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기 CO2 농도에 따른 소나무의 생리.생태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

        윤주은 서울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95

        산업혁명은 도시의 인구를 증가시키고 도시화를 확대시켰다. 그리고 도시화의 팽창은 CO2 농도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는 서울의 도심지인 서래공원, 도심외곽지역인 서울여대 및 교외지역인 북한산을 중심으로 대기 중 CO2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 도심지인 서래공원의 대기 중 CO2 농도는 409.1~429.3μmol CO2 mol-1 로 조사지점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났으며, 도심지외곽에 위치한 서울여대에서 측정한 대기 중 평균 CO2 농도 399.7~416.2μmol CO2 mol-1 로 나타났다. 교외지역에 있는 북한산에서 측정한 대기 중 평균 CO2 농도 374.2~413.6μmol CO2 mol-1 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서울시가 작은 “Urban CO2 dome"의 모형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CO2 농도의 증가는 잎의 광합성속도가 증가되고 잎의 기공밀도는 감소되어진다. 조사지점별 CO2 농도에 따라 소나무의 광합성속도도 차이를 보였다. 도심지인 서래공원에 있는 소나무의 광합성속도는 8.9 (±3.06)μmol CO2 m-2s-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외지역인 서울여대에 있는 소나무의 평균광합성속도는 15.0 (±2.25) μmol CO2 m-2s-1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외지역인 북한산의 소나무 평균광합성속도는 14.8 (±7.14)μmol CO2 m-2s-1로 조사지점 중 가장 낮았다. 또한, 조사지점별 엽육내 CO2 농도와 광합성속도에 대한 상관분석결과 서래공원, 서울여대 및 북한산의 R2 값은 0.82, 0.81 및 0.61으로 나타났다. 세지역 모두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며, 이 중 엽육내 CO2 농도가 광합성에 미치는 기여율은 서래공원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O2 농도에 따라 잎의 기공 밀도도 차이를 보였다. 조사지역인 도심지역의 서래공원과 도심외곽지역 서울여대 및 교외지역인 북한산의 소나무 기공밀도를 관찰한 결과 81.76 (±25.35)mm2, 96.07 (±19.8)mm2 및 118.69 (±27.23)mm2로 CO2 농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기공 밀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대기 중 CO2 농도의 영향일 것이라 생각된다. 소나무 잎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조사지점별 엽육조직에서만 유의성을 보였다. 도심지인 서래공원 소나무 잎의 엽육조직은 304.06㎛으로 가장 넓었으며, 도심외곽지역인 서울여대 소나무 잎의 엽육조직은 216.34㎛, 교외지역인 북한산은 215.85㎛으로 가장 좁았다.

      • 공공도서관 역사 문화프로그램 현황 조사 : 서울시를 중심으로

        윤지영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79

        현재의 공공도서관은 정보 보존과 이용이라는 기본 기능과 더불어 지역사회의 평생교육센터로서 자리 잡고 있다. 공공도서관의 문화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발전에 많은 역할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주제로 그 내용도 확대하고 있다. 역사 문화 프로그램은 한 사회의 역사화 문화 인식을 지탱하고 유지시킨다는 측면에서도 공공도서관이 중요하게 바라봐야 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서울지역 공공도서관에서 운영되는 역사 문화프로그램의 발전방안에 대한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공공도서관이 진행하고 있는 역사 문화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본 후 현재 진행하고 있는 역사 문화 프로그램을 유형별로 살펴보았으며, 유사한 역사 문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는 박물관․미술관․문화원의 역사 문화프로그램을 확인하여 특징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역사 문화 프로그램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서울시 공공도서관 및 유관 기관의 역사 문화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역사 문화 프로그램의 유형을 주제별, 이용자별, 운영형식별, 기간별로 나누어 프로그램 진행 상황을 세부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제별로는 한국사 관련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어린이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비중이 높았다. 주로 통합형 운영형식을 취하며 정기적인 프로그램이 다수를 차지했다. 연구 결과 공공도서관의 역사 문화 프로그램은 어린이와 성인 이외에도 유아 및 노인 이용자 등과 같이 이용자층을 확대하여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하였고 또한 직장인 등을 고려하여 온라인, 야간, 주말 등 다양한 시간대에 프로그램을 개설할 필요성도 높다 판단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박물관·미술관 등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통합형 프로그램의 기획과 확대 등을 제안하였으며 역사 문화 프로그램이라는 주제의 특수성과 관련, 매체의 적극적인 활용을 제안하여 이용자와 프로그램의 상호작용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적으로 서울시에 위치한 기관들로 그 조사를 한정하였기에 그 한계가 존재하며 좀 더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기본 사례 또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후속 연구 등을 기대해볼 만하다. Currently, the public library has become a lifelong learning center of the community with the basic functions of preserving and using information. The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play a major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and are expanding on various topics. The history and culture program is a program that public libraries should consider more importantly in terms of sustaining and maintaining the perception of historical culture of a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programs operated by public libraries in Seoul. In order to do this, the current status of the history and culture programs being conducted by public libraries was investigated, the current history and culture programs were examined by type, and the history and culture programs of museums, galleries, cultural center were also examined to compare their featur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history and culture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and related institutions in Seoul and the types of historical and cultural programs were examined and analyzed in detail by the thematic, user, operating type and period. In terms of themes, programs related to Korean history were the most important, and the proportion of programs targeting children was high. Most of the programs were operated regularly as integrated form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will be able to provid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by expanding the user base to a wider population such as infants and elderly users in addition to children and adults. Also, it is necessary to offer the programs on weekends and at nights to embrace office workers who cannot participate during the day.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s planning and expanding integrated programs through association with museums and art galleries, and suggests the active use of media in relation to the specificity of the theme of historical cultural program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is restricted to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Therefore, the follow-up research that examines the basic case or framework of the public libraries’ history and culture programs in more detail is necessary as future research.

      • 분리-개별화 수준이 이성관계집착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신한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분리개별화 수준이 이성관계 집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상담 및 임상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개입방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의 분리개별화, 자기개념 명확성, 이성관계 집착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고, 분리개별화와 이성관계 집착간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후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절차와 Sobel test를 실시하여 간접효과의 유의미성을 확인함으로써 모형을 최종 검증하였다. 서울, 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254명에게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를 실시했으며 그 중 247부(여자 165명, 남자 82명)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는 분리개별화 척도(SIS),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SCS), 관계중독질문지 척도(RAQ)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20.0과 SPSS PROCESS MACRO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리개별화, 자기개념 명확성, 이성관계 집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분리개별화는 이성관계 집착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개념 명확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자기개념 명확성은 이성관계 집착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분리개별화가 이성관계 집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모형을 검증한 결과, 대학생의 분리개별화와 이성관계 집착간의 부적 영향관계를 자기개념 명확성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분리 개별화 수준이 낮을수록 이성관계 집착 성향이 높아지고 이 과정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이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담 및 임상 장면에서 이성관계 집착성향을 보이는 내담자들을 이해하고 병리적인 관계 패턴을 스스로 자각 및 통찰하여 건강한 관계를 맺도록 도움을 줄 것이며, 자기개념 명확성 수준을 높이는 것이 주체적이고 발전적인 인간관계 형성에 중요함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are often found in the field of actual consultation and clinical practice, but there has been little systematic research in Korea.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tips for the specific intervention in a therapeutic setting by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For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self-concept clarity,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of undergraduate students were investigated. And after assum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the hierarchical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that, model was verified by proving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through bootstrapping and sobel test based on the assumed partial mediation model of self-concept clarity in relations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For these purpose, 249 college students (female 165, male 82)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survey us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tested with separation-individuation (SIS), self-concept clarity (SCS), relationship addictioin (RAQ). This study used the SPSS 20.0 program and the SPSS PROCESS MACRO for establishing the analysis of study questio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the lower the grades and self-concept clarity.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Second, in verification of mediation effect model of self-concept clarity in the impact of separation-individuation on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it was proven to be a partial mediation model where separation-individuation affects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through self-concept clarity. Coll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in difficulty in separation-individuation can not only influence on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directly and positively, but decrease self-concept clarity resulting in reinforcement of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will help counselor and clinical psychologist understand clients struggling with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 and form a healthy relationship, allowing them to realize problematic patter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lso,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is essential to enhance and develop self-concept clarity in forming independent relationship.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Introduction of Smart Mosquito Monitoring System in South Korea

        나수미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모기 개체수 예측 산식을 도출하여 한국의 모기 발생 정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으로는 서울시를 선택하였다. 예측산식 도출을 위해 2015년부터 2017년까지의 모기 개체수 데이터와 환경요인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모기데이터 수집은 스마트 모기 포집기기인 DMS(Digital mosquito monitoring system)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서울시는 2015년도부터 각 구에 DMS를 2대씩 설치하여 총 DMS 50대를 가동 중이다. 환경요인 데이터 수집은 DMS와 가깝게 위치한 기상청의 AWS(Automatic Weather System)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획득한 데이터로 각 지역별 모기 개체수 모니터링, 환경요인 모니터링, 모기발생 예측산식을 도출하였다. 분석에는 STATISTICA 7과 SPSS가 사용되었다. 서울시의 경우 모기 모니터링을 통해 모기 개체수의 서식지 유형을 세 가지로 나눠서, 수변부, 주거지 지역, 공원지역으로 나누어 모기 예측산식을 산출하였다. 일별 모기 평균 개체수 분석결과 하루 평균 모기 개체수는 73.03 ± 0.98인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모기 개체수 분석결과 6월에 급증하며 7월에 가장 많이 발생되고, 7월 이후로는 개체수가 많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지리타입별 모기개체수 분석결과, 수변부, 공원 주거지 순으로 모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구별 모기 개체수 분석결과, 마포, 동대문, 양천 순으로 모기 개체수가 높게 나왔으며, 도봉, 관악, 강남 순으로 모기개체수가 낮게 나타났다. 환경요인에 따른 모기 개체수 Generalized Linear model 분석결과, 모기개체수를 대변하는 환경요인으로 평균온도와, 강우량을 도출하였다. 서울시 모기 개체수 회귀식결과 2017-2015년은 ln(모기 개체수) = 2.519 + 0.08 * 평균 온도 + 0.001 * 강우량, 2017년은 ln(모기 개체수) = 2.35 + 0.079 * 평균 온도 + 0.001 * 강우량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모기 개체수 발생 정도를 사전에 예측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더 나아가 본 예측산식이 질병 매개모기 발생예측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청소년의 참여활동과 공동체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 서울특별시 청소년을 중심으로

        권다혜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articipation activities of youths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to analyz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activities on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aimed to find an opportunity to seek ways to raise the sense of the community of youths. Additionally, This study aim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 for the youth participation in order to secure methods to enhance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Do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of the youths? [Research Question 2] Do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of the youths through self-esteem? [Research Question 3] Do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affect the sense of community of the youths through the life satisfaction? For the analysis the data of 2017 Comprehensive Survey of Children in Seoul were utilized. Although the respondents were 8,694, the subjects of [Research Question 1] were 1,075, and those of [Research Question 2] and [Research Question 3] were 1,490 respectively.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and independent variable was youth participation activity such as student council activities, public organization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e parameters wer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youths, and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household income,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relationship with parents, relationship with peers,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were controlle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STATA 15.0 was used to perform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o explain in more detail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Research question 1] and Hypotheses 1-1, 1-2 and 1-3 to identify the effects of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on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To verify [Research question 2], hypothesis 2-1, [Research question 3] and hypothesis 3-1,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sense of community. When demographic factors were controlled, out of the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student council activity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explained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at a significant level in [Research question 1]. In [Research question 2],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In [Research question 3], it was also found that life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empirically verified that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ense of community not to mention of the student council activities whose effect was well-known. This implies that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as well as participation ‘in school’ in order to improve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externally expanded the participation activities of youths. Thi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activating and diversifying youth participation activities to strengthen the sense of community in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ublic organization participation activities which did not give meaningful results, this wa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student council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that were supposed to be ‘voluntary’. It was a participatory organization that was led, forecasted, planned and organized by the supplier. This study focused on this point and urged the transformation of the paradigm of youth policy from ‘supplier-centered’ to ‘youth-led’. Secon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which have been partially verified or have not been empirically verified, was proved. In particular, this study can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tudies in that it illuminat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ariables. This study suggests that to understand the sense of community of youths a micro approach to the psychological elements of individual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as the social and relational elements which previous research had focused on. It also implies that it provides a basis for policy intervention at the level of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 in order to grow and strengthen the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youths. 본 연구는 청소년의 참여활동이 청소년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참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아울러 청소년의 참여활동과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를 강화하는 개입 방안의 마련을 위하여 정책적이고 실천적 개입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총 세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청소년참여활동은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청소년참여활동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청소년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청소년참여활동은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청소년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석 자료로서 서울시 아동종합실태조사의 2017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전체 응답자는 8,694명이었으나 본 연구에 활용된 응답자 수는 [연구문제 1]의 경우 1,075명, [연구문제 2]와 [연구문제 3]의 경우 1,490명이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이며, 독립변수는 청소년의 참여활동으로 교내학생회활동, 공적조직참여활동, 사회참여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매개변수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이며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성별, 나이, 가구소득,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는 통제하였다. 연구문제 및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STATA 1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이변량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및 가설1-1, 1-2, 1-3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청소년참여활동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연구문제 2] 및 가설 2-1, [연구문제 3] 및 가설 3-1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청소년참여활동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때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연구문제 1]에서는 청소년이 참여활동 중 교내학생회활동과 사회참여활동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을 유의미한 수준에서 설명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청소년참여활동과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의 관계를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연구문제 3]에서도 청소년의 참여활동과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을 매개변수인 삶의 만족도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할 수 있는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참여활동의 세부 요인 중 기존에 잘 알려졌던 교내학생회활동뿐만 아니라 사회참여활동이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을 향상을 위하여 ‘학교 안’에서의 참여활동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의 참여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청소년의 참여활동의 외연 확장을 도모했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이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공동체의식의 강화 마련에 있어 청소년참여활동의 활성화 및 다양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유의미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한 공적조직참여활동의 경우 교내학생회활동과 사회참여활동과 달리 공급자가 주도하여 예측하고 계획하여 조직된 참여 기구로서 ‘자발성’이 전제되어야 하는 참여활동과는 질적으로 다르다는 부분에 집중하여 청소년정책의 패러다임을 공급자중심에서 ‘청소년주도’로 전환할 것을 촉구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청소년의 참여활동과 공동체의식간의 관계에서 파편적으로 검증되어 왔거나, 경험적으로 밝혀진 바 없었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특히 심리·정서적인 변수를 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갖는다. 지금까지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대하여 주로 사회적이고 관계적인 요소에 초점을 둔 선행연구에 개인의 심리 내적인 요소에 대한 미시적인 접근 또한 주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를 성장·강화시키기 위하여 정부, 지역자치단체 그리고 지역사회차원의 정책적 개입의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 서울지역 일부 여대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식습관 및 혈액 임상지표 비교 연구

        이루지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대학생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첫 발돋움을 하는 단계이자 자발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특히 여대생의 경우 훗날 임신을 통하여 제2세대를 양육해야하는 모체이므로 더욱 적극적이고 적절한 영양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대학생이 된 후에는 식습관이 불규칙 해지고 과도한 체중 조절로 인해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거주 형태에 따른 식습관과 혈액 특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총 374 명의 대상자가 거주 형태에 따라 자택군, 기숙사군 및 자취군으로 분류되었다. 설문지를 통해 일반 사항, 식습관, 음식 섭취 빈도, 신체 활동 및 식생활 태도를 조사하고 인체 측정 및 혈액 임상 지표를 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신장, 체중, BMI는 각각 161.21cm, 53.54kg, 20.51이었다. 많은 여대생이 건강과 영양에 관심이 있었으며, 체중 감량을 시도한 적이 있었다. 또한, 자취군에서 주관적인 건강 상태가 다소 안 좋아졌다고 유의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대상자의 대부분이 격렬한 신체 활동보다 가볍게 걷기 운동을 하고 있었으며, 기숙사군은 운동 시설이 부족하여 운동하기가 어렵지 않다는 인식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끼니 중 주로 아침을 거르는 경우가 많았으며, 자택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대학생이 된 이후로 식습관이 더 나빠진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중 자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단백질, 유제품, 과일, 해조류의 섭취 빈도는 다른 두 그룹에 비해 자취군에서 현저히 낮았다. 고지방 육류의 섭취 빈도는 자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자택군에서 음식을 작은 조각으로 잘라 먹었으며, 자취군에서 고 탄수화물 음식을 피하는 경향이 있고 새롭고 풍부한 식품을 시도하고 즐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평균 혈중 농도는 정상 이었지만 혈중 임상 지표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자취군은 자택군과 비교했을 때 식습관이 좋지 못했다. 거주 형태가 혈액 임상 지표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거주형태와 혈액 임상 지표를 비교연구 하였다는 시도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대학생, 특히 자숙 그룹의 영양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영양 교육이 필요하다. College students are the important time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n independent subject and the foundation to maintain a healthy adulthood. In particular, female students should be more aggressive and appropriate nutrition because they can later become pregnant. However, after becoming a college student, eating habits are likely to become irregular and may experience various health problems due to excessive weight contr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residence types. A total of 374 subjects were classified as home group, self-boarding group and boarding group according to their residence type.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habits, frequency of food intake, physical activity and eating attitudes wer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lood clinical indices were analyzed. The average height, weight, and BMI of the subjects were 161.21cm, 53.54kg, and 20.51, respectively. A large number of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health and nutrition and had tried to lose weight. In addition, the self-board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t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somewhat worse(p<0.05). Most of the subjects were walking lightly than the intense physical activity, and the boarding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that it was not difficult to exercise because of lack of exercise facilities in the vicinity. Most frequently skipping meal was breakfast, and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ome group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Most colleg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ir eating habits had worse since becoming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lf-boarding group. The frequency of grain intake, protein intake, dairy intake and seaweed intak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elf-boarding group, than those of the other two groups. The frequency of consuming fatty meat and frui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ome group. In the home group, they cut food into smaller pieces and tried new and rich foods in the self-boarding group. The average blood level of the subjects was normal but did not affect the change of blood clinical index.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self-boarding group had inadequate dietary habits compared to the home group. Although the residence pattern did not affect the change of the blood clinical index, but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sidence type and the blood clinical index were comparatively studied. Therefore, proper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of college students, especially self-boarding group.

      • 불암산의 생태적 특성 및 환경 교육 장소로의 활용 방안

        우명원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불암산의 식생단위는 도시화지역, 경작지, 조림지 및 이차림으로 대별된다. 도시화지역과 경작지는 산록 이하로서 평지에 가까운 지역에 분포하였고, 조림지는 산록부, 그리고 자연림은 산록 이상의 지역에 주로 분포하였다. 도시화지역은 식생이 성립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대부분이고 성립된 지역은 인위적으로 도입된 외래종이나 조경식물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그들의 생태적 기능은 거의 기대할 수 없는 형편이다. 경작지는 논, 밭 및 과수원으로 구분되었다. 논과 밭은 주로 남양주시 쪽에 분포하였고, 과수원은 서울시와 남양주시 양쪽에 모두 분포하였으며, 재배과수는 대부분 배나무이었다. 조림지는 아까시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2개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까시나무군락은 산복 이하에 분포하였고, 리기다소나무군락은 산록으로부터 능선부에 이르기까지 분포하였다. 이차림은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및 팥배나무군락 등 9개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신갈나무군락이 가장 넓게 분포하였고, 소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의 순서로 넓게 분포하였다. 소나무군락은 주로 능선부에 분포하였지만 모암이 나출된 노암지가 많은 관계로 계곡부와 산복부에도 출현하였다. 신갈나무군락은 산복부로부터 산정부에 이르기까지 분포하였고, 상수리나무군락은 주로 산록부에 분포하였으며 오리나무군락은 계곡부에 분포하였다. 이러한 불암산과 그 주변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등산로를 기준으로 14 곳의 환경교육 장소를 발굴하고 각각의 장소에 적합한 교육 내용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ㆍ제1장소: 중랑천의 월릉교 부근- 생태계의 개념 및 하천 생태계의 모습과 작용 ㆍ제2장소: 화랑로 주변 주거지 및 근린공원- 인공생태계의 모습과 작용및 근린공원이 갖추어야 할 참모습과 역할 ㆍ제3장소: 서울여대에서 불암사 주차장까지- 도시화와 자연환경, 지속가능한 개발 ㆍ제4장소: 불암사 주차장에서 불암사까지- 물과 동ㆍ식물의 관계와 수서곤충의 종류와 특징 ㆍ제5장소: 불암사 옆 등산로 주변- 햇빛과 식물의 관계 ㆍ제6장소: 옥천암과 석천암 등산로가 갈라지는 부근- 흙의 특성 및 흙과 동ㆍ식물의 관계 ㆍ제7장소: 옥천암 바로 아랫부분- 동물과 식물의 관계 ㆍ제8장소: 옥천암 주변- 사람과 자연과의 관계 ㆍ제9장소: 옥천암과 정상 중간 부분- 녹색댐 ㆍ제10장소: 불암산 정상 부근- 자연공간과 인위공간 사이에서 나타난 생물의 차이 ㆍ제11장소: 불암산 정상에서 계곡으로 내려가는 부근- 천이의 모습 ㆍ제12장소: 헬기장에서 삼육대쪽으로 내려가는 중간 부분- 산불의 예방 및 끄는 법 ㆍ제13장소: 저수지 부근- 습지의 역할 ㆍ제14장소: 삼육대 뒷산- 삼림생태계의 기능 이 곳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내용은 누구나 쉽게 배우고 가르칠 수 있는 내용으로 이론과 활동을 겸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였다. 불암산의 식생단위는 도시화지역, 경작지, 조림지 및 이차림으로 대별된다. 도시화지역과 경작지는 산록 이하로서 평지에 가까운 지역에 분포하였고, 조림지는 산록부, 그리고 자연림은 산록 이상의 지역에 주로 분포하였다. 도시화지역은 식생이 성립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대부분이고 성립된 지역은 인위적으로 도입된 외래종이나 조경식물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그들의 생태적 기능은 거의 기대할 수 없는 형편이다. 경작지는 논, 밭 및 과수원으로 구분되었다. 논과 밭은 주로 남양주시 쪽에 분포하였고, 과수원은 서울시와 남양주시 양쪽에 모두 분포하였으며, 재배과수는 대부분 배나무이었다. 조림지는 아까시나무군락과 리기다소나무군락의 2개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까시나무군락은 산복 이하에 분포하였고, 리기다소나무군락은 산록으로부터 능선부에 이르기까지 분포하였다. 이차림은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및 팥배나무군락 등 9개 군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신갈나무군락이 가장 넓게 분포하였고, 소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의 순서로 넓게 분포하였다. 소나무군락은 주로 능선부에 분포하였지만 모암이 나출된 노암지가 많은 관계로 계곡부와 산복부에도 출현하였다. 신갈나무군락은 산복부로부터 산정부에 이르기까지 분포하였고, 상수리나무군락은 주로 산록부에 분포하였으며 오리나무군락은 계곡부에 분포하였다. 이러한 불암산과 그 주변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등산로를 기준으로 14 곳의 환경교육 장소를 발굴하고 각각의 장소에 적합한 교육 내용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ㆍ제1장소: 중랑천의 월릉교 부근- 생태계의 개념 및 하천 생태계의 모습과 작용 ㆍ제2장소: 화랑로 주변 주거지 및 근린공원- 인공생태계의 모습과 작용및 근린공원이 갖추어야 할 참모습과 역할 ㆍ제3장소: 서울여대에서 불암사 주차장까지- 도시화와 자연환경, 지속가능한 개발 ㆍ제4장소: 불암사 주차장에서 불암사까지- 물과 동ㆍ식물의 관계와 수서곤충의 종류와 특징 ㆍ제5장소: 불암사 옆 등산로 주변- 햇빛과 식물의 관계 ㆍ제6장소: 옥천암과 석천암 등산로가 갈라지는 부근- 흙의 특성 및 흙과 동ㆍ식물의 관계 ㆍ제7장소: 옥천암 바로 아랫부분- 동물과 식물의 관계 ㆍ제8장소: 옥천암 주변- 사람과 자연과의 관계 ㆍ제9장소: 옥천암과 정상 중간 부분- 녹색댐 ㆍ제10장소: 불암산 정상 부근- 자연공간과 인위공간 사이에서 나타난 생물의 차이 ㆍ제11장소: 불암산 정상에서 계곡으로 내려가는 부근- 천이의 모습 ㆍ제12장소: 헬기장에서 삼육대쪽으로 내려가는 중간 부분- 산불의 예방 및 끄는 법 ㆍ제13장소: 저수지 부근- 습지의 역할 ㆍ제14장소: 삼육대 뒷산- 삼림생태계의 기능 이 곳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내용은 누구나 쉽게 배우고 가르칠 수 있는 내용으로 이론과 활동을 겸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였다.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Mt. Bulam and its surrounding environment were analyzed in order to utilize as the place for field environmental education. Landscape elements of Mt. Bulam and its surrounding areas were identified as urbanized area, agricultural field, plantation and secondary forest. Urbanized area and agricultural field were distributed in relatively plain area below mountain foot. Plantation and secondary forest were distributed in mountain foot and above that, respectively. Urbanized area has usually no vegetation and remaining vegetation is, in general, comprised of exotic species or plants for landscape architecture introduced artificially. Therefore, their ecological function is not so big. Agricultural fields were divided into rice field, upper field, and orchard. Rice field and upper field wee usually distributed in Namyangju-shi, whereas orchard, which is usually covered with pear, was distributed in both areas of Sroul-shi and Namyangju-shi. Plantation is composed of two types of Robinia pseudoacacia plantation and Pinus rigida plantation. The former appeared below mid-slope and the latter distribute from mountain foot to ridge. Secondary forest is consisted of nine communities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 variabilis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Q. acutissima community, Q. aliena community,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Alnus japonica community, P. densiflora community, and Sorbus alnifolia community. Among them, Q. mongolica community occupied the largest area and P. densiflora community and Q. acutissima community were followed. P. densiflora community was usually distributed on the ridge but appeared also in valley and mid-slope because outcrop, where parent rock is exposed, is extended widely. Q. mongolica community was distributed from mid-slope to summit, and Q. acutissima community and Alnus japonica community were usually in mountain foot and valley, respectively. 14 stations for field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chosen considering above mentione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Mt. Bulam and education contents to be taught in each station were developed as follows. ◎ The 1st station ·Location: around Wolneung bridge in Jungnang river ·Education contents: concept of ecosystem, structure and function of river ecosystem ◎ The 2nd station ·Location: residential area and urban park around roadside called Hwarang-no ·Education contents: structure and function of artificial ecosystem, real feature that the urban park should equip and its role ◎ The 3th station ·Location: from Seoul Women's University to parking lot of Bulam temple ·Education contents: urbanization and natural environment, sustainable development ◎ The 4th station ·Location: from parking lot of Bulam temple to entrance of Bulam temple ·Education contents: relationship between water, plant and animal,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aquatic insect ◎ The 5th station ·Location: around trampling path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Bulam temple ·Education contents: relationship between sunlight and plant ◎ The 6th station ·Location: around a turning point of the trampling paths ffor Okcheon and Seokcheon temples ·Education contents: characteristics of soil, relationship between soil, plant and animal ◎ The 7th station ·Location: a part below Okcheon temple ·Education contents: relationship between plant and animal ◎ The 8th station ·Location: around Okcheon temple ·Education contents: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 The 9th station ·Location: middle part between Okcheon temple and summit of Mt. Bulam ·Education contents: green dam ◎ The 10th station ·Location: around summit of Mt. Bulam ·Education contents: difference between natural and artificial environments ◎ The 11th station ·Location: around summit of Mt. Bulam ·Education contents: successional process ◎ The 12th station ·Location: from parking lot of helicopter to trampling path for Samyook University ·Education contents: prevention and extinguishing method of forest fire ◎ The 13th station ·Location: around reservoir ·Education contents: role wetland ◎ The 14th station ·Location: rear mountain of Samyook University ·Education contents: function of forest ecosystem Above mentioned education contents to be taught in these stations are as easy as any teacher can teach and pursue education about both theory and activity. In particular, I tried to link such field environmental education to school curriculum.

      •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정서표현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이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정서표현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참여자를 모집하였다. 초기에는 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명으로 연구를 시작하였으나, 실험집단에서 중도탈락자 1명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23명의 자료가 연구에 활용되었다. 실험집단은 두 개의 집단으로 배정되었고, 각 집단은 주 2회 약 90분씩 총 16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제공하였다. 통제집단은 미술치료적 개입을 하지 않았다.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과 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모두에 지각된 스트레스 검사와 정서표현성 검사, 정서조절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에 실험집단의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된 반면,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과 후에 실험집단의 정서표현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된 반면,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정서표현 수준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과 후에 실험집단의 정서조절 수준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하위차원 중 ‘자신의 정서조절’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타인의 정서조절’요인에서는 사후검사 평균점수가 상승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통제집단에는 사전-사후 정서조절 수준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생들에게 지각된 스트레스 수준의 감소와 정서적 정보를 활용하여 건강한 정서 생활을 영위하는 데 유용한 심리적 지원 서비스임을 확인한 데에 의의가 있다. 주요어 : 집단미술치료, 대학생, 지각된 스트레스, 정서표현, 정서조절

      •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자기 비난의 매개효과

        김재윤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대학생 시기는 중·고등학교 시절에 비해 스스로 행동하고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지고, 부모로부터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독립하는 시기이다. 그러나 대학생 시기에 친밀한 대인관계를 경험하지 못한다면 우울, 불안, 부적응 등과 같은 다양한 심리적 부적응을 겪게 되고 정체감 확립과 인격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시기에 성취과업을 성공적으로 이루지 못했을 때, 고립감이라는 위기를 경험하게 되며 이후 단계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 시기 동안 대인관계에서의 갈등과 문제를 잘 다루기 위해 주변과의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친밀감을 경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 비난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및 경상/강원, 충청/전라도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 자기 비난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332명(남89명, 여243명)의 자료에 대하여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주요 변인간의 상관분석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문제, 자기 비난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 비난은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자기 비난은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대인관계문제를 경험하는 이들에게 치료적인 방향과 개입 전략으로 내면화된 수치심뿐만 아닌 자기를 비난하는 사고를 다루어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University students are free to choose and act on their own terms compared to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It is a time of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independence from parents. However, if you do not experience intim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ring university students' time, you will experience various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such as depression, anxiety, maladjustment, and negative influence on identity formation and personality development. Failure to accomplish accomplishment successfully during this period can lead to a crisis of isolation and may affect the development of the later stag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form a friendl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o experience intimacy in order to cope with conflicts and problems in interpersonal relations during university students'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riticism when internalized shame affects interpersonal problems. For this purpose, it surveyed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Gyeongsang/Gangwo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with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internalized shame level, interpersonal problem level, and self-criticism level. It collected answers from 332 students (89 males and 243 females), analyzed the mutual relation between main variables and analyzed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ized shame, interpersonal problem, and self-criticism. Second, internalized shame and self-criticism affected interpersonal problems. Finally, self-criticism was partially mediated by internalized sham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ose experiencing interpersonal problems will need to deal with self-criticism as well as internalized shame by therapeutic orienta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inally, it discuss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한 대학생의 체험연구

        노윤지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미술치료는 국내에 소개된 지 오래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미술치료에 대한 관심과 요구도 높아졌다. 이렇게 미술치료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다양한 학부전공을 가진 대학생들은 미술치료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대학교에 개설된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하게 된다. 전공과목과 구별되는 미술치료 교양과목은 대학생들이 쉽게 미술치료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미술치료가 무엇을 다루는 것인지 소개할 수 있는 매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하고자 선택한 대학생들은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의 체험을 생생하게 기술하고 그 체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혀내는 것이다. 그 체험이 가지는 본질과 의미를 밝혀냄으로써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하기 희망하는 대학생들에게 일차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담당하는 강사에게 미술치료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한 대학생들은 어떠한 체험을 하며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이를 탐색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들의 생생한 언어로 경험 그대로를 기술하고, 그 경험의 구조를 파악함으로써 체험의 본질을 밝히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연구자의 개인 경험을 바탕으로 현상학적 질문을 형성하였으며,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6학년도 1학기에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총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16년 6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을 근거로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한 대학생의 체험을 분석한 결과, <궁금한 세계였던 미술치료에 대한 관심으로 수업을 듣게 됨>, <미술작업을 통해 나와 한 발 가까워짐>, <집단원과의 작업은 즐거운 와중에 나를 비춰주는 거울이 됨>, <이론과 셀프저널을 통해 이전에는 보지 못했던 나와 나의 가족 구성원을 새롭게 바라봄>, <미술치료를 바라보는 시야가 이전보다 넓어짐>, <미술치료 강의를 듣고 난 후 새로운 욕구가 생김>으로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6개의 하위주제들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선택하는 대학생들은 미술치료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진로를 고민하기도 하며 주변 사람들의 추천을 통해 수강하게 된다. 둘째,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한 대학생들은 강의 안에 계획된 실습 및 과제를 통해서 이전에는 알지 못했던 자신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는 체험을 하며 자기 돌봄에 대한 인식이 생겨난다. 셋째,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한 대학생들은 그 과정에서 미술치료에 대한 시각이 넓게 변화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한 대학생들의 체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미술치료학이 뿌리내리고 있는 현 상황에서 미술치료 교양과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본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담당하는 강사에게 대학생의 체험에 관한 실제적 정보를 제공하여 미술치료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술치료 교양과목의 강의형태를 구분하지 않았지만 각 대학교에서의 교양과정과 강조점은 학교마다 차이를 보였고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도 차이가 드러났다. 이에 강의 유형을 구분하여 연구해 볼 것을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의 학부 전공을 고려하지 않고 다양한 전공을 가진 대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했으나, 어떤 전공을 하고 있는지에 따라 경험의 차이가 있었다. 이에 학부 전공을 인문·사회 계열과 자연·과학 계열로 구분하여 연구해 볼 것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