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이 성인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스마트폰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승미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study focused on Baron and Kenny's analysis methods and examined meditate effect verified the effect of emotional behavior of college freshmen on adult media immersion by mediating smartphone dependence and self-esteem.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lege freshmen with experience using adult media looked at gender, parents' age, parents' final education, economic level, family composition, and computer use. It also identified the emotional behavior,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the effects of self-esteem, which are parameters for freshmen at universities,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The study participants selected university freshmen as subjects of the study based on data from the seventh year (2016)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 sample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is longitudinal survey model for understand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is study,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was graft into the final survey among the data selected by the survey participants as stratified-multilevel-sampling collection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using the SPS WIN 24.0 program by means of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obel tes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behavior of college freshmen and adult media immersion shows that adult media immersion increases when college freshmen are emotional behavior, this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ß=.199, t=3.920, p<001). In other words, the more negative their emotional behavior i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be exposed to adult media, therefore you can see that you are immersed in adult media. Second, the emotional behavior of college freshmen was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self-esteem,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ß=-.635, t=-16.070, p<.001). In other words, the more negative the emotional behavior of college freshmen is, you can see that you come down their self-esteem. When a freshman in college has shyness, inability to express his or her opinion, a lot of anxiety, a desire to die, etc, It can be explained that self-esteem is reduced by not discovering one's merits and not being able to feel valued. Third, emotional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static impact on smartphone dependency and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ß=.240, t=4.823, p<.001). In other words, the more negative the emotional behavior of college freshmen i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rely on smartphones. The more college freshmen have social atrophy and depression, They can explain that without smartphones, people feel more anxious, isolated and uncomfortable. Fourth, self-esteem is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ing between emotional behavior and adult media immersion. After examining the effects of adult media immersion through simultaneous input of emotional behavior and self-esteem,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had a negative effect on adult media immersion, and that it was also statistically(ß=-.149, t=-2.272, p<0.05). And emotional behavior didn't affect adult media immersion, it was not also statistically. In other words, emotional behavior affects adult media immersion through self-esteem. After all, college freshmen have less self-esteem as their emotional behavior is negative, but higher self-esteem reduces their desire to use adult media until late at night. Fifth, dependence on smartphones is found to be partial medtiaing in terms of emotional behavior and adult media immersion. After examining the effects of adult media immersion by applying emotional behavior and smartphone dependence at the same time, smartphone dependency is found to have a static effect on adult media immers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ß=.276, t=5.440, p<0.001). And emotional behavior has a static effect on adult media immersion,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ß=.133, t=2.634, p<0.001). However, its influence has been shown to be slightly lower than that of emotional behavior and adult media immersion, and its dependence on smartphones has partial medtiaing widened between the two. In other words, emotional behavior increases 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dependence on smartphones increases college freshmen's immersion on adult media. This increases the chances that college freshmen will be immersed in adult media as they will be exposed to pornographic material without realizing it, as they have plenty of time with smartphones all the time. In this study, the emotional behavior of college freshmen was analyzed in depth to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dependence and self-esteem on adult media immers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self-esteem of college freshmen in the influence of new university students on adult media immersion has been identified as a protective factor for adult media immersion, and thu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has been achieved to promote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by improving the self-esteem of college freshmen. 본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이 스마트폰 의존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성인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Baron & Kenny의 분석방법을 중심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성인매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대학교 신입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성별, 부모 연령, 부모 최종학력, 경제 수준, 가족구성, 컴퓨터 사용 여부 등을 살펴보았다. 또한 독립변수인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과 매개변수인 스마트폰 의존도,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파악했다. 연구 대상자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하는 한국아동․청소년의 패널(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7차(2016)년도 자료를 기준으로 대학교 신입생들을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로 선정했다.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의 표본은 아동․청소년기의 성장과 발달 과정을 파악하기 위한 종단조사 모형으로, 층화다단계집락표집 방식으로서 조사대상자를 선정한 자료 중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의 패널을 최종 조사에 접목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는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 등의 분석방법을 통해서 검증했다. 본 연구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과 성인매체 몰입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이 높으면 성인매체 몰입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다(ß=.199, t=3.920, p<.001). 즉, 대학교 신입생들은 정서행동이 부정적일수록 성인매체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지며, 그로 인해 성인매체에 몰입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은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함을 보여주고 있다(ß=-.635, t=-16.070, p<.001). 즉,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이 부정적일수록 자신의 자아존중감은 많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대학교 신입생이 부끄러움, 자신의 의견을 말하지 못함, 걱정이 많음, 죽고 싶다는 생각 등을 가지고 있을 때, 자신의 장점을 발견하지 못하고 가치 있는 사람이고 느끼지 못하게 되어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셋째, 정서행동은 스마트폰 의존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ß=.240, t=4.823, p<.001). 즉,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이 부정적일수록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확률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 신입생이 사회적인 위축과 우울감 성향을 갖고 있을수록 그들은 스마트폰(휴대전화)이 없으면 불안과 고립감 및 불편함을 더 많이 느끼게 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정서행동과 성인매체 몰입 간에 있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행동과 자아존중감을 동시에 투입해 성인매체 몰입과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은 성인매체 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ß=-.149, t=-2.272, p<0.05). 그리고 정서행동은 성인매체 몰입에 영향이 없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ß=.104, t=1.587, p>0.05). 즉, 정서행동은 자아존중감을 통해 성인매체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결국, 대학교 신입생은 정서행동이 부정적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지만,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늦은 밤까지 성인매체를 이용하고 싶은 생각이 감소한다. 다섯째, 스마트폰 의존도는 정서행동과 성인매체 몰입 간에 있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행동과 스마트폰 의존도를 동시에 투입해 성인매체 몰입과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스마트폰 의존도는 성인매체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ß=.276, t=5.440, p<0.001). 그리고 정서행동은 성인매체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ß=.133, t=2.634, p<0.001). 하지만 정서행동과 성인매체 몰입과의 관계만 볼 때보다 그 영향력이 다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의존도가 둘 사이를 부분매개하는 것이다. 즉, 정서행동은 스마트폰 의존도를 높여주고 스마트폰 의존도는 대학교 신입생의 성인매체 몰입을 높여준다. 이는 대학교 신입생들이 항상 스마트폰을 지니고 있는 시간이 많다 보니 자신도 모르게 음란물에 노출될 환경에 놓여 성인매체에 몰입할 확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이 성인매체 몰입에 대한 스마트폰 의존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대학교 신입생의 정서행동이 성인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대학교 신입생의 자아존중감이 성인매체 몰입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파악됨으로서, 대학교 신입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심리정서적 안정감을 도모하려는 연구목적을 성취했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

      • W. A. Mozart Symphony No.40 in G Minor. K.550 : 1악장을 중심으로 한 지휘법 연구

        김경태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1

        Every orchestra conducting student should study the music of Classial period that is the standard and the basis of music. , W. A. Mozart who was born 250 years before was not only the typical Classical composer between Baroque and Romantic periods but also had established the Classicism. His musical works are very impressive specially in symphonies even though he died just at 35 years old. In this thesis I have studied Music Analysis for conducting mainly with 1st movement of Mozart Symphony No. 40 in G minor, K. 550. Symphony is a piece of music that is constructed in 4 movements. Each movement has a certain form as 'Allegro - Andante - Minuetto - Allegro'. The organization of musical instruments varies a little depending on a piece of music but the playing method contain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Classicism. He was born in Salzburg with such a genius for music to compose at age 5. His father had made several concert tours with him and his six-year-old sister in many European countries such as Italy, Germany, France, England, Netherlands and so on to learn many European music, and gave him the opportunities to meet famous composers and players to learn their music. In Mozart Symphony No.40 in G Minor, all movements have sonata form. Accordingly all movements except the minuet and trio of the 3rd movement have Exposition, Development and Recapitulation having the 1st and 2nd themes. I have analyzed and studied these and applied them to conducting. Because it contains many things that we should know to conduct as Legato, Marcato, Forte, Piano, Staccato, Subdivided meter, Espressivo, Nonespressivo, et cetera. And these are good studies for the basis and application of conducting. Mozart's 39th, 40th and 41st symphonies called 'the greatest three symphonies' are the most excellent in his works. He expressed his voice according to his emotion, but he never wanted a certain requirement or decision from his audience. He only had sung and played by himself and gave them comfort and freedom. Through his music we will have the pleasure to experience 'abstinence and humanities'. The more important thing than to conduct with a baton is to understand Mozart's music, to make an effort to express it properly and to learn correct conducting method.

      • 공공영역에서의 문화예술교육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중국 중남지구 대극장을 중심으로

        GUO XIN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31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접어든 이때, 세계 각국은 공감능력과 창조적 상상력, 복합문제 해결능력 등 미래 핵심역량 중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핵심가치가 ‘창의성 고양’, ‘문화수용력 제고’, ‘공감능력 배양’ 인만큼 예술을 통한 미래교육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중국은 사회·경제가 빠르게 발전하던 1990년대 후반부터 대극장 건설 붐이 일기 시작하면서 날로 높아져가는 국민들의 문화적 관심에 따라 공공 문화서비스 공간으로서의 대극장 건설이 대도시를 중심으로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공공영역에서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수요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중남(中南)지구 대도시는 높은 경제적·문화적 기반으로 앞 다투어 대극장을 건립하고 있으나 양적 발전추세와는 달리 문화예술교육이 교양 함양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대극장 역할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와 기술혁명시대 도래에 따른 문화예술분야의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중남지구 대극장을 중심으로 수요자 맞춤형 문화예술교육 모델과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중국 대극장의 역할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해외 문화예술교육 사례를 조사하고 실증연구방법으로 중국시민을 대상으로 문화예술 인지도와 참여경험, 대극장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남지구 대극장의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균형화 발전’으로 문화예술의 가치가 커지고 있는 오늘날, 문화 예술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새로운 요구 또한 늘어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디지털기술의 발전은 공연예술분야의 새로운 전형(典型)을 만들어내고 있다.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기회를 누리도록 하는 것이 공공영역에서의 문화예술교육 비전인 만큼 대극장은 복합문화공간으로의 공익성, 공공성, 사회성을 기반으로 모든 시민이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문화 리터러시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육대상별 맞춤형 문화예술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연령별, 계층 별로 특성이 다른 만큼 교육대상의 특성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내용이나, 교육 주기, 교육 횟수, 교육 방법 등을 차별화해 교육효과를 높여야 한다. 셋째, 대극장의 플랫폼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 지역정부 및 교육청, 학교, 지역예술단체 등과 협업해 대극장이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역사회는 대극장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대극장은 인지도를 높이고 미래 잠재 관객을 개발함으로써 지역사회 문화공간으로서의 입지를 튼튼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현재 중국 대극장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비전과 목표가 새롭게 설정되어야 한다. 짧은 기간 동안 갑작스럽게 대극장 건립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대극장의 역할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지만 아직 대극장의 활용도가 낮고 문화예술교육도 소양 함양 정도의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어 사회적·문화적·경제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문화 예술교육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해 새로운 비전과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극장 문화예술교육이 지식습득 위주의 학교 문화예술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적 교육공간으로 재정의(再定義) 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문화예술교육 수요자 중심의 설문조사로 대극장의 일반적인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긴 했으나 교육주체인 교·강사와 예술교육 기획자의 의견 수렴에 미흡한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로 대극장과 학교, 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연구를 제안한다. 셋째,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대극장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안한다. 인공지능은 예술을 기계화 하려고 하지만 예술은 기계화시대에 인간의 존속을 유지시킬 수 있는 열쇠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예술은 공감과 창의력을 일깨우는 기초가 된다. 앞으로는 과학·기술 중심의 STEM 교육 또는 Maker 교육이 아니라 예술적 상상력과 창의력, 철학적 성찰 능력을 함양하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감염병의 예방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과 대응 행동 연구 -Corona Virus Disease-19를 중심으로-

        박학순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요 약 문 2000년대 몇 차례의 신종감염병을 경험한 우리나라는 감염병 관련 법령과 제도를 정비하여 신 감염병의 유입차단과 관리에 대비하여왔으나 최근 전 세계적인 Corona Virus Disease 19(COVID 19)의 대유행에 커다란 시련을 겪고 있다. 이 신종감염병은 과거의 경험과 달리 장기간 지속하며 우리 생활환경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획기적인 예방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는 한 우리 생활방식의 영구적인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도 예상된다. 이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국제간 이동, 거래의 제약과 변화가 예상되고, 국내적으로는 전통적인 혼례, 장례문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며 식습관, 구매 행동, 생활 스포츠 등과 관련된 사회, 경제적인 커다란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코로나 19 감염병에 대한 지식과 예방 행동, 그리고 생활환경의 불편함에 대한 인내의 수준(태도)를 살펴보고 각각의 변인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코로나 19를 비롯한 신종감염병의 관리와 대응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최정실 등(2015)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관련 선행연구에 사용된 설문 문항들을 수집하고 이를 코로라 19에 적합하도록 변형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총 문항은 2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용인지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Sample Size는 G*power 3.1을 이용하여 F test에서 유의 수준 .05, 효과크기(중간수준) .15, 검정력 95%에 예측변수를 25개로 하였을 때의 Total sample size 인 216에서 탈락률 25%를 고려하여 270매의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이나 중복표기가 있는 13매를 제외한 257매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에 대한 Cronbach α 계수는 유효한 연구 변인의 경우 최소 0.896에서 최고 0.913으로 나타나 .7 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자료는 IBM SPSS Ver. 25.0(WI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 목적에 부합하도록 평균 및 표준 편차와 t-test,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후분석은 Scheffe’s test를 이용 하였으며,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응답자 특성에 따른 지식수준은 다음과 같다. 응답자 특성 변수 중 연령과 가족구성원, 고위험군에서는 기저질환과 흡연에 따라 지식수준에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령별로는 51세~65세 미만(6.73점)에서 가장 높은 지식수준을 보이다가 연령이 낮아질수록 지식수준도 같이 낮아지는 경향이 확인된다. 가족구성원에는 65세 이상 가족이 있는 경우(6.74점)에서 코로나19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다른 가족구성원과는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6.73점)가 없는 경우(5.81점)에 비해 코로나19 지식수준이 높았으며 흡연자(6.58점)는 비흡연자(6.01점)에 비해 코로나19 지식수준이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응답자 특성에 따른 예방 행동의 수준은 다음과 같다. 응답자 특성 변수 중 연령과 가족구성원, 고위험군에서는 기저질환과 흡연에 따라 예방 행동수준에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4.49점)에서 가장 높은 예방 행동수준을 보이다가 연령이 낮아질수록 예방 행동수준도 같이 낮아지는 경향이 확인된다. 가족구성원에는 65세 이상 가족이 있는 경우(4.31점)에서 코로나19 예방 행동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다른 가족구성원과는 유의수준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4.31점)가 없는 경우(3.64점)에 비해 코로나19 예방 행동수준이 높았으며 흡연자(4.54점)는 비흡연자(3.51점)에 비해 코로나19 예방 행동수준이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응답자 특성에 따른 생활환경 대한 인내의 수준은 다음과 같다. 응답자 특성 변수 중 가족구성원, 위험군에서는 기저질환과 흡연에 따라 태도수준에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족구성원에는 65세 이상 가족이 있는 경우(4.03점)에서 코로나19 태도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다른 가족구성원과는 유의수준 0.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4.42점)가 없는 경우(3.49점)에 비해 코로나19 태도수준이 높았으며 흡연자(4.26점)는 비흡연자(3.61점)에 비해 코로나19 태도수준이 높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각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방 행동과 태도(r=0.454) 간에는 유의수준 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상관성은 양(+)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방 행동수준의 증가와 태도 수준의 증가 사이에는 상호 증감을 함께하는 특성이 확인되었으나 지식수준과 예방 행동(r=0.022), 지식수준과 태도(r=0.061)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신종감염병에 관한 선행 연구에서처럼 위험을 지각하는 응답자의 특성에 따라 지식수준과 예방 행동, 그리고 생활환경 변화에 인내하는 태도의 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예방 행동과 태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예방 행동수준의 증가와 태도 수준의 증가 사이에도 상호 증감을 함께하는 특성이 확인되었으나 지식수준과 예방 행동, 지식수준과 태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지는 못하였다. 이는 장기간 계속되는 코로나 19의 진행에 따라 조사 대상자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국민이 관련된 지식수준의 평준화와 반복되는 일상의 통제에 익숙해진 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차후 이와 같이 장기간에 걸쳐서 진행되는 감염병에 대해서는 시점별로 대상자들의 지식수준과 예방 행동, 그리고 태도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에 대해 동일집단에 대한 종단적 연구를 해볼 것을 제언한다….

      • 시내버스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예방에 관한 연구 : 인적요인에 의한 사고를 중심으로

        김영철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31

        국문요약 우리나라는 지난 2017년 8월에 ‘고령화사회’를 넘어 ‘고령사회’로 진입하였다. 2026년에는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고령자가 20.8%를 차지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을 앞두고 있다. 급속한 고령인구 증가와 함께 고령운전자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연령이 증가하면 신체적으로 노화가 진행되어 인적요인에 의한 교통사고가 급증한다는 것이다. 이는 고령운전자의 인지반응시간이 길어져 운전 상황에 맞는 정확한 판단을 못하여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것이다. 고령운전자는 일반운전자에 비해 자신이 생각하는 운전능력과 실제 인지하는 능력의 차이가 커 교통사고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문제는 고령운전자 자신의 인지능력 등을 알 수 있는 제도적 시스템이 부족하여 운전능력이 상실된 고령운전자가 운전을 계속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많은 승객을 운송하는 시내버스 고령운전자는 운전적성정밀 자격유지검사 이외에는 특별히 관리하는 법․제도적 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고령인구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시내버스 운전자 또한 고령화되어 가는 것은 당연한 사실이다. 따라서 대중교통의 대표격인 시내버스 고령운전자의 인적요인을 특별히 관리할 수 있도록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보다 강화가 필요하다. 시내버스 운전자는 승객을 운송하는 1차적인 책임자이자 동시에 현장의 최종 책임자다. 많은 승객의 생명을 지키는 책임자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인구의 고령화와 더불어 시내버스 고령운전자 역시 함께 증가하고 있다. 연령이 많아지면 인지반응시간 지연, 판단력 저하로 인해 교통사고가 발생한다. 고령운전자는 잠재적 교통사고 위험이 높은 운전자라는 것이다. 또한 시내버스 운전자는 노선이 있는 관계로 잦은 정차․출발을 반복하여 노동 강도가 타 업종(직행 및 고속버스)에 비해 높고 임금은 낮다. 이렇다 보니 젊은 운전자의 신규 유입이 적은 실정이다. 젊은 운전자 신규 유입이 적은 관계로 갈수록 운전자가 고령화되고 있는 현실에 놓여 있다. 젊은 운전자의 자리를 고령운전자가 계속 채우고 있어 그 심각성은 더하고 있다. 시내버스 운전자의 고령화로 인해 신체기능 저하에 따른 인지반응 시간 지연으로 교통사고 발생 확률은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일반 고령운전자를 대상으로 개별적 과제에 의한 인지능력, 운전행동, 판단능력 저하 등에 따른 위험성을 알리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시내버스 고령운전자의 인적요인을 다룬 연구는 없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내버스 고령운전자의 인적요인을 분석하여 고령운전자의 관리제도 강화, 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는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시내버스 고령운전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연구의 성격이 짙다. 선행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기존 연구와 차이점을 둘 수 있는 시내버스 고령운전자를 대상으로 연구 과제를 선정하였고, 운전자의 일반적특성 및 운전특성, 인적요인에 속하는 인지된 운전능력, 운전행동, 사고위험 요인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은 연구자의 직장과 주거지가 있는 경기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첫째,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고령운전자의 각 요인(인지된 운전능력, 운전행동, 사고위험)의 인식정도, 아차사고의 발생 가능성과 상황적응력의 취약성이 있었다. 둘째, T-test분석을 통하여 사고위험 및 인지된 운전능력이 교통법규 위반행위와 사고를 일으키고 당한 경험 횟수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인지된 운전능력(상황적응력)이 사고위험과 운전행동이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인지된 운전능력(상황적응력)이 사고위험 요인인 아차사고, 주위불안, 자기불안 3가지 모두에게 영향력을 미친 것이다. 다섯째, 매개효과분석을 통하여 인지된 운전능력(상황적응력)이 사고위험 요인인 아차사고, 주위불안, 자기불안 3가지 모두에게 높은 영향력을 미쳤으며 인지된 운전능력(운전자신감)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금까지의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사고위험에 인지된 운전능력(상황적응력)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고, 운전행동의 일부 요인 중, 위반이 사고위험에 낮은 영향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내버스 고령운전자의 상황적응력(인지된 운전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위반의 운전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법․제도적 장치의 마련과 운전자 교육 등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해 시내버스 고령운전자의 취약한 인적요인을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사고 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의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내버스 고령운전자 이외에도 고속버스, 마을버스 등 사업용 고령운전자 대상으로 연구는 계속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고령운전자의 인적요인이 실제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여부를 알 수 있는 연구․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일반 고령운전자는 설문조사에 참여시키지 못하여, 향후에는 시내버스 고령운전자와 함께 비교하는 연구․분석이 필요하다. 넷째, 고령운전자관리의 경제적인 비용편익분석이 필요하다. 다섯째, 다양한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고령운전자 교통사고를 줄이는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새로운 개념의 고령운전자관리 정책실현으로 교통선진국 도약을 위한 발판이 마련되어야 한다.

      • 오순절 신 현현 관점에서 본 방언의 공동체적 역할에 관한 고찰

        김범석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방언은 성령침례를 받았다는 “최초의 육체적 증거”이다. 이 선언이 현대 오순절운동을 이전의 다양한 신앙운동들과 명백하게 구별시키는 신학적 해석이며, 동시에 현대 오순절운동을 태동시키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성령침례는 하나님의 임재를 의미한다. 성령침례의 증거가 방언이라면 방언은 신앙의 성장과 성숙적 측면에서 신앙공동체에 그 영향력이 광범위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방언이 신앙공동체에 끼치는 영향력은 극히 개인적 신앙에 국한되고 있었다. 이런 의문점이 방언을 공동체 변화의 역할로 확대하는 연구로 이어졌다. 신 현현으로서 방언의 개념을 하나님의 언어적 임재로 보았다. 가설의 입증은 구약과 신약의 대표적 사건인 시내산과 사사시대의 법궤, 그리고 오순절에 나타난 하나님의 임재 양식을 상징과 언어적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나님이 언어적 존재였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간의 말이 하나님의 말씀으로 바뀌는 종교적 언어이해와 기독교 예식인 성례를 통해 이해된 하나님의 임재를 방언에 나타난 하나님의 임재와 유비로 입증하였다. 방언은 개인적인 신앙 유지에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공동체적 역할을 감당해야한다. 방언은 공동체 역할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방언의 새로운 창조 역할이었다. 모든 인류는 성령침례로 언어적 통합인 방언을 통해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평등의 방언’과 정화의 작용으로 언어적인 윤리성이 회복되는 ‘화해의 방언’, 마음속에서 믿음의 고양을 주는 신비한 언어인 방언을 통해 치유가 일어나는 ‘치유의 방언’이었다. 둘째, 방언의 공동체적 회복 역할이었다. 통합의 방언으로 ‘언어적인 재창조’로 새롭게 구성되는 사랑의 공동체를 인도하는 역할이었다. 소통으로서의 방언으로 하나님의 교제와 인간의 교제가 서로 소통되는 역할이었다. 나눔의 방언으로 초대교회의(행 2:42) 가족공동체로 변화되는 역할이었다. 방언은 신비의 언어이었다. 신 현현으로서 하나님의 임재이었다.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방언을 주신 목적이 보다 구체적으로 인식되고 방언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된다면 오순절은 또 다시 교회부흥의 파도를 탈 것이라고 확신하게 되었다.

      •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홍정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국문초록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그릿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그릿을 국내에서 연구한 것은 매우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릿은 청소년과 대학생,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하여 성취와 자신의 존재 가치를 가질 수 있게 도울 수 있는 핵심 요소로 삼고 있다. 이와 같은 그릿은 목표달성에 있어 추구하는 목표가 어떤 것이든 목표를 이루게 하는 강렬한 동기와 행동력을 제공하여 성취를 촉진시키는 열정과 끈기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그릿에 대해 현재까지 보고된 선행연구는 그릿의 타당화 및 척도 개발과 그릿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비록 소수이지만 다양한 변수를 투입하여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릿에 대한 연구는 시작점에 불과하다. 더구나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는 미미한 정도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청소년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그릿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부모양육태도를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로 구분하고 그릿을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으로 구분하여 서로 간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파악하는 시도를 했다. 더불어 청소년에게 자신의 존재 가치를 사랑하고 자신을 존중하는 자아존중감을 함께 개입시켜 자아존중감이 이들 간의 관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청소년의 그릿을 높이기 위한 변수는 무엇이고, 어떤 영향을 미치며,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검증하여 각 변수들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데이터의 중학교 1학년 2,590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보건복지부 지정 공용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면제확인서(면제확인번호 P01-202009-22-021)를 받은 후,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행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친 주요 분석결과는 첫째,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주요변수의 차이에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성별을 제외, 부정적 양육태도는 진로대화 교사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흥미유지와 노력지속 및 자아존중감에 모든 변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높았으며, 부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긍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흥미유지는 높아지며, 부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흥미유지는 낮아지는 것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긍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노력지속은 높았으며, 부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노력지속은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부정적 양육태도가 흥미유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긍정적 양육태도, 부정적 양육태도가 노력지속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부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시사점은 첫째, 변수별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여 일반적 특성의 중요성을 확인한 것이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그릿의 흥미유지와 노력지속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를 확인한 것에 의미가 있다. 넷째, 부모양육태도의 긍정적 양육태도, 부정적 양육태도와 그릿의 흥미유지, 노력지속 간에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자아존중감의 역할을 확인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그릿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주제어 : 청소년, 부모양육태도, 그릿, 자아존중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 엘리야 승천 기사의 신학적 함의

        신원석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신원석(구약학 Th. M.)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구약성서 속 탁월한 영적 지도자 중 한 명인 엘리야가 구름을 타고 승 천하는 장면은 매우 인상적이면서도 논란을 발생시킨다. 구약시대에는 신 약시대에서 볼 수 있는 내세관이 희미했고, 또한 인간이 하늘에 오르는 것 은 매우 불경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당시 1차 독자 들이 엘리야가 하나님의 영역으로 올라갔다는 것은 상상조차 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하며, 인간의 승천 사상은 그리스-로마시대 이후에나 가능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본고는 이를 반박한다. 본 논고자는 엘리야의 승천 본문인 열왕기하 2:11-12의 사상적 배경에 끼친 영향을 복원하기 위하여 먼저 고대 근동의 승천 관련 문헌을 분석한 다.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시리아-팔레스타인의 여러 문서를 통해 이들 모 두에게 인간의 승천 사상이 있었음을 확인한다. 다만 구약적 배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측되는 시리아-팔레스타인의 문서는 상대적으 로 이러한 사상이 빈약하다는 점도 감안해야 한다. 이어서 해당 본문 기록자의 의도와 당시 본문 속 인물들, 최초 독자들의 세계관을 파악하기 위해 하나님의 영역인 하늘, 살아있는 인간의 영역인 땅, 죽은 인간들의 영역인 스올로 나누어 그 의미와 인식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하나님과 인간의 영역은 엄격히 분리되어 있고, 죽은 자는 생전의 삶 과 관계 없이 스올로 갈 수 밖에 없다는 일반적인 사상을 확인한다. 더 나아가 구약적 인간 사후에 대한 이해를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스올로 가는 경우와 이례적인 경우를 나누어 관찰한다. 특히 죽지 않고 생 을 마감하거나, 혹은 그렇게 인식되는 인물인 에녹, 모세, 그리고 엘리야의 매우 특수한 케이스를 분석하여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구약에서도 인간의 승천을 이해할 수 있었다는 단서를 발견한다. 이어서 열왕기하 본문의 배경, 연대 분석 및 주석을 통해 엘리야의 승천 이 지니는 신학적 함의를 제시한다. 본문이 포함된 열왕기가 구성되고 편 찬된 연대가 이르면 539년, 늦으면 유배 이후 페르시아-헬레니즘 시대로 보인다. 이 시기는 야웨의 백성이 제국 앞에 무너져 포로기를 겪었던 상황 이었다. 그러므로 1차 독자에게 삶의 자리는 유배지 혹은 그 이후이다. 엘리야의 본문은 더욱 큰 문학적 단위인 엘리야-엘리사 내러티브, 더 나 아가 그것에 나타나는 신명기사가적 관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로서 야웨는 생명이며, 우상을 대표하는 바알은 죽음을 의미한다는 대조적 관계가 내러 티브 저변에 흐른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바알을 따르던 사람들은 비참하게 죽음을 맞이하고, 야웨를 따르는 사람들은 생명 을 유지하거나 죽었더라도 다시 살아난다는 특징을 대조한다. 본고는 갈멜산 전투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는 바알의 소생 시스템에 대한 이스라엘 백성의 헛된 믿음과 그에 대한 야웨의 사망 선고를 분석한다. 결 론적으로 엘리야가 죽지 않고 승천하는 이야기는 생명의 야웨를 대변하는 사역자로서의 이미지를 강화시킨다는 신학적 함의가 있음을 발견한다. 그 리고 이러한 생명은 유배지에서의 이스라엘 백성에게 있어 사망한 국가에 게 새 생명을 부여하는 소망, 즉 귀환에 대한 희망을 안겨주었을 것이다. Shin, Won-seok(Th. M.) The Graduate School of Hansei University The scene where Elijah, a prominent spiritual leader in the Old Testament, rides on clouds and ascends is both very striking and controversial. During the Old Testament era, views on the afterlife were not as straightforward as those in the New Testament, and the notion of humans ascending into heaven was considered to be highly profane. Hence, some scholars argue that the idea of Elijah ascending to God’s realm would have been unimaginable to the original readers at that time, and that the concept of human ascension became plausible only after the Greco-Roman period. However, this study challenges that notion. The writer of this paper first analyzes the documents of the ancient Near East related to ascension, to restore the influence on the conceptual background of Elijah’s ascension in 2 Kings 2:11-12. Through documents from Egypt, Mesopotamia, and Syria-Palestine, it is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human ascension existed in all these cultures. However, the relatively weak presence of such ideas in the Syrian-Palestinian documents, which likely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the Old Testament context, is acknowledged. Next, the author categorizes the realms of God (heaven), living humans (earth), and the deceased (Sheol) to examine the meaning and the perceptions, so that the intentions of the document authors, characters within the ascension texts, and the worldview of the initial readers can be understood. This analysis confirms a generally held belief that God’s realms and the human realm were strictly separated, and the deceased were destined for Sheol regardless of their life conduct. Furthermore, typical passages to Sheol and exceptional cases are examined, to better comprehend the Old Testament’s understanding of post-human existence. It is discovered that even the Old Testament holds clues that help us understand human ascension, which is unusual, by studying the very particular cases of Enoch, Moses, and Elijah, whose lives ended without death or were perceived as such. Subsequently,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Elijah’s ascension are presented through a background analysis, chronological considerations, and commentaries on 2 Kings. The composition and compilation of the text within the Book of Kings ranges from as early as 539 BCE to the later Persian-Hellenistic period, after the exile when the people of YHWH suffered captivity and were subjected to foreign rule. Therefore, for the initial readers, their place of life was also their place of exile or post-exile. The Elijah text must be understood within the broader literary context of the Elijah-Elisha narrative and the historical view of Deuteronomy that is reflected within it. This unveils the contrasting relationship, where YHWH represents life while Baal, the idol, signifies death, underlying the narrative. To prove this, the miserable deaths of those following Baal are contrasted with the preservation of life or revival of those following YHWH, even after death. In the paper Israel’s futile faith in Baal’s restoration system is analyzed, which is particularly evident in the Mount Carmel showdown and in YHWH’s pronouncement of death upon it. Ultimately,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Elijah’s story of non-death ascension is discovered, as reinforcing the image of YHWH as the giver of life. Such life would have offered hope to the Israelites in exile, granting new life to a nation deemed dead, thereby instilling the hope for rest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