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성 성인학습자의 시민교육 참여 동기가 지역공동체 의식 형성과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영선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여성의 시민교육 참여 동기요인이 지역공동체 의식과 정치효능감에 미치는지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지역공동체의식과 정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여성 성인학습자의 시민교육 참여 동기가 지역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셋째, 여성 성인학습자의 시민교육 참여 동기가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30대 이상 여성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300부의 오프라인 설문과 온라인 설문을 실시했다. 총 248개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고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 개인배경에 따른 지역공동체 의식은 연령과 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기혼자와 전업주부, 프리랜서가 높게 나타났고, 시민교육 학습기관 유형별로는 시민단체에서 학습하거나 현재 활동 중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정치효능감은 학력이 높을수록 내적정치효능감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둘째, 시민교육 참여 동기는 지역공동체 의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참요동기 하위요인인 사회적 목적과 사회복지 목적에 대한 요구가 높을수록 상대적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시민교육 참여 동기와 정치효능감에 전반적인 유의결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참여 동기 하위 요인인 개인적 목적, 자아실현 목적이 높을수록 내적 정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났고, 개인적 목적과 사회복지 목적이 높을수록 외적 정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여성 성인학습자들은 자신의 삶의 질 향상과 복지향상에 대한 요구를 가지고 교육에 참여한다. 이러한 목적의식은 학습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거나 대면관계가 쉬운 학습공동체의 경우에 구성원간의 공유된 의식이 높아지며 상호영향의식이 함께 높아진다. 여성이 집합체로써 갖는 지역공동체 의식은 지역 사회에 참여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민주적인 의사결정의 문화와 체계를 만들어가는 구성원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여성 개인의 정치적 행동이 정치과정에 영항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신념과 이를 통한 사회변화가 가능하다는 믿음이 강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male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civic education on their community consciousness and political efficacy, and the following research items are set up for the study. First, the differences i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political efficac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re examined. Second, the effect of female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civic education on the community consciousness is ascertained. Third, the effect of female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civic education on political efficacy is examin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has been conducted both offline and online for 300 female adult learners who are over 30 years old. A total of 248 valid responses were obtained and a t-test and one way ANOVA have been perform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consciousness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personal background turned out to be higher with older age and higher education level and it was higher in people who are married, full-time housewives, or freelancers. And it also turned out to be higher in case of people studying in civic organizations or presently active in that area when examined according to the types of civic education learning institutions. In terms of political 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internal political efficacy with higher education level.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ty consciousness for different participation motivations in civic education, and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demand for social purpose and social welfare purpose, which ar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the higher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was. Third, overall, there was no significant result in relation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ivic education to political efficacy, but it turned out that the higher the personal purpose and self-realization purpose, which ar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the higher the significance of effect was on internal political efficacy, whereas the higher the personal purpose and social welfare purpose, the higher the significance of effect was on external political efficacy.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Female adult learners participate in education with the dem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fe and welfare. With such a sense of purpose, the shared consciousness among the members becomes higher in case of learning communities where it is easy to access studies or to meet other people face to face, and the consciousness of mutual influence increases accordingly. The community consciousness that the female members of the society have as a collective body can mean that they are indeed members who formulate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culture and system while exercising their influence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Furthermore, it can be said the belief that the political behavior of an individual female can affect the political process and the belief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ociety through the participation are gaining strength.

      • 놀이중심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보육교사의 교육요구분석

        정선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s to confirm what implementation capacity childcare teachers should be endowed with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play-based education curriculum and to analyze how the educational needs of childcare teachers are. Accordingly, a self-evaluation research tool of implementation capacity of a childcare teacher’s play-based education curriculum was used and the demand survey targeting 228 child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analyzed the order of priority by using matching sample t-verification,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hildcare teachers are confirmed as the largest behavioral indication in difference of importance level fo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order to use the local community support and support system (public institutions, experience centers, executive directors etc) in terms of implementation capacity of play-based education curriculum. Secondly, 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play-based education curriculum, it was confirmed as the top priority for teacher education demand of ‘play materials and the support of play space.’ It can be seen that childcare teachers fully understand the role of teacher as the play supporter in the implementation of play-based education curriculum and they recognize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for this. Thirdly, although childcare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role of play supporter, the order of demand priority for teacher education was confirmed in terms of progressing play in play materials, the support of play spac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e operation of democratic classroom, the support of play situation, the joint participation of play rather than infants and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play, respec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trospection and reflection, and the theatrical part of observation record.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educational demand analysi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play-based education curriculum, childcare teachers should establish the teacher training schedule by prioritizing play materials, space support, the operation of democratic class, communication, cooperation, the support of play situation, the participation of play community, observation and record. 본 연구에서는 놀이중심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하여 보육교사가 어떤 실행역량을 갖추어야 되는지를 확인하고, 보육교사의 교육요구는 어떠한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따라, ‘보육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역량의 자기평가 연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서울과 경기 지역의 보육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과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를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역량에 있어서 지역사회 지원 및 지원체계(공공기관, 체험관, 전무가 등)활용을 위해 소통과 협력에 대해 현재수준과 중요수준의 차이가 가장 큰 행동지표로 확인되었다. 둘째, 보육교사가 놀이중심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놀이자료 및 놀이공간의 지원’의 교사교육 요구 최우선순위로 확인되었다. 보육교사는 놀이중심교육과정의 실행에 있어 놀이지원자인 교사의 역할을 충분히 이해하고, 이를 위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는 놀이지원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교사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영유아의 놀이이해와 영유아의 존중, 성찰과 반영, 관찰기록의 이론적 부분보다는 놀이자료 및 놀이공간의 지원, 소통과 협력, 민주적 교실운영, 놀이상황지원, 놀이공동참여로 놀이를 진행하는 면에서 교사교육의 우선요구순위가 확인되었다. 향후. 이러한 교육요구분석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보육교사가 놀이중심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해서 놀이자료 및 공간 지원, 민주적 교실운영, 소통과 협력, 놀이상황지원, 놀이공동체 참여, 관찰과 기록을 우선순위로 교사연수계획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 교육복지 대상 중학생의 진로 교육 프로그램 참여경험 탐색

        안미숙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education welfare subject middle school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theme. The research theme is “what is participation experience of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ducation welfare subject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is study selected 8 middle and high school boys and girls who participated in career education program.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data, and repeated comparison analyzes were conducted. The interviewed data were analyzed to derive concepts, subcategories, and top categories. The top category is 'I myself do not want to change, myself starting to accept and attitude to start the future'. The subcategories are 'daily life without work, being dragged, career that is not related to me, accepting comfortably, what is helped to me, what I want, the career that I found, what I want to do and for my fu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ducation welfare subject middle school studen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of 'I do not want to change myself and I start to accept it'. Second,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showed 'the attitude to start the future' in the desired career education program.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subject to educational welfare do not receive encouragement and support from home after school. The researcher prepared a career education program on behalf of the family to take care of their emotional state, provided discipline and information, improved emotional support and self-esteem, and prepar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hem to see their future.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are as follow. First,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career education program are divided in two categories: 'I do not want to change myself' and 'myself starting to accept'. In the category of 'I do not want to change' (experience),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ressed the reality that they lived outside the school without care of both parents after school. The fact that they were sent out as educational welfare institutions from home means a lack of parental attention and adequate discipline. In the category of 'Myself starting to accept' (psychological change), educational welfare subject middle school students are in school but they are not interested in teachers or students and are in a state of being inappropriate for school life due to alienation, but they showed implication in encouragement, recognition and support through career education program. Second, it appeared as a category of 'preparing for the future'. The education welfare subject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aspects from general students' life style needed differentiated career information only for themselves as they deviated from the interest of teachers in school. For them, the experience of career education program must be an opportunity to acquire various career and college information after graduation from middle school rather than experience learning aspect in career development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ecific career educ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welfare and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in the education welfare subject middle school students targeted for educational welfare. Also,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close relation between career and learn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and differentiated career and college entrance information for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교육복지 대상 중학생들의 참여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이를 확인 하였다. 연구문제는 교육복지 대상 중학생들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육복지 대상 중학생 1, 2학년 남녀학생 8명을 선정하였다. 심층적으로 인터뷰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반복적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인터뷰한 자료를 분석하여 개념, 하위범주,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상위범주로는 ‘변화하기 싫은 나 자신, 받아들이기 시작하는 나, 미래를 시작하는 자세’이다. 하위범주는 ‘할 일없는 일상, 이끌려옴, 나와 상관없는 진로, 편안하게 받아들이게 됨, 자신에게 도움이 된 것, 자신이 원하는 것, 발견한 자신의 진로, 내가 하고 싶은 것, 나의 미래를 위해’로 요약되었다. 분석한 결과 교육복지대상 중학생들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참여경험은 첫째, ‘변화하기 싫은 나 자신과, 받아들이기 시작하는 나‘라는 두 가지 특징이 있다. 둘째, 진로교육 프로그램 참여한 교육복지 대상 중학생들이 원하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에는 ‘미래를 준비하는 자세’로 나타났다. 교육복지 대상 중학생들은 방과 후 가정에서 격려와 지지를 받지 못한다. 본 연구자는 가정을 대신해서 이들의 정서 상태를 돌봐주고 훈육 및 정보제공, 정서지지 및 자존감 향상, 그리고 자신의 미래를 바라볼 수 있도록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을 탐색해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진로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변화하기 싫은 나 자신’과 ‘받아들이기 시작하는 나‘ 라는 두 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변화하기 싫은 나 자신’의 범주(경험)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방과 후 양 부모의 부재와 돌봄이 없이 학교 밖에서 생활 하는 것이 현실임을 표출한 것이다. 이들이 가정에서 교육복지 기관으로 내 보내어진다는 것은 부모의 관심과 적절한 훈육의 결핍을 의미한다. ‘받아들이기 시작하는 나’의 범주(심리적 변화)에서는 교육복지 대상 중학생들이 학교 안에 있지만 교사나 학생들의 관심 대상이 아니며 소외되어 학교생활에 부적응 상태에 있으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격려, 인정, 지지 받는 것에 의미를 두고 있다. 둘째, ‘미래를 준비하는 자세’의 범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학생과 생활면에서 다른 양상이 있는 교육복지 대상 중학생의 진로는 학교에서도 교사들의 관심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이들만을 위한 차별화된 진로정보가 필요하였다. 이들에게 있어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경험은 진로탐색이라는 중학생시기의 진로발달 과정에 있어서 경험학습 측면보다는 중학교 졸업 후 다양한 진로, 진학정보 습득의 기회이어야 한다. 따라서 교육복지 대상 중학생의 진로교육 과정에 있어서 교육복지의 특성과 그에 따른 진로교육의 방향에 대해 구체적인 진로교육이 필요하며 진로와 학습이 밀접한 관련성에 대한 인식 또한 필요하다. 더불어 이들에게 있어서 체계적이고 차별화된 진로 및 진학정보에 대한 진로교육이 필요하다.

      • 예술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적 가정환경과 가족건강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조희연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heck the effect of art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n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family strengths improvement. The effect was checked by setting up the 2 following study problems to this end. First, is art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creative home environment? Second, is art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family strength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4 persons in 10 families living in Y district of Seoul & having children in kindergarten & low grader of primary school(7 years old∼2nd grader in the primary school). For anterior test before experiment, the homogeneity between groups was checked by implementing creative home environment test (Sung Eun Hyun, Kaufman, 2012) and Korean-type family strengths scale Ⅱ(KFSS-Ⅱ) developed and revised by Yoo Yeong Ju, et al(2013). Art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reconstructed by researcher was applied to experiment group so that families having children in kindergarten & low grader of primary school may cooperate to creatively solve problems on the basis of arts based convergence program(Chae Hyun Gyeong, et al, 2012) of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Musical activity mainly integrated of singing songs, music appreciation, playing musical instrument, etc was applied to control group. Experiment was implemented in 12 classes for 6 weeks from October 19 to November 23, 2016. Posterior test utilized creative home environment and Korean-type family strengths test Ⅱ(KFSS-Ⅱ), the tools same to those of anterior test. For data processing, SPSS 22.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t-test in ordre to verify the effect of program by checking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experiment group to which art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has improvement effect in creative & intellectual stimulus in the creative home environment compared to control group to which thematic integrated musical activity was applied. Second, it is found that experiment group to which art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has significant improvement effect in all subordinate factors of family strengths such as family elasticity, mutual respect and reception, qualitative solidarity, economic well-being, family culture and social participation compared to control group. As stated above, this study verified that art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designed for family to attempt creative artistic expression and to creatively experience solving problem with diverse convergence activities through cooperation is more effective in creative intellectual stimulus and improvement of family strengths compared to the existing thematic integrated musical activities such as singing songs, music appreciation, playing musical instrument, etc. Thus, it is suggested that creative art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family needs to be broadly developed & propagated so that family members may merrily participate and cooperate to creatively solve problem for making creative home environment atmosphere and improving family strengths. 본 연구는 예술융합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적 가정환경과 가족건강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예술융합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적 가정환경 향상에 효과적인가? 둘째, 예술융합교육 프로그램은 가족건강성 향상에 효과적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Y구에 거주하는 유아에서 초등 저학년(7세∼초등 2학년)의 자녀를 둔 10팀의 가족, 총 34명이다. 실험 전 사전검사로 창의적 가정환경 검사(성은현, Kaufman, 2012)와 유영주 외(2013)가 개발․수정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검사Ⅱ(KFSS-Ⅱ)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 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예술중심 융합프로그램(채현경 외, 2012)을 바탕으로 유아와 초등 저학년 자녀를 둔 가족이 함께 협력해 창의적 문제해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자가 재구성한 예술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통제집단은 기존의 노래 부르기와 음악 감상, 악기연주 등을 주제중심으로 통합한 음악 활동을 적용하였다. 실험은 2016년 10월 19일부터 11월 23일까지 6주간 총12차시에 걸쳐 실시하였고 사후검사는 사전검사와 동일한 도구인 창의적 가정환경과 한국형 가족건강성 검사Ⅱ(KFSS-Ⅱ)를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해 t-test를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주제중심 통합음악활동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창의적 가정환경 중 창의적 지적 자극에 향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가족건강성의 모든 하위요소인 가족탄력성, 상호존중과 수용, 질적 유대감, 경제적 안녕, 가족문화와 사회참여에서 유의미한 향상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가족과 함께 협력해 창의적으로 예술적 표현을 시도해보고 다양한 융합 활동을 통해 창의적으로 문제해결을 경험해보도록 설계한 예술융합교육 프로그램이 단순히 노래 부르기나 음악 감상, 악기연주 등과 같은 기존의 주제중심 통합음악활동에 비해 창의적 지적자극과 가족건강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적인 가정환경 분위기 조성 및 가족건강성 향상을 위해 향후 가족구성원들이 즐겁게 참여하고 협력해 창의적인 문제해결을 시도해볼 수 있는 가족 대상의 창의적 예술융합교육 프로그램을 폭넓게 개발하고 보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

        김나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 김나리 평생교육·HRD전공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를 연구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원 학습경험 과정이 경력전환에 미치는 의미는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기술하고 분석하였고 연구참여자는 의도적 표집 방법과 눈덩이 표집 방법으로 8명을 선정하였으며, 대면·비대면 인터뷰를 2회 실시하였다. 인터뷰 전에 연구목적, 연구주제를 참여자들에게 설명하였으며 참여와 인터뷰 녹음에 대한 동의를 받고 녹음을 진행하였다. 녹취록 작성 후 개방 코딩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코딩을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는 첫째, 업무와 자신의 변화 필요성을 느낌, 둘째, 새로운 커리어를 추구함, 셋째, 현재 업무의 전문성을 키우기 바람, 넷째, 현재 업무에 도움을 얻고싶음 이렇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중년여성들은 엄마이자 아내이고 딸이며 며느리 역할을 하는 가정과 현재의 업무와 관련된 사회적 위치에서의 역할, 그리고 학업의 병행에 어려움을 겪었다. 신체적 노화에 따른 체력의 한계와 시간의 제약도 힘든 점이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비대면 수업 등으로 참여자들은 대학원 적응이 힘들었지만 동기들, 교수와의 새로운 관계 맺음 속에서 학습 외적으로도 도움을 주고받으며 변화하는 자신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가족과 지인들의 지지 속에서 학업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 중년여성들이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가족의 지지와 학교의 교수자, 동기들과의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중년여성들에게 대학원 과제와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은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이었고 업무와 실생활에 적용하면서 그 힘듦이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참여자들은 대학원 졸업 후 석사학위라는 타이틀과 전공 관련 자격증 취득으로 외부로부터의 인정, 본인의 높은 자신감 등을 기대한다. 강의 속 이론적으로 깊이 있는 내용뿐만 아니라 학습 준비과정에서의 역량 강화는 현실 지향적인 중년여성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참여자들은 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졸업 후 경력전환을 고려하거나 현 업무를 유지함을 고려하고 있다. 여기에서 초기의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가 바뀌어지기도 했다. 참여자들은 전문성을 더 키우고 깊이 있는 배움을 위해 박사과정 진학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현재 업무를 유지하면서 분야와 대상의 확장을 계획하기도 하며, 취득한 자격증으로 새로운 곳으로 취업도 준비중이다. ABSTRACT The Meaning of Middle-aged Women’s Graduate school Learning Experience on Career Transition Process Kim, Na Ri Major of Lifelong Education & H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the career transformation proces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what are the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graduate courses? Second, how is the learning experience in graduate school?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process on career transformation? Qualitative research was implemented for this study and the 8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contact & non-contact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twice.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purpose and subjects of the study to the participants before the interview, and the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y and record of the interview. The data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after the recorded tape is made,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rawn from the coding. First of all, the motives of middle-aged women were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related to the current career, necessity of current work's expansion, and seeking for a stable career. Middle-age women have been struggling with the gap between the family role as a mother, wife, daughter, and daughter-in-law and their role in the social position related to their current careers. They have had to take these roles while pursuing their studies. physical limits and restricted time became another difficulty.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y felt difficulty to adapting to the non-contact lectures in the exceptional situation called 'pandemic'. However, they answered that they felt a change from the new relationship with the class of the same semester and professors as well as their help. The support from family also helped them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e answer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support from family and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and professors help middle-aged women to carry on the course. For them, the preparation for assignments and presentations is the process of improvement of their abilities and they applied the results of the preparation to their work and real life. The difficulties they felt made a positive change in their lives. The participants expect high self-esteem and acknowledgment from outside with their master's degree and licenses related to their majors. Not only the thoughtful theoretical contents of the lectures but also the ability improvement from the prepar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ality-oriented middle-aged female learners. The participants have considered both career transformation and retainment of their careers from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Sometimes their early motives of participation in the graduate course have been changed. The participants showed themselves preparing to enter a doctoral program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ty and learn more thoughtful content. Moreover, they planned the expansion of the area and target of their current work or prepared for the new employment with the licenses they acquired.

      •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 구성요인 탐색 및 타당화

        김수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Exploring and Validating the Factors of Music Academy Instructors’ Expertise as a Talent Exploration Space Kim Su-jin Department of Major in Convergent Gifte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and validates the factors related to music academy instructors’ expertise as a talent exploration space. To this end, two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first, what are the concepts and factors of music academy instructors’ expertise as a talent exploration space? Second, are the contents of music academy instructors’ expertise as a talent exploration space valid? To address these questions,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major theories regarding factors of music academy instructors’ expertise as a talent exploration space. Second, the contents were categorized by conducting a focus group interview (FGI) among ten music education experts. Third,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and FGI, concepts and contents of factors and sub-factors related to the music academy instructors’ expertise as a talent exploration space were provisionally derived. Based on this, a preliminary Delphi survey was created and given to 20 experts in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Finally, a second Delphi survey is built and implemented by making adjustments based on the preliminary survey results and expert opinions. The results of the second Delphi survey were then analyzed for validity. Analysis showed six factors related to the expertise of music academy instructors as a talent exploration space: i) attitude as an instructor; ii) understanding of talent exploration education; iii) designing talent exploration education; iv) educational environment of talent exploration; v) implementation of talent exploration education; and vi) evaluation of talent exploration education. A total of 13 sub-factors and 68 contents on the instructor’s expertise are determined. The 13 sub-factors are as follows: communication attitude, growth attitude,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talent exploration education, understanding students, knowledge on implementing talent exploration activities and an understanding of reorganizing lessons, lesson planning and preparation, reorganizing talent exploration activity programs, physical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subject expertise, instructional expertise, ability to use evaluation results, and sharing and giving feedbacks on academic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a need to support music academy instructors to develop their teaching expertise. In addition, the previous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and supplemented to prepare music majors in their expertise as talent exploration education operators. Training instructors, developing and distributing teaching resources, and raising awareness among parents are necessary measures for music academy instructors to implement effective talent exploration education. Furthermore,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propel the educational community to strengthen educational capabilities; thereby, music academy instructors can share their expertise and collaborate via voluntary self-help meetings intended toward research and progress.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 구성요인 탐색 및 타당화 김수진 융합영재교육전공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의 구성요인 탐색 및 타당화를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첫 째,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의 개념과 구성요인 은 무엇인가?, 둘째,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의 내용은 타당한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확인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문헌분석을 통해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에 관한 주요 이론을 탐색하였다. 둘째, 음악교육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내용을 범주화하였다. 셋째, 문헌분석 과 FGI를 토대로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에 관 한 구성요인 및 하위요인의 개념과 내용을 잠정적으로 도출하여 델파이 1차 조사지를 제작하여 음악교육 및 교육 관련직에 종사 중인 20인의 전 문가를 대상으로 1차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넷째, 1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확인하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보완하여 2차 델파이 조 사를 시행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여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재능탐색 공간으로서의 음악학원 교수자 전문성은 ‘교수자로 서의 태도’, ‘재능탐색 교육에 대한 이해’, ‘재능탐색 교육 설계’, ‘재능탐 색 교육환경’, ‘재능탐색 교육 실행’, ‘재능탐색 교육 평가’ 등의 6개 요인 으로 구성되었다. 하위요인으로는 ‘소통 자세’, ‘성장 자세’, ‘재능탐색 교 육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 ‘학습자 이해’, ‘재능탐색 활동 실행을 위한 지 식 및 수업 재구성에 대한 이해’, ‘수업계획 및 준비’, ‘재능탐색 활동 프 로그램 재구성’, ‘물리적 환경’, ‘심리적 환경’, ‘교과 전문성’, ‘지도 전문 성’, ‘평가 결과 활용 능력’, ‘교육성과 공유 및 피드백’으로 총 13개의 세 부 요인과 68개의 교수자 전문성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자 전문성을 근거로 음악학원의 교수자들이 교육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음 악 전공자들이 재능탐색 교육 운영자로서의 전문성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직전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보완해야 한다. 음악학원 교수자들이 효과적 인 재능탐색 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교육 연수 시행, 교수 활동 참고 자료 개발 및 보급, 양육자들의 인식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더불어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공동체 활성화를 지원하여 음악학원 교수자들이 자발적 자조 모임을 통해 전문성을 공유하고 협업하여 함께 연구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 대안교육을 선택한 부모의 진로신념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김은정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대안교육을 선택한 부모의 진로신념을 통해 교육적 관점의 변화를 꿈꾸는 부모들의 가치관을 인식함으로서 자녀교육에 대한 주체적인 교육신념을 가지고 일반적으로는 선택하기 어려운 교육방법을 선택한 부모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대안교육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안교육을 선택한 부모의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대안교육을 선택한 부모의 진로신념은 무엇인가? 연구의 진행을 위해 19년차 공무원과 미대출신 전업주부, 고학력 취업 어머니로 여성 3인을 택하여 내러티브 탐구 경로에 따라 연구에 참여한 부모들의 진로신념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참가자들의 학업과정과 진로신념에 대한 네 개의 영역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 본문을 생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네 개의 영역은 어린 시절부터 현재까지의 인생이야기로 성장기 학업과정, 진로신념, 대안교육 선택의 경험이다.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는 <공부의 의미>, <간절함>, <교육의 본질>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경험의 의미를 바탕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 공교육의 학습문화와 교육방법이 자녀세대에서는 달라져야 한다는 의식에서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였다. 첫째, 경험학습을 통하여 스스로 배움의 의미와 삶의 의미를 깨닫고 그 의미를 실현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을 경험할 때 자신들의 삶이 어떠할지라도 역경을 극복하고 혹여 실패하더라도 그 실패가 성장의 원동력임을 받아들이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자율성과 관계성이 부여된 공부로 자신의 꿈과 가능성을 탐색하게 하여 세상에 대해 생각하고 끊임없이 도전하며 이를 느낄 수 있는 기회와 여유를 제공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백인백색으로 독립적인 존재로 태어나 각자의 타고난 소질과 재능을 발휘하고 창조성과 도전정신을 발현시킬 수 있도록 사회와 교육시스템이 지원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의 마무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교육을 선택한 부모의 동기는 교실에서의 지식보다 세상에서의 삶과 교사와 학생간의 수평적 인간관계, 아이들의 내면적 성장을 도와주는 조력자로 보았다. 아이들의 개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높이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안교육을 선택한 부모의 진로신념은 부모시대와 같이 획일적인 학습방법으로 입시를 위해 달리는 경주마가 아닌 스스로를 단련하고 세상을 무대로 도전하며 자아가 성장하는 과정을 몸소 체득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생은 속도보다 방향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우치고 내 삶을 위해 달리는 야생마로 성장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부터 교육의 본질을 놓치는 우(愚)를 범하지 말고 아이들이 미래사회에서 자기 운명의 주인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the values of parents who dream of changing their educational views through the concept of career of parents who chose alternative education, and to carry out an understanding of alternative education methods that are generally difficult to select. Two research problems have been established for this study: First, what is the motivation of parents who choose alternative education? Second, what are the beliefs of parents who choose alternative education?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research, we selected three women as civil servants, stay-at-home moms and high-education working mothers in 19 years to explore the meaning of career beliefs of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four areas of study and career belief were derived from the participants and the research texts were created based on them. The four area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the life story from childhood to present and experience in growing up, career beliefs and choice of alternative educatio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in the study described the meaning of study, the simplicity, and the nature of education. Based on the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consciousness that the learning culture and methods of public education in Korea should be changed in childre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First, when experiencing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meaning of learning and trying to realize the meaning of life through experience learning, he said, "It is important to accept that failure is the driving force of growth no matter how hard their lives are. Second, we should explore our dreams and possibilities through study that is related to autonomy, so that we can think about the world, challenge it constantly, and provide opportunities and freedom to feel it." Third, society and education system should be supported so that they can be born as independent white people, display their natural qualities and talents, and develop creativity and challenging spirit.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who chose alternative education saw their parents' motivation as a facilitator of life in the world, horizont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ir inner growth. He praised the attitude of respecting children's individuality. Second, parents who chose alternative education found that they wanted to train themselves, challenge the world, and learn how to grow up with a uniform learning method like their parents. It turns out that I expect to realize that direction is more important than speed and to grow into a wild horse running for my life. They say that the government should help children live as masters of their own destiny in a future society instead of committing a crime that misses the essence of education.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식문화 교육방안 : 플립드 러닝을 활용하여

        오영환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기존의 한국어교육에 있어 플립드 러닝 기법을 문화교육에 대입하고자 시작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모두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에 대한 정의 및 목적을 제시하였으나 대부분의 경우 한국의 독특한 문화를 알리고자 함에 그쳤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 있어서 문화란 한 국가만의 독특한 양식이 나타나기에는 세계가 너무 작아졌다. 그리고 현장에서 일을 하고 있는 한국어교사들도 한국의 문화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정의를 내리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특히 한국 현대 사회에서는 각 세대 별로 문화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고 이는 세대 갈등으로 나타난다. 이렇듯 한 사회에 하나의 주요 문화가 존재할 수 없는 다양성이 존재하는 사회로의 발전을 이룩한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어교육 현장에서의 문화교육의 어떠한가? 언어교육에 밀려, 시간 부족의 이유로 문화교육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한국어뿐만이 아닌 한국의 문화를 체험해보고자 하는 부차적인 목적을 가지고 한국으로 왔을 것이다. 이런 목적의 학습자들에게 이(異)문화에 대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라도 한국어교육의 현장에서도 문화교육에 대한 비중을 높일 필요가 존재한다. 나아가 문화교육을 통해 한국의 문화를 익히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한국의 문화와 학습자 모국의 문화 그리고 다른 학습자들의 모국의 문화 모두를 이해하고 하나로 묶어낼 수 있다면 이는 단순 언어 수업이 아닌 학습자의 정신적 성장을 이룰 수 있는 수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문화상대주의에 입각한 수업을 구성하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기도 하다. 이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카드뉴스’를 활용한 플립드 러닝 기법을 도입한 수업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음식문화를 활용한 카드뉴스를 제작하였고 기존의 어학당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들은 학습자들에게 해당 자료를 제시하였다. 설문지에서는 학습자들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인식 및 어학당 수업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제시된 카드뉴스에 대한 학습자들의 생각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한국어교사들에게도 ‘카드뉴스’의 도입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 학습자와 한국어교사의 의견 모두 카드뉴스 도입에 대한 긍정적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그리고 문화에 대해 조금 더 깊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도 이끌어냈다. 이는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비중을 늘리는 동시에 기존 수업의 시간문제에 있어서 어느 정도 해소할 방안으로 생각을 한다. 그리고 이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음식의 목록을 총 10강의 강좌로 구성하였다. 그중 두 주제를 선정하여 교안을 제시하였다. 이 교안은 이문화 간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작성을 하였다. 앞서 언급한 카드뉴스 활용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앞으로 있을 한국어수업의 문화교수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를 한다. This study was started to substitute cultural education using flipped learning techniques for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revious studies, the definition and purpose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suggested, but in most cases, it was only intended to promote Korea's unique culture. However, in modern society, the world has become too small for a country's unique style of culture to emerge. In addition, it is not easy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working in the field to accurately define what Korean culture is. Especially, in modern Korean society, cultural differences exist for each generation, and this appears as a generational conflict. In this way, the development into a society where one major culture can not exist in one society has been achieved. Then, what about 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is not well conducted due to lack of time due to language education. However, learners came to Korea with a secondary purpose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as well as Korean language, and in order to reduce the impact on this culture to learners for this purpose,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weight of 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urthermore, if it is not only to learn Korean culture through cultural education, but to understand and unite both Korean culture, learner's native culture, and other learners' native culture, it can be a class that can achieve learner's mental growth, not a simple language class.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organize classes based on cultural relativis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class that introduces a flipped learning technique using 'card news'. To this end, card news using Korean food culture was produced, and the this data were presented to learners who took classes at existing language schools. In the questionnaire, learners' perception of Korean culture, satisfaction with language school classes, and learners' thoughts on the presented card new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a perception survey was conducted on how Korean language teachers think about the introduction of 'card news'. As a result, both the opinions of learners and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able to derive positive results on the introduction of card news. They also drew opinions that they would be able to understand culture more deeply. This is a wa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olve the time problem of existing classes to some extent.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a list of learners' preferred foods was composed of a total of 10 lectures. Two of them were selected and a education plan was presented. This plan was written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The method for using the aforementioned card news was presented. Through this method,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change in the cultural teaching of Korean language classes in the future.

      • 디지털매체 활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육요구조사

        김은주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디지털매체 활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육요구조사 김은주 유아교육전공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디지털매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 필요한 역량과 지식에 대한 요구를 확인하고, 교육방안 및 교사 역량강화에 대 한 교사의 필요성을 명확히 파악 하고 현실적으로 필요한 교육을 지원하 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디지털매체 활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를 구성한 후, 수도권의 유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유아교육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수정 및 보완하였 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 분석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더불어 대응표본 t검증과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를 사용 하여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 매체활용 교수학습방법으로 ‘교사에게 디지털매체 활용교육 지침서를 통 해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교육을 제공한다.’ 에 대해 현재수준과 중요수준 차이값이 평균보다 높은 지표 및 가장 높은 요구로 확인되었다. 둘째, 디지털매체활용을 유아가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유아는 올바른 방법(시간, 장소, 태도)으로 디지털 매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 원’의 요구도 두 번째 우선순위로 확인되었다. 셋째,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매체 활용교육자료 및 환경에서 ‘교사에게 디지털매체 활용교육지침서(누리과정교사용지도서, 유치원 교사용 현장 지원자료 등)를 통해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교육을 제공한다’, 유아교육 현장교육자로서 교사교육을 통해 지침서활용 및 안전하게 사용하기 등 유아교사의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들은 디지털매체활용교육에 지침서 개발과 교사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명확하고 현실적인 교사 연수계획 및 교육지침이 구성되어야 할 것을 시사한다. Teachers' Educational Needs for Digital Media Utilization Education Kim Eun Ju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s of teachers for competencies and knowledge to effectively utilize digital media, to clearly identify the needs of teachers for educational methods and teacher capacity building, and to support realistic education. Therefore,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to investigate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education utilizing digital media, and a needs survey was conducted on 300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consultation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calculat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In addition, priorities were analyz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the Borich Needs Char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level and the critical level was identified as a higher-than-average indicator and the highest need for "Provide teachers with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through digital media education guidelines"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utilizing digital 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in order to ensure the safe use of digital media by young children, the need to "support young children to use digital media in the right way (time, place, attitude)" was identified as the second priority. Third, in terms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environments for the use of digital 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earchers emphasized the need for professional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uch as 'providing teachers with education on the use of digital media through digital media education guidelines (Nuri Course Teacher's Guide, Kindergarten Teacher's Field Support Materials, etc.)' and teacher education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educators to use the guidelines and use them safely. In conclusion, early childhood teachers value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and teach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digital media utilization education, and suggest that clear and realistic teacher training plans and educational guidelines should be organized for this purpose. It suggests that clear and realistic teacher training plans and educational guidelines should be organ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