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Empowerment)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를 중심으로

        송지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703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에서 일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환자와 그 가족, 지역주민을 클라이언트로 한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사회적 문제, 인간관계의 활동 및 문제, 특히 가족간의 대인관계 및 역할, 기능의 문제를 환자와 관련된 가족 및 환자, 의미 있는 타인들에게 설명하여 주며, 치료팀의 일원으로 가담하여 정신장애인을 도와주는 기능을 해야(Patch & Vettraino, 1974 ; 이영실, 1989)하는데, 중요한 점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정신보건사회복지의 어느 한 기능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예방, 치료, 재활적 측면의 통합적 기능에 모든 초점을 두어야 한다(이영실, 1995)는 것이다.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의 재활적 측면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의 동기를 촉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클라이언트의 변화된 삶의 환경에 적응하고 대처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임파워먼트 형성은 사회복지실천의 핵심적인 역할이며,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클라이언트의 임파워먼트 형성의 매개체는 사회복지사 자신임이 강조되어왔다. 하지만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를 증대시키기 위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약했던 것이 사실이었고, 우리나라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정신보건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수준 및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의 경영이나 행정에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직특성 변수, 직무특성 변수, 개인특성 변수로 분류하는 임파워먼트의 영향력을 고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설정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파악한다. 【2】조직특성 변수들이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3】직무특성 변수들이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4】개인특성 변수들이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5】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살펴본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크게 조직특성요인, 직무특성요인, 개인특성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조직특성요인으로는 리더쉽, 직원개발기회, 보상체계를, 직무특성요인으로는 과업다양성, 과업중요성, 개인특성변수로는 자아존중감, 통제위치인 자율적 자기통제와 대인통제로 설정하였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를 측정하기 위하여 Donal R Leslie, Carol M Holzhalb, Thomas P Holland(1998)가 개발한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척도(WES)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임파워먼트를 업무환경통제, 업무수행관련성, 개인적업무지향으로 분류하여 하위척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임파워먼트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분석한 후 세부적으로 각각의 하위척도 역시 종속변수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는 전국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 48개 중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근무하고 있는 곳 33개의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 73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04년 4월 17일 ∼ 2004년 5월 10일까지 약 4주간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총 73부 중 59부의 설문지가 회송되었으나, 답이 불성실하고 적합하지 않은 2부는 제외하여 최종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총 57부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성별에 있어 여자가 94.7% (54명), 남자가 5.3%(3명)의 분포를 보였으며, 학력에 있어서는 대졸이 59.6%(34명)를 차지하였고, 대학원 재학중이 28.1%(16명), 대학원 졸업은 12.3%(7명)를 차지하여 40.4%(23명)가 대학원재학중 이상의 고학력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에 있어서는 개신교가 57.9%(33명), 무교가 21.1(12명), 천주교가 15.8%(9명), 불교가 5.3%(3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신교가 전체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전공여부에 관해서는 학부 사회복지 전공자가 96.5%(55명), 학부에서는 사회복지 이외의 전공, 대학원에서 사회복지 전공자가 3.5%(2명)를 차지하였다. 정신보건센터에서는 학부나 대학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지 않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없음을 알 수 있다. 주요 담당 분야를 살펴보면 주간재활프로그램이 33.3%(19명), 사례관리가 21.1%(12명), 기타(노숙자관리 사업, 아동청소년 관련 사업, 학교사회사업 등) 17.6%(10명), 사업기획 및 예산 14.0%(8명), 직업재활 14.0%(8명)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 중 약 90%가 클라이언트의 직접적인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었다. 직위에 있어서는 일반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78.9%(45명)이었고, 팀장급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12.3%(7명), 선임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8.8%(5명)을 차지하였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급수는 2급이 94.7%(54명), 1급은 5.3%(3명)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에서 일하는 대부분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2급 자격 소지자로 조사되었다. 조직특성 변수의 기술적 분석을 살펴보면, 먼저 보상체계에 대한 평균은 2.7281점으로 Likert 5점 척도 중 그저 그렇다 (3점) 이하를 나타내고 있고 조직특성 변수 중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정신보건센터의 보상체계에 대한 공정성과 만족성은 낮게 나타나고 있다. 보상체계 중 가장 만족스러운 항목으로는 "내가 수행하고 있는 직무는 나에게 성장기회를 제공해 준다."로 5점 기준으로 3.9123점이었고, 불만족스러운 항목은 "우리 조직 내에서는 노력한 결과만큼의 충분한 승진기회가 제공되어 있다." 와 "우리 조직에서는 모든 과업에 대해 훌륭한 일과 기여에 대하여 보상을 한다.로 각각 평균 2.3509점이었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은 일을 통해 얻는 자신의 성장기회 제공 등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는 반면, 승진기회, 기여에 대한 보상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정신보건센터가 소수의 인원으로 구성되고 이직률이 높기 때문에 승진의 한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인식한 정신보건센터의 리더에 대한 평가인 정신보건센터장의 리더쉽에 대한 평균은 2.8170점으로 보상체계에 이어 낮은 값을 나타냈다. 대부분의 정신보건센터에서 정신보건센터장은 비상근으로 근무하고 있는 실정이라서 이러한 분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직원개발 기회는 3.4094점으로 보상체계에 비해서는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직무특성 변수의 기술적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과업다양성에 대한 인식은 3.9591점으로 높았고, 과업중요성은 모든 독립변수 중에서 가장 높은 4.1316점을 나타냈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은 본인이 담당하고 있는 업무에 대하여 다양한 기술과 재능을 필요로 하며 자신의 업무가 정신보건센터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자신의 업무가 비교적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개인특성 변수의 기술적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총점 5점을 표준화하였을 때 자아 존중감의 평균은 3.9737점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자기통제의 평균은 3.9193점으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은 타인의 생각이나 영향보다 자기의 판단이나 생각에 기반 하여 행동하고 선택하는 경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대인통제의 평균은 3.6798점으로 개인특성 변수 중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차지하고 있지만, 총점 5점 중에서 3.67점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타인에 대한 영향력은 비교적 높은 수치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자아존중감, 자기통제, 대인통제 수준은 상당히 높다고 볼 수 있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을 살펴보면, 총점 5점으로 표준화하였을 때 전체 임파워먼트 평균은 3.6676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 보면, 업무환경통제는 3.7485점, 업무수행관련성은 3.3947점으로 가장 낮은 임파워먼트 수준을 보이고 있고, 개인적 업무지향은 3.859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인 임파워먼트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 변수별 회귀분석, 종합 회귀분석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로는, 본 연구에서 설정했던 대부분의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임파워먼트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독립변수를 추출하기 위해 종합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임파워먼트와 모든 독립변수, 일반적 사항과의 종합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조직특성 변수 중에서는 보상체계와 리더쉽이, 직무특성 변수 중에서는 과업중요성, 개인특성 변수 중에서는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가, 일반적 사항에서는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전체 임파워먼트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전체 임파워먼트와 각각의 특성 변수들의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개인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344으로 전체 임파워먼트 설명하는 데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직무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198, 조직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136 순으로 각 변수의 전체 임파워먼트에 대한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검증을 통해, 전체 임파워먼트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개인특성 변수였으며,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조직특성 변수라고 볼 수 있다. 업무환경통제와 모든 독립변수와의 종합회귀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조직특성 변에서는 보상체계와 리더쉽이, 직무특성 변수에서는 과업중요성이, 일반적 사항에서는 직위가 높을수록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었고, 개인특성 변수에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 변수가 업무환경통제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업무환경통제와 각각의 특성 변수들의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개인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364로 업무환경통제를 설명하는데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직무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114, 조직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016 순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업무환경통제에서도 역시 개인특성 변수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조직특성 변수의 설명력은 현저하게 낮았다. 업무수행 관련성과 모든 독립변수와의 종합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업무수행관련성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조직특성 변수 중 리더쉽 변수를 들 수 있으며, 직무특성에는 과업다양성 변수, 개인특성 변수에서는 자기통제 변수가 , 업무수행관련성에 상대적 영향력이 높은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업무수행 관련성과 각각의 특성 변수들의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조직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144로 업무수행 관련성을 높게 설명하고 있고, 개인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085, 직무특성 변수가 .068 순으로 업무수행 관련성과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업무수행 관련성의 경우 임파워먼트의 다른 하위개념과 비교해 볼 때. 특이할 만한 사항은 조직특성 변수인 리더쉽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또한 각각의 특성 변수들의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조직특성 변수가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고, 개인특성 변수나 직무특성 변수의 설명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개인적 업무지향과 모든 독립변수와의 종합회귀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조직특성 변수로는 보상체계와 직원개발기회 변수가, 직무특성 변수로는 과업중요성 변수가, 개인특성 변수로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 변수가, 일반적 사항에서는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개인적 업무지향에 영향을 주었다. 개인적 업무지향과 각각의 특성 변수들의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조직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271로 개인적 업무지향을 설명하는데 월등히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개인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223, 직무특성 변수의 조정된 R².가 074 순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본 연구에서 설정했던 독립변수 중에서 임파워먼트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는 조직특성 변수 중 보상체계와 리더쉽 변수와 직무특성 변수 중 과업중요성 변수, 개인특성 변수 중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 변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조직특성 변수와 관련해서, 첫 번째로, 공정하고 적절한 물리적·정서적 보상체계의 확충을 들 수 있다. 현재 정신보건센터의 재정수준을 고려해볼 때, 물리적 보상체계가 즉각적으로 확보되는 데는 어려움이 있으리라 판단된다. 하지만 2003년 12월 정신보건법의 개정 이후 정신보건센터의 보상체계가 체계화되어 가고 있는 과도기적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보상체계는 비단 물리적 수단 뿐만 아니라 정서적 방법인 지지, 격려, 업무에 대한 공정한 평가, 성과에 대한 칭찬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대부분은 자신의 과업이 동료나 리더에게 인정받았을 때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아졌다고 하였다. 두 번째로, 정신보건센터장의 변혁적 리더쉽의 개발이 필요하다.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의 대부분은 직원수가 3 ∼ 20명 내외로 규모가 크지 않아 영리조직에 비해 리더와의 접촉이 많아야 하지만 정신보건센터장의 대부분이 비상근 인력으로 구분되어 있어 변혁적 리더쉽을 발휘할 기회조차 없는 것이 정신보건센터의 실정이다. 또한 리더의 성향과 생각은 조직 정책과 조직문화에 많은 영향을 주므로 직원들에게 만족과 신뢰를 줄 수 있는 리더의 리더쉽 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변혁적 리더쉽의 주요한 특성은 자율성을 부여하고, 명확한 목표와 적절한 지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리더쉽에 대한 평가가 2.8170점으로 중간(그저 그렇다)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정신보건센터장의 리더쉽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직원들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리더쉽 개발이 중요한 이유는 앞서 제시하였던 보상체계, 뒤에 나올 직원개발 기회와 같은 기관의 정책을 실질적으로 결정하는 책임자이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 조직적 차원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업무향상과 자기발전을 위한 직원개발 기회를 확대 ·실시할 것이다. 정신보건센터 내부에서 실시하는 직원개발 프로그램이 전무한 실정이지만, 외부 강의나 워크샵 등은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여서 본 연구에서 직원개발 기회에 대한 평가가 중간(그저 그렇다) 정도로 나타났다. 하지만 외부 강의나 워크샵 또한 개괄적 강의가 많아 담당영역과 관심영역에 적합한 직원 개발 프로그램을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욕구에 기반 하여야 하며, 특히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관심과 업무에 관련된 직원 개발을 통해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갖고 있는 능력의 최대한 발휘되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전문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직원개발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에게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직무특성 변수와 관련해서, 첫 번째로 업무에 대한 자세한 매뉴얼을 만들고, 선임자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수퍼비전, 전문적 기술 습득을 위한 교육 등 지속적인 직원개발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두 번째로 담당하는 업무에 관한 의미를 충분히 파악하고 그 의미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식으로 업무에 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신이 의미있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하여 본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일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또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다른 전문가들과 팀으로 일하고, 정신보건센터 내에서 지역사회와 가장 긴밀한 연결이 되어있는 통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함께 일하는 전문가들로부터 본인의 업무를 중요하게 인정받는 것 역시 본인의 업무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높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본인의 적극적인 역할과 업무의 홍보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정신보건사회복지계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뿐 아니라, 전문적인 홍보 전략 교육을 접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되면 좋을 것이다. 개인특성과 관련하여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으로 첫 번째로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성 즉, 장점·단점, 관심영역,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공식적 회의를 만들고 이를 통해 개인의 특성에 가장 부합하고, 능력을 최대한 발현할 수 있는 업무를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신에 대해, 자신의 업무에 대한 평가 및 재조정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하여 배치의 적절성에 대한 피드백 구조를 가져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셀프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을 실시하거나 임파워먼트 실행계획서를 작성하게 하여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직접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앞으로는 임파워먼트의 계속적인 연구와 논의 과정을 통해 더욱 더 섬세하고 명확한 임파워먼트 실체를 밝히는 작업과 이를 통한 효과적인 임파워먼트 개입 전략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For this study , I sought to examine the level of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orking at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factors that affect empowerment in practical term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 tried to find implications on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In oder to accomplish the above purpose, I have identified the following factors - factors related to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related to work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factors affecting th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study contents of study contents are as below; 1. Identify the empowerment level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2. Examine how variables related to the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ffect th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3. Examine how variables related to the work characteristics affect th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4. Examine how variables relat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ffect th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5. Examine how variables affect th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the research by a preceding research, factors influencing the empowerment level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ork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Leadership, staff development opportunity and system of reward are the factors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ask variety and task significance are the factors related to the work performance. Finally, self-esteem, self-control and other-control for locus of control are those which are relat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measure of empowerment for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s used in the research, which was developed by Leslie, Holzhalb & Holland(1998). The measure further can be categorized into those sub-level areas - control of work environment, work relationships and personal work orientation. In the research the whole empowerment is a dependent variable to be analysed, also the sub-level measure are dependent variables. The investigation of this research was performed by analysing fifty seven sheets of questionnaire from seventy three total, which were replied mail from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works for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owerment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I have used simple correlations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variable,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character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integrated dependent variable. Conclusion from the interrelation analysis are as folliow : 1.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 leadership, staff development opportunity and system of reward - are effectively interrelated in the area of whole and three sub-level empowerments, which i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empowerment level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s raised with a proper reward system, more staff development opportunities and reformative leadership of his or her senior official's leadership. 2. Task variety and task significance related to the work performance show static interrelationship with the empowerment level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3.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esteem, self-control and other-control are statistically interrelated in the whole empowerment. It was, however, observed that the only effective interrelationship is self-esteem from the three sub-level empowerment areas, which shows that those factors relat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ve relatively highest interrelationship than the other variables. Conclusions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level of whol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s relatively high, which marks 3.6676 from 5.0 total. Those factors which highly influence the whole empowerment were found; leadership, system of reward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task significance related to the work performance. Among the factors, it was estimated that the most effective factor is system of reward, followed by leadership and task significance. 2. The level of control of work environment, one of the sub-level empowerments, marks 3.7485. System of reward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how relatively high influence. Self-control also has an influence. It can be said that variables relat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most effectively connected with the control of work environment, they statically influence with fair reward system. 3. The level of work relationship marks 3.3947, which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other sub-level empowerment factors. Leadership, which is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hows a high influence on work relationship, shows a high influence on work relationship, followed by system of reward. Task significance related to the work performance was also found to have an influence, which shows that work relationship can be increased with reformative leadership, proper reward system and recognition of task significance. 4. The level of work relationship marks 3.8596, which is relatively higher than any other sub-level empowerment factor. The factors which help us estimate the level of personal work orientation can be leadership and system of reward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task significance related to the work performa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it can be suggested to improve th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s follows : 1. It can be estimated that proper and fair system of reward is related to the level of empowerment, which requires establishment of the rewarding system on financial & mental bases. 2. It was proved that the reformative leadership of leading social workers is connected with the empower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3. It was found that task varie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mpowerment level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Unless, however, there should be little opportunity to learn technologies for the variety of task, it would not be possible for them to successfully perform their tasks. It may b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empowerment, so a continuing, investment in educating workers to acquire professional technologies. 4. It was observed that task significance is an effective factor to explain the empowerment level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ositive environment which enables them to affirmatively perform an important task, also to formally acknowledge for their current works. 5. As a final suggestion, it is necessary that further researches on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working on various areas should be performed, a clear definition of the empowerment in proper terms should be prepared,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in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중심으로

        김선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703

        사회복지현장실습은 학생들에게 사회복지 기관이라는 조직에 속해 사회화되고 전문적인 성장과 발전을 이루는 계기가 될 수 있으며, 예비 사회복지사로서의 진로 정체성 확립 및 결정, 준비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복지 교육의 중요한 교과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동안의 사회복지현장실습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에서는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전문직 정체성과의 관계성을 밝히는 연구만 조금씩 진행되어 왔을 뿐, 졸업 후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배출될 예비 사회복지사들인 사회복지전공생들과 사회복지현장실습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를 살펴볼 기회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를 공부하는 학생들의 실천능력을 향상시키고 전문직으로서의 사회화 과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이 실제로 사회복지학을 배우고 있는 사회복지 전공생들의 진로발달에 어떠한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실습의 효과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습의 주요요인들이라고 밝혀지고 있는 학생요인, 수퍼비전요인, 기관요인, 학교 요인들과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의식 및 행동의 차이를 나타내는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성 여부를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현장실습 교육 및 학생들의 진로지도에 있어서 다루어져야 할 중요한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질문은 첫째, 사회복지전공생들이 경험하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전반적인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사회복지현장실습 요인과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사회복지현장실습 요인 중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은 무엇인가? 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이면서 실습을 마친 사회복지전공생 중 임의표본추출을 통해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16개 학교에 총 380부를 배부하였고 이 중 회수된 설문지는 350부였으며, 응답이 불분명하거나 누락된 사례가 많은 20부를 제외한 총 330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종합적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전공생이 경험하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의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전공생의 실습과 관련된 일반적 특성 및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3학년 겨울방학에, 사회복지직접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관에서 실습을 많이 하였으며, 실습기관선정에 대한 만족도 및 실습 커리큘럼 충실도는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은 여학생이 많고, 대부분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이며 사회복지학문에 대한 관심 때문에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셋째, 사회복지전공생 본인 및 부모의 전공선택 만족도는 대체로 높으며, 전공 교과내용 및 수준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할 만한 수준에는 약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부분 실습관련 분야에서 자원봉사를 경험하였으며, 사회복지현장실습 이전부터 졸업 후 사회복지분야로의 진로계획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졸업 후 사회복지분야로의 진로계획에 대한 확신은 부족한 편이며, 진로계획 달성을 위한 준비에도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기관의 실습환경 수준 및 실습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실습환경 수준에 대해서는 총점 4점 만점에 평균 2.91점, 실습기관의 실습내용에 대해서는 평균 2.85점으로 대체로 만족할만한 수준에는 약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바이저의 일반적 특성 및 수퍼바이저와의 관계, 수퍼비전 만족도를 살펴보면, 첫째, 수퍼바이저의 성별은 대부분 여자이며 사회복지를 전공하였다. 학력은 석사졸업이 가장 많으며 직위는 과장, 실무경력은 5년 이상이 가장 많았다. 둘째, 수퍼비전의 횟수는 정기적인 경우가 많으며, 시기는 기관에서 정해준 실습지도 시간에 주는 경우가 많았으며, 형식은 집단 수퍼비전을 주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셋째, 수퍼바이저와 실습생과의 관계는 총점 4점 만점에 평균 3.06점으로 대체로 긍정적이며, 수퍼비전 만족도는 평균 2.81점으로 대체로 만족할만한 수준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교수, 실습수업의 일반적 특성 및 학교 실습수업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첫째, 지도교수 지위는 교수가 가장 많으며, 학생들은 대부분 지도교수의 임상경력을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습수업은 실습 후 다음 학기에 많이 하며, 실습이전에 실습관련 교과목을 일부만 받은 경우가 약간 많으며, 실습수업의 수강인원은 20-30명 사이가 가장 많았다. 셋째, 학교의 실습기관 정보제공방법은 지침서 배부나 아예 없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학교 실습수업 만족도는 총점 4점 만점에 평균 2.72점으로 대체로 만족할 만한 수준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현장실습 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 수준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을 마친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정체감의 경우 0에 가까울수록 진로정체감이 높고, 1에 가까울수록 진로정체감이 낮은데 평균 .47로 보통을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수준은 총 4점 만점에 평균 2.65점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며, 진로준비행동은 평균 2.40점으로 보통수준에 약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현장실습 요인과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실습생 개인요인과 진로발달과의 관계를 정리하면, 첫째, 실습기관 선정시 개인의사가 많이 반영될수록, 남자 실습생일수록, 기타 개인적인 계기로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선택한 실습생일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실습이전부터 졸업 후 사회복지실무자로서의 진로계획을 갖고 있던 사람들이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실습이전부터 졸업 후 사회복지실무자로서의 진로계획에 확신을 갖고 있던 사람들이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실습이전부터 졸업 후 사회복지실무자로서의 진로계획 달성을 위해 준비를 시작한 사람들이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실습생 본인의 전공 선택 만족도와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여섯째, 실습생 부모의 전공 선택 만족도와 진로정체감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일곱째, 실습관련 자원봉사경험 정도와 진로준비행동과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기관요인과 진로발달과의 관계를 정리하면, 실습기관의 실습환경수준과 실습기관의 실습내용 만족도는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수퍼비전요인과 진로발달과의 관계를 정리하면, 첫째, 남자 수퍼바이저에게 실습지도를 받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석사, 박사 학력의 수퍼바이저에게 실습 지도를 받은 실습생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기, 비정기적 등 수퍼바이저로부터 복합적으로 수퍼비전을 받은 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가장 높았다. 넷째,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수준이 높을수록 실습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수준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학교요인과 진로발달과의 관계를 정리하면, 교수의 임상경력이 5년 미만일수록 실습생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사회복지현장실습 요인 중 사회복지전공생들의 진로발달(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요인 가운데,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요인 중 실습생 전공선택만족도이다. 둘째, 실습요인 가운데,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개인요인 중 실습생 전공선택 만족도이다. 셋째, 실습요인 가운데,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요인 중에서는 실습생 전공선택 만족도, 수퍼비전 요인 중에서는 수퍼바이저 학력(대졸이상)과 수퍼비전 만족도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사회복지전공생의 진로발달과의 관계분석을 통해, 개인전공 선택 만족도는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전반에, 실습 수퍼바이저 학력, 수퍼비전 만족도는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복지전공생의 긍정적인 진로발달 지원을 위해 실습생들이 어느 정도 표준화되고 체계화된 기준에 의거하여 지도를 받을 수 있도록 실습교육의 개선이 필요하며, 정기적인 실습 지도자 교육 및 지침서 배부 등을 통해 어느 정도 그 수준을 비슷하게 맞추기 위해 최소한의 기준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현장실습이 학생들의 진로발달에 좀 더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천현장의 실습기관 및 수퍼바이저, 실습전반에 대한 학교의 지원뿐 아니라, 실습과정을 자신의 이론적 지식과 정보를 검증해 볼 수 있는 기회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개인의 노력도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수퍼바이저의 학력, 수퍼비전 만족감이 실습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수퍼바이저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관의 지원과 적절한 훈련기회의 제공, 수퍼바이저의 올바른 역할인식, 수퍼비전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강화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는 사회복지실천현장과 학교교육이 적절히 연계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실습 선수과목 지도 및 학생들의 실습 준비 상태를 점검하고 지원해야 하며, 학생들의 부정적인 실습경험을 감소시키고, 실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지에 대한 탐색적 연구와 지원으로 학생들의 긍정적인 진로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A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applies the value, knowledge, theory of social welfare to reality through social work practicum. From the practicum, he/she learns practical works in the field and cultivates professional ability in his/her work. Furthermore, he/she tries to find his/her fitness for the work by continuously questioning his/her own qualifications as a social worker. Therefore, social work practicum not only provides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field, but also it could work a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himself as a social worker. While there has been some researches on th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work practicum and professional identity on the social work, there has been few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and social work practicum. However we need to identify influ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on the one's career development in order to cultivate a professional social work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ork practicum by examining influences of social work practicum on career development. On the concrete, I would like to notice the factors considered of affecting social work practicum such as students, supervision, institution, and college. I also would lik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practicum and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career development that explain career awareness and behavior differences of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By the method mentioned above, I tried to establish factors considerably important in the education direction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one's career. There are four main questions on this study. First, what is the present situation of social work practicum like? Second, how does a social welfare major student develop his/her career? Third, how does social work practicum affect career development of a social welfare major. Finally, what is the main factors of the social work practicum that influence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a social welfare major? Respondents of the study were randomly selected from four-year college students studying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380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6 colleges, and selected 330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rom the study, I could notice the following facts. Frist, most of the students experience the social work practicum in their third year of the college.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not only major itself but also experience of social work practicum. However, they estimated the curriculum offered in the college was bellow the expectation. The interesting fact was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had a career plan as a social worker, but they were relatively passive in the preparation for the achievement of the plan. Regarding social work practicum in particular, students evaluated practicum environment as 2.91/4 and practicum curriculum as 2.85/4, which means it was relatively unsatisfactory. In relation to supervisors, most of them were female, holding Master of social welfare. Besides, majority of them were positioned in head of a department, and had more than 5years of career at work. The frequency of the supervision were regular, and supervision was offered mainly in the form of group at determined practicum guiding period.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and students was evaluated as 3.06/4, supervision satisfaction measurement was only 2.81/4. In regard to satisfaction measurement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acticum curriculum, students evaluated it as 2.72/4. Enough information on the practicum institutions was not provided, and considerable students even did not know their adviser's career experience. Curriculum offered prior to practicum was not enough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took the curriculum were mostly between 20 and 30. The study showed that a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having had experience of social work practicum did not show high level of career development. Vocational identity is higher as it closes to 1, and lower as it goes to 0. Respondents showed the average of 0.47.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was 2.65/4,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2.40. In other words, respondents who finished social work practicum showed the average level in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vocational ident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social work practicum and career development is shown as following.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factors and career development, it was revealed that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was higher for the male students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students who chose in social welfare as their major. Students who had been preparing for the career as social worker showed higher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d not have direct connection with satisfaction measurement for the selection of its own major, and frequency of volunteering. When it comes to practicum institution, practicum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for practicum contents did not directly affect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On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career development, students showed higher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when they were instructed by male supervisor. Besides,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the highest when they were educated by supervisor who had degree of higher than Master. As the level of supervision of supervisor goes higher,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lso scored higher. In particular,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the highest when students had by supervisors, and it was relatively high when supervised by college advisor who had less than 5years of experience. There were some meaningful factors that affect career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major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was satisfaction measurement of selection of maj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mostly affected by satisfaction measurements of selection of major, supervision, and academic career of supervisor.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while satisfaction measurement of selection of major influences on va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and large, academic career of supervisor and satisfaction measurement of supervision positively affect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I suggest that since measurements for supporting positive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were not enough, a minimum of systematic criteria on social work practicum is necessary. Second, not only the support of supervisor and college, but also personal effort is important to obtain positive effect on career development. Third, in order to improve specialty of supervisor, social work institution needs to offer appropriate education opportunity considering the fact that academic career of supervisor and measurement of supervision have an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Finally, systematic curriculum for effective social work practicum is necessary, and it leads to positive career development.

      •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비교 연구

        이수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교사들의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학교사회복지의 발전과 제도화에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안양 지역의 중학교 중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라 상주형, 연계형, 미실시형의 3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지역에 따라 각각 3개교씩 총 6개교를 표집하여 6개교 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총 250부의 설문지를 학교에 직접 배포 · 회수하였다. 196부가 회수되었으나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7부를 제외하고 18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응답자들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적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set, 일원적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근무처는 지역에 따라 서울이 86명(45.5%), 안양이 103명(55.5%)이었으며,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라서는 상주형이 57명(30.2%), 연계형이 71명(37.6%), 미실시형은 61명(32.2%)이었다.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에 대해서는 있다가 49명(26.2%), 없다가 138명(73.8%)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학교사회복지에 대해서 과반수 이상이 잘 알고 있거나 들어본 적 있다고 답했다.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다가 125명(67.6%), 관심이 없다가 60명(32.4%)으로 나타났다.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학교사회복지사의 활동 정도를 보통과 적극적이어야 한다의 중간으로 응답하였다.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9가지 하위척도별로 살펴보았을 때에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사회복지 인식차이는 4가지로 분류하여 학교사회복지사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 차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차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관심 차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인식 차이와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차이는 연령, 경력, 이용경험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50대 이상의 교사가 학교사회복지 인식이 높았음을 알 수 있고, 경력에 따라서는 경력 20년 이상의 교사가 학교사회복지 인식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관심 차이는 이용경험에 따라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해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주형, 연계형, 미실시형의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른 인식차이는 4가지로 분류하여 학교사회복지사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 차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차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관심 차이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먼저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른 교사들의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 차이, 인식 차이, 관심 차이는 상주형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상주형 학교 교사들이 연계형이나 미실시형 교사들에 비해 학교사회복지를 많이 이용하고, 인식과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은 평균 3.56으로 보통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9가지 하위역할별로 보았을 때에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상주형이나 연계형에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매우 적극적이어야 한다는 응답은 비교적 적어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학교사회복지 이용경험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및 관심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인식과 관심 및 이용경험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이고도,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 등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복지계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사회복지 모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에는 상주형만이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이용경험, 인식, 관심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사회복지사가 상주하는 학교의 교사들이 보다 쉽게 학교사회복지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학교사회복지사가 상주하는 형태의 학교사회복지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상주형 학교의 경우 한시적이라는 제약을 가지고 있으므로 시범기간을 늘리고, 연계학교를 늘려가는 방법이 강구되어져야 하며 무엇보다 이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연령과 경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력이 많은 교사들이 주로 학생상담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인식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학생상담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학생들과 공감대 형성이 쉬운 젊은 교사들에 대한 접근과 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and institutionalize the social welfare system in schools by examining how middle-school teachers perceive various models differently. The methodology of survey is as follows. The sample was collected from two different cities, Seoul and An-yang, and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 models: school-based model, connected to community welfare center model, and No-shcool welfare model. The total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three middle schools in each city. It is of note that only 189 sheets were subject to the final analysis based on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was utilized To figure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in order to analyze intergroup vari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service area based on the school location, 86(45.5%) teachers worked in Seoul, and 103 (55.5%) in Anyang. By school social welfare model, 57 teachers (30.2%) worked in the school where school-based school social welfare is offered, and 71 teachers (37.6%) in schools where school social welfare connected to community welfare center is provided. The rest 61 teachers (32.2%) worked in the place with no school social welfare. As for the past experience of using school social welfare services, 49 teachers (26.2%) had certain degree of experience, while the other 138 teachers (73.8%) had not. Secondly, as for their perception of school social welfare, 34 teachers (18.1%) have well aware of it, and 103 teachers (54.8%) have heard about it before. The remaining 51 teachers (27.1%) had no idea about school social welfare. As for their interest levels,125 teachers (67.6%) were interested, while 60 teachers (32.4%) were not. regardingthe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 they believed that school social workers should play moderately active roles. Thirdly, as for the teach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ir perception ofschool social workers'roles and their service experi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t is worthwhile to mention that their perceptions of school social welfa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s, careers, and experiences of using services. By ages, those in their 50s or up had a higher opinion about school social welfare, and by careers, the teachers with 20-year or more experiences took a better perception of it. Their interests in school social welfare vari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with their experiences of using the services only, as those who had ever experienced services showed higher interests. Lastly, as for the impact of the school social welfare models on their outlook, the school social welfare models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perceptions of school social worker roles, and only the school-based school social welfare model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experiences of using the services, their perceptions and interes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described below : First of all, the largest group of the teachers under investigation thought that school social workers should play average roles, and the school social welfare models exercised little influences to their position. A few teachers whose schools provided school-based school social welfare and whose school social welfare were connected to community welfare center believed that school social workers should play active roles. Therefore this finding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perceptions on the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s. Secondly, their perceptions of school social welfare and their intere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service experiences.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better service, social welfare worker should educate school teachers about school social welfare. Thirdly, as for the influences of the school social welfare models, the teachers experiencing school-based school social welfare differ from others. For this reason, school-based school social welfare model should be highly recommended. Finally,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ceptions of school social welfare were influenced by the teachers' ages and careers. For higher effectiveness in consultation with students, more studies should be done on younger teachers, because they are able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more effectively.

      • 이성교제 프로그램 참여가 홀로된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손화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03

        Nowadays in the reality of life which grows longer than the past thanks to getting a fresh lease on the overall life expectancy, a dramatic increase of divorce rates, a decrease of lodging rates with sons and daughters and so on, there is daily increment in numbers of the old who live by their lonesome without a spouse at a golden age of life. specially as old people's solitude and a sense of desolation came on the scene of social problem, we got an eye to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which were one of factors improving single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takes aim at psychological well-being of single elderly taking part in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to examine how participation in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will influe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ingle elderly. Psychological well-being measured self-esteem and the highest levels of living life-satisfaction in positive emotional condition, and loneness and mental depression in negative emotional condition. Through these researches, essential data for the necessity and efficiency of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are offered, afterward an alternative plan to settle the heterosexual problem of single elderly that senior welfare centers must be close to is about to be prepared and the way how to develop and stimulate activity of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is about to be suggested. The survey of this study is provided as interview-survey style intended for single elderly aged just over 60 years dwelling in Seoul for about one month from mid October 2007 to mid November, all 260 questionnaires are sent out and 238 questionnaires are used as final analyzing material except some questionnaires answered insincerely. Collected data is applied with statistic package program and analyzed through SPSS 13.0 with statistical method of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 Way Anova, Scheffe's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view of the results of the distinctive quality of social science of population so far surveyed about the participant group and non-participant group between those questioned, a pending question between both group comes out to leave solitude for future settlement. Second,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surveyed about the distinctive quality of the participant group taking part in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s that the old over 50% joined in the program below 12 months, the frequencies of participation is the once a week is the highest as 43.2%, the level of participant satisfaction is that the participants over 80% are proved to be content with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the reason of the participant's self-satisfaction is to have a talkative connection with the other sex freely and to be offered "place and opportunity having large acquaintance of the opposite sex" this reason is disclosed to be plenty of the best answers. Third, in view of analytical results of non-participant's desire for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among those questioned, the need of the program is answered to be 46.7% supporters, the highest one of the reasons why they do not join in the program is that 40% of them have no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Putting a question whether to participate or not in the future, 44.2% of them replied positively, and specially they want to join in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The contents of program they hope to join in is to be disclosed as hobby society club, meeting for regular friendship and so on. Fourth,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surveyed abou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distinctive quality of social science of population among those questioned, in case of solitude, as the conditions of health become worse, family-relations do not enjoy good ties with one another, the living standards dip the worse level, monthly allowance is not getting sufficient, pending question has more issues in solitude and economy, a feeling of loneness shows high up. In case of melancholy, as the hygienic conditions are abnormal, family-relations are not harmonious, the standard of life is at a lower level, monthly pocket money is not enough, pending problems about solitude and economy come into question, a feeling of dejection turns high up, in case of a feeling of self-esteem, as the conditions of health are well, the period of single elderly is from 6 to 10 years, family-relations are peaceful, the level of life is rich, monthly spending money is adequate, outstanding questions are finished, the level of living life-satisfaction appears to go up. Fifth, in view of the result so far analyzed abou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participate in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among those questioned or not, in case of a feeling of solitude, as participation group is more than non-participation group,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s longer, the frequencies of participation are higher, a feeling of solitude appears to be lower, in case of a feeling of melancholy, as participant group is more than non-participant group,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s higher up, the level of participant satisfaction is higher up, a feeling of melancholy appears to be lower, in case of a feeling of self-esteem, as participant group is more than non-participant group,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s longer, the frequencies of participation are higher, the level of participant satisfaction is higher, a feeling of self-esteem appears to be higher, in case of the level of living life-satisfaction, as participant group is more than non-participant group,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s longer, the frequency is higher, the level of living life-satisfaction appears to be higher. Sixth, in view of the result so far analyzed about the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joining in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single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participate in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or not is that participant group in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has lower feeling of solitude and desolation than non-participant group and has higher feeling of self-esteem and higher level of living life-satisfaction. Also according to participation style(period of participation, frequency of participation, the level of participant satisfaction), single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manifests that feelings of solitude and desolation are lower and feelings of self-esteem and the level of living life-satisfaction are higher as the frequency of participating in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is higher, and as the level of participant satisfaction is higher, a feeling of solitude is low and the level of living life satisfaction is high. The meaning of social welfare and the suggestion und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ork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that could be sound meeting ground for single elderly should be developed, and more over diversity and specialization of the program are needed. Joining in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is appeared in sight to have the largest influence on single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Consequently in professional institution for the old welfare, mor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than supplying the desire of single elderly should be developed. Second, social workers responsible for the welfare of elderly should recognize properly about Intersexual relationship of single elderly, and should train professional manpower to dynamize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to change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social workers in the affirmative who are responsible for the activation of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lso, we should back them up to train social workers as professional manpower who take charge of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and to consult with various problems which single elderly has so as to be allowed sound dating between male and female. Third, institutional and financial aid should be provided to cultivate and activate single elderly's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Around senior welfare centers in the area which is very close to single elderly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institution. If financial aid is fulfilled by arranging secure funds, intersexual relationship programs for happy senescence could be by far activated. 오늘날 평균수명의 연장, 급격한 이혼율의 증가, 자녀와의 동거비율 감소 등으로 노년기가 과거보다 훨씬 길어진 현실 속에서 인생의 황금기를 배우자 없이 쓸쓸하게 혼자 보내는 홀로된 노인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노인의 외로움과 고독감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홀로된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을 향상시키는 요인의 하나로 이성교제 프로그램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이성교제 프로그램 참여가 홀로된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성교제 프로그램에 참여한 홀로된 노인과 참여하지 않은 홀로된 노인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복지감을 살펴보고자 한다. 심리적 복지감은 긍정적 감정상태인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 부정적 감정상태인 고독감과 우울감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서 홀로된 노인의 이성교제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추후 노인복지 전문기관에서 접근해야 할 노인들의 이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 마련과 이성교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시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는 2007년 10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약 한달 간 서울지역의 만 60세 이상 홀로된 노인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6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불성실한 답변의 설문을 제외한 238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3.0을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증, 상관관계분석, 중다선형회귀분석의 통계방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에 비해 여자가 더 많고, 연령이 더 낮으며, 교육수준은 더 높고, 건강상태가 더 좋은 편이며, 홀로된 기간은 더 짧았다. 또한 참여집단이 비참여집단에 비해 가족관계는 더 원만했고, 생활정도는 보통 이상이었으며, 한달용돈은 더 많았고, 현안문제로는 두 집단 모두 고독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 중 이성교제 프로그램 참여집단을 대상으로 참여특성을 분석한 결과, 참여기간은 50% 이상이 “12개월 이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참여빈도는 “주1회”가 43.2%로 가장 높았으며, 참가만족도는 참가자의 80% 이상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만족의 이유로는 “이성친구와 자유롭게 대화하고, 이성친구를 만날 수 있는 기회와 장소가 제공되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 중 이성교제 프로그램 비참여집단을 대상으로 이성교제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의 필요성은 46.7%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이유로는 “기회가 없어서”가 40.0%로 가장 많았으며, 앞으로 참여의사에는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44.2%로 이성교제 프로그램에 참가하길 희망하였다. 희망하는 프로그램 내용으로는 취미활동모임, 정기적인 친교모임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고독감의 경우 건강하지 않을수록, 가족관계가 원만하지 않을수록, 생활정도가 어려운 편일수록, 한달용돈이 적을수록, 현안문제에서 고독문제와 경제문제를 가지고 있을수록 고독감이 높게 나타났고, 우울감의 경우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가족관계가 원만하지 않을수록, 생활정도가 어려울수록, 한달용돈이 적을수록, 현안문제에 있어서 경제문제와 고독문제를 가지고 있을수록 우울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의 경우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홀로된 기간이 “6-10년” 일 때, 가족관계가 원만할수록, 생활정도가 부유할수록, 한달용돈이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고, 생활만족도 경우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가족관계가 원만할수록, 생활정도가 부유할수록, 한달용돈이 많을수록, 현안문제가 없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이성교제 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독감의 경우 비참여집단보다 참여집단이, 참여기간이 길수록,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고독감이 낮게 나타났고, 우울감의 경우 비참여집단보다 참여집단이,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참여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감이 낮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의 경우 비참여집단보다 참여집단이, 참여기간이 길수록,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참여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고, 생활만족도의 경우 비참여집단보다 참여집단이, 참여기간이 길수록,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이성교제 프로그램 참여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성교제 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홀로된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은 이성교제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고독감과 우울감은 낮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성교제 프로그램 참여형태(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만족도)에 따른 홀로된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은 이성교제 프로그램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고독감과 우울감은 낮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감은 낮게 나타났고, 생활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사회복지적 함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홀로된 노인들을 위한 건전한 만남의 장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나아가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전문화가 필요하다. 이성교제 프로그램 참여는 홀로된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복지 전문기관에서는 홀로된 노인들의 욕구를 충족하는 보다 다양하고 전문화된 이성교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복지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들이 홀로된 노인의 이성교제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해야 하며, 이성교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 이성교제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사회복지사들의 인식이나 태도를 긍정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사회복지사들을 훈련시켜 이성교제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전문 인력으로 양성하여, 홀로된 노인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상담하고, 건전한 이성교제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셋째, 홀로된 노인의 이성교제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재정적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홀로된 노인들에게 가장 접근성이 뛰어난 지역 내 노인복지관을 중심으로 이성교제 프로그램을 제도적으로 개발하고, 안정적인 재원을 마련하여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홀로된 노인들의 행복한 노후를 위한 이성교제 프로그램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 장애인의 실업 후 생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실업극복국민운동본부 겨울나기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박숙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703

        실업은 개인과 그 가족에게 경제적 고통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정신적·신체적 건강과 가족관계 및 사회관계 등 생활 전반에 걸쳐 변화를 가져다 준다. 즉 실업으로 인해 재조직되는 생활로부터의 스트레스에 의해 만성적 가족갈등, 폭력, 별거 등 가족해체, 무기력감, 약물남용, 스트레스와 관련된 각종 질병 등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이 점에 있어 실업장애인의 경우 스트레스와 관련된 위기상황이 보다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에 따라 생활의 변화도 즉 위기발생가능성이 결정된다고 보는 위기이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여 장애인의 실업 후 건강상태와 심리적 스트레스 그리고 가족관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적 수준에서 규명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실업장애인에 대한 사회복지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스트레스로 인한 위기상황을 예방하는데 기여하고자 했다. 이상의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을 갖는다. 〔연구질문 1〕 실업장애인의 일반적인 특징은 어떠한가? 그리고 그들의 실업 후 건강상태, 심리적 스트레스, 가족관계 변화의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질문 2〕 다른 변수의 영향력을 통제했을 때 장애인의 실업 후 생활 변화 즉 건강상태, 심리적 스트레스, 가족관계 변화 수준의 차이를 예측하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들은 어떤 것인가?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99년 사단법인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가 실업극복국민운동본부에서 지원한 겨울나기 프로그램 신청자 67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업장애인 실태조사』자료를 2차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연구질문 1〕과 관련하여 표집된 실업장애인의 실태 및 특징들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 평균 및 중간값 등의 기술적 자료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연구질문 2〕와 관련하여 3개의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활용하였으며 분석은 SPSSWIN 8.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실업장애인의 생활의 변화수준 본 연구의 대상인 실업장애인 674명의 주요특성은 남성 516명, 여성 159명,평균연령 45.5세, 가구주가 448명(67.1%)으로 남성가구주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교육수준, 경제적인 상황, 실업 전 직업관련 상황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혼자 사는 실업장애인의 비율이 매우 높으며 이혼·사별·별거 상태도 응답자의 18%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본인이외의 장애인 가구원이 있는 경우도 45.7%로 가족자원에 있어서도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과 고령에 의한 실업이 30.5%로 건강상태가 좋지 못하며 40%이상이 일거리가 없거나 해고 등의 비자발적 실업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실업 후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태와 가족관계 변화에 대한 기술적 분석 결과 실업 후 건강의 변화를 경험한 자들은 전체의 58.4%, 실업 후 심리적 스트레스가 증가한 경우는 85.8%로 나타났으며, 실업 후 부부 및 가족관계 악화를 경험한 경우는 44.4%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조사대상이 인지하는 실업 후 생활의 변화도는 심리적 스트레스가 가장 크고 다음으로 건강상태의 악화, 가족관계의 악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의 건강상태와 심리적 스트레스 및 가족관계 변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에 대한 logistic 회귀분석 결과 실업 후 건강상태 악화여부에 대해 통계적으로 예측력을 갖는 변수는 교육수준, 실직기간, 월평균수입, 실직이유에 대한 장애인식 이상 5개의 변수로 나타났다. 이중 교육수준의 경우 전문대 이상의 실업장애인이 중고등졸업의 실업장애인에 비해 건강이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직기간이 길어질수록, 월평균수입이 높을수록, 장애가 해고 등의 이유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건강이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스트레스 증가여부에 대해 통계적으로 예측력을 갖는 변수는 월평균수입과 실직전 근무기간으로 나타났다. 즉 월평균수입이 높을수록, 실직전 근무기간이 줄어들수록 심리적 스트레스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 또는 가족관계 악화여부에 대해 통계적으로 예측력을 갖는 변수는 성별, 결혼상태, 실직이유에 대한 장애인식, 실직기간, 사업장규모 이상 5개 변수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자가 여성에 비해 가족관계가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상태에 있어서는 미혼이 이혼·사별·별거에 비해 악화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장애가 해고 등의 이유가 되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가족관계가 악화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실직기간이 길수록 가족관계가 악화할 가능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30인 규모의 사업장에서 일한 경우에 비해 100인 이상의 사업장에서 일한 경우 가족관계 악화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갖는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석결과 실업장애인의 전반적인 생활실태가 매우 열악하며 과반수 이상이 실업 후 건강의 악화, 심리적 스트레스의 증가(85%이상), 가족관계 악화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80%이상이 퇴직금을 받지 못했으며,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아 실업정책의 사각지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업장애인에 대한 체계화되고 통합된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며 동시에 스스로의 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한 경제적 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실업 후 생활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 심리적 스트레스의 증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고려해 볼 때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률이 매우 저조한 상황이며, 응답자의 30% 이상이 가족이 없이 혼자 사는 것으로 나타나 이웃 등 비공식적 지원체계를 이용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실업장애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심리적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상담서비스와 자조집단서비스 등을 시급히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실업기간에 대한 기술적 분석 결과 응답자의 48.3%가 2년 이내의 IMF형 실업자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외환위기 이후 경기침체가 장기화하고 있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이들이 장기실업자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결과 실업이 장기화 할 경우 건강상의 위기 발생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선행연구에서도 지지되고 있다. 또한 기술적 분석결과 '건강상의 이유'에 의한 실업이 30.5%에 이르고 있어 실업장애인의 건강상의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사회복지적 개입 역시 매우 필요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업기간이 장기화할수록 가족관계의 악화가능성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고려해서 실업장애인 개개인의 특성과 욕구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장애인의 실업 후 건강상태와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인구·사회적 특성 또는 장애특성 보다 실업전 직업특성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실업전 직업특성이 실업장애인의 건강상태와 심리적 스트레스, 가족관계의 변화에 대한 영향력이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실업장애인에 대한 개입시 대상자의 실업전 직업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장애인의 실업 후 생활의 변화에 있어 '장애가 해고 등의 이유가 되었다고 생각하는지'가 건강상태와 가족관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가 실업의 이유가 되었다고 인식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건강상태와 가족관계가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업자와 실업가구가 '사건' 즉 '실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할 경우 스트레스에의 대처능력이 높아진다는 위기이론과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가 실업의 이유가 되었는지 즉 실업이유에 대한 장애인식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결과에 대한 확인의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다음과 같은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즉 노동현장에서의 장애에 대한 차별과 이에 대한 실업장애인 당사자의 인식이 실업 후 생활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따라서 실업장애인의 위기상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회 전반에 있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제거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예컨대 현재 논의중인 '차별금지법'제정 등)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 실천 개입전략을 세우는데 있어서 실업장애인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해 장애인 당사자의 긍정적인 인식을 유도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이 악화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월평균수입이 높을수록 건강악화와 심리적 스트레스 증가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실업장애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즉 일반적으로 교육수준이 높고 월평균수입이 높은 경우 상대적으로 저학력자와 저임금근로자에 비해 사회복지혜택을 받기가 어려운데 고학력, 고임금 실업장애인일수록 오히려 건강상태와 심리적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으므로, 이들의 욕구에 맞는 사회복지서비스가 제공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상의 결과에 대해서는 본 연구가 임의 표집 방식을 택하고 있어 조사대상자 선정에 있어서 오류가 있을 수 있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보다 심도 깊은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곱째, 연구 결과 여성실업장애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남성실업장애인이, 연령이 높을수록 가족관계가 악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업장애인의 가족위기에 대한 대처전략을 세우는데 있어서는 남성실업장애인 가구와 연령이 낮은 실업장애인 가구에 우선적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여덟째, 선행 연구 결과 장애가족원을 포함하는 실업가구의 복지욕구가 일반실업가구에 비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이선우, 여유진, 1999).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본인이외 다른 장애가족원의 유무가 실업장애인의 생활 변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한 결과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종속변수는 건강상태 및 가족관계의 변화 수준에 대한 것으로 복지욕구에 대한 장애가족원의 수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후속연구에서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위기이론과 선행연구 결과 비자발적 실업의 경우 자발적 실업에 비해 심리적 스트레스가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실업장애인의 경우 실업의 자발성이 심리적 스트레스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자발적 실업의 경우 자발적 실업에 비해 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는 본 연구가 임의 표집 방식에 의해 대상자 선정과정에서 오류가 있을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후속연구에서 보다 조사대상을 확대하여 다시 한번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article aims at finding out root causes which affect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unemployed disabled persons and the degree of changes of their family relationship. This study starts with the following two questions: (Q1) What 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unemployed disabled persons? And how ar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them and the situation of their family relationship? (Q2) What are th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can estimat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unemployed disabled persons and the changes of their family relationship if the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To find out the answers, this study analysed in two ways the data from fact-finding survey about the unemployed persons, which was made from questionnaire of 674 persons having taken part in 'surviving from winter program' of Research Institute of the Differently Abled Rights in Korea in 1999. Regarding Q1, descriptiv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actu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And with Q2,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used SPSS WIN 8.0 as an analysis tool. Outlines of analysis as follow: First, It shows a good prediction that whether or not if the health conditions get worse after unemployment regarding level of education, duration of unemployed, monthly income and the reason for the unemployment is disabled in their opinion. Regarding level of education circumstance, there are higher possibilities to get worse their health for the higher education than lower education. Also, unemployment with higher monthly income, longer duration of unemployed and disabled is the reasons for their unemployment in their opinion that are likely to get worse their health than others. Second, the analysis predictions regarding increase of psychological stress are depend on monthly income and duration of employment before their unemployment. Namely, there are more possibility to increase their psychological stress even higher with higher monthly income and decrease of their duration of employment. Third, the analysis predictions regarding whether or not if the married couple's relationship or family relationship get worse, which are depend on sex, marriage condition, disabled recognition for the reasons of unemployment, duration of unemployment and size of the employer that are 5 variables. The males are likely get worse than female for their family relationship, unmarried persons are less likely get worse than divorced or separated, in their opinion that disabled is the reason for their unemployment are likely to get worse than others and longer duration of their unemployment are less likely get worse than others. Also, a person employed with more than 100 employees are likely to get worse their family relationship than person with between 5 to 30 employees.

      • 사회복지관 자원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정부자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50703

        1995년부터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주민참여에 의한 지역사 회복지관으로서 복지관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으며 사회복지관의 설치 운영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인 조치, 민간기업의 사회복지관 사업에 대한 지원으로 사회복지관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여 1984년 24개소에 불과하던 것이 1998년 4월 현재 303개소가 설치·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오늘날 사회 복지관의 양적 확대와 국민들의 다양한 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사회복지비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국방비의 지출이 지대하며 경제계획 수행을 최우선으로 하여 사회복지분야에 투입되는 재원은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IMF 국제금융기에 처하여 예기치 못한 사회문제가 속출하고 있는 현실에서 정부(지방 정부)의 현실적인 사회복지비 예산 편성을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사회복지관들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가 재원부족이다. 따라서 끊임없이 막대한 인력과 자원이 소요되는 지역사회복지관 사업을 좀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더욱이 21세기를 앞둔 현 시점에서 좀더 발전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준비해야 하는 것은 차치하더라도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면서 지역사회 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재정과 지역사회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1997년 전국의 사회복지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들의 현황 조사서에 나타난 문제점을 근거로 이들을 개발·육성·유지하기 위한 과학적인 관리체계 방안이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알아봄으로써 각 복지관들이 자원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의의와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첫째,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를 중심으로 한 자원활용과 관리의 현황을 알아 보고, 둘째, 이와 관련해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 관리의 문제점을 제시하며, 셋째, 원활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를 확보·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개선방안들을 제시하려고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복지관 운영 관계자들의 의견과 본 연구자의 경험을 기초로하여 위의 연구 목적을 갖고 전국의 "사회복지관 현황 조사서"에 나타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 현황과 문제점을 위시하여 복지관 운영 규정과 관련된 선행연구 논문과 문헌, 관련 기관의 간행물 및 세미나 자료집 등을 분석한 문헌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 매개체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적자원과 물적자원 중에서도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를 중심으로 다루었으며, 이들 각각의 현황과 실태 파악 및 문제제기 그리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부분에서는 자원활용의 중요성과 지역사회의 원활한 자원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용자원의 파악이다 즉, 잠재적 자원시장의 분석을 통해서 지역사회내의 인적·물적자원은 물론 각종 기관, 단체 정보 등을 파악하고 지역사회 외적기관 및 용역에 관한 자원도 파악하여 파악된 자원들을 활용가능 정도별로 정리해 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개발 활용한다. 둘째, 자원의 개발과 조직을 위한 설계를 체계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사회복지관내에 전담부서와 전담직원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지역사회내에 잠재되어 있는 제자원을 발굴·개발·육성·교육·훈련·관리하는 운영체계가 확립되어야 원활한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발굴된 자원을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써 자원이 계속 증대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자원 개발을 위한 목표설정 및 전략을 결정하는 단계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의 성별·연령·직업·능력별 등과 또한 시기와 기간 등 제여건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모집과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방법 및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한 예로, 모금은 연말연시가 대체로 참여율이 가장 많은 시기이고 방문일이나 시간때 등도 고려하는데 따라 효과의 차이가 많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따라야 한다. 또 비영리조직에서도 이제는 전문경영방법과 마아켓팅기법이나 모금에 대한 전문지식의 도입이 필요하며 특히 홍보에 관해서 좀더 깊은 관심과 연구가 되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자원의 개발 활동을 전개하는 단계로 직원들의 정규적인 교육·훈련은 물론 참여하는 자원들의 역량에 맞추어 교육의 기회와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모임이 제공되어야 한다. 사회복지관 뿐만 아니라 많은 비영리조직들이 보다 많은 지역사회자원을 발굴·확보·유지하는 업무가 기존의 무계획적·즉흥적으로 이루어지던 틀에서 벗어나 보다 전문화된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실행하므로써, 자원봉사자와 후원자 관리의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이들의 중도탈락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수시로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는 과정에서나 활용 후에는 수시로 평가를 실시하여 목적 및 목표달성의 정도, 자원 활용과정에 있어서 문제점 등을 분석하고 결과를 새로운 계획수립 및 실행 과정에 순환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왜냐하면 평가를 통하여 발전적인 계획수립과 관리체계 유지 방법을 계속 보충하게 되는 과정에서 기술이 개발될 수 있으며, 또 지역사회로부터 신임을 얻게 되면 자원활용이 용이하게 될 것이다. 여섯째,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법적, 세제상의 혜택 등 제반 제도적 장치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 예로 인정과 보상체계를 통하여 동기부여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자원을 개발·유지·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언으로, 원활한 지역사회 자원활용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서 원론적인 것이나 방법론에서는 지금까지의 문헌이나 논문에서 충분하리 만치 많은 이론과 대안이 제시되었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위와 같은 개선방안을 실천에 응용하려는 의지이다. 관리책임자는 물론 전담직원이나 관련 사회복지사가 자원활용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항상 단정한 용모와 친절한 마음가짐으로 자원에 가깝게 다가가는 태도 여하에 따라 나타나는 효과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고 본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의식의 전환이다. 무엇보다도 고착된 의식은 전환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특히 민주시민의식으로서 자원봉사나 후원활동에 자연스럽게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문화조성을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교육과 환경을 제공하여야 하며, 가능한 조기교육에서부터 시작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role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since 1995 when the local autonomy was fully implemented in Korea. The increasingly important role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is reflected in the dramatically increased number of welfare centers in the last 15 years: 24 centers in 1984 have risen to 303 centers as of April, 1998. The increased number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is due to the combined efforts of the active support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raised interest in the welfare centers by the private business sectors. The radically increased number of welfare centers, however, necessitates the commensurate amount of financial support to meet the raised awareness of the public's needs and service the sheer number of centers. The recent ecomonic situation of Korea, however, is not very favorable to the financing of the welfare centers in many respects. Most of all, the exorbitant financial outlays for national defence makes it very difficult to finance welfare-sector investment. In addition to this, recent foreign exchange crisis, which has resulted in the emergency foreign exchange loan fro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makes it almost impossible for the local government to invest in welfare centers. In this context, the financing of the welfare centers has become a very crucial problem. To solve this problem, ways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should be actively studied and implanted, not only to prepare for the coming 21st century but also to tide over the impending financial crisis facing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erefore, is to find ways to utilize the resources for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acting on the advice provided by the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c¢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Korea in th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1) the present status of resources-utilization of welfare centers, (2) problems in utilization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welfare centers, and (3) effective ways to improve the attraction and retention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welfare centers.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objectives, the writer used a "Social Community Welfare Center Survey" on the status and problems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welfare centers throughout the country. In addition, the writer made use of the previously published theses and dissertations, publications, seminar literature and relevant materials. The writer has also utilized her own experience and other staffs of welfare centers in writing this thesis. The main focus of this thesis is placed on the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utilization, especially the utilization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welfare centers in the communities concern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ccurate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resources. Accurate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resources on the available resources is prerequisite to the effective and maximized utilization of resources. The resources, in this case, covers material, human, and services. 2. Systemization and development of personnel for utilization of resources. To effectively utilize the resources, the systemization and development of personnel is very important. The personnel has as its main responsibility to find out, educate, develop, and manage the potential resources in the community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to the maximum. 3. Planning a strategy for the resources utilization. Planning a strategy is also important in this area of resources utilization as in other fields. In this respect marketing and managerial expertise is also necessary to maximize the resources utilization. For example, fund-raising event should be planned around the year-end to be most effective. 4. Training and education of the staff as well as the participants for the maximum utilization of the resources. To make the most use of the available human resources,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the staff and the center program partcipants as well is essential. This is more so in view of the fact that in the past there has not been much planning to seek out and retain the available resources in the community. Training and education will be most effective in lowering the drop-out rate of the program participants. 5. Regular evaluation of resources utilization status. Evaluation of the resources utilization is very important to see how well the set goals are met. Evaluation is also important to plan ahead and get support from the community. 6. Finding out the ways to get the community members involved voluntarily. To accomplish this goal, establishment of proper mechanism for the members to get privileges is essential. Proper mechanism, for example, would include tax breaks for donation.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would be a good way for raising the resident participation. In reviewing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 can be offered. 1. First of all, what is most needed is not more theory and research but putting into practice theories and researches conducted so far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community resource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directors and staffs should have a very positive and active attitude in developing community resources. 2. Consciousness-raising is crucial in utilizing the resources. Without consciousness-raising not much can be expected. The raised consciousness is the basis for volunteering and sponsoring for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Everybody who should realize that the consciousness-raising of the community members will take the form of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atmosphere for volunteering.

      •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의 소진에 관한 연구 :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와 사회복지관종사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윤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03

        The social welfare field has been expanding to a variety of areas not only in term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community centers for children, physically & mentally challenged, and elderly, but also secondary fields such as hospitals, prisons, schools, and companies, along with the social trend. Among these, the social contributing activities of companies are one of the highlighted field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important players who play a critical part in the fields of private social welfare circles such as socially contributing worker’s supervision on burnouts are reviewed. However, since companies’ social contribution is not solidly settled as a proper identity among all social welfare fields, each variable of burnouts for socially contributing company worker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worker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In this research, three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as factors for putting impact on burnouts through preceding studi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rking environment, and supervision. For burnout which was used as dependent variable was implemented by Maslach & Jackson(1981)’s Maslach Burnout Inventory scale. For variables of working environment, the scale developed by Jayarant & Chess(1982) and translated by Lee, Young-mee and Seong, Gyu-tack(1991) was implemented. Lastly, variables for supervision were implemented by re-constructed questionnaires based on contents of Middleman & Roders’ Function and its role of supervision and the scale used by Lee, Jee-young(2004).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ocially contributing workers in 89 companies with social contribution teams, and social workers in Seoul’s 89 social welfare facilities. This research was taken for two weeks, from 9th of November 2009. Data used in the final analysis were 147copies, with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or this study. First, when reviewing the impact of working environment on burnouts through regression analysis, no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workers and social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Challenge, role conflicts, and work volume had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burnouts, and relaxation, challenge, and work volume had effects on non-personification towards clients. When looking at burnouts as a whole, role conflicts were high when challenge and relaxation were low, and as role ambiguity became higher, so did the burnouts. Second, when looking at the impact of supervision on burnouts by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shown in groups. In other words, when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workers were under more supervision, their burnout rates were high too. This means that the supervision empowered burnouts for workers at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when compared to the fact that supervision had preventive effect for burnouts. Also, it can be said that the supervision in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did not function as its intentional means. Factors such as changes, education, evaluation, and catalysts were putting significant impact on burnouts. With high administrations and changes of supervision with low education, Emotional burnouts were highly recognized. Also, as education became lower,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ir lack of achievement became higher. In addition, when functions for change, personification, and catalysts were high, along with low evaluation and stress management function, the respondents highly recognized non-personification towards their clients. Third, when examining the burnouts by 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lso, the subordinate factors of working environment such as relaxation, role conflicts, and the subordinate factors of supervision desires such as administration, education, personification, and catalysts showed significant impacts. In a nutshell, when relaxation for working environment became lower with high role conflicts, burnouts too showed high results. Among supervision desires, high burnouts were shown by low administration, high education, high personification, and high catalysts. Accordingly, as each independent variable were analyzed, the subordinate factors of supervision such as education, socialization, evaluation, and catalysts functions were offset by the impact of subordinate factors of working environment such as challenge and role ambiguity. Also,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supervision desire such as socialization, administration, education, personification, and catalysts function’s impact increased. Through the above-stated study results, the influence factors of socio-demographical features, working environment, and supervision on burnouts of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workers and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centers were reviewed. Also, by regression analysis on burnouts and comprehensive examination, it was found that supervision reacted as a preventive and alleviating measure for burnouts. However, for factors which supervision puts impact on burnouts, it showed a reversed effect; the supervision of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teams rather enforced burnouts, not reacting as its original function of preventing burnouts. Nevertheless, there are possibilities that the original function of supervision which can alleviate burnouts can be made through providing appropriate types of supervision at the right time for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teams. There are three suggestions for this issue. First, studies on supervision which can prevent burnouts for workers in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should be made, along with searches for alternatives to enhance the supervision. Second, at the socially contributing companies’ teams, appropriate understandings and timely fashions of supervision can be achieved through benchmarking university professors and other experienced institutions. 사회복지분야는 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아동, 장애인, 노인 관련 사회복지시설 및 지역사회복지관 등뿐만 아니라 2차 실천현장인 병원, 교도소, 학교, 기업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는데, 그 중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각광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기업사회공헌이라는 분야는 아직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나 사회복지사들을 포함한 각 기업의 사회공헌 전담팀이나 기업 재단의 활동은 양적·질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에는 민간사회복지 영역에서 차지하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비중은 그 규모면에서도 간과할 수 있는 수준을 넘었다. 이에 기업의 사회공헌 종사자들은 정해진 사회공헌활동 예산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사회복지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업사회공헌 종사자들의 수퍼비전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나 기업사회공헌이라는 분야가 사회복지분야로 제대로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와 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소진과 각 변수들의 관계를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에서는 소진에 대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개인적특성, 업무환경, 수퍼비전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로 사용한 소진은 Maslach & Jackson(1981)이 개발한 Maslach Burnout Inventory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업무환경 변수는 Jayarant & Chess(1982)가 개발하고, 이영미·성규탁(1991)이 번역하여 사용한 척도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수퍼비전 변수는 Middleman & Roders가 수퍼비전 기능과 역할에 대한 내용을 질문지로 재구성하고 이지영(2004)이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표본은 기업사회공헌 전담팀이 있는 기업 89개에서 기업사회공헌을 담당하고 있는 종사자와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종합사회복지관 89개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인력을 대상으로 2009년 11월 9일부터 20일까지 약 2주동안 조사가 진행되었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47부였으며, 기술통계 및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의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결혼상태, 학력, 전공, 직급, 고용상태, 연봉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력수준이 고학력일 경우, 사회복지전공자일 경우, 직급이 낮을수록, 연봉이 낮을수록 소진정도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둘째,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와 사회복지관 종사자에 따른 소진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소진 전체와 소진의 정서적 탈진에서 기업사회공헌 종사자들이 사회복지관 종사자들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와 사회복지관 종사자에 따른 업무환경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기업사회공헌 종사자가 사회복지관 종사자보다 편안함, 도전, 금전적보상, 승진에서 높게 나타났고, 역할갈등은 낮은 점수를 나타났으며 이 업무환경요인들은 두 집단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업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와 사회복지관 종사자 모두 집단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전, 역할갈등, 업무량이 소진의 정서적 탈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편안함, 도전, 업무량이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 전체에는 도전과 편안함이 낮을수록,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이 높을수록 소진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수퍼비전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할 결과,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는데 즉,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의 경우 수퍼비전을 받고 있는 것에 높은 응답을 할수록 소진도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으로 수퍼비전이 소진 예방하는 기능이 있는 것과는 달리,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의 경우 수퍼비전이 소진을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기업사회공헌팀에서의 수퍼비전은 수퍼비전 고유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수퍼비전의 변화, 교육, 평가, 촉매가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히 살펴보면, 수퍼비전의 행정, 변화가 높을수록, 교육이 낮을수록 정서적 탈진을 높게 인식하고 있고, 교육이 낮을수록 성취감결여를 높게 인식하였으며, 변화, 인간화, 촉매 기능이 높을수록, 평가와 긴장관리 기능이 낮을수록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격화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소진에 대해 회귀분석하여 종합 검증한 결과,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와 사회복지관 종사자 두 집단간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환경 하위요인인 편안함, 역할갈등 그리고 수퍼비전 욕구의 하위요인 중, 행정, 교육, 인간화, 촉매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업무환경의 편안함이 낮을수록, 역할갈등이 높을수록 소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퍼비전 욕구 중, 행정이 낮을수록, 교육, 인간화, 촉매가 높을수록 소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독립변수들이 함께 분석됨에 따라 수퍼비전 하위요인인 교육, 사회화, 평가, 촉매기능의 영향력이 업무환경의 하위요인인 도전, 역할모호성의 영향력과 상쇄되었으며, 수퍼비전 욕구의 하위변인인 사회화, 행정, 교육, 인간화, 촉매기능의 영향력이 늘어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인구사회학적특성, 업무환경, 수퍼비전이 기업사회공헌 종사자와 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소진에 대해 회귀분석하여 종합 검증한 결과 수퍼비전이 소진을 예방, 완화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수퍼비전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기업사회공헌팀의 수퍼비전은 오히려 소진을 강화하여 수퍼비전의 소진예방이라는 고유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기업사회공헌팀의 경우에도 소진을 유발하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타입의 수퍼비전을 제공함으로써 소진의 수준을 낮추는 수퍼비전의 고유기능이 작용할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한다. 위의 내용을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사회공헌 종사자 대상으로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수퍼비전에 대한 연구와 수퍼비전을 강화할 수 있는 대안들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기업사회공헌팀에서는 올바른 수퍼비전 이해와 상황에 맞는 적절한 수퍼비전을 줄 수 있는 수퍼바이저 개념을 대학교수나 경험 많은 기관외 수퍼바이저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