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의 조직ㆍ환경적 특성이 대학생의 음주행동과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기일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9647

        국문초록 대학교의 조직․환경적 특성이 대학생의 음주행동과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연구목적: 대학생의 음주행동과 음주문제는 개인적 요인뿐만 아니라 대학교의 조직․환경적 특성에 의해 동시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다수준 분석을 통해 입증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이다. 연구방법 및 대상: 이차자료 분석에 근거한 본 연구의 원 자료는 “전국 대학생 음주실태"이며 이중, 63개 대학교의 학생처 직원과 해당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665명으로부터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Mplus 5.20을 활용한 다수준 회귀분석(Multi-level Analysis)을 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음주행동과 음주문제는 대학생의 개인적 수준에서의 변수와 동시에 대학교의 조직․환경적 수준에서의 변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있었다. 월간 음주량과 빈도를 고려한 지표와 폭음빈도에 의해 측정된 음주행동과 문제음주수준, 음주관련문제 경험 및 간접음주문제 경험에 의해 측정된 음주문제 모두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변수들은 주거형태, 용돈, 음주거절효능감, 음주량에 대한 주관적 규범과 같은 개인적 수준의 변수와 학교에서 시행한 교육 홍보활동과 같은 조직․환경적 변수들이었다. 결론: 대학생의 음주행동과 음주문제는 대학생의 개인적 요인과 대학교의 조직․환경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이 가지는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 words: 대학생의 음주행동과 음주문제, 개인적 요인, 조직․환경적 특성, 다수준 분석. ABSTRACT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on Student's Drinking Behavior and Alcohol Related Problems KI-IL LEE (Director: Prof, Won-Joong Kim)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Inje University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at drinking behavior and alcohol related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were accounted for not only by stud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also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Methods: As a secondary data analysis this study employed a raw data, 'National Survey on Drink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which is a nationwide representative sample. Data under analyses included 3,665 students from 63 universities. Multilevel regression analyses by using Mplus 5.20 were employed for nested data.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student's drinking behavior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use of alcohol were accounted for by not only individual personal characteristics but also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Multilevel regression models identified characteristics, including for individual level living without parental control, amount of discretionary money, self-efficacy of drinking refusal, norms of drinking amounts, and for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level the number of a school education and preventive campaign on campus. Conclusion: Multilevel regression analyses confirmed that drinking behaviors and problems derived from use of alcohol among college students were associated with bo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Key Words: Drinking behavior and alcohol related problem, College stud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environment,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 부산·경남지역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서비스와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조수현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ABSTRACT Study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by Foreign students in Pusan and Gyeong-nam area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University Service Choo Soohyun (Advisor : Prof, Kang, Han-Gyou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G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are total 63,952 persons in Korea in 2008 and it has found that it increased by 4 times from 16,832 ones in 2004 for 4 years. The reason that foreign students in Korea rapidly increased is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actively a strong position to attract them as aspect to expand them has internationally appeared. Inflow of many foreign students can have the positive effects on various aspects. But adaptation to new environment is big tasks for them, they experience mental and physical stress while they get to adapt to their university life and many cases that they escape from the universities and illegally stay in Korea have occurred. The institutions that directly can help foreign students to live in their university life are universities but there are many cases that educational courses or classes for them are not prepared and administrative and educational support are not smoothly done. Many foreign students cannot be properly supported to adapt to korea. In this problem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how the university service has an effect on adaption to the university life by foreign students. stress to adapt to Korean culture and ability level to be good at Korean which are the internal factors of foreign students that has an biggest effect on adaption to the university life are consider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adaptation to the university life is done as a dependent variable. It was analyzed how the university life service control the relations between them.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by carrying out the survey on foreign students who are in the universities in Pusan and Gyeongnam areas. Questionnaire was used by Chinese, Japanese and English as well as Korea considering their Korean ability. It is meaningful as the basic material to devise a solution about society problems related to foreign students and as the previous study to seek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them in Korea. Also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esent useful implication in seeking the university service operation plan that can be practically helpful to the foreign students. 국문초록 2008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총 63,952명으로 2004년 16,832명에서 4년 사이에 무려 4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내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급증하게 된 것은 전 세계적으로 유학생의 확대 양상이 나타나면서 한국 정부에서도 유학생의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섰기 때문이다.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유입되는 것은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한다는 것은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큰 과제이며 그 과정 속에서 많은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고,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에서 이탈하여 불법체류를 하게 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 생활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기관이 대학교이지만, 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이나 강의, 행정적·교육적 지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도 많이 있다. 많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 적응할 수 있는 도움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본 연구는 대학교 서비스가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학생활적응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외국인 유학생의 내적 요인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한국어 숙달정도를 독립변수로 보고, 대학생활적응을 종속변수로 보았는데, 대학생활서비스가 둘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는 부산·경남지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외국유학생의 한국어 수준을 고려하여 중국어, 일본어, 영어 설문지도 함께 사용하였다. 외국인 유학생 관련 사회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그리고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삶의 질 향상을 모색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서 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대학교 서비스 운영방안을 모색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활동이론과 자원이론을 중심으로

        김원배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9631

        국문 초록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활동이론과 자원이론을 중심으로 김 원 배 (지도교수 : 이 성 기) 인제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활동요인과 자원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각 요인이 갖는 설명력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의 연구결과는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정책과 프로그램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현대사회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노인문제를 검토하였고, 생활만족도에 대한 개념과 관련이론,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활동요인과 자원요인으로 구분하여 연구의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분석자료는 전국의 65세 이상의 노인 3,27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Ver. 14.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한 후 단계선택법(stepwise)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노인의 전반적인 생활만족도는 보통 정도였다. 또한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배우자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그 다음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경제상태나 건강상태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성별로는 여성노인에 비해 남성노인이, 연령별로는 65∼69세 사이의 집단이, 교육수준별로는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이, 가구형태별로는 자녀동거부부와 노인부부가구의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활동요인에 따른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차이분석에서는 활동을 하는 노인이 활동을 하지 않는 노인에 비해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활동요인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결과 운동단체 및 정치단체 월 참여빈도, 사교단체 가입여부만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 직업활동, 종교활동, 문화학습활동, 봉사활동 등의 요인들은 상관관계가 너무 낮아 유의한 관계를 찾기 어려웠다. 넷째, 자원요인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분석에서는 경제력, 건강, 노후생활준비 등 개인자원과 사회적 관계, 공적 지원 등 사회자원은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한 자원을 많이 가진 노인일수록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결과 동년배와 비교한 주관적 경제상태가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이었고, 주관적 건강인식, 만성질병수의 순이었다. 그 다음으로 노인이미지, 월평균 용돈, 노후경제대책유무,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순으로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설명력은 매우 낮았다. 사회자원요인은 경로연금 수령경험이 있는 노인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외 형제․자매 접촉빈도, 경로당 이용만족도 등은 상관관계가 낮았으며,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설명력도 매우 낮았다. 결국,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은 활동요인이 아니라 자원요인이며, 그 중에서도 개인자원이 사회자원보다 더 중요한 결정요인임이 밝혀졌다. 그 외의 활동요인과 사회자원은 그 영향력의 정도가 미미하여, 개인자원요인인 경제력요인과 건강요인에 의해 형성되어진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큰 변화를 줄 정도의 결정요인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1939년 이전에 태어난 조사대상 노인들은 일제 강점기와 해방, 한국전쟁, 도시화와 현대화, 그리고 IMF 외한위기와 정보화 등 격동의 시기를 겪으면서 자신의 노후를 준비하지 못한 세대이며, 아울러 한국사회의 양극화, 전통적 유교사상의 붕괴, 활동 인프라 구축의 미비 등에서 그 이유를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와 정책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함의는 본 연구가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활동요인과 자원요인 모두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개인자원의 경우 객관적 차원과 주관적 차원의 변인 모두를 포함하는 분석틀의 정립을 시도하였는데, 이는 연구방법론적으로도 함의가 있다. 연구결과에서는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이 서구사회에 적합했던 활동이론에 근거한 활동요인이 아니라 오히려 자원이론에 근거한 자원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연구분야와 이론연구에서 한국노인의 특성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성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정책적 제언으로는 경제력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한국노인들의 경제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노인고용창출 지원사업, 직업능력교육, 기초노령연금의 현실화 등 노인 소득지원정책과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노인의 건강요인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노인건강교실 운영, 만성질병의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 의료보장 등의 보건, 의료 및 사회복지정책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노후생활 전반에 대한 개별컨설팅과 사례관리, 집단교육, 은퇴준비교육과 은퇴 후 교육 등의 사회복지정책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한국노인, 생활만족도, 활동요인, 자원요인, 개인자원, 사회자원 Abstract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for Elderly Koreans: Focused on Activity Theory and Resource Theory Won Bae Kim (Advisor: Prof. Sung Kee Lee, ph. 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loy activity factors and resource factors for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for elderly Koreans, giving an account of each factor. Also, this study aims to supply basic data for social welfare policy and program to increas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Koreans. To accomplish these goals, at first the problems elderly Koreans face, living in a rapidly changing modern Korean society, is reviewed. And a research-analysis frame about the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for elderly Koreans is formed after examining the concepts, related theories, and previous researches concerning Life Satisfaction. The data analyzes from "2004 Research of elderly Koreans of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target of 2004 Research is 3,289 persons who are Koreans over 65 years of ag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Ver. 14.0 for Windows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afterwards, using a stepwise method of sele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general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Koreans is, on average, at a normal level. Satisfaction level towards relationship with one’s offspring is relatively high, and satisfaction level towards the relationship with one’s spouse is slightly lower than the former. However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economic or health status is low, being below the average. Second, At the distinction of sex, life satisfaction of aged females than that of aged males is noticeably high, less 65~69 years old group than more over 70 years old group, more educated than less educated, and the elderly who has a spouse or who stay with offspring than who is not is noticeably high. Third, Analysis on activity factors show that the elderly Korean who actively participates in any kinds of activities have more satisfaction than those who do not. Especially, having applied correlation and date analysis, the activity factors(i.e. participating in sports club, political party, and social organization) would have noticeable influence on their life satisfaction. But the other activity factors(i.e. having a job, participating in religious activities and cultural study programs), would have no noticeable correlation, nor an appropriate model of data analysis. Fourth, Analysis on resource factors show that personal(i.e. economic power, health, post-retirement life preparations, etc.) and social(social relationships, public resources, etc.) resource factors have noticeable differences on life satisfaction. The life satisfaction levels are higher for the elderly Korean who has more of these resources. The results of applied correlation and data analysis on personal resource factors show the subjective economic condition as the most influential determinant of life satisfaction for elderly Koreans. The other personal factors(i.e. elderly self image, monthly allowance, economic status, performing one’s duty) are also influential in life satisfaction for elderly Koreans, but the total of their explaining ability is negligible. Among social resources, the elderly Koreans who receive pension are less satisfied with life. It is a stretch to say there is a correlation to other factors (i.e.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offspring, satisfaction from using recreation center for the aged) because for this the relative coefficient is too low. In conclusion, for the elderly Korean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re not activity factors, but resource factors. Among resource factors, personal resources are more important determinants than social ones. Activity factors and social resources are also valid determinants but due to their almost non-existent influences, they are not the crucial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for elderly Koreans. This is because those who were born before 1939 failed to prepare for the age. Their life experiences were turbulent with Japanese colonization and liberation, the Korean war, urbanization, modernization, the IMF currency crisis, and the start of the information age. Also they experienced the polarization of Korean society, a breaking-down of the traditional Confucian values, and the incompletion of activity infra construction. Base on this study results, theoretical implication and the suggestion of policies are presented. First, theoretical implication has a distinction in a point of view that this study dealt with both activity factors and resource factors comprehensively in analyzing life satisfaction degree of elderly Koreans. In the case of personal resource, it was tried establishing a research-analysis frame including objective and subjective variables together so this came to have methodological impl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found out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affecting life satisfaction degree of elderly Koreans to be resource factors rather than activity factors which was based on activity theory that was suitable for the western socie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licits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Koreans in the field and theory of life satisfaction degree of elderly Koreans. Second, when putting forth a few policy suggestions we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economic factors and will set up the direction of the welfare policy and program such as the support business promoting elder employment, vocational education, the readjusting of basic pension for old people to improve their economic level. Also we realize the importance of health factor and will fix up public health, medical service or social welfare policy through the operation of elder health course,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and a cure program medical security and so on. Also we will grope for social welfare policy through the individual consulting, a case management, a group education, education for retirement preparations and post-retirement about life for the thereafter aged overall. Key words: the elderly Koreans, life satisfaction, activity factors, resource factors, personal resources, social resources

      •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박선욱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대학생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대학생의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선행 연구를 기초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설계하였으며, 부산경남지역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의 변이를 단변량 분석한 결과 대학생활만족도만이 유의한 변이를 보였다. 즉, 대학생활만족도가 낮을수록 자살생각이 유의하게 강하였다. 둘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회귀분석의 결과, 부적응적 완벽주의, 대인관계스트레스, 남학생, 정서중심대처방식이 자살생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역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의한 변수 중에서도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자살생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대학생의 자살예방을 위해서는 남학생에 대한 자살위험 관리, 대인관계 기술 향상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개선,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의 완화, 그리고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의 모색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nd, based on the analysis, to suggest implication for suicide prevention policy among college students. Empirical model including affecting factors such as campus life stress, stress coping type, self-esteem, and maladjustment perfectionis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former researches.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college students at Busan Metropolitan City areas using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among students with higher campus life satisfaction. Second, significant positive affecting factors on suicidal ideation were maladjustment perfectionism, interpersonal stress, boys, emotion oriented coping type, whereas, negative factors were self-esteem. Among significant affecting factors, self-esteem was the biggest influencing one. Above results imply that measures improving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improving human relation skills and stress coping type, mitigating maladjustment perfectionism, and enhancing self-esteem be explored and executed properly.

      • 측두하악장애에서 악이복근 후복의 발통점 주사 후 하악와에 대한 하악과두의 위치변화

        김남수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초록 측두하악장애에서 악이복근 후복의 발통점 주사 후 하악와에 대한 하악과두의 위치변화 인제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치의학 전공 김 남 수 (지도교수 : 박 상 준) 목적 : 측두하악장애에서 악이복근 후복의 발통점 주사 후 하악와에 대한 하악과두의 위치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측두하악장애로 진단받고 악이복근 후복에 대한 2% lidocaine HCl을 이용한 발통점주사요법 후 증상이 해소되어 치료를 종결한 총 39명의 환자의 시술 전, 후의 편심 횡두개 방사선 사진( eccentric transcranial radiographs)에서 하악과두와 하악와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였으며, Wilcoxon sign rank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악이복근 후복의 발통점주사요법을 시행 전 하악과두와 하악와의 거리의 평균값이 좌측에서 전방 1.87±0.80 mm, 중앙 2.73±0.92 mm, 후방 2.09±0.99 mm 이었으며, 우측에서는 2.00±0.83 mm, 중앙 2.72±0.98 mm, 후방 2.08±0.93 mm 이었으며, 악이복근의 발통점주사요법을 시행하여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이 해소되어 치료가 종결된 시점의 하악과두에서 하악와까지의 거리의 평균값은 좌측에서 전방 2.04±0.83 mm, 중앙 2.78±0.95 mm, 후방 2.08±0.75 mm 이었으며, 우측에서는 2.13±0.76 mm, 중앙 3.04±0.99 mm, 후방 2.21±0.93 mm 이었다. Wilcoxon sign rank test를 이용한 측정값의 비교 시 우측 관절의 중앙에서, 좌우 관절의 비교 시 우측 관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p<0.05) 결론 : 악이복근 후복의 발통점주사요법은 측두하악관절에서 하악과두와 하악와 사이의 관절간극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을 해소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심단어 : 악이복근, 발통점, 발통점 주사, 측두하악장애 ABSTRACT Positional change of mandibular condyle to mandibular fossa after trigger point injection of pos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Nam-Soo Kim (Director : Prof. Sang-Jun Park, DDS, MSD, PhD.)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Objectives :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positional change of mandibular condyle to mandibular fossa relationship before and after trigger point injection(TPI) of the posterior bellies of digastric muscles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Methods : 3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to TMDs & terminated treatment by TPI with 2% lidocaine HCl (no epinephrine) in posterior bellies of digastric muscles at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P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from January to December 2008, were involved. The distances from mandibular condyle to mandibular fossa at three portions (anterior, middle and posterior directions in TM joint space) were measu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Wilcoxon sign rank test in transcranial radiographs before and after TPI. Results : The mean values of distance from mandibular condyle to mandibular fossa before TPI were measured: anterior 1.87±0.80 mm, middle 2.73±0.92 mm, posterior 2.09±0.99 mm at left joint and anterior 2.00±0.83 mm, middle 2.72±0.98 mm, posterior 2.08±0.93 mm at right joint. After symptoms were subsided by TPI, the mean values were measured anterior 2.03±0.83 mm, middle area 2.79±0.95 mm, posterior 2.08±0.75 mm at left joint and anterior 2.13±0.76 mm, middle 3.05±0.99 mm, posterior 2.21±0.93 mm at right joint. Statistical comparis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iddle portion of right TMJ among all portions and right TMJ between both TMJ. (p<0.05) Conclusion : Temporomandibular joint spaces were increased after TPI in eccentric transcranial radiographs, and symtpms of TMD were improved. TPI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management of TMD. Key words : digastric muscle, trigger point, TP injection, TMD

      • 일부 대학 실험실 종사자의 공기중 나노입자의 노출에 관한 연구 :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s)를 중심으로

        하주현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나노물질(nanomaterials)의 사용은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왔다. 그러나 국내 나노물질 노출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일부 대학의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s, CNTs) 성장 및 가공 실험실 종사자의 공기중 나노입자의 노출농도를 조사하고 노출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직독식 나노입자 측정기를 사용하여 4개 CNTs 성장 및 CNTs 가공 실험실의 공기중 나노입자 표면적, 입자수 및 질량 농도를 측정하였다. CNTs 성장 공정 중 CVD가 밀폐되어 있지 않은 실험실에서 나노입자 표면적, 입자수 및 PM1 농도(8hr-TWA)가 밀폐되어 있는 실험실의 농도보다 각각 2배, 1.5배 및 3.5배 정도 더 높았다. CNTs 가공 공정 중 여과작업을 할 때 노출된 나노입자의 표면적, 입자수 및 PM1 농도가 각각 116.6 ㎛2/cc, 24320 pt/cc, 9.0 ㎍/m3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전날 CNTs 혼합용액 가열 작업에서 발생하여 밀폐된 공간에 부유하고 있었던 입자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위치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장소에 측정된 공기중 입자표면적 농도의 시간별 변화는 실험자의 호흡위치에서 측정된 농도 변화와 밀접한 상관성(r=0.87∼0.98)을 보였다. 또한 전체 연구대상 실험실의 공기중 나노입자 표면적 농도와 입자수 농도에서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r=0.40~0.96). 결론적으로, 대학 실험실 종사자의 나노입자 노출에 대한 위험성인식과 실험실의 공학적 관리 부족으로, CNTs를 성장 및 가공하는 대학 실험실에서 실험실 종사자가 실험중 발생되는 나노입자에 노출되고 있었으며, 따라서 이들 실험실에 대한 공기중 나노입자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대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교사-유아의 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유아의 또래수용 간의 관계 연구

        김동희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 유아관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교사의 역할의 중요성과 유아와의 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고,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유아의 또래수용 간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긍정적인 또래수용 및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는데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 유아관계, 사회적 능력, 또래수용은 유아 및 부모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교사- 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 교사- 유아관계와 유아의 또래수용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4.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또래수용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국공립, 민간, 어린이집에서 만 4, 5세 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 30명과 그 학급에서 무선으로 표집한 유아 6명과 그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도구로 교사-유아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도구는 Pianta(1991)가 개발한 교사-유아관계척도(Student- Teacher Relationship Scale; STRS)를 이진숙(2001)이 번역하고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이 도구는 교사와 유아의 관계의 특성에 대한 교사의 지각을 평가하도록 고안되었다. 설문지의 전반적인 내용구성은 3개의 하위요인인 친밀, 갈등, 의존의 총 2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친밀요인은 교사-유아관계의 온정과 개방적 의사소통 정도를 측정하며 갈등요인은 교사-유아관계가 부정적이고 조화롭지 못한 상호작용의 정도를 측정하도록 되어 있다. 유아의사회적 능력의 측정을 위한 도구로는 Pease와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1979) ISCS (Iowa Social Competency Scales)를 번안하여 재구성한 송나리(1993)의 척도를 수정하여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지의 전반적인 내용구성은 23개 문항 4개 하위요인으로 지도력 9문항, 유능성 5문항, 과민성 5문항, 불안정성 4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유아의 또래수용도 측정은 Asher, Singleton, Tinsley그리고 Hymel(1979)이 학령 전 유아에게 맞도록 만들어진 HIFTO( How I Feel Toward Other)척도를 사용하여 유아의 또래수용도 검사를 하였다. 각 유아가 자신의 제외한 학급의 모든 유아들로부터 받은 점수에 ‘함께 놀고 싶어요’를 3점, ‘보통이예요’를 2점, ‘놀고 싶지 않아요’를 1점으로 하였다. 평정한 학급의 유아 수가 학급마다 차이가 있었으므로 합산된 점수를 평정자의 수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를 구하였다. 유아 및 부모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사-유아관계, 유아의 사회적 능력, 또래수용을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고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또래수용 간의 상관관계,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또래수용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적률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범주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 검증 방법으로 Scheffė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인구학적 변인인 성별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성별에 따른 또래수용의 차이에서는 남아보다 여아가 더 높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는 하위요인인 지도력, 유능성, 과민성, 불안정성 모두가 여아가 더 높은 것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의 형제순위에 따른 사회적 능력은 둘째가 가장 높으며 첫째와 셋째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의 인구학적 변인인 유아의 아버지의 연령에 따른 사회적 능력에서는 불안정성 요인에서 40세 이상, 36세 이하, 37세∼39세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사회적 능력은 유능성 요인에서 37세∼39세, 36세이하, 40세 이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아버지의 학력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에서는 대학원이상, 대졸, 고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의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는 대학원이상, 고졸이하, 대졸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의 아버지의 직업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에서는 사무/관리직, 전문기술직, 무직, 서비스/판매직, 생산직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의 어머니의 직업에 따른 사회적 능력의 차이에서는 생산직, 서비스/판매직, 사무/관리직, 무직/전업주부, 전문기술직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교사-유아관계 총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 중 지도력 요인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총점과 교사-유아관계의 하위요인 중 친밀요인에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의존요인에서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관계와 유아의 또래 수용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교사-유아관계의 하위요인 중 친밀요인과 갈등 요인은 또래수용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의존 요인과 또래수용에서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또래수용의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 총점과 유아의 또래 수용능력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하위 요인 중 지도력 요인과 유능성 요인은 또래 수용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 대학병원 종사자의 멘토링 기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권성준 인제대학교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병원종사자들에 대한 멘토링 기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병원조직에의 효과적인 멘토링 시스템 도입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부산의 일개 대학병원에 재직 중인 직원 283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종교를 제외한 성별, 근속년수, 직위, 근무부서 등에서 집단별로 멘토링 기능 및 직무만족도 요인의 변이가 발견되었다. 둘째, 멘토링의 3가지 기능과 직무만족도 4가지 요인 간에는 강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 하부 요인별로 영향을 미치는 멘토링 기능을 분석한 결과, 업무요인 만족도에는 심리사회 기능이, 급여 및 보상요인 만족도에는 경력개발 기능이, 승진요인 만족도에는 경력개발 기능이, 상급자 요인 만족도에는 역할모형 기능이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병원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멘토링 기능이 일정한 영향을 미치며, 만족도 하부 요인별로 멘토링의 특정 기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병원 조직에 효과적인 멘토링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직무만족도 하부 요인별로 적절한 멘토링 기능이 작동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하고 운용하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 局所 進行 直腸癌에서 N病期와 環象 切除然 浸潤에 의한 豫後分析

        손용기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 초록 국소 진행 직장암에서 N병기와 환상 절제연 침윤에 의한 예후 분석 손 용 기 (지도교수 : 홍 관 희) 인제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목적: 직장암에서 환상 절제연의 예후적 가치는 점차 증가하고 있어 림프절 전이 여부의 부가적 요법의 시행에서 역할은 재조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저자는 환상 절제연의 확보가 가능했던 국소 진행 직장암에서 예후 분석을 통해 N병기의 재발 및 생존에의 영향을 알아보고 환상 절제연 침윤군과의 예후적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외과학 교실에서 복막외 직장암으로 전직장간막절제술이 시행된 환자 중 근치 절제술이 시행된 202명과 조직학적 환상절제연 침윤군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들을 N병기에 의해 림프절 전이 음성군(N0, n=79), 림프절 전이 1군 (N1, n=70), 림프절 전이 2군(N2, n=53)으로 분류하여 국소 제어율, 무병생존율, 생존율의 비교 분석 및 독립적 예후인자 규명을 하였다. 근치 절제군 중 N1군과 N2군은 환상절제연 침윤군(CMI, n=26)과 Kaplan-Meier 방법에 의한 재발률 및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추적관찰기간의 중앙값은 60.0개월(범위:6-156)이었고 검사 림프절 개수의 중앙값은 13개(2-52)였다. 근치 절제군에서 국소 재발율은 N0, N1, N2에서 각각 6.8%, 11.6%, 19.1%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29), N0군의 무병 생존율과 생존율은 84.0%와 85.2%로 림프절 전이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p=0.000). CMI군의 국소 제어율을 비롯한 종양학적 성적은 N2군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직장암의 근치적 절제후 림프절 전이는 재발 및 사망의 위험인자로 규명되어 림프절 전이군에서 예후 향상을 위해서는 부가적 요법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N2군의 예후는 환상 절제연 침윤군과 유사하지만 전향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중심단어: 직장암, 림프절 전이, 환상 절제연, 근치 절제 ABSTRACT Prognostic Analysis according to N Stage and Circumferential Resection Margin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Yong Ki Sohn (Director : Prof. Kwan Hee Hong)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Objectives: The efforts must be made to clarify the contribution of lymph node metastasis (NM) to adjuvant (chemo)radiotherapy following curative resection of rectal cancer as the circumferential resection margin(CRM) has increasingly become the more reliable endpoint of rectal cancer. This study examined the prognostic impact of NM on local recurrence, disease free survival and survival rates in curatively resected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Methods: 202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curatively resected in 00 Hospital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2003 were enrolled. These patients were separat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N stage (node negative, N0, n=79; 1-3 node positive, N1, n=70; > 3 node positive, N2, n=53). The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for example, T and N stage, preoperative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operative methods and several pathologic variables were assessed in three groups. The potential clinicopathologic factors were analyzed by the Kaplan-Meier method, and prognostic factors were compared in a Cox regression model. Also, we compared oncologic results of 26 patients with positive CRM(CMI) with those of N1 and N2 subgroups. Results: N2 patients had an impaired 5-year local control rate (19.1%) compared with N0 (6.8%) and N1 (11.6%, p=0.029) after a median follow up of 60 months (range, 6-156). Disease free survival and survival also differed for the three groups, with a rate of 37.3% and 49.8% for N2 patients, 84.0% and 85.2% for N0 patients, and 54.9% and 65.1% for N1 patients (p<0.001, p<0.001, respectively). The impact of NM on the local recurrence, disease free survival and survival was confirmed in the regression model in the curatively resected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recurrence and survival rates between CMI and N2 stage. Conclusions: The NM has independent prognostic impact on the local disease free survival, disease 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Based on these findings, NM still should be considered as indications for adjuvant therapy. Although the prognosis of CMI is similar to that of N2, larger prospective study is needed to clarify the prognostic association of CMI and N2. Key Words: Rectal cancer, Lymph Node Metastasis, Circumferential Resection Margin, Curative Resection

      • 한·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일본 가전 브랜드를 중심으로

        조효설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Abstract A Cross-Cultural study on Foreign Brand Pre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Japan consumer electronics brand- Cao XiaoXue Advisor : Kim ChangYong Department of Communication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oreign brand preference of Korean students with chinese students. According to the preceding research consumer ethnocentrism, conspicuous consumption, brand of origin effect, product judgment was considered as key deterministic variables for foreign brand preference. From the analysis we could conclude that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roduct judgment have positive effect on foreign brand preference. Consumer ethnocentrism of Chinese college students have negative effect on foreign brand preference. But consumer ethnocentrism of Korean college student have on effect on foreign brand preference. And brand of origin effect also has no effect on foreign brand preference of each country. 국문초록 한·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관한 연구: 일본 가전 브랜드를 중심으로 A Cross-Cultural study on Foreign Brand Pre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Japan consumer electronics brand- 언론광고학과: 조효설 지도 교수: 김창룡 본 연구는 한·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대한 연구이다. 그래서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먼저 파악해 보고, 아울러 이들 요인 가운데 어떤 요소가 한·중대학생의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먼저,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외국브랜드 선호도에 영향을 브랜드원산지효과,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성향, 제품의 품질평가, 과시소비성향, 미디어의 보도5가지 변수를 도출할 것이다. 주요어: 브랜드원산지효과,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성향, 제품의 품질평가, 과시소비성향, 미디어의 보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