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rom the Earthly to the Celestial: Material Culture and Funerary Practice at Japan's Sixth-Century Fujinoki Kofun

        Gellert, Carl Archer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ProQuest Disser 2018 해외박사(DDOD)

        RANK : 2859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When Fujinoki Kofun was first excavated in 1985, archaeologists discovered that the tomb’s burial chamber and sarcophagus preserved one of the most lavish collections of grave-goods to have been recovered from the Late Kofun period (500-600 CE). Among the excavated artifacts, several works, including the extensive assemblage of ornamental horse-riding equipment, gilt-bronze crown and shoes, and ceremonial swords decorated with bands of gold, silver, and glass inlay, reflect the material extravagance of tumuli constructed for the burial of Japan’s sixth-century ruling elite. Bridging the fields of archaeology and visual culture studies, this dissertation considers the formal design and positional relationships of the Fujinoki artifacts as a means of analyzing mortuary rituals conducted at the site. This study represents a departure from the dominant scholarly discourse on kofun, which approach tumuli primarily as monuments symbolizing regional authority while overlooking the soteriological beliefs that precipitated the creation of tombs.The modern legal and administrative systems underlying archaeological excavation within Japan have led to an over-emphasis within the field on the collection of empirical site data. These socio-political circumstances have resulted in research on Fujinoki presenting only a limited range of interpretive discourse regarding the site’s greater social and funerary significance. This dissertation, by contrast, adopts a material/visual approach to the examination of excavated materials, presenting an analysis of the tomb’s architecture and grave-good assemblage that specifically engages Fujinoki’s function as a mortuary space. Comparing the site with several nearby tumuli, my investigation situates Fujinoki within a wider regional system of funerary practice spanning the western Nara Basin, and it identifies the specific historical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tomb’s production for the concurrent burial of two deceased elite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design of the site’s gilt-bronze saddle, and analysis of the work’s symbolic importance in relation to the iconography of mainland mortuary sites and Japan’s eighth-century Chronicles of Japan, I posit that the artifact references a celestial horse whose purpose was to convey the soul of the deceased into the afterlife.In addition to providing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Fujinoki, this dissertation demonstrates the need for research to further situate archaeological sites within new interpretive narratives. Moving beyond studies that relegate Japan to a passive role in a core-periphery relationship with mainland Asia and reductively classify protohistoric objects as either “native” Japanese or “foreign” imports, I instead contend that the formal design of the Fujinoki grave-goods embody an intersection of multiple cultural traditions. These artifacts reflect the fluid exchange of people and ideas across the Japan Sea and display the integration of both Japanese and mainland derived materials into a funerary system specific to the sixth-century Nara Basin.

      • 합작투자회사의 제휴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북미에 진출한 일본 자동차부품공급업체를 대상으로

        박영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843

        본 연구에서는 북미에 진출한 일본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의 합작투자회사를 대상으로 합작투자회사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거래비용이론과 지식 기반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결정요인 변수로는 해외직접투자의 철수 및 생존에 관한 문헌적 배경과 이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토대로 실증 분석을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단독투자와 합작투자를 함께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에 서 단독투자가 합작투자에 비해 생존을 더 오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기업이 현지의 자회사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와 경영이 가능하고, 또한 기술의 이전과 지식이전이 쉽기 때문으로 풀이되었다. 합작투자의 경우, 파트너와의 문화적 차이, 지분율의 불균형, 기술의 차이 등으로 파트너쉽 결성이 쉽지 않으며 갈등의 폭이 증가되기 때문으로 풀이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이러한 단독투자 대 합작투자를 비교 분석한 것과는 달리, 합작투자회사 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합작투자 중에서도 생명이 긴 기업과 생명이 짧은 기업의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이 무엇인가를 조명하였다. 연구 결과, 현지에 뿌리내린 자회사가 1)일본 모국에서 거래하고 있던 고객을 현지에서도 계속 거래를 할 때, 2)합작투자회사 파트너간 다른 생산품을 생산하기 보다는 같은 생산품을 생산할 때, 3)현지에서 고객 수가 많을수록, 4)모기업의 R & D가 높을수록, 5)그리고 파트너간 불균등한 지분율을 가지기 보다는 균등한 지분율을 갖고 있을 때 더 안정되게 생존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변수로 정했던 파트너간의 국적의 동일성, 모기업이 일본 국내에서 고객을 많이 확보할수록, 합작투자회사가 설립된지 오래될수록, 그리고 자회사의 기업의 규모가 합작투자회사의 생존과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의 경향을 살펴보면, 외환위기 이후 북미와 중국에 대한 투자가 급격히 늘어가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해외직접투자의 한 방법으로써 합작투자를 제휴하는 과정에 있어서 성과와 안정을 지속시키는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uses the transaction cost theory and knowledge-based perspective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Japanese auto suppliers's survival in North America.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bout the survival of FDI, especially focusing on the Wholly Owned Subsidiaries(WOS) and the Joint Ventures(JV).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focusing on the only JV database. So, I examine the determinants of JV survival with a database of Japanese auto suppliers already operating in North America This study's results show that a JV partnership is more stable when its partners produce the same components, when the subsidiary keeps trading with at least one buyer which had kept in Japan, when the JV has many buyers in U.S., when the JV partner's ownership structures are equal with each other, or when the parent company has high R&D rat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ability and survival of JV depends on the similarity with each partner, the network established in Japan, and the R&D rates of parent company. And this study support the transaction cost theory and knowledge-based perspectiv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esent the solution to make joint venture to maintain stability in process cooperated by method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f auto companies of Korea.

      • 趙泰億의 使行文學 연구 : 對日觀을 중심으로

        조영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85

        본 논문에서는 1711년 신묘사행의 정사 趙泰億(1675∼1728)의 사행문학을 통해 그의 대일관을 연구하였다. 1711년 신묘사행은 임란 이후 시작된 조선후기 통신사행에 있어서 시기적으로 중간에 놓인 사행이며, 회차로는 여덟 번째 사행이다. 조태억은 정사로 일본을 사행하며 그 체험을 개인문집인 『謙齋集』6, 7, 8권에「東?錄」으로 남겼다. 그러나 『겸재집』이 미간행 문집인데다가 「동사록」이 『海行摠載』에 실리지 못해 접근성이 떨어져 사행문학 연구에 있어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또한 이 시기의 사행문학이 여항 문인들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었기 때문에 정사로서 일본을 사행한 조태억 연구는 사행문학 연구의 주류를 차지하지 못했다. 현재까지 조태억 개인을 조망한 연구는 없었으며, 대체로 막부의 집정관으로 통신사 접대를 담당한 新井白石와 관련된 연구에서 조태억이 거론되었다. 신묘사행은 이전 회차인 1682년 임술사행부터 조일 양국 간에 늘어나기 시작한 문화적 교류의 분위기를 타고 많은 교류의 흔적을 남긴 사행이다. 조태억도 이러한 문화 교류의 흐름에 합류하고 있었다. 제술관 1인, 서기 3인이라는 사문사 체제가 정립된 이 시기, 조태억은 정사였기 때문에 일본인과의 시문 교류에 의무가 없었지만 그의 「동사록」에는 일본인들과 교류한 시들이 다수 포함되어있다. 그리고 이 시들 중 일부는 일본에서 간행된 필담창화집 23종에 수록되어 있다. 이 밖에서 일본인에게 보낸 서문과 贊, 銘이 『겸재집』내에 수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료들에는 일본인과의 교류뿐 아니라 일본에 대한 조태억의 선험적 인식과 일본 각 지역에서의 견문 및 술회가 드러나 있어 조태억의 대일관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로 활용되었다. 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조태억이 일본을 체험하기 이전에 지니고 있던 일본에 대한 선험적 인식과 주변인들의 ?章을 통해 사행에 임하는 태도를 세 가지로 나누어 살폈다. 먼저, 조태억은 일본 사행을 새로운 유람으로 생각하고 기대했으며 주변인들도 일본의 자연 경관을 즐기고 돌아올 것을 당부했다. 두 번째로 임진왜란이 끝난 후 100년이 지난 시기였지만 일본이 임진왜란의 주범국이라는 것에 적개심을 지니고 사행에 임했다. 일본이 전쟁의 원흉이라는 사실은 주변인들도 잊지 못하는 터였지만, 일본에 대해 복수의 의지를 다지는 인물이 있는가 하면, 과거보다 현재의 교린 상태를 중요시하여 和로써 대할 것을 당부하는 인물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태억은 존화주의에 입각하여 일본을 이적시하며 사행에 임했다. 조태억의 주변인들도 마찬가지로 일본에 대해 이적으로 파악하는 관점을 지녔다. 기본적으로 조선을 오랑캐인 일본보다 우위에 두는 입장에서, 회유와 유화책으로 일본인을 대할 것을 당부하거나 인간의 본성과 감정은 같은 것이라는 이해 아래 대등하게 대해야 함을 강조했다. 실제 일본을 체험하며 선험적 인식과 태도는 유지되거나 변형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 체험을 통한 조태억의 대일관이 형성되었다. 본고에서는 조태억의 대일관을 일본의 자연, 일본의 문물, 일본인에 대한 것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조태억은 일본의 자연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기행시와 창화시를 막론하고 일본의 승경을 찬미하였으며, 자연을 우열논쟁의 대상으로 파악하지 않고 일본의 것이더라도 좋으면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였다. 두 번째로 일본 문물의 장점을 포착하는데 주력했다. 임진왜란의 주범으로 여겨지던 豊臣 가문을 무너트린 德川 가문의 위업을 높이는 것으로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해소한 후 일본의 번화와 좋은 점을 시의 소재로 삼았다. 일본의 우수한 풍속을 기록했으며 중국의 제도와 비교해 우월성을 인정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일본인에게서 교화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新井白石을 만나 소통하면서 武國으로 인식했던 일본이 文을 향해 변화해가는 분위기를 느꼈고 중화로의 교화를 유도했다. 시문에 익숙하지 않은 일본인에게도 시문을 보내어 文을 통해 소통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조태억이 일본을 체험하기 이전에 지니고 있던 일본에 대한 선험적 인식은 당대인들이 보편적으로 지니고 있던 것이면서도 조태억이 속한 소론계의 일본 인식과 맥을 나란히 하는 것으로, 적개심과 이적관을 유지하면서도 일본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강조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조태억이 실제 체험한 일본은 훌륭한 자연 경관을 지녔고 앞선 제도 등 좋은 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이었으며 文에도 관심을 보이는 나라였다. 이에 기본적으로 우호적인 태도를 지녔던 조태억은 일본에 대한 이해와 인정의 범위를 넓히고 그들에게 한 발짝 나아가 포용하려는 대일관을 보였다. 비록 중화주의나 화이관에서 탈피하거나 실학적 태도로 일본을 배우는 것에까지 미치지는 못했지만 일본에 대한 열린 자세는 선구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기의 연구들은 대체로 위항 문사들에게 초점을 맞추었지만 정사였던 조태억도 문화교류의 일면을 차지했으며 대일관에 있어서도 상당히 포용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조태억 개인에게 있어서는 사대부로서 경직되지 않은 대일관을 지닌 인물이었다는 점에 그의 사행문학 연구에 의의가 있다. 한편으로 사행문학사의 흐름 속에서 홍세태·신유한 및 여항의 문인들과 함께 사행문학이 심화를 이루는데 초석을 다졌다는 것에 조태억 사행문학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