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에 관한 메타분석 : 1999년-2010년 연극·영화 분야를 중심으로

        차재영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논문의 목적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과 영화 분야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메타분석에는 처음 석사학위가 발표된 1999년부터 2010년 봄 학기까지 나온 연극과 영화 전공분야의 72편의 논문이 연구대상이 되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가 석사학위를 배출한지 11년이 되었고, 배출한 학위논문 수가 총 830편이 되었지만, 어떠한 학문적 발자취를 갖고 있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없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본 연구자는 그동안의 학문적 역사를 돌아보고, 현재와 미래를 위한 도약의 의미에서 연구자의 전공분야인 연극·영화 분야 논문 72편을 메타분석하게 되었다.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영화 분야에서 11년 동안 배출된 석사논문 72편중 연극전공 논문이 38편이고, 영화전공 논문이 34편으로 비교적 비슷한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논문 주제 면에서는 72편이 모두 다 색다른 주제를 다루고 있을 정도로 다양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 면에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공연영상학과 연극·영화 분야 논문은 우리나라 연극·영화 분야의 학문적 보고(寶庫)라 칭할 수 있다. 전공별로 논문주제를 살펴보자. 38편의 연극 전공자들의 논문주제를 보면, 영화전공자들보다 주제면으로 훨씬 더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너무 다양하여 영화처럼 몇 가지로 범주화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특징적인 주제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연극 작업일지, 전통탈, 판소리, 얼굴분장, 성우, 뮤지컬, 패션쇼, 마술, 조명, 가극, 연기훈련 등이다. 영화는 34편으로, 주제를 세분화해보면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영화제작, TV드라마 제작, 영화 비평 및 분석. 연구방법 측면에서 보면, 문헌연구(47.2%)와 사례연구(44.4%)가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그 외의 비교연구(6.9%)와 실험연구(2.7%)는 가장 적게 활용된 연구형태이다. 본 연구는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연극·영화 분야의 최초의 메타분석적 연구논문이며, 지금까지 졸업생들이 발표한 모든 논문의 흐름을 한 눈에 살펴 볼 수 있는 객관적이고 통합적인 데이터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앞으로도 연극·영화 분야 전반에 관한 경향분석 및 메타분석이 꾸준히 연구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master's theses(from years 1999 to 2010) in the fields of theater and film of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t Chung-Ang University. In this meta-analytic study, 72 theses in the two fields are utilized. Among the 72 theses, the theses are rather evenly divided in terms of the majors: 38 in theater, and 34 in film. Interestingly, the topics of the theses are so diverse that almost all of the theses deal with different topics. Among the 34 theses in the field of film, there are three major topics: film production, TV drama production, and film criticism and analysis. In the field of theater, there were more diverse topics than in film. The topics of the master's theses are diverse indeed;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a few sub-areas: daily logs of productions, traditional masks, pansori(Korean traditional style operas), make-up, voice acting, musicals, fashion shows, magic shows, lighting, North Korean operas, acting training, performances, etc. In addition, the quality of each thesis is sufficiently high to be used as good research data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s. In the light of research methods, these are relatively skewed; researchers mostly used the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47.2%), and case study (44.4%), followed by comparative study (6.9%), and experimental research (2.7%). This thesis is the first meta-analytic thesis in the field of theater and film of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t Chung-Ang University. In that sense, this work is meaningful since it shows an objective bird's-eye view of the all theses in the two areas. It is this researcher's hope that further meta-analytic research in the fields of theater and film would be continued, based upon this study.

      • 公演藝術 觀客開發에 關한 硏究 : 國立劇場을 中心으로

        김광집 中央大學校 藝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79

        이 논문은 공연 예술 관객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그리고 이 연구는 특별히 국립중앙극장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이유는, 국립중앙극장은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극장이고 우리 나라 공공극장 운영 의 표본이기 때문이다. 이에 문제점을 지적하고 또한 국립중앙극장은 주변 경관이 수려하고,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립중앙극장 자체조사에서 세종문화회관 이나 예술의 전당에 비해서 관객인지도가 아주 현저히 떨어지는 것은 교통이 불편한 것이 주된 요인으로 평가하고 있다. 그래서 그 원인을 면밀히 조사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국립극장은 1950년 창립한 공공극장으로서 가장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다. 2000년부터는 `책임운영 기관`체제로 전환하여 예술성과 공공성 경영의 효율성도 도모해야 하는 과업을 안게 되었음에도 관객유치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있는 것은, 공연예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공연 내용 의 문제점 일 것이다. 현재"책임운영기관"체제로 전환한 후 국립중앙극장 자체에서 많은 변화를 시도하고, 내부시설 또한 대대적인 보수, 수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관객들의 반응이 그전체제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고 특히 젊은 층의 외면은 전통예술공연을 집중적으로 하는 것도 원인이라 할 수 있겠으나, 전통예술공연을 장, 노년층의 향수심을 불러일으키는 데에만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국립중앙극장은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공연장이므로 전통예술공연에 있어서 대중예술공연에(속악俗樂)많은 비중을 두지 말고 순수예술공연(정악正樂)에 더 많은 비중을 반드시 두어야 할 것이다. 조선조, 성종 때 예조판서`성현`선생이 저술한 `악학궤범(樂學軌範)`서문에 `일부 부녀자들이 음란해지고, 일부 젊은이들이 들뜨는 것은 음악정책을 바로잡지 못한데 그 원인이 있다` 라고 언급했다. 영리가 주목적인 일반 사설 극장이 아닌 국가를 대표하는 국립중앙극장은 필연적으로 오 천년 역사의 맥을 면면히 이어온 우리의"정악(正樂)"이 주된 공연이어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의 공연 문화는 상당히 협소하여 단시일 내에 선진국처럼 국민의 70 ~ 80%가 공연장을 찾는 문화로 전환하기는 실제로 어려운 상황이다. 그 이유로는 입시 위주의 교육제도,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경제상황, 등이라 할 수 있다. 즉 정신적 여유를 가질 시간이 적다는 것이다. 이제는 국립중앙극장이 예술의 전당 과, 세종문화회관 과 같이 관객들이 선호하는 극장으로 전환해야할 것이다. 국립중앙극장이 교통이 불편한 것 때문에 관객이 외면하는 것으로 자체조사에서 언급했지만, 실제로 관객은 공연내용이 충실하면 불편한 교통쯤은 충분히 감수한다. 이 시대의 사람들은 맛있는 음식을 먹기 위해 몇 시간씩 소비하면서 찾아가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공연장은 반드시 수준 높은 공연과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면 그 공연장을 찾을 것이다. 또한 국립중앙극장은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극장이므로 단순한 인기위주의, 오락적인 공연물보다는, 격이 있고 수준 높은 공연 이 이루어져야 만 중장기적으로 관객의 수가 늘어날 것이다. 본 논문은 공연장의 관객개발은 물론 국립중앙극장의 문제점과 개선책을 연구하고, 더 나아가서, 문화 선진국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 연구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고자한다.

      • 문화행정 혁신을 위한 중앙문화행정 공무원 연수 설계 및 구현

        김정이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79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21세기 지식정보사회는 인터넷을 통해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초월한 개방화된 글로벌 시대로서 매일 같이 그 변화속도가 급변하고 있으며 모든 영역이 무한경쟁으로 치닫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중앙문화행정의 조직 혁신은 새로운 지식사회의 패러다임을 문화영역에서 선도적으로 구축하는 첫 시발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추진되어야 한다. 즉, 중앙문화행정의 조직 혁신은 사람의 변화가 기본이 되는 자발적 혁신의 방법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혁신의 내용은 교육시스템을 통한 개인의 역량강화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화의 창조와 향유를 통한 창의성 제고가 인적자원의 지식기반 사회 적응을 고무함으로써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문화예술 매개자, 특히 공무원의 역량 강화와 이에 따른 행정조직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대전제 하에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창의성은 예술, 과학, 산업, 교육, 그리고 공동체의 발전에 핵심적인 것일 뿐만 아니라, 부자와 가난한 자, 다수자와 소수자, 학식 있는 자와 문맹자 모두의 자산이다. 이러한 창의성의 원천은 문화예술이다. 둘째, 정보화 사회로의 이행하게 됨에 따라 촉발된 환경의 변화는 사회적 위기를 가중시키고 행정의 혁신을 불러일으켰다. 셋째, 행정의 역량은 곧 구성원의 역량이며, 지속적인 혁신을 위해서는 자발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조직혁신은 시스템과 사람의 변화가 동시에 추진되어야 하며 문화적인 방식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넷째, 문화예술 전문인력을 창조자, 매개자, 향유자로 나누어 교육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중앙문화행정 공무원은 문화예술 매개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매개자를 분류한 뒤 각각의 역량모형을 도출하였다. 역량모형을 통해 제시된 필요역량을 토대로 중앙문화행정 교육프로그램 매트릭스에 근거한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다섯째, 역량모형을 토대로 설계된 중앙문화행정 Deep Change Program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효과성 분석을 통해 연수과정이 사람의 변화를 촉진한다는 사실과 역량모델에 의한 맞춤형 교육과정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기대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이란 주제에 보다 세부적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문화예술 교육 대상자 중 문화예술 매개자에 대한 업무수행별 분류과정은 문화예술 매개자 수요를 계량적으로 환산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계량적 환산을 통해 문화예술 전문인력 중 매개자에 대한 전문교육이 필요한 곳에 필요한 내용으로 적시에 공급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역량모델은 맞춤교육 운영을 위한 과정설계의 토대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공공재로서 교육제공의 중복성을 줄이게 함으로써 효율성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중앙문화행정 D.C.P.의 효과성 검증을 바탕으로 21세기 새로운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학습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자신의 능력 중 부족한 부분을 스스로 찾아 학습할 수 있는 자기주도 학습을 설계해야 한다. 자기주도 학습은 문제해결과정의 총본산이자 문화생태지킴이로서의 연수원의 입지와 역할을 드러낸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자율적 능력개발에 의한 조직혁신은 빠르고 복잡한 사회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필수요소이다. 중앙문화행정 조직은 다양한 연구모임을 지원함으로써 문화적 조직혁신 사례를 창출해야 한다. 셋째, 교육운영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사이버교육과 집합교육을 연계하는 Blended Learning의 도입이 모색되어야 한다. 넷째, 창의력의 원천으로서의 문화예술의 확산을 위해서 타 부처 공무원에 대한 문화예술교육이 확대, 시행되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은 행정의 역량강화를 불러일으킨다. 다섯째, 기업의 인재개발시스템에 비해 문화예술계의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접근은 비체계적이며 단선적이다. 따라서 문화예술 매개자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의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교육기관별 프로그램과 시스템에 대한 교류와 제휴를 통해 체계적이고 과학적 데이터에 근거한 프로그램을 제시해야 한다. 여섯째,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관점에서 인적자원 개발과 문화예술 핵심 인력을 육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칭) 문화예술인재개발센터를 설립함으로써 변화와 개혁을 리드하고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혁신의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 앞으로 중앙문화행정 공무원 즉, 문화예술 매개자에 대한 교육훈련의 방향은 과거 수동적이고 단편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인적자원 개발과 핵심 인력육성이라는 장기적, 전략적인 관점에서 재조명해 나가야 할 것이다.

      • 뮤지컬관객의 티켓구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은정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twenty first century is the era of culture and it focuses on the sensitivity of cultural creativity. As people's economic standard improves and leisure time increases, the demand of quality life along with the desire for art enjoyment grow together and as the result the performing arts are to be industrialized. And the paradigm of cultural art transfigures from the art supplier to art customer and centralizes on the customers' satisfaction. So the research on the satisfactory marketing activity for the supply and demand of customers and the study on consumers' attitude and reaction are needed. This thesis researched the main conditions of purchasing ticket for domestic musical. Through book research and preceding studies, this thesis found out the 7P in service marketing, choice conditions, viewing attitudes of audiences, and reason for choice and researched the audiences' musical fashion by classifying the lisensed musical and domestically created musical. The study surveyed 320 people at Seoul public venues by haphazard sampling process and direct interview. Through the data coding process and SPSS for Window 14 Statistic Program, the collected data was studied by technology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rossing analysis, and dispersion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he main reasons for watching the musical was for getting rid of stress, having amusement, mental satisfaction, emotional purification, vivid experience, and new challenges. As the number of yearly watching got increased, the average points also were increased. Especially women enjoyed musical for getting rid of stress and enjoyment while men chose for dating or memorable events. The first priority for choice was the content of production, quality, and beauty of art. The popularity of works, rumors on works, review of works, criticism, music, admission price, discounting point, characters' popularity are followed after them. The study shows that the audiences have clear choice conditions on quality of works, characters, and music which are the essential elements of musical rather than the external conditions. Men, 40s, art or entertainment personnel, graduate schools graduates, large income earner, frequent watcher have preference on music and authors while 50s, high school graduates, house wives have preference on pop singer or entertainers. And not-frequent watchers, 20s, under high school graduates, house wives, small income earner were highly affected by ticket price and admission discount issue. Not-frequent watchers, women, 40s, under high school graduates, house wives, large income earner seriously regarded TV, magazine, and internet promotion. The survey reports that friends, family members, and sweet hearts were in order going for watching together, men were highly shown bringing their family members and sweet hearts, while women friends. And the main disturbing matters for audiences to watch were high price of ticket and lack of leisure time. The not-frequent watcher depended on TV/Radio's promotion information while the frequent watcher used internet ticketing sites. The ticketing sales was really good in internet and 13% of the total internet ticketing was free. The fixed ticketing from one site or phone ticketing were not reported many. Each performance art organization needs to have its own web-sites for offering speedy information with real-player video service through internet and utilizing on-line communication program in order to manage the membership security and membership preservation. The favorite venue for musical performance was DaeHakNo Small Theater, Seoul Arts Center and SeJong Center were chosen by low viewers and LG Arts Center and ChungMoo Art Hall for high viewers. The marked inconveniences for the viewers in order were seats, transportation, and toilet. The personal motivation and choice condition took on graded aspect according to population statistics classification and viewing degree. Therefore, performance planners must consider various choice conditions, viewing motivations, performance viewing attitudes from the beginning of planning. The also need to map out marketing strategies as they set the target population according to specialty of population statistics and the degree of performance acceptance. Since the musical business is to be affected by these many conditions, it should apply graded strategies for viewer activation according to its needs. Hereafter, a comparative analysis on musical mania vs non-musical mania, a comparative research on Seoul vs other areas, a case study on non- experienced viewers, a research on viewers' attitudes according to performance time setting,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size of venues, and delicate thesis on viewers' re-buying attitude are to be written. 21세기는 문화의 시대라고 한다. 또한 감성중심의 문화적 창의성이 중심이 되는 시대이다. 현대인들의 소득수준이 향상되고 여가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삶의 질적 수준의 향상, 예술향유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늘면서 공연예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고 본격적인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문화예술의 패러다임이 예술공급자 중심에서 예술향유자 중심으로 변모해 감에 따라 고객만족 개념이 중심화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욕구와 수요를 충족시키고 만족의 극대화에 근접할 수 있는 소비자지향적인 마케팅활동과 소비자의 행동과 태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최근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국내뮤지컬을 중심으로 관객들의 티켓구매에 관한 결정요인을 연구한 것이다.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함으로 서비스마케팅에서 다루고 있는 7P를 통해 관객의 선택기준과 공연관람 행태, 관람동기요인을 알아내었고 라이선스뮤지컬과 국내창작뮤지컬을 분류하여 관객들의 뮤지컬 유형에 따른 결정요인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서울지역 공연장에서 편의표본추출방법으로 뮤지컬관람객 320명을 대상으로 직접면접법에 의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코딩의 과정을 거쳐 SPSS for Windows 14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뮤지컬관객의 관람 동기는 ‘스트레스해소/ 즐거움’, ‘정신적 만족/정서순화’, ‘생생한 체험/새로운 경험’을 위해서였다. 연간 관람횟수가 높을수록 관람동기의 각 항목에 대한 평균점수가 높게 나왔으며 여성은 스트레스해소와 즐거움을 위해 공연을 관람하는 한편, 남성은 데이트나 특별한 날을 기념하기 위한 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선택기준에서 뮤지컬유형에 관계없이 가장 결정적인 요인은 ‘작품의 내용/질/예술성’ 이었다. 그 다음으로 ‘작품의 유명도/인지도’, ‘입소문/공연 평/관람후기’, ‘음악’, ‘입장권가격/할인여부’, ‘출연배우의 유명도/인지도’의 순으로 높은 결정요인임을 나타내었다. 관객들이 공연 외적인 요인보다 뮤지컬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작품성과 배우, 그리고 음악과 같은 뮤지컬 작품의 질을 중요한 선택기준으로 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음악’이나 ‘연출/작가’에 대해서는 남성, 40대, 예술/연예관련자, 대학원이상, 고소득자, 고관람자가 높은 선택기준으로 삼는 반면, ‘가수나 연예인 등 스타의 출연’에 대해서는 50대 이상, 고졸이하, 주부가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다. 또한 ‘입장권가격/할인여부’에 대해서는 저관람자, 여성, 20대, 고졸이하, 주부, 저소득자가 높은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방송, 잡지, 인터넷 등의 광고’에 대해서는 저관람자, 여성, 40대, 고졸이하, 주부, 고소득자가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관람 행태 분석결과 뮤지컬을 관람할 때 동반하는 사람으로는 친구, 가족, 애인 순으로 조사되었고, 남성의 경우 가족이나 애인, 여성의 경우 친구와 함께 관람하는 경우가 월등히 높았다. 또한 뮤지컬을 관람하는데 방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비용과다와 시간부족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관객이 입장권가격에 대한 부담과 시간적인 제약이 여전히 큰 걸림돌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뮤지컬에 대한 정보경로는 저관람자의 경우에는 TV/라디오 광고에 의존하는 반면, 고관람자는 주로 인터넷예매사이트를 이용하는 결과가 나왔다. 티켓구입방법은 인터넷예매를 통하여 티켓을 구입하는 관객이 월등히 높았으며 무료초대권이 13%나 되었다. 지정예매처나 전화예매는 거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연예술단체와 기관은 인터넷을 통한 정보제공 뿐만 아니라 홈페이지개설, 리얼플레이어를 통한 동영상 등 각종 온라인서비스인 커뮤니케이션방법과 체계적이고 철저한 고객관리인 회원제도를 통해 고객확보와 고객관계유지의 수단으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뮤지컬 공연장으로 선호하는 장소는 대학로소극장이 가장 많았으며, 저관람자는 예술의 전당과 세종문화회관을 선호하는 반면 고관람자는 LG아트센터와 충무아트홀을 더 선호하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공연장이용 시 불편한 점으로는 좌석의자, 교통편, 화장실 순이었다. 이처럼 관람동기와 선택기준은 인구통계학적 분류와 관람정도에 따라 차등화 된 양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공연기획자는 관객들의 다양한 선택기준, 관람동기, 공연관람 행태에 관한 사항을 고려하여 공연을 기획할 때 표적시장을 선정해서 그 표적시장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공연수용정도를 바탕으로 한 마케팅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매우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뮤지컬시장은 이와 같은 차별화 된 마케팅을 통해 그 표적에 맞는 다양한 관객 활성화전략을 펼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뮤지컬 매니아와 비 매니아 간의 비교연구, 서울 이외의 지역과의 비교연구, 관람경험이 없는 대상자와의 비교연구, 공연시간대에 따른 소비자의 태도연구, 공연장의 규모에 따른 비교연구, 뮤지컬관객에 대한 관람 후 재 구매 행동에 대한 정교한 논문들이 요구된다.

      • 비영리조직(NPO) 지역문화재단의 재정자립도 제고방안

        나란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Cultural Foundation should have their independence respected, and an appropriate privatization process should be undergone while maintaining financial independence and protecting the public interest. The private should operate the cultural administration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non-interventionism according to the arm’s length principle of culture and art. Then, the cultural foundation can support local artists, increase cultural enjoyment, and establish a unique cultural identity of the local community. The contributions of local governments take 60% of total operational fund. Thus,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is placed under supervision and control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makes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s difficult to be independent from the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n order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the goal of launching the cultural foundation, it is necessary to become less dependent on the local government's contributions. Search for various subsidies in addition to the local government's contribution is inevitable. Various measures such as social support and diversified revenue should be considered. This paper will derive a conclusion to enhance financial independence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s revenue. A theoretical review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NPO) and public support was conducted, and a review of prior studies related to financial independence and funding was conducted. Based on thi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analyzing example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cultural foundation and the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nalysis indicators for the analysis of financial independence were divided into dependent revenue and own revenue, and dependent revenue was divided into local government contributions, consignments, and government subsidies. Based on this, the need for financial independence was derived. The measures to improve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regional cultural that were derived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projected a way to increase the contribution of donations, which is the proportion of self-revenue that is steadily increasing. The social public value of culture and art was recognized by suppliers, and increased its own revenue through donations, such as individual or corporate sales and activities. Second, it proposed a way to attract private capital investment to propose a new self-investment. The private sector builds public facilities, and the public rents them for ownership and profit rights, and private facilities receive rent from the government and collect the investment costs. The Naming Rights, which sells the right to give the name of the company or the brand name of the company, was presented as well. Third, a plan was proposed to diversify its own revenue. As it is mostly composed of revenue from the concerts, lectures, etc., the cultural foundation can increase the revenue by developing a platform for advertising which can promote the private company. Furthermore, the cultural foundation should develop its own concert and contents so that it can produce extra revenue other than income coming from the distribution of contents. Lastly, since culture and arts are public goods, it is necessary to support and recognize them by promoting campaign. As cultural property is a common asset of society, social support is essential. Since it has various ripple effects, social support is vital for publicity, promoting positive culture and art to citizens, businesses, and artists in the region. This research sought from various angles to improve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지역문화재단은 독립성이 보장되기 위해서는 재정적인 자립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문화재단은 적절한 공공성과 민영화가 유지되어야한다. 문화행정은 문화예술의 `팔길이 원칙`과 마찬가지로 정부 불간섭주의에 맞춰 민간의 주도로 운영되어야 한다. 지역의 예술인 지원, 주민들의 문화 향유 증대, 지역만의 문화 정체성 확립 등 지역문화재단의 출범목적에 맞춰 운영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문화재단은 지방자치단체의 출연금으로 대부분 60%이상을 운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의 감독과 관리를 받는 현실에서 지역문화재단의 독립성이 보장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때문에 문화재단만의 출범 목적에 맞게 전문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의 의존 수입을 줄이고 부족한 의존 수입은 지방자치단체의 출연금 외에 다양한 지원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회 지원 등 다양 한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자체적인 수입에서도 수익의 다각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문화재단의 재정적인 자립 제고 방안을 위해 첫째, 지역문화재단 수입현황에 대해 분석하고 둘째, 분석한 지역문화재단 수입현황 사례로 재정 자립 제고 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의 비영리조직(NPO)과 공공지원, 사회지원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재정자립도와 재원 확충에 관련한 선행연구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초문화재단의 현황 사례를 분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재정자립 현황의 분석지표를 의존수입과 자체 수입으로 나누었고 의존수입을 지방자치단체의 출연금과 위탁금 그리고 국고 보조금으로 나누었다. 이를 바탕으로 재원 자립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지역문화재단의 재정자립 제고 방안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첫째, 현재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자체수입의 비중인 기부금 수입을 확충하는 방안이다. 문화예술의 사회적인 공공가치를 공급자들에게 인식시키고 개인이나 기업의 매세나 활동 등으로 기부금을 통하여 자체 수입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새로운 자체수입의 구성 제안을 위한 민간 자본 투자 유치 방안을 제안하였다. 민간이 공공시설을 짓고 공공이 이를 임대하여 소유권과 수익권한은 공공이 갖고 민간시설은 정부에게 임대료를 받고 시설 투자비를 회수하는 형태인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TL) 투자방안과 경기장, 극장, 스포츠단의 명칭에 기업명 또는 기업의 브랜드명을 붙일 수 있는 권리를 판매하는 기업 명명권(Naming Rights)를 제시했다. 셋째, 자체수익 다각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연, 대관, 강좌 수입 등으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어 지역문화재단의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민간 기업을 홍보하여 홍보 수입을 받는 홍보 플랫폼의 방안과 지역문화재단도 더 이상 공연이나 콘텐츠의 유통이 아닌 자체적인 개발을 통해 공연료 등 지출 없이 수입을 증가시키고 더 나아가 유통도 하여 재정적인 자립을 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넷째, 자체적인 수입 외에 문화예술은 공공재이기 때문에 지원이 필요하고 이를 인식을 시켜줘야 하므로 이에 대한 캠페인이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문화예술은 사회의 공동자산으로 사회적인 지원이 필요하고 이것이 다양한 파급효과를 가져오므로 공공성을 위해 사회적인 지원이 필요하여 지역 내의 시민들과 기업 그리고 예술인들에게 문화예술의 긍정적인 공공성을 홍보하며 문화예술에 대한 사회지원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려야 한다고 말한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재단의 재정자립 제고 방안을 위해 여러 각도에서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재정자립을 위한 방안이 향후 지역의 문화재단에서 지역적 환경에 따라 재정자립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이 학생만족도 및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배눈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Now that culture is leading and changing in the times, culture and art education must be necessary in our times. Currently,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re preparing for the introduc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moving away from the uniformed high school education of the high school created by the old age, I am trying to be born again as an artist. Based on this, we set up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by presenting research purpose based on the aspect of change development, and constructed variable and questionnaire. As a sub-variable of cultural arts curriculum, educational programs, teaching, qualifications, counseling, and facilities were plac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satisfaction and career choice.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high school boys and girls in grades 2 and 3 who were taking courses in the culture and arts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for the 5 days from October 23 to 27, 2017.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career counseling, it was found that about half of the students reported career counseling for career counseling in a consigned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 students who had experience in career counsel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unselors showed that the counselors were generally consulted with the homeroom teacher. In addition, the projected plans for career and employment after completion of the entrusted education course can be regarded as hoping to advance to the same major course in general, and for students who expect to work in the same major or other major after completion of the entrusted curriculum Analysis of the reason for employment suggests that they want to get work experience because they want to gain experience in the fiel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cess of entrusting culture and arts vocational education to the general college, 'education facility' was the highest, 'qualification of instructor', 'guidance of life' and 'education program'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when the counselor was invited to a school, a church, or a club, The map is high. Third, the analysis of overall student satisfaction also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tud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verall career choice, it was analyz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areer choi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hen counseling was given to a school, a chu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entrusted to vocational colleges, student satisfaction and career choice, the educational program, education, instructor qualities, life guidance, and education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curriculum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 ),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choice. In addi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choice and student satisfaction. Sixth, analyzing the effect of the process of entrusting culture and arts vocational education to the students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qualities, education programs, living instruct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eacher, qualification, education program, life instruction, and educational facilities are important factors in student satisfaction.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process of entrusting culture and arts vocational education to college students, it was found that educational program, school, teacher qualifications, educational facilities, and life guid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educational programs, education, teacher qua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and life guidance are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students' career options. Eighth,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tudent satisfaction on career choice showed that student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choice. In other words, student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career choice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evelop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s a cultural artist in order to develop more systematically the curriculum through the same advanced level course and the continuing interest of the vocational college's arts and vocational education entrustment process at the initial stage. 문화가 시대를 선도하고 변화 발전시키는 지금, 문화예술교육은 우리 시대에 꼭 필요함에 틀림없다. 현재 중학생들은 자유학기제의 도입에 맞춰 준비해나가고 있으며, 고등학생들은 구시대가 만들어낸 획일화 된 인문 고등학교 교육을 탈피하여, 문화예술분야의 주역이 되고자 자신의 진로선택을 조기에 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문화예술인으로 거듭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변화발전의 양상을 토대로 연구목적을 제시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변수 도출과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문화예술교육과정의 하위변수로는 교육프로그램, 교, 강사자질, 상담, 시설을 두었으며, 문화예술교육과정의 학생만족도 역시 동일하게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그에 따른 학생만족도와 진로선택의 상관관계를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017년 10월 23일에서 27일 까지 5일간 서울시 사업 선정 대학 중 문화예술분야 직업교육 위탁과정을 수업받고 있는 고등학교 남녀 2,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상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위탁교육기관 내 진로상담여부는 학생의 반정도가 진로상담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상담에 대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위탁교육기관 내 진로상담 및 학교생활에 대한 상담자를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위탁과정 담임선생님과 상담을 하고 있는 것으로, 위탁교육기관 내 진로상담주기는 주로 학생이 원하는 때 언제나 진로상담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탁교육과정 수료 후 진로 및 취업에 대한 예상계획은 대체적으로 같은 전공계열로 진학을 희망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위탁교육과정 수료 후 같은 전공계열 또는 다른 전공계열로 취업을 예상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 예상이유를 분석한 결과 현장경험을 쌓고 싶어서 취업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인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교육시설’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 강사자질’, ‘생활지도’, ‘교육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위탁교육과정 진학권유에 따라 학원, 교회, 동아리 등에 권유를 받은 경우 본인 스스로 결정하거나 선배 또는 친구에 권유를 받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생활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반적인 학생만족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 또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학생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전반적인 진로선택에 대해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진로선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위탁교육과정 진학권유에 따라 학원, 교회, 동아리 등에 권유를 받은 경우 선배 또는 친구에 권유를 받은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로선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문대 연계 일반고 위탁교육과정과 학생만족도, 진로선택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의 하위요인별 교육프로그램, 교, 강사자질, 생활지도, 교육시설은 학생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선택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만족도는 진로선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이 학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의 하위요인별 교, 강사자질, 교육프로그램, 생활지도, 교육시설이 학생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만족도에 있어서는 전문대 연계 일반고 위탁교육과정의 교, 강사자질, 교육프로그램, 생활지도, 교육시설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이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의 하위요인별 교육프로그램, 교, 강사자질, 교육시설, 생활지도가 진로선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있어서는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의 교육프로그램, 교, 강사자질, 교육시설, 생활지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여덟째, 학생만족도가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생만족도는 진로선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있어서는 학생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초기단계인 전문대의 문화예술 직업교육 위탁과정의 지속적인 관심과 동일 상급과정을 통한 세부교육과정을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발전시켜야 문화예술인으로서의 양적 및 질적으로 성장,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 지방 종합문화예술회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인천광역시 종합문화예술회관을 중심으로

        김성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원각사(1908년)를 시발로 하는 우리나라 극장의 역사는 국립중앙극장(1950년), 세종문화회관(1978년) 등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그 여정에는 이른바 시민회관 시대와 그 후 문예회관 시대를 아우르며 민간극장보다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의 국공립극장이 중심에 있었다. 1980년대 중반을 거치면서 국가의 문화정책과 지자체간의 경쟁구도 속에서 광역자치단체 단위의 각 시도에 종합문화예술회관(이하, 문예회관)이 건립되어 왔다. 일천한 역사에서 사회적으로 극장 또는 문예회관에 대한 시설 표준화와 운영의 이상적 모델을 갖지 못한 상태에서 국가 또는 지자체에서 건립하고 그 소속기관으로 운영해 온 것이다. 여기에 산하 예술단체를 거느림으로써 그 운영은 방만함과 비효율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와 같은 운영체제에서는 그 개선점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이런 반성의 하나로 1998년부터 문화관광부가 해마다 전국문화기반시설에 대한 조사와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각 문예회관에서는 객관적인 운영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여기에 사용된 지표를 활용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그리고 국립중앙극장의 책임운영기관제, 세종문화회관의 재단법인화, 예술의전당의 특수법인화, 국립발레단 등의 재단법인화 후 예술의전당과 상주계약 등 이전의 경영방식과 다른 다양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개관 10주년을 맞이하는 인천광역시종합문화예술회관은 근본적으로 설립취지를 분명히 하지 못함에서 오는 여러 문제를 낳고 있다. 우선 효율적인 예술경영을 위한 조직체제를 갖추고 있지 못하며 각 부문별 전문인력의 충원과 활용이 미흡한 상태에서 운영되고 있다. 일반행정부서와 크게 다르지 않은 조직형태로 운영됨으로써 문예회관의 역할과 기능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재정부문에서는 인건비, 시설유지비 위주의 세출구조와 대관료 및 시설임대료가 주도하는 세입구조는 그 간의 방만한 운영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고 있다. 이들 문제의 집약된 결과로 볼 수 있는 마케팅은 이에 대한 인식부족에서 조직의 경영원리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마케팅은 문예회관 본연의 역할과 기능을 촉발하는 툴(tool)과 프로세스(process)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밖에 구조적인 시설의 문제, 생산자 중심의 프로그램 문제, 체계적인 접근과 지원이 부족한 예술교육의 문제 등이 있다. 이상의 문제는 비슷한 형태로 산하 예술단체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이런 제반 문제에 대안을 모색하는 일은 지금의 체제를 유지하면서 각 부문별로 접근하는 방식으로는 그 한계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총체적인 접근 내지는 경영방식에 대한 문제제기를 통해서만이 그 실마리를 풀어낼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조직의 운영원리로 효율적인 예술경영을 위한 조직체제로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설립취지를 새롭게 다지는 일부터 시작하여 경영학의 툴과 프로세스로 기획, 조직, 지휘, 통제하는 일련의 과정에 접근하는 일이다. 이 작업에서는 문화관광부의 전국문화기반시설조사의 지표와 국립중앙극장의 책임운영기관제에 따른 평가 그리고 각 유수 문예회관의 경영분석 자료를 참고하면서 자체 실정에 맞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시행하는 일을 시작해야 할 것이다. 다음은 지자체의 소속기관으로 운영하는 방식에서 다양한 형태의 경영 방식을 연구하여 해당 문예회관에 적합한 대안을 상정하고 전환을 시도하는 일이다. 여기에는 관장을 중심으로 직급의 상향 조정이나 개방형직위제 도입 등을 검토할 수 있으며, 경영방식 자체에 대한 문제제기로 책임운영기관제나 재단법인화 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단계적으로 관장의 개방형직위제나 책임운영기관제 형식을 거치면서 전문 경영체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 원리와 기술을 익혀 재단법인 형태로 변화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여러 가지 혼란을 줄이면서 문화공간 본래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체제로 가는 대안이 될 것이다. 끝으로 산하 예술단체 운영 또한 행정조직과 예술단조직의 이원화에서 비롯된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산하 예술단체 쪽에서는 문예회관 행정조직의 일반행정 논리가 갈등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리고 문예회관 쪽에서도 산하 예술단체를 운영하면서 뒷바라지만 할 뿐 소득은 없다고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시립예술단노조의 출범으로 문예회관 행정력의 상당부분이 이에 몰입하면서 정작 문예회관 본연의 일은 뒤로 밀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쯤해서 문예회관과 산하 예술단체의 관계를 재정립 할 필요가 있겠다. 그것은 사무국을 신설하고 지금까지 문예회관에서 가지고 있던 권한을 이양하여 상호 협조하는 체제로 전환하는 것이다. 또는 재단법인으로 전환하여 문예회관과 상주계약을 맺는 획기적인 방안도 지역의 예술환경과 함께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논의의 시발이 어떻든 중앙의 유수 문예회관 및 산하 예술단체를 중심으로 일기 시작한 변화는 조금씩 각 지방의 변화에 대한 부담과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지자체에서는 현재의 지방 문예회관 및 산하 예술단체의 운영현황과 개선점을 찾아보고 나아가 경영방식 변화에 대한 연구와 모색이 필요하다. 이는 중앙의 유수 문예회관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적 실험 성격의 다양한 경영방식에 대한 성과분석과 평가를 기초로 치밀한 연구와 준비를 거치면서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 기초자치단체의 예술위원회 설립방안 연구

        제갈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지역문화예술위원회의 설립은 향후 지역문화의 발전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지역문화예술위원회는 관에서 독립해 운영하는 형태로 조직과 사업형태를 취해 민간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체제로 인식될 것이다. 또한 문화예술이 서울과 수도권 등 중앙에 집중되는 현상을 극복하고 지역의 소외감을 해소하면서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관 주도로 중앙위주의 발전 형태를 추구해 온 문화예술분야는 지역문화예술위원회를 통해 인프라 구축 등 민간의 자율성과 효율성을 토대로 지역적 특색에 적합한 정책을 추진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일례로 현재 광주문화예술진흥위원회가 지역적 기반을 바탕으로 독특한 문화예술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지역문화예술위원회의 설립이 지역문화발전을 꾀하는 한편 지역문화가 국내외 문화개방에도 버팀목이 되어줄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하겠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이 논문에서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지역문화예술위원회 가운데 가장 먼저 출발한 광주문화예술진흥위원회의 문화예술 지원정책, 특히 문화예술 진흥 지원금 지원 사업과 조직 운영, 재정 확보 및 관리 등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문화예술위원회를 어떻게 구성, 운영하는 것이 지역문화에 도움이 되는지 제시하고자 한다. 또, 예술단체에 대한 시, 군별 지원금액의 불균형 해소, 새로운 장르에 대한 지원 우선 원칙의 현실화, 주요 장르에 대한 지원 편중, 위원회의 기획사업과 지원금 운영 및 조직 구성, 운영과 인프라 구축에 대한 문제 등을 분석했다. 환경변화에 적합한 문화예술 지원정책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문제도 제기된다. 그러나 지역문화예술위원회가 지역에서의 역할에만 만족해 문화예술지원정책에만 의존해서는 안 되며 올바른 지역문화예술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방안을 제시해 지역문화의 발전에 공헌할 것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 간 네트워크 구축과 문화예술 사업의 기획, 상호교류를 통한 전국적인 단위의 문화예술 지원 작업이 필요하다. 나아가 지역 상호의 데이터 공유에 의한 문화예술 정책 개발과 재원 확보 방안도 제시하고 있다. 이제 지역문화예술위원회는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지역을 지키는 방어벽으로써 또한 중앙중심의 문화예술 정책을 개선하는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나아가 지역문화 발전의 핵으로 당당히 끌어올리는 의미 있는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한다.

      •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예술교육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이다경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미적 감성 개발, 창의성 증진, 공감 및 소통능력 향상 등 문화예술교육의 문화적·사회적 가치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정부의 지원(세금)으로 운영되는 비영리적 성격을 지닌 우리나라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은 예술을 무대에 올리고 국민들이 향유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국민의 가치관과 태도를 변화시키는 교육적 기능을 담당하는 역할을 가진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18년 문화향수 실태조사 결과, 문화예술교육 시 선호하는 교육방식으로 공공기관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나, 성과 인식과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에서의 예술교육의 문제점과 발전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예술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특별시와 광역시에 있는 4곳의 문화예술기관(예술의 전당,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부산문화회관, 대구문화예술회관)을 선정하여 항목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운영 분석 결과, 예술교육 담당 부서는 설치되어있으나 인원이 부족하였으며 예술교육 프로그램 유형 및 대상이 제한적이었다. 기관 별 예산은 상이했으며 교육관련 연계단체도 미비하였다. 프로그램 분석 결과, 다양한 연령대의 프로그램이 부족했으며 실기위주의 강좌 프로그램, 인문학 강좌가 대다수이며 장기적인 프로그램은 없었다. 문헌조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 및 가치, 실질적인 문제점, 발정방안 3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여 실무자, 전문가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전문가 제언을 통해 확인된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목표와 목적을 가지고 방향설정을 해야 한다. 둘째, 프로그램 측면에서 전문가들은 융합적 학제, 연령대 별 프로그램 개발, 예술교육 가치를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염두에 두고 나아가야 한다. 셋째, 예술교육 기획자의 기획력, 전문성이 중요하다. 넷째, 문화예술 교육 파트너십을 통한 협력, 기획이 필요하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에서의 예술교육은 대종을 이루는 공연기획의 영역에 밀려 예산, 인원, 공간 등이 부차적으로 다뤄지거나 인식되었다. 하지만 최근 문화예술교육지원법,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등에서 기관에서의 예술교육의 문화적·사회적 기능이 강조되고 중요시 되고 있으며 기관 내에서도 많은 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여러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예술교육 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이들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예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및 실질적인 운영에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관련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기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cultural/social values of culture-art education, such as aesthetic sensitivity development, creativity enhancement and sympathetic and communicative ability improvement, has been emphasized. Domestic nonprofit national/public culture-art agencies which are operated by government support (tax) play the role of staging arts, making people enjoy it, and educating people to change their value systems and attitudes. The results of ‘Survey Report on Cultural Enjoyment in 2018’,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resented the fact that most preferred method of culture-art education is by public agencies, but people’s awaren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by public agencies are lower.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problem and development plan of art education at national/public culture-art agencies. In order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us of art education at national/public culture-art agencies, this study sampled 4 culture-art agencies (Seoul Arts Center, Asia Culture Center, Busan Cultural Center and Daegu Arts Center) in special/metropolitan cities, and then compared them by items. Study findings showed that they already installed the department of art education, but it was understaffed and the type and object of art education programs were limited. Their budget was different each other and their education-related private organizations were insufficient. Programs for various age categories were insufficient and most of the programs consisted of practical skill-based lecture programs and humanities courses. And there were no long-term programs. Based on problems drawn out from the investigation of literature, this study worked out such three items as the needs and values of culture-art education at national/public culture-art agencies, practical problems and development plans, and then examined them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officials who were in charge of practical business at agencies and specialists. Development plans suggested by specialists are as follows: First, art education programs must establish its directivity based on goals and purposes. Second, from the aspect of programs, specialists must take into account integrated school systems, age-based program development and art education value realization. Third, art education planner’s planning ability and specialty are important. And fourth,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collaboration and planning through culture-art education partnerships. Up to this day, art education at domestic national/public culture-art agencies has been dealt with or perceived secondarily in its budget, personnel and space as it takes a backseat to the planning of performance which forms the majority. However, as the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law and the comprehensive plans for culture & arts education (2018 ~ 2022) have recently emphasized and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the cultural/social function of art education at government agencies, awareness within agencies has changed greatly and they have carried out many attempts. In this vein,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art education at national/public culture-art agencies. The author hopes study findings will provide helpful data on the establishment of directivity for researches on art education programs and practical operation of them at national/public culture-art agencies. In addition, the author hopes study

      • 복합문화예술기관의 서비스스케이프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 방안

        김민선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경제적인 발전과 함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공간 역시 다양한 콘텐츠와 여러 기능을 갖춘 복합문화예술기관으로 변화하고 있다. 복합문화예술기관은 그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더 좋은 콘텐츠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의 내용과 관련하여 복합문화예술기관의 서비스스케이프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 방안을 연구하였다. 복합문화예술기관과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고객 만족과 재방문 의도, 그리고 충성도에 대한 주제를 다룬 연구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두기 위해 복합문화예술기관의 입장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학위논문과 학술지, 단행본, 각 기관의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복합문화예술기관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현황 및 사례를 조사하고, 사례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립중앙극장 공연예술박물관, 예술의전당 비타민스테이션과 야외공간, 세종문화회관 세종이야기·충무공이야기, 롯데콘서트홀 로비공간과 롯데월드몰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복합문화예술기관 실무자와 관련 전문가 총 5명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별화된 공간이 필요하다. 복합문화예술기관별로 매력성, 심미성을 발전시켜 차별화된 공간을 조성한다면 새로운 콘텐츠를 이끌어내고 특성화된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사람이 찾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접근성이 좋은 야외공간에 휴식공간을 확장하거나 식음료시설, 아트숍 등의 편리성과 쾌적성을 갖춘 상업 공간을 확장하여 사람들이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조성해야 한다. 셋째, 우수한 콘텐츠 개발로 좋은 콘텐츠를 소개해야 한다. 복합문화예술기관의 본 목적은 공연 및 전시 등 우수한 프로그램을 관객들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콘텐츠의 질이 높아질수록 유입되는 관객이 늘어날 것이며, 자연스럽게 공연장의 브랜드 이미지도 높아질 것이다. 넷째, 고객 관리 및 스폰서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 인적서비스를 강화하여 복합문화예술기관의 회원제 운영 우수사례를 통해 현황을 파악함과 동시에 고객의 니즈(needs)를 파악하고 편의와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 복합문화예술기관은 관람객이 찾아올 때 의미가 있는 곳이다. 따라서 복합문화예술기관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높이기 위해 관객들이 꾸준히 찾아오도록 차별화된 서비스스케이프 공간과 좋은 퀄리티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높아지는 문화예술에 대한 욕구를 해소할 수 있는 복합문화예술기관의 성장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다만, 브랜드 이미지를 평가하는 요인들에 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복합문화예술기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태도 그리고 향후 행동에 관한 연구 등 다각적인 검토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conomy, interest in culture and arts and social demand are increasing. As a result, the cultural space is also being transformed into a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 with various contents and functions. In order to survive the competition, the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 is try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its services and provide better content. This study studied ways to enhance brand value through servicescape of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 in relation to the above. A lot of research has been do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 and the service scape. However, most of the studies covered topics of customer satisfaction, intent to revisit, and loyalt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a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 in order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existing study. For study methods, the current status and examples of servicescapes of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 were investigated by referring to academic papers, academic journals, booklets, and the website of each institution. For the case study, the Performing Arts Museum of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Vitamin Station and Outdoor Space of Seoul Arts Center, Sejong and Chungmugong Story of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Lotte Concert Hall lobby space and Lotte World Mall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In order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a total of five practitioners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 and related expert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fferentiated space is needed. If each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 develops attractiveness and aesthetics to create a differentiated space, it will lead to new content and become a specialized space. Second, it should be a place for people to look for. It should be created to increase people's spatial accessibility by expanding rest areas in outdoor spaces and by expanding commercial spaces with convenience and comfort in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and art shops. Third, excellent content is essential. The main purpose of the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 is to provide the audience with programs such as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The quality improvement of content increases the incoming customers, and naturally the brand value of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 hall increases. Fourth, the customer management and sponsor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Customer-centered convenience and benefits should be provided by strengthening human services, identifying customer status through member system operation, and identifying customer needs. The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 are meaningful when people visit.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brand value of cultural and artistic complex and induce customers to visit, various programs of good quality and differentiated servicescape space should be provided.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a reference to prepare measures to address the growing desire for culture and arts. However, various reviews and analyses will be needed, including in-depth research on factors that evaluate brand image, consumer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complex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and research on future behavior of custom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