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메갈리아 이후 여성에 동일시한 여성들의 생애 이행

        이민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25

        This thesis analyzes how women have experienced the transformation of the increase in discourse and practice of feminism that widely spread in South Korea after mid-2015. Prior to that moment, the strong centrality of masculinity had sustained misogyny and male domination in speech. August 2015 saw the invention of a feminist language. While the language's rules imitate the pre-existing language structure of misogyny, it reverses its gaze. Emerging from the online feminist community Megalia, the term “mirroring” describes how this language acts in reverse through reflecting misogyny away from women and back onto males. While previously subjected to the widespread masculine gaze, women have joined in community by sharing their lived experiences, stimulating a feminist-political project that aims to terminate patriarchy. This thesis attends to women's transformative experiences in the spread of feminist discourses and their embracing of women-identifying-women as epistemology. Ranging from the abolition movement that started in 2015 against the criminality of abortion to the demonstrations of spy-cam denunciations in 2018, this feminist project developed into two movements: first, the Escape the Corset Movement that stops normative femininity, and second, the 4B Movement that rejects the series of actions required by the production of a normative famil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rocess of the feminist movement in which women’s primary referential systems shift from men to women. This thesis analyzes how women-identifying-women have appeared within and against the heterosexual structure. The research deploys the perspective of lesbian feminism to demonstrate how women’s affective process of transition escapes heteronormativity's sustenance of patriarchy. The research aims at centralizing the lesbian perspective in feminist scholarship. Outside the premise of heteronormativity, the lesbian perspective enables the planning of a new category of women and the various experiences derived from it. I participated and observed in feminist events from 2016 to 2020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14 participants in their 20s and 30s. The participants were women-identifying-women that place the feminist collective as their primary referential system. Yet, their sexualities and political orientations were far from identical. The discoverie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feminist affect of “misandry,” created by Megalia’s mimicry of misogyny, has unveiled the hidden repulsion and communicative expressions of women that were previously hidden by heteronormative practices. Women, who once sought to belong in the heterosexual structure by hiding their intuition, went through the process of moving their referential system towards women. In the meantime, the advent of the Escape the Corset Movement’s aim of stopping heteronormativity along with the workings of the 4B Movement have accelerated the transformation of relativizing the heterosexual structure and severing oneself from the heterosexual relationship. These two movements were most widely spread in 2018. This particular year had the already-existing backdrop of increasing demonstrations against spy-cams. It also had an increasing consciousness of how spy-cams reveal the exploitation used within the heterosexual structure for male benefit at the cost of women’s bodies. Therefore, instead of making life plans based on the heterosexual relationship, women then experienced expansive relationships among women and reorganized the self-narrative. Through this, they severed their life and livelihood from the heterosexual structure. In this process, women denaturalized heterosexuality by consciously accentuating their past decisions of trying to be inserted into the heterosexual structure. Additionally, they actively worked to reinterpret intimacy among women and the experiences of sexualities thus experientially understood the constitutive aspects of the lesbian identity. As a feminist political project, this thesis contributes to the expansive understanding of how the “otherized” women deploy language, centralize the subject position, and derive meaning from the epistemological praxis of the women-identifying-women. Lesbian feminism actively seeks escape from heteronormativity. Only by interpreting women’s experiences from the lesbian feminist perspective can the escape of transformed women, who cannot be defined by and through their relationships with men, reject being temporary prospects. 본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2015년 중반 이후 확산된 페미니즘 담론과 실천을 경유한 여성들의 경험을 분석한다. 이전까지 온라인 공간은 강력한 남성중심성으로 인해 여성혐오가 만연하였고, 남성이 발화를 독식하는 장이었다. 그런데 2015년 8월, 여성들은 우연한 사건을 계기로 여성혐오를 생산하는 기존의 언어구조를 모방하되 주체와 객체의 성별을 뒤바꾸는 언어규칙을 공유하였다. 온라인 페미니스트 커뮤니티인 메갈리아를 중심으로 발명된 언어는 여성혐오를 거울에 비춘 듯 뒤집는다는 의미에서 ‘미러링’이라고 불린다. 침묵하였던 여성들은 미러링을 계기로 여성이 주체로서 보편을 점하는 언어를 경유하여, 남성의 시선에 동일시하지 않는 말하기를 시작하면서 드러낼 수 없었던 물질적 몸 경험을 집합적으로 공유했다. 본 논문은 페미니즘 담론을 확산하며 변화한 여성들의 경험을 탐구하면서, 이들이 여성동일시를 새로운 인식론적 선택지로 받아들였음에 주목했다. 여성동일시를 경유한 여성들은 페미니즘 담론을 확산하고, 가부장제 제도의 종식을 목적으로 하는 정치적 기획을 추동하였다. 해당 기획은 2018년 불법촬영을 규탄하는 ‘불편한 용기’와 낙태죄 폐지 시위의 동시다발적 조직과, 같은 해 규범적 여성성을 거부하는 탈코르셋 운동과 이성애 제도에 기반한 소위 ‘정상가족’을 해체하는 4B운동으로 구체화되었다. 본 논문은 여성을 주된 참조체계로 삼은 여성들이 이성애 구조를 문제시하고 이로부터 이탈하는 과정을 레즈비언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살폈다. 여성들은 이성애 구조를 문제시하는 담론을 확산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을 추동하는 과정에서, 이성애를 비자연화하고 자신의 생애서사를 비이성애적으로 재구성했다. 이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2016년부터 2020년 사이에 열린 페미니즘 행사를 참여관찰의 장으로 삼아, 행사에서 만난 2-30대 연구참여자 1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여성동일시를 경험하고, 페미니즘 행사에 참여하는 등 페미니스트 집단을 주요 참조체계로 삼아 일상을 적극적으로 재조정했다는 점에서 공통되나 섹슈얼리티와 정치적 지향은 단일하지 않았다. 연구를 통해 밝힌 바는 다음과 같다. 우선 메갈리아가 등장하며 여성혐오를 모방해 만든 ‘남성혐오’의 정동은 이성애 각본을 수행하는 동안 숨겨야 했던 여성들의 저항의사와 거부감을 표면화했다. 직감을 감추는 방식으로 이성애 구조에 편입하고자 한 여성들은 여성동일시를 거치며 이전까지 언어화할 수 없던 폭력과 착취의 경험뿐 아니라, 남성과의 관계에서 경험한 불만족하고 불유쾌한 감정을 드러내었다. 이성애 각본으로부터의 이탈을 목표로 하는 탈코르셋과 4B운동은 구조가 발휘하는 힘에 대항해 이성애 관계를 단절하는 변화와 그에 따른 일상의 재구성을 가능하게 했다. 두 운동이 2018년 전폭적으로 확산된 데에는 불법촬영이 당해 주요한 의제로 부상하면서 관련 시위가 잇따른 배경이 존재한다. 불법촬영을 문제시하는 과정에서, 여성들은 여성의 신체가 남성의 이익을 위하여 전유되는 이성애적 경제를 노골화하고 이에 대한 해결을 촉구했다. 여성들은 연속체적 실천에 동참하면서 이성애중심적 생애기획에서 이행하여, 여성 간의 확장적 관계를 경험하는 등 남성과의 관계를 상대화한 경로를 다양하게 구성했다. 비이성애적으로 생애를 이행하는 여성들의 변화를 레즈비언 페미니즘 관점에서 분석하는 본 연구는 본질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대신, 주변화되고 사소화되었던 여성 간의 관계를 삶을 지속할 수 있는 유의미한 경로로 부각하고자 한다. 레즈비언을 비가시화하고 금기시하는 한국사회의 맥락에서 여성들은 자신의 레즈비언 경험을 독해할 수 없거나, 레즈비언으로서의 정체성을 기피하며 이성애자로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페미니즘 담론과 실천을 경유하며, 과거 남성과의 관계에서 정상성을 수행하기 위해 내린 결정을 인위적으로 부각하고 해당 관계를 적극적으로 무화했다. 이성애가 도전받는 변화는 이성애 규범에 편입하기 이전 여성 간에 존재했으나 의미를 얻지 못했던 친밀성 및 섹슈얼리티 관계를 드러내고, 여성 간의 확장적 관계를 새롭게 경험한 양상과 맞물린다. 이들의 변화는 자연화되었다고 간주된 이성애를 비자연화하고, 과거 고정되고 본질적이라 여겨진 레즈비언 정체성의 구성성에 대한 경험적 이해를 포함한다. 레즈비어니즘은 이성애 관계에 대한 상상이 지배적인 가부장제 사회에서, 가부장제 ‘정상가족’을 중심으로 하는 생애기획을 이탈해 삶을 지속하고자 하는 페미니스트적 열망을 보다 용이하게 실현하는 통로로 기능했다. 본 논문은 주변화된 객체로 위치했던 여성들이 주체를 점하는 언어를 획득함으로써 여성동일시의 인식론적이고 실천적 위치를 의미화하는 데 기여한다. 이성애 구조로부터의 이탈을 적극 도모하는 레즈비언 페미니즘 관점에서 이들의 경험을 해석할 때, 남성과의 관계로 정의되지 않는 존재로 변모한 이들을 보다 긍정적으로 전망할 수 있다.

      • 익명성과 인터넷 커뮤니티 객체의 생애주기 : ‘메갈리아’의 사례

        송준모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401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tiation of identities in the online commun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anonymity and the effect of the differentiation on the life of the online community. Some scholars argues that anonymity makes an individual de-normative by making the individual atomize, dismantle his/her social identity, and make it hard to ask for ethical responsibility.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Identity model of Deindividuation Effects(SIDE) argues that the depersonalization caused by anonymity strengthens the sense of belonging to the group and makes it conform to the norm of the group by forming common identity. Here, identity can be differentiated within the same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anonymity, and an alternative model is proposed in which the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iated identities affects group performance and lifecycle. On the one hand, Megalia is regarded as a pioneer of online feminism, but on the other hand it is seen as a hate site. The alternativ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orming different identities within Megalia and why the opposite interpretations are derived. I analyzed the entire 162,893 posts and 709,768 replies throughout the lifecourse of Megalia from 2015 to 2016, in order to figure out how discourses were differentiated depending on whether the writer's ID was disclosed (pseudonym) or not (anonym), and to reconstruct the evolvement of collisions between the discourse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i.e., topic modeling and Word2Vec)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topics discussed in Megalia with a high proportion were mostly related to common identity, and the proportion of topics that caused conflicts was not high. Second, according to the level of anonymit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eferred topics. Most of the topics converged into the domain of common identity over time, but there were exclusively preferred core topics. Third, the exclusive identities formed according to the level of anonymity shows a distinct difference in the controversial situation and promotes differentia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Fourth, strengthening the common identity in the community diminishes the boundaries between exclusive identities and leads to participation in collective action. Finally, the level of anonymity affects the frequency and use context of words in the common discourse and accelerates the differentiation of identities, but the final effect on the lifecycle of the community depends on the way in which the debate within the topic develops. The analysis of this study shows that different identities can be formed within the same community due to structural factors such as anonymity level.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identities changes the domain of common identity and also affects the life cycle of the community. I expect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alytical frameworks that clarify how members in an online community form various identities in response to structural conditions such as levels of anonymity and to foster holistics understanding of the life-course of the community. 본 연구는 익명성 수준에 따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나타나는 정체성의 분화와, 이러한 분화가 온라인 커뮤니티의 생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온라인 공간에서 익명성의 효과에 대해서는 두 가지 상반된 견해가 존재한다. 우선 부정론의 경우, 익명성은 사회적 정체성을 해체하고 윤리적 책임을 묻기 어렵게 만들어 원자화된 개인들이 탈규범적 행동을 하게 만든다고 주장한다. 이에 비해 탈개인화에 따른 사회적정체성 이론(Social Identity model of Deindividuation Effects)은 익명성이 야기하는 탈개인화가 오히려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강화하고 집단정체성을 형성하여 집단의 규범에 순응하도록 만든다고 주장한다. 사회적정체성 이론은 실제 온라인 공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집합행동의 존재를 설명해주고 있으나, 집단 내부에서도 정체성이 분화할 가능성과 이러한 정체성 분화가 집단의 생애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는 충분히 분석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익명성 수준에 따라 동일한 집단 내부에서도 정체성이 분화할 수 있으며, 분화한 정체성 사이의 상호작용이 집단의 성과와 생애주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대안적 모형을 제시한다. 이러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대상으로는 전투적 여성주의를 표방한 온라인 커뮤니티 ‘메갈리아’를 설정하였다. 메갈리아는 한편에서는 신세대 여성들에게 가부장적 현실에 대한 각성을 이끌어내고 집합행동에 나서게 한 온라인 여성주의의 효시로 파악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익명 커뮤니티에서 나타나는 탈규범적 행위를 젠더 갈등이라는 형태에 맞추어 반복하는 혐오 사이트로 파악한다. 대립하는 두 가지 해석은 각각 온라인 공간에서 익명성이 수행하는 역할에 대한 사회적정체성 이론과 부정론에 상응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안적 모형을 통해 상이한 정체성이 공존할 수 있는 이유 및 각각의 정체성이 상이한 해석으로 이어진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글쓴이 ID 공개 여부로 구분되는 익명성 수준(완전익명, 부분익명)에 따라 게시물에 나타난 담론 내용의 차이를 파악하고 내부갈등의 전개 양상을 재구성하기 위해 2015년에서 2016년에 이르는 메갈리아의 전체 생애에 걸친 게시물 162,893건 및 게시물에 작성된 댓글 709,768건을 전수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자연어처리 기법인 구조적 토픽 모형(Structural Topic Model)과 워드투벡터(Word2Vec)를 활용하였다. 구조적 토픽 모형을 활용하여 익명성 수준에 따라 게시물에서 나타나는 토픽 비중 차이를 분석한 후, 워드투벡터를 활용하여 동일 토픽 내에서 익명성 수준에 따른 맥락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메갈리아의 생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논쟁적 토픽들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구조적 토픽 모형을 통해 댓글에서 나타나는 반응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갈리아에서 높은 비중으로 활발하게 논의된 토픽들은 대부분 메갈리아의 공동 정체성과 관련된 토픽들이었이며, 내부적으로 격렬한 갈등이 벌어진 논쟁적 토픽의 비중은 높지 않았다. 둘째, 익명성 수준에 따라 선호하는 토픽의 경향성에 차이가 있었으며, 시간에 따라 상당수의 토픽들이 공통담론의 영역으로 수렴하였으나 배타적으로 선호하는 핵심 토픽들이 존재하였다. 메갈리아에서는 익명성 수준에 따라 명확하게 선호하는 주제가 다르게 나타나며 이는 배타적 정체성의 형성을 시사한다. 셋째, 익명성 수준에 따라 형성된 배타적 정체성은 논쟁 상황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커뮤니티의 구성원 사이의 분화를 촉진한다. 논쟁적 토픽에서는 뚜렷한 정체성 분화가 관측되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논쟁에 대한 반응 역시 분산되는 경향을 보인다. 넷째, 커뮤니티의 공동 정체성 강화는 익명성 수준에 따른 배타적 정체성을 완화하며 집합행동에의 참여를 이끌어낸다. 메갈리아에서 내부 논쟁이 성공적으로 봉합된 후, 금전적 후원과 같이 비용이 필요한 집합행동 참여 비중이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익명성 수준은 공통담론 내 단어의 사용 빈도와 활용 맥락에 영향을 미치고 정체성 분화를 가속하지만, 커뮤니티의 생애주기에 미치는 최종 효과는 토픽 내부의 논쟁 전개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온라인 공간에서의 익명성의 역할에 대한 기존 입장들과, 메갈리아의 정체성을 둘러싼 기존 해석들은 모두 정체성을 사전에 주어진 고정적 실체로 파악하였기 때문에 합의에 도달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을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사회적 조건 속에서 변화하고 의식적 연출이 개입되는 수행적(performative) 개념으로 파악하여 정체성의 분화가 온라인 커뮤니티의 성과와 생애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분석을 통해 익명성 수준과 같은 구조적 요인에 의해 동일한 커뮤니티 내부에서도 상이한 정체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이한 정체성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커뮤니티의 공동 정체성의 영역이 바뀌며 나아가 커뮤니티의 생애까지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용자들이 익명성 수준과 같은 구조적 여건을 활용하여 다양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상호작용하는 방식과, 커뮤니티의 생애과정 전개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분석틀의 발전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 인터넷 공간 내 익명성 분화가 집단 인상 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터넷 커뮤니티, '메갈리아' 사례

        홍성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372

        주목받던 여성주의 커뮤니티, ‘메갈리아’가 신설 백 여일 만에 내부 분쟁으로 사실상 와해되었다. 담론장에 확산되던 동성애 혐오적 담론을 관리자가 금지하고, 혐오론자들의 탈퇴를 촉구한 것이 실제 집단 탈퇴로 이어졌기 때문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자기파괴적 집단 행동의 원인을 행위자 차원에서 묻기보다는 이 커뮤니티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완전 익명성 구조에서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집단의 인상 관리를 위한 노력과 실패를 다루는 Goffman의 ‘연극학적 사회학 이론’의 방어적 기법을 차용하여 ID를 드러내어 생산된 텍스트와 완전 익명 하에 생산된 텍스트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Goffman의 방어적 기법은 내용적으로 배역의 충성, 비밀의 충성, 훈련, 용의주도로 구분되는데 이때 배역에 대한 충성은 또다시 표현적 측면과 실천적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혐오 어휘의 빈도로 측정한 비밀에 대한 충성과 비난 어휘의 빈도로 측정한 훈련 모두에서 ID를 드러내어 생산한 포스트에 비해 완전한 익명으로 생산된 포스트가 인상 관리의 실패를 보였다. 배역의 충성 중 표현적 측면은 메갈리아 내부 은어 사용 빈도로 측정하였는데, 완전 익명 텍스트가 ID를 드러낸 텍스트보다 더 높은 빈도로 은어를 사용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은어들의 종합적 사용 패턴으로 측정한 실천적 측면, 즉 의미의 분석에서는 ID를 드러낸 포스트가 메갈리아의 준거적 담론에 의미적으로 보다 유사했다. 이는 완전 익명의 포스트가 외적으로는 메갈리아의 배역에 적합한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그러한 은어들을 동원해 생산한 실제 의미에서는 ID를 드러내어 생산된 포스트에 비해 인상 관리에 실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쉬운 것은 이러한 완전 익명으로 생산된 포스트가 대다수라는 점으로, 만일 ID를 드러내어 생산된 포스트가 다수였다면 메갈리아의 대 내외적 인상은 지금보다 긍정적으로 관리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분쟁 역시 적절한 수준에서 매듭 지어짐으로써 커뮤티니의 쇠락으로 파급되지 않았을 가능성 역시 있다. A famous online feminism community, ‘Megalia’, collapsed by internal disputes over homophobic discourses. This study looks at the reason of the disputes between its member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platform offering anonymity. Adapting Erving Goffman’s dramaturgy theory, this study tries to figure out the role of anonymity among community users. In consequence, the study shows that posts from anonymous failed in every point of impression management especially in terms of defensive practices – dramaturgical loyalty, dramaturgical discipline and dramaturgical circumspection: Posts from anonymous were more likely to use internal slangs, but failed to contain the meaning based upon ‘Megalian identity’. Therefore, the discord and the collapse of Megalia came from the failure of the structure which allowed users to hide themselves behind anonym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