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착회피와 대인관계 외상후성장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적극적 스트레스대처의 순차적 매개효과

        심순구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대인관계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성인초기 20대를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한 대인외상으로부터 벗어나 외상후성장으로 나아가는 심리적 기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화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가 애착회피와 외상후성장의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전국 각 지역의 20대를 대상으로 총 318명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고, 309명의 응답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Process macro 4.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화가 애착회피와 외상후성장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애착회피 수준이 높은 경우 외상후성장을 이루기 어렵지만, 정신화 능력 향상을 통해 외상후성장이 촉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전략이 애착회피와 외상후성장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애착회피 수준이 높은 경우 외상후성장을 이루기 어렵지만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전략을 통해 외상후성장이 촉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애착회피와 외상후성장의 관계에서 정신화를 통한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애착회피를 보이는 사람이 외상후성장에 이르기 위해서는 정신화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대인외상 경험자들의 애피회착 수준이 높은 경우, 정신화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이들의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전략 활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변인이며, 이를 통해 외상후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외상후성장을 이루기 위한 교육이나 상담과정에 필요한 필수적인 요인들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과 지역을 편의 표집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으로 참여자들의 반응 왜곡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표집 방법과 설문 방법을 보완하여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상담과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도입이 필요함을 제언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moving away from the interpersonal trauma and toward post-traumatic growth adults in their early 20s experienced, where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s emerged. To this end, we tried to confirm whether mentalization and active stress coping sequen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post-traumatic growth. A total of 318 people in their 20s in each region of the country were conducted, and 309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4.2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entaliz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post-traumatic growth. These results mean that post-traumatic growth can be promoted through improved mentalization ability, although it is difficult to achieve post-traumatic growth when the level of attachment avoidance is high. Second, it was found that an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post-traumatic growth. These results mean that if the level of attachment avoidance is high, it is difficult to achieve post-traumatic growth, but post-traumatic growth is promoted through a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Fin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active stress coping through mentalization was significantly verified. These results mean that it is necessary for people with attachment avoidance to improve their mentalization ability and use an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through it in order to reach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mproving mentalization ability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can promote their active use of stress coping strategies when the level of attachment and attachment of people experiencing interpersonal trauma is high, and through this, post-traumatic growth can be promoted.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an empirical basis for essential factors necessary for education or counseling to achieve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argets and regions because of convenient sampling method and there may be distortion of participants' responses due to online self-report surveys. Therefore, it was suggested and discussed that the sampl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method need to be supplemented and carried ou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ntroduce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counseling and education.

      • 혈액암 환자의 외상후성장 영향요인

        오는정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혈액암 환자를 대상으로 디스트레스,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사회적 지지 변인을 중심으로 외상후성장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22년 11월 14일부터 12월 16일까지 C 대학교 병원에서 혈액암(할당표본추출-림프종 88명(53.3%), 백혈병 48명(29.1%), 다발골수종 29명(17.6%))으로 진단받고 치료 중이거나 치료 종료 후 외래 추적관찰 중인 자로 총 165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디스트레스,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사회적 지지, 외상후성장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디스트레스 평균은 4.03±2.31점(도구 범위: 0~10)으로, 중증(DT≥4) 디스트레스 군은 88명(53.3%)이었다. 중증(DT≥4) 디스트레스 군의 문제목록별 순위 중 가장 높았던 항목은 걱정과 피로가 각각 71.6%(63명)로 가장 높았다. 침습적 반추 평균은 18.36±6.46점(도구 범위: 10~40)이었고, 의도적 반추의 평균은 22.91±6.25점(도구 범위: 10~40)이었다. 사회적 지지 평균은 49.32±8.58점(도구 범위: 12~60)이었으며, 외상후성장 평균은 53.44±19.44점(도구 범위: 0~92)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성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외상후성장은 암 진단 후 경과 시간(F=.26, p=.03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사후검정에서는 그룹별 유의하지 않았다. 디스트레스에 따른 외상후성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대상자의 외상후성장은 의도적 반추(r=.435, p <.001), 사회적 지지(r=.362, p <.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도적 반추(β=.55, p <.001), 사회적 지지(β=0.31, p <.001), 백혈병(β=-.27, p=.007), 침습적반추(β=-.20, p=.014), 림프종 (β=-.17, p=.058), 현재 항암치료를 받는 경우(β=-.17, p=.018), 과거 항암치료와 방사선 치료를 같이 한 경우 (β=-.15, p=.029), 종교가 있는 경우(β=.15, p=.023)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다중 회귀모형의 외상후성장에 대한 설명력은 35.6%였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12.35, p <.001). 본 연구는 혈액암 환자의 외상후성장의 수준을 파악하고, 관련된 영향요인을 확인한 점이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혈액암 환자의 외상후성장을 높이기 위해 질환별, 치료단계별 다각적 접근이 필요하며, 침습적 반추를 줄이고, 의도적 반추를 높이며 대처자원으로 종교를 활용하고,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focusing on variables of distress,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social support, targeting in patients with hematological malignanc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165 people who were diagnosed with hematological malignancies(Allocation sampling-lymphoma 88 (53.3%), leukemia 48 (29.1%), multiple myeloma 29 (17.6%)) at C University Hospital from November 14 to December 16, 2022 and were being treated or were under outpatient follow-up after the end of treatment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distress,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9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distress score of the subjects was 4.03±2.31 points (tool range: 0~10), and there were 88 patients (53.3%) in the severe (DT≥4) distress group. Among the list of problems in the severe (DT≥4) distress group, worry and fatigue were the highest at 71.6% (63 participants), respectively. The average of intrusive rumination was 18.36±6.46 points (tool range: 10~40), and the average of deliberate rumination was 22.91±6.25 points (tool range: 10~40). The average social support was 49.32±8.58 points (tool range: 12~60), and the average posttraumatic growth was 53.44±19.44 points (tool range: 0~92). 2. Posttraumatic growth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traumatic growth according to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after cancer diagnosis (F=.26, p=.039), but it was not significant by group in the post hoc test. Posttraumatic growth due to distr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Posttraumatic growth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liberate rumination (r=.435, p <.001) and social support (r=.362, p <.001). 4. Factors affecting growth after trauma include deliberate rumination (β=.55, p <.001), social support (β=0.31, p <.001), and leukemia (β=-.27, p=.007), intrusive rumination (β=-.20, p=.014), lymphoma (β=-.17, p=.058), current chemotherapy (β=-.17, p=.018), past in the case of both chemotherapy and radiation treatment (β=-.15, p=.029), and in the order of religion (β=.15, p=.023).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for posttraumatic growth in this study was 35.6%, and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2.35, p <.001).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hematological malignancies and identified related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ultilateral approaches by disease and treatment stage are needed to increase posttraumatic growth in hematological malignancies patients, reduce intrusive rumination, increase deliberate rumination, use religion as a coping resource, and increase social support.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rvention program. Keyword: Posttraumatic growth, Hematological Malignancies, Distress,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Social support

      • 심상재각본 집단프로그램이 사건충격과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효과 : 언어화매개전략과 시각화매개전략의 활용

        엄재승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정 수준 이상의 외상을 경험한 성인에게 심상재각본 개입을 이용한 언어화매개전략 집단 프로그램과 시각화매개전략 집단 프로그램이 사건충격과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두 매개전략에 따른 효과와 활용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외상 사건은 각종 전자매체의 발달과 사회적 관계의 변화에 따라 ‘일반적인 인간 경험의 범주를 넘어서는 것’이 아닌 일상 속에서 보편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사건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외상사건에 노출될 수 있는 기회도 많아지고 있다. 외상경험으로 인한 반응은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실존적 차원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가장 대표적인 병리적 질환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외에도 우울, 불안, 정동, 약물남용 등과 상당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같은 외상을 경험해도 모두가 동일한 영향을 받는 것은 아니다. 개인의 대처방식에 따라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거나, 도전을 통해 삶에 긍정적인 성장을 가져올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외상을 경험한 후 개인이 활용할 수 있는 긍정적 대처로서 상담 프로그램은 스스로의 심리적 자원을 활용하여 어려운 상황에서도 질적인 삶의 성장을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개발절차 모형에 따라 사건충격과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상담프로그램을 구조화하였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알려진 심상재각본 기법을 기반으로 상담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의미 있는 외상내러티브를 완성하여 사건충격을 감소시키고 외상 후 성장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보통수준 이상의 외상경험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언어화매개전략 심상재각본 집단(실험집단 1), 시각화매개전략 심상재각본 집단(실험집단 2), 그리고 대기집단으로 배정한 후 실험집단에는 주 3회, 2주간 총 6회기에 걸쳐 언어화매개전략 집단 프로그램, 시각화 매개전략의 심상재각본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대기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이 시작되기 전과 끝나고 난 직후, 그리고 5주 이후 각각 세 집단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취합된 실험집단 1의 11명, 실험집단 2의 12명, 대기집단 1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SPSS 23.0을 이용하여 집단 간 동질성 분석을 위한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과 스트레스 사건충격, 우울, 불안, 침습적 사고, 경험회피와 외상 후 성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대기집단과 실험집단 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사를 위해 Wilcoxon 부호순위 검증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상재각본 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1, 실험집단 2는 대기집단에 비하여 스트레스 사건 충격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며, 사후검사도 유의하였다. 둘째, 심상재각본 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1은 대기집단에 비하여 우울, 경험회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집단 2는 대기집단에 비하여 우울, 불안, 침습적 사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경험회피의 경우 대기집단과의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사후검사 결과 우울, 불안, 침습적 사고, 경험회피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하였다. 셋째, 심상재각본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1, 실험집단 2는 대기집단에 비하여 외상 후 성장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으며 사후검사도 두 집단 모두 유의하였다. 넷째, 심상재각본 개입방법에 차이를 둔 실험집단 1과 실험집단 2는 스트레스 사건충격, 우울, 불안, 침습적 사고와 경험회피, 외상 후 성장의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두 실험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는 보통 이상의 외상사건에 대한 충격을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심상재각본 개입을 이용한 외상 후 성장 프로그램을 체계적 절차에 걸쳐 구조화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언어화매개전략과 시각화매개전략의 두 가지 기법에 따른 심상재각본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와 활용을 비교해 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심상재각본 집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대표적 증상인 침습적 심상과 경쟁할 새롭고 긍정적인 심상을 재구성하여 긍정적 해석을 유도하여 사건충격을 감소시키고, 외상과 관련된 심상을 안전하게 재경험하면서 맥락에 맞는 외상 내러티브를 완성함으로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였음을 시사한다. 또한 두 가지 매개전략에 따른 심상재각본 기법의 비교는 상담자와 참여자에게 적합한 집단프로그램을 활용하는데 유용한 근거가 될 것이다.

      •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의미만들기가 외상후스트레스증상 및 외상후성장에 미치는 영향

        장유빈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에서는 침습적 반추와 외상후스트레스증상 및 외상후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의미만들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외상사건에 대한 반추는 외상후스트레스증상과 외상후성장을 예측하는 주요한 인지적 변인 중 하나이다. 외상사건에 대한 반추는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로 구분되며, 선행연구에서 침습적 반추를 많이 경험하는 사람일수록 의도적 반추의 수준 역시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침습적 반추는 외상후스트레스증상을 높이는 한편 의도적 반추는 외상후성장의 수준을 높이는 인지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도적 반추 역시 외상후스트레스증상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외상 이후 더 나은 심리적 적응을 위해서는 외상후스트레스증상은 완화시키면서도 외상후성장의 경험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는 바, 본 연구는 이에 기여할 수 있는 인지적 요인으로 의미만들기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의미만들기는 외상 이후의 심리적 부적응을 완화시키면서도 외상후성장의 가능성을 높이는 적응적인 대처 방식으로 제안된다. 침습적 반추가 높은 수준의 의도적 반추와 의미만들기로 이어지고, 그 결과 외상후스트레스증상은 낮아지고 외상후성장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을 경험한 전국 대학생 293명(남성 109명, 여성184명)을 대상으로 외상경험질문지,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체크리스트(PCL-5), 외상후성장척도-확장판(PTGI-X),사건관련 반추 척도(ERRI), 의미만들기 척도(MMS)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를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의도적 반추는 외상후스트레스증상과 외상후성장을 각각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침습적 반추가 의미만들기를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의미만들기는 외상후스트레스증상을 부적으로, 외상후성장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와 의미만들기를 순차적으로 거쳐 외상후스트레스증상 및 외상후성장을 각각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즉, 침습적 반추가 높을수록 의도적 반추도 높았으며, 이는 더 높은 수준의 의미만들기로 이어져 외상후스트레스증상은 부적으로 예측하고 외상후성장은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외상후스트레스증상 및 외상후성장과 밀접한 인지적 요인으로 제안되는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그리고 의미만들기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이론적, 임상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Rumination on traumatic events is one of the primary variables predicting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Intrusive rumin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whereas deliberate rumin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However, it has been suggested that deliberate rumination can also increas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order to improve psychological adaptation after experiencing trauma,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post-traumatic growth. In this regard, meaning making is suggested as an adaptive coping strateg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meaning making on posttraumaitc stress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A sample of 293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a series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measuring trauma history, posttrauamtic symptoms, posttraumatic growth, event related rumination, and meaning making. SPSS and Rstudio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intrusive rumination positively predicted deliberat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positively predicted both posttraumatic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Moreover, intrusive rumination negatively predicted meaning making, meaning making predicte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negatively and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ly. Furthermor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meaning making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symptom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intrusive rumination, the higher the deliberate rumination, which led to a higher level of meaning making, and meaning making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아동기 정서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의 반추 양식과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최인영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아동기에 정서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이 외상 후 성장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서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삶의 의미가 어떠한 상관을 갖는지를 살펴보고,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간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성인 374명(평균 연령 만 36.48세)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남성 179명(47.9%)과 여성 195명(52.1%)이 참여하였다. 각 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아동기 정서적 외상 척도(CTQ-SF), 부부폭력노출경험척도(CTS), 한국판 사건관련 반추 척도(K-ERRI),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 삶의 의미 척도(MLQ)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요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침습적 반추는 의도적 반추와 정적 상관이 있었고, 삶의 의미와는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외상 후 성장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도적 반추는 삶의 의미,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삶의 의미는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간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삶의 의미가 각각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침습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간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의도적 반추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침습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의미와 의도적 반추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상기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meaning in life on posttraumatic growth of adults with childhood emotional trauma to verify whether meaning in life and deliberate rumination serve as mediators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 total of 374 participants at age 19 or older (mean age 36.48), of which 179 were males (47.9%), and 195 were females (52.1%), were surveyed.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Short Form (CTQ-SF), Conflict Tactics Scale (CTS), Event-Related Rumination Inventory in Korean (K-ERRI),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 and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MLQ) were administered to assess the variables of interest. SPSS 26.0 and AMOS 23.0 were used to process th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erification of the collected data.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intrusive rumin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liberate ruminatio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eaning in life, a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osttraumatic growth. Deliberate rumin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eaning in life and posttraumatic growth, while meaning in lif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 Second, deliberate rumination and meaning in life were each found to complet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a sequential double mediation effect of meaning in life and deliberate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fou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sttraumatic growth is not directly influenced by intrusive rumination. Rather, intrusive rumination seems to affect posttraumatic growth indirectly through meaning in life and deliberate rumination. This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암환자의 외상후성장과 건강증진행위 : 영적안녕의 매개효과

        박순희 삼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855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암환자의 외상후성장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에서 영적안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경기도와 전라도, 중국 광서성 소재의 3개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암환자 145명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이루어졌다. 외상후성장은 Tedeschi와 Calhoun (1996)이 개발하고 송승훈 등(2009)이 재구성하여 타당도를 검증한 도구, 건강증진행위는 Walker, Sechrist 와 Pender (1987)가 개발하고 오복자(1994)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영적안녕은 Paloutzion과 Ellison (1982)이 개발한 것을 최상순(1990)이 번안하고, 강정호(1996)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증은 Scheffé test로 하였다. 변수간의 관계는 Pearson 상관관계분석, 매개효과분석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외상후성장 정도는 평균 3.57점(6점 척도)으로 하위영역에서는 “새로운 가능성의 변화”가 3.64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인관계의 증가”가 3.47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건강증진행위는 평균 2.98점(4점 척도)으로 하위영역 중 “영양”이 3.26점으로 가장 높았고 “건강책임”이 2.83점으로 가장 낮았다. 영적안녕은 평균 2.96점(4점 척도)으로 종교적 안녕이 3.00점, 실존적 안녕이 2.92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특성에 따른 외상후성장의 차이는 주관 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4.59, p=.004), 건강증진행위는 주관적 건강상태(F=7.28, p<.001)와 진단 후 시기(F=5.16,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영적안녕은 성별(t=-2.79, p=.006)과 종교유무(t=-4.53,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암환자의 외상후성장과 영적안녕(r=0.50, p<.001), 외상후성장과 건강증진행위(r=.51, p<.001), 건강증진행위와 영적안녕(r=.46, p<.001)은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암환자의 외상후성장(β=.39, p<.001)과 영적안녕(β=.25, p<.001)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이었고, 외상후성장과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에서 영적안녕은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Z=2.84,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암환자의 외상후성장이 영적안녕을 증가시켜 건강증진행위 수준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접경로를 확인하였고, 암환자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전략에 매개효과가 입증된 영적안녕을 포함시켜야함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암환자, 외상후성장, 영적안녕, 건강증진행위

      • 대인외상 경험 여성직장인의 포커싱적 태도와 회복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김종철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2021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전국의 직장에 재직하고 있는 성인 여성 600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여성 직장인의 외상 후 성장에 포커싱적태도와 회복탄력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각각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들에 근거하여 검증하였다. 대인관계 외상 경험을 확인하기 위해 전겸구, 김교헌(1991)의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Tedeschi와 Calhoun(1996)의 연구 및 Norris(1990)의 ‘외상 스트레스 사건목록’에서 사용된 외상 사건목록을 참고하여 제작된 ‘외상 사건 12목록’ 중 대인관계 외상이 될 수 있는 8문항(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배신 충격, 적응의 어려움, 대인관계 파탄 등)과 기타 1문항을 사용하여 총 9문항을 사용하였다. 외상 후 성장을 알아보기 위해 본고에서는 Tedeschi와 Calhoun(1996)이 개발한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우리나라에서 송승훈, 이홍석, 박준호, 김교헌(2009)이 번역 및 타당화 작업을 거친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를 이용하였다. 포커싱적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주은선 등(2016)이 개발화 및 타당화한 한국판 포커싱적태도 척도 개정판(KFMS-R)을 사용하였다. 회복탄력성 척도는 신우열 등(2009)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27개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외상 경험 직장여성의 포커싱적태도의 하위요인들은 외상 후 성장의 하위요인들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포커싱적태도의 하위요인인 알아차리기, 여유갖기, 표현하기, 되새겨보기, 받아들이기는 외상 후 성장의 하위요인인 자기지각의 변화, 대인관계의 깊이 증가,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 영적/종교적 관심의 증가 모두와 유의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회복탄력성의 제 요인과 외상 후 성장의 제 요인 사이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통제성은 전반적으로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긍정성 또한 전반적으로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사회성은 영적·종교적 관심 증가와는 무관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르는 포커싱적태도와 회복탄력성 그리고 외상 후 성장의 차이가 있을 것인지 분석한 결과, 포커싱적태도의 경우 연령, 가구소득, 자녀 유무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복탄력성은 가구소득, 교육수준, 종교 유무, 주관적건강, 흡연여부와 관계를 드러냈다. 외상 후 성장은 연령, 가구소득, 교육수준, 혼인 여부, 근속년수, 종교 유무, 자녀 유무와 연관이 있었다. 셋째, 인구사회적 변수들을 통제한 상황에서 외상 후 성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종교 유무, 혼인 여부, 포커싱적태도 중 여유갖기와 되새겨보기, 회복탄력성 중 긍정성인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대인관계 외상 경험 직장여성의 종합적인 포커싱적태도와 회복탄력성은 외상 후 성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와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이 효과들이 부정되거나 충분히 확실하지 않아, 포커싱적태도와 회복탄력성은 각기 별개로 외상 후 성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

      • 대인외상 경험자의 정서강도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정신화에 의해 조절된 정서기반대처의 매개효과

        장유리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대인외상 경험자의 정서강도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를 정서기반대처가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정신화가 이를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해 선별과정을 거쳐 설문을 실시하였고, 대인외상 경험이 있는 성인 400명의 자료가 최종적으로 수집되었다. 설문은 대인외상 경험 질문지, 정서강도 척도(AIM),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 정서기반대처 척도(TMMS, EAC-16), 정신화 척도(K-MentS)로 구성되어 있으며, PROCESS Macro 4.2를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외상 경험자의 긍정 정서강도는 정서기반대처,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이, 부정 정서강도는 정서기반대처와 부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긍정 정서강도, 부정 정서강도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기반대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긍정 정서강도와 정서기반대처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부정 정서강도와 정서기반대처의 관계에서는 정신화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긍정 정서강도가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기반대처의 매개효과가 정신화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대인외상 경험자의 외상 후 성장 수준을 높이는 기제를 경험적으로 확인했다는 것에 있으며, 대인외상 경험자의 치유와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인들을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어: 대인외상, 정서강도, 외상 후 성장, 정서기반대처, 정신화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emotion-focused coping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intensity of interpersonal trauma survivors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whether mentalization moderates it. A screening process was used to select participants and data were finally collected from 400 adults who had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The research model was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4.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ositive affect intens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focused coping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negative affect intens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focused coping in individuals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focused coping was confi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 intensity and posttraumatic growth.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was confi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affect intensity and emotion-focused coping. The moder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ffect intensity and emotion-focused coping.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focused coping between positive affect intensity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moderated by mentaliz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mpirically identifies a mechanism that increases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of interpersonal trauma survivors. Key words: Interpersonal trauma, Affect intensity, Posttraumatic growth, Emotion-focused coping, Mentalization

      • 외상경험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효과

        유현진 아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및 종교에 따른 외상경험, 외상후 성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외상경험, 외상후 성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후 외상경험과 외상후 성장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효과 혹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밝히려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428개의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이 중에서 외상 사건 당시의 고통의 정도를 보통이하로 응답한 사람 70명을 제외한 후 총 358개의 설문지를 본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에 외상경험 질문지, 외상후 성장척도(PIGI),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CERQ)를 이용하였다. 측정도구의 문항분석 및 자료분석은 PASW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고 t-test, 상관분석, 다중회기분석 및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경험, 외상후 성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외상당시고통 및 최근고통 수준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본 후 연령, 성별 및 종교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우선 25세 이상의 집단이 25세 미만 집단보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그 중에서도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영적/종교적 관심의 증가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적 초점변경과 자기비난은 남학생이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에는 종교에 따른 집단 비교에서는 종교가 없는 집단보다 종교가 있는 집단이 외상후 성장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외상당시고통과 최근고통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외상경험 이후 고통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주요 변인들 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외상당시 고통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사람들이 새로운 가능성의 발견, 계획 다시 생각하기, 파국화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고통을 경험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간에 차이를 살펴본 결과 최근고통을 경험하지 않는 사람들이 외상후 성장을 더 많이 경험하고 있고,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경험(외상당시고통 및 최근고통),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적응적 정서조절전략,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 외상후 성장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 외상후 성장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적응적 정서조절전략 간에 정적 상관을 보였고, 최근고통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 간에 정적 상관을 보였고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최근고통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외상당시고통은 최근고통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외상경험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본 결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인 긍정적 재평가가 최근고통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상경험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본 결과 외상당시고통과 외상후 성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외상을 경험한 사람들이 외상후 성장과 같은 긍정적인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기 위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사용과 관련이 있음을 알았고 그 중에서도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이 유용할 수 있으며, 특히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상담 장면에서 외상을 경험한 내담자를 심리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지지해주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자기성찰,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종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 경험자가 침습적 반추에서 의도적 반추로 나아가는 경로에서 심리기제인 자기성찰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와 의도적 반추에서 외상 후 성장으로 나아가는 경로에서 심리기제인 낙관성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자기성찰이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과, 낙관성이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을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외상사건을 경험한 적이 있는 만 20-50세의 전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연구에 참여한 40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척도는 외상 경험 질문지, 외상 후 성장 척도(PTGI), 사건 관련 반추 척도(ERRI: 의도적 반추 척도, 침습적 반추 척도), 자기성찰 척도, 낙관성 척도(LOT-R)이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침습적 반추와 자기성찰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기성찰의 각 하위요인들 역시 의도적 반추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는데, 특히 자기탐색과 자기이해는 다른 하위 요인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자기성찰 특히 자기탐색과 자기이해를 많이 사용할수록 의도적 반추를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의도적 반추와 낙관성 역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낙관적 사고를 많이 사용할수록 외상 후 성장을 많이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간접효과, 직접효과, 총효과의 결과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이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낙관성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간접효과, 직접효과, 총효과의 결과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낙관성이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침습적 반추가 어떠한 심리적 변인에 의해 의도적 반추로 이행하게 되는지에 주목하여 연구한 결과 자기성찰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한다는 점과 의도적 반추가 어떠한 심리적 변인에 의해 외상 후 성장으로 이행하게 되는지를 주목하여 연구한 결과 낙관성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외상 경험으로 인해 도움을 얻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회복과 적응에 있어서 더 성장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즉 외상 경험을 통해 고통을 호소하는 사람들에게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인지적 재구성과 같은 기법을 사용해서 자기성찰, 낙관적인 관점을 훈련하는 것이 외상 후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