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종성의 아주대학교 교육연구시설에 나타난 건축적 특징에 관한 연구 : 서구모더니즘의 수용을 중심으로

        임영훈 아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국내 모더니즘의 건축 중 교육연구시설을 통하여 서구 모더니즘이 국내에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이 되었으며, 수용 과정에서 나타난 국내 모더니즘의 독자적인 특징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50년대 6.25의 발발 이후 전후 복구사업 및 1960년대 정부 주도의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시작으로 국내 경제는 고도의 성장을 이룩하게 된다. 이러한 경제적 성장을 바탕으로 1970년대 국내 건축계는 활발한 건축 활동이 일어나게 된다. 시기적 특성과 맞물려 건축환경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새로운 건축방법의 필요성이 국내 건축계에 대두되게, 해외건축학교 출신 건축가들의 국내 귀국을 통하여 이들을 통한 국내 건축 작품 활동이 활발해 지는 시기이다. 서구 모더니즘 건축의 영향 하에서 건축공부를 하고 국내에 귀국하여 건축 활동을 시작한 건축가들을 통하여 국내에는 모더니즘 건축이 꽃피기 시작한다. 즉 국내 모더니즘 건축의 본격적인 태동기이며, 적극적인 수용이 일어나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기적 특성과 맞물려 국내에서는 모더니즘 건축의 독자적 특성이 담론으로 떠오르며 활발히 탐구되고 논의되던 시기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 보편적 모더니즘의 흐름 속에서 국내 모더니즘 건축의 위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여러 작품을 살펴볼 수 있지만, 1970~1980년대 사이에 지어진 국내 교육연구시설을 살펴봄으로서 교육연구시설이라는 제약사항을 지닌 건물들을 통하여 모더니즘 건축의 수용 방식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김종성이 설계한 아주대학교 건물을 중심으로 하여 그가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사무실에서 근무하면서 영향 받았던 부분을 국내에서 어떻게 실현하였는지 살펴봄으로서, 미스의 모더니즘 건축이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통하여 이루어 졌다. 첫째 배경적 고찰로서 시대적 배경 및 건축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국내외 모더니즘 건축의 발전과정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한다. 국내의 1970년대 이후 교육 연구 시설을 중심으로 하여 그 발전 과정 및 특징을 알아본다. 둘째 김종성을 통한 서구모더니즘의 수용과정에 대하여 알아보며, 특히 미스 반 데어 로에를 통한 모더니즘의 수용에 대하여 알아본다. 또한 미스의 계획 및 김종성의 계획을 통하여 이러한 계획들이 추후 교육연구시설에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본다. 셋째 아주대학교 교육연구시설을 통하여 미스 반 데어 로에의 모더니즘이 국내에 어떠한 식으로 수용이 되고 나타났는지에 대하여 알아본다. 특히 각 건물별 특징을 분석하여 어떠한 유사점 및 독창성을 지니는지에 대하여 연구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째, 국내 건축환경의 변화에 대한 촉진 작용이다. 김종성이 미국에서 귀국한 후 철과 유리를 중심으로 한 건축적 재료의 사용으로 인하여 이전까지 콘크리트의 사용에만 머물러 있던 국내 건축의 수준을 한단계 끌어올린 점이다. 둘 째, 모더니즘의 수용에 있어 나타난 독자적인 특징이다. 미스가 공간의 익명성과 유니버셜 스페이스를 강조하였다면, 김종성의 경우 구조적 간결성과 공간구성의 기법은 수용하되, 빛과 관련된 고민과 기둥의 사용방식 및 벽체의 적극적인 사용을 통하여 국내 특유의 수용 과정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셋 째, 루버의 출현이다. 미스의 건축에서 I형 빔을 사용하여 멀리언을 강조하는 작품이 주류를 이루었다면, 김종성은 80년대 이후 자신의 건축에서 루버라는 독자적인 어휘를 만들어 내어 사용함으로서, 미스와는 비슷하지만 조금더 풍부한 입면의 모습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에너지 효율적인 측면에 대한 고심 끝에 나온 결과이기도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대상인 서구모더니즘의 국내 수용과정에 있어서 1세대로 분류될 수 있는 김종성의 연구 이외에도 김종성의 영향아래에서 수학한, 즉 간접적인 모더니즘의 수용을 통하여 국내에 지어진 여러 건축물의 연구를 통하여, 과연 국내의 독자적인 수용이 이루어 졌으며, 이후 어떠한 변화의 과정을 가지게 되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반듯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대학의 에너지사용량 분석 및 에너지절약방안 연구

        최창기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71

        2013년 에너지 관리공단에 2000toe이상 에너지를 소비하는 에너지과소비 업체로 등록되어 신고중인 교육기관이 336개 이르고 있으며 대학의 경우 내부연구 및 교육 등을 위한 요구사항에 따라 건물규모 및 질적 팽창을 거듭하고 있어, 이에 따라 대학의 에너지사용량이 급증하여 건물부분에서도 중요 에너지 소비원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건물의 팽창 및 노후화로 에너지소비가 급격하게 증가되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학은 연구 및 학문분야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중요 일환으로 지역문화를 선도하고 있어 에너지절감 문화 확산을 위하여 지역의 선구자적인 역할을 요구하고 있으며, 아주대학교의 경우 수원시와의 협약을 통하여 그린캠퍼스 조성사업을 추진하면서 교내 에너지 절약문화 확산에 이바지 하고 있다. 최근 아주대학교는 건물수요 증대가 에너지 소비량이 급격히 증대되고 있어 연간 2013년 기준 에너지사용량 6,153toe, 에너지 사용금액 36.6억원 정도 소비하였으며, 최근 가스냉난방 설비의 증가로 가스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단위면적당 에너지밀도는 0.029toe/㎡로 결코 적지 않은 수치이며, 전력부분 : 가스부분의 사용비율은 73:67 정도로 가스부분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여름철의 개별냉방 기기사용으로 피크전력이 급증하고 겨울철에 난방기기로 인한 가스사용량이 급증하는 패턴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향후 목표관리제도 적용에 대비하고 자체 에너지사용량의 증가 억제를 통하여 에너지비용 상승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아주대학교에 적용이 가능한 노후시설개선 및 에너지절약 설비 설치로 LED램프 교체, 강의실 시스템에어컨, 태양광 및 태양열 설비, 노후보일러 교체, EMS 도입, 고효율변압기 설치, 전자경비 연동 제어설비, 흡수식 냉난방시스템 펌프 인버터 기동방식 적용 등등으로 전기에너지 절감량 844 MWh/년(약 4.03%/2013년 대비) 가스 사용량은 65,628 (약 3.9%/2013년 대비)절감하여 총 에너지 절감 250 toe/년, 온실가스배출량 141.6 tc/년 정도 감축 될 것으로 예측되고, 총 사업비는 약 16억원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산 배정의 어려움과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사업이니 만큼 경제성이 우수한 부분부터 연차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진로교육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동조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취업 전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진로교육이 직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남녀 모두 3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년 9월 15일부터 10월 5일까지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49부를 제외한 총 345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변수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를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진로교육, 그리고 직업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와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진로교육과 직업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을 실시하였고,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대학진로교육 및 직업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진로준비행동은 연령이 적을수록,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직장인이 2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직장인보다, 구직활동을 21회 이상 한 대상자들이, 대학 재학 시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이수한 적이 있는 대상자가 높았다. 진로준비행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기업채용 설명회 및 박람회 중요성에 대해서는 남자 직장인이 높은 인식을 보였고, 연령에 따라 자격증 관련 특강 중요성에 대해서는 31∼35세인 직장인이, 취업동아리 활동 중요성에 대해서는 31∼35세인 직장인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다. 진로관련 교과목 수강 중요성에 대해서는 대학 재학 시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이수한 직장인이 그렇지 않은 직장인보다 높은 인식을 보였다. 대학진로교육 정도에서는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직장인이 2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직장인보다 높았으며, 대학 재학 시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 이수 여부에 따른 인프라 만족도는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이수하지 않은 학생이, 교육과정 만족도는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이 높았다. 직업만족도는 고용의 안정성, 직무내용, 근무내용, 일하는 시간, 그리고 개인의 발전 가능성, 사회적 평판 만족도 등은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한 직장인이 높았다. 대학 재학 시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 이수 여부에 따른 직업만족도는 전체적으로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을 이수한 직장인이 그렇지 않은 직장인보다 높았다. 둘째, 진로준비행동, 대학진로교육, 직업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진로준비행동은 인프라 만족도 및 교육과정 만족도, 대학진로교육, 그리고 직업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육과정 만족도는 대학진로교육 및 직업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직장인들은 진로준비행동이 높을수록 인프라 만족도와 교육과정 만족도, 대학진로교육, 그리고 직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프라 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육과정 만족도와 대학진로교육, 그리고 직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진로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진로교육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직업만족도에는 진로준비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직장인들은 진로준비행동이 높을수록 직업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대학 재학 시 진로교육 정도가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인프라 만족도와 교육과정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직장인들은 대학 재학 시 인프라 만족도와 교육과정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직장인들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준비행동과 대학 재학 시 진로교육 만족도 중 인프라 만족도, 그리고 교육과정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 중학교 수학 영재아의 판별 및 선발 절차에 관한 사례연구

        이종숙 아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5

        중학교 수학 영재아의 판별 및 선발 절차에 관한 사례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수학교육전공 이 종 숙 (지도교수: 방 승 진) (국문초록) 급격히 변화하는 정보화 사회, 세계화 사회의 도래는 독창성이 뛰어난 고급 두뇌의 인재를 교육하는 것이 국제 경쟁을 이겨내는 첩경이라는 사회적 인식을 점차 확산시키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요구에 대처하기 위해 최근 세계 각국에서는 고급 인적자원의 개발만이 국가 발전의 주요 수단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행․재정적 지원을 받아 다양한 방법으로 영재교육을 추진 중이다. 지금까지 많은 전문가들에 의하여 영재의 판별 및 선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어느 정도 영재교육정책이 자리잡아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영재교육이 양적․질적으로 팽창하는 현재의 시점에서 여러 영재 교육기관의 현행 판별 및 선발 절차 사례들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판별 및 선발 사례들을 살펴본 결과, 과거에는 특정한 공간과 일반적 지능영역에서 국한된 영재를 판별하였으나 영재에 대한 개념의 확장과 아울러 특정 과목에서 특정 변인에 따라 다르게 반응한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그 판별의 대상․방식․선발절차가 다양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확장성 있는 병렬 I/O VoD 서버의 설계 및 구현

        김주훈 亞洲大學校 情報通信 專門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655

        컴퓨터 하드웨어의 발달로 고속 네트워킹과 대용량 저장 장치가 가능해 지면서 기존의 단순계산 데이터가 아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조작하는 기술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 기술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것이 VoD서버 처리기술이다. 기존 VoD서버에서는 데이터의 분산 및 버퍼 구조 또는 병렬 I/O를 통하여 해결하려는 노력이 있어 왔다. 그러나 기존 VoD서 버들은 서비스 상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서비스를 하기 위 한 시스템의 한계성과 경제성 이 문제가 되어 왔다. 아주대학교에서 제시한 VoD서버 모델을 기초로 하여 기존에 개발되었던 시스템의 문제점을 밝히고 이것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해결책을 기존 아주대학교 VoD시스템에 적용하여 보다 나은 성능을 발휘하게 되었다 특히 시스템의 균등한 서비스를 위한 쪽에 대한 성능개선을 이루었으며 병렬 I/O VoD서버에 대한 성능 및 특성을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환경을 통하여 아주대학교에서 제안한 PASS(parallel and scalable VoD server)모델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 능력을 높일 수 있는 확장성을 가졌음을 밝혔다. As the high-speed networking and the large scale storage were invented y the development of computer hardware systems, the technology of managing multimedia data is more needed than that of simple calculating data. And the representative of the multimedia technology is VoD Server. A great deal of effort have gone into the project to solve he problem in the processing by distribution of data and buffer architecture or parallel I/O but the existing VoD servers simply could not overstep the limits in service. Especially the limits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system for supplying services left much to be desired. Finally we made the problems of existing system clear in the basis of VoD Server models which are presented by ajou university. and suggested the solution for them and the solutions were applied to existing VoD system in ajou university and proved to be more efficient. Especially we succeeded in sharing more balanced services in system and established more favorable conditions for researching the efficiency and peculiarity of parallel I/O VoD server. and we proved through these conditions that the PASS model has the "scalability" which can adjust the capacity for service to higher level at users demands.

      • 대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진로관련 자기 확신의 중재효과

        박소영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대학교 저학년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진로관련 자기 확신이 중재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관계가 있는가? 둘째,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 진로관련 자기 확신이 중재효과를 보이는가?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3개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20세 미만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2명의 결과를 SPS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상관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 진로관련 자기 확신,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한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과 진로관련 자기 확신,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정적 상관관계(r=.30)를 보였고, 자기효능감과 진로관련 자기 확신 간에 정적 상관관계(r=.50)를 보였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관련 자기 확신의 중재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이는데 진로관련 자기 확신이 높을수록 그 양상이 두드러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 높다고 해서 진로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나지는 않는다는 선행연구(이미진, 2013; 이종찬, 2013)에 기반을 두고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제3의 변인을 탐색해 보는데 그 의미가 있다. 연구 결과, 진로관련 자기 확신이 높을 때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으로 더 많이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대학교 저학년들의 진로준비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과 함께 진로관련 자기 확신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할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 아주대학교 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이은규 아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5

        대학도서관을 둘러싼 대내외적 환경의 변화는 도서관 서비스의 품질과 이용자 만족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기준 마련의 필요성을 더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북미를 비롯한 세계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LibQUAL+ 모형을 국내 대학도서관에 적용한 것으로 LibQUAL+ 모형의 서비스 품질 3개 차원, 즉 서비스 배려, 정보자율성, 도서관의 공간성에 온라인 서비스를 추가하여 구성한 4개 차원의 서비스 품질 평가 항목을 이용해 아주대학교 중앙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였다. 또한 서비스 품질이 총체적인 도서관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도서관의 유용성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서비스 배려, 도서관의 공간성, 정보자율성, 온라인 서비스 순으로 4개의 서비스 품질 차원이 모두 총체적인 도서관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서비스 품질이 좋을수록 도서관에 대한 이용 만족도가 높다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총체적인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높을수록 도서관의 유용성 평가를 긍정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각의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항목에 대한 최소 수준(minimally acceptable service), 본교 도서관 서비스의 현행수준(perceived service), 희망 수준(desired service)의 응답 분석을 통해 신분 유형별로 각각의 품질 차원에 대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총체적인 도서관 이용 만족도와 도서관 유용성 평가 또한 신분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교수와 직원 그리고 학부생과 대학원생 두 그룹으로 나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도서관 서비스의 품질과 도서관 이용 만족도 그리고 도서관 유용성 평가의 연관성을 밝힌 것으로 대학도서관 경영자에게 실질적이고 실행 가능한 서비스 품질 관리 방안 및 인적 물적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반면에 LibQUAL+ 모형을 국내 환경에 맞게 응용하려는 노력 부족, 표본 부족, 변수 구성의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과 함께 국가 차원의 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모형 개발이 없는 상황에서 LibQUAL+ 모형의 국내 대학도서관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자들의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적응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김재은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에 유입되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겪고 있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를 조사하고, 외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 현 진행 외국인 유학생 적응 프로그램의 만족도, 효과성평가, 제공 가능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 중요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외국인 유학생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들의 국내 대학 적응을 돕기 위한 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으로 문화적응 이론, 다문화교육의 발달 및 역사적 배경, 다문화 인성 발달론, 다문화 교육 모형 등에 대하여 검토하고 외국인 유학생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검토, 정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을 다루었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는 어느 정도이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현 진행 외국인 유학생 적응 프로그램의 만족도, 효과성은 어느 정도이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대학에서 제공 가능한 외국인 유학생 적응 프로그램의 필요성, 중요도는 어느 정도 이며, 이에 영향을 끼치는 일반적 특성은 무엇인가? 또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선호하고 필요로 하는 적응 프로그램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소재 아주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총 1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기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설문지는 분석목적에 따라 신뢰도 분석, 기술 통계분석, 일원분산분석, Tukey 사후분석법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주대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평균 2.44로 보통보다 낮은 수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 7개의 하위요인에 대하여서는 향수병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순위로는 지각된 미워함, 사회적 고립, 의사소통의 어려움등과 같은 기타요인으로 나타났다.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재정지원, 체류기간, 체류계획 및 한국어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현 진행 외국인 학생 적응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효과성을 종합 분석하면,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효과성이 보통수준보다 높게 나타나, 현 진행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하며, 프로그램 참여가 대학생활 적응을 유용하게 한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프로그램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학업목적에서만 차이를 보여 대학원 과정생들이 어학연수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고, 프로그램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은 없었으나, 프로그램 효과성의 평균이 보통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미루어,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상관없이 외국인 학생 적응 프로그램은 효과적이고, 프로그램에 참가할수록 대학적응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대학에서 제공 가능한 외국인 학생 적응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하여서 보통 수준이상으로 매우 중요하고,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이러한 적응 프로그램 대학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체류유형별로는 대학원 과정 학생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외국인 학생 적응 프로그램 제공에 있어 차이를 나타내거나 경향성을 보인 일반적 특성으로는 성별, 학업목적, 유학경험이나 해외경험의 유무 이었다. 제공 가능한 프로그램 필요성에 있어서는,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한국문화 유적지 방문 프로그램, 직업상담 프로그램, 재정지원 프로그램, 또래 멘토링 프로그램의 순위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어교육, 문화유적지, 직업상담, 재정지원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 및 요구도에 있어 대학원과정 학생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현 시점에서 오리엔테이션 등의 단순한 정보전달을 위한 프로그램 이외의 보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심도 있는 외국인 학생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들의 한국문화 적응을 돕는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며, 이는 대학의 국제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볼 때, 외국인 유학생의 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서는 이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 일반적 특성, 적응 프로그램의 유형 등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프로그램을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이중문화적 혹은 다중 문화적 소양을 함양한 인력개발도 반드시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다문화적 관점에서 외국인 학생 적응 프로그램은 비단 적응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일 뿐만 아니라, 요즘같이 국제화 되어가는 시대에 다문화적 기술을 습득하여 개인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써, 외국인을 주로 교육하는 국제대학원, 국제학부등의 교과과정에 포함 되어져 제공되어야 할 것이며, 다문화 교육적 관점에서 적응 프로그램은, 외국인 학생들뿐만 아니라, 우리문화와의 차이를 인정하고, 타 문화의 문화편견해소등을 위한 한국 학생들 및 대학 내 구성원들을 위하여도 반드시 필요한 교육이며, 대학이 지향하는 국제화를 위하여서 반드시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외국인 유학생, 문화적응 스트레스, 외국인 유학생 적응 프로그램, 국제화, 다문화교육

      • 대학도서관 학부생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박한나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도서관 학부생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을 측정하고, 학부생의 도서관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네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연구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개인의 능력은 도서관불안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도서관과 관련된 경험은 도서관불안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도서관의 이용 행태는 도서관불안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도서관 만족도는 도서관불안에 영향을 미치는가? 로 구성하였다.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경기도에 있는 4년제 A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312부의 유효자료를 바탕으로 「SPSS 18.0 for Windows」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증, ANOVA 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독립변수인 인구통계학적 변수, 개인의 능력, 도서관 관련 경험, 도서관 이용 행태, 도서관 서비스 만족도와 종속 변수인 도서관불안과의 인과 관계를 확인하고자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생이 지각하는 다양한 개인의 능력 중에서는 컴퓨터 활용 능력만이 도서관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서관관련 경험 중에서 도서관 이용 교육과 정보 활용 교육을 받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중다회귀분석에서는 도서관 근로 경험만이 도서관불안을 낮추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셋째, 도서관 이용 행태 중에서 도서관 방문 목적에 따른 도서관 이용이나 중·고등학교 재학 중의 학교 도서관 이용 경험은 학부생의 도서관불안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아니었고, 현재 도서관의 이용 빈도가 도서관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도서관 서비스 만족도는 정보자원, 직원, 시설에 대한 각각의 만족도가 모두 도서관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과 평가가 이용자의 도서관불안을 낮출 수 있는 주요한 요소임이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국내 대학도서관을 이용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도서관불안을 측정하고, 개인의 능력, 도서관관련 경험, 도서관 이용 행태, 도서관 서비스 만족도가 학부생의 도서관불안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요인을 밝혀냈다는 것이다. 둘째, 학부생의 도서관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요인을 밝힘으로써 도서관 현장에서 도서관불안 해소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근거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국내 4년제 대학도서관의 학부생 이용자 및 학부생 이외의 대학도서관 이용자 그룹으로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인 도서관불안 영향 요인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영향요인

        윤주희 아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 국문요약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대인관계능력 및 임상실습스트레스 정도를 확인하고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5년 8월 27일부터 9월 17일까지 경기도 A대학과 충청도 B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재학생 192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감성지능은 Wong과 Law(2002)가 개발하고 최지현(2010)이 번안한 감성지능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대인관계능력은 Schlein과 Guerney(1971)가 개발하고 문선모(1980)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을 전석균(1994)이 수정한 대인관계변화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임상실습스트레스는 황성자(2002)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임상실습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 후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은 평균 5.26점(±0.70)이며, 대인관계능력은 평균 3.78점(±0.47), 임상실습스트레스는 평균 3.41점(±0.61)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종교, 간호학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실습시간의 만족도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요인으로 종교가 없는 군, 전공만족이 불만족인 군, 임상실습과 임상실습시간이 불만족인 군에서 임상실습스트레스가 높았다. 3. 감성지능, 대인관계능력 및 임상실습스트레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은 양의 상관관계, 임상실습스트레스와 감성지능 및 대인관계능력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성지능이었다. 결론적으로 회귀분석결과 모형 내 다른 요인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감성지능은 임상실습스트레스의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나 임상실습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감성지능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추후 감성지능을 높이고 활용할 수 있도록 감성지능향상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연구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핵심어: 간호대학생, 감성지능, 대인관계능력, 임상실습스트레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