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하수처리 : 낮은 용존산소로 운영되는 하수처리장의 암모니아 산화 미생물 군집구조

        박희등,( Christopher A. Francis ),( Craig S. Criddle ),( Daniel R. Noguera ) 대한상하수도학회 2006 공동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06 No.-

        암모니아 산화 미생물은 독립영양 미생물로 암모니아를 아질산으로 산화하며, 아질산 산화 미생물과 더불어 질소제거 하수고도처리에 있어서 질산화 반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암모니아 산화 미생물은 여러 환경요인과 유입수의 특성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포기조의 용존산소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포기조의 용존산소 농도는 효과적인 질산화를 위해 2㎎/L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몇몇 처리장에서는 0.5 ㎎/L 이하의 낮은 용존산소 농도 조건에서도 활발한 질산화가 보고되고 있다. 그 동안 낮은 용존산소로 운영되는 처리장의 질산화를 설명하기 위해 여러 가설들이 제안되기는 했지만, 미생물학적 접근은 극히 제한적이다. 그래서, 본 연구그룹은 낮은 용존산소로 운영되는 반응기 및 실규모 처리장에서 분자 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암모니아 산화 미생물 군집을 조사하였으며, 여기에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요약하였다. 서로 다른 두 용존산소 조건에서 운영된 두 개의 연속반응기에서는 계동학적으로 서로 상이한 Nitrosomons europaea 미생물군이 집적되었다. 또한, 낮은 농도로 운영된 반응조는 높은 농도로 운영된 반응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동력학적으로 용존산소 친화력을 보유하였다. 실규모 처리장에서도 낮은 농도로 운영된 계열에서 암모니아 산화 미생물의 군집변화가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용존산소가 암모니아 산화 미생물 군집구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군집구조는 용존산소 친화력을 가늠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밝혔다. 한편, 낮은 용존산소로 운영된 실규모 처리장에서는 암모니아 고미생물 (Archaea)이 발견되어, 향후 이 분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며, 또한, 이러한 미생물을 이용한 새로운 공정개발도 기대하고 있다.

      • 하수처리 : 낮은 용존산소로 운영되는 하수처리장의 암모니아 산화 미생물 군집구조

        박희등,( Christopher A. Francis ),( Craig S. Criddle ),( Daniel R. Noguera ) 한국물환경학회 ( 구 한국수질보전학회 ) 2006 공동 추계학술발표회 Vol.2006 No.-

        암모니아 산화 미생물은 독립영양 미생물로 암모니아를 아질산으로 산화하며, 아질산 산화 미생물과 더불어 질소제거 하수고도처리에 있어서 질산화 반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암모니아 산화 미생물은 여러 환경요인과 유입수의 특성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포기조의 용존산소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포기조의 용존산소 농도는 효과적인 질산화를 위해 2㎎/L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몇몇 처리장에서는 0.5 ㎎/L 이하의 낮은 용존산소 농도 조건에서도 활발한 질산화가 보고되고 있다. 그 동안 낮은 용존산소로 운영되는 처리장의 질산화를 설명하기 위해 여러 가설들이 제안되기는 했지만, 미생물학적 접근은 극히 제한적이다. 그래서, 본 연구그룹은 낮은 용존산소로 운영되는 반응기 및 실규모 처리장에서 분자 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암모니아 산화 미생물 군집을 조사하였으며, 여기에 최근의 연구결과들을 요약하였다. 서로 다른 두 용존산소 조건에서 운영된 두 개의 연속반응기에서는 계동학적으로 서로 상이한 Nitrosomons europaea 미생물군이 집적되었다. 또한, 낮은 농도로 운영된 반응조는 높은 농도로 운영된 반응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동력학적으로 용존산소 친화력을 보유하였다. 실규모 처리장에서도 낮은 농도로 운영된 계열에서 암모니아 산화 미생물의 군집변화가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용존산소가 암모니아 산화 미생물 군집구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군집구조는 용존산소 친화력을 가늠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밝혔다. 한편, 낮은 용존산소로 운영된 실규모 처리장에서는 암모니아 고미생물 (Archaea)이 발견되어, 향후 이 분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며, 또한, 이러한 미생물을 이용한 새로운 공정개발도 기대하고 있다.

      • Promoter methylation of the Wnt/β‐catenin signaling antagonist <i>Dkk‐3</i> is associated with poor survival in gastric cancer

        Yu, Jun,Tao, Qian,Cheng, Yuen Y.,Lee, Kwan Y.,Ng, Simon S. M.,Cheung, Kin F.,Tian, Linwei,Rha, Sun Y.,Neumann, Ulf,,cken, Christoph,Ebert, Matthias P. A.,Chan, Francis K. L.,Sung, Joseph J. Y. Wiley Subscription Services, Inc., A Wiley Company 2009 Cancer Vol.115 No.1

        <P><B>Abstract</B></P><P><B>BACKGROUND:</B></P><P>Abnormal activation of the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is common and critical in the pathogenesis of digestive cancers. In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promoter methylation of the dickkopf homolog 3 gene <I>Dkk‐3</I> in these cancers and its prognostic significance in gastric cancer.</P><P><B>METHODS:</B></P><P><I>Dkk‐3</I> methylation was assessed in 173 patients with gastric cancers (including 104 patients who were followed for up to 4090 days) and in 128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Cell growth was evaluated by using a colony‐formation assay. For survival analyses, the authors used Kaplan‐Meier plots, the log‐rank test, and Cox proportional regression.</P><P><B>RESULTS:</B></P><P><I>Dkk‐3</I> was silenced or down‐regulated in 12 of 17 gastric cancer cell lines (70.6%) and in 3 of 9 colon cancer cell lines (33.3%). The loss of gene expression was associated with promoter methylation, which could be restored by demethylating agents. Ectopic expression of <I>Dkk‐3</I> suppressed colony formation. Moreover, methylation of <I>Dkk‐3</I> was detected in 117 of 173 primary gastric tumors (67.6%) and in 67 of 128 colorectal tumors (52.3%). The clinical significance and the prognostic value of <I>Dkk‐3</I> methylation also were examined in 104 gastric cancers and in 84 colorectal cancers.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I>Dkk‐3</I> methylation was associated significantly and independently with poor disease survival (relative risk, 2.534; 95% confidence interval, 1.54–4.17; <I>P</I> = .002) in gastric cancer, but not in colorectal cancer. Kaplan‐Meier survival curves revealed that patients who had <I>Dkk‐3</I> methylated gastric cancers had a significantly shorter survival (median, 0.76 years) compared with patients who did not have <I>Dkk‐3</I> methylation (median, 2.68 years; <I>P</I> < .0001; log‐rank test).</P><P><B>CONCLUSIONS:</B></P><P>Epigenetic silencing of the <I>Dkk‐3</I> gene by promoter methylation was a common event in gastric cancer and was associated with a poor outcome in such patients. Cancer 2009. © 2008 American Cancer Society.</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