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태희 순천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wastewater treatment costs and the amount of sludge caused by industrial fluorine wastewater, for reducing the contaminated water accumulation near to the sea. In this study, the new coagulant and the microfilter to reduce the calcium oxide were intensively studied.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amount of calcium salt and coagulant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reducing cake, to reduce treatment costs. As per the test result, by using improved method A, at pH 10, PAC (17%) 450ppm turns in fluorine removal rates to 93.1 and ACH (12%) 450ppm turns in fluorine removal rates to 91.7% as that of same removal rate with the conventional processing method. ACH is confirmed as the more effective removal fluorine, as ACH consist of small aluminum content less than the PAC. In method B that have been treating high concentration fluorine wastewater by using calcium oxide unlike method A. Test results of improved treatment method can reduce calcium oxide consumption more than 40%, if applied to the microfilter in the final treated water, which showed a 99% removal efficiency, meeting the effluent standards. Effects on environment ; ①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ocean by the effective effluent control ② Improves the working condition with reduction of dust in the air ③ Development of fluorin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불소폐수로 인해 발생하는 슬러지 량을 감소시키고, 인근 해역의 누적 오염된 수질을 향상시키며, 개선된 처리 방법을 통해 폐수처리 비용을 절감 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응결제 효과, 생석회를 대신할 수 있는 칼슘염 선택, 생석회를 저감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분리막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진행 하였다. 즉, 케이크 처리비용 감소를 위해 칼슘염 사용 절감과 함께 응결제 사용량을 줄여 불소폐수 처리에 적용하는 연구가 주된 내용이다. 실제 A사에서 발생되는 불소폐수를 이용하여 개선된 처리 방법 적용한 결과 pH를 10 조절 이 후 PAC(17%) 450ppm, ACH(12%) 450ppm 투입 시 불소 제거율은 각각 93.1%, 91.7%로서 기존 처리법과 동일한 제거율을 확인하였으며, ACH 사용 시 PAC보다 유효 Aluminum 함량이 적기 때문에 PAC(17%) 대비 약품사용량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B사의 경우 현재 생석회를 통하여 불소 폐수를 처리 중에 있으며 A사와 달리 고농도의 불소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개선된 처리 방법으로 Test 결과 생석회 사용량을 40% 이상 감소시킬 수 있으며, 최종 처리수에 분리막을 적용할 경우 방류 기준을 만족하는 99% 이상 불소 처리 효율을 보였다. 환경적인 개선 효과로는 ① 생석회 사용량 감소와 배출되는 슬러지 발생량 감소로 폐기물 비용절감 ② 방류 폐수의 수질 향상으로 연안해역의 수질향상 ③ 생석회 사용량 감소에 따른 비산 먼지 감소로 근무환경 개선 ④ 불소폐수 처리의 선진화 효과를 기대하였다.
김태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ABSTRACT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pati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Animal Assisted Therapy KIM, TAE HEE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 HRD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Animal-assisted program is a therapy which applies to patients with emotional, attitude and development problems in educational area, prevention purpose area,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area. These treatment activities are to solve, modify and relieve the symptoms and find solutions for positive developments with counseling, treatment and educational method approaches. Recently, these activities not only utilize autistic, alzheimer and disabled, but apply to general public for positive effects of increasing problems of maladjustment. This study has applied the program planned by volunteers with experience over 5 years in educational counseling with Assistance dog and Assistance dog, which are certified after training and tests. Emotional, cognitive, social effects of mentally deficient peopl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have been studied. Researcher has/have joined and monitored the mentally deficient people participated in the animal-assisted program. Result from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has been chosen as case study. Study participants are mentally deficient people, volunteers with experience in educational counseling with Assistance dog, social worker of the authority. Mentally deficient people with deficient intelligence, who find themselvces hard to socialize with other people, have been chosen as participants. They were chosen to study how they positively change by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3 volunteers with minimum 5 years of experience in educational counseling with Assistance dog have been chosen as study participants. They specialize in educations and able to handle Assistance dog. Also they have experiences in education counseling, which can be an advantage when communicating with mentally deficient people. Social worker of authority is the supervisor of the Animal-Assisted program. As this programs is a new project of the authority, the social worker supports the program to achieve the goal to run the program efficiently by showing the positive effects of rehabilitation training of mentally deficient people. Firstly, mentally deficient people through the program have been emotionally stablized. Activities with animals gave them happiness, mentally stablized and showed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s. Secondly, desires to learn animal related knowledge have been magnified and they did learn the knowledge. They gained interests in learning and improved Cognitive-acting like memory improvement. Thirdly, they improved the sociality through the Animal-Assited Program. They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while working together during the activities, positive interrelationship has been established and self-esteem has been improved. It has been shown that when animals are used, building positive interrelationship between one and another is more efficient than when animals are not used and they actively participated the given activities. 국문초록 지적장애인의 동물매개프로그램 참여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HRD 전공 김태희 지 도 교 수 김남숙 동물매개프로그램은 교육 분야, 예방 차원 분야, 재활 및 치료분야 등 정서, 행동 및 발달상의 문제가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이는 증상을 제거, 수정, 완화하고 문제 해결을 모색하여 긍정적 발달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상담, 치료 및 교육적 방법으로 접근하는 치료 활동이다. 최근에는 자폐아, 치매노인, 장애인 등 문제가 있는 사람 뿐 아니라, 모든 대상으로 확대하여 사회적으로 점점 심각해지는 부적응 문제에 대하여 긍정적 변화를 위하여 활용된다. 본 연구는 일정한 훈련과 테스트를 거쳐 인증된 치료도우미견과 치료도우미견을 보유한 교육상담 경력 5년 이상인 자원봉사자들이 기획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지적장애인이 프로그램을 참여했을 때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지적장애인이 동물매개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을 연구자가 함께 참여관찰 하며, 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사례연구로 채택하였다. 연구 참여대상자는 지적장애인, 자원봉사자, 사회복지사로 구성하였다. 첫째, 지적장애인은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하여 사회생활을 영위함에 적응이 곤란하므로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지적장애인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을 때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연구하고자 선정하였다. 둘째, 동물매개치료활동 전문 자원봉사자는 활동경력 최소 5년 이상이며, 교육 또는 상담 전문직에 종사하는 3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별하였다. 이들은 현업이 교육 상담 전문직 종사자로서 5년 이상의 교육상담경력을 보유하고 있어 지적장애인과의 자연스러운 대화가 전문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이 본 연구 실효성에 최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셋째, 동물매개프로그램을 주관하는 사회복지사는 기관담당자로서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하며, 지적장애인의 재활훈련에 대한 효과와 기관 내 신규 사업으로써 효율적인 업무성과를 추구하기 위한 목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구 목적에 부합한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동물매개프로그램을 통한 지적장애인의 변화에 대하여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정서적으로 안정이 되었다. 즉 동물과 함께 활동하면서 행복감을 느끼고,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았으며 긍정적인 정서표현이 나타났다. 둘째, 동물관련 지식에 대하여 학습욕구가 증대되었으며 지식습득의 효과가 나타났다. 배움에 대하여 흥미를 갖게 되었으며 기억력이 증가되는 등 인지기능이 향상되었다. 셋째, 동물매개프로그램을 통하여 사회성이 향상되었다. 동료와 함께 활동하면서 타인과의 의사소통 기술이 향상되었고, 긍정적 상호관계가 형성되었으며, 자신감이 고취되었다. 지적장애인은 동물을 매개로 했을 때 사람과의 관계설정이 동물을 매개로 하지 않았을 때보다 긍정적인 상호관계를 맺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수행하고자 하는 과제에 대한 활동참여가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for givig the insight of development of Korean medical tour and is done through the Statistical hypothesis testing for survey of korean medical tourists and medical tour health professionals. Firstly, the study group is one hundred one potential medical tourist person and the survey of study group for intention of korea medical tour is very high. However, the study group person have a different intention of visiting in the case of severe disease case and the simple medical tour visiting combined with sightseeing. Also, person have the demand for high quality of medical specialism and additional services associated with other than medical service. Next, in study for the medical tour health professionals, hypothesis for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 care professionals and the tendency of medical tour"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 care professionasl and the intention of medical tour"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of medical tour and the tention of customers" was analysed and the result was such as follows.Firstly, the three subtitles of medical health care professionals is responsibility, self-regulation and autonomy. these subtitles have positive effect for future-oriented attitude of medical tourism and the speciality of medical tour professions have the effect for interior factors such as work driving, aptitude. Secondly, future-oriented attitude have meaningful effect on self-improvement for customers but the cognitive-oriented attitude have no effect on self-improvement for customers. Also, future-oriented have meaning effect on customer-oriented attitude. Finally, the three subtitles of medical health care professionals, responsibility, self-regulation, autonomy all have meaningful effect on self-improvement for customer-orientation. So, specialities of medical tour professions have the influences on attitude of medical tourism, and also specialities of medical tour professions have the influences on customer orientation. The insight of this study based on survey of potential mecial tourism customers shows that detail stratagies are needed, through the hypothesis testing for medical tour professions, the chance of professions attitude and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s speciality is needed for improvement of services of medical tourism. 본 연구는 한국의료관광산업의 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자 의료관광객에 대한 조사 및 의료종사자에 대한 가설검증을 통한 다각적 연구를 실시 하였다. 먼저, 잠재적인 의료관광객 101명을 대상으로 의료관광목적지에 현황 조사를 실시 한 결과, 의료관광목적지로서 한국에 대한 인식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지, 잠재적 의료관광객이 의료관광목적지를 선택 하고 할 때에는 암. 중증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와 관광을 겸한 휴양과 여가의 일환으로서 의료관광지를 방문하고자 하는 것에 대해서는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의료관광 선택 시 고려되는 주요한 사항으로 의료인의 전문성과 고객 서비스의 질에 대한 요구가 조사 결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의료관광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의료관광종사자의 전문성과 의료관광태도와의 영향관계”, “의료관광종사자의 전문성과 고객지향성과의 영향관계”, “ 의료관광태도와 고객지향성과의 영향관계” 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고, 이에 대한 실증분석(회수설문지 175부)을 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의료관광관계자의 전문성에 대한 3개 하위 구성요인인 책임의식. 자기관리, 자율의식은 의료관광사업에 대한 태도의 미래지향적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의료관광관계자의 전문성은 의료관광사업에 대한 태도의 업무의욕, 적성 등 내적인 요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미래지향적태도는 고객지향성의 자기발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적태도는 고객지향성의 자기발전 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지향적태도는 고객지향성의 고객지향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료관광관계자의 전문성에 3개의 하위요인 책임의식, 자기관리, 자율의식 요인 모두 고객지향성의 자기발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의료관광관계자의 전문성은 의료관광사업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고, 의료관광사업에 대한 태도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의료관광관계자의 전문성이 고객지향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으로는 잠재적 의료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전 세계의료관광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좀 더 현지화를 통화 세분화되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의료관광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가설검증으로부터 의료관광종사자의 고객서비스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료인의 전문성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외국인들에게 비춰지는 한국의 이미지를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 할 수 있었다.
김태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본 연구는 초기 언어기인 1~2세, 언어 발달기인 3~5세, 학령전기인 6~7세로 나누어 양육자가 가장 많이 보여주는 영상의 종류를 설문조사로 알아보고, 각 연령대에서 많이 보는 동영상을 제공하고 있는 키즈 컨텐츠의 영상에서 사용하는 문장 표현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연령에서 양육자가 많이 보여주는 유튜브 채널에서 영상을 2개를 선정한 뒤 전사하여 품사별, 어휘다양도, 1분당 평균 문장 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2세, 3~5세, 6~7세의 각 연령이 많이 보는 영상의 문장에서 나타난 품사, 어휘다양도, 1분당 평균 문장 수는 연령대마다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첫째, 1~2세, 3~5세, 6~7세가 많이 보는 영상에서 나타난 품사의 빈도수는 1~2세는 1순위 명사, 2순위 부사, 3순위 조사로 나타났으며 3~5세는 명사, 동사, 조사, 6~7세는 명사, 동사, 부사 순으로 각 연령에서 품사의 사용 빈도수 및 비율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연령별로 많이 보는 영상이 아동들의 언어발달 수준에 맞춘 품사 구성으로 영상을 진행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어휘다양도의 평균은 6~7세, 3~5세, 1~2세 순으로 높았으며 그 영상을 많이 보는 아동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어휘다양도가 높아짐을 보였다. 이것은 연령이 낮을수록 적은 단어를 반복함을 나타내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한 영상에서 한 단어를 여러 번 반복하기보다 다양한 단어들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1분당 평균 문장 수가 많은 순으로 배열했을 때 1~2세, 3~5세, 6~7세 순으로 연령이 낮을수록 1분당 평균 문장 수가 많음으로 같은 시간을 놓고 비교했을 때 연령이 낮을수록 문장 길이가 짧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문장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용 콘텐츠 유튜브에 나타난 문장 표현의 특징을 알 수 있다. 1~2세, 3~5세, 6~7세 아동이 많이 보는 영상의 문장 표현에서 각 연령마다 품사, 어휘다양도, 1분당 평균 문장 수에 차이가 존재하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어려운 수준의 언어를 사용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아동이 미디어를 시청할 때 언어 수준에 맞는 영상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아동의 연령보다 조금 더 높은 수준의 영상을 보는 것이 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해 필요하다. This study set out to survey a group of caregivers on the types of videos most watched by their children according to the early language stage of one- and two-year-olds, the language development stage of three-, four- and five-year-olds, and the pre-school stage of six- and seven-year-olds. The study also aimed to analyze sentence expressions used in videos of kids content creators offering popular videos for each of the age groups. For data analysis, the investigator chose two videos from YouTube channels that caregivers showed their children most in each age group, transcribed them, and analyzed them in word class, vocabulary diversity, and mean number of sentences per minute. The findings were arranged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ces in word class, vocabulary diversity, and mean number of sentences per minute among the age groups of 1~2, 3~5, and 6~7 years old based on sentences of videos watched frequently by them.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frequency of word classes in videos frequently watched by the age groups of 1~2, 3~5, and 6~7 years old and found that nouns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age group of 1~2 years old, being followed by adverbs and postpositions in the order. Nouns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age group of 3~5 years old, being followed by verbs and postpositions in the order. Nouns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age group of 6~7 years old, being followed by verbs and adverbs in the order. These findings point to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word classes among the age groups. Videos often watched by the age groups used word classes according to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Secondly, average vocabulary diversity was the highest in the age group of 6~7 years old, who were followed by the age groups of 3~5 and 1~2 years old in the order. As children viewers of a channel grew older, the channel increased vocabulary diversity in its video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younger they were, the fewer words children repeated. As they grew older, children would use various words instead of repeating a word several times in a video. Finally, the mean number of sentences per minute was the highest in the age groups of 1~2, 3~5, and 6~7 years old in a descending order. The younger they were, the more sentences children used in a minute. Children would use shorter sentences in the same amount of time. As they grew older, their sentences would become long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sentence expressions in kids content YouTube channels. There were differences in word class, vocabulary diversity, and mean number of sentences per minute in sentence expressions in videos frequently watched by the age groups of 1~2, 3~5, and 6~7 years old. As they grew older, children used difficult words.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 that it is important for children to choose videos of their language level when watching media and that children need to watch videos of a little bit higher language level than their age for their language development.
자연친화적 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태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본 연구는 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자연친화적 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연친화적 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자연친화적 체험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I어린이집과 L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세 유아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절차는 예비검사, 사전 검사, 실험 처치, 사후 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실험 처치 기간은 2014년 11월 3일부터 12월 27일까지 총 8주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유아들에게 다양한 자연 소재를 이용한 자연친화적 체험활동을 계획하고 진행하였다.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 도구는 Martin(1997)의 과학적 탐구능력 평가 척도록 기초로 이경민(2000)이 제작하고 서윤희(2003)가 수정·보완한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를 사용하였고,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는 Musser와 Diamond가 1999년 개발한 유아용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 도구(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Version, CATES-PV)를 기초로 허윤정(2001)이 번안·수정하고 소경희(2007)가 일부 보완한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친화적 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사전 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점수의 증가분에 대한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친화적 체험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자연친화적 체험활동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따라서 과학적 탐구능력과 자연친화적 태도를 길러주기 위해서 유아가 자연에서의 주변 세계를 관찰하고 탐색하며, 자연물을 이용해 다양한 놀이를 경험하고 교사 및 또래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연친화적 체험활동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s of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on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nature friendly attitude of young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followed by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1. In what extent do the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on scientific inquiry of young children? 2. In what extent do the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on nature friendly attitude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4 children at two kindergartens in K city, Jeonbuk province.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were allocat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children from the other kindergarten were allocated into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for 8 weeks. Before the experimental period, the researcher executed pilot test and pre-test. After 8 weeks’ experiment, post-test were done on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nature friendly attitude of young children.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post-tests and pre-tests of both groups, the researcher did independent t-test. The research results are followed: First, the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scientific inquiry of young children. Second, the nature experience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nature friendly attitude of young children. As a conclusion, the researcher insists that children need to explore and observe the nature, to experience variety of plays, and to interact with peers and teachers in the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