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原州地域 高麗·朝鮮時代 평기와 硏究

        金志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원주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고려ㆍ조선시대 건물지 중심의 조사와 연구의 폭이 넓어지면서 무엇보다도 주목을 받고 있는 부분은 ‘기와’에 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기와가 주목받는 이유는 한국고대사에 대한 기록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지하에 매장되어 있거나 지표에서 수습되는 기와가 유적의 시기와 성격 등을 해명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평기와는 막새류 기와와는 그 사용처나 제작방법에 있어 완전히 다른 성격을 갖고 있다. 즉, 평기와라고 부르는 것은 실용적이면서도, 좀 더 구체적인 암ㆍ수키와에 한정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고려ㆍ조선시대 평기와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연구는 ’80년대 이후에 들어와서야 연구가들에 의하여 조금씩 다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그간에 문양중심의 객관적 서술에서, ’80년대 중반부터는 서오선, 장경호, 최맹식 등의 연구자들에 의해 보다 체계적인 구분론이 제시되고 있으며, ’90년대부터는 본격적으로 이들 선행연구를 토대로 제작특징을 연구방법으로 삼아 구체적인 편년관에 접근하는 연구경향이 대두한다. 이후에 발표된 논문은 대상지역을 좀더 좁혀 출토지를 중심으로 하고, 기와분석에 있어서는 보다 세부적인 속성을 이용하여 시간적 특징 외에도 공간적 특징을 함께 도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자들이 적용했던 분석단위에 대한 검토결과를 토대로, 원주지역에서 출토된 고려~조선시대 평기와 유물에 대하여 ‘문양을 중심으로 하는 양식적 속성’과 ‘제작과정에서 비롯된 다양한 제작기술적 속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문양 분류결과, 원주지역에서는 이미 13세기 후반에 이르면 순수 사격자문 위주의 기와는 점차 사용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반면, 17세기에 접어들면서 기하학적인 집선문, 수파문이 나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영원산성에서 수습된 ‘초문(草紋)’, 각 건물지 출토 ‘화문(花紋)’, ‘나뭇잎 문양’ 등은 오징어ㆍ물고기 문양 등이 발견된 영동지방과 차별화되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와 유사한 문양이 출토된 충북지방 및 경기도의 중부내륙문화권과는 문화적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원주지역 출토 고려ㆍ조선시대 평기와의 제작기법은 제1시기(9~11세기 초)ㆍ제2시기(11~13세기 초)ㆍ제3시기(13세기 후반)ㆍ제4시기(15~17세기)ㆍ제5시기(18~19세기)의 변천과정을 통해 총 5시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원주지역 고려시대 평기와는 전반적으로 제작기술의 발전이 빠르게 진행된 반면, 점차 후대인 조선시대로 갈수록 제작방법이 간소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상 원주지역 고려ㆍ조선시대 평기와를 관찰ㆍ분석한 결과, 고려ㆍ조선시대 평기와가 지니는 보편적인 기능성과 함께 영동과 영서로 나뉘어지는 자연지리적 위치에 따른 특수성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같은 지역 구분론에 앞서 남한강을 중심으로 발달한 충청북도 및 경기도 일대의 중부내륙문화권과 원주지역 평기와의 상호유기적 관계를 밝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cently, many studies and researches have been made on building sites of Koryo and Chosun. It is the study on the roof tiles which is focused on. Since the roof tiles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surface of the earth are the only decisive clues when the time and the character of the relics are estimated. Plain roof tiles are very different from Maksae kind on their usage and the way they were manufactured. That is, what is called plain roof tiles were more practical and often used limitedly on the even roof tiles (Amkiwa) and the odd roof tiles (Sookiwa). A serious study on the Koryo and the Chosun's plain roof tiles has started in the 80s by some scholars. In mid 80's, more systematic categorization has been suggested by Seo Ho-Sun, Jang Kyung-Ho, Choi Mang Sik, rather than just objective depiction about patterns or designs. In mid 90s, with this suggestion, more serious approach has been made on classification of the tiles by time of their being manufactured.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the thesis after these studies are ; i) focused more on the narrowed excavation site ii)focused more on the areal specific as well as temporal specific when the roofing tiles are to be examin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es which has been carried out by preceded researchers, this thesis attempted to analyse the Koryo and the Chosun Dynasties' plain roof tiles which were excavated from Wonju area and the thesis is more focused on methodical temperament by analysing their patterns and the specific of the way they were manufactured. Also in Wonju, it is thought that square pattern roof tiles had gradually lost its popularity in late 13th century, on the contrary, collected geometric lines pattern, wave pattern were beginning to appear in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On top of that, the grass pattern tiles were collected in Youngwon fortress and floral pattern, leaf pattern which bear the shape of squid and fish appear to be different from those of Youngdong area. They gave an important clue to the cultural connection between Chungbuk area and Gyunggi area (Central inland area) where roof tiles with the similar pattern have been excavat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Plain Roof Tiles from the Koryo and the Chosun Dynasties are divide in to five stages: The First Stage from 9C~early 10C, The Second Stage from 11C~13C, The Third Stage up until late 13C, The Fourth Stage from 15C~17C, The Fifth Stage from 18C~19C. The manufacturing skill of plain roof tiles from the Koryo era was developed dramatically, whereas that of plain roof tiles from the Chosun era seemed to be simplified. After exhaustive research and study on the plain roof tiles in the Koryo and the Chosun era, coupled with their general function the difference caused by the geometric environment could be found on plain roof tiles which were divided into Youngdong and Youngsyo area. But before doing this kind of regional classification, a study on verification of interconnection between Wonju and central inland area and Chungbuk area should be preceeded.

      • 江原地方 高麗時代 평기와에 관한 硏究

        최영희 檀國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평기와는 지붕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資材로, 木造建物址 내에서 출토되는 다른 유물에 비하여 수적인 면에 있어 압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출토상태에 있어서도 비교적 변질이 적은 상태로 남게 되어, 유적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그 내·외면에는 제작과정에서 비롯된 흔적들이 잘 남아있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와의 기능적 변화를 잘 보여준다. 그러나 高麗時代에 이르면 평기와의 제작방식이 定型化되면서, 이전 시기에 비해 시대 구분의 근거를 제시하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따라서 보다 세밀한 관찰과 분석을 통해 그 변화요소를 도출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는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되는 층위의 선후관계와 맞물릴 때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글에서는 江原地方에 위치하는 5곳의 건물지 유적(嶺東地域-襄陽 陳田寺址·江陵 屈山寺址·江陵 官衙址 / 嶺西地域-原州 法泉四肢·寧越 興寧寺址) 內 10개의 層位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평기와를 대상으로, 유적별 각 층위에 대해 각각의 時期로 한정시켜 이에 따른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기준은 평기와의 規格과 等級에 의거한 計量的 屬性·紋樣의 種類와 構成에 따른 樣式的 屬性·製作過程에서 비롯된 製作技術的 屬性에 두었으며, 그 결과에 따른 속성의 형식분류를 통해 고려시대 평기와의 변천과정을 크게 3단계로 설정할 수 있었다. Ⅰ段階(9C후반~10C후반)는 진전사지 1期·관아지 1期·법천사지 1期와 같이 해당유적의 初層 내지는 下部層에서 출토된 평기와가 해당된다. 이 단계의 기와는 統一新羅時代 제작기법의 전통을 이어받으면서도, 지붕의 시공시 요구되어지는 여러 가지 기능적 사항들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이 시도되는 시기이다. Ⅱ段階(11C전반~13C전반)에 속하는 평기와는 진전사지 2期·굴산사지·법천사지 2期·흥녕사지 1期에서 출토된 것이다. 이 단계에는 보다 다양하고 규칙적인 規格을 설정하여 필요에 따라 선별사용하는 한편, 세부적인 수작업을 요하였던 부분들은 점차 퇴화되고 기능적인 부분들은 보다 간략화된 작업만으로도 그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는 제작기법상의 발달을 보이고 있다. Ⅲ段階(13C 중반 이후)에 이르면 규격의 등급이 간소화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융통성있는 조절이 이루어지며, 간략화되었던 세부 요소마저도 퇴화되거나 약식화되는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평기와의 변천과정은 당시 건축의 造營 및 여타 자재의 관리방식과 마찬가지로 기와의 제작 역시 ‘규격’과 같은 부분에 있어서는 보다 효율적이고 보편적인 규정을 통해 관리되었으며, 제작기법 및 지붕 시공에 대한 건축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보다 간소화된 제작과정을 통해 경제적인 생산이 이루어지게 되었음을 반영해 주고 있다. 즉, 기존에 고려시대 평기와의 특징으로 규정되었던 정형화의 모습은 약식화된 제작기법 내에서도 충분히 기능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술적 발전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강원지역 고려시대 평기와를 관찰·분석한 결과, 고려시대 기와가 지니는 보편적인 기능성과 함께 嶺東·嶺西로 나뉘어지는 자연지리적 위치에 따른 특수성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양 지역의 차이는 주로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특징적인 문양과 그 공통적 사용을 통해 확인되는 일련의 양식체계를 통해 부곽되며, 이는 강릉·양양·속초를 중심으로 수급권역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즉, 고려시대 평기와는 기능성의 향상과 더불어 그에 따른 규정이 마련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형화된 틀을 갖추고 있으나 제작과 수급에 따른 일정 권역 내에서는 그 문화양상에 따라 지역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The plain roofing tile is the fundamental in construction of wood that accomplish roof. When we examines closely characterristic of relics, the plain roofing tile is important data because it is occupying overwhelming position numerical aspect more than other inheritances which have been excavated in wooden building site and when it was excavated, Its change is stable. And the roofing tile shows well its functional change in time current, flowing of time because the traces of technical development that are started at manufacture process remain well in its inside and outside. It is general opinion that presenting basis of periodization of the Flat plain roofing tile because manufacture system is standardized in the Koryo Dynasty. So I think that we must draw the changing element through more minute observation and analysis and that to draw the changing elemenis is more effective if it agrees from the first to the last relation of stratigraphy is confirmed through excavation investig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arget is the plain roofing tile of the Koryo dynasty excavated in 5 places(the site of Jinjeon-sa Temple in Yangyang, the site of Gulsan-sa Temple in Gangneung, the site of Gwana in Gangneung, the site of Beopcheon-sa Temple in Wonju and the site of Heungnyeong-sa Temple in Youngwol.) in Gangwondo province and the stratigraphy is limited by each time. Analysis standards are formal attribute by standard and grade, measuring attribute by kind and composition of pattern and manufacture technological attribute that is started at manufacture process. And three stage are divided through form classification by this. The first stage (the late 9th century ~ the late 10th century) includes plain roofing tiles excavated from the site of Jinjeon-sa Temple of the first period, the site of Gwana of the first period and Beopcheon of the first period. Roofing tiles in this stage inherited the traditional manufacturing method of the Unified Shilla Dynasty, and at the same time, attempted various methods in relation to different functions necessary for constructing roofs. The second stage (the early 11th century ~ the early 13th century) includes plain roofing tiles excavated from the site of Jinjeon-sa Temple of the second period, the site of Gulsan-sa Temple of the second period, the site of Beopcheon-sa Temple of the second period and the site of Heungnyeong-sa Temple of the first period. In the second stage, various standard sizes were set and roofing tiles were used selectively according to need, but functional parts were simplified. In the third stage (the late 13th century), the number of sizes was reduced while roofing times were subdivided according to need. In addition, it appears that detailed finishing work was degenerating. This suggests that it became sufficient to manufacture roofing tiles and construct roofs only with work processes simplified to the minimum. That is, the typified characteristics of plain roofing tiles in the Koryo Dynasty must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technical development that attained functional effects only with simplified manufacturing methods. What is more, as effective rules were applied in constructing buildings and managing materials in those days, roofing tiles must have been manufactured under more efficient and standardized rules, which in turn promoted the improvement of roofing tiles as well as mass production in response to increasing demand. In the trend, the development of methods for manufacturing tiles and constructing roofs must have played critical roles, and furthermore, it is assumed that the control and regul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over the handicraft industry were applied extensivel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bserving and analyzing plain roofing tiles in the Koryo Dynasty found in Gangwon-do, they had functionality common in Koryo roofing tiles as well as peculiarity according to the geographic divis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of the mountain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reas were usually remarkable by the characteristic patters and a series of styles appearing in roofing tiles of the east area, and these characteristics become important leads on the supply-demand zone centering on Gangneung, Yangyang and Sokcho. Owing to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ity and accompanying regulations, plain roofing tiles in the Koryo Dynasty had a standardized frame aiming at efficient manufacturing, but within a specific supply-demand zone they reflected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the locality according to its cultural pattern. This may suggest a good example showing that the factor 'functionality' is standardized under a series of rules through mass production while the general application of products creates various aspects in manufacturing practices.

      • 영산강유역 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이수경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plain roof-tiles, a beating patterns in difference eras and examination of the changing proces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existing analysis and research done during the Kyoro Dynasty in Yeongsan river basin.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will help us verify the process of technical development as well as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will further contribute to the first attempt to depic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the field of roof-tiles research. To do this,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Kyoro dynasty sites in Yeongsan river basin were identified first before subdividing the properties found in the excavated area. The result of the reviewing of these properties was as follows. The flat shape of the a convex roofing tile in non-tiered a convex roofing tile without upper raied spot for put on a convex roofing tile was changed to tiered a convex roofing tile with upper raied spot for put on a convex roofing tile. Also, it has ben identified that a beating patters changed from single pattern to two to three patters in a compound pattern. The production technique also changed from med-sized plate to a floor. Lateral separation method used outer side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used only inner separation method on the inner split. Inner bottom adjustment was also found to have changed from either non-adjusted or shearing to manual water adjustment. Inner technique also experienced the changing process that can be seen in the inner title similar to the circular wooden case used as make roof tiles change in the horizontal hollow title. Based on these pattern changes and the production technique properties and a beating patterns centered around the analysis in the Koryo dynasty of Yeongsan river district the evidence and the time frame were measured. The analysis of the excavated sites can b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stages. First stage, during the first half ninth century through first half tenth century. Second stage, mid tenth century through the first half twelfth century. Third stage, during the mid-twelfth and through chronological years. The first stage characterizes the usage of the mid-sized a beating being standardized, but the floor a beating also started to emerge during this period. The inner bottom adjustment method used the non-adjustment and shearing adjustment. The flat shape of a convex roofing tile was found only as the non-tiered a convex roofing tile without upper raied spot for put on a convex roofing tile.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eparation method went through various separation methods such as both sides being the inner sides or one side the inner and the other the outer. In a concave roofing tile, the horizontal hollow which shapes the frame of the circular wooden dase used as make roof tiles was not found and the patter is mostly single door, following the traditions of Three Kingdoms period which maintained the lattice door and linear design. However, we see some changes into lattice design and avertical line design, as well as a phase of sophistication on the surface of a beating patterns. The a pattern of plumage shape started to appear after the eighth century in the form of a single door. In the second stage, the length of the a beating plate and the usage of the mid-sized plated increased. For the inner bottom adjustment method, we see the appearance of the manual water adjustment and the flat shape tiered a convex roofing tile. The change in the separation method goes through the same phase as the previous stage, but the rate of the inner side is quite high and by the eleventh century, inner separation was standardized. In tiered a convex roofing tile, the horizontal hollow was found, but this predicts the change of the circular wooden dase used as make roof tiles. Also we see the limited patter that is unique in this period. a pattern of plumage shape together with the single door can be seen as compound doors in the form of flip vertical and vertical separation. The second stage, in coexistence with the first, is also known as a period in which the replacement of the new production technique took place as the previous one became extinct. In the third stage, the production technique was standardized. The length of the a beating plate is only found as floor plate, and even the inner bottom adjustment method is only done through the manual water adjustment. The flat shape of a convex roofing tile coexists as non-tiered a convex roofing tile and tiered a convex roofing tile, but the rate of the tiered a convex roofing tile is higher and the separation method only uses inner separation method. In a concave roofing tile, the horizontal hollow is found as it is in the second stage. For the patterns, the rate of the single door decreases, and we see the change in the patterns centered around the a pattern of plumage shape. Moreover, either two to three patterns are combined or the rate of the geometrical patterns of the compound doors increases together with the a pattern of plumage shape, and by the fourteenth century, we see an appearance of the collective lines. The shift of the plain roof-tile in difference eras reflect the significant changes in the society and archeological materials, however, the change of the tile is certainly in correlation with the change of the trade system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평기와 연구를 바탕으로 고려시대 영산강유역에서 확인되는 평기와의 구체적인 분석을 통하여 시대별 제작기법ㆍ타날문양의 특징을 파악하고,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통해 영산강유역 평기와의 기술적 발달과정과 더불어 지역적 성격의 일면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향 후, 기와연구에 있어 보편적인 특징과 차이점을 규명하기 위한 첫 단계이기도 한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영산강유역에서 확인되는 고려시대 유적 현황을 파악한 후 출토된 평기와에서 보이는 속성 등을 세분하였다. 이들 속성을 검토한 결과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수키와의 평면형태는 언강이 없는 토수기와에서 언강이 있는 미구기와로의 변화가 확인되었으며, 타날문양은 단독문에서 2∼3가지 문양이 복합되는 복합문으로의 변화가 확인되었다. 제작기법은 중판에서 장판으로의 변화하였으며, 측면분할방법도 한쪽은 외측 다른 한쪽은 내측분할에서 내측분할방법만 사용하게 되었다. 내면하단부조정도 무조정이거나 깎기에서 물손질 조정으로 변화하였다. 내면기법은 와통의 변화에 따른 윤철흔이 기와 내면에서 확인되는 변화과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양상을 근거로 영산강유역 고려시대 평기와 출토 유적을 중심으로 제작기법적 속성, 타날문양 등의 분석을 통하여 편년의 근거를 마련하고 시기를 설정하였다. 고려시대 영산강유역의 평기와 출토 유적은 3시기로 구분이 가능하다. 1기는 9세기 전반∼10세기 전반, 2기는 10세기 중엽∼12세기 전반, 3기는 12세기 중엽 이후로 편년하였다. 1기는 중판타날의 사용이 정형화되지만, 장판타날도 등장하게 되는 시기이다. 내면 하단부조정방법은 무조정과 깎기조정을 사용하였다. 수키와의 평면형태는 언강이 없는 토수기와만이 확인되고 있다. 분할방법의 변화는 양면 모두 내측 인 것, 한쪽은 내측 다른 한쪽은 외측인 것 등 다양한 종류의 분할방법이 확인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암키와에서는 와통의 형태를 잡아주는 윤철흔이 확인되지 않고 있어 문양은 단독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의 정통을 계속 이어받으면서 격자문, 선조문이 유지되지만, 사격자문, 종선문 등 변형이 나타나며, 평면에 타날문양이 좀 더 촘촘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우상문은 8세기 이후부터 등장하며, 형태는 단독문으로 나타나고 있다. 2기는 타날판의 길이가 중판과 함께 장판의 사용도 늘어나고 있다. 내면 하단부조정방법은 물손질조정과 평면형태는 미구기와가 등장하게 되는 시기이다. 분할방법의 변화는 전시기와 같은 양상이 나타나고 있지만, 모두 내측의 비율이 높으며, 11세기가 되면 내측분할로 정형화가 된다. 암키와에서는 윤철흔이 확인되는데, 이는 와통의 변화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시기에만 보이는 한정적인 문양이 등장하게 되며, 우상문은 단독문과 더불어 기본형을 중심으로 상하대칭, 상하분리 형태의 복합문이 확인된다. 2기에서는 1기와 공존하면서 이전의 것은 점차적으로 소멸하고 다음의 새로운 제작기법이 교체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3기는 제작기법이 정형화되는 단계이다. 타날판의 길이가 장판타날만 확인되며, 내면하단부조정방법도 모두 물손질조정만이 이루어진다. 수키와 평면형태는 토수기와와 미구기와가 공존하지만, 미구기와의 비율이 높으며, 분할방법도 모두 내측분할만을 사용하게 된다. 암키와에서는 2기와 같이 윤철흔이 확인된다. 문양은 단독문의 비율이 낮아지며, 대부분은 우상문을 중심으로 문양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2∼3개의 문양이 복합되거나, 기하학적인 문양인 복합문도 우상문과 더불어 그 비율이 늘어나고, 14세기가 되면 집선문이 등장하게 된다. 각 시기별 평기와는 급격한 사회변화로 고고학적 물질문화에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나게 되는데, 기와의 변화는 국가의 수공업체제의 변화와 상관관계를 가지고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부산?경남지역 고려시대 평기와 연구

        김지연 東亞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1

        From point of view about history of fine arts, Research of roof tile focuses on design analyzation and chronology of three kingdoms and unified Sin-Rah dynasty. This is why result of research about roof tile of Goryeo and Chosun dynasty is poor, and case of flat roof tile is totally poor. It means that large quality of change is hard to find because of standardization of basic making tool, and distinction and appearance are hard to analyze because standard of design distinction is obscure. Research about flat roof tile of Goreyo dynasty from Busan․Kyung-nam area is almost nothing. For case of flat roof tile from ruin of Busan․Kyung-nam area, it is containing on each report, but thesis of total analyzation and examination is necessary at this time. So, this research looks each design with material of flat roof tile of ruin of Goreyo dynasty from Busan․Kyung-nam area, and research focuses on characteristic of design change about flat root tile of Goryeo Dynasty from Busan․Kyung-Nam area by each period with analyzation of flat roof tile and distinction of pattern. At the first, 314 pieces from 8 ruins, where contain flat roof tile of Goryeo dynasty from Busan․Kyung-Nam area, are selected, and standards of ruin selection are producing methods such as organization of design, existence of control of end of the bottom of roof tile, area of control of the end, and method of inside and front. Dividing existence․absence of design, Yu-mun is divided into 1 column, 2 column, 3 column, and multiple column organization with standardization of level organization. This is divided with existence․absence of control of the end of bottom and area. Also, ratio of average value of flat tile thickness and method of inside and front are analyzed. This analyzation shows that average value of thickness of the flat tile becomes large when area of control of the end is expanded. Also, ratio of whole or part of Sa-jul-heun becomes small, and ratio of the absence of Sa-jul-heun become large. Moreover, pattern of change of design organization by area of control of the end is parallel line design→additional parallel line design→ other design for 1 column organization. For 2 column organization, ‘V’ design from top to the bottom has many ratios, but organization of other design from top to the bottom is increasing due to decrease of ‘V’ design from top to the bottom. For 3 column organization, ‘V’ design from top to the bottom has many ratios, but organization of other design from upper top to the bottom is increasing due to decrease of ‘V’ design. For multiple column organization 1, it is change of column 3, which has figure of separation of center column, and design of units become multiple column. For multiple column organization 2, organization figure has cross in parts of organization and change such as multiple organization→elimination of cross→triangle and rhombus. For change of organization figure by each design organization, examination of Flat roof tile by year and ruin from the same period make history by period, and following characteristics by each period are on the below. For 10th century, parallel line design and cross line design from unified Sin-rah dynasty have most of parts. Parallel line design with additional lines is also detected. For 11th century, ratio of 1 column organization was rapidly decreased, and 2 column and 3 column organization were appeared. 1 column organization contained additional parallel line design and cross line design, 2 column and 3 column organization contain many of ‘V’ design from top to the bottom. For 3 column organization, design of center was various. 12th century was also organized with many parts of 2 column and 3 column organization, but ‘V’ design from top to the bottom was decreased. Because of this reason, other design from top to the bottom was appeared. At the end of 13th century, 3 column organization changed as multiple organization 1, which contained separation of center column and appearance of multiple column. At 14th century, most of design became 2 parts such as multiple organization 1 and multiple organization 2. For 14th century, multiple column 1 had change of similar column design to multiple column design. Multiple column 2 contained elimination cross line from organization of cross yarn and rhombus and triangle shape. It was continued until Chang-hae-pa-mun design in Chosun dynasty. 기와 연구는 미술사적인 관점에서 삼국~통일신라시대의 막새 문양분석 및 편년 연구에 치중해 있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려․조선시대의 기와에 대한 성과는 빈약한 실정이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평기와의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이는 제작의 기본틀이 정형화된 시점에서 큰 변화속성을 찾기가 어렵고 문양분류에 의한 기준이 모호하여 그 분류와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부산․경남지역의 고려시대 평기와에 대한 연구는 현재 거의 전무한 실정이고 부산․경남지역에서 발굴조사된 유적출토 평기와의 경우 개별 보고서에 수록되고는 있지만 이를 종합하여 분석하고 검토하는 내용의 논문 역시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부산․경남지역에서 발굴조사된 고려시대 유적 출토 평기와 자료를 취합하여 개별 문양을 살펴보고 문양과 제작기법을 중심으로 평기와를 분석하고 형식을 분류하여 부산․경남지역의 고려시대 평기와 문양변화의 시기별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 부산․경남지역에서 고려시대 평기와가 출토되는 8개 유적의 유물 총 314점을 선별하였으며 유물 선별의 기준은 문양의 단구성과 기와의 하단 단부 조정의 유무, 단부 조정의 범위, 내면 정면 방법 등의 제작기법이다. 문양의 유무를 나누고 그 중에서 유문을 다시 단구성을 기준으로 하여 1단․2단․3단․다단구성으로 분류하였다. 이것을 제작기법인 기와의 하단 단부 조정의 유무와 그 범위에 따라 세분하여 각 형식별로 기와 두께의 평균값과 내면 정면 방법이 나타나는 비율을 분석하여 단부 조정범위가 넓어질수록 기와 두께의 평균값이 커지고, 전체 또는 일부 사절흔 비율이 작아지며 사절흔 없음의 비율이 커진다. 그리고 단부 조정범위에 따라 문양구성이 변화해가는 양상은 1단구성의 경우 단독 평행선문→부가 평행선문→기타문양으로 변화한다. 2단구성의 경우 상하 연속‘V’자문이 압도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그 수량이 점점 줄어들면서 상하 다른 문양의 구성이 늘어난다. 3단구성의 경우도 역시 상하 연속‘V’자문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그 수량이 점점 줄어들면서 연속‘V’자문 외의 상하 동일 문양과 상하 다른 문양의 구성이 늘어난다. 다단구성1의 경우 3단구성의 변형으로서 가운데 단이 분화되는 형태를 띠다가 점점 여러 단위 문양이 다단으로 변화한다. 다단구성2의 경우 중간 중간에 횡선이 있는 실타래 형태의 다단구성→횡선의 소멸→삼각형 형태, 능형의 형태 등으로 그 구성 형태가 변한다. 이러한 문양구성별 단위문양의 변화는 연호명 평기와와 공반유물의 검토를 통해 편년을 할 수 있었고 그 시기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10세기는 통일신라 때부터 이어져 내려오던 평행선문, 교차평행선문이 계속 이어지고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일부 부가선이 있는 평행선문이 관찰된다. 11세기는 1단구성의 비율이 급격히 줄어들고 2단과 3단구성이 새롭게 나타나는 시기이다. 1단구성은 적은 수량 중에서도 부가 평행선문과 교차평행선문이 꾸준히 관찰된다. 2단과 3단구성은 상하 연속‘V’자문이 압도적으로 나타나고 3단의 경우 가운데 단의 문양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12세기 역시 2단과 3단구성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상하 연속‘V’자문의 수량이 조금씩 줄어들면서 상하 다른 문양의 배치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13세기 후반이 되면 3단구성은 3단구성의 변형인 다단구성1로 이어지는데 가운데 단이 여러 단으로 분화된다. 14세기가 되면 대부분이 다단구성1과 다단구성2로 구성된다. 14세기는 다단구성1이 상․하단 중심이 아닌 각 단이 비슷한 비중을 가지는 단위 문양을 다단으로 구성하는 양상으로 변하게 되고 다단구성2는 횡선이 있는 실타래 형태의 구성에서 횡선이 소멸하고 능형,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다단구성2로 변화하며 이는 조선시대의 창해파문으로 이어진다고 생각된다.

      • 羅末麗初 慶州 出土 寺刹銘 平기와 硏究

        유환성 경주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0

        This study is on the period between the end of United Shilla and the earlier Go-ryeo, on the space boundary of Gyeong-ju which is an administrative district in the present. The objects of study are 27 individual pieces of roof-tiles stamped temple name in 24 types. These temple named roof-tiles were studied by research reports, picture books and observations. First of all, temple name stamped roof-tiles were introduced one by one in high frequency and classified into 4 types based on characteristic of stamping. Then these tiles were researched in the existing proposals of production date by the standards of stamping(way, structure and meaning of stamp) and the standards of specifics( length of beating plate, beating pattern, shape and cross section shape of male-roof-tile) in the each of 4 types and inferred the production dates through the related roof-tile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emple name stamped roof-tiles had been produced from the middle of 9C in Gyeong-ju and in this period these tiles had both of medium beating plate(stamp)and long beating plate(stamp). Second, temple name stamped roof-tiles which were seperated beating plate(stamp) and name stamp had been produced between the middle of 9C and the earlier of 10C mainly. Third, heading toward Go-ryeo dynasty, temple name stamped roof-tiles which were united beating plate(stamp) and name stamp had been produced. Fourth, heading toward Go-ryeo dynasty, temple name stamped roof-tiles had produced more and stamped not only temple name but also other letters. Fifth, beating plate(stamp) patterns had been changed from single to complex but slowly. Sixth, temple name stamped male roof-tiles had edges on their back to earlier of 10C, but after that time they didn't. Through this result, temple name stamped roof-tiles of Gyeong-ju had changed gradually. This change was caused from technical influence of Go-ryeo dynasty on technical foundation of United Shilla. The background of this change was on increase of demanding roof-tiles to build or repair government offices and temples according to reorganization ofadministration in Gyeong-ju.

      • 三國時代 평기와에 관한 硏究

        최맹식 檀國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8687

        한국역사에서 삼국은 역사시대가 시작되는 분수령이다. 삼국은 우리 정사에 정식으로 기록으로 남기고 있는 역사의 시작인 셈이다. 물론 그 이전의 역사는 훨씬 길고 찬란했던 점을, 고고학적 및 중국 정사, 우리의 여러 문헌에서 흩어진 기록을 찾아 볼 수는 있다. 기와는 이러한 역사적인 기록과 실물을 통하여, 삼국을 더 거슬러 올라갈 만한 자료는 아직 확보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기와의 역사는 삼국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기와는 건조물 재료의 한 부분이지만, 지붕과 배수관 등, 그 쓰임새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용도의 다양성은, 기와가 도입된 이후 기능적 필요에 의한 발전뿐만 아니라, 예술성까지 살리는 경향을 보인다. 실제 기능적이든 예술적이든 간에, 목적성이 뚜렷하지 않았다면 이렇듯 오랜 기간동안 전통적인 뿌리를 내리면서 발전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기와는 삼국이후, 가장 많은 출토유물로 남아 있다. 우리 삼국문화의 한 분야는, 적어도 기와를 빼놓고서는 이야기하기 어렵다. 이러한 까닭은, 삼국의 유적과 유물을 꿰어보면, 건조물이 큰 분야를 차지하고 있다. 이 건조물은 궁궐건축, 사찰, 산성, 관부, 기타 도시건조물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기와의 공급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실제는 발굴조사를 통하여 실증되고 있으며, 출토기와에 대한 충분한 이해는 당시 문화의 한 단면을 얼마나 잘 이해할 수 있는가 하는 척도로 삼을 수도 있다. 기와의 종류는 세분하면, 지붕의 쓰임새에 따라 모양을 달리한다. 그렇지만 여기서 다루는 평기와는, 지붕을 잇는 가장 기본적인 암기와와 수키와를 말한다. 삼국 평기와 제작은 크게 나누어 와통없이 제작하는 이른바 무와통(無瓦桶)과 와통에 의한 제작법을 사용하였다. 와통은 통쪽와통과 원통와통으로 구분된다. 백제의 경우, 한성도읍기에는 무와통법과 통쪽와통에 의한 제작법이 관찰되지만, 무와통에 의한 제작기와는 수량이 극히 적다. 이후 웅진·사비기에는 통쪽와통 및 원통와통에 의한 제작법만이 확인되고 있다. 고신라는 황룡사지와 같이 6세기경에 이미 경영되었던 유적에서만 극히 적은 수량이 무와통법에 의한 제작이 확인된다. 동일시기에 통쪽와통에 의한 제작기와가 좀 더 많이 확인된다. 따라서 고신라는 7세기경에 이르면, 대부분 원통와통에 의한 제작법으로 전환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가 한반도를 통일한 이후는, 원통와통에 의한 제작법만이 유포되었다. 이후 전통적 기와제작법으로 자리잡았다. 삼국시대 중기이후, 와통에 의한 제작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체계는, 기와제작 기술의 발전을 수반하게 된다. 이러한 본격적인 기와제작 기술발전은, 토기와 뚜렷하게 분리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이는 장인체계가 분야별 전담 장인체계로 발전되었을 것이다. 삼국시대의 평기와 문양은 장식화이전 단계로 보인다. 이는 기와성형을 위한 기능적인 측면에서 문양이 출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장식적이라기보다는 문양을 도구에 새겨 두들김으로서 충분한 밀도에 의한 기와성형이 주목적이었음을 말하는 것이다. 삼국시대의 평기와는 질과 형태, 제작기법 등에서 가장 발전된 것이어서 일본에 전수해 주었다. 삼국의 기와제작법은 통일신라의 모태가 되었고, 이후 부분적인 기법만이 계승되었다.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start of the historical period in Korea, is a watershed in Korean history. This period is the start of Koreas recorded history and thus the authentic history of the country. Of course, archaeological and Chinese history and various Korean documents indicate that the prehistoric period had a much longer and more brilliant history. However, as far as tiles are concerned, no materials, such as written records or actual examples, date back before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from this period that the history of Korean tiles begins. Though tiles are a building material, they wer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roofing and drainage pipes. This diversity of function is a development not only resulting from functional ne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iles to Korea; there was also tendency to use them for artistic effect. Whether functional or artistic, if their purpose had not been clear then the tradition of tile making in Korea would not have developed and been maintained over such a long period of time. Tiles are the most commonly excavated item from the post Three Kingdoms Period. They constitute a core part of the Three Kingdoms culture because tiles were absolutely necessary for built structures, which account for many of the historical relics and remain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se structures include palace buildings, temples, fortresses, government buildings and other urban buildings. The importance of tiles in the culture of the Three Kingdoms has been proved in excavations and a proper understanding of excavated tiles can be taken as a yardstick for understanding of that time. Roof tiles are shap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unction on the roof. However, the ordinary roof tiles discussed here means the most basic units making up the roof: the convex and concave tiles. The roof til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made either with or without molds. The two different types of molds used were cylindrical molds and assembly molds. Tiles from the Baekje Kingdom, when Hanseong was the capital, were made without molds, or with assembly molds, but the former type is very small in number. All tiles from the following time, when Baekje moved its capital to Gongju, were made with molds, both cylindrical and assembly molds. From the Silla Kingdom, only a very small number of tiles made without molds have been found at such remains as the Hwangryongsa Temple site and other sites that existed around the sixth century. A larger number of tiles made with assembly molds have been found from the same period. Therefore, it can be surmised that cylindrical mold manufacture was the main tile making technique used from the 7th century in the Silla Kingdom. After Silla unified the Korean peninsula, the cylindrical mold technique was the only one disseminated. It thus became the traditional method of tile manufacture in Korea. From the latter half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use of molds made mass production of tiles possible and this was accompanied by development in tile manufacturing technology. Such technological development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ile making as an art on its own and there emerged artisans who specialized in making tiles. Previously, tile making had been considered a part of the art of ceramics. The patterns on roof tile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represent a stage before patterns were used for wholly decorative purposes. This means that the patterns were created from the functional perspective of shaping the tiles. That is, a pattern was carved on the tools used to beat the tiles to give them shape and density. So the pattern stamped on the tiles was the result of a functional process rather than being decorative. In quality, shape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the roof til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the most highly advanced for their time and thus were passed on to Japan. The til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Three Kingdoms were the basis for those of Unified Silla, after which time the techniques were handed down only partially.

      • 부여 관북리유적 출토 백제 기와의 변천과 의미

        안소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6

        This paper is a research on the changes of the roof tile in the Sabi period of Baekje and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145 roof-end tiles and 273 flat roof-tiles unearthed at Gwanbuk-ri site of Buyeo. The roof-end tiles were classified into 16 types of male-tile and 2 types of female-tile. The flat roof-tiles were classified into a female tile and stepped/stepless male tile and then they were reclassified into three (Ⅰ, Ⅱa, Ⅱb) types according to their plan shape. Each type of tile was assigned to three temporal phases or stages according to the unearthed cultural layer. In the phase I, there were male roof-end tiles of type I-2, type I-3, and type II and flat tiles consisting of female tiles of type I and type IIa, and male tiles of stepped type and stepless IIa type. At the phase I, facilities for workshop and storage were mainly built in the Gwanbuk-ri area which seemed to serve as a surrounding area of the capital town. In the phase, there were concrete evidences of land preparation for large building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of water-control facilities at Gwanbuk-ri site. The area seems to have been converted into a main residential space, and it consequently brought about appearance of new types of roof-end tiles. In the phase III, many new types of roof-end tiles appeared and the quantity of the roof-tiles was also seriously increased too. Along with increase of plain design type Ⅱ, in the case of flat roof-tile, there were a number of changes, including adjusting, watering, treating, and mixing ratio of clay paste. This chang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flat roof-tile was interpreted as a simplifica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to meet the rapidly increased demand for the tiles. While the direct cause of the change of the roof-tiles seemed to have been a change in the nature of the space around Gwanbuk-ri site, the background of the change in the phase Ⅲ was understood to have been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Iksan as another capital. Historical records on natural disaster in the Sabi period of Baekje also had a lot of implications. The records on the natural disasters and constructions after the 7C implied the situation of continuous demand for roof- tiles for Sabi Capital.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Iksan occurring in a situation continuously demanding roof-tiles in Sabi Capital seriously increased the demand for roof-tiles and it caused a change in the roof-tile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In summary, the simultaneous development of Sabi capital and Iksan in the reign of King Mu caused a change in the flat roof-tile of Sabi period of Baekje. 본고는 관북리유적에서 출토된 기와 중 막새 145점, 평기와 273점을 선별하여 백제 사비기 기와의 변천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막새는 속성을 근거로 수막새 16형식, 암막새 2형식으로 분류하였다. 평기와는 암키와와 무단식/유단식 수키와로 대별한 후 평면형태에 따라 3형식(Ⅰ, Ⅱa, Ⅱb)으로 분류하였다. 형식분류된 기와는 출토된 문화층에 따라 3기로 구분하였다. Ⅰ기에는 Ⅰ-2형식, Ⅰ-3형식, Ⅱ형식 수막새와 Ⅰ형식, Ⅱa형식 암키와, 유단식 수키와, Ⅱa형식 무단식 수키와 등의 평기와가 확인된다. 이 시기에 관북리유적에는 공방과 저장시설이 주로 조성되었으며, 왕궁 근처의 배후시설로 기능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Ⅱ기에는 대지조성과 치수시설 설치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행위가 확인된다. 이러한 행위는 이 일대를 주거 전용 공간으로 전용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새로운 수막새가 등장했던 것으로 보인다. Ⅲ기에는 Ⅱ기와는 다른 새로운 형식의 수막새가 다수 출현하고, 출토 수량도 대폭 증가한다. 평기와의 경우 무문2 형식의 증가하고, 무조정 및 물손질 단부정면, 조정 와도면의 감소, 태토 혼입 비율의 변화 등이 관찰된다. 이러한 평기와 제작방식의 변화는 급격히 증가한 기와 수요 충당을 위한 제작공정의 간소화로 해석하였다. 기와 변천의 직접적 원인은 관북리유적 일대 공간의 성격 변화로 보았다. 기와 변천에 간접적 영향을 미친 배경도 검토해 보았다. Ⅲ기에 보이는 평기와의 변화는 익산지역 도성 경영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7세기 이후에 확인되는 백제 사비기의 재해 관련 기사 역시 시사하는 바가 큰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사비도성의 기와 수요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발생한 익산 개발은 기와 수요를 대폭 증가시켰고, 이는 공급방식의 변화를 야기한 것으로 보았으며, 평기와의 변화는 이러한 맥락에서 발생했다고 이해하였다.

      • 경주지역 신라 평기와 유통체계의 변화

        김지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flows of the flat roof-tiles (암키와, 平瓦) of the Silla Kingdom including their production and consumption have not been studied properly in comparison to their importance nor their enormous amount from excavation. The level of the research carried out on them has been considered to be elementary. So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changes of the flows of the flat roof-tiles of the Silla Kingdom discovered from Gyeongju Area by way of an examination of their typology, chronology, changing patterns in their flows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is article has analyzed various attributes of these flat roof-tiles, which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chronological sequencing, such as the length of battering plates, the method of treating the lower part of their insides, the arrangement of cutting patterns, and their shapes in plan, among others. On the basis of analyzing such attributes the typology of the flat roof-tiles has been tried. In this thesis the division of the period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flat roof-tiles of the Silla Kingdom in the Gyeongju Area. In addition, examples of flat roof-tiles from production sites and those of consumption sites have been presented and reviewed. On basis of the examination four phases have been suggested; the Initial Phase, the Developmental Phase, the Peak Phase, and the Declining Phase. The roof-tiles of Silla Kingdom in the Gyeongju Area had experienced three changing epoches; that i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seventh century AD,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seventh century AD, an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ninth century AD. There wer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of production sites and consumption sites over time such as the relationship based on 'one production site to plural consumption sites' or the relationship based on 'plural production sites to plural consumption sites' These changes over time imply great significance in the flows of the roof-tiles. The flows of the roof-tiles including both their production and consumption system have been understood until now according to Mr. Ogawa Kiyosi’s view: that is, three types of relationship such as Type A, Type B, Type C. However a new typ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sites and the consumption sites has been revealed through not only this thesis on roof-tiles of the Silla Kingdom but also the other researches on roof-tiles of the Backje Kingdom. In this thesis the new typ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sites and consumption sites is named 'Type D', which has a relationship based on 'plural production sites to plural consumption sites'. The emergence of Type D is related to the social situation the Silla Kingdom had faced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by the Silla Kingdom. The social condition might include the remodeling of the Royal Capitol Gyeongju to adjust to population pressures as well as construction of local cities for efficient ruling of expanded territory, which must have required an enormous demand for roof-tiles. In order to cope with large demands for roof-tiles the new type of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sites and the consumption sites called 'Type D' had been thought to appear naturally. 경주지역 평기와 유통과 관련된 연구는 유물의 중요도와 출토량에 비해 아직 기초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본 논문은 경주지역 신라 평기와의 형식분류, 편년, 그리고 시기별 유통양상의 변천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하여 전반적인 유통흐름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본고에서는 기왕에 시간성을 반영한다고 알려진 평기와의 제작 속성 중에서 검증작업을 통해 소지의 형태, 타날판의 길이, 하단 내면 조정방법, 와도흔의 위치(수키와)ㆍ평면형태(암키와) 등을 중요한 변천요소로 삼아 분석하였는데, 이를 통해 평기와에 대한 형식분류를 시도했다. 또, 경주지역 신라 평기와의 변화에 따른 시기구분이 가능해 경주지역 신라 기와 생산지와 소비지에서 출토된 자료를 제시하고, 검토해 보았는데, 총 4기(초현기→발전기→전성기→쇠퇴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결국 경주지역 신라기와는 7세기 전엽과 후엽, 그리고 9세기 전엽이 변화의 획기가 되고 있으며, 각 시기별 기와 생산지와 소비지의 변화(즉 1:多에서 多:多) 또한 큰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했다. 기와의 유통체계는 지금까지 단순히 大川 淸의 기와 수급관계에 제시된 공급과 수요 3유형(AㆍBㆍC)으로 이해하려 해왔으나 필자의 연구에 의하면 당시 신라 뿐 아니라 백제에서도 복수 수급체계인 D유형이 확인된다. D유형(多:多 수급체계)로의 변화는 삼국통일 이후 나타난 당시 신라의 사회적 상황 즉, 왕경의 인구압 해소를 위한 범위의 재설정, 그리고 복속영토의 원활한 통치를 위한 지방 행정도시 건설에 필요한 막대한 기와의 양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나타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 羅末麗初期 강원지방의 평기와 연구

        박동호 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into plain roof-tiles excavated from 16 major relics in the Gangwon Province which were manufactured at the end of the Silla Dynasty and at the beginning of the Goryeo Dynasty: into their manufacturing techniques including the size of the beating plate, how to adjust their inner side at the lower end, and the tile cutting on the flank; and into the forms and shapes of the patterns, with a focus on the period when they were produced.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tiles were classiffied in five stages. Which remains were previously classiffied is judged in consideration of the ratio of short beating plates for plain roof tiles and medium beating plates, accompanying relics (convex tiles and earthenware), documentary records, and other items. It is estimated that the remains in which clay items are identified were previously manufactured for a stage where mediume beating plates are the majority. It is also estimated that as for the remains in which long beating plates are identified, those in which the cutting adjustments are made more frequently were more previously produced. As for the remains produced later, their chronology and arrangement are decided in consideration of their forms and era names. The period is divided into 1st stage (the second part of the 7th century~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 2nd stage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the end of the 8th century), 3rd stage (the end of the 8th century~the middle of the 9th century), 4th stage (the middle of the 9th century~the middle of the 10th century), and 5th stage (the middle of the 10th century~the 11th century). It is estimated that the 4th stage was when long beating plate tiles were standardized since only such tiles are identified in that stage and that the 5th stage was when Goryeo Dynasty tiles were fully established. How the tile producing industry was operated in the Gangwon Province cannot be clearly understood due to lack of relevant historical materials. However, it is broadly assumed that the tile producing industry had been managed and operated by the state till the 1st half of the Goryeo Dynasty since most of the tiles produced before the Goryeo Dynasty have a comparatively standardized form manufactured as part of a national enterprise under the government-controlled handicraft manufacturing industry. 본 연구에서는 통칭 나말여초(羅末麗初)로 비정되어 왔던 강원지방의 16개소 중요유적에서 출토된 평기와의 타날판 크기, 하단내면 조정방법, 와도흔 등의 제작기법과 문양의 구성 형태를 고려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강원지방에서 출토된 통일신라~고려초기의 기와들은 총 5단계로 시기별 구분을 할 수 있었다. 시기구분에서는 평기와 타날판의 단판과 중판의 비율 등을 고려하여 시기적 차이를 추정하였으며, 공반된 유물(막새기와 및 토기)과 문헌기록 등도 참조하였다. 시기 구분결과, 1단계(7세기 후반~8중반), 2단계(8세기 중반~8세기 말), 3단계(8세기 말~9세기 중반), 4단계(9세기 중반~10세기 중반), 5단계(10세기 중반~11세기)로 구분되었다. 이중 4단계에서는 장판의 타날판 기와들만이 확인되어 장판타날판의 정형화 시기로 추정되었으며, 5단계에서는 고려기와의 성립기로 판단하였다. 강원지방의 고대기와 계보에 대한 기존의 시각은 영서지역의 경우 백제와 신라의 요소가 결합된 것으로, 그리고 영동지역은 전형적인 신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시간의 근거는 가장 크게 기와 제작상의 기법 가운데 점토띠의 유무로 구분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영동지역에서도 점토띠로 기와를 제작한 유적들이 제한적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영동과 영서지역을 불문하고 통일신라 초기의 기와들에서는 점토띠 소지로 제작한 기와들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통일신라기와의 초기 단계는 두 가지 방법이 혼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기와제작 집단의 구성에서는 기존의 재지세력과 더불어 승려들의 참여 사실도 확인되고 있다. 고려 이전의 기와가 대부분 국가적인 조영사업의 일환으로 비교적 정형화된 양식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관영 수공업 체제 하에서 적어도 고려 전기까지는 제와업도 국가적 차원의 관리와 운영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백제 기와 연구

        윤용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70

        본 연구는 백제 평기와와 수막새의 문양과 제작기술을 검토하여 백제 한성, 웅진, 사비시기 기와의 특성과 변천 및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백제 기와에 관한 문헌 기록은 소략하지만 『삼국사기』에 기록된 백제 초기의 건축 관련 기사와 최근 풍납토성 등 한성시기 유적 발굴 성과에서 백제 기와의 형성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현재까지의 자료로 볼 때 백제 기와는 2세기 말경에 성립되었으며, 188년(초고왕 23) 궁실(宮室) 중수(重修) 기사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한성시기 평기와는 1~3세기의 토기와 제작 도구, 생산시설, 태토, 기술 인력 등 제작 기술을 공유하며 형성되었다. 받침모루[內拍子] 사용과 격자문 타날, 점토띠 소지(素地) 사용, 니질(尼質), 정질의 태토와 1㎝ 내외의 두께 등을 특징으로 한다. 웅진시기에는 와통(瓦桶)과 점토판 소지 사용 등의 신기술이 정착하면서 견고하고 실용성을 갖춘 백제 평기와의 새 전형이 마련되었다. 사비시기에는 도성 건설과 사찰 건립 등의 기와 수요에 부응하여 제작 공정 일부가 간소화되고, 기와 가마 운영이 활성화, 조직화되며 대량 생산 체제로 진입하게 된다. 한성시기 수막새 문양은 전문(錢文), 연화문(蓮花文), 수면문(獸面文) 등 중국계 문양과 각종 기하문(幾何文) 등 자생적 문양이 공존하며 발전한다. 막새의 형태와 제작기법의 다양성은 이 시기 문화계통의 다원성(多元成)을 보여준다. 웅진시기에는 불교를 대표하는 연화문이 중심이 된다. 웅진시기 연화문의 사실적, 입체적 조형은 백제 후기 막새 문양 전형으로 자리 잡으며, 사비시기에 꽃을 피운다. 사비시기 왕궁과 산성에서 주로 출토되는 파문(巴文)과 무문수막새는 백제의 도교문화를 상징하며, 7세기 무왕의 집권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비시기 수막새의 문양은 사비 천도와 도성 건설(538), 능산리사원 창건(567), 무왕의 집권과 익산 경영(600), 제석사 소실 및 미륵사 서탑 건립(639) 등의 역사적 계기와 함께 변천하며, 백제의 역사와 문화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백제 기와의 생산시설은 현재의 부여, 청양 일대를 중심으로 도성 내․외곽에 배치되어 관영(官營)체제에서 기와가 생산되었음을 보여준다. 백제 기와의 생산체제는 사찰 직속의 1:1 수급관계(需給關係), 일부 대형 가마의 1:다(多) 수급관계, 부여에서 익산에 이르는 원거리 수송 등 다양한 유형으로 전개된다. 도성 이외에 충남, 전북 지역에서 확인되는 지방 가마는 백제의 영역이 한반도 서남부 지역으로 확대되면서 건축 수요의 발생과 함께 백제의 와전문화가 확산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On the basis of the chronological changing pattern of decoration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eave-end tiles, this dissertation aim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socio-cultural circumstances and the production systems of the roof tile in Baekje In spite of few historical sources, the Samguk 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records that the royal palace was rebuilt in the 23rd year of King Chogo’s reign (188). Moreover, materials recovered from archaeological surveys on sites represented by the Earthen Fortification in Pungnap-dong, Seoul, suggest that the roof tile production system was established in the late 2nd century (Hanseong Phase). Related to plain roof-tiles, these shares the identical characteristics with pottery making technologies in the contemporary Hanseong Phase such as tools, facilities, and clays of pottery. Roof-tiles in this phase are characterized by decoration of lattice pattern stamped by anvils, and reformation of bar-shaped fine silty clay with 1cm in thickness. In the Ungjin Phase, plain roof-tiles became more harden and practical by the adoption of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molds and bord-shaped clays. Due to rising demand of roof tiles caused by the large-scale construction projects including royal palaces and Buddhist temples, the mass production system of plain roof-tiles represented by the streamlined production process and the systematic regional organization of kilns was established.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ve-end tiles in the Hanseong Phase show the cultural diversities. Along with tiles decorated by the motifs diffused from China, which include coin, lotus flower and beast mask patterns, tiles designed by various indigenous geometric patterns have been uncovered. In addition, shape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tiles were not standardized. In the Ungjin Phase, most recovered eave-end tiles are decorated by lotus flower pattern symbolizing Buddhism. The realistic and three-dimensional description of the lotus flower design,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Ungjin Phase, was culminated in the Sabi Phase. Undecorated eave-end tiles and tiles with pinwheel pattern recovered from royal palaces and mountain fortresses, which symbolize the Taoist culture, seems to be related to the enthronement of King Mu in the 7th century. Spatio-temporal changes of the decoration patterns of the eave-end tiles were closely related to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transfer of the capital from Ungjin to Sabi and the construction of the Sabi Capital in 538, the foundation of Neungsan-ri Temple in 567, the beginning of King Mu’s reign and his attempt to transfer capital from Sabi to Iksan, which began in 600, the lost of Jesoksa Temple, and the foundation of the West Pagoda in Mireuksa Temple, etc. Therefore, designs of the eave-end tiles provide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the socio-political situations and cultural aspects of the Baekje kingdom. Archaeological surveys on roof-tiles suggest that government-run production sites were clustered in present-day Buyeo and Chaeongyang. On the other hand, various supply and demand systems including the site controlled by a temple and the sites supplying tiles to several sources of demand, and long-distant transport lines from Sabi Capital to Iksan are detected. In addition, archaeological remains of local kiln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and Jeollanam-do Province show the dissemination of the roof-tile culture of Baekje along with her territorial expansion to the sou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