003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Vol.22 No.-

        Dipotassium bisoxalatocopper(Ⅱ) dihydrate, K₂[Cu(C₂O₄)₂]ㆍ2H₂O의 결정구조는 a=6.993(2), b=8.825(3), c=9.029(3)Å, α=108.25(2), β=99.24(3), γ= 96.74(3)˚인 삼사 결정계(Triclinic), 공간군 P1^(-), 공간군 번호 2이며, Z=2, V=513.9(3)ų D_(c)=2.287g㎝^(-3), μ=2.979㎜^(-1)이었다. 구조분석은 중금속법으로 풀었으며, 최소 자승법으로 정밀화하였고, 최종 신뢰도 값들은 1770개의 회절반점에 대하여 R₁=0.0240, R_(w)=0.0640, R_(all)=0.0278, S=1.115이었다. 최종 분석한 착이온 ([Cu(C₂O₄)₂]^(2-))들의 결합거리와 각들은 기존에 알려진 자료들에 상응하였으며, 특히 구리이온과 산소사이의 거리들은 1.940-1.953Å로써 오차범위 내에서 등가거리였다. 착이온들의 최소자승면들은 거의 평면이며, 이들의 이면각은 15.05(7)˚이었다. 두가지 금속 평면 착이온의 구리이온들의 하나는 두개의 물분자로, 다른 하나는 인접한 착이온들의 산소 원소들로 각각 2.469(2), 2.662(2)Å로 약하게 찌그러진 팔면체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두개의 착이온들은 [101]-축을 따라서 배열된 사슬구조를 이루고 있다. The crystal structure of dipotassium bisoxalatocopper(Ⅱ) dihydrate K₂[Cu(C₂O₄) ₂] 2H₂O has been determined by X-ray crystallography. Crystal data : a=6.993(2), b=8.825(3), c=9.029(3) Å, α=108.25(2), β=99.24(3), γ=96.74(3)° Triclinic, P1 ̄ (Space Group No=2), Z=2, V=513.9(3)ų, D_(c)=2.287gcm^(-3), μ=2.979mm^(-1). The structure was solved by Patterson method and refined by full matrix least-square methods using unit weights. The final R and S values were R₁=0.024, R_(w)=0.064, R_(all)=0.0278 and S=1.115 for the observed 1770 reflections. Bond lengths and angles of complex anions are similar to the previously reported data. Bond lengths between copper ions and oxygens of oxalato ligand are equivalent as the distances of 1.940-1.953Å. The least square planes of Cu(C₂O₄)₂^(2-) ions are essentially planar and have a dihedral angle 15.05(7)°, Two copper ions of two planar complex anions in a unit cell form distorted octahedrons coordinated weakly by two water and two oxygen atoms of the neighboring oxalato ligands, respectively, with bond lengths of 2.469(2) and 2.662(2)Å. The complex anions are arranged along the [101]-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