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유 개념을 적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연구

        갈환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79

        국문요약 국민 경제가 발전하면서 삶의 질에 대한 사람들의 기준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일부 노인 돌봄 환경, 특히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의 생리적, 정신적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노인 돌봄 구조의 변화로 인해 일부 노인은 집에서 노후를 보내지 못하고, 실버타운에 입주하기도 한다. 사별하거나, 병환으로 고생하거나, 거동이 불편해 개인적〮사회적 스트레스를 받는 노인에게 심신 건강과 스트레스 해소 및 치유 기능이 갖춰진 돌봄 환경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의 심신 건강을 치유해 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은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에도 중요하다. 노인 돌봄 공간에 원예치료 환경을 조성하면 시설 미관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심신 건강에 대한 노인의 수요도 만족시켜 노인이 여생을 더 즐겁게 보낼 수 있다. 관련 문헌 연구를 보면, 현재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건축 계획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연구는 대개 기술적 측면에 치중되어 있는데, 주로 어떻게 하면 건축과 개조를 통해 노인에게 편안한 거주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인구 고령화가 점차 심각해지고 사회 노인 돌봄 서비스 시스템이 구축되는 과정에서 실버타운의 수요 측면의 문제점을 깊이 있게 연구하여 노인을 위한 더 나은 노인 돌봄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실버타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돌봄 산업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의료의 발달과 삶의 수준 향상 및 노인의 노후 삶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하여, 단순하고 제한적인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들의 정신 및 생활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동시에 치유 개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면서 사람들은 식물이 인간의 생리적 기능 및 심리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점차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원예치료도 다시 각광받기 시작했다.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면 실버타운의 수준을 높일 수 있고, 노인에게 보다 다양한 노후 생활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동서양의 치유 이념과 실버타운 환경에 관한 연구를 통해 치유 개념의 기존 연구와 실제 적용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첫째, 중국이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연구를 뒤늦게 시작하여 기존의 연구 성과가 적은 편이며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을 결합시킨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치유 개념을 환경 디자인에 적용할 방법을 모색하고 종합∙귀납하여 중국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둘째, 본 논문에서는 주로 동서양 국가에서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구미 국가는 실버타운을 비교적 일찍 건설하기 시작하였으며 디자인도 충분히 성숙한 단계에 진입했다. 그에 반해 중국은 한 발 늦게 실버타운을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국내 성공 사례가 부족하여 실외 환경 디자인 및 무장애 디자인 등 분야에서 참고할 만한 사례를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사례로 제시한 중국 베이징 동방 태양성 실버타운은 주로 해외 성공 경험을 참고하여 건설한 것이며 여전히 미흡한 점이 많다. (사례 분석에서 자세히 설명) 본 논문의 환경 디자인은 실외 환경 디자인, 조명, 색채, 식물, 공간 계획 등을 포함하며 실내 환경 디자인은 제외한다. 또한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관련 문헌 수집과 분석을 통해 동서양의 치유 개념 적용 및 실버타운 현황을 알아보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종합하여 본 과제의 연구 방향과 주제 의식을 확립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의 각기 다른 수요에서 출발해 실버타운 디자인에 적합한 요건을 파악하고,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여 실행 가능하고 적절한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성과는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을 분석하고 치유 개념 적용 방식 결합하여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하는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치유 개념을 합리적으로 활용한 디자인 방법과 현지 문화경관, 향토 식물자원을 활용해 편안하고 건강한 돌봄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방법을 실버타운에 적용해 식물, 지형, 도로포장, 물, 소품 표지에 활용되는 방법을 도출하여 실버타운의 다양한 실외 환경을 위한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실버타운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된다. 상기 서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의 기초적인 영향 요인을 결합하고, 노인의 수요와 선호를 참고하여 실버타운 치유환경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실시하고, 연구 성과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에 대한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실버타운 및 치유 환경 관련 이론과 동서양의 기존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연구와 관련된 개념 및 범위를 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치유 환경 디자인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했다. 노인의 실버타운 환경에 대한 수요를 근거로 일정한 디자인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의 신체 건강을 촉진하는 건강한 지역사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2) 노인의 행동 및 선호, 심리 및 생리적 특징 차원에서 출발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의 영향요소 및 디자인 원칙의 다양성을 분석하였으며, 실버타운 내 치유 환경 디자인은 안전성, 다양성, 현지성, 적극성, 그리고 교화 역할 등의 원칙을 기준으로 노인의 ‘즐거운 노후, 안정적 노후’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 실버타운의 정원 치유환경 계획의 목표를 분석하여,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간의 연계 및 영향을 종합하였다. 실버타운 환경의 치유 개념 적용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동서양의 비교적 대표성을 지닌 몇 가지 실버타운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중국 베이징(北京) 동방태양성(东方太阳城)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고 상기 연구 내용과 결합하여 중국의 치유 개념에 적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이론을 도출했다. 베이징 동방태양성을 위한 실버타운 환경계획 디자인 제안 및 방법을 제시하여 향후 치유 환경을 실버타운 내에 조성할 수 있도록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이론과 참고 근거를 제공하였다. (3) 치유 환경 디자인의 역동성, 전체성, 연관성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 환경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참고 문헌, 기존 연구 성과 등을 결합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체계를 구축하였다. 치유 개념을 기반으로 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은 노인 감각기관의 충분한 자극, 자연 공간의 쾌적함 강화, 다양한 식물 선택, 활동 공간의 안전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식물 등 여러 조건을 충분히 활용하여 인체에 대한 자연환경의 치유 기능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회복을 도모해야 한다. 실버타운 환경의 구역 요소와 지역문화 요소 등을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할 때의 구체적인 디자인 요구사항 및 응용 방법을 도출해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의 다양화는 노인들의 산책, 명상, 신선한 공기 호흡 등의 활동 수요를 만족시킨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는 현지성, 적극성 및 교화 등의 원칙에 따라‘노인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즐거움을 얻는다. (老有所乐, 老有所学)’심리를 만족시켜야 한다. 또한 시설 내부 및 주변 공기 질, 토양 환경, 물, 교통 편의성 등의 요소도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에 대한 노인의 만족도와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했다. 첫째, 실버타운의 환경과 분위기. 미학적 특징의 경우, 시설의 전체적인 색의 조화, 공간의 크기와 환경의 쾌적함, 식물의 계절적 변화와 레이어 등을 중시해야 한다. 문화성의 경우, 일정한 지역 문화를 구현하고, 타운 내 문화 발전에 힘써야 한다. 생태성의 경우, 좋은 식물 군락과 합리적인 식물을 재배하고, 경관 환경 요소와 식물을 합리적으로 배치해야 한다. 식물을 선택할 때 반드시 실버타운의 입지를 고려하여 남부 식물 혹은 북부 식물을 심을 것인지 결정해야 하며, 식물의 오감기능을 중시하여 교목, 관목, 화훼, 지피류 등 다양한 식물 종류를 선택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노인의 신체재활에 도움을 주는 식물이어야 하며, 식물 색을 배합할 때 계절감이 비교적 뚜렷한 식물을 선택해야 하지만 침엽수, 버들개지 및 독성이 있는 식물은 사용해서는 안 되며 노인의 신체 건강을 위한 식물을 선택하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 둘째, 실버타운의 공간 배치. 교통의 접근 용이성의 경우,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 체계를 갖춰야 한다. 공간 인식 용이성의 경우, 명확한 표지와 공간 디자인을 사용해 간결하고 명확한 공간 배치를 해야 한다. 셋째, 실버타운의 공간 조성. 공간 적응성의 경우, 노인의 다양한 활동 등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참여성의 경우, 다양한 노인의 개성과 수요를 중시하고, 단순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시설 등을 조성해야 한다. 공간 영역으로는 다층적인 공간 등을 디자인해야 한다. 넷째 실버타운의 인성화 디자인: 안전성의 경우, 완벽한 예방 보호조치를 취하여 디자인에 존재하는 안전 문제 등을 없애야 한다. 무장애 디자인의 경우, 실버타운 내 도로의 무장애 통행 등에 신경 써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는 미비한 점이 많으며, 앞으로의 학습 및 연구를 통해 좀 더 심층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키워드: 치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 대학교 학점은행제 실용무용 교육과정의 비교연구

        박연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 실용무용(스트릿 댄스)은 수많은 매스컴의 관심과 주목을 받고있다. 그로 인해 실용무용 (스트릿 댄스)은 여러 가지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실용무용의 역사 및 용어 정리가 확립되는 중이다. 그중에서도 교육적 영역의 확립은 무용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교 내 학점은행제 시설 운영이 활발한 오늘날, 학점은행제 평가인정 과목 수가 20개 이상인 대학교 중 4년제 학교에서 운영 하고 있는 4개의 학교(상명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국민대학교 부설 평생 교육원, 한양대학교 부설 미래 인재 교육원, 세종대학교 미래교육원)을 선정하여 학교의 이론 및 실기교과목 교육과정과 교육 목표를 문헌조사와 사회조사를 활용하여 선행 논문, 인터넷 조사, 통계치 분석 및 인터뷰를 통해 고찰하고 각 학교 학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해 대학교 학점은행제 실용무용 교육과정의 방향성과 교육적 발전을 위해 문헌 연구를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별 교육 목표는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전문 인재 양성이라는 공통점을 지니며 더 나아가 다양한 장르를 습득하고, 기초이론 및 실기 교육 습득하여 개인의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둘째, 기관별 교육과정은 표준교육과정과 학점인정과목 (일반선택), 전공 심화 과정으로 구분되며, 표준교육과정은 전공 필수와 전공 선택으로 심층적 탐구를 진행하였다. 전공 필수는 총 8과목으로 기관별로 8과목 모두 운영하고 있으며, 전공 선택은 기관별로 차이가 있으나 모두 15과목 이상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학점인정 과목(일반선택)은 기관별 개설 운영과목이 큰 차이를 보였으나, 힙합Ⅰ,힙합Ⅱ의 과목은 4개의 기관 모두 운영 중이었다. 이는 각 기관의 학생들에게 열려있는 실용무용 관련 학점인정 과목이기 때문에 4개 기관 모두 운영 중인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전공 필수, 전공 선택, 학점인정과목(일반선택) 모두 힙합Ⅰ,Ⅱ를 제외하곤 대부분 순수무용 과목과 타학과 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었다. 또한 이들의 과목 수를 합한 이론 및 실기 과목 비율이 70% 이상 실기 과목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용무용 전공 심화 과목은 기관별 학과 교수역량으로 개설이 가능하며, 학점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지만 부족한 실용무용 역량을 채우기 위해 개설되고 있다. 과목은 락킹, 왁킹, 팝핀, 비보잉, 등으로 운영된다. 4개 기관 모두 모든 실용무용(스트릿댄스) 장르를 전공 심화 과목으로 운영 중이었다. 그중에서도 세종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은 21세기 멀티 무용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목표를 따라 개성과 특성이 보이는 다양한 전공 심화를 운영 중이었다. 그러나, 4개 기관의 전공 심화 과정 모두 실기수업으로 이론 수업이 전무 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한·중 무형문화유산 관련 전공 설립과 인재 양성 비교 연구

        왕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63

        한·중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비교 연구 무형문화유산은 세계 각국의 대중이 창조한 우수한 문명이다. 비록 경제의 세계화, 도시의 현대화 그리고 다른 문화권과의 충돌을 겪고 있지 만, 무한한 발전 가능성과 성장력,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점차 국가의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요소이자 문화적 원동력이 되고 있다. 무형문화유 산의 전승과 보호는 정책·입법적인 보호 단계, 디지털화 보호 단계, 생산 적 보호 단계, 교육적 보호 단계 등을 겪었고 최종적으로 현재의 교육학 과적 보호 단계로 발전하였다. 무형문화유산 학과 보호의 전개는 전체 사 회구성원의 상호존중과 화해·공생에 유리하고 최종적으로 무형문화유산을 전승해야 한다는 자각 행위를 형성하였고 인간의 전면적 발전과 사회적 화해를 촉진하고 있다. 한·중 양국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은 무형문화유산 보호 실천으로 깊이 각인되었으며, 특히 끊임없이 발전 하고 완벽해지고 있는 무형문화유산 보호법률, 무형문화유산 보호정책, 무 형문화유산 보호 체계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에 대한 영향력은 직관적이고 뚜렷하다. 여러 해의 발전을 거쳐 한·중 양국은 각자 특색 있는 성과를 형성하였다. 하지만, 양국에서 학과설립은 장기적으로 보호 실천에 치중되 어 있었고, 학과의 독립성이 모호하고 학문적 기초디자인의 부족함 등의 문제가 두드러졌다. 대학교 내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교육과 연구에 종사하 는 교수 자원이 크게 부족하고, 교재가 미비하며, 교육평가 표준 지표의 부족함의 문제가 드러났다. 이 문제들은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발전 및 대 학교 내 무형문화유산 전승 교육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 대학교 교육체계 속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의 실천에 대한 정리, 분석, 비교를 통해서, 한·중 양국의 학술적 무형문 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에 관한 내용을 충실히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 체계 분석연구를 통해, 현대의 한·중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을 위한 심도 있 고 뚜렷한 이론적 연구 기초를 제공할 수 있었다. 학과 연구 속에 존재하 는 현실적 문제를 고찰함과 동시에 균형적인 무형문화유산 학과 체계를 설립하고,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체계적인 학술적, 교육적 디자인을 통해,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제도적 설립을 완성하는 등의 여러 방면에서 무형문 화유산 학과설립을 완성하는 데에 필요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기하였 다. 이는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배경을 참고하여, 본 논문은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개념과 함 의를 명확히 하였다.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형성 및 발전 과정, 학과의 규모와 현재 현황 등의 방면에서 충분한 비교를 진행했다. 이어서 학과의 설립, 인재 양성, 과정체계 3가지 측면에서 한·중 양국의 대학교 교육체계(학부 교육단계와 대학원 교육단계) 속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비교하였다. 대학교에서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설립은 대부분 지방의 무형문화유산 과 결합하며, 종종 학과의 위상과 특색 방면에서 대학교가 자체적으로 발 전시키지 않는 부분의 수요와 가치로 표현되기도 한다. 한국의 학부 교육 체계에 관해서는 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립안동대학교, 국립충북대학 교 3개 대학교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설립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중 국의 학부 교육체계 속 무형문화유산 학과에 관해서는 “문화유산”과 “무 형문화유산 보호” 2가지 전공을 연구 분석하였다. 이 2가지 전공에 총 31 개 대학교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 상황에 대하여 정리하고 통계를 냈으 며, 아울러 각 대학교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위상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대 학원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교육체계로 한국의 학과 분석 대상으로는 고려대학교, 중앙대학교, 동국대학교, 전북대학교 4 곳의 석·박사 양성 과정을 주로 분석하였으며, 무형문화유산 연수대학, 문 화유산협동과정 등도 포함하였다. 중국의 학과 분석 대상은 복단대학교, 화동사범대학교를 포함한 31곳, 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무형문화 유산 전공이 설치된 학교 18곳의 현재 전공 설치 상황과 각 학교의 교육 상황에 관해 비교 연구하였다. 인재 양성 방면의 비교는 주로 한·중 양국 대학교 교육체계 내 인재 양성 목표, 인재 양성 체계 및 교육 과정 양성 현황 3가지 측면에서 비교 를 진행했다. 본 논문에서는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인재 수요의 현황 을 분석했고, 한·중 각 대학교 인재 양성 목표를 정리했으며, 각 대학교의 인재 양성 표준 양식과 방법도 비교하였다. 또한, 공식적인 통계 수치에 근거하여, 일부 대학교 인재 양성 목표의 달성 상황, 인재 양성 체계의 과 학적 합리성 그리고 인재 양성 과정 및 무형문화유산 전공 인재의 실제 업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분석하였다. 학과과정의 디자인은 인재 양성의 기본 조건이며, 무형문화유산 학과 설립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인재를 양성하는 기초 요소일 뿐 아니라 학과설립의 구체적인 표현이기도 하다. 한국 대학교 무형문화 유산 학과의 과정체계는 학부 과정체계, 대학원 과정체계 이외에 문화유 산협동 과정과 무형문화유산 연수학교 과정이 있다. 상대적으로 대중적 보급 정도가 더욱 넓고 전문성이 있으며 “전면적 보급” 과정체계를 형성 하고 있다. 중국 대학교 학부 단계의 과정체계는 학생의 사상·품성·소양의 양성을 중시하고, 복수학과, 융복합 전공, 교차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실천과 이론을 동시에 중시하고 실제 조사연구와 보호 이론의 결합을 중 시한다. 이상에서 본 논문에서는 분석연구를 통해 8가지 무형문화유산 학과설 립과 인재 양성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1. 무형문화유산 학과 교육의 수립과 발전의 필요성을 명확히 하고, 대학교 내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여야 한다. 무형문 화유산 학과설립을 원활히 진행하려면, 우선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독립성 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다른 학과의 영향을 쉽게 받 게 된다. 필자는 국가의 역량을 빌려서 학계, 교육계에서 대학교 내 무형 문화유산 학과설립을 호소하고, 무형문화유산 학과를 독립된 학과로 설립 하고 인재 양성을 추진해야 한다고 본다. 2. 대학교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은 박물관과 현지와의 관계를 강화 하고, 지방의 장점과 결합하여 특색을 형성해야 한다. 3.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의 핵심은 인재 양성이며, 특색있는 무형문 화유산 인재를 분류하여 양성해야 한다. 현재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에 필요한 인재는 관리형과 연구형 인재 2가지 핵심 방향으로 나눌 수 있는 데, 실제 무형문화유산 학과 교육에서 우리는 관리형과 연구형 인재의 양 성 목표와 과정체계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4. 학제적(學際的) 성격을 따르는 기초 위에, 학과의 이론체계를 수립 하고 모듈화된 과정체계를 설립하며, 이론과 실천을 모두 중시해야 한다. 대학교 무형문화유산 학과 교육의 가장 핵심은 이론적 독립성을 확보하는 것이며, 동시에 학생의 실천 능력을 양성하는 데에 있다. 5. 무형문화유산 보호의 특징에 근거하여, 무형문화유산 교학 속 실천 활동의 비중을 강화해야 한다. 무형문화유산은 하나의 실천에서 나온 관 념으로 무형문화유산 보호와 전승의 실천적 특징을 주목해야 한다. 학과 교육은 단지 전통적인 지식 주입에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이론과 실천을 밀접하게 결합하여 교육, 전시 및 문화원형상품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새 로운 교육방식체계로 만들어야 한다. 6. 무형문화유산 전문 교학 팀의 설립을 추진해야 한다. 전통적인 무 형문화유산의 도제(徒弟) 제도와 비교했을 때, 대학교 무형문화유산의 전 승 교육은 독특한 장점을 가진다. 대학교의 교육자원과 학과 전공의 장점 을 더욱 잘 살릴 수 있고, 무형문화유산 전승자와 합작하여 무형문화유산 교육의 발전을 공동으로 추진할 수 있다. 7. 무형문화유산 “산, 학, 연, 창, 산”이 일체화된 플랫폼과 평가 체계 를 설립해야 한다. 사회경제의 쾌속 발전과 사회구조의 끊임없는 변화에 따라, 사회구성원들에게 더욱 강한 시대 적응 능력을 갖출 것을 요구받고 있다. 8. 무형문화유산 학과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처해 있음을 비추어 볼 때 학생들에게 정책적 우대와 재정적 보조를 많이 제공해야 한다. 학과설 립은 정책 방향과 재정적인 도움을 벗어날 수가 없으며, 특히 걸음마 단 계에서는 더욱 그렇다. 이런 제안들이 한·중 양국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한국과 중국의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성은 이미 가치 있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전면적인 무형문화유산 학과설립과 인재 양 성 이념 및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기반을 다지고 다방면으로 디자인 되어야 한다. 세계 각국은 더욱 많은 합작과 공유가 필요하여, 이를 통해 강대하고 건전한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국가와 정부는 무형문화유산 학 과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지지해야 하며, 재정적 지원과 정책적 지지를 제 공하여 학술계와 무형문화유산 전승자 사이의 상호작용과 합작을 격려해 야 한다. 또한, 대학교는 무형문화유산 학과의 설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야 하고 맞춤형 교육 과정과 인재 양성 계획 수립을 통해 우수한 교수 자 원 역량의 유입을 유도하는 한편 학생들에게 광범위한 무형문화유산 교육 을 제공해야 한다. 대중은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전승에 적극적으로 참 여하고 무형문화유산 문화를 전승하며,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과 발전을 추 진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자국의 문화 전승과 발전에 이익이 될 뿐만 아 니라 전 인류문화의 다양성과 풍부성에 공헌할 수 있다. 핵심 키워드: 무형문화유산 학과, 학과설립, 인재 양성, 과정체계, 비교 연 구

      • 헤어미용서비스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선택만족도와 고객신뢰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영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헤어미용서비스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선택만족도와 고객신뢰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헤어미용산업의 과열된 시장경쟁과 최근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불안요소는 헤어미용산업의 경영성과와 지속가능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헤어미용산업의 생존과 시장경쟁에서의 우위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고객이 인지하는 서비스품질은 필수 불가결한 요소가 되었으며 서비스품질 향상을 통한 미용서비스산업의 지속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요구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헤어미용서비스 산업에 있어서 헤어디자인숍의 서비스에 대해 고객이 지각하는 서비스품질이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때 고객이 형성한 고객신뢰도와 선택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지속 가능한 미용서비스산업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고객관리방안 및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각 변수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이론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를 근거로 도출된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헤어디자인숍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2020년 10월에서 2021년 2월에 걸쳐 약 4개월간 서울, 경기, 강원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집된 510부의 데이터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기분석, 위계적회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디자인숍의 서비스품질은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보장성, 공감성 등인 5가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인 최종학력, 종사직종, 가족 월 소득, 헤어디자인숍 방문기간에 따라 요인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응성은 최종학력과 종사직종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고 유형성과 보장성은 최종학력과 가족 월 소득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신뢰성은 최종학력과 종사직종, 가족 월 소득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며, 공감성은 최종학력과 헤어디자인숍 방문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객신뢰도의 경우 최종학력과 헤어디자인숍 방문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선택만족도의 경우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소비자행동의 경우 최종학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서비스품질이 고객신뢰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준다고 분석되었으며 유형성과 보장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품질의 하위요인 중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은 선택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형성과 보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서비스품질과 소비자행동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 보장성은 소비자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은 재방문의도에,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 보장성은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다섯째, 서비스품질과 소비자행동 간에 있어서 고객신뢰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 요인이 재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에 통계적으로 긍정적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서비스품질과 소비자행동 간에 선택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반응성과 신뢰성, 공감성 요인이 재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에 긍정적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헤어미용서비스에 있어서 소비자들의 긍정적 평가를 끌어내기 위한 서비스품질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함이 확인되었다. 빠른 속도로 변화해가는 소비자들의 관심과 요구를 기술적인 서비스만으로 채워줄 수 없는 현실에서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정확한 기대수준을 파악하고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서비스품질 유지 및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헤어미용서비스 이용 고객의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고객의 선택만족도와 고객신뢰도의 매개효과검증을 통해 차별화된 고객관리방안을 도출하고자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서비스품질의 5가지 요인은 일반적인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서비스품질 요인으로서 헤어미용서비스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진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 유형성, 반응성, 보장성은 소비자행동 고객신뢰도, 선택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정확한 원인 분석이 요구되며 미용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한 서비스품질 요인과의 관계성이 있는지 향후 연구에서 검증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 특성이나 사회,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미용분야에 적용 가능한 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시간적, 공간적 제한으로 인해 서울, 경기, 강원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한 표본의 한계점을 가진다. 이는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를 가짐으로 차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고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지역별 차이를 보는 연구를 진행한다면 미용분야의 지역별 균형적인 발전을 위한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ABSTRACT The Effect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on the Customer Behavior in Hair Beauty Service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Selection Satisfaction and Customer Confidence Young-Hee Ki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ngmyung University Division of Beauty Arts Business Administration by Professor Jong-Hoon Yang · Eun-Ju Ryu The overheated market competition in the hair salon industry and recent social instability factors caused by COVID-19 are having a serious impact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of the hair salon industry. In order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through achieving superiority on the hair and beauty industry and market competition, the service quality recognized by customers has become an indispensable factor, and the sustainability of the beauty service industry is demanded more than ever. In response, this study will verify the impact of customer perceived service quality on consumer behavior in the hair beauty service industry, verify customer reliability and choice satisfaction, provide basic data for sustainable beauty service industry,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customer management measures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prior study considerations are used to derive concepts and components of each variable and found out their influence by preparing the groundwork for the theory. In order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s derived from this basis,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on ordinary people who have experiences on visiting hair design shops. From October 2020 to February 2021, a survey on adult men and women living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was conducted for about four months, and 510 copies of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By utilizing the SPSS 21.0 program, various kinds of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random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s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s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rvice quality of the hair design shop was derived from five factors: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and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appeared on the factors of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family monthly income, and duration of visiting hair design shop. The responsiveness h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followed by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tangibility and assurance in terms of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monthly income. Moreover,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of reliability depending on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and the difference of empathy was driven by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and duration of visiting hair design shop. In the case of customer reli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visiting hair design shops, and in the case of selective satisfaction,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followed by any of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for the consumer behavio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reliability showed that it had significant influence in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empathy,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angibility and assurance.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empathy see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ective satisfaction, but tangibility and assurance have no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ourth, analysis of the impact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onsumer behavior have confirmed that responsiveness, reliability, empathy, and assurance have a positive impact on consumer behavior, and in particular, intention of visiting again the same hair salon was derived from the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empathy and oral intention was impacted by the reliability, empathy, and assurance. Fifth, after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reliability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onsumer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empathy factors mediate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s on revisit and oral intentions. Sixth, after finding out the mediated effect of selective satisfaction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onsumer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empathy factors mediated positive effects on revisit and oral inten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it became transparent that the service quality management for drawing positive evaluations from consumers in hair and beauty services is the most important agenda. In a reality with rapidly changing consumers' interests and needs cannot be filled with technical services alone, efforts are continuously required to identify the exact level of expectation demanded by consumers and to maintain and improve the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consum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on consumer behavior of customers of hair and beauty services and to drive out the differentiated measures of customer management by verifying the medium effectiveness of customer selective satisfaction and customer reliability. However, the five factors of service quality used in this study are service quality factors applicable to general services and eventually, they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not reflecting the special and unique traits of hair and beauty services.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angibility, responsiveness, and assurance do not partially affect consumer behavior, customer reliability and selective satisfaction, and this result definitely requires an analysis of exact reason, and verification through future studies of relationships with service quality factors that reflect special and unique traits of beauty criteria. By doing so, if various studies are conducted considering consumer characteristics or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t is believed that more meaningful results will be obtained which are applicable to the beauty criteria. In addition, due to the limitations on time and spac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limited samples selected and studied by consumers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Gangwon-do areas. Since it brings about limitations o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f the future research expands its research targets to the nationwide scale to generalize the results and views the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large and small cities, it will be a meaningful study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 the beauty sector. Keywords: hair design shop, service quality, customer reliability, selective satisfaction, consumer behavior

      • 시민정원사 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 -경기도 시민정원사 중심으로-

        신재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Gardening is the aesthetic act and the conscious expression of humans about sense, thought, emotion, and opinion. Gardening is also one of the most practical life culture that positively relates to the nature. The nature is a place that closely connects to clothing, food and shelter. In Korea, as the garden culture spreads and nature-friendly activities among citizens increase, the local governments have implemented a gardening expert training and a certification system for improving general citizens' expertise in gardening and for spreading the garden culture in life in order to be away from existing urban greening activities l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to encourage citizens to participate in voluntary and greening activities for improving expertise. Other local governments also follow the subjects and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for citizen gardeners in Gyeonggi-do and manage similar curriculums such as gardening education. Especially, Gyeonggi-do, the target area of this study, has operated a certification system for citizen gardeners since 2013 and trained 900 civil gardeners until 2019 based on 「Green Conservation Act of Gyeonggi-do. Other local governments are also operating similar courses to the curriculums for civil gardeners in Gyeonggi-do such as municipal gardening education. Korea Forest Service is operating various gardening education for from beginners to experts. A revision of 「Act on the Creation and Promotion of Arboretum and Garden」(abbreviation: Arboretum law) is an example of efforts. This study has three aims: 1) to analyze citizen gardeners' future roles, problems of curriculum, and the solutions for the problems to be improved, 2) to plan ways to strengthen civil gardeners' competency and expertise community gardening activities, and 3) to suggest ways for citizen gardeners to perform actively in the real situations. As for method, the survey on gardening awareness was conducted with citizen gardeners, attendees in a garden university, and non civil gardeners. The item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civil gardeners were organ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FGI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ublic officials in charge and experts of civil gardeners. The survey respondents accounted for 64.1% of women in citizen gardeners and 51.3% in their 60s. 56.0% of women accounted for the curriculum in garden universities. Among the non civil gardeners, 58.8% were men and 52.9% were in their 50s. For the investigation on the perception of civil gardeners an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experts and public officials in charge were interviewed with following items: 1) certification period and recertification for civil gardeners 2) directions to improve volunteer time and performance recognition 3) application of public sectors, and 4) items for plans to utilize and support civil gardeners As a result of FGI experts in depth interviews, citizen gardeners' cerfitication period and recertification were proposed. The activities of civil gardeners were advised with interviews about volunteer hours and performance recognition. The improvement of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specific categorization of volunteer confirmation were suggested from the experts among current civil gardeners Specifically, for the suggestion of the ordinance amendment, regardless of the fixed periods of 4 years/ 2 years, re-certification could be possible by submitting the volunteer performance confirmation. To solve the problem about volunteer performance confirmation, the division of service and areas and the categorization of types of service are very urgent, which was also suggested with the amendment of ordinance. To activate the public sector, information should be organized by conducting complete surveys of parks and green spaces located in urban areas, such as roof gardens, garden fairs, city parks, neighborhood parks, and children's parks. It is suggested that civil gardeners continuously manage those parks and green spaces for citizens to feel the improved quality of life in clean parks. As the civil gardeners in Gyeonggi-do are nominated for the target of Enforcement Rule of Gyeonggi-do Garden Culture Industry Ordinance Article 2 (the target of extended support in garden culture),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1) to expand service spaces, 2) to increase education for empowerment, 3) to revise direct costs, and 4) to develop further curriculum. This study was conducted because there were few studies to revitalize civil gardeners. Hence, a research with civil gardeners and non civil gardeners was administered in Gyeonggi-do. The survey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Gyeonggi-do institutionally and actively prioritizes civil gardeners, knows and understands the roles of civil gardeners better than other local governments. For the future revitalization of civil gardeners, the improvement of civil gardeners’recertification system, the activation of the public sectors, and the need for further education would be the priorit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source to prepare the plan to revitalize civil gardeners when discussed with related organizations. 국내에서는 정원문화 확산과 일반시민들의 자연친화적 여가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시민들의 자발적 녹화 활동을 참여하기 위해 정원문화를 확산 시키고자 법률 및 조례를 개정하고 전문지식 함량 및 역량강화를 제고하고자 양성교육 및 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지 범위인 경기도는 「경기도 녹지보전조례」에 따라 2013년 시민정원사 인증 제도를 운영하였으며, 2019년 기준 900명의 시민정원사를 양성하였다. 또한, 기타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경기도 시민정원사 교육과정에 따라 지자체 가드닝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산림청은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약칭: 수목원법)을 제정하는 등 취미적 가드닝 교육부터 전문가 교육과정까지 다양한 가드닝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민정원사의 향후 역할과 운영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분석하여 시민정원사의 적극적 참여 유도를 위한 방안, 시민정원사의 역량 및 전문성 강화, 지역사회 정원 활동 강화 방안을 마련하여 시민정원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정원가꾸기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시민정원사, 가든대학, 일반인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정원사 제도적 개선방안을 위한 항목을 구성하였으며, 담당 공무원과 시민정원사 전문가를 대상으로 FGI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응답자는 시민정원사에서 여성이 64.1%, 60대 51.3%로 나타났으며, 가든대학 교육과정에서는 여성이 56.0%, 50대 52.0%, 일반인에서는 남성이 58.8%, 50대 52.9%로 확인되었다. 정원 가꾸기 관심정도는 높은 관심도에 따라 정원 가꾸기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높은 잠재력을 확인하였으며, 경험여부를 통해 정원관련 교육이 지속적인 정원 가꾸기 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원 가꾸기를 지속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공공공간의 확보가 필요 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 정보 등에 대한 부족함에 따라 참여자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네트워크 조직을 통한 정보교류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정원사의 제도관련 인식에서는 시민정원사 제도에 관하여 잘 알고 인지하고 있는 그룹은 시민정원사와 조경가든 대학과정의 일부 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응답자였으며,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응답자는 대부분 일반인으로 나타났다. 시민정원사의 인식 실태와 제도적 개선마련을 위해 심층적 결과를 얻고자 1)시민정원사 인증기간 및 재 인증, 2) 자원봉사시간 및 실적 인정 관련 개선방향, 3) 공공분야의 활용방안, 4) 시민정원사 활용 및 지원계획의 항목을 구성하여 전문적인 논의를 전문가와 관련 담당 공무원의 인터뷰를 통해 실시하였다. FGI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시민정원사 인증기간 및 재 인증과 자원봉사시간 및 자원봉사실적 인정 관련 인터뷰를 통해 시민정원사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시민정원사 전문가를 통해 인증제도의 개선과 세부적 사항인 자원봉사활동 실적확인서의 유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평균이상의 봉사활동을 하는 시민정원사들에게도 4년/ 2년 기간에 관계없이 자원봉사실적 확인서를 제출하면 재 인증 받을 수 있도록 조례개정안을 제시하였고, 자원봉사실적확인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봉사분야의 구분과 봉사의 유형분류가 매우 시급하며, 이 역시 법적 조례개정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분야 활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 지자체내에 산재되어 있는 옥상정원, 공원, 정원 박람회장, 도시공원, 근린공원, 어린이 공원 등 도심권 내에 위치한 공원 녹지 등을 전수 조사 하여 정보를 구축하고 시민정원사가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하여 시민들로 하여금 쾌적한 공원에서 삶의 질이 높아졌음을 실질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경기도 정원문화산업 진흥 조례 시행규칙 제 2조 (정원문화 확산 지원의 대상)으로 경기도 시민정원사 등이 명시됨에 따라 봉사 공간 확충, 역량강화 교육 확대, 직접비에 대한 개정, 심화교육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시민정원사 활성화를 위한 기존 연구가 미비함에 따라 시민정원사, 일반인 그룹을 대상으로 경기도를 공간적 범위로 연구를 수행한 바, 타 지방자치단체와 달리 시민정원사로써 제도적, 활동적으로 우선시 되어 보다 시민정원사의 역할을 잘 알고 이해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설문결과가 유의하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시민정원사의 활성화를 위해 우선시 되어야 할 사항으로 시민정원사 재 인증관련 제도의 개선, 공공분야의 활성화, 심화교육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며, 관련기관과 협의 시 시민정원사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 음악대학의 음악산업 교육과정의 필요성

        김유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연구자가 4년제 음악대학의 작곡전공 교육과정을 통해 체 감하였던 실태에 대하여 말하고자 객관적인 자료확보를 통한 연구결과를 제시함과 동시에 이를 위한 해결과 발전에 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DAW에 대한 소개와 그에 관한 전문성을 갖추는 과정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강점, 그리고 그 역량을 갖춘 이가 현 시대에서 음악가로써 살아갈 때의 이점을 기술하였다. 먼저 서론을 통해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말한 후 이를 위한 연구 방법과 그 범위를 제시하고 또 이에 대한 선행연구도 조사하여 목차에 맞 게 그 내용을 인용하였다. 우선적으로 조사한 음악 대학교의 작곡 커리큘 럼 현황에 대해서 국내, 미국, 독일을 조사하며 대학교 선정은 음악 내에 서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교회음악 중심의 커리큘럼,4년재 음악대학의 평균적인 커리큘럼, 실용적 교육에 대한 비중을 높인 커리큘럼 등 총 3개 의 관점을 갖고 조사하였다. 추가적으로 지리적 측면에서 대한민국과 마 찬가지로 극동아시아에 속하는 일본에서 대표격으로 말할 수 있는 음악대 학의 교과과정까지 조사하여 총 4개의 국가에서 17개의 음악대학을 조사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음악 산업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인재들의 역량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해 현장에서 활동하는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 다. 음악 산업현장은 총 영상음악,Pop 음악, 음향 등 3가지로 카테고리화하여 진행하였고 또한 음악 산업현장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음악가 중 국내 음악대학을 졸업한 사람들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음악대학의 교육과정을 통해 공부하고 있는 음악대학의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한 17개 음악대학의 커리큘럼과 음악 산업현장에서 진행한 인터 뷰, 교육 현장에서의 학생대상 설문조사를 최종적으로 종합하고 비교분석 하여 이 모든 내용이 DAW에 대한 역량강화 필요성을 포함하여 말하고 있음을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DAW 역량강화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많은 이점들에 대해서 나열하여 최종적으로 연구과정과 결과가 사회적 요 구에 부응하는 음악대학 작곡전공 교육과정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기대한다. Abstract The Necessity of the Music Industry Curriculum at Music Universities in Korea - A Study on the Curriculum Improvement Plan - This paper presents the research results by securing objective data to talk about the situation the researcher experienced through the four-year music Umiversities composition major curriculum and for describing the positive effects from having the DAW expertise, introduce DAW and relate the benefits of living in this age. First,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research are mentioned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then the research method and scope for this are established. In addition, previous research data related to these were also investigated and the contents were cited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for the composition curriculum of music universities, Korea,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were investigated, and the university selec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perspectives: church music-oriented curriculum, average curriculum of four-year music universities, and practical education. In addition, in terms of geography, the curriculum of music universities in Japan, a country in Far East Asia like Korea, was investigated. So 17 music universities were surveyed and compared and analyzed in a total of 4 countries. After that, this paper shows interviews with people working in the field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etencies of talent essential in the music industry field. The music industry site was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total video music, pop music, and soun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musicians who graduated from music universities among active musicians in the music industry site. And for the Final, a survey was conducted on undergraduates of the College of Music who are currently studying through the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Music. By synthesizing and analyzing the curriculums of 17 music universities, interviews conducted at music industry sites, and survey results for students at education sites, all of these contents were studied including the need to acquire professional skills for DAW. In conclusion, we recognize many advantages that can be expected through acquiring professional skills for DAW and hope that research courses and resul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composition major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Music to meet social needs.

      • 공동주택 관리비 및 종사자 고용에 관한 실증연구

        강현석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independent papers on multi-family housing. Each paper investigates determinants of a management fee of multi-family hous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employing its management work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imum wage and the employment conditions of multi-family housing security guards. In part I, introduction, the background, purpose, and structure of the study were introduced, and in part II, the significance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nd the employment conditions of related workers were reviewed with the institutional perspective. In part III, IV, and V, empirical researches were performed for each subject. Finally, in part VI,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integrated, implications were drawn,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ask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In the first article, the purpose is to establish three models on total management fee, common management fee, and individual fee and to quantify the effect of variables on each management fee model. It is noted from the fact that apartment housing management fee is affect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physical and lo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gional factor, the common management fee was lower in Giheung-Gu and Cheoin-Gu compared to Suji-Gu by 28.959 and 46.534 won/㎡. The management fee was the highest in sold multi-family housing compared to rental ones for all the three models. The individual management fee was strongly affected by heating type, resulting in higher management fee for district heating system. In addition, more recent multi-family housing was associated with higher total management fee and individual fee compared to old ones. The number of households showed negative(-) effects in all three models, being found to be economies of scale. Since this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three models of total management fee, common management fee, and individual fee were affected by different determinants with different magnitudes one another, therefore, draws a conclusion that the efficient operation of management fee requires a differentiated response pla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determinants of major items of management fee. The purpose of the second article is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f employment for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workers such as security guards, and cleaners and to quantify their influences. It was noted that the employment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workers is affected by various variables such as regional factors and parking control system instal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recent multi-family housing (Pangyo/Gwanggyo) employed fewer workers for all three kinds of jobs compared to the older one (Bundang), by 2.472 persons per complex for the manager, 1.609 for the cleaner, and especially 6.274 for the security guard. This implies that a more effective job creation policies such as new work to improve management service quality and job discovery are needed to force new employment of an appropriate number of workers in the newly built multi-family housings. The third article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minimum wage on the employment, wage, and working hours of multi-family housing security guards. This was due to the recent sharp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which became a restriction of demand for security guards, and most of the multi-family housings are quick to repose on labor cos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for each 1%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the employed worker per complex decreased 0.023 or 0.081, the monthly wage increased 0.41-0.74% or 0.79, and monthly working hours decreased 0.61-0.70 hours or 0.53 hours. Consequently in order for the effect of policy to be realized by reflecting the minimum wage increase to the security guard wage increase without loss, the statutory working hours of security guards should be stipulated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general workers by amending the supervisory worker regulations, or the improvement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welfare support policies that directly benefit the security guard are needed. 본 연구는 공동주택과 관련된 세 개의 독립된 논문으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논문은 크게 공동주택 관리비의 결정요인, 공동주택 관리 종사자의 고용변동요인, 그리고 최저임금과 공동주택 경비원의 고용여건과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1장 서론은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구성 등을 살펴보고, 2장에서는 공동주택관리의 의의 및 종사자의 고용여건을 제도적 측면에서 검토했다. 3장에서 5장까지는 각각의 주제별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끝으로 6장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를 제시했다. 첫 번째 연구는 전체관리비, 공용관리비 및 개별사용료의 세 가지 모형을 설정하여 어떤 변수가 세가지 모형의 관리비 결정요인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계량화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공동주택 관리비가 물리적 특성 및 지역요인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착안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역요인으로 공용관리비는 수지구보다 기흥구와 처인구가 각각 단위면적(㎡)당 28.959원과 46.534원이 낮게 나타났다. 소유형태요인은 분양 공동주택이 세 모형 모두에서 높은 관리비가 부과됐다. 개별사용료는 난방형식의 영향을 크게 받아 지역난방일수록 관리비가 높았으며, 최근에 지어진 공동주택일수록 전체관리비와 개별사용료가 높았다. 세대수는 세 가지 모형 모두에서 음(-)의 영향력을 미쳐 규모의 경제가 작용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본 실증분석에서는 세 가지 모형 모두가 각각 다른 결정요인으로부터 다른 크기의 영향을 받아, 관리비 주요항목의 성격에 따라 차별적인 대응방안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두 번째 연구는 관리원, 경비원 및 청소원 등 세 가지 모형 각각의 고용변동요인을 찾아내고 그 영향력을 계량화하는데 목적을 뒀다. 종사자의 고용변동이 지역요인 등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착안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2기 신도시 공동주택에서 세 모형의 종사자 모두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다 최근에 지어진 판교 및 광교신도시가 분당신도시보다 관리원은 단지당 2.472명, 청소원은 1.609명, 경비원은 6.274명이 적은 결과를 보여줬다. 따라서, 신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관리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업무를 발굴하는 등의 적극적인 고용창출 정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세 번째 실증분석은 최저임금제가 공동주택 경비원의 근로자수, 임금 및 근로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최근 최저임금이 급격하게 오른데다 공동주택 공급의 한계로 경비원 노동수요가 제한되었고, 대부분의 공동주택단지가 인건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현상에 착안했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저임금이 1% 인상될 때마다 경비원수는 약 0.023명 또는 0.081명이 줄어들고, 월 임금은 0.41~0.74% 또는 0.79%가 증가하며, 월 근로시간은 0.61~0.70시간 또는 0.53시간이 감소하는 결과를 도출했다. 최저임금이 오른다 해도 경비원 임금을 곧바로 인상하는 대신에 경비원의 감축, 근로시간의 조정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선택적으로 반응한다는 실증적 결과를 보였다. 특히 공동주택 경비원의 고용감소 수치와 월 임금의 낮은 인상률은 경시될 수 없는 수준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최저임금제가 목표로 하는 고용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경비원의 근로시간을 일반근로자 수준으로 규정하거나 경비원에게 직접적인 혜택이 미치는 복지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 무용전공 여중생과 일반 여중생의 척추측만증

        정원정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여중생과 일반여중생의 척추측만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예술중학교에서 무용을 전공하고 있는 여중생 91명과 일반중학교에서 무용을 전공하지 않은 여중생 60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Screening test인 전방굴곡 검사(Adams test)와 척추후면 검사를 카이검증의 자료처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무용전공여중생집단과 일반여중생집단의 척추측만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무용전공여중생집단과 일반여중생집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무용전공여중생집단은 일반여중생집단보다 척추측만이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여중생집단과 일반여중생집단의 척추측만 형태를 분석한 결과, 무용전공여중생집단과 일반여중생집단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무용전공여중생집단과 일반여중생집단의 척추 변형을 분석한 결과, 무용전공여중생집단과 일반여중생집단의 척추 변형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 헤어미용서비스의 라포형성이 관계품질과 장기거래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정향옥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헤어미용서비스는 숙련된 기술과 창의적 예술 감각을 바탕으로 고객 만족을 달성해야 하는 종합예술서비스로써 고객과의 우호적인 관계 형성을 통해 이윤 창출 및 지속 가능한 미용실 경영을 도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객과의 관계의 정도를 평가하는 개념인 관계품질의 중요성 인식을 바탕으로 관계품질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로써 고객과의 친근한 유대감 형성인 라포형성을 선정하고 종속변수로서 고객과의 지속적이며 장기적인 거래유지 의도인 장기거래 지향성을 선정하여 각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각 변수의 개념과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헤어미용서비스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시행하였다. 2021년 1월 15일에서 2월 15일까지 약 한 달간 서울, 경기도, 인천, 충청도, 경상도, 기타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집된 720부의 데이터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 변량분석(One way ANOVA),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미용서비스의 라포형성이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예의바른 행동, 정보공유 행동, 공통배경 행동, 세심한 행동의 순으로 관계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나 유대 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헤어미용서비스의 관계품질이 장기거래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관계품질의 하위요인인 관계몰입, 관계만족, 관계신뢰 순으로 모두 장기거래 지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셋째, 헤어미용서비스에서 라포형성이 장기거래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예의바른 행동, 정보공유 행동, 세심한 행동, 유대 행동의 순으로 장기거래 지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확인되었으나 공통배경 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고객과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지속적이며 장기적인 거래 의도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미용 종사자의 예의 바르고 친절하며 진정성 있는 태도가 중요하다. 따라서 미용 종사자가 전문적인 고객서비스 태도를 습득하기 위해 외부 전문기관에 전문적인 서비스교육을 정기적으로 위탁받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고객이 미용숍을 지속해서 이용하는 것이 유익하며 가치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할 수 있도록 미용 종사자는 고객에게 헤어관리와 스타일링에 대한 전문지식과 조언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미용 종사자 스스로 모발에 관한 전문지식을 계속해서 탐구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조직적인 차원에서 교육과 특강, 워크숍 등을 통해 배움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도 있다. 셋째, 라포형성의 하위요인 중 공통배경 행동과 유대 행동은 부분적으로 관계품질과 장기거래 지향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고객의 성향에 따라 서비스 중 대화를 시도하거나 공통의 관심사나 주제를 찾기 위해 질문을 하는 것을 꺼리는 고객이 존재한다. 따라서 고객의 성향과 특성을 잘 파악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고객관리가 필요하며 고객관리 리스트나 고객 서비스일지 등을 작성하여 고객의 성향과 특성을 분석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이 특정 지역에 높게 분포하여 지역별로 균등히 배분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며,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진행된 횡단적 연구라는 점과 헤어미용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않은 일반적인 측정 도구를 사용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향후 연구에서는 일반화된 표본선정을 통해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이루어나가야 할 것이며 종단적 연구를 통해 관계품질과 장기거래 지향성이 변화되는 추세를 분석하여 좀 더 의미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해야 할 것이다. 또한, 헤어미용서비스의 특성을 잘 반영한 라포형성의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미용분야의 특수성에 입각한 보다 정확한 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헤어미용서비스의 라포형성이 관계품질과 장기거래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용분야의 인적자원관리 및 관계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 차별화된 고객관리 방안을 제공하여 지속 가능한 미용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진행되었다. 미용서비스분야의 관계품질 향상을 위해 미용 종사자의 역량개발 및 고객관리가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고객 만족과 차별화된 관계마케팅으로 지속 발전 가능한 미용숍 경영을 이루어나가야 할 것이다. Hair beauty service is a comprehensive art service that must achieve customer satisfaction based on skilled technology and creative artistic sense, and it must promote profit creation and sustainable beauty salon management through the formation of friendly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Therefore,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quality, a concept that evaluates the degree of relationship with customers, as a preceding variable that affects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 quality, rapport formation, which is the formation of a friendly bond with customers, is selected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by selecting the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which is the intention of maintaining long-term transactions and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 and constituent factors of each variable were deriv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theoretical foundation was established by grasp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derived from this,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general public with experience in using hair beauty services. From January 15, 2021 to February 15,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he general public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Incheon, Chungcheong-do, Gyeongsang-do, and other regions for about a month. The collected final 720 pieces of dat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 way variance analysis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rapport formation of hair beauty services on relationship qualit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the order of polite behavior,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common background behavior, and meticulous behavior, but bond behavi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quality of hair beauty services on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all of the sub-factors of relationship quality, in the order of relationship commitment,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trus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nterest in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rappoort formation on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in hair beauty servic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was observed in the order of polite behavior,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careful behavior, and bonding behavior. Although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n effect, the common background behavior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 would like to present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polite, kind and sincere attitude of beauty workers is important in order to establish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customers and to improve the long-term transaction intention. Therefore, it would be a good idea for a beauty workers to regularly entrust professional service training to an external professional organization in order to acquire a professional customer service attitude. Second, it is important for hairdressers to provide professional knowledge and advice on hair care and styling to customers so that they can expect that it will be beneficial and valuable for customers to continue to use hairdressing salon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explore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hair by themselve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learning through education, special lectures, and workshop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rapport formation, common background behavior and bond behavior partiall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lationship quality and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In other words, there are customers who are reluctant to ask questions in order to find a common interest or topic or attempt a conversation among services according to the customer's disposition. Therefore, systematic customer management is necessary so that the customer's disposition and characteristics can be well understood, and efforts to analyze the customer’s disposition and characteristics by preparing a customer management list or a customer service log will be require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re highly distributed in a specific area and cannot be evenly distributed to each area, and it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a cross-sectional study conducted based on a certain point in time and that a general measuring tool that does not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hair beauty field was used. In order to improve this,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selection of generalized samples, and it is necessary to derive more meaningful research results by analyzing trends in relationship quality and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through longitudinal research.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accurate research based on the peculiarity of the beauty field by developing a measuring tool for rapport forma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hair beauty services well.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that analyzes the effect of rapport formation in hair beauty services on relationship quality and long-term transaction orientation, helps to establish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relationship marketing strategies in the beauty field, and provides differentiated customer management measures in sustainable beauty. In order to improve the relationship quality in the beauty service field, the competency development and customer management of beauty workers should be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conducted.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achieve sustainable beauty salon management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and differentiated relationship marke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