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물리치료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 의사소통 장애요인, 의사소통 행위와의 관계

        양인숙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노인에 대한 인식, 노인과의 의사소통 장애요인, 노인과의 의사소통 행위를 파악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자들의 각 분야의 검사 문항을 기초로 하여 137명의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원광대학교 건강정보소통연구소에서 수정·보완한 문항들을 사용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물리치료사는 노인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치료사와 노인과의 의사소통 시 의사소통 장애요인으로 노인의 청각능력을 첫 번째로 꼽았으며, 물리치료사는 노인과 바람직한 의사소통 행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물리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 임상경력, 근무환경, 노인대면비율이 노인에 대한 인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의사소통 장애요인과 의사소통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물리치료사의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변화시키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물리치료사는 노인을 보다 이해하고 공감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노인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적절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맞춤형 의사소통 매뉴얼 개발과 검증이 이루어져야 하며, 물리치료사의 의사소통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 교육과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 the communication barriers with the elderly, and communication behaviors with the elderly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physical therapist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research tool was based on the test items of each field of the preceding researchers, and a questionnaire survey of 137 physical therapists was conducted using the corrected and supplemented by Wonkwang University Cure-Care-Edu Platform(CCEP). As a result of research, physical therapists were found to perceive the elderly negatively. When communicating between physical therapists and the elderly, the elderly's hearing ability was the first factor of communication barriers, and physical therapists were found to have desirable communication behaviors with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hysical therapists such as age, clinical experienc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elderly-facing rate have an important influence in determining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the communication barriers and communication behaviors. 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elderly that the physical therapists have through this study and enable effective communication, they should try to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the elderly. In addition, customized communication manuals should be developed and verified to ensure proper communication based on accur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elderly,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systems should be prepared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bility.

      • 안내견에 대한 인식조사 및 개선 방안

        송성민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안내견에 대한 인식 정도와 개선 방안에 따른 사회적 합의점을 찾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안내견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시각장애인의 보행 및 일상생활에 관한 문제 및 보완점은 무엇인가? 3. 안내견과 시각장애인의 보행에 따른 사회적 합의는 무엇인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경기 그리고 제주에 거주하는 10대에서 60대 이상 남녀 639명의 수기 및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내견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에서 첫째, ‘시각장애인 안내견에 대한 인식’에는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81.5%)로 나타났고 ‘퍼피워킹’에 대한 문항에는 모른다(68.5%)가 높게 나타났고 ‘퍼피워킹(안내견 훈련)을 실제 본 적 없다’(83.9%)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세계안내견의 날’에 대해 모른다(95.1%)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안내견 학교’에 대해서는 50.7%가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안내견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은 편이나 개선 필요성은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내견 인식개선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모른다(86,4%)가 매우 높았으며 ‘안내견 인식개선 필요성’에 대해서는 86%가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개선이 필요한 내용으로는 ‘안내견이 되는 과정(36.5%), 장애인복지법(35.5%)’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이 함께 시각장애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교육 및 활동 참여’는 60.9%가 참여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안내견과 시각장애인을 위한 자리 또는 시설을 만드는 것’에 대해 67%로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고, 19.1%의 부정적인 반응의 응답자 131명 중 그 이유는 편견(42.6%), 차별(32.0%), 인권침해(24.6%) 순으로 나타났다. 안내견 거부에 대해서는 82.1%로 부정적인 반응이 높게 나타났고 거부 시 처벌 강화에 대해서는 응답자 517명 중 63.5%로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시각장애인의 보행 및 일상생활에 관한 문제 및 보완점과 안내견과 시각장애인의 보행에 따른 사회적 합의는 무엇인가? 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정재영(2009)은 안내견 이용이 시각장애인의 생태 체계적 관점에서 삶의 질 향상을, 이연우(2021)는 안내견을 이용하고자 하는 시각장애인이 많아지고 있음을, 김영수 외(2021)는 공공장소 및 공공시설에 대한 안내견 출입 금지와 같은 안내견의 이용에 대한 사회적 제재와 편견은 시각장애인의 보행 차별로 이어질 수밖에 없음을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와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시각장애인 안내견은 시각장애인의 독립보행을 돕는 친구이며 동반자로서 심리·정서적 안녕감을 주는 가족이다. 안내견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돕는 교육 및 정보의 부족 등으로 편견과 차별로 인해 시각장애인이 안내견 이용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안내견은 양성에서 분양까지 긴 시간(1년)이 소요되며 안내견 분양을 신청해도 보통 3년을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각장애인이 안내견을 이용한 독립보행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지만 공공장소 및 공공시설 이용에는 불편감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시각장애인의 보행 및 일상생활에 관한 문제 및 보완점으로는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이 편견과 차별받지 않고 자유롭게 보행할 수 있어야 하며 시각장애인이 원하는 시기에 바로 안내견을 분양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과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 또한, 안내견에 관한 올바른 교육과 정보를 학교 및 교육 현장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안내견과 시각장애인의 보행에 따른 사회적 합의점에 대한 논의는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의 생활복지 및 사회적 행복에 두고자 한다. 따라서 시각장애인과 안내견에 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서로를 배려하고 협력하는 건강한 시민으로서 함께 사회적 행복을 지향하기를 기대한다. 그뿐 아니라 본 연구는 안내견에 대한 인식조사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로서 안내견의 역할과 필요성을 조명하고 시각장애인 안내견에 대한 인식개선의 필요성을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는 대상 지역을 서울, 경기 그리고 제주로 한정한 것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여러 지역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This research aims to observe the Perception of guide dogs and to find social consensus over the ways to improve such perception.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to attain the research aim are as below. 1. How is the perception of guide dogs? 2. What are the problems and means to improve the daily lives and walking of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3. What is the social consensus over guide dogs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In order to find the answer for these questions, offline and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both male and female residents of the Seoul, Gyeong-gi and Jeju, in their teens to their 60s. The data was analyzed quantitatively and the result are as following. For the question, ‘How is the perception of the guide dogs’, the answers were generally positive by 81.5% while the number of those who answered that they are not aware of ‘puppy walking’ was the highest (68.5%) and majority of people (83.9%) have also answered that they have never seen a Puppy Walking (guide dog training) in real life. Furthermore, high number of people (95.1%) were not aware of ‘Guide Dog Awareness Day’, yet 50.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aware of ‘Guide Dog School’. The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the guide dogs in general is very low, but majority of the people highly felt the need for improvement. Second, when asked about ‘Guide Dog Perception Improvement Program’, very high number of people (86.4%) answered that they were not aware, while 86% have positively answered that they feel the ‘need for perception improvement’. In terms of areas of possible improvement ‘process of training guide dogs (36.5%)’, and ‘disability welfare law (35.5%)’ranked the highest and 60.9% of respondants answered that they hav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activity that informs others about the visually impaired along with the impaired individual and guide dog.’ Third, they like the idea and love the idea respectively to the question of ‘creating a space or building fac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guide dogs’, amounting to 67% in total. Those who answered negatively were 19.1% and the reasons that they have given for such answers were prejudice (42.6%), discrimination (32.0%), and human rights violation (24.6%). Regarding the guide dogs being denied entry, 82.1% answered they do not like it nor detested it. Out of 517 participants, 63.5% answered that the punishment should and must be enforced to such denial of entry. Based on the research, this dissertation aims to observe the problems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conduct their daily activities and ways to remedy them as well as the possible social consensus on walking of the visually impaired in Korean society. First of all, in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visually impaired and guide dogs, Chung (2009) focused on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from a eco-systemic perspective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Lee (2021) emphasized the increase in number of the visually impaired willing to adopt guide dogs, while Kim et al (2021) points out that the social obstacle and prejudice against the use of guide dogs through measures such as denying entry in public places and facilities would eventually lead to discrimination against the visually impaired. Such researches conducted collectively claim that the guide dogs are friends and companions of the visually impaired who are aided in their independent walking and also a family that bring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ecurity. Highly limited education and information that enhances understanding of the guide dogs enforce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visually impaired population and thus, their use of guide dogs becomes even more difficult. It takes a long time (1 year) for the guide dogs to be trained and adopted, while it takes three years in average for peple to actually adopt their guide dogs after applications. Furthermore, even though the responded positive to the visually impaired to be assisted by the guide dogs for their independent walking, they also complain the use of public places and public facilities of them.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visually impaired and guide dogs should be able to conduct their daily lives without any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while the structural remedy and political aid must be placed urgently for the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to be able to adopt guide dogs whenever they want. Also, the adequate education and information dispersion is recommended to be provided consistently, principally in schools and educational facilities. This research also argues that the social consensus on guide dogs and walking of the visually impaired should focus on the welfare and social happiness of their own. Therefore, through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guide dogs could strive for their collective happiness as respecful and cooperating, healthy citizens. Additionally, this research is a study of how guide dogs and ways to improve such perception. In the end, the research contributes to the academic field by shedding a light on the role of the guide dogs and needs for them as well as the needs to improve people’s perception of them. Sinc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Seoul, Gyeong-giand Jeju, it may b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finding as of yet. Therefore, further research surveying wider areas and regions is recommended.

      •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자가구강건강관리와 자가구강건강증상에 미치는 영향

        전현정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79

        연구목적 : COVID-19 등 교육환경 변화를 경험한 대학생이 겪는 학업스트레스가 자가구강건강관리 및 자가구강건강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함으로써 학업스트레스에 따른 자가구강건강관리 및 자가구강건강증상 수준을 확인하고, 상호연관성을 확인 및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라북도 소재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선정하였으며, 조사는 온라인 설문조사(Naver form, Naver corp, Korea)를 통해 2022년 01월 29일부터 02월 11일까지 모집문을 게시한 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은 246명이었다. 연구성적 : 학업스트레스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학업스트레스가 더 높았으며 아르바이트를 경험하지 않은 집단이 경험한 집단보다 학업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자가구강건강관리는 전공만족도가 낮은 집단에게 부족하였으며, 자가구강건강증상 정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자가구강건강증상이 더 많이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와 자가구강건강증상, 자가구강건강관리와 자가구강건강증상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나 학업스트레스가 높으면 자가구강건강증상이 많이 나타나며, 자가구강건강증상이 많이 나타날수록 자가구강건강관리를 많이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가구강건강증상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변수는 성별과 학업스트레스로 나타났으며 성별 중 여자인 경우와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경우에 자가구강건강증상이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학업스트레스가 자가구강건강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성을 확인되었으므로 향후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증상에 따른 관리법을 체계화하여 그에 따른 다양한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f college students on oral health self-care and self-perceived oral symptoms. Method : Onli대학생 자가구강건강관리 자가구강건강증상 학업스트레스 ne survey (Naver form, Naver corp, Korea) was conducted targeting 246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Jeollabuk-do Province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Results : Academic stress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and more severe in the group that has never had part-time jobs than in the group that have had before. Students with les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showed lack of oral health self-care. Self-perceived oral symptoms were found more often in women than men. The higher students have academic stress, the more they feel self-perceived oral symptoms, and the more they have symptoms, the more oral health self-care behavior was taken. The factors affecting self-perceived oral symptoms were gender and academic stress. Conclusion :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oral health self-care was found in this study. Ways of oral health care for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self-perceived oral symptoms should be developed in a systematic manner, and various oral health care programs should be provided accordingly.

      • 동물보건활동이 포함된 동물매개교육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생명존중인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장문영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79

        This study used the pretest-posttest desig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o verify the effect of animal-assisted education, including animal health care, on the respectful recognition of life and self-efficacy of the children in a local children's center. This program consisted of animal-assisted education to improve the respectful recognition of life and self-efficacy by taking care of live animals through animal health care that can prevent animal diseases and enhance their lives. The program has a total of 10 sessions, 50 minutes for each session. It was performed at G local children's center located in A city,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v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six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 pretest-posttest on the respectful recognition of life and self-efficacy scales were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verify the effect of animal-assisted education. SPSS V.21.0 was used as a statistical tool to analyze the data, and the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respectful recognition of life and self-efficacy of thos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imal-assisted education, including animal health ca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improving the respectful recognition of the life of the experimental group (Z=-2.03, p<.05). Second, animal-assisted education, including animal health ca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improving the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Z=-2.03, p<.05). Therefore it proved that animal-assisted education, including animal health car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 in the local children's center to form values for respectful recognition of life. Furthermore, it positively affected the children's self-efficacy by taking care of animals to live healthy lives. 본 연구는 동물보건활동이 포함된 동물매개교육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생명존중인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실험 설계를 이용한 연구이다. 본 프로그램은 동물의 질병을 예방하고 생명을 증진할 수 있는 동물 보건 활동을 통해 직접 살아있는 동물에게 돌봄을 수행함으로써 생명존중인식과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동물매개교육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이루어졌으며 한 회기당 50분을 진행하였다. 장소는 A시에 위치한 G 지역아동센터에서 진행했으며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6명으로 진행하였다. 동물매개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사후로 나누어 생명존중인식 척도와 자기효능감 척도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로는 SPSS V.21.0을 이용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생명존중인식과 자기효능감의 사전·사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보건활동이 포함된 동물매개교육은 실험집단의 생명존중인식을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Z=-2.03, p<.05) 둘째, 동물보건활동이 포함된 동물매개교육은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Z=-2.03, p<.05) 따라서 동물보건활동이 포함된 동물매개교육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에게 생명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가치관을 형성하여 생명존중인식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직접 동물이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돌봐주는 경험을 통해 자기효능감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검증하였다.

      • 농업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따른 PPAT 그림검사 반응연구

        손동균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679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response to PPA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griculture according to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For the study, 120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ioresource Science at College B in City A were evaluated and analyzed using the scale of Career Maturity Inventory and the projective test of PPAT from March 29, 2018 through April 5, 2018. Career maturity of the 120 students was rated high or low for the upper factor of career maturity and the subfactors of career determination, career independence, career compromise, career selection attitude, and career involvement as a result of the scale test. PPAT was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FEATS and Content Scale and reviewed by two trained art psychology counselors.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and SPSS 22.0 was used to perform the Chi-squared 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o rate each group's response to PPAT.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findings: First, it was examined whether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have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and its subfactors. In case of career matur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ous factors, especially FEATS' ‘appropriateness of colors’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Content Scale's ‘age.’ Above all, the subfactors of career determination, career independence, career compromise, career selection attitude, and career involv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FEATS's ‘problem- solving skills’ and ‘detailed description and environmental description’ and Content Scale's ‘age.’ This seems to be because the upper group tends to solve problems in more realistic manners and be more proactive compared to the lower group.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how career maturity and its subfactors affect FEATS, it was found that career maturity affects the ‘appropriateness of colors,’ while the subfactor career determination affects ‘compressed energy,’ career independents affects ‘space,’ career compromise affects ‘integrity,’ career selection attitude affects ‘problem-solving skills’, and career involvement affects ‘detailed description and environmental descrip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PAT seems to show parti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areer maturity and subfacto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griculture which have partial impact on FEATS. The findings have proven that PPAT can be used as an objective psychological test or an auxiliary tool. It has been discussed that the findings are aligned with the findings of preceding studies, but the study was limited to a single time and space and a group of students from a single college for the study resources. 본 연구는 농업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수준에 따른 PPAT 반응의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A시 B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의 대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29일부터 2018년 4월 5일까지 척도검사인 진로성숙도검사와 투사검사인 PPAT를 실시하고 평가‧분석하였다. 진로성숙도는 120명의 척도검사 결과에 따라 상위요인인 진로성숙도와 하위요인들인 진로확정도, 진로독립도, 진로타협도, 진로선택태도, 진로관여도에 대해 높음‧낮음 수준으로 분류하였고, PPAT는 FEATS와 ContentScale로 분류‧분석하고 미술심리상담 수련전문가 2인의 검증을 받았다. 진로성숙도 수준에 따라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였고 각 집단의 PPAT그림검사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해 카이제곱검정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요인인 진로성숙도 및 하위요인들의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상위요인인 진로성숙도의 경우 여러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FEATS의 ‘색의 적절성’, ‘문제해결력’ 항목과 ContentScale의 ‘나이’ 항목에서 특히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먼저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인 진로확정도, 진로독립도, 진로타협도, 진로선택태도, 진로관여도에서는 FEATS의 ‘문제해결력’, ‘세부묘사 및 환경묘사’ 와 ContentScale의 ‘나이’ 항목에서 특히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진로성숙도 상위집단의 경우 진로성숙도 하위집단에 비해 현실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하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둘째, 상위요인인 진로성숙도 및 하위요인들이 FEATS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성숙도는 ‘색의 적절성’에 영향을 미치고, 하위요인인 진로확정도는 ‘함축된 에너지’, 진로독립도는 ‘공간’, 진로타협도는 ‘통합성’, 진로선택태도는 ‘문제해결력’, 진로관여도는 ‘세부묘사 및 환경묘사’ 항목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PAT는 농업전공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하위요인의 수준에 따라 부분적인 차이를 나타내고, 진로성숙도 및 하위요인은 FEATS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PPAT그림검사가 현장에서 객관적 심리검사의 보조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선행연구 결과들과 일치하였음을 논의하였고, 연구자료를 확보하기 위해서 같은 시간‧공간에서 실시하여야 하는 문제와 농업전공 대상자를 한 대학에서 모집하여 실시한 것을 제언하였다.

      • 전남 일부지역 공무원들의 구강보건 인식과 행태에 관한 연구

        홍진석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79

        연구목적 : 공무원들의 구강보건 인식과 행태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공무원들의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구강건강 증진에 필요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일부지역(J군과, S군)에 거주하는 공무원 300명이었으며, 조사방법은 개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법 이었다. 연구성적 : 공무원의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태도에서는 사업실시에 대한 찬성 의견이 반대 의견보다 많았으나 찬성비율이 절반을 넘지 않았다. 희망하는 구강보건교육내용은 충치, 잇몸질환에 대한 치료와 예방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구강보건교육방법은 구강보건인력의 강연이 45.2%로 나타났다. 구강보건교육 및 구강검진을 받은 적이 없다는 응답은 2/3를 넘었다. 학력, 성별, 결혼 유무 등 공무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구강보건 인식 및 행태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공무원들의 구강보건 인식은 높은 편이었었으나 구강보건 실천은 개선해야 할 여지가 많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공무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맞는 맞춤형 구강보건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aim is to arrange a necessary plan for developing a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and promoting oral health in public officials henceforth by grasping the oral health behavior and awareness in public officials. Method : The subjects were 300 public officials who riside in some areas of Jeollanam-do Province (J county, S county). A survey method was the individually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 In the public officials' attitude toward the water fluoridation concentration regulation project, there were many advantage of carrying out the project, compared to the objections. However, the ratio of the agreement didn't exceed half. The desired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s were indicated to include the treatment & prevention of decayed teeth and periodontal disease, dental common sense, private dental counsel, and prevention of bad breath. The oral health education method was shown to be 45.2% in a lecture for the oral health workforce. The response of never having received oral health education and oral examination exceeded two thirds. The oral health behavior and awareness were indicat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public official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cademic background, gender, and marital status. Conclusion : The public officials' oral health awareness tended to be high. However, the oral health practice was judged to have much room for improvement. Also, the customized oral health education will need to be reinforced in line with public official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정서지능, 사회성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임은경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1663

        Animal-Assisted programs and interventions with students are becoming promising field in school and therapeutic settings. Following this trend, Animal-Assisted Intervention (AAI) program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adopt more easily to school life and to encourage them to keep healthy relationships with other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AAI)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bility and depress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8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who were interested in animals and agreed to the research attended this pr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two times a week for 6 weeks (a total of 12 times) with one main researcher and three research assistants. The major research tool was the test of emotional intelligence, sociability and depression and the statistical test being used for this study was Wilcoxon's signed ran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animal-assisted intervention may offer the positive physi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who attended programs could experience situational awareness and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feel empathy for other people. Second, the study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on sociabil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ny aspects such as reliability, autonomy, sociability and compliance. Lastly, significant reductions in anxiety and depression were found after the introduction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for students. Students who participated this program experienced a reduction in depression and stress to some degree. Also, they began to form much more positive friendships and followed school rules as well.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 significantly has the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adaptability and depress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this animal-assisted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positive program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생활 부적응 예방 및 건강한 학교생활에 도움이 되고자 구조화된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정서지능, 사회성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중학교의 방과 후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 중 동물에 관심이 있고 연구에 동의하는 학생들 총 8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진행은 1차면담을 시작으로 주 2회 45분씩 6주간 총 12회기를 본 연구자와 보조 진행자 3인이 함께 진행하였다. 검사도구로 정서지능 검사, 사회성 검사, 우울척도 검사를 사용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 20.0을 사용하여 윌콕슨 부호순위검증(Wilcoxon's signed 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정서지능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인 정서인식 및 표현에서 타인의 말, 행동 및 표정을 통해서 상황인식이 가능해졌고, 감정이입으로 타인의 감정을 공감할 수 있는 공감능력이 좋아졌으며 정서・사고촉진과 정서활용에서 모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사회성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으로 신뢰성, 자율성, 사교성 그리고 준법성에 유의한 차이가 났다. 셋째,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우울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의 실시이후 우울의 감소로 학교규칙 준수, 스트레스 조절, 교우관계에서 긍정적인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정서지능, 사회성 및 우울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동물매개중재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자기이해, 대인관계 개선, 학교생활 적응 및 정서적 안정을 위한 개입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동물매개치료가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정서,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장윤석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1663

        본 연구는 동물매개치료가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정서,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실험 설계를 이용한 연구이다. 본 프로그램은 사전·사후를 제외한 12회기로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퇴화를 늦추고 치매 진행을 예방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장소는 I시에 위치한 E노인주간보호센터에서 진행했으며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4명인 10명으로 진행을 하였다. 동물매개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기능 검사(MoCA-K)와 정서 측정도구(AER) 그리고 자아존중감 척도(SES)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로는 SPSS V.22.0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기능 검사, 정서 측정 도구, 자아존중감 척도 사전·사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Wilcoxon signed-rank test)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실험집단의 인지기능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어 동물매개치료가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이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정서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어 동물매개치료가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정서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이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어 동물매개치료가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이 있었다. 따라서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정서,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In this study, we used pre- and post-experimental design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o examine how animal-assisted therapy affects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self-esteem in elderly people with hard nerve cognitive impairment. It is a study. Th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derly people with hard nerve cognitive impairment at the 12th time, excluding pre- and post-events, and was promoted to delay dementia and prevent the progression of dementia. The site was held at the E Elderly Weekly Conservation Center located in I City,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0 people, 6 experimental groups and 4 control group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nimal-assisted therapy, the study pre-applied the 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Function Test (MoCA-K), Emotion Measurement Tool (AER), and Ego Respect Scale (SES) to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results of the post-inspection were compared. As statistics for data processing, SPSS V.22.0 was used to perform the Mann-Whitney U test to examine the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populations,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used to examine the pre- and post-change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led population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function test, emotion measurement tool, and self-respect scale.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shown in the cognitive function part of the experimental population, and animal-assisted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eople with hardness neurocognitive impairment. Second, the emotional part of the experimental popul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and animal-assisted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emotions in the elderly with hardness neurocognitive impairment.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he ego respect part, and animal-assisted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ego respect in the elderly with hardness neurocognitive impairment. Therefore, after performing an animal-assisted therapy program, it was verified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emotion, and ego respect in elderly people with hard nerve cognitive impai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