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미국 정규 미술치료 석사교과과정 비교 연구

        노정석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a comparison of curricula for art therapy of 17 graduate schools in Korea and 7 universities in the USA with a view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curricula as well as education for art therapy of both countries and, by thus, to help domestic institutions establish a future-oriented curriculum for art therapy. This study will also do much for the graduate students who are currently studying art therapy as a major to find what is required of to become an art therapist and for the professional art therapists who are practicing art therapy upon finishing the graduate course to fill up their weakness that has come to forefront in their career. The graduate course for art therapy in Korea may b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small number of subjects related to art therapy are set up at the graduate schools compared to those of the USA and they are providing less than 30 credits in general, which makes it urgent to introduce new curricula in a move to enhance competence of art therapists and improve the related educational systems. More than 50 credits at least should be available to ensure better qualification of art therapists in reality.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to stipulate the qualification for admittance to graduate schools to be furnished only to those who have completed and acquired basically more than 12-18 credits in the practice course of art and more than 12 credits in the course of psychology at college, as most universities and colleges do in the USA. Since, however, it is actually impossible to specify qualification for admittance in Korea as is done in the USA, it should be reques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credits at graduate schools for those who have to take courses in psychology and art practice which they can't take at college. The current level of around 30 credits must be far behind from the requirements for training high-quality art therapists. Art therapists in the USA shall be regarded in fact as very superior to those of Korea who have to take courses in psychology as well as in practice at graduate schools in parallel with other subjects that are almost half in number of those in the USA. Although it is possible for those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course of art practice at college to advance to graduate school to attend the class training art therapists in parallel with psychology, most students in Korea who have attained bachelor's degree at the college of humanity and social science, not at the fine arts college, take the master's degree program at graduate school to become art therapists. In other word, they become art therapists having just completed the training course for art therapists without understanding to fundamentals of fine arts, causing a vicious cycle eventually. The program for art therapy at graduate school may be considered to be systematically operated, to say the least, but the problem is that lots of people who have only been trained by the short-term courses at other than graduate schools and are therefore not qualified are actively engaged in practice in the name of art therapists. This, above all, should be rectified definitely and urgently by introducing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for art therapists. It is encouraging to see that handicapped persons have come to greatly benefit from various policies including the activated boucher project that was introduc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ely, however, now is the time to take bold measures to straighten out the actual situation of Korea in which unqualified art therapists are actively practicing art therapy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voucher project. It is also suggested to revise the curricular for art therapy in the master's degree program in Korea since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even those who have successfully completed mater's degree programs are far behind from being regarded as properly qualified for practicing art therapy in the field due to exceedingly short number of credits and clinical practice hours according to the curricula compared to those of the USA. In case of the USA, qualification for art therapy is imparted only to those who are awarded with mater's degree for art therapy from 27 universities that have been accredited by the American Society of Art Therapy. Whereas, in Korea, there is no official organization yet recognized to provide qualification for art therapy but several academic societ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are doing the job loosely. The data concerning the license for art therapy issued by 4 domestic academic societies and regulations of ATR qualification of the USA are enclosed in this study in an attempt to make them serve as basic data for comparison and review before introducing a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for art therapists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17개 대학원의 미술치료 교과과정과 미국 7개 대학의 교과과정을 비교함으로서 양국 미술치료 교과과정 및 교육의 차이점을 간파하고 한국의 미술치료전공이 미래지향적인 교과과정을 개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술치료분야를 수학하고 있는 대학원생이나 이미 졸업하고 예술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는 전문 예술치료사들에게도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하여 어떠한 교과과정이 요구되는가를 간파함으로서 개인별로 부족한 부분의 지식을 보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대학원 과정의 특성은 미술치료 관련과목이 미국에 비하여 적게 개설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30학점 미만을 운영하고 있어 미술치료사의 질적 향상에 새로운 교과과정과 교육제도의 개선이 시급한 상태이다. 최소 50학점 이상의 교과과정을 운영하여야 현실적으로 미술치료사의 질적 향상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국과 같이 기본적으로 미술실기과정을 12-18학점 이상 수강한 자와 12학점 이상의 심리학 과정을 학부에서 수강한 자로 입학자격을 규정지을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입학자격을 미국과 같이 규정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이 따르기 때문에 결국 대학원에 입학하여 심리학 과목과 미술실기 과목을 수학하여야 하기 때문에 학점수를 늘려야 할 것이다. 현행 30학점 정도로는 양질의 미술치료사를 양성하기에는 너무나 부족한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대학원 과정이 학점도 미국의 대학원과정에 비하여 1/2 수준임에도 심리학이나 미술실기과정을 병행하여 수강하여야 하는 한국의 경우는 미술치료사의 자질이 많이 떨어져 있는 현실이다. 미술치료를 석사과정에서 수학하기 위하여 당연히 미술실기과정을 학부에서 수강한 자가 대학원에 입학하여 심리학과정을 병행하면서 미술치료사 양성과정을 수학할 수는 있지만 국내 대학원의 경우 미술대학 출신이 아닌 인문학 계열이나 사회복지 학사학위를 마치고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미술치료사가 되는 경우가 많다. 결국 미술의 기본을 이해하지 못한 상태로 미술치료사 양성과정을 거쳐 미술치료사가 되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다. 그나마 대학원 과정에서의 수학과정은 체계적으로 진행한다고 볼 수 있지만 문제는 대학원외의 단기교육과정에서 양성되는 무자격자들이 미술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 부분은 절대적으로 시급하게 국가 공인자격증 제도의 도입으로 정리되어 지기를 희망한다.

      • 국내 정규 미술치료 석사학위 청구논문의 연구 동향

        이수은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한국에 미술치료가 도입 된지 10여년이 지난 현재 미술치료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의 증가에 따라 미술치료 분야는 신 유망직종으로 떠올랐다. 이러한 시점에서 그동안 발전해온 한국의 미술치료 연구현황에 대해 의문을 품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미술치료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가 있긴 하였으나 제한적인 대상의 연구동향이며 다른 미술치료관련 연구 분야와 비교하였을 때 이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 미술치료의 발전현황과 향후 연구 분야의 필요성에 대해 알리고자 국내 개설된 정규 미술치료 석사과정 청구논문을 구조 분석함으로서 2001년부터 2011년 현재까지 발표된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각 대학원별 및 연도별 편수를 통계 처리하여 그 동안 미술치료연구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논문제목에 나타나는 연구대상과 연구주제를 분류하여 그 다양성과 변화를 파악함으로서 향후 미술치료 연구의 편중되지 않는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의 기초자료 수집은 국회도서관(http://www.nanet.go.kr/)과 한국교육학술정보원(http://www.riss.kr/)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미술치료로 검색된 정규과정 미술치료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한을 두고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21개 대학원 중 아직 청구논문이 발표되지 않은 대학원 한 곳을 제외한 20개 정규 미술치료 석사과정 논문 1083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10여 년 동안 한국 미술치료 학계의 연구는 매년 그 수가 급상승 하였는데 2001년 12편의 발표를 시작으로 2002년 34편, 2003년 60편, 2004년 62편에서 2005년 119편의 논문이 발표되면서 상승선을 나타내었다. 2006년에서 2007년도에 잠시 감소되었으나 2008년 정규과정 미술치료 대학원 추가 신설로 다시 증가하여 2010년 177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것은 한국 미술치료가 10여 년 동안 수직에 가까운 연구발전 하였음을 보여 준다. 둘째, 미술치료 대상자를 문제유형별로 구분하여 분류하였을 때 일반문제 현상 대상이 172편으로 전체 16%, 비장애일반인 대상이 154편으로 전체 14%의 비율을 보이며 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된 미술치료 보다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된 미술치료가 더 많은 비율로 연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미술치료 연구주제별 구분을 통해 분류하였을 때 정서를 연구주제로 다룬 연구가 총 293편, 전체 20%로 가장 많이 다루어졌으며 다음으로 기타연구, 자아개념-자아존중감이 전체 비율 중 20%를 차지하여 정서부분의 주제와 거의 비슷한 비율로 연구되었다. 이는 현대인의 정서적인 문제와 관련하여 미술치료 또한 정서적인 부분을 많이 연구해왔음을 알 수 있다. 연구자는 본 연구결과가 급성장해온 한국 미술치료학계의 향후 더 발전된 연구방향을 위한 자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en years after introduction in Korea, art therapy is now spotlighted as a newly emerging type of occupation accompanied with increasing concern and needs for it. At this point of time, it would be timely significant to have doubts about the past and current situation of development for its studies in Korea. Although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into the trends of studies on art therapy in the meantime, they were far more limited in scope and number than other studies related to art therap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is designed to explor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future needs of art therapy studies in Korea with a view to contribute to their progress in a balanced way.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into the number of theses that have been applied for master degree at the regular courses opened by domestic graduate schools from 2001 to 2011. The number of theses by institution and year was counted statistically to see how the studies on art therapy have been hitherto progressed as well as the subjects and topics of the studies were also classified by category to find diversity of and changes in them. The basic data for this paper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net websites of National Assembly Library (http://www.nanet.go.kr/) and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http://www.riss.kr/) for the theses that have been applied for master degree at the regular courses of graduate schools in the area of art therapy. A total of 1083 theses were put to analysis that were applied for master degree at the regular courses of 20 graduate schools in the area of art therapy excluding one that did not post any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theses applied for. The findings of the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for the last decade, the number of studies on art therapy in Korea has recorded a steep increase from 12 in 2001 to 34 in 2002, 60 in 2003, 62 in 2004, to 119 in 2005. After a little decrease in 2006 and 2007, the number started turning around on the upcurve after addition of regular courses for art therapy at graduate schools in 2008, reaching eventually 177 in 2010, an obvious evidence for almost vertical upturn for the period. Second, divided by sort of problems facing the subjects, 172 theses or 16% of all handled the subjects with general problems of disability while 154 or 14% handled persons without disability, a certain evidence showing that more studies on art therapy have been conducted to the non-disabled subjects than to the disabled ones. Third, classified by category of the study theme, the biggest number of 293 or 20% of the whole studies dealt with sentiment, and another 20% of studies handled miscellaneous themes and themes of self-concept or -esteem, featuring the aspects that attention was focused mostly on the issue of sentiment in art therapy in reflection of contemporary people's concern for emotional issues. Latly, it is the writer's wish that this paper may serve as a step stone for further progress of studies on art therapy in Korea that has grown at a steep pace.

      • 온라인 한·일 국제교류 프로그램 방향성에 관한 연구 - 동서대학, 규슈산업대학 국제교류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 동서대학, 규슈산업대학 국제교류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타케우치 칸타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is a study of the onlin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 of three universities conducted in 2021.to the recent global epidemic of COVID-19, online design learning has been conducted all over the Globe by different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prevent massive infections. In addition, there are many concerns about the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adopted by the leaders of the United Nations member states at the UN General assembly in September 2015.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select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ies that teach Design,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design education in the modern era to compare and analyze the history of design education, academic structure, online education method, class satisfaction of both universities, and seek the future of design learning. Therefore, the research target universities continued exchanges for more than 20 years and Dongseo University and Kyushu Industrial University were selected, which are design-specialized universities. Next, the history of design education in Korea and design education in Japan, the academic structure of both universities, and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s are described. Since Dongseo University is a design-specialized university, conducting an onlin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 course with Ulsan University and its overseas affiliated institutions, including Kyushu Industrial University of Japan. The three universities have been operating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through mutual visits every year during summer vacation. The program was converted to a new concept practical online class method. Research method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order.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4 to May7,2021, targeting a total of 106 students(78) and professors(28). The main content of the survey was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education methods in design universities, which mainly consists of practical classes. After identifying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online and face-to-face classes they were compar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 design education was presented. In Design educa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classes are both important, although theoretical classes can to be conducted online, and practical classes need to be conduct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such as how to conduct face-to-face classes, how to set the number of students in advance, or by time.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 second survey of 12 questions from April 24 to May 7, 2021, related to online education and the main content was education method, teaching method, and learning gap. The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ontents (special lectures, workshops, interim and final presentations) of the subjects of the international online exchange project, and the satisfaction of 53 participants. Another survey was conduc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terim announcement between October 15 and October 21, 2021. Third, it was conducted after the final presentation of the onlin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 course was completed. The period was held from December 07 to December 19, 2021. As a result, there were several problems such as language and communication problems between students, difficulties in investing time, etc., but overall satisfaction was 80% or more positive. Online education platforms can converge through new technology, virtual campuses and virtual classrooms based on future of onlin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 subject directions, SNS(Instagram, Facebook, YouTube etc.) and virtual space(AR, VR, metaverse). Research is conducted to develop and expand exchange projects in various countries, such as the use of language and culture, reinforcement of prior learning such as language and culture, and communication methods. 본 연구는 2021년 진행했던 3개 대학 온라인을 통한 국제교류프로젝트 교과목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코로나-19 감염병(COVED-19)의 글로벌 유행으로 현대시대는 온라인 통한 디자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UN(United Nations)지정한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한 발전목표인 4.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육의 목표(Quality Education)를 달성하기 위해 많은 고민과 갈등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시대의 디자인 교육 현황의 이해 및 파악을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디자인 대학교를 선택하고 양국의 디자인 교육의 역사와 양 대학의 학사 구조, 온라인 교육 방식 및 수업 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 이들 양 대학의 교육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연구대상 대학교는 20년 이상 교류를 지속하고 디자인 특성화 대학인 동서대학교와 규슈산업대학교를 선정하였다. 선행연구로써 온라인 교육의 개념 및 유형을 조사하였다. 다음, 한국의 디자인교육과 일본의 디자인 교육의 역사 및 양 대학의 학사구조, 국제교류 프로젝트에 관해 기술하였다. 또한, 디자인 특성화 대학인 한국 동서대학교는 울산대학교와 해외 자매대학인 일본 규슈산업대학교와 온라인을 통한 국제교류프로젝트 교과목을 2021년 6월부터 12월까지 진행하였다. 3대학교는 매년 여름방학기간을 활용하여 상호방문을 통한 국제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이번 온라인을 통한 신개념 실질적 수업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전환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첫째, 1차 설문조사는 양대학의 학생(78명), 교수(28명) 총106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24일~5월 7일에 진행하였다. 디자인대학내 온라인 교육 방식의 현황을 기술하였다. 주로 실습수업으로 이루지는 디자인교육에서는 온라인수업에서의 한계점이 있다. 또한, 수업 중에 카메라 활용 여부와 교수와 학생의 의사소통 등 문제점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 후에 온라인수업과 대면 수업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향후 디자인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교육은 실습수업이 중요하기에 이론수업은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실습수업은 대면으로 진행하는 방식, 미리 수강인원을 정하거나 시간별로 진행할 방식 등 상황에 따라 실습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학생대상으로 온라인 교육 및 온라인콘텐츠 관련된 12문항과 교수대상으로 교육방법, 교육내용, 우수교수법, 학습격차 등 11문항으로 설문조사를 2021년 4월 24일 ~ 5월 7일 가간에 실시하였다. 둘째, 온라인을 통한 국제교류프로젝트 교과목의 내용(특강, 워크숍, 중간 및 최종발표) 및 참여자(53명) 만족도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2차 설문조사는 2021년 10월 15일~10월 21일 기간에 중간발표 종료 후에 진행하였다. 셋째, 온라인 국제교류프로젝트 교과목의 최종발표 종료 후에 진행하였다. 기간은 2021년 12월 07일~12월 19일에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학생간의 언어 및 소통문제, 시간 투자의 어려움 등 여러 문제점 있었지만, 전체적인 만족도는 모두 80% 이상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향후 온라인 국제교류프로젝트 교과목의 방향성과 SNS(인스타그램, 페이스북, YouTube 등), 가상공간(AR, VR, 메타버스)을 기반으로 가상캠퍼스 및 가상강의실을 통한 새로운 기술융합을 통한 온라인 교육 플랫폼의 활용, 언어 및 문화 등 사전학습의 강화, 커뮤니케이션의 방법 등 다양한 국가의 교류 프로젝트의 발전 및 확대되기 위해 연구를 한다.

      • 조기 퇴직자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교회의 역할

        남영분 동서대학교 선교 복지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07

        조기 퇴직자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교회의 역할 남 영 분 동서대학교 선교복지대학원 기독교상담심리학 (지도교수 변 영인) 인력 감축의 수단으로 조기 퇴직한 기혼 남성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연구하여 위기감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여 이들에게 성경적인 해결방법을 제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혼 남성을 대상으로 조기 퇴직자의 심리적 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자신의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와 부부 유대, 자녀 유대를 독립변인으로 퇴직 스트레스를 매개변인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기 퇴직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부부 유대가 낮으며, 퇴직 스트레스가 높으며 일반적 위기와 개인 위기는 40대가 가장 높았다.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은 것으로 인식하며 사회적 지지, 부부 유대, 자녀 유대는 좋으며, 퇴직 스트레스와 일반적 위기 수준과 상실감도 낮았다. 그러나 개인 위기는 전문대졸이 가장 낮았다. 배우자와 함께 사는 경우 건강상태가 좋으나 부부 유대는 낮았다. 천주교 신자의 부부 유대가 가장 좋으며, 가족 수가 많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많으며, 자녀 유대도 좋았으며 또한, 가족 수가 2, 4명인 경우 부부 유대가 좋았다. 둘째, 조기 퇴직자의 자녀 유대와 부부 유대가 퇴직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력이 높으며, 사회적 지지와 건강상태는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다. 또한 학력이 높을수록 부부 유대와 자녀 유대에 대한 설명력이 낮았다. 셋째, 조기 퇴직자의 일반적 위기에 대한 설명력은 퇴직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50대 이상인 경우는 건강상태도 영향력이 있었다. 또한 조기 퇴직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일반적 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수가 많았다. 개인적 위기는 40대 이하의 경우는 퇴직 스트레스의 영향력이 매우 높았으며 40대의 경우는 자신의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와 부부 유대, 자녀 유대, 퇴직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력이 없었다. 조기 퇴직자의 개인 위기는 학력에 따라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중졸이하는 자녀 유대가, 고졸은 퇴직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부부 유대가 영향력이 있었으며, 전문대졸은 퇴직 스트레스가, 대졸 이상의 경우 퇴직 스트레스와 자녀 유대가 영향력이 있었다. 개인위기는 대부분 퇴직 스트레스의 기여도가 높았다. 조기 퇴직자의 상실감은 40대 미만은 부부 유대의 영향력이 높았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퇴직 스트레스 보다는 가족 유대의 영향력이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교회에서 저항할 수 없는 난관을 예상하고 극복하고 피할 수 있도록 살아가는 법을 가르치기 위하여 기독교 세계관 교육 및 소명과 비젼 찾기, 부정적 감정 차단 및 조절훈련이나 기독교적 인간관 및 가치관 교육을 통하여 예방적 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평신도 상담실 운영을 통하여 상담자는 위기감을 갖고 있는 중년에게 그가 잘못된 목표와 방법으로 살았다 할지라도 실패자가 절대 아니고 단지 수정이 필요한 것임을 인식시켜 더 이상의 좌절에 빠지지 않도록 돕는다. 그리고 인간의 연약함을 하나님은 아시고 받아 주시며 선한 길로 이끄시는 분이심을 소개해 주어 하나님과의 관계가 이루어지도록 치료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일반 상담이 문제 해결에 목표를 두고 있다면 성경적 상담은 문제의 바탕에 있는 죄악된 뿌리에 접근하여 회개를 유도하여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시켜 주는 것이다. 조기 퇴직자로 하여금 지금까지의 문제의 사고에서 벗어나 성경적인 사고를 하게 함으로써 행동의 열매를 맺게 하고 성경적인 감정을 맛볼 수 있도록 인도하는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성경적 상담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 하나님 안에서 변화와 성숙함에 따라 심리적 위기를 자연스레 극복할 수 있다.

      • 이동성 저하 노인의 스트레스 경로 및 회복탄력성의 대응효과 : 스트레스 대처 적응 모델을 중심으로

        엄사랑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Lazarus와 Folkman(1984)의 스트레스-대처-적응 모델(Stress-Coping-adaptation Model)을 바탕으로 노인의 이동성 저하로 인한 스트레스 경로를 검증하는 하고, 스트레스 경로과정 중 스트레스를 대처할 수 있는 요인으로 회복탄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희대학교 고령친화특성화대학원에서 수집한 2017 노쇠이해능력 실태조사(Frailty Literacy Survey)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종분석대상자로 403명이 선정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전 투입되는 변수들 중 상호 관련성이 있는 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다음 이동성 저하노인의 스트레스 경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연구모형의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경험이 많은 노인일수록 이동성이 저하되었으며, 이동성 수준이 낮아질수록 우울감을 높아졌다. 또한, 높은 수준의 우울감을 가지면 삶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동성 저하로 따르는 스트레스 경로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우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우울감이 높더라도 회복탄력성의 수준에 따라 삶의 만족도가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연구되지 않은 노인의 이동성의 스트레스 경로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학문적·실천적 함의와 더불어 노년기 이동성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ased on the Lazarus and Folkman's Stress-Coping-adaptation theoretical framework (198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ping effect of self-resilience on the stress process of older adult from Mobility. The study selected the 403 people from the data of the 2017 Survey of the Frailty Literacy in Korea.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and AMOS 5.0 for conducting multi-group analysis. As a result, all path coefficients of the study model were significant. The mobility of the elderly who had experienced falls was decreased, and the lower the level of mobility was the higher the depression. Also, high levels of depression was decreased life satisfaction. Final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stress path following mobility degradation,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moderate effect. Namely, even though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was high, the satisfaction of life was controlled by the level of resilien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obilty in old age as well a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stress path of mobility of the elderly in Korea.

      • 중국내 음악전공 석사생의 진로결정 행위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구윈윈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07

        졸업생들의 취업은 줄곧 가장 큰 사회적 이슈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영향과 경제활동의 위축으로 고용 상황은 낙관적이지 않다. 학부 졸업생이 취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는 것이 사회적 추세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석사 졸업생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일자리 채용이 줄어들었고, 석사생들의 취업에 대한 기대 또한 높아지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2022년 석사생의 취업률은 크게 떨어졌다. 음악공연과가 5년 연속 취업이 어려운 전공으로 선정된 것은 음악학부 졸업생 인력수급의 갈등과도 직결된다. 다른 전공에 비해 음악 전공학생의 진로 문제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졸업생의 취업은 사회 발전의 핵심적인 문제인 만큼 음악전공 학생의 진로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석사생의 수가 늘어나면서 확정한 진로결정과 안정적인 발전단계에 있는 석사생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음악전공 석사생의 진로결정의도의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고 인간 태도와 행위의 관계를 예측하고 설명하는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과 진로발전 연구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사회인지 진로이론(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을 통합하였다. 이런 종합적인 이론의 틀을 통해 음악전공 석사생의 진로결정 행위의도의 측정모델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논의를 통해 도출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행동이론과 사회인지 진로이론을 기반으로 구축된 통합모델은 진로결정 행위태도, 지각된 행위 통제, 결과기대, 주관적 규범과 사회적 지지의 5가지 변수를 통해 68.7%의 진로결정 행위의도를 공동으로 설명하였다. 둘째, 진로결정행위태도, 지각된 행위 통제, 결과기대, 주관적 규범, 사회적지지 사이의 직·간접적 관계는 구조 모형 각 구성의 밀접한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중 사회적 지지와 결과기대는 본 연구의 중요한 변수로 선정했다. 셋째, 진로결정 행위태도가 행위의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행위태도가 음악 전공 석사생의 진로결정행위의 중요한 예측 요소임을 시사한다. 넷째, 지각된 행위 통제와 주관적 규범은 계획행동이론의 초기변수였으며 선행 연구에서 행동의도에 대한 중요한 해석력을 확인했다. 다섯째, 연구 대상의 특성을 보면 24-29세의 음악전공 석사생(404명, 95.06%)이 가장 많았고, 대학원생의 학년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았으며, 전문형 석사(373명, 87.76%)가 많았다. 또한 음악전공 석사생의 주위에 음악공부를 하는 사람이 다수(68%)였다. 응답자의 특징으로 봤을 때 대학교 졸업 후 석사학위 취득이 중국 사회의 트렌드가 되었고, 국가 정책의 변화에 따라 석사과정을 진행하는 시기부터 진로결정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여섯 째, 부모와 주위 사람들의 지지도 음악 전공 석사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음악을 배우는 시간이 빠를수록 진로 결정이 쉬워지고 진로결정 행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계획행동이론과 사회인지 진로이론의 통합모델은 음악 전공 석사의 진로결정 행위의도의 영향요소를 설명한다. 이는 진로발달 문제는 음악 분야에서 연구를 확장했을 뿐만 아니라, 연구대상의 범위를 넓혔고 후속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다. 또한, 음악 전공 진로결정 행위의도의 영향요소에서 행위태도는 매우 중요한 변수이며 태도가 가소성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음악전공 석사생이나 교사 및 관련 기관 모두 의식적인 학습, 지도 및 훈련을 통해 적극적인 행동태도를 생성할 수 있으며, 진로결정행위의도와 진로결정행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밖에도 지각된 행위 통제와 주관적 규범에 비해 음악전공 석사생은 미래의 결과에 대해 좋은 기대를 갖고 있으며, 다양한 측면에서 부모님과 사회적 지지를 받아 진로결정 행위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진로결정은 매우 복잡한 인간 행동이기에 계획 과정에서 행위태도만 고려해야 할 것이 아니라 결과기대, 지각된 행위통제 등 개인 요인과 사회적 지지, 주관적 규범 등의 사회 환경적 요소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음악전공 석사생의 진로결정 행위의도의 영향요소는 향후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Graduate job has been a hot issue of society. The employment situation is not optimistic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pandemic and the pressure of the economic downturn. Get master degree for college graduates in order to increase their employment competitiveness become a social trend. Multiple reasons, for example, the number of master graduates increase continuously and the related job decreases, master students have higher expectations for job and employment cause a significant decline in the master's signing rate in 2022. The major of music performance have been listed as a 'red card major' for graduate job for five consecutive years,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the contradiction of supply and demand of music-major graduates. Compared with other majors, the studies on the career issues of music-major students are limited, and the employment of graduates is the key and core of social development. Based on this situation, the employment of students majoring in music should be given attention. As the number of master students increases, research on the master degree in the stable career decision and development status is needed.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master of music's career decisions. On basis of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propose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integrates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hich predicts and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ttitudes and behaviors, with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the most commonly used theory of career development, in a complementary manner. Based on the integrated theoretical framework, a measurement model of behavioral intentions for career decision making in music majors was proposed and verified. The findings by main results of research and discussion are as follow. First, an integrated model built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with five variables of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utcome expectations, subjective norms, and social support explain 68.7% of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intention. Second, the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al attitud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utcome expectations, subjective norms, and social support show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s of structure model. Of these, social support and outcome expectations were selected as important variables in this study. Third, the direct effect of behavior intention on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attitude suggests that behavior attitude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for master of music. Forth,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s, as the original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ve been confirmed in many prior studies to exert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n behavior intentions. Fifth,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bject, the largest number of studying music masters (404, 95.06%) were 24-29 years old, the number of respondents in each year of postgraduate studies was not very different, more professional masters (373, 87.76%), and the majority of those who had music study experience around them (68%).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iewees show that it has become a trend in society to take master's degree after bachelor's degree, the change of national policies appeal the concern of career decision-making issues during the master's period. Sixth, the support of parents and people around them has a great influence on master of music; the earlier they study music, the easier it is to determine the career direction and the more it can influence the behavioral intention of career decision making. The integrated model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elucid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behavior intention for career decision making of master of music, which not only broadens the research on music majors in the field of career development, but also expands the scope of the research object and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subsequent research. Second, behavior attitudes are mostly important variables amo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behavior intention for career decision making for master of music. Since attitudes are malleable, both master of music themselves and their teachers and related institutions can positively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 for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decision making behavior by consciously learning, guiding and cultivating them to produce more positive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attitude and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In addition, compared to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ubjective norms, master of music have good expectations of future outcomes and being supported in all aspects by social parental support are more likely to influence their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intention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as a complex human behavior, cannot be planned by considering only personal cognitive factors such as behavioral attitudes, outcome expectation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ut also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norm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behavior of master of music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ubsequent studies.

      • 언어치료사들의 근무실태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김현아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논문은 전북지역에 근무하는 언어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사항과 근무실태, 직무만족도 사항을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우편과 이메일(e-mail), 직접방문을 통하여 80부를 배부하고, 회수된 70부 중 부실 기재한 10부를 제외한 60부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사항에서 치료사 인원이 전주가 다른 지역 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는 농촌지역이 많은 지역 특성상 전주를 중심으로 대도시에 치료시설이 편중되어 상대적으로 농촌지역은 소외된 상태로 나타났다. 치료사 연령은 20대 40.0%, 학력은 대학교졸업이 70.0%, 자격증은 2급이 56.7%로 가장 많았으며, 자격증이 없는 경우도 21.6% 조사되었다. 근무처는 사설 치료실이 30.0%로 가장 많았으며, 급여제도는 월급제가 50.0%, 전공여부에서는 학부에서는 비전공이지만 대학원에서 전공한 경우가 36.7%로 가장 많았다, 또한 비전공 또는 학회연수과정을 통해 이수한 경우도 25.0%로 나타났다. 경력이 6년 이상인 경우는 45.0%로 나타났으며, 반면 경력 1년 미만자도 26.7%로 나타났다. 둘째, 근무실태 사항에서는 교사수가 9명 이상, 급여 수준은 150~200만원, 근무시간 7~8타임, 월 치료대상자수는 15~20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의 문항별 전체 평균은 5점 만점에 3.48로 나타났으며, 문항별로는 ‘나의 업무에 대하여 성취감과 보람을 느낀다.’가 가장 높은 직무만족도를 나타냈으며, 가장 낮은 점수로는 ‘현재 치료에 필요한 전문 서적이나 기자재가 충분하다’로 나타났다. 직무만족 요인별 전체 평균은 5점 척도 결과 3.49로 나타났으며, ‘직무자체’에 관한 만족이 가장 높고 ‘직무환경’에 대한 만족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처에 따른 전체적인 만족도에서는 사설 치료실이 가장 만족도가 높았고, 학교가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동료에 대한 만족도는 사설이 높게 분석되었으며, 직무환경에서는 사설이 높게 나타났다. 급여제도에 따른 전체 만족도에서는 월급제+시간 수당제가 순수한 월급제 보다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기관 교사 수에 따른 전체적인 만족도에서 4-6명 이하인 경우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연구는 전라북도 언어치료사들의 근무실태, 직업 만족도,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들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들은 언어치료사들의 역할과 직업 환경의 발전적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paper has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general situation, actual working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SLPs) who are employed in Jeollabukdo provincial area. For this purpose, an enquete was conducted with 80 questionnaires distributed by post, e-mail or direct visits to the SLPs selected. Out of returned replies from them, 60 were put to use for analysis after 10 false or faithless ones were excluded. The outcomes of this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s for general situation, more speech therapists were found to work in Jeonju City than other areas, indicating that speech clinics concentrate mostly in Jeonju and other large cities and, as a result, the rural areas occupying the largest part of the province are left abandoned disproportionately. The biggest age group of SLPs is in the twenties with 40.0%, 70.0% are college graduates and 56.7% have qualification of Grade 2. It was even made known that 21.6% of the surveyed has no qualification. Most of the surveyed SLPs were working at private institutions with 30%, half of them were paid on monthly-salary base and 36.7%, the biggest number, did not major in speech therapy at college but majored in it at graduate school. Twenty percent of the surveyed turned out to have not studied speech therapy as a major but completed the training course organized by the concerned academic society. Of the therapists surveyed, 45.0% have 6-year or longer career in this field, whereas 26.7% have working experience for less than one year. Second, with regard to actual working conditions, 9 or more were the biggest number of teachers employed by the clinics, the usual level of salary was in the range of 1.5 to 2 million Won, working hours were 7 to 8 and the biggest number of people they care for therapy monthly are 15 to 20. Third, the overall average job satisfaction rated by item was 3.48 points out of 5 points in full. The highest points of satisfaction were scored by the item ‘I feel sense of achievements and find myself worth working in my job’. The lowest scores were reported by the reply ‘I have sufficient professional publications or equipment avaliable currently for therapy’. The overall average satisfaction with job was scored 3.49 out of 5 point-scale for all factors.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reported with ‘job itself’ and the lowest satisfaction was expressed toward ‘job environment’. In terms of overall satisfaction with working place,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replied with private therapy institutions while school was named to have least satisfactory equipment for therap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ubjects employed by private organizations were satisfied most highly with relationship with work fellows and private organizations were also rated to have most optimum working environment. Concerning satisfaction with the payment system, monthly salary plus hourly incentives were rated to be better than the mere monthly salary. Less than 4-6 were found to be the most satisfactory number of teachers hoped for working together with in the same organization. This study aims to make research and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actual working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of speech therapists in an attempt to determine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jobs and what factors in detail exercise influence upon their satisfaction and, by thu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rther studies.

      • 실시간 페이스 캡쳐 시스템의 응용 표현에 관한 연구

        원방치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07

        영화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페이스 캡쳐(face capture)기술을 영화에 대량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어떤 영화에서 진짜 사람이 출현할 수 없는 상황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영화에서 갈수록 많은 가상캐릭터(허구인물)가 출현하게 되었다. 예를 들면《반지의 제왕》,《킹콩》,《슈렉》,《폴라 익스프레스》,《아바타》등 영화에서는 모두 이 기술을 응용하였으며, 상당히 높은 평가와 상업적 가치를 취득하였다. 그 중 아바타는 영화 역사상 역대흥행 성적 1위(박스 오프시 차트 랭킹 1위)에 올랐다. 본문은 첫번째로 페이스 캡쳐기술을 사용한 “반지의 제왕”으로부터 지금 한창 열기를 띠고 있는 “아바타”에 이르기까지, 사용된 기술, 시스템의 우결점(우점과 결점), 페이스캡쳐의 발전과정 등을 분석 비교함으로서, 페이스 캡쳐기술의 응용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모션캡쳐(퍼포먼스 캡쳐)기술의 발전은 비교적 이르며(빠르다) 상세기(20세기) 80년대에 이미 개발되어, 미국Biomechanics 실험실, Simon Fraser 대학, 매사 추세츠 공과 대학교에서 컴퓨터 인체 모션캡쳐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으며, 페이스 캡쳐기술(이모션 캡쳐)이 따라서 개발되었다. 이 기술이 정식으로 상업제작에 응용된 시기는 2001년이다. 영화 “반지의 제왕”에서 골룸은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겨주었다. 그는 추한 외모를 가진 호빗족으로서, 영화에서는 완전한 3D 가상 캐릭터이며, 캐릭터의 신체와 얼굴표정 변화는 전적으로 진짜 사람의 동작을 캡쳐하여 완성한 것이다. 본문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작품은 maya와Max/msp/jitte 을 공동으로 이용하여 제작한 시스템으로서, 명칭은R.T.C Face capture이다. maya부분은 blendshape와 Rig을 포함하며, Blendshape은 maya가 자체로(셀프 lf) 가지고 있는 표정제작 도구이며, 대부분의 표정 애니메이션은 Blendshape으로 제작할수 있다. 원리는 모델을 카피한 후 퓨전변형을 진행하여 기쁘거나 화내는 등 얼굴표정을 제작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Blendshape을 통하여 새로운 디포머를 생성하는데, 일반적으로 약 20개의 모델을 제작해야 생동감 있는 효과에 달할 수 있다. Rig은maya중의 컨트롤러로서, 표정변화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또 Rig와Max/msp/jitter 연계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실행할수 있다. Max/msp/jitter는 주요하게color capture부분을 연구하며 카메라로 사람의 얼굴 표정변화를 찍은 후 컬러 센서점(마커)의 위치이동을 기록하고 Max/msp/jitter는 컬러의 이동에 대하여 데이터 분석을 진행 한 후maya중의Rig에 전송함으로서, 카메라 실시간 페이스 캡쳐를 실현하여3D표정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막차》라는 3D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다. 한 청년이 마지막 버스를 기다릴때 발생한 재밌는 에피소드를 다룬 것으로서 본 작품에서 출현하는 모든 표정은 전부 R.T.C 시스템으로 제작한 것이다. 전반 작품의 제작과정은 세개 부분으로 나뉘어서 완성되었다. 첫번째는 사전 준비작업 단계이며, 스크립트와 Maya에서 캐릭터의 모델과 바인딩 과정을 포함한다. 두번째 단계는 표정을 캡쳐하는 과정인데, 카메라로 진짜 표정을 찍은 뒤 R.T.C 시스템에 입력시켜 최종적으로Maya의 모델표정을 컨트롤 한다. 세번째 단계는 편집단계(Postproduction)로서, Maya에서 렌더링과정을 마친 후After Effect에서 합성하여 단편으로 제작한다. 본문의 연구목적은 기존 이모션(emotion) 캡쳐기술에 대하여 새로운 탐색과 시도를 진행하여Maya와Max/msp/jitter의 결합을 통하여 3D 애니메이션 단편작품을 제작하는 것이다. 본 시스템의 우세는(우월한 점) 실시간 표정캡쳐가 가능하며 3D 애니메이션 제작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단점은 정밀도가 부족한 것이다. 얼굴의 센서점을 증가시키면 보다 풍부한 표정을 캡쳐할수 있으며 시스템을 진일보 완벽화 시킬수 있다. Face capture technology is researched and developed with the bases of Motion capture technology, and applied more and more in these fields in recent years like film, 3D animation, and games etc. To understand Face capture technology, we must understand the working principles of Motion capture first. Motion capture technology involves these data on the aspects like location and direction finding etc. in the size measurement and physical space, which can be understood and processedby computer. We should set up tracker at the key parts of an object in motion, captures tracker’s position with Motion capture system. And then, after processing it with the computer, we transmit data that can be applied in the animation to the users. When the data is identified by computer, the animator can adjust and control the moving objects in the scene generated by computer. From the application point of view, performance animation system can be mainly divided into two types: capture of expression and capture of physical activities; from real-time point of view, it can be divided into real-time capture system and non real-time capture system. From the technical point of view, the essence of motivation capture is to measure, track and record the movement locus of objects in three-dimensional space. In the previous 3D animation, we are using the three-dimensional animation software (such as 3D MAX MAYA) to produce the images of three-dimensional role and adjust the role action. All the role movements are adjusted by the operator manually, therefore, the production work of movements become very cumbersome, complex, inefficient and are prone to errors. As a result, most of the movements produced by 3D animation software will need very long operating time, and some movements produced are very clumsy. It’s not difficult to find this phenomenon in some films and television works. However, the animation system based on Face Capture has changed this situation, which can capture actor’s expressions naturally, and there is no need for animators to re-create. These movements are very characteristic and very sharp, for example: in the figures produced by computer, the actions of male and female expressions are different. After recording the data of actual movement, we have to input it into a computer, and reinstate in the virtual camera by computer when processed. Since it records the actual movements of objects, it’s precise in the movements, high in efficiency, and very realistic in the effect of animation.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Motion Capture technology, many film and television production companies as well as game companies have began to abandon the traditional methods of adjusting role movements manually under 3D software in order to achieve the most perfect effect of products, which is replaced by more true and accurate Motion Capture technology. At present, Face Capture is mainly applied in the fields of animation, video and games in CG. There are generally two functions in the fields of animation and film. The first is to save cost and reduce the difficulty of producing stunt in animation and film; the second is to make the expression of 3D role in animation and film become more realistic and more plentiful. Expression capture here plays the role of animators. Expression capture technology has not yet been widely used in the field of game, but many game companies have began to focus on the R & D of man-machine interaction game, such as the Nintendo wii sensor controller, the especial expressions capturecamera researched and developed by sony for PS, the PS3's motion-sensing games etc. I believe that this technology will have unlimited development potential and space in the future. Existing Motion capture and Face capture are used by part of the larger film and television companies, animation companies and universities. The system needs a professional infrared camera to capture, as well as the relevant facilities like light sensors point, which make the facilities complex and prices much higher, so they are still not widely used. Moreover, most systems do not support real-time expressions capture, and need the later analysis of video to complet animation. In summary, through the studies of maya as well as Max, MSP and jitter, this paper tries to develop a new set of Face capture system, which enables ordinary cameras to capture expressions in real-time, can greatly reduce the cost of the system, and has widespread applications. It can be used for producing set key of expression animation, film and television expression of virtual characters, as well as the real-time expression capture of interactive games. I hope I can develop a set of low-cost, real-time expression capture system, which set animators free from the tedious expression animation and make animation a simple and happy t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