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趙泰億의 使行文學 연구 : 對日觀을 중심으로

        조영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724

        본 논문에서는 1711년 신묘사행의 정사 趙泰億(1675∼1728)의 사행문학을 통해 그의 대일관을 연구하였다. 1711년 신묘사행은 임란 이후 시작된 조선후기 통신사행에 있어서 시기적으로 중간에 놓인 사행이며, 회차로는 여덟 번째 사행이다. 조태억은 정사로 일본을 사행하며 그 체험을 개인문집인 『謙齋集』6, 7, 8권에「東?錄」으로 남겼다. 그러나 『겸재집』이 미간행 문집인데다가 「동사록」이 『海行摠載』에 실리지 못해 접근성이 떨어져 사행문학 연구에 있어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또한 이 시기의 사행문학이 여항 문인들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었기 때문에 정사로서 일본을 사행한 조태억 연구는 사행문학 연구의 주류를 차지하지 못했다. 현재까지 조태억 개인을 조망한 연구는 없었으며, 대체로 막부의 집정관으로 통신사 접대를 담당한 新井白石와 관련된 연구에서 조태억이 거론되었다. 신묘사행은 이전 회차인 1682년 임술사행부터 조일 양국 간에 늘어나기 시작한 문화적 교류의 분위기를 타고 많은 교류의 흔적을 남긴 사행이다. 조태억도 이러한 문화 교류의 흐름에 합류하고 있었다. 제술관 1인, 서기 3인이라는 사문사 체제가 정립된 이 시기, 조태억은 정사였기 때문에 일본인과의 시문 교류에 의무가 없었지만 그의 「동사록」에는 일본인들과 교류한 시들이 다수 포함되어있다. 그리고 이 시들 중 일부는 일본에서 간행된 필담창화집 23종에 수록되어 있다. 이 밖에서 일본인에게 보낸 서문과 贊, 銘이 『겸재집』내에 수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자료들에는 일본인과의 교류뿐 아니라 일본에 대한 조태억의 선험적 인식과 일본 각 지역에서의 견문 및 술회가 드러나 있어 조태억의 대일관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로 활용되었다. 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조태억이 일본을 체험하기 이전에 지니고 있던 일본에 대한 선험적 인식과 주변인들의 ?章을 통해 사행에 임하는 태도를 세 가지로 나누어 살폈다. 먼저, 조태억은 일본 사행을 새로운 유람으로 생각하고 기대했으며 주변인들도 일본의 자연 경관을 즐기고 돌아올 것을 당부했다. 두 번째로 임진왜란이 끝난 후 100년이 지난 시기였지만 일본이 임진왜란의 주범국이라는 것에 적개심을 지니고 사행에 임했다. 일본이 전쟁의 원흉이라는 사실은 주변인들도 잊지 못하는 터였지만, 일본에 대해 복수의 의지를 다지는 인물이 있는가 하면, 과거보다 현재의 교린 상태를 중요시하여 和로써 대할 것을 당부하는 인물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태억은 존화주의에 입각하여 일본을 이적시하며 사행에 임했다. 조태억의 주변인들도 마찬가지로 일본에 대해 이적으로 파악하는 관점을 지녔다. 기본적으로 조선을 오랑캐인 일본보다 우위에 두는 입장에서, 회유와 유화책으로 일본인을 대할 것을 당부하거나 인간의 본성과 감정은 같은 것이라는 이해 아래 대등하게 대해야 함을 강조했다. 실제 일본을 체험하며 선험적 인식과 태도는 유지되거나 변형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본 체험을 통한 조태억의 대일관이 형성되었다. 본고에서는 조태억의 대일관을 일본의 자연, 일본의 문물, 일본인에 대한 것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조태억은 일본의 자연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기행시와 창화시를 막론하고 일본의 승경을 찬미하였으며, 자연을 우열논쟁의 대상으로 파악하지 않고 일본의 것이더라도 좋으면 받아들이는 태도를 보였다. 두 번째로 일본 문물의 장점을 포착하는데 주력했다. 임진왜란의 주범으로 여겨지던 豊臣 가문을 무너트린 德川 가문의 위업을 높이는 것으로 일본에 대한 적개심을 해소한 후 일본의 번화와 좋은 점을 시의 소재로 삼았다. 일본의 우수한 풍속을 기록했으며 중국의 제도와 비교해 우월성을 인정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일본인에게서 교화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新井白石을 만나 소통하면서 武國으로 인식했던 일본이 文을 향해 변화해가는 분위기를 느꼈고 중화로의 교화를 유도했다. 시문에 익숙하지 않은 일본인에게도 시문을 보내어 文을 통해 소통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조태억이 일본을 체험하기 이전에 지니고 있던 일본에 대한 선험적 인식은 당대인들이 보편적으로 지니고 있던 것이면서도 조태억이 속한 소론계의 일본 인식과 맥을 나란히 하는 것으로, 적개심과 이적관을 유지하면서도 일본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강조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조태억이 실제 체험한 일본은 훌륭한 자연 경관을 지녔고 앞선 제도 등 좋은 을 발견할 수 있는 공간이었으며 文에도 관심을 보이는 나라였다. 이에 기본적으로 우호적인 태도를 지녔던 조태억은 일본에 대한 이해와 인정의 범위를 넓히고 그들에게 한 발짝 나아가 포용하려는 대일관을 보였다. 비록 중화주의나 화이관에서 탈피하거나 실학적 태도로 일본을 배우는 것에까지 미치지는 못했지만 일본에 대한 열린 자세는 선구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기의 연구들은 대체로 위항 문사들에게 초점을 맞추었지만 정사였던 조태억도 문화교류의 일면을 차지했으며 대일관에 있어서도 상당히 포용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조태억 개인에게 있어서는 사대부로서 경직되지 않은 대일관을 지닌 인물이었다는 점에 그의 사행문학 연구에 의의가 있다. 한편으로 사행문학사의 흐름 속에서 홍세태·신유한 및 여항의 문인들과 함께 사행문학이 심화를 이루는데 초석을 다졌다는 것에 조태억 사행문학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의 대일관(對日觀)과 피살(被殺) 배경에 관한 연구

        이정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483

        본 논문은 구한말의 관료였던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 1855~1907)의 대일관(對日觀)과 피살 배경을 분석한다. 이남규는 그의 생애(生涯)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정통 유학자였으며 주요 관직을 두루 거치는 가운데 일본의 침략에 맞서 일관된 삶을 견지(堅持)한 애국지사이다. 수당(修堂)은 구한말 개화기에 접어들기 이전 1882년에 과거에 급제하였고 1907년 순국했다. 그의 사후(死後) 60여년이 지난 1970년대부터 당시 저명한 역사학자들을 중심으로 그의 삶과 사상을 조명하기 시작하였으나 시(詩), 서간(書簡), 상소(上疏)를 중심으로 연구·분석해 온 경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상소문에서는 그의 강직함과 철저한 반일정신(反日精神), 전국적으로 거세게 일었던 항일의병에서의 역할까지 일관된 자세로 외세침략에 맞서왔던 수당(修堂)의 주장이 다수 연구되었다. 그러나, 이남규는 아들 충구(忠求)와 함께 일본군에 의해 죽임을 당했던 비운의 인물로서 그가 벼슬에 있을 때 시종일관 배일(排日)을 주장했고, 국세(國勢)가 기울어지자 민종식(閔宗植)이 이끌던 홍주의진(洪州義陣)에 즉각 선봉장으로 이름을 올릴 만큼 반일(反日)사상이 투철했다. 그것이 그가 비극적 운명을 맞이한 결정적인 이유로도 작용했다면 당시 개화기의 시대적 상황과 연결되어 수당이 일본군의 압송과정에서 돌발적으로 살해 당했다고 다루어진 피살 의혹에 대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군이 수당(修堂)을 잔혹하게 살해한 정치적 의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점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고 있다.《매천야록》,《대한매일신보》등에서의 단편적인 보도에서 나타난 의혹제기에 대해서도 국제적 정세와 맞물려 거시적(巨視的)인 측면에서 분석했다. 또한, 일제가 대한제국을 강탈하던 격동의 시기에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 항일외교활동을 벌였던 해학(海鶴) 이기(李沂)라는 인물과의 교류를 통해 동지(同志) 관계가 형성 되었고, 이기(李沂)의 강개(慷慨)함에서 드러난 항일투쟁의 외교적 확장과 전제개혁(田制改革)에도 크게 관심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1885년 청·일 간에 천진조약이 맺어진 이후, 1894년(고종 31)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이 발발하자 일본은 조선에 군사를 파병하려고 작심했다. 조선의 친청(親淸) 민씨 척족정권(戚族政權)은 동학농민군을 진압하기 위해 청군의 파병을 요청했다. 이 일은 일본군을 조선에 끌어들인 악수(惡手)로 이어졌다. 일본은 조선의 청(淸)에 대한 파병요청 하루전에 이미 파병을 결의한 상태에서 곧바로 인천에 상륙해 서울로 입경했다. 이때 수당(修堂)은 일본을 적(敵)으로 보고 왜(倭)와 단절하기를 주장하는 <청절왜소請絶倭疏>를 올려 일본의 속내를 꿰뜷고 일본을 구축(驅逐)하자고 주장하는 상소(上疏)를 통해 이남규의 항일관(抗日觀)에 대해 분석했다. 원산항 감리 파면사건에서는 조선백성을 위하는 정치가 아니라 일본의 이익을 더 추구하는 인물로서 그 당시 개화파의 핵심 인물인 원산항 감리 윤치호(尹致昊)를 파면해 그의 대일관(對日觀)과 애민정치(愛民政治)의 경계(鏡戒)로 삼았다. 이남규가 죽임을 당한 1907년 9월 26일은 고종이 헤이그 밀사사건의 책임을 추궁당한 끝에 제위(帝位)에서 강제로 쫓겨난 날(7월19일)과, 이완용 친일내각이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와 정미7조약(丁未七條約)이라고도 불리는 이른바 한일신협약을 체결(7월24일)한지 불과 두 달 만이다. 고종의 강제퇴위와 한국 정부가 일본인 통감의 지도를 받는 것을 골자로 하는 한일신협약으로 다시 의병항쟁의 불길이 거세게 일어났던 당시, 이남규가 호서 의병의 주축이 될 것을 우려해 친일내각과 일제가 살해했을 개연성이 있음을 분석했다. 특히, 일본이 처한 국제적 정세와 전국적으로 중기 항일의병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내포에서 거세게 일었던 항일의병에서 정신적 지주로서 수당 이남규가 차지하는 비중이 그만큼 컸음을 입증했다. 수당 이남규는 그가 문과(文科)에 급제한 이후, 조정에서 벼슬하던 시기였던 사환기(仕宦期, 1882~1900)를 중심으로 나타난 철저한 국가관을 볼 때, 결단코 배일정신(排日精神)을 굽히지 않았다. 함경도안렴사의 官職에서 물러난 직후 줄곧 고향 예산에서 머물렀던 은거기(隱居期,1901~1907)에 일본군에 잡혀가다 1907년 8월 생애를 마감했다. 그는 중기 항일의병 활동의 정신적 지주로서 일본인들의 두려움의 존재가 됐고, 올바른 국가관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 인물이다. 수당(修堂)은 비록 文人으로서 항일의병 활동에서의 역할과 한계는 있었지만, 당시 구한말의 급변하는 세계사의 흐름속에서 철저한 배일사상(排日思想)으로 무장된 국가관(國家觀)은 결코 타협할 수 없다는 것과,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라는 인물의 재조명을 통해 올바른 역사관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 이덕무의 일본에 관한 지식의 형성과정

        박혜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354

        이덕무가 살았던 18세기 후반은 일본인을 야만시·이적시 하던 기존의 대일관(對日觀)에 대한 반성이 일어나던 시기였다. 이와 같은 변화는 연암그룹에 의해 주도되었는데 특히 1764년 일본 사행을 다녀온 원중거와 성대중이 발신한 일본 정보에 의해 촉발되었다. 이들이 전달하는 최신의 일본 사정과 일본 지식인들과의 교유 체험은 이덕무의 대외인식과 홍대용의 수평적 우도론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명(明)과 그 이전의 중국 문물에 한정되었던 관심이 동시대의 일본은 물론이고 청(淸)의 문물로 확대되는 소위 ‘병세(幷世)’라는 사유방식의 발단이 되었다. 본고는 이덕무의 일본에 관한 지식의 형성 과정을 정보의 수신과 이를 바탕으로 한 정보의 처리, 즉 지식화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덕무가 일본 정보를 수집하는 주요한 역할을 한 발신처로는 1764년 일본에 다녀온 원중거·성대중 발(發)의 정보와 국내외 일본 관련 연구서를 들 수 있다. 특히 원중거와 성대중 발의 정보는 이덕무가 일본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대외의식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자는 이덕무가 일본에 관한 정보를 체계화하고 집적화하는 데 있어 그 바탕이 되었다. 이와 같이 수신한 정보는 지식화된다. 일본 시문의 경우, ‘편찬’의 방법으로 지식화되었는데 이는 중국 시문에 비해 생소한 일본 시문을 처음 접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청령국지』의 경우 수집된 정보 중 그 사실관계가 상충되는 것을 비교하여 정리하고 올바른 정보라 여겨지는 것을 나열·요약하였으며, 조선 지식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기존의 정보를 재구성하여 변형시켰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대상을 추론하는‘편집’의 방법으로 지식화하였다. 『청령국지』의 항목에서 독자들은 비왜(備倭)[여지·병전·이국]나 이용후생(利用厚生)[기복·물산]이나 경사(經史)의 보완[예문]이라는 의식을 찾을 수 있으나, 이덕무는 이와 같은 의식을 제시하는 데 편집의 목적을 두지 않았다. 『청령국지』의 편집 방식은 처음부터 편집자의 특정한 태도를 드러내는 데 유용한 방식이기보다는 독자들이 일본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편리한 형태로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중국사서보다 당대 생활지(生活誌) 성격이 강한 화한삼재도회(1712년)를 신뢰하고 인용했다는 점에서 실용서로서의 성격을 보여준다. 즉 『청령국지』는 복합적 의식의 소산이면서 편집 방식은 유용한 지식의 추구를 보여준다. 그 바탕에는 이덕무의 지식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일본 정보에 대한 저직 호기심이 존재하며, 이는 당대 실학자들의 실용서 편찬의 경향과도 연결되는 것이다.

      • 일본 여행과 일본 인식

        송광은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339

        This thesis is to find out the impact on an attitude toward Japan after visiting Japan. To this end, this paper was undertaken by focusing on travel enthusiasts to Japan, a specific group among Korean travelers. This study shows that this group is divided into the one and the other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Japan. The former distinguishes between the Japanese culture and Japan as a source of Anti-Japanese sentiment, which causes ambivalence toward Japan. However, the latter opposes this structure of feeling and argues that it is impossible making the distinction because the Japanese culture and Japan have a complex interrelation. Therefore, the latter criticizes Korean who tries to divide Japan into parties and, moreover, perceives Japan as more complicated with dialectical cognition. According to them, travel to Japan provides travelers a chance to reason and redefine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