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충북지역 고려고분 연구

        이수정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4

        The goal of the study is to observe the transitions of tomb style of Koryo Dynasty by analyzing their structure having found around the Chungbuk province that includes Cheongju and Chungju. For analytical purposes, after dividing the tomb remains into three according to the region, we will then set the period through seriation method after form classification based on the porcelain, earthenware, and metal artifact, which enable us to figure out chronology. Based on such analysis, we analyz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tone lined tomb and pit tomb belong to each sub-periods from the 1st and the 3rd. Lastly, the transitional process and characteristic of grave good for the stone lined tombs and pit tombs were analyzed. The result of analysis reveals that the 1st period start from the 10th century and stone lined tomb prevail. The grave goods include porcelain, like haemuri gup-wan (bowl with a halo shape), plate and flat-bottle. There are a few pit tombs found from this period. The 2nd period starts from the 11th century, during which the number of both stone lined tombs and pit tombs increases and the structural change occurs in niche and yogaeng (the structure formed by inserting artifacts or broken stone under the small hall made on the floor of pit tombs). Various types of porcelain like bowl, plate, and bottle accompanied with many metal artifacts are found in those tombs. Although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quality of the artifacts found from the two forms of tombs, pit tombs contain more grave goods. From the start of the 3rd period, beginning from the 13th century, the number of both types of the tombs rapidly decreases. Stone lined tombs continue to be simplified, to decline and ultimately disappear. On the other hand, pit tomb continues to exist and its tradition remains through Chosun dynasty to the present. The abundance and variety of the grave goods decrease compared to the former period, and more goods are found in pit tombs than in stone lined tombs. The origin of the stone lined tomb of Koryo Dynasty found in Chungbuk province is found in Yong-am Historic Preservation in Cheongju, where all the constructional modes of stone lined tombs of the dynasty has been confirmed. However, in case of the pit tomb, it is hard to follow the origin since no pit tomb of the previous period has been found, although it is known to be built from the prehistoric era. So fa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ld tombs built in Chungbuk province during Koryo dynasty, we have been followed the transitional process in which the stone lined tomb prevailed in the 1st period was gradually replaced by pit tomb and ultimately disappears. We expect more study results to provide further information about the structure of graves of Koryo Dynasty from Chungbuk province. 본고의 목적은 청주와 충주를 중심으로 하는 충북지방에서 그동안 보고된 고려 시대 고분의 구조적인 특징을 파악하여 시기별 변천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논문 전개를 위하여 충북지방의 고려시대 고분 출토 유적을 전체 3지역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확인된 유적의 부장품 중 편년 파악 가능한 도자기와 토기 및 금속유물을 중심으로 형식 분류하여 순서배열법을 통하여 분기 설정을 하였다. 이를 기본으로 1기부터 3기까지 각 분기별 석곽묘와 토광묘가 갖는 구조적 특징을 찾아보고, 마지막으로 석곽묘와 토광묘의 변천과정과 부장품의 특징을 파악하는 순서로 작성되었다. 그 결과 충북의 고려고분은 전 시기인 통일신라시대 고분과 비교하여 동일한 축조수법과 유사한 부장 양상을 찾아보니, 충북의 고려고분의 기원은 충북의 통일신라고분으로부터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특히 석곽묘에 한한 것으로 10세기 전반부터 11세기 전반까지 통일신라시대 전통을 이어받은 석곽묘 위주로 조성되며 해무리굽청자완을 중심으로 접시+편병+가랑비녀 등 간단한 공반 유물양상을 성립하는 시기이다. 11세기 후반 경부터 고분이 수적으로 급증하는 시기로 특히, 토광묘의 조성이 매우 활발해진다. 부장품은 해무리굽완 대신 발을 기본으로 반상기 조합양상을 전 시기에 이어 유지하고, 숟가락+가위+동경+동전+가랑비녀 등 다종다량의 금속 유물이 추가되어 전반적으로 후장(厚葬) 성격이 강하다. 이후 13세기 후반 경부터는 고분 조성이 줄어들면서 석곽묘보다 토광묘의 비중이 높아진다. 부장 유물은 자기(도기) 또는 청동제의 발+접시+병 조합양상은 기본적으로 유지되나, 금속류의 매납이 현격히 줄어든다. 이 후 조선시대로 넘어가며 석곽묘는 충주 단월동II-6호 석곽묘를 마지막으로 그 존재가 충북에서 사라지게 되며, 토광묘는 조선시대 회곽묘와 함께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묘제로 전개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상으로 충북에서 고려시대 고분 연구를 통하여 1기에 석곽묘를 중심으로 축조되었다가 점차 토광묘로 대체되며, 석곽묘가 쇠퇴해가는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추후 충북지역의 고려고분에 대하여 보다 당시 사람들의 행위와 귀결되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타지방과의 비교를 통한 충북의 독특한 고려시대 장법에 대한 특징에 대하여 보다 심도 있게 연구되기를 기대해본다.

      • 渤海 石築墓 硏究

        박규진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442

        Balhae was once an East Asian power that ruled over the immense territory, straddled the northern Korean Peninsula, Manchuria, and Primorskij Krai(Maritime province of Siberia), since the country had been founded in A.D. 698 until it collapsed in A.D. 926. However, it has been little studied with the brief documents compared to other dynasties, and there have been difficulties of direct archaeological research because it does not belong to the current domai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understanding, though, has been developed due to the increase of archaeological data and the cooperative excavation in the Primorskij Krai.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This paper is a study of Balhae tombs, especially of the tombs made of stone. The qualiti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foundation tombs will be investigated through a structural analysis, and the purpose is to verify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m among Balhae tombs. The stone foundation tomb of Balhae is separated to coffin, outer coffin, and chamber according to the external features. They are divided again by the methods of construction and the structural analysis, to A type stone coffin burial(stone slab type) and B type stone coffin burial(mound type) for coffin, to vertical stone lined tomb for outer coffin, and to A type stone chamber tomb(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and B type stone chamber tomb(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gate) for chamber. The other type which is similar to A type stone chamber tomb in the shape, but was constructed in different methods is categorized as C type stone chamber tomb which has to lay the remains in state in the manner of vertical type because the height of burial chamber and tomb passage is low, and the tomb passage cannot be in use. Based on this form classification, various characteristics of Balhae tombs are examined in this paper, that is, such as the methods of construction, tomb passage, burial chamber, ceiling stone, burial mound, and so on. In particular, the structural and regional differences of the stone chamber tombs have been identified. Judging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ructure of Balhae stone chamber tombs is not available for added burial except for A and B type stone chamber tombs. In the case of C type stone chamber tomb, the remains should be laid in state in the manner of vertical type because the height of burial chamber and tomb passage is low and the tomb passage cannot be in use. The context of unearthed skulls in each tomb shows that multi burial has been more found in C type stone chamber tomb than others. The assumption that several remains might have been laid in state is possible since the type is not available for added burial. In this sense, simultaneous-joint burial or sacrificial burial can come into consideration rather than added burial, although there has been an assumption that joint burial of family members was held in the manner of added burial. Given the distribution of each type, A type stone chamber tomb is the most significant burial type only found around the capital in the case of China. The number of the tombs is less than that distributed in Ham-gyeong province. The proportion of B and C type stone chamber tomb is higher, instead. Even though most of the tombs are A type stone chamber tomb in Ham-gyeong province, C type stone chamber tomb and vertical stone lined tomb are also found in the area. Its own grades of rank are shown by largeness of size or existence of mural tomb among the A type stone chamber tombs. In the overall distribution, A type is located around the capital of balhae and Ham-gyeong province, B type is found in Sangkyoung(上京), Joongkyoung(中京), namely, around the capital, even though the number is not that many. C type stone chamber tombs and vertical stone lined tombs, on the other hand,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central area, Ham-gyeong province, and the Primorskij Krai(Maritime Province of Siberia). Therefore, these types of tombs are the representatives most widely spread out in Balhae. At the conclusion, it can be also examined how the central culture of Balhae was spread out to other provinces through C type stone chamber tomb and vertical stone lined tomb, for instance, such as dachengzimuzang(大成子古墳群), located in Solbin-bu(率濱部), and chernyatino5 tombs. Solbin-bu(率濱部) was the area in which Malgal tribe(靺鞨族) resided and pit burials were built. The C type stone chamber tombs and vertical stone lined tombs found in this area, reflect how they were introduc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Balhae. In other words, the possible interpretation is that the burial types of tombs in the central area were transferred to other provinces. Keywords : Balhae, burial type, stone chamber tomb, regional characteristics, added burial,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gate, vertical stone lined tomb, stone coffin burial 발해는 698년 건국되어 926년 멸망할 때까지 228년간 한반도 북부와 만주 및 연해주를 아우르는 거대한 강역을 영위하던 동북아시아의 대국이었다. 하지만 소략한 문헌으로 다른 왕조에 비해 연구가 덜 되었고, 고고학적으로도 현재 대한민국의 영역 밖이라서 직접적인 연구는 어려운 실정이었다. 하지만 최근 고고학적 자료의 증가와 연해주지역의 발굴참여를 계기로 그 이해의 폭이 넓어지게 되었다. 본고는 발해고분의 구조에 관한 연구로, 발해고분 중 돌로 만들어진 고분, 즉 석축묘의 구조적 분석을 통해 그 특징과 지역성 등을 알아보고, 석축묘가 가지는 발해고분의 대표성을 확인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발해 석축묘는 크게 그 매장주체부의 특징에 따라서 관-곽-실로 구분이 되고 다시 축조방법 및 구조적인 차이에 따라 관의 경우 A형석관묘(판석형), B형석관묘(적석형), 곽의 경우 수혈식석곽분, 실의 경우 A형석실분(횡혈식), B형석실분(횡구식) 그리고 형태는 횡혈식석실분과 비슷하지만, 축조방법이 다르며, 묘실과 묘도의 높이가 낮고 실제로 묘도를 이용하지 못하여 A형석실분과 달리 수혈식으로 시신을 안치할 수밖에 없는 형식을 C형석실분으로 구분하였다. 위의 형식 분류를 기준으로 고분의 여러 가지 속성 즉 축조방법, 묘도, 묘실, 천정개석, 봉토 등을 고분의 형식별로 살펴보았는데, 특히 석실분의 경우 각각의 형식별로 구조적, 지역적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발해고분 중 석실분의 경우 구조적으로 A형과 B형석실분을 제외하고는 추가장이 불가능한 구조이다. C형석실분의 경우 묘실과 묘도의 높이가 낮고 묘도 또한 실제로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시신은 수혈식으로 안치되어야한다. 각 고분 내 인골 출토상황을 살펴보면, 다른 석실분보다 C형석실분에서 다인장의 사례를 많이 확인 할 수 있는데, 이 형식은 추가장이 불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여러 명의 인골이 동시에 안치되었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사실에 대해서는 그간 가족성원간의 합장묘로 추가장이 이루어진 결과로 해석되어 왔지만, 앞의 사실을 살펴볼 때 추가장 보다는 합장 혹은 순장의 존재를 상정해 볼 수 있다. 석축묘의 각 유형별 분포양상을 봤을 때 A형석실분은 중국의 경우 왕도 근처에서만 확인이 되는 최상위묘제로 그 수는 함경도 일원의 A형석실분에 비해 분포비율이 낮다. 대신 중국경내의 경우 B형석실분과 C형석실분의 비중이 높다. 함경도 지역은 A형석실분이 대부분이고 여기에 C형석실분과 수혈식석곽분을 찾아볼 수 있다. 같은 A형석실분 안에서도 대형의 고분이나 벽화분의 존재를 통해 자체적인 위계차를 엿볼 수 있다. 각 형식별 종합적인 분포상황을 보면, A형의 경우 왕도근처와 함경도일원, B형의 경우 그 수가 많지 않으나 역시 상경이나 중경지역 즉 왕도 근처에서 확인가능하다. 반면 C형과 수혈식석곽분의 경우 중앙지역, 함경도지역, 연해주지역까지 널리 분포를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유형의 묘제를 발해에서 가장 널리 퍼진 대표적인 묘제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C형석실분과 수혈식석곽분을 통해서 발해의 중앙문화가 지방으로 파급되는 양상도 볼 수 있다. 솔빈부에 위치한 대성자고분군이나 체르냐찌노5고분군의 경우가 이 사례에 해당된다. 솔빈부는 말갈족이 거주하던 지역으로, 이곳은 전통적으로 토광묘가 조성되던 곳이다. 여기에서 발견된 C형석실분과 수혈식석곽분은 발해건국이후에 이곳으로 유입된 정황을 반영하고 이는 즉 중앙의 묘제가 지방으로 전해진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주제어 : 발해, 묘제, 고분, 석실분, 지역성, 추가장, 횡혈식, 횡구식, 수혈식석곽분, 석관묘

      • 강원지역의 고려시대 고분 연구

        박해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254

        This is a research on identified tombs of Koryo Dynasty in Gangwon province. Gangwon province is divided into Yungdong(Eastern part from the ridge) and Yungseo(Western part from the ridge), and these two areas were tied up as one province but have different cultures because of the Taebaek Mountains blocking them. A lot of Shilla tombs were found in Yungdong area while comparatively a few of them were found in Yungseo area when we checked on the quantities of excavated tombs of Shilla Dynasty. But recently the cases of excavation of Koyeo tombs are increasing both in Yungdong and Yungseo. I think it showed that the same type of grave appeared all over the nation as it was changing from the decentralization system to centralization system. Excavation in Gangwon province was insufficient compare to Kyu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and just a barrow group at Bangnae-ri was reported before recent excavations. Since then, one stone lined tomb(grave in piled stones) was identified in Iro-dong of Donghae city. Samok-ri complex of tombs was located in a limestone area, and a large number of relics and remains were excavated in a pretty good condition there. 80% of identified tombs were lower-class tomb buried with a wooden coffin. Many stone lined tombs and lower-class tombs were buried with filling many broken stones over. 3 stone lined tombs and 1 lower-class tomb were identified at the complex of tombs in Uchun-myun Hwengsung of Yungseo region. 6 lower-class tombs of Koryo dynasty were identified at Daejin-ri historic site in Kosung. I confirmed and examined the tomb style of Koryo tombs in Gangwon province identified so far around the stone lined tomb and the lower-class tomb judged as the upper class’s not the king’s or royal family’s. I excluded non-excavated tombs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judgement and cave-sites because of different conditions of location. I judged about tombs of Koryo dynasty using literature-materials to confirm the general shape of tombs. It is judged that the quantities of tombs of Shilla dynasty of Yungseo and Yungdong regions were confirmed differently because of the process of the unification of three nations and changes of tomb style and the quantities of tombs of Yungseo and Yungdong regions were confirmed equally as centralization was getting stronger and the same cultural sphere was formed. I think the unity of tomb style was established with formation of unitary state from Koryo dynasty to Chosun. There were a few identified groups of tombs and a few researches on Gangwon province, but more tombs will be founded in the future and they will do some important work in confirming the culture of Koryo dynasty in Gangwon province. 본고에서는 강원지역에서 확인된 고려시대 고분에 대한 연구이다. 강원지역은 태백산맥을 기준으로 영서와 영동으로 나뉘는데 영서지역과 영동지역은 큰 산맥에 막혀 같은 지역으로 묶여 있지만, 서로 다른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신라시대 고분의 출토 개체수를 확인해 보면 영동권에서는 신라시대 고분이 많이 확인되는데, 영서지역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신라고분이 확인된다. 그러나 강원지역의 고려고분은 근래에 영동과 영서지역 모두 발굴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는 지방분권에서 중앙집권으로 변화하면서, 고려시대에는 전국적으로 동일한 묘제양식을 바탕으로 시기와 지형에 따라 묘제방식의 변화로 판단된다. 경기지역과 충청지역에 비하면 강원지역은 발굴의 미흡으로 근래에 확인되기 전에는 강릉지역 방내리 고분군만 보고되었다. 이후 발견 유적인 동해 이로동에서 1기의 석곽묘과 확인되었다. 삼옥리 고분군은 석회암 지역으로 유물과 유골이 상당히 양호하게 출토되었다. 확인된 고분의 80%는 토광묘이고, 목관을 사용하여 매장하였다. 다수의 토광묘와 석곽묘에서는 그 위에 많은 할석을 충진하여 매장되었다. 영서지역인 횡성 우천면 고분군에서는 석곽묘 3기와 토광묘 1기가 확인되었다. 고성 대진리 유적에서는 고려시대 토광묘 6기가 확인 되었다.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확인된 강원지역 고려고분의 묘제방식을 확인하고, 왕과 왕족의 묘제가 아닌 상류층의 고분양식으로 판단되는 석곽묘와 토광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발굴되지 않은 고분에 대해서는 양식 판단에 있어서 제약이 존재하여 본고에서는 제외하였으며, 입지 조건이 다른 동굴 유적 또한 포함시키지 않았다. 일반적인 묘제의 형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자료를 통해 고려시대 묘제에 대해 판단하고, 그를 통해서 강원지역 고려고분에 대해 고찰하였다. 영서지역과 영동지역에서 신라시대 고분 개체수가 다르게 확인되는데, 이것은 삼국통일의 과정과 함께 통일신라에 고분 양식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며, 고려시대 고분은 영서 영동 모두 동일하게 확인되는 것은 통일신라 이후 중앙집권화가 더욱 강력해지면서, 동일 문화권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 이후의 조선시대까지 단일 국가를 형성과 함께 묘제방식의 통일성이 확립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지금까지 확인된 고분군이 적어 지금까지 연구되어지지 않은 강원지역이지만, 앞으로 더 많은 고분이 확인될 것으로 판단되며, 고려시대 강원지역의 문화를 확인하는데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