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보상, 무례함의 경험이 재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소정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들이 인식하는 간호근무환경, 보상의 중요성, 무례함의 경험 및 재직 의도의 정도와 재직 의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정신의료기관의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전략 및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21년 2월 15일부터 3월 17일 까지 자료 수집이 시행되었고, 연구 시행에 앞서 Y 대학교 기관윤리위원회의 승인 (YSUIRB-202012-HR-083-02)을 받았다. 11개의 정신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경력이 6개월 이상이며,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 위해 서면 동의를 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최종 19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6.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들의 차이검정은 t-검정,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로 하였다. 주요변수들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으로 분석하였고, 주요 변수들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대상자는 총 196명 이었고, 여성이 87.2%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평균연령은 50세 이상이 30.1%로 가장 많았고, 기혼이 59.2%이었다. 최종학력은 학사가 54.6%로 가장 많았고, 근무부서는 병동이 86.7%로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근무형태는 3교대가 56.6%로 가장 많았다. 총 임상경력은 20년 이상이 39.3%로 가장 많았으며 현재 직장에 근속한 연수는 1년 이상~ 5년 미만이 38.8%로 가장 많았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61.2%이었고, 평균 월급은 300만원 미만이 69.4%이었다. 이직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73.5%이었고, 이들의 이직횟수는 1회가 32.7%로 가장 많았다. 2) 정신간호사가 인식한 간호근무환경, 보상, 무례함, 재직 의도의 정도는 다음과 같다. 간호근무환경은 4점 만점에 평균 2.60(±0.46)점이었고, 보상의 중요성은 4점 만점에 평균 3.17(±0.53)점이었다. 무례함의 경험은 5점 만점에 평균 2.41(±0.67)점이었고, 재직 의도는 8점 만점에 평균 5.84(±1.53)점이었다. 3) 정신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무부서(t=-2.173, p=.031), 평균 월급(t=-2.212, p=.02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정신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상의 중요성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무부서(t=-2.052, p=.041), 평균 월급(t=-2.794, p=.00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정신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무례함 경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총 임상경력(F=3.425, p=.010), 현재 직장 근무경력(F=2.885, p=.02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정신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 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F=2.759, p=.044)과 최종학력(F=3.117, p=.04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정신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보상, 무례함, 재직 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근무환경과 보상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r=.226, p<.001), 간호근무환경과 무례함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455, p<.001). 재직 의도와 간호근무환경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r=.350, p<.001), 재직 의도와 무례함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306, p<.001). 8) 회귀분석 결과, 정신간호사의 재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근무환경(β=.239, p=.001), 무례함(β=-.216, p=.004), 연령(β=.153, p=.033)이었고, 설명력은 17.6%이었다. 즉 나이가 많고,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무례함 경험이 적은 경우에 재직 의도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정신간호사의 연령, 간호근무환경, 무례함의 경험이 재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의료기관의 적극적인 간호 인력 충원과 적절한 보상체계를 포함한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개선하고 조직차원의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한다면 무례함의 감소에 영향을 미쳐 정신간호사들의 재직 의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신간호사의 재직 의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간호근무환경을 개선하고 무례함을 감소시키고, 이와 관련하여 개인적 요소와 조직적 요소를 고려한 병원의 통합적 전략이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nursing work environment recognized by mental health nurses, importance of compensation, incivility experience and retention inten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n retention inten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trategies and foundations for managing nursing staffing in mental institutions.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d ou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Feb. 15 to Mar. 17, 2021 and prior to executing research,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Ethics Committee of Y University (YSUIRB-202012-HR-083-02). Our 202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nurses who had over 6 months of clinical career working at 11 mental hospitals and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in writing to participate in this survey and finally 196 copies were only used for ou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6.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main variable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and for post-hoc test, Scheff’s test was used. The relation between main variables was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 effect of main variables on retention intention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196 individuals: females occupied the majority at 87.2%. To look at the average age, ‘50 years or older’ occupied the most at 30.1% and ‘married’ occupied 59.2%. To look at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bachelor’s degree occupied the majority at 54.6% and when it comes to work unit, ‘ward’ occupied the majority at 86.7% and in case of pattern of duties, ‘three shifts’ occupied the most at 56.6%. To look at total clinical career, ‘20 years or more’ was the most at 39.3% and to look at the length of working years at the present workplace, ‘1–5 years’ was the most at 38.8%. To look at position, ‘staff nurse’ occupied 61.2% and in case of average salary, ‘3 million won or less’ occupied the most at 69.4%. Those who had experience of turnover occupied 73.5% and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turnover, ‘one time’ occupied the most at 32.7%. 2) Mental health nurses recognized nursing work environment, importance of compensation, incivility, and retention intention as follows. Nursing work environment scored 2.60(±0.46) points on average out of 4 and the importance of compensation scored at 3.17(±0.53) on average out of 4. Incivility experience scored 2.41(±0.67) points on average out of 5 and retention intention scored at 5.84(±1.53) on average out of 8.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nursing work environment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nurs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unit (t=-2.17, p=.031) and average salary (t=-2.21, p=.028).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toward importance of compensation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nurs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unit (t=-2.05, p=.041) and average salary (t=-2.79, p=.006). 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incivility experience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nurs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clinical career (F=3.42, p=.010) and years of working at the present workplace (F=2.88, p=.024). 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retention intention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nurs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F=2.75, p=.044) and highest level of education (F=3.11, p=.047). 7)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importance of compensation, incivility, and retention intention in mental health nurse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mportance of compensation (r=.226,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civility (r=-.455, p<.001). Retention inten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work environment (r=.350, p<.001) and retention inten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civility (r=-.306, p<.001). 8)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on retention intention in mental health nurses were nursing work environment (β=.239, p=.001), incivility (β=-.216, p=.004), and age (β=.153, p=.033)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7.6%. In other words, in case a nurse was older and recognized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positively, the nurse with less incivility experience showed higher retention intention. The above results together, it was found that mental health nurses’ ag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incivility experience we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tention intention.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retention intentions of mental health nurses to work, efforts should be made at the institution level to actively nursing staffing and improve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including an appropriate compensation system. In addition, organizational supervision and appropriat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prepared so that mental health nurses can cope with incivility from colleagues and patients.

      • 뷰티헬스케어행동, 미적 이미지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심리적 영향의 관계에 미치는 연구

        박미은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47

        외적인 미(美) 외모는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경쟁력으로 인식되고 자기 자신을 타인에게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며, 각 개인의 성별, 인종, 연령, 직업 등까지도 인식할 수 있는 하나의 판단기준이다. 사람의 신체적 모습이나 외모의 특징은 인간의 행동과 심리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사회화 과정의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신체 및 외모를 스스로 주관적으로 평가하여 신체의 미적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생각할수록 자기 존중감이 높아지고 불안은 낮으며 긍정적인 인식, 대인관계가 원만하며 심리적 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외모에 대한 관심은 자신의 이상적인 외모를 아름답게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뷰티와 헬스에 대한 케어는 증가하고 새로운 미적 욕구를 위해 뷰티헬스케어관련 산업이 빠른 추세로 발전하고 다양한 소비층이 형성되었다.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심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지표로 시대의 가치에 따라 변화되는 이상적인 외모관리에 뷰티헬스케어행동과 미적 이미지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하위요소로 가족영향력, 친구영향력, 대중매체영향력을 통하여 심리적 영향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뷰티헬스케어행동 및 미적 이미지간의 간접적인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각 변수간의 유의미함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여 바람직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형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뷰티헬스케어산업현장에 실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표본선정 자료 수집은 일반인과 미용서비스산업 종사자를 구성원으로 편의표집 하였으며, 설문지 903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통계적 처리 방법으로 SPSS 25.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3.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측정 요인별 측정변수에 대한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인과관계로 적립된 가설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고 공분산구조분석을 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도출하였다. 첫째, 뷰티헬스케어행동의 제1요인은 피부미용행동(.590)이며, 제2요인은 헬스관리행동(.626), 제3요인은 화장품사용행동(.684), 제4요인은 건강기능성식품(.530)으로 정 의하였다. 둘째, 사회문화적 태도의 제1요인은 가족영향력이며(.608), 제2요인은 친구영향력(.620) 제3요인은 대중매체영향력(.752), 제4요인은 외모영향력(.584), 제5요인은 신체매력(.632)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중 사회문화적 태도의 요인 중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은 대중매체영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영향의 제1요인은 업무자신감(.819)이며, 제2요인은 대인관계적극성(.715), 제3요인은 심리적 안정감(.746)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심리적 영향의 각 요인 중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은 업무자신감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설1의 미용인과 일반인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뷰티헬스케어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사회문화적 태도는 뷰티헬스케어행동(=0.542, p<.001)에 직접효과가 유의 하였다. 일반인의 경우는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사회문화적 태도는 뷰티헬스케어행동(=0.593, p<.001)에 직접 효과가 유의 하였다. 다섯째, 가설2의 미용인과 일반인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미적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사회문화적 태도는 미적이미지 (=0.530, p<.001)에 직접 효과가 유의 하였다. 일반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사회문화적 태도는 미적이미지 (=0.535, p<.001)에 직접 효과가 유의 하였다. 여섯째, 가설3의 미용인은 사회문화적 태도가 심리적 영향에 직접적인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태도의 요인인 가족, 친구, 대중매체, 신체매력, 외모영향의 사회문화적 압력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아 심리적 영향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3의 일반인은 사회문화적 태도가 심리적 영향(=-0.214, p<.001)에 직접적인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가설4의 미용인과 일반인은 미적 이미지가 뷰티헬스케어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미적 이미지는 뷰티헬스케어행동(=0.267, p<.001)에 직접효과가 유의 하였다. 일반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미적 이미지는 뷰티헬스케어행동(=0.324, p<.001)에 직접효과가 유의 하였다. 여덟째, 가설5의 미용인과 일반인은 미적 이미지가 심리적 영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미적 이미지는 심리적 영향(=0.341, p<.001)에 직접효과가 유의 하였다. 일반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미적 이미지는 심리적 영향(=0.395, p<.001)에 직접효과가 유의 하였다. 아홉째, 가설6의 미용인과 일반인은 뷰티헬스케어행동이 심리적 영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뷰티헬스케어행동은 심리적 영향(=0.407, p<.001)에 직접효과가 유의 하였다. 일반인의 경우 가정한 경로들의 개별 직접경로 계수를 보면, 뷰티헬스케어행동은 심리적 영향(=0.585, p<.001))에 직접효과가 유의 하였다. 열째, 가설7의 미용인과 일반인은 사회문화적 태도와 심리적 영향 간의 관계에서 뷰티헬스케어행동과 미적 이미지의 매개검증결과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뷰티헬스케어행동과 미적 이미지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심리적 영향의 관계에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문화적 태도의 요인인 가족, 친구, 대중매체, 신체매력의 압력이 높을수록 뷰티헬스케어행동인 피부미용관리, 체중조절, 메이크업 등의 외모관리행동이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뷰티관리행동을 통하여 지속적인 외모관리행동이나 외모에 더 깊이 있는 확대나 심층화를 통해 삶의 질이 부정이 아닌 긍정적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헬스케어행동을 통하여 자기관리와 외모관리행동을 하게 되면 내면화가 높아지므로 심리적 영향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뷰티헬스케어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프로그램개발과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응급실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이 도덕적 고뇌에 미치는 영향

        손춘화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윤리적 환경, 도덕적 고뇌를 확인하고, 도덕적 고뇌와의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응급실 간호사들의 직무만족을 유도하고 이직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이직 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17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울산, 부산, 경상지역에 소재한 200병상에서 500병상 사이의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응급실 간호사 중 임의 표집한 1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응급실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과 도덕적 고뇌는 평균, 표준편차로 파악하였다.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윤리적 환경과 도덕적 고뇌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로 하였다. 응급실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과 도덕적 고뇌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에 미치는 관련 요인은 단계별 다중회귀분석(stepwi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성별은 여성이 90.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평균 연령은 31.19세, 미혼이 72.9%, 종교가 없는 경우도 69.0%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했다. 교육수준은 3년제 졸업군이 48.4%로 가장 많았으며, 근무특성에서 총 임상 실무경력은 최소 1년에서 최대 31.4이었으며, 1년 이상 3년 미만인 대상자가 33.5%로 가장 많았다. 응급실 근무경력은 최소 1개월에서 최대 18년이었고, 1년 이상 3년 미만인 대상자가 49.7%이었다. 대상자의 현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72.9%로 많았으며, 윤리교육 이수 경험이 없는 경우가 63.9%로 나타났다. 교육이수 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평균 교육 시간은 5.2시간 이었으며 그중 최소 1시간에서 최대 18시간이었고, 1시간에서 3시간은 47.2%, 8시간 이상이 38.3%로 나타났다. 둘째, 윤리적 환경 점수는 평균 3.54점, 연구대상자의 도덕적 고뇌 평균 점수는 평균 2.73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영역별 도덕적 고뇌정도에서는 상황적 영역에서 ‘노인이라는 이유로 보호자가 적극적인 치료를 포기하거나 거부하는 경우’가 평균 3.13±1.04점으로 가장 높았고, 인지적 영역에서는 ‘보호자의 비협조’가 평균 3.57±1.08점으로 높았다. 행동적 영역에서는‘상황을 묵인한다’가 평균 3.35±0.97점으로 높았다. 정서적 영역에서는 ‘간호사로써 힘의 한계를 절감한다’가 평균3.68±1.00점으로 가장 높은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윤리적 환경은 교육 수준(t=5.347, p=.006)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교육수준에서 하부 영역인 환자영역 (t=4.212, p=.017), 관리자 영역(t=5.346, p=.00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윤리교육 시간에서는 의사영역(t=3.209, p=.048)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도덕적 고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결혼상태(t=2.487, p=.015), 교육수준 (F=5.347, p=.006)이었다. 기혼이 191.50±33.31점으로 높게 나타났고, 교육수준은 사후검정 결과 4년제 졸업이 94.22±9.17점으로 대학원 졸업이상 84.50±10.86점 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도덕적 고뇌의 하위영역에서는 상황적 영역에서 결혼상태(t=3.284, p=.001), 총 임상실무경력(F=6.479, p=<.001), 현 직위(F=3.216 p=.04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인지적 영역에서 총 임상실무경력 (F=3.042, p=.031), 현 직위 (F=3.301, p=.04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영역에서는 응급실 근무경력기간(F=3.129, p=.02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윤리적 환경 5개의 영역 중에서 환자 영역(r=-.159, p=.048), 관리자 영역(r=-.164, p=.041), 병원영역(r=-.254,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사영역에서(r=-.359, p=<.001)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여섯째, 대상자의 도덕적 고뇌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 결과 윤리적 환경의 하위 영역 중 의사영역(β=-0.334, p<.001)이 설명력 12.3%로 가장 높았으며, 총 임상실무경력에서 5~10년 이상(β=-0.242, p=.002)이 추가되어 16.0%, 교육수준에서 4년제 졸업생(β=-0.158, p=.038)이 추가되어 총 설명력은 17.8%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응급실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이 도덕적 고뇌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의사영역이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기초로 하여 병원 차원에서 응급실 간호사들과 의사와의 다양한 중재가 필요할 것이며, 그 중재를 통하여 응급실 간호사들의 직무만족을 유도하고 이직에 대한 감소율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

      • 종합병원 간호사의 웰다잉(well-dying) 인식, 간호전문직관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도은영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well-dying awarenes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nd-of-life care attitude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163 nurses in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4, to August 11,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146 women(89.6%), with an average of 33.01±8.21 years. The marriage condition was 98(60.1%), no religion, 101(62.0%), and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was 135(82.8%) with a four-year college graduation. The total clinical workouts were 56(34.4%) for less than 5 years, and the current department was the most common in general wards, with 105(64.4%), and 73(44.8) for less than 3 years in the current department. End-of-life nursing education was 83(50.9%) who did not receive, and 102(62.6%) who experienced the death of a meaningful person. 2. The subjects' well-dying awareness averaged 3.47±0.52 points out of 5, and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averaged 3.54±0.46 points out of 5.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averaged 2.99±0.34 points out of 4. 3. Perception of well-dying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was age(F=9.11, p=.001), marital status(t=2.77, p=.003), total clinical work experience(F=7.25, p=.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end-of-life nursing education(t=5.93, p=.001), and significant human death experience(t=2.91, p=.004). It was found that Nursing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as age (F=4.51, p=.005), religion(t=1.87, p=.031), total clinical work experience(F=3.98, p=.009), and curr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department of work(F=7.28, p=.001), presence or absence of end-of-life care education(t=4.80, p=.001), and significant human death experience(t=3.61, p=.001). There was a difference. Subjects' end-of-life care attitud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ge(F=5.62, p=.001), marital status(t=2.68, p=.008), total clinical work experience(F=3.90, p=.010),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end-of-life nursing education (t=7.70, p=.001) and significant human death experience(t=4.50, p=.001). 4.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well-dying awareness(r=.558, p<.001) and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r=.440, p<.001). 5.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bject's attitude toward end-of-life care include awareness of well-dying(β=0.558, p<.001), presence of end-of-life care education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β=0.344, p<.001), and meaningful human death experience(β=0.201, p=.001), marital status(β=0.120, p=.047).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on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was 44.7%. Consider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general hospital nurses' awareness of well-dying, presence or absence of end-of-life care education, meaningful experience of someone's death, and marital status influence attitudes towards end-of-life car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end-of-life nursing attitude of general hospital nurse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and continuous education to nurs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n end-of-life nursing education program. At the same time,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in end-of-life nursing education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웰다잉 인식, 간호전문직관 및 임종간호태도의 정도를 확인하고,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임종간호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B 광역시와 U 광역시에 소재한 6개 종합병원 간호사 163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3년 7월 24일부터 2023년 8월 11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t-test,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별 다중회귀(stepwise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성이 146명(89.6%)으로 대부분이었고 평균 33.01±8.21세였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98명(60.1%), 종교는 없음이 101명(62.0%), 최종학력은 4년제 대학졸업 이상이 135명(82.8%)으로 많았다. 총 임상근무경력은 5년 미만이 56명(34.4%), 현재 근무부서는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대상자가 105명(64.4%)으로 가장 많았고, 현재 부서경력에서는 3년 미만이 73명(44.8%)으로 가장 많았다. 임종간호교육은 받지 않은 대상자가 83명(50.9%)이었으며, 의미있는 사람의 죽음을 경험한 대상자가 102명(62.6%)이었다. 2. 대상자의 웰다잉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47±0.52점,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평균 3.54±0.46점이었다.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99±0.34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웰다잉 인식은 연령(F=9.11, p=.001), 결혼상태 (t=2.77, p=.003), 총 임상근무경력(F=7.25, p=.001), 임종간호교육 유무(t=5.93, p=.001), 의미있는 사람의 죽음경험(t=2.91, p=.00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은 연령(F=4.51, p=.005), 종교(t=1.87, p=.031), 총 임상근무경력(F=3.98, p=.009), 현재 근무부서(F=7.28, p=.001), 임종간호교육 유무(t=4.80, p=.001), 의미있는 사람의 죽음경험(t=3.61,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는 연령(F=5.62, p=.001), 결혼상태(t=2.68, p=.008), 총 임상근무경력 (F=3.90, p=.010), 임종간호교육 유무(t=7.70, p=.001), 의미있는 사람의 죽음경험 (t=4.50,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는 웰다잉 인식(r=.558, p<.001), 간호전문직관(r=.440,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5.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웰다잉 인식(β=0.558, p<.001)과 일반적 특성 중 임종간호교육 유무(β=0.344, p<.001), 의미있는 사람의 죽음경험 (β=0.201, p=.001), 결혼상태(β=0.120, p=.047)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들의 임종간호태도에 대한 총설명력은 44.7%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종합병원 간호사의 웰다잉 인식, 임종간호교육 유무, 의미있는 사람의 죽음경험, 결혼상태는 임종간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임종간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간호사에게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동시에 종합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교육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간호전문직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미화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중소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역할갈등, 간호전문직관 및 직무만족과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영향요인들을 파악하여, 중소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정착과 안정화에 필요한 간호 인력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의 수집은 2020년 2월 26일부터 3월 11일까지 약 2주간 U광역시 6개 기관, B광역시 1개 기관, Y시 1개 기관을 대상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운영 중인 100병상 이상 300병상 미만의 중소병원 총 8개 기관에서, 총 임상경력이 1년 이상이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경력 3개월 이상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180명을 편의표집 하여 시행 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와 one-way ANOVA, Scheffe's test,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별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98.9%, 연령에서는 20~29세 이하가 42.8%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57.8%, 종교는 무교가 67.2%, 최종학력은 4년제 졸업이 62.8%, 총 임상 근무경력은 1~5년 이하가 40.5%,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경력은 3개월~1년 미만이 47.2%로 가장 많았고, 연봉에서는 3000~4000만원 미만이 66.0%, 병원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86.1%로 가장 많았다. 2.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 전체문항 평균점수는 5점 척도에서 3.20±0.54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의 평균으로는 환경장애 3.43±0.74점, 역할모호 3.21 ±0.64점, 능력부족 3.12±0.58점, 협조부족 3.07±0.70점으로 각각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의 전체문항의 평균점수는 5점 척도에서 3.22±0.35점이었으며, 하위영역의 평균으로 간호의 전문성 3.51±0.49점, 간호 실무역할 3.47±0.46점, 전문직 자아개념 3.33±0.43점, 사회적 인식 3.00±0.58, 간호의 독자성 2.72±0.64점이었다. 직무만족 전체문항의 평균점수는 5점 척도에서 3.10±0.35점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영역의 평균은 상호작용 3.52±0.63점, 직무 3.45± 0.54점, 전문직 수준 3.12±0.53점, 자율성 2.89±0.64점, 행정 2.86±0.59점, 보수 2.71±0.72점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 간호전문직관 및 직무만족의 차이 비교에서 역할갈등은 총 임상 근무경력(F=3.19, p=.01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간호전문직관은 결혼상태(t=7.26, p=.008)와 연봉(F=4.73, p=.00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서는 총 임상 근무경력(F=2.84, p=.026),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경력(F=8.93, p<.001)과 연봉(F=4.39,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후검정 결과에서는 총 임상 근무경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대상자의 직무만족은 역할갈등의 하위영역 중 능력부족과 음의 상관관계(r=-.204, p=.006), 간호전문직관의 하위영역 중 사회적 인식(r=.565, p<.001), 간호 실무역할(r=.471, p<.001), 전문직 자아개념(r=.441, p<.001), 간호의 전문성(r=.436,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간호의 독자성(r=-.243, p<.001)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중소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호전문직관의 하위영역인 사회적 인식(β=0.565, p<.001)이 설명력 31.5%로 가장 높았고,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경력(β=0.163, p=.009)이 추가되어 설명력 33.7%, 역할갈등의 하위영역인 능력부족(β=-0.130, p=.034)이 추가되었을 때의 총 설명력은 35.0%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중소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으로 사회적 인식과 더불어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근무경력, 능력부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나아가 간호‧간병통합서비스의 안정적인 정착과 확대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aimed at testing the degree of nurses' role conflict,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in small-medium hospitals and identifying factors that increase nurses' job satisfaction to provide basic human resource management data that necessary for establishment and stabilization of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in small-medium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surveys that are conducted between February 26 and March 11, 2020.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80 nurses working a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in 6 hospitals located in U metropolitan city, one hospital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one hospital located in Y city. Those hospitals were small-middle hospitals with between 100 and 300 beds. Nurses have at least one year of clinical career and at least 3 months a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98.9% of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emale, 42.8% were between 20 and 29 years of age, 57.8% were single, 67.2% have no religion, 62.8% have bachelor's degree, 40.5% have the total clinical career of 1-5 years, 47.2% have working experience a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between 3 months and 1 year, 66.0% have a salary between 30,000,000~40,000,000 won, and 86.1% are general nurses. 2. On average, the subjects scored 3.20±0.54 out of 5 on the nurses' role conflict survey a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The average of subdomains of nurses' role conflict is; 3.43±0.74 for environmental disorder, 3.21±0.64 for role ambiguity, 3.12±0.58 for lack of ability, 3.07±0.70 for lack of cooperation. On average, the subject scored 3.22±0.35 out of 5 on the nurses' nursing professionalism survey a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The average of subdomains nursing professionalism is; 3.51±0.49 for nursing specialty, 3.47±0.46 for nursing practice, 3.33±0.43 for professional self-concept, 3.00±0.58 for social recognition, 2.72±0.64 for nursing uniqueness. On average, the subject scores 3.10±0.35 out of 5 on job satisfaction survey. The average of subdomains is; 3.52±0.63 for interaction, 3.45±0.54 for job, 3.12±0.53 for level of specialty, 2.89±0.64 for autonomy, 2.86±0.59 for administration, 2.71±0.72 for wage. 3. With the correlation studies among nurses' role conflict, nurs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role conflic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ir total clinical career(F=3.19, p=.015), nursing professionalis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marital status(t=7.26, p=.008) and wage(F=4.73, p=.003). Job satisfa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otal clinical career(F=2.84, p=.026), working experience a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F=8.93, p<.001) and wage(F=4.39, p=.005). However, it has turned o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length of the total clinical career by a post-hoc test. 4. The subjects' job satisfac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 subdomain of role conflict; lack of ability(r=-.204, p=.006) while subdomains of nursing professionalism; social recognition(r=.565, p<.001,) attributes of nursing practice(r=.471, p<.001,) professional self-concept(r=.441, p<.001,) and nursing specialty(r=.436, p<.001)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ut nursing uniqueness(r=-.243, p<.001)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5.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variables affecting nurses' job satisfaction a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in small-medium hospitals, showed that subdomain of nursing professionalism; social recognition (β=0.565, p<.001) had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31.5%, working experience a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β=0.163, p=.009) is added to explanatory power that became 33.7%, subdomain of role conflict; lack of ability (β=-0.130, p=.034) is added to explanatory power that became 35.0%. Put these results together, social recognition, working experience a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lack of ability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factor that affects nurses' job satisfaction a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These findings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increase nurses' job satisfaction at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furthermore to allow stable and expanded operation of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s.

      •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환자안전문화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황성미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impacts of nurses'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6 to March 16, 2020,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200 nurses working at thre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U metropolitan city. As research tools, the Korean version of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K-PES-NWI) developed by Cho, Choi, Kim, Yu, and Lee (2011), the Korean vers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Scale developed by Lee (2015),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developed by Lee (2009) and revised, complemented by Lee (2011)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ver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the average age of 32.29±6.99 years, 26% to 31 years old were 35.0%, and the gender was 95.0%. Married status was the most unmarried 58.5%, religion was non-religious 58.0%, academic background was 54.0% for bachelor's graduation, and general nurse was 72.5% for job title. The average total work experience was 8.95±6.43 years, with 38.5% being the most in the range of 3 years to 8 years, and 58.5% in the ward. The average work experience in the current department was 4.98±4.60 years, with the highest number being 41.5% over 2 years to less than 7 years, and the shift type was 71.0%. The average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was 2.96±2.33 times, with less than 3 times being the highest with 40.0%. Second, the average score of the nursing work perception of the subjects was 2.51±0.43 points. Among the sub-areas, nursing managers' support for competency, leadership, and nurses was the highest with 2.79±0.54 points, and sufficient manpower and material support were 2.15±0.55 points. Appeared as the lowest. The average score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s was 3.46±0.49 points, and the average scor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mong the sub-areas was 3.33±0.59 points, among which the leadership was the highest with 3.46±0.71 points, and the patient safety improvement system was the highest with 3.20±0.67 points. Was low. The average score at the department level was 3.54±0.50 points, the teamwork was the highest with 3.59±0.60 points, and the non-punishment environment was the lowest with 3.49±0.69 points. The average score on the individual level was 3.46±0.48 points, and the patient safety knowledge/attitude was the highest with 3.75±0.57 points, and the patient safety priority was the lowest with 3.18±0.68 points. The average scor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3.79±0.49 points, and the fall prevention area was the highest with 4.08±0.72 points, and the safe environment area was the lowest with 3.43±0.97 points. Third,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s was total work experience (F=4.041, p=.008), and patient safety education experience (F=3.125, p=.016).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2.589, p=.010) and total work experience (F=3.439, p=.018). Fourth,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s (r=.544,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r=.524, p<.001).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 and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s (r=.530, p<.001). Nurse participation in hospital operation, a sub-area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r=.465, p<.001), foundation for quality nursing (r=.545, p<.001), ability, leadership, and nursing of nursing managers Support for (r=.493, p<.001), sufficient manpower and material support (r=.210, p<.003), and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physicians (r=.399, p<.001) All of the factor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leadership at the organizational level (r=.409, p<.001), a sub-area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s, and patient safety policy/procedure(r=.525, p<.001), patient safety improvement system (r=.542, p<.001), departmental teamwork (r=.467, p<.003), non-punishment environment (r=.172, p<.015), and six factors of patient safety knowledge/attitude at the individual level (r=428, p<.001)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Fifth,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tient'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clude the foundation for quality nursing in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β=.312, p<.001), and Support (β=.200, p=006), Enough workforce/material support (β=-.128, p=.027) and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Patient Safety Improvement System (β=. 239, p<.001), patient safety knowledge/attitude at the individual level (β=.142, p=.026) and married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rriage (β=.113, p=.039) Appeared. The explanatory power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these variables was 43.3%. Comprehensive results of the abov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s of the subjects influenced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and explore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the future. Key words : nurses, nursing work environment,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환자안전문화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0년 2월 26일에서 3월 16일까지 U광역시에 소재한 3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로는 간호근무환경은 Lake(2002)가 개발하여 조은희 등(2011)이 번안한 ‘한국어판 간호근무환경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환자안전문화인식은 이순교(2015)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이금옥(2009)이 개발하고 이유정(2011)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값,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 연령은 32.29±6.99세로 26세 이상∼31세 미만이 35.0%, 성별은 여자가 95.0%로 많았다. 결혼 상태는 미혼이 58.5%, 종교는 무교가 58.0%, 학력은 학사 졸업이 54.0%,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72.5%로 가장 많았다. 총 근무경력은 평균 8.95±6.43년으로, 3년 이상∼8년 미만이 38.5%로 가장 많았고, 근무부서는 병동이 58.5%로 가장 많았다. 현부서 근무경력은 평균 4.98±4.60년으로 2년 이상∼7년 미만이 41.5%로 가장 많았고, 근무형태는 교대근무가 71.0%로 많았다. 환자안전 교육경험은 평균 2.96±2.33회였으며, 3회 미만이 40.0%로 가장 많았다. 둘째,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의 평균 점수는 2.51±0.43점이며, 하위 영역 중 간호 관리자의 능력·리더십·간호사에 대한 지지가 2.79±0.54점으로 가장 높았고,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이 2.15±0.5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환자안전문화인식의 평균 점수는 3.46±0.49점으로, 하위 영역 중 조직차원의 평균 점수는 3.33±0.59점이었으며 그 중 리더십이 3.46±0.71점으로 가장 높았고 환자안전개선 시스템이 3.20±0.67점으로 가장 낮았다. 부서차원의 평균 점수는 3.54±0.50점이었으며 팀워크가 3.59±0.60점으로 가장 높았고, 비처벌적 환경이 3.49±0.69점으로 가장 낮았다. 개인차원의 평균 점수는 3.46±0.48점이었으며 환자안전 지식/태도가 3.75±0.57점으로 가장 높았고 환자안전 우선순위가 3.18±0.68점으로 가장 낮았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의 평균 점수는 3.79±0.49점으로 하위 영역 중 낙상예방 영역이 4.08±0.7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안전한 환경 영역이 3.43±0.97점으로 가장 낮았다. 셋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환자안전문화인식은 총근무경력(F=4.041, p=.008), 환자안전교육경험(F=3.125, p=.016)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결혼상태(t=-2.589, p=.010), 총 근무경력(F=3.439, p=.01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환자안전문화인식(r=.544, p<.001), 간호근무환경(r=.524,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호근무환경과 환자안전문화인식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530, p<.001). 간호근무환경의 하위영역인 병원운영에 간호사 참여(r=.465, p<.001),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r=.545, p<.001), 간호 관리자의 능력·리더십·간호사에 대한 지지(r=.493, p<.001),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r=.210, p<.003), 간호사와 의사 간 협력(r=.399, p<.001)의 5가지 요인 모두가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환자안전문화인식의 하위영역인 조직차원에서의 리더십(r=.409, p<.001), 환자안전 정책/절차(r=.525, p<.001), 환자안전개선 시스템(r=.542, p<.001), 부서차원에서의 팀워크(r=.467, p<.003), 비처벌적 환경(r=.172, p<.015), 개인차원에서의 환자안전 지식/태도(r=428, p<.001)의 6가지 요인이 환자안전관리활동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섯째,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근무환경 중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β=.312, p<.001), ‘간호 관리자의 능력·리더십·간호사에 대한 지지’(β=.200 p=006), ‘충분한 인력/물질적 지원’(β=-.128, p=.027)과 환자안전문화인식 중 조직차원의 ‘환자안전개선 시스템’(β=.239, p<.001), 개인차원의 ‘환자안전 지식/태도’(β=.142, p=.026)와 일반적 특성의 결혼 상태 중 ‘기혼’(β=.113, p=.039)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인들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설명력은 43.3%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과 환자안전문화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주 용어 : 간호사, 간호근무환경,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관리활동

      • 중소병원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직장생활의 질의 관계에서 수간호사 감성적 리더십의 매개효과

        김옥희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최근 급변하는 보건의료 환경에서 간호 인력난을 겪고 있는 중소병원의 효율적인 간호인력 관리를 위한 전략 및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중소병원 간호사들이 인지하는 근무환경과 직장생활의 질 간의 관계에서 간호사의 심리적 지지를 이끌어낼 수 있는 수간호사의 감성적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자료수집이 시행되었고, 연구 시행에 앞서 Y 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YSUIRB-201812-HR-042-02)을 받고, U광역시 소재의 5개 중소병원에서 근무하고, 임상경력 6개월 이상이며 한 간호단위에서 해당 수간호사와 6개월 이상 같이 근무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하기 위해 서면동의를 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220부를 배부하였고, 최종 21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4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주요변수들의 차이검정은 t-test와 ANOVA와 사후분석으로 Scheffé test를 활용하였다. 주요변수들 간의 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매개효과분석은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분석 절차에 따른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과 Sobel test를 활용하여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연령으로는 20~30세 이하가 49.3%, 성별에서는 여자가 99.1%로 가장 많았다. 결혼 상태는 미혼이 55.9%, 종교는 없음이 66.7%로 가장 많았다. 학력으로는 전문대 졸업이 58.2%, 근무부서는 병동이 46.0%, 급여는 300만원 미만이 69.0%로 가장 많았다. 임상경력에서는 10년 이상이 33.3%, 수간호사와 근무한 경력에서는 2년 이상~5년 미만이 40.8%로 가장 많았다. 2) 수간호사의 감성적 리더십의 전체문항의 평균점수는 5점 척도에서 3.56±0.61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의 평균으로는 자기감성이해 3.62±0.67점, 타인감성 이해 3.56±0.66점, 감성 활용 3.68±0.67점, 감성조절 3.39±0.78점으로 각각 나타났다. 간호근무환경의 전체 문항의 평균 점수는 4점 척도에서 2.46±0.43점이었으며. 하위영역의 평균으로는 병원운영에 간호사 참여 2.32±0.48점,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 2.58±0.44점, 관리자의 능력‧ 리더십‧ 간호사에 대한 지지 2.34±0.57점,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자원 2.58±0.48점, 간호사와 의사 간 협력은 2.53±0.56점이었다. 간호사 직장생활 질의 전체문항의 평균점수는 6점 척도로 3.79±0.45점으로 나타났으며, 각 하위 영역의 평균은 업무 상황 3.58±0.48점, 가정/직장생활을 위한 지지체계 4.95±0.82점, 업무설계 3.68±0.76점, 인력 3.59±0.90점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간호사의 감성적 리더십,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의 차이비교에서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간호근무환경과의 차이 비교에서는 연령 (f=3.680, p=.027)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대상자의 직장생활의 질정도와 수간호사의 감성적 리더십 정도와는 양의 상관관계(r=.619, p<.001), 직장생활의 질정도와 근무환경과도 양의 상관관계(r=.725, p<.001),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수간호사의 감성적 리더십의 관계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580, p<.001). 5) 중소병원 수간호사의 감성적 리더십이 간호근무환경과 간호사의 직장생활의 질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검정한 결과로 첫째단계에서 예측변인인 간호사의 근무환경이 매개변수인 수간호사의 감성적 리더십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β= .580, p<.001).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간호근무환경이 종속변수인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장생활의 질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다(β= .725, p<.001). 마지막 세 번째 단계에서는 간호근무환경과 수간호사의 감성적 리더십을 동시에 투입하였을 때, 간호근무환경(β= .551, p<.001)과 수간호사의 감성적 리더십(β= .300, p<.001)은 간호사의 직장생활의 질을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Sobel 검증을 실시한 결과 Z=4.868,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수간호사의 감성적 리더십은 간호근무환경과 간호사의 직장생활의 질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partial mediating)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최근 우리나라 중소병원의 심각한 인력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간호근무환경 개선과 더불어 감성적 리더십과 같은 수간호사의 리더십이 간호사들의 직장생활의 질 향상에 효과적일 것임을 확인하였다. 주 용어 : 중소병원 간호사, 간호근무환경, 감성적 리더십, 간호사 직장생활의 질

      • 정신병원 간호사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태진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31

        이 연구는 정신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정신질환자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변화를 도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부산, 경남 지역 7곳의 정신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200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7년 3월 28일부터 4월 1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가 보고법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dow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대상자의 인권감수성, 인권의식, 사회적 거리감,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권감수성, 인권의식, 사회적 거리감,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Scheffe’ test로 사후 검증하였다. 대상자의 인권감수성, 인권의식, 사회적 거리감,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인권감수성, 인권의식, 사회적 거리감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인권감수성 정도는 평균 평점 3.69±0.34점이고, 인권의식의 정도는 평균 평점 3.43±0.50점, 사회적 거리감의 정도는 평균 평점 3.54±0.68점이며,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의 정도는 평균 평점 2.51±0.16점이었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권감수성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권의식의 차이는 연령(F=5.312, p=.002), 학력(F=8.666, p<.001), 정신과 경력(F=5.702, p<.001), 최종자격(F=6.762, p<.001), 세계인권선언 및 국제인권협약 인지여부(t=11.056, p=.001) 및 인지정도(t=13.788, p<.001), 근무기관 인권교육 경험 (F=2.992,p=.032), 인권교육 장소(F=3.151, p=.009), 인권교육 필요성(F=10.09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에서 성별(t=4.306, p=.039), 연령(F=3.889, p=.010), 학력(F=4.21,p=.005), 세계인권선언 및 국제인권협약 인지여부(t=8.163,p=.005), 및 인지정도(t=5.152, p=.00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서는 세계인권선언 및 국제인권협약 인지여부(t=10.241, p=.002) 및 인지정도(t=6.591,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연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와 인권감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225, p=.002)를 나타내었고, 인권의식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303, p<.001)를 나타내었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r=-.260, p<.001)를 나타내었으며, 사회적 거리감은 인권의식(r=-.441, p<.001), 인권감수성(r=-.190, p=.009)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4.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권감수성(β=.297, p<.001), 인권의식(β=.251, p<.001), 사회적 거리감(β=-.206, p=.006)으로 나타났다. 이들 요인들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 대한 설명력은 18.3%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인권감수성, 인권의식, 사회적 거리감이 정신병원 간호사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앞으로 인권감수성, 인권의식의 향상과 사회적 거리감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중재로 정신병원 간호사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의 긍정적 변화에 기여 할 것으로 본다.

      • 미용복지 법제화에 관한 연구

        박은진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31

        Recently, people’s expectations for welfare have increased due to economic growth and increased living standards. As a result, the government’s expenditures on public health and social welfare have risen gradually, and social welfare sectors have become more segmented and specialized. Simultaneously, the interest and importance of cosmetolog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human rights, the pursuit of happiness, and cultural life, have increased. Cosmetology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social welfare. However, it lags in terms of the perception of cosmetology welfare and institutional preparedness. To study cosmetology welfare legisl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mong ordinary adults over 20 years of age and experts in cosmetology, social welfare, and law fields. For theoretical research, regarding legislation through the enactment and amendments on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cosmetology welfare, cosmetology welfare-related laws, relationships with social welfare and the legislation of cosmetology welfare, current technical books, precedents, academic papers and journals, and research reports were reviewed and analyzed. Also, various periodicals and statistical data from Statistics Korea,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National Council on Social Ware, and others were analyzed. Data was also acquired through press releases and the Internet website indices. From the empirical research, it was found that people’s awareness of cosmetology welfare was low. However, most understood that cosmetology welfare is helpful and essential for welfare recipients and that it should be provided by professionals and be supervised and managed by the government. In a theoretical study, according to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guarantee on the right of human life under constitutional law, it is found that cosmetology welfare is an essential element and is a fundamental right, but cosmetology welfare-related rules are absent in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and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Therefore, for the legislation of cosmetology welfare, this study proposes a legislation method based on empirical study results and constitutional grounds as follows: First, the amendment of current laws was not a proper option due to problems presented in the legal system and legislative purposes' limitations. Therefore, an unprecedented unique cosmetology welfare legislation plan was proposed. Second, the right of humanity and human life is guaranteed for those who required cosmetology welfare by stipulating basic matters on cosmetology welfare. The professional aspect of cosmetology welfare was enhanced, promoting fairness, transparency, and appropriateness in executing cosmetology welfare.Third,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basic concepts: i)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Cosmetology Welfare Act, which stipulates the improvement of services and cosmetology welfare by establishing a cosmetology welfare system should be met; ii) anyone who needs such cosmetology welfare should be permitted to apply for free and receive services; iii) the cosmetology welfare provider should guarantee the welfare of the recipient’s human rights; iv) the welfare service provider should guarantee the recipient’s right to use cosmetology welfare services. Fourth, this study proposed other matters in addition to the purposes and concepts of the cosmetology welfare law, such as details, targets, and the implementation entity of the cosmetology welfare law and its qualification system,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upervisory agency.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failed to consider the legal grounds by mentioning constitutional grounds and basic rights concerning the legal grounds for the legislation of cosmetology welfare in theoretical research. This paper is required to broaden subjects eligible to be cosmetology welfare recipients such as the disabled, children, and those from low-income families. Therefore, there should be further studies on the enactment and amendment of welfare laws, considering diverse aspects, such as the government's financial conditions and resources. 오늘날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복지에 대한 국민의 기대수준이 높아졌고, 그 결과 국가의 보건ㆍ사회복지 분야의 지출은 점차 확대되어 세분화ㆍ전문화되고 있으며,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및 행복추구ㆍ문화생활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미용에 대하여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복지 분야에서 미용은 현대복지국가의 사회복지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용복지의 인식이나 제도적 준비가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미용복지 법제화에 관한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증적 연구 방법으로, 20세 이상의 일반인 성인남녀와 미용전문가ㆍ사회복지전문가ㆍ법률전문가 등의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론적 연구방법으로, 미용복지의 개념 및 현황, 미용복지 관련 법제 및 사회복지와의 관계, 미용복지 법제화 방안에 대한 법적 근거와 개정 및 제정을 통한 입법방안에 대하여 기존의 전문서적ㆍ판례ㆍ학위논문ㆍ학술지ㆍ연구보고서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통계청ㆍ기획재정부ㆍ보건복지부ㆍ한국사회복지협의회 등의 각종 간행물 및 통계자료를 분석하였고, 언론보도자료 및 인터넷 사이트 색인 등을 참조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미용복지에 대한 인식 자체는 낮은 편이었으나 미용복지가 복지대상자에게 필요한 부분이고, 유용한 서비스라는 점과 미용복지는 전문 인력이 수행해야 하고, 그 교육 및 관리ㆍ감독을 국가가 책임지고 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헌법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에 대한 보장을 실질적으로 해석한다면, 오늘날 사회적 기본권이 실질적기본권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미용복지는 필요한 요소라는 것과 사회복지사업법이나 사회보장기본법에 미용복지 관련 규정이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미용복지 관련 법제화를 위하여 실증적 연구결과와 헌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입법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미용복지 법제화와 관련하여 기존 법률의 개정을 통한 방법은 법체계적인 문제점과 입법 목적의 한계로 인하여 적합한 방법이 아니었기 때문에 독자적인 미용복지 법제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미용복지에 관한 기본적 사항을 규정하여 미용복지를 필요로 하는 사람에 대하여 인간의 존엄성과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보장하고, 미용복지의 전문성을 높이며, 미용복지를 실행함에 있어서의 공정ㆍ투명ㆍ적정을 도모하였다. 셋째, 지역사회복지 중 미용복지체계를 구축하여 서비스의 향상과 미용복지증진에 이바지해야 한다는 ‘미용복지법’의 입법목적과 미용복지를 필요로 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자신의 의사에 따라 서비스를 신청하고 제공받을 수 있게 해야 하고, 미용복지를 제공하는 자는 필요로 하는 사람의 인권을 보장하여야 하며, 미용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는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미용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의 선택권을 보장하여야 한다는 기본이념을 제시하였다. 넷째, 미용복지법안의 목적과 이념 외에 미용복지법안의 내용, 적용대상, 실행주체 및 자격제도, 교육기관 및 감독기관에 대한 사항도 함께 제시하였다. 다만 본 연구의 실증적 연구에서 연구대상을 장애인ㆍ저소득층ㆍ아동 및 요보호자 등 실질적인 미용복지대상자를 포함하여 폭넓게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과 이론적 연구에서 미용복지 법제화 방안에 대한 법적 근거로 헌법적 근거와 기본권적 근거만 제시하고 법률적 근거를 고려하지 못했다는 것이 제한점으로 남는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복지법안의 개정ㆍ제정에 있어서 국가의 재정 상태나 재원 마련 등을 함께 고려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 한국인의 모발색 분석과 헤어컬러 챠트 개발

        이영희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631

        The expression of the desire for beauty starts with expressing colors. In this sense, hair coloring is one way to express personality. This study performed a quantitative analysis on Korean hair colors and classified their types. In addition, it selected twenty-four different colors from three hair dye brands that were most commonly used in domestic beauty salons and prepared a hair color chart by the type of hair col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hairdressers are able to increase customers’ satisfaction with hair coloring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hair coloring services by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intended color sought by hairdressers and customers and the resultant color through proper hair coloring treatment using such color chart. First,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awareness of hair coloring services and the need for a standard hair color chart for Korean hair color among 312 professionals and 303 customers. The results found that both professionals and customers were aware of a problem in hair coloring services. They also confirmed the need for a hair color chart for Korean hair color. Second, the color of new hair for 725 men and women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was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Then, types were class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PSS v. 23.0. With the measured data, a quantitative analysis table for Korean hair colors was prepared and analyzed through K-means clustering based on lightness (L*) values. A total of three clusters were classified as follows: ‘Type I (dark hair color)’, ‘Type II (medium hair color)’, ‘Type III (bright hair color)’. Among them, ‘Type II (medium hair color)’ was the highest with 336 people (46.3%), followed by ‘Type I (dark hair color, 244 people, 33.7%)’ and ‘Type III (bright hair color, 145 people, 20.0%). According to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air color, lightness (L*), redness (a*) and yellowness (b*) were 16.77, 0.57 and 2.39, respectively, in terms of mean values. In terms of gender, women were higher than men in lightness (L*). As the respondents were younger, lightness (L*) increased.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previous studies, three hair dyes most commonly used in beauty salons were chosen (L, W, A). Then, twenty-four representative colors were extra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y were used by Korean hair color type. After that, the resultant color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s a result, ‘L’ brand revealed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color on the conventional dye chart and resultant color. Lightness was also mostly higher than other brands. Along with ‘A’ brand, ‘L’ was great in generating red tones. In terms of color development, ‘orange’ was the best. In fact, a clear difference was even noticeable with the naked eye. In contrast, ‘W’ brand revealed the lowest gap between the conventional dye chart and resultant color. In addition, it revealed weak red colors. When a middle-lightness dye was used, the brand was the highest in bleaching, showing great vividness. ‘A’ brand displayed high-level color in warm colors. In addition, ‘A8.55’ revealed the highest chroma in all types. Compared to other brands, this brand was mostly high in saturation and low in lightness. According to analysis of 72 dye colors under the Munsell color order system in the standard hair color chart for Korean hair colors, red, yellow red and natural colors were mostly distributed in ‘L’ brand, which means that it is effective in generating warm colors. It appears that natural colors are common because basic colors are often added to match with bright background colors, which are preferred by Europeans. In other words, it is convenient in coloring hair in white. In contrast, ‘W’ brand mostly revealed yellow and yellow red colors. In terms of red, a cold red color was created. In violet, reddish violet was found. This brand reveals mid-saturated color distribution. It is advantageous in creating cold colors based on toning up. ‘A’ brand revealed the broadest color distribution with a lot of highly saturated color contents. It uses the lightness standards of virgin hair-level ‘W’ brand hair dye. However, it has made up for ‘W’ brand’s development of warm colors. Fourth, this study prepared a hair color chart according to the standard type of Korean hair color. Based on each brand’s reflected light colors, a color chart was prepared to compare Korean hair color to each brand’s resultant colors. Fifth, to verify the utilization of a hair color char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a total of twenty professionals including beauty salon owners and college professors. The results found that the hair color chart is very useful in practice. It is anticipated that the hair color chart stated in this study would set a standard for future studies, become useful during consultation with customers along with a conventional dye color,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with hair coloring services, and help hairdressers develop their competence and skills. 미(美)적 욕구의 발현은 색을 통해 표현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며 헤어컬러는 모발색 표현을 통해 자신의 개성을 나타내는 한 방법이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모발색을 정량분석하고 그 유형을 분류하여 국내 헤어샵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염모제 브랜드 3사의 24가지 색상을 선정하여 한국인 모발색 유형별로 헤어컬러 챠트를 제작하였다. 이는 향후 실제 헤어샵에서 헤어디자이너가 이 컬러 챠트를 통해 고객의 모발색 유형에 적절한 헤어컬러 시술을 하여 헤어디자이너와 고객이 원하는 목적색과 결과색의 오차를 최소한으로 줄여 헤어컬러링 만족도를 높이고 염색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첫째, 전문가 312명과 일반인 303명을 대상으로 염색서비스 인식도와 한국인 모발색의 표준 헤어컬러 챠트의 필요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일반인과 전문가 모두 현재 헤어컬러링 서비스에 문제점을 느끼고 있으며 한국인 모발색에 적합한 헤어컬러 챠트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 경남 지역의 남녀 총 725명의 신생모의 모발색을 분광측색기로 측정하여 SPSS v. 23.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활용하여 유형을 분류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를 명도(L*-lightness)값을 기준으로 K-평균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한국인 모발색의 정량분석표를 작성, 분석하여 ‘Ⅰ유형(어두운 모발색)’, ‘Ⅱ유형(중간 모발색)’, ‘Ⅲ유형(밝은 모발색)’으로 총 3개 군집의 모발색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Ⅰ유형(어두운 모발색)’이 244명(33.7%)으로 나타났고, ‘Ⅱ유형(중간 모발색)’은 336명(46.3%), ‘Ⅲ유형(밝은 모발색)’이 145명(20.0%)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Ⅱ유형(중간 모발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모발색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전체 한국인 모발색의 L*a*b* 평균값은 명도 L*값이 16.77로 나타났고, 적색도 a*값의 평균은 0.57, 황색도 b*의 평균값은 2.39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적으로 명도(L*-lightness)가 높았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명도(L*-lightness)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설문 조사 결과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미용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염모제 제조사 L, W, A 사 3곳을 선정하여 24개의 대표 색상을 실험군으로 추출하여 한국인 모발색의 유형 별로 염색하여 그 결과색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L사는 기존의 염색 챠트의 색상과 실험 결과색의 차이가 컸으며 명도는 타사에 비하여 대체로 높았다. 또한, A사와 함께 Red(적색)의 발색이 좋았으며 Orange(주황)이 가장 뛰어난 발색력을 보이며 육안으로도 선명한 차이를 보였다. W사는 기존의 염색 챠트와 실험 결과색의 차이가 가장 적었으며 Red(적색)의 발색력이 약하며 중명도 이상의 염모제를 염색한 결과는 탈색력이 가장 높고 색상의 선명함이 뛰어났다. A사는 난색 계열에서 높은 발색력을 보였고 A8.55는 모든 유형에서 가장 채도가 높았다. 타 사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채도와 낮은 명도를 나타냈다. 한국인 모발색의 표준 헤어컬러 챠트 72개의 염색 결과색을 먼셀 색 계열로 분석한 결과, L사는 Red, Yellow Red, Natural 계열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난색의 발색에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atural 계열이 많은 것은 L사의 주고객 층인 유럽인들의 밝은 바탕색에 적합하도록 기본 색상(기여색)이 많이 첨가되어 있다고 유추할 수 있으며 이는 백모염색에 용이하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W사는 Yellow Red, Yellow 계열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Red(적색)이 푸른 적색을 띄며 Violet(보라)는 붉은보라로 발색이 되었다. 중채도의 색 분포를 보이며 톤 업을 기본으로 한색의 발색에 강한 장점을 지니는 것을 알 수 있다. A사는 3사 중 가장 광범위한 색 분포를 보였으며 고채도이며 색소 함량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연모 레벨의 W사 염모제의 명도 기준을 사용하면서도 W사의 단점인 난색의 발색력을 보완한 것으로 보여진다. 넷째, 한국인의 모발색 표준유형에 따른 헤어컬러 챠트를 제작하였다. 제조사별 반사빛 색상을 기준으로 챠트를 제작하여 한국인 모발색 유형과 제조사별 결과색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헤어컬러 챠트의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현재 헤어샵을 운영하고 있는 미용장과 대학교수 등 전문가 20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장에서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헤어컬러 챠트를 통해 후속 연구의 기준을 제시하며 실제 제조사 염색 챠트와 함께 헤어컬러링 서비스 과정에서 유용하게 사용하여 염색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고 헤어디자이너의 역량을 높이는 데에 기여하기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