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도입에 관한 고찰

        이주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ideal 21st century new school library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an educational space where students can develop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trends of the times by applying maker education, which is being discussed as an appropriate educational method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ppropriate response space, MakerSpace, to the school library. This purpose is based on three backgrounds. First, creative ideas are presented and active activities are required accordingly as the right people of the future but our educational environment has little space to directly realize what existed as an idea.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aker space where creative ideas can be proposed and people can freely engage in creative activities. Secondly, the school library already has an optimized environment for maker education. Library has accumulated information on print and digital materials covering almost every topic, and it is a space where it can be done very easily to add and store tools such as 3-D printers robot kits, woodworking tools, and tools for maker education because it has a facility infrastructure that provides access to various creative learning. Thirdly, poor public education in Korea is appearing as intensive and deepening of private education. Parents' economic ability not only improves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but also has a huge impact on their growth as a creative talent. School library is an institution that maintains intellectual equality by providing free knowledge information to student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identified that school library provides makerspace to help students freely engage in creative activities and it is necessary to change as a future educational space to share learning.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aker space, which is the learning environment of maker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maker education and effective theoretical consideration,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domestic and foreign maker space operations, focusing on factors applicable to school libraries. Thirdly, this study lists the elements applicable to domestic school libraries through case analysis and derives applicable factors by conducting a survey on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n Gyeonggi-do. Fourthly, this study proposes validity of the introduction of makerspace in domestic school libraries by synthesizing the above research proc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makerspace is already progressing rapidly in domestic and foreign libraries and various national support is actively underway. Secondly, makerspace in school needs to provide programs suitable for students of different ages by organizing and providing different contents for eac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ype. Thirdly, the introduction of makerspace in school library can maximize the advantages of maker education and will increase the use of school librar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sidered the introduction of makerspace in school library as a future learning space by presenting a space for maker education that is in the spotligh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when introducing makerspace into the school library as an alternative to school library services in response to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적합한 교육 방법으로 논의되고 있는 메이커 교육과 함께 그에 걸맞은 대응 공간인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를 학교 도서관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급변하는 시대적 흐름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 공간으로서 4차 산업에 대비한 이상적인 21세기형 새로운 학교도서관의 모습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세 가지 배경에 기초를 둔다. 첫 번째는 미래 인재상으로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해보고 그에 따른 적극적인 활동을 요구하고 있으나 우리의 교육 환경은 아이디어로 존재했던 바를 직접 실현해 볼 수 있는 공간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자유롭게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는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이 필요하다. 두 번째는 학교 도서관은 이미 메이커 교육을 위한 최적화된 환경을 갖추고 있다. 도서관은 거의 모든 주제를 포괄하는 인쇄자료와 디지털 자료에 대한 정보를 축적해 왔고, 이것을 사용해 다양한 창의적 학습의 접근할 수 있는 시설적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므로 메이커 교육을 위한 3-D 프린터나 로봇키드, 목공예 도구와 공구 등과 같은 도구들을 추가해 비치하는 것은 매우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이다. 세 번째, 대한민국 공교육의 부실은 사교육의 심화로 나타나고 있다. 부모의 경제적 능력이 아이들의 학습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창의적 인재로서의 성장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학교 도서관은 학생들에게 지식 정보를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지적 평등을 유지하는 기관이다. 이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학교 도서관에서 메이커스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자유로운 창작 활동을 돕고 배움을 공유하는 미래형 교육 공간으로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구성의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커 교육의 개념과 효과적 이론적 고찰을 통해 메이커 교육의 학습 환경인 메이커스페이스 개념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학교 도서관에 적용 가능한 요소를 중심으로 국내외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사례를 조사해 분석한다. 셋째, 사례분석을 통해 국내 학교 도서관에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나열해보고 경기도 내 학생,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해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해 본다. 넷째, 위의 연구 과정을 종합하여 국내 학교 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도입의의 타당성을 제언해 본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미 국내외의 도서관에서는 메이커스페이스 도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여러 국가적 지원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둘째, 학교 내 메이커스페이스 공간은 초·중·고등학교 유형별로 콘텐츠를 다르게 구성하여 제공하여 나이별 학생들에게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셋째, 학교 도서관 내 메이커스페이스의 도입은 메이커 교육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학교 도서관의 이용을 증가시킬 것이다. 본 연구는 주목받고 있는 메이커 교육에 대한 공간제시로 미래형 학습공간으로서 학교 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도입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변화해가는 교육 환경에 대응하는 학교 도서관 서비스 대안으로 메이커스페이스를 학교 도서관에 도입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고전문학을 통한 효사상 교육방법 연구 : <심청전>을 중심으로

        박하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고전문학을 통한 효사상 교육 방안 연구 - <심청전>를 중심으로 박 하 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예로부터 우리민족은 효(孝)를 삶의 근본으로 생각하고 예절을 매우 중요시 여기는 나라로 ‘동방예의지국(東方禮儀之國)’으로 불러져왔다. 효(孝)란 혈연관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자신을 낳아주시고 길러주시고 보살펴주신 부모님의 은덕에 대한 인간의 당연한 도리로서의 봉양을 말한다. 한국인의 도덕의식은 가족에 대한 강한 유대의식과 소속감에서 싹터 나오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 가운데 가장 기본적인 형식은 부모-자식관계라 할 수 있다. 즉 부모의 자식에 대한 헌신적인 사랑과 자녀의 부모에 대한 감사와 존경의 태도이다. 그러나 한국은 해방과 함께 서구의 자유민주주의와 신문명을 받아들이면서 한국의 전통적인 효사상은 점차 소홀히 다루어져 오고 있다. 60년대 이후 경제발전으로 인한 사람들의 가치관이 동요(動搖)되고, 토지를 기반으로 결합되어 있었던 대가족 제도는 서서히 부부를 중심으로 하는 핵가족제도로 가족 단위의 변화를 일으켜가고 있다. 전통사회에서의 효사상은 대가족 제도로 가족이란 울타리 안에서 자연스럽게 예절을 습득하였고 어른을 공경하는 모습을 어릴 적부터 보고 배우며 자랄 수 있는 환경이 가능했다. 그러나 산업사회의 이행으로 나타난 핵가족화의 영향은 부모-자녀간의 유대감이 점차 희박해져 가고 있으며 가정은 교육의 장으로서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었다. 즉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전통적인 가치가 해체되고, 윤리·도덕이 붕괴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고전문학 작품에 나타난 전통적인 효사상을 고찰해보고, 전통적인 효사상을 현대사회에 맞게 재구성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효’라는 교훈적인 주제를 담고 있는 <심청전>을 그 대상으로 택하였다. <심청전>을 통하여 현대적 효사상 교육의 방향을 학습자에게 수용되고 내면화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Ⅱ장에서는 효사상의 개념과 효관념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전통사회에서의 효의 모습은 사회를 지탱해온 사회규범으로 나타나고 있다. 효라는 개념은 혈연관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전통사회에서는 3~4대가 함께 사는 대가족제도였다. 사회의 구조가 개인이 아니고 가족이나 가문을 기본으로 하는 공동체였기 때문에 효라는 사상이 쉽게 자리 잡을 수 있었다. 이렇게 많은 세대가 함께 살 수 있었던 것은, 효라는 덕목이 크게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효는 과거 우리나라의 가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규범이 되었다. Ⅲ장에서는 효사상을 주제로 한 고전문학 작품 중 <목주가>, <사모곡>, <손순매아>, <효녀지은>, <바리공주>를 분석하였다. 작품 속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효의 모습은 부모의 나에 대한 태도와 관계없이 내 자신의 신체일부를 훼손(또는 희생)하거나 자신의 신분·체면을 희생해서라도, 더 극단적으로는 자식을 희생해서라도 행하는 ‘희생적 효’를 볼 수 있었다. 이처럼 극단적이고 일방통행적인 효에 대한 관념은 핵가족제도 속에서 민주적인 교육을 받은 개성강한 현대인들에게 수용되기 어렵다. 이러한 의미에서 새로운 효의 논리와 효 교육체계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Ⅳ장에서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심청전>을 대상으로 하여 효사상의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심청전>은 일제강점기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빠짐없이 수록되었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에도 지속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작품으로 ‘효’라는 교훈적인 주제를 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청전>을 중심으로 전통적 효사상을 현대사회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학생 28명의 설문지와 활동지를 전체적으로 검토,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지도와 실제를 제시하였다. 현대사회의 학생들이 부모에 대한 효를 실천 하는 것에 대하여 전통사회의 모습만큼은 아니지만 이에 대해 회고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공경(恭敬)과 예의(禮儀)에 대해서 현대 사회에 맞게 행동 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길 바란다. <심청전>과 같은 전통 사회를 배경으로 한 효행의 대표적인 작품들뿐만 아니라 본 연구자가 조사를 통해 알아낸 여러 효행을 그려낸 고전 문학 작품들이 현대사회에 맞게 재구성되어 소개 되거나 현대 사회의 학습자들이 적극적인 수용 자세로 작품들을 현대 사회에 상충하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충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Abstracts in Korean Research on educational method of filial duty with classical literatures -With <Simcheongjeon> Park HaJin Daej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old times, our people have regarded filial duty as the root of life and put a high value on the courtesy, so that our nation has been called ‘The country of courteous people in the East’. The filial duty, based on kinship, means supporting parents as the natural duty of a person for their giving birth to, bringing up, and taking care of one. The moral consciousness of Koreans stems from strong bonds and belonging to a family. The most basic form is parents-child relationship. That is, the love of devoted parents and the gratitude and respect of children. However, with liberation, Korean traditional filial duty has been gradually neglected, embracing liberal democracy and new culture from the West. After 60’s, du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the values of people has been agitated and the unit of family has been changing which means from a large family system tied based on lands to nuclear family system focusing on husband and wife. In the aspect of filial duty, the traditional society made it possible to watch people respect elders, accept their behavior and naturally learn the courtesy within the large family. But the change to nuclear family due to the change to industrial society made parents-child relationship weak gradually, and a home has not been able to play its role as a place of learning. In other words, the traditional values including ethics and morality are collapsing due to sudden change of society. This paper aims to study traditional filial duty in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restructure it suitably to modern society. To do this, we choose <Simcheongjeon> having didactic subject ‘filial duty’. With <심청전>, we try to find ways for learners to accept and internalize the direction of education of modern filial duty. In chapter Ⅱ, we study the concept of filial duty and its change through the times. In the traditional society, filial duty is regarded as social norm supporting society. Its concept is based on kinship in which 3~4 generations live together as the large family in the traditional society. Social structure didn’t consist of individuals, but communities of families basically, so that the thought of filial duty could settle easily. The reason that many generations could live together was that the virtue of filial duty was centered prominently. Like this, filial duty was the norm to keep our families those days. In chapter Ⅲ, among classical literatures with the theme of filial duty, we analyze <Mokjuga>, <Samogok>, <Sonsunmaea>, <HyonyeoJieun>, <Barigongju>. We could find common feature of ‘sacrificing filial duty’, practicing filial duty even if sacrificing one’s social status or honor, damaging(or sacrificing) one’s body parts, and even extremely one’s child, regardless parents’ thought for their child. This extreme and one-way concept of filial duty is difficult to be accepted to modern people of distinct individualities who were democratically educated in nuclear family system. In this sense, we think new theory and education system of filial duty should be established. In chapter Ⅳ, we suggest educational method on filial duty with <Simcheongjeon> in real school site. <Simcheongjeon> has didactic theme of filial duty to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 book from Japanese colonial era to 2009, and consistently cover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 book. Therefore, in this study, to apply traditional filial duty to modern society with < Simcheongjeon>, we review and analyze questionnaires and activity sheets of 28 middle school students to propose instruction and actual use of teaching and learning. We think it was an opportunity for modern students to recall practicing the filial duty for parents, even though it couldn’t be like that in the traditional society. Besides, we hope that it could be a motivation for them to appropriately behave within the respect and courtesy in the modern society. We hope that classical literatures, not only representative works like <Simcheongjeon> that contain filial behaviors in the traditional society, but also other classical works we found through research that contain other filial behaviors, could be reconstructed to be introduced according to modern society, and modern learners could find ways to apply them to modern society actively.

      • 도시와 농촌 지역 고등학교 교육격차 실태와 학교 혁신 연구

        우현주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began with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high schools especially the ones in deprived rural areas, ascertaining the education gap and exploring strategies to bridge the gap.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inquiries. Firstly,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me environment, psychological background, and learning activities of students pertaining to the current state and causes of the education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Secondly, what are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school innovation that students perceive? Are they related to the debate of school innovation that reduces the education gap? In order to give answers to the inquiries above, a survey was carried out by targeting students from 2 academic high schools in Uijeongbu, a representative small and medium-sized city in Gyeonggi province and another 2 academic high schools located in rural areas called Yangju and Yeoncheon. 2 classes from each school, that is a combined total of 8 classes, were the subjects of the survey. SPSS 17.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in the course of identifying the regional education gap,examination(cross analysis), t examination for independent samples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ere employed. Firs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in rural areas hope to go to university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ir academic abilities are far below the national average. In terms of home environment, students in urban area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have more social and cultural interactions with their parents and mor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private education after school than their counterparts in rural areas. This leads to the fact that students' academic ability has a strong relation with their parents' income, education background, interest in their children and interaction with them. As to psychological background of the regional education gap, there are no significant statistic differences in terms of motivation and self-esteem. However, where stress in entrance examinations is concerned, students who aim for prestigious universities are far more sensitive over their scholastic performance. In terms of learning activities such as learning strategies, concentration in class and understanding of class, subjects show a clear distinction. The regional gap in terms of atmosphere in class and delinquency is distinctive, but there are no meaningful disparities as to support from teachers and pressure for high achievement. Secondly, 'the social climate which puts emphasis on one's educational background and encourages excessive competition' is the most chosen answer as the reason why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aptitude and talent does not happen. In regard to the future direction of school innova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the most favored factor is 'interesting lesson which makes students learn reasons to study and how to stud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clusion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ly, the education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results in a wide academic achievement disparity. However, an academic achievement disparity is merely one of the many factors regarding the education gap. What is needed is the effort to organize school learning activities so that those activities can be meaningful to students who are lethargic and uninterested. In the course of shifting from studying to learning, we should realize that a new point of view about academic ability is required, which helps students to explore and develop the ability to adapt to new social changes, lead the situation and collaborate with various community members. Secondly, the polarization of class has become more serious due to the education gap and under these circumstances school innovation focuses primarily on schools which have students excluded from public education and have troubles managing the school and recruiting new students. It tries to help less favorable schools find a solution to overcome their difficult conditions and aim for equality of educational outcomes which is beyond a physical standardization of schools, a mer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and an equality of conditions. Therefore efforts to enhance the influence of education in rural areas can be realized through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and the universalization of the new school move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ollowings are proposals for reducing the education gap between urban and rural high schools and school innovation in underdeveloped region. Firstly, a point of view that states public education is for 'all' students should be taken. An attempt to change from relative evaluation that promotes excessive competition to absolute evaluation should be made. Secondly, school must be reformed into a learning community. Students should not be limited to individualistic study and should grow together in that learning community. Also teachers as the teaching subjects should evolve into the learning subjects. School should be reformed as a place where teacher can grow together with their students. Thirdly, a innovative student model who develops through education should be settled. School must be a place where students can become a person who can make inquiries about humankind and society, control individual passions , are considerate of others and can communicate with others. Lastly, being in the prospect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school must perform as a public institution in the community. Schooling should be connected to local conditions organically and perform a specific role to reduce the education gap raised in underdeveloped rural areas. Schools also should be a public safety net that search for a solution to overcome lack of care and the accumulation of shortages due to socio-economic background of students' parents. 본 연구는 오늘날 고등학교 교육의 현실에서 특히 농촌 낙후 지역의 교육 문화 환경을 파악하고 교육 격차의 실태를 확인하며 교육 격차를 해소하는 방안을 탐색할 필요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도시와 농촌지역의 교육격차의 실태와 그 원인과 관련해서 가정 배경, 학생의 심리적 배경, 학생의 학습 활동 배경 등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교 혁신의 필요성 및 방향은 무엇인가? 그것이 교육 격차 문제를 해소하는 학교 혁신 논의와 관련이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기도 북부 지역의 대표 중소도시인 의정부시의 인문계 고교 2개교와 인근 양주시 및 연천군의 읍면 지역에 위치한 인문계 고등학교 2개교에서 2학급씩 모두 8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 방법으로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중소도시와 읍면지역별 교육 격차를 알아보기 위해 검정(교차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하였으며 다중응답 분석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읍면지역의 학력 수준이 전국 평균과 비교해도 월등히 낮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지만 실제로 대다수가 대학 진학을 희망한다. 도시와 농촌의 교육격차 실태의 가정 배경으로 학업 성취 수준이 높은 중소도시 지역의 고등학생들이 읍면지역 학생들보다 부모님과의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상호작용이 많고 방과후에 사교육 참여 비율도 높다는 사실을 통해 부모의 소득, 부모의 자녀에 대한 관심과 상호작용이 학습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시와 농촌의 교육격차 실태의 심리적 배경으로서 학습 동기 수준, 자아존중감은 중소도시와 읍면지역의 지역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 다만 입시 스트레스와 관련해서는 목표하는 대학의 수준이 상위권일수록 학업성적을 보다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도시와 농촌의 교육격차의 학습활동 배경으로 학습 전략, 수업 집중 시간, 수업 이해도는 중소도시 학업 성취 수준이 높은 학생들과 읍면지역 학생들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업분위기와 학생 일탈은 중소도시와 읍면지역이 뚜렷하게 구분되지만 교사의 지원이나 성취압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학교에서 적성 및 소질에 따른 교육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까닭으로 ‘학벌을 중시하고 경쟁을 부추기는 사회 풍토’라고 응답한 학생이 제일 많았고, 학교 혁신의 방향성과 관련해서 앞으로 학교에서의 교육 활동에서 가장 도움이 되어야 할 교육 내용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공부하는 이유와 방법을 배우게 해주는 재미있는 교과 수업’을 꼽았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와 농촌의 교육 격차의 실태는 학력 격차 현상으로부터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교육격차의 내용 중 학력격차는 하나의 요소에 불과할 뿐 무기력과 무관심에 빠져 있는 학생들에게 학교교육활동이 의미를 가질 수 있도록 조직화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공부로부터 배움으로의 전환을 꾀하면서 새로운 사회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 상황을 주도해 나가는 능력,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과 협동하는 능력 등 스스로 탐구하고 계발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새로운 학력관에 대한 문제제기에 귀를 기울일 필요를 시사해준다. 둘째, 한국 교육의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는 것이 계층 양극화가 교육을 통해 더욱 심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혁신학교는 공교육에서도 소외된 학생과 계층이 많으며, 학교 운영에 어려움에 많으며 신입생 유치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교에 1차적으로 주목한다. 기존 학교보다 불리하거나 어려운 여건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고 학교의 물리적 평준화를 넘어선 개념으로서 단순한 교육기회의 평등, 교육조건의 평등을 넘어 교육결과의 평등을 지향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낙후한 농촌지역의 교육력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은 혁신학교 정책 및 새로운 학교 운동의 보편화를 통해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도시와 농촌의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육격차 해소와 낙후지역인 농촌의 학교 혁신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공교육은 ‘모든’ 학생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관점을 견지해야 한다. 석차 경쟁의 상대평가를 과감히 절대평가 체제로 바꾸려는 시도를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는 배움의 공동체로 혁신되어야 한다. 개인주의적인 공부에 머물지 않고 공동체적인 배움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사들도 가르치는 주체에서 배우는 존재로 거듭나야 한다. 학교가 교사들이 함께 성장하는 장소로 개혁되기 위해서는 행정업무 간소화 및 교사연찬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을 통해 성장하는 학생상이 혁신되어야 한다. 인간과 사회에 대한 질문을 던질 줄 아는, 인문학적 사유를 통해서 개인의 욕망을 절제하고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 지역사회주민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연구

        정유숙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의 초기 단계인 현 시점에서 다문화교육의 인식도를 알아보는 것으로 앞으로 다문화교육이 어떻게 계획되고 발전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에 대한 포천시민의 이해도는 어떠한가? 둘째, 다문화에 대한 포천시민의 인식은 배경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가) 다문화교육에 대한 포천시민의 인식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나) 다문화교육에 대한 포천시민의 인식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포천시민의 인식은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라) 다문화교육에 대한 포천시민의 인식은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 포천시에 근거지를 둔 포천 시민을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구성은 조사 대상자들의 배경을 알아보는 5문항, 다문화적태도,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29문항으로 총 3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지역주민의 다문화교육의 인식을 개인별로 비교하기 위해서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으로 나타내었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배경요인 성별, 연령, 학력, 직업에 따른 인식의 차이점을 보기위해평균값을 구했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는 교차분석(t, f)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포천시민의 이해 정도는 가장 높은 수치의 퍼센트를 차지한 ‘거의 없다’가 38.2%이며, ‘아주 많다’는 2%였다.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인구대비 가장 많은 6.4%의 다문화가정 배경을 가진 특수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포천시민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문화 가정의 증가추세로 본다면 포천시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는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인식을 위한 전문적인교육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둘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포천시민의 성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 29문항의 답변을 토대로 109명인 남성보다 95명인 여성이 29문항 중 7문항으로 다문화적 태도 중 열린 자세에 대한 질문을 제외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질문에 긍정적인 답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포천시민의 연령 따른 인식의 차이는 30대가 타 연령대 보다 특히 세계문제에 대한 책임감, 외국인에 대한 윤리적 태도,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우리 민족에 대한 긍정적인 정체감 발달 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다양한 연령대가 인식의 차이가 없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학력에 따른 다문화교육에 대한 포천 시민의 인식은 대학교 혹은 대학원등을 다닌 지식인층일수록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다섯째, 직업에 따른 다문화교육에 대한 포천 시민의 인식은 교사 및 공무원이 높았다. 교사인 경우는 교육기관의 종사자로서 다문화교육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다문화 교육에 대한 세미나에 참석하는 것을 선행연구에서 보아서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포천시는 경기도 지역 중 다문화가정과 연관을 갖는 인구가 지역인구대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지역의 현재 상황을 지역주민이 같이 공감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역 내에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요구된다. 중앙정부는 국가내의 다문화가정을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내의 다문화가정을 위한 서비스 제공에 앞장선다면 출산율 저하에 따른 인구 감소에 대한 보완책으로서 장점이 있으며, 다문화가정을 방치 했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소외계층 생산에 따른 사회문제와 같은 단점도 예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가족 구성원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적응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이끌어줄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일반적인 다문화가정의 구성원들은 먼저 정착한 다른 다문화가정의 구성원들과의 교류를 통해서 적응해 나아간다. 이것은 초기 적응에는 도움이 되지만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고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갖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교육이 필요하고 이를 도와줄 전문가가 필요한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포천시라는 지역적, 공간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후속연구에서는 타 지역을 포함한 연구 공간의 확대를 통해 비교 분석 연구가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넷째, 지역주민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것을 양적 분석이 아닌 지역주민과 면접을 통해서 인식을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내용이 The study aims to offer a clue to how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lanned and developed ahead by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 this time in the initial stage of multilcultural societies.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First, how is understanding of multiculturism?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among the recogni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background factors? a) Is there any difference among the recogni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gender? b) Is there any difference among the recogni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ages? c) Is there any difference among the recogni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education level? To answer the questions raised above, a reseach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 for 210 residents living in Pocheo cit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questions for residents' backgrounds and 29 questions for the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attitud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data of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17.0 to compare the local residents' recogni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on a level of individual.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figure out the general chracterstics of the study subject. Mean value was measured to see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y background factors, gender, ages, education and occupation and crosstab analysis(t,f) test was conducted to see the differences by background variable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on multicultral education of the residents in Pocheon reached 38.2% and 2%, which occupied the highest percentage as referring to 'almost none' and ' vey high', respectively. It turned out that the understanding on multicultral education of the residents in Pocheon was low despite the city has the most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rate of 5.4% over the population in Gyeonggi province. Given that multicultural families will increase over the next years, the systematic education for necessity recogni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citizen in Pocheon.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urvey on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y gender of the Pocheon citizen, it turned out that 95 women over 109 men answered positively in 7 items in a total of 29 items with exception of a question on open minded attitude of multiculturalism. Third, in the understanding on multicultral education of residents in Pocheon, those in their 30s over other ages showed high recognition of the responsbility of global issues, ethical attitudes on foreigners,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ositive identity development of our ethnic and so on. Thus, a step should be taken to minimize the width of recognition of multicultral education in all ages. Fourth, in the recognition of multicultral education by education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education level got higher, the recognition also got higher. Fifth, in the recognition of multicultral education by occupation, teachers and civil servants showed high perception. we can observe in the precedent research that teachers, as workers in education institutions, are closely related to multicultral education and attend seminars on multicultral education.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above. First, Pocheon city has the most multicultrual families over local population in Gyeoung province but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rual education turned out to be low. This means that the citizen do not aware of the current situation. Therefore, the supports from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re needed to heighten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rual education. If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dedicate to the multiculatural families at the level of nation and local, respectively, it can take advantage of preventing population decrease caused by low birth rate and also reducing social issues such as the alienated class production. Second, experts who can lead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produced so that they can be involved in various fields as a member of a local community. In general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djust to the community through interaction with members of other multicultural families who already settled in the society. Although this might be useful in the initial adaptation stage, education is necessary in a broad sense and an expert is needed to help them. Third, the study has local and spacial limitations. Thus in the follow-up study, it is considered that a comparison analysis study would be possible by extending space of study including other cities. Fourth, a more in-depth study is expected by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of multicultrual education through interviewing local residents, not relying on quantitive analysis, and by observing how theoretical content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re taught in classroom.

      • 공감적 대화를 활용한 소설 교육 방법 연구

        김가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Abstract A Study on the Method of Novel Education Using Empathetic Conversation Ga-Hee Kim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 Department of Education Daej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s goal of this article is to define the concept of empathy and to expl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novel education using empathetic conversation. In this context, empathy is interpreted as the concept that enables interaction with an ‘enemy’ whose values and behavioral patterns are different from a subject. Previous studies neglected this concept; thus, if not careful, it is easy to mistake ‘empathy’ for mental activity that occurs only within the range of the subject’s understanding. Hence, this study stems from such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article will focus on ‘empathy’ that allows communication with the ‘enemy.’ Meanwhile, Korean academia in recent years has been criticizing the uninformative education style that is competitive and interested in ranking; however,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of 2015 disproves this phenomenon. In this study, special attention was drawn to ‘empathy’ in order to “shape humans to be humane,”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Examining the process of how the concept of ‘empathy’ developed allows to explain the series of process of being moved by the aesthetic structure of novel text itself and to understand various human representations in literature education, especially in novel education. The “empathetic conversation,” which has been derived based on the concept of empathy, is perceiving other people’s situations and emotions based on the ability to imagine other people’s situations and emotions feeling, and eventually expressing other-oriented emotions. Thus, empathy is an ‘internal’ mental activity to recognize and feel other people’s situations and emotions, while empathetic conversation can be seen as an ‘external’ spoken activity that expresses such emotions to others. This study explored the novel education method by identifying the similarities between ‘empathetic conversations’ and the understanding of a novel while ‘discovering, understanding, and expanding the object of empathy’ by establishing ‘character, text, and author’ as the target of empathy in novel reading.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how to apply novel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empathy and also examined what can be achieved via this method by applying this novel education method to <Snowy Road> by Lee Chung-jun. The expected effects of the novel education method using empathetic conversations are as follows: learners can increase their imagination, expand their outlook on the world, and master empathetic expressions; and process-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can be realized. 국문초록 공감적 대화를 활용한 소설 교육 방법 연구 김 가 희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본고는 공감의 개념을 정리하고, 공감적 대화를 활용한 소설 교수․학습의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공감은 주체와 가치관이나 행동 양식이 다른 ‘적’과의 소통까지도 가능한 개념으로 사용되며,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를 중요하게 다루지 않아 자칫 잘못하면 주체가 이해 가능한 범주 안에서만 이뤄지는 정신적 활동을 ‘공감’이라고 오인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고, 본고에서 사용하는 ‘공감’은 ‘적’과의 소통이 가능한 개념임에 중점을 둘 것이다. 한편, 최근의 교육계는 천편일률적이고 줄 세우기식의 경쟁적 교육 방식에 대한 반성의 목소리가 높아졌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이를 반증하고 있다. 본고는 교육의 궁극적 목표, “인간을 인간답게 형성”하기 위하여 ‘공감’에 주목하였다. ‘공감’은 그 개념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문학교육, 특히나 소설교육에 있어서 소설 텍스트 그 자체의 미학적 구조의 아름다움에 감동받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며, 소설 속 다양한 인간상을 이해할 수 있는 개념이다. 이러한 공감의 개념을 바탕으로 도출한 ‘공감적 대화’의 개념은 타인의 상황과 그 감정을 상상할 수 있는 상상력을 기반으로, 스스로 그 상황과 기분을 인지하며 타자 지향의 감정을 느끼고, 이를 표현하는 것까지를 말한다. 즉, 공감이 타자의 상황과 감정을 인지하고 이 감정을 느끼는 일종의 ‘내재적’ 정신활동이라고 한다면, 공감적 대화는 이를 타자에게 표현하는 일종의 ‘외재적’ 발화활동이라고 본 것이다. 이러한 ‘공감적 대화’와 소설 감상 사이의 유사성을 밝히고, 소설 읽기에서의 공감의 대상을 인물, 텍스트, 작가로 설정하여 ‘공감 대상의 발견․이해․확장’의 공감의 과정을 통한 소설 교육 방안을 탐색하였다. 또한 이 같은 소설 교육 방안을 이청준의 <눈길>에 대입하여 공감의 과정을 통한 소설 교육 방안의 적용 과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공감적 대화를 활용한 소설 교육의 기대 효과로는 학습자의 상상력 신장, 학습자의 세계관 확장, 학습자의 공감적 표현 방식 터득, 과정 중심의 교수․학습 구현이 있다

      • 성인학습자의 지역사회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분석

        배상미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지역사회 성인학습자가 평생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평생학습에 참여하고 있는 실태는 어떠한지, 평생교육 참여요구 및 기대는 어떠한지를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적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역사회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지역사회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지역사회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요구 및 기대는 어떠한가? 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생교육에 관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조사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성인 학습자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및 참여 실태와 평생학습에 대한 참여 기대 및 요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경기 북부에 위치한 의정부시와 포천시의 성인 학습자 31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미회수 및 무성의한 응답지를 제외한 303부를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평생학습에 대한 인식, 평생학습 참여 실태, 참여 기대 및 요구에 따른 배경변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매우 높은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대부분의 성인학습자가 지역사회 평생교육 발전의 잠재적 학습자임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결정적 요인은 당해 분야에 관심과 흥미가 있어서였으며, 평생교육 참여결정 요인으로는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유용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평생교육 참여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경험이 있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내용으로 문화예술 및 교양강좌, 자격증 취득 및 취업관련 교육, 취미 오락 교육, 건강 보건 스포츠 교육 자녀교육 및 부모역할관련 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자가 이용한 평생교육장소로 교육청이나 학교 및 학교유관시설, 주민센터ㆍ시민회관ㆍ시청, 여성회관 및 여성단체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앞으로 참여하고 싶은 평생교육 기관으로는 대학 또는 대학평생교육원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어려운 점은 시간적 여유의 부족, 교육비 부담, 교육장소의 거리 및 교통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평생교육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얻게 되는 교육적 성과는 배움의 자체, 전문성 함양, 자아실현 순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향후 참여하고 싶은 평생교육 내용으로 문화예술 및 교양강좌, 건강ㆍ보건ㆍ스포츠 교육, 자격증 취득 및 취업관련 순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향후 평생교육활성화에 대한 우선적 확립 사항으로 다양한 프로그램강좌 개발운영과 평생교육 참여 기회 확대 및 지원 확충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을 단위로 하는 평생교육 연구가 확대되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더욱이 앞으로는 지방자치시대가 되므로 지역을 단위로 하는 평생교육 연구는 필연적이고 필수적인 요청사항이라고 말할 수 있다. 둘째, 평생교육에 대한 질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양적 접근에 의해 이루어 졌으며, 본 연구도 이 점에서 예외는 아니다. 셋째, 지역사회 평생교육에 대한 연구가 연차적인 계획에 의해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평생교육은 인간의 삶 자체이며, 사람들의 요구는 시대적 상황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한다. 그러므로 주기적인 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평생교육 발전에 기여하여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program that will satisfy the needs of the life long education for the adult learners of the communities by analyzing how they recognize it, how they participate in and what they expect from the lifelong educa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is the recognition on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adult learners in the community? Second,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n the involvement of the adult learners in the community? Third, What are the requirements and expectations involved in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adult learners of the community? To understand these questions,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lifellong education were surveyed. To answer the questions of the recognition on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adult learners in the community, actual conditions on the involvement of the adult learners in the community, and the requirements and expectations involved in the lifelong educ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10 adult learners living in the cities of Uijeongbu and Pocheon in the northern Kyung-Ki province. For the final analysis, 303 respondents were utilized excluding those uncollected and insincere. In order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nd cross-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the recognition on the lifelong education of the adult learners in the community, actual conditions on the involvement of the adult learners in the community, and the requirements and expectations involved in the lifelong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interest and awareness of the lifelong education is very high among the community. This proves that most of the adult learners are the potential learners in the growth of the lifelong education in communities. Second, the decisive factor for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was that they have attention and interest on the field. The decisive factor for deciding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 was that they consider the content of the program or the useful aspect of the education. Third,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at they have experience in participating were culture and art and liberal arts courses, earning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and employment-related training, hobbies, entertainment education, health and sports education, and education of children and the role of parent education were in order. Fourth, the place participants used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 were usually the school district, a school, or a school related facility, resident center, city civic center, city-hall, women's center or other women's groups in order. It also showed that the desired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future were universities or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s. Fifth, the challenges for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were due to lack of time, burden of education expenses, the distance to the educational places, and traffic. Sixth, educational outcome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were the education itself, fostering professionalism, and self-realization in order. Seventh, the content of lifelong education wanting to participate in the future are culture and art and liberal arts courses, health, sanitations, and sports education, and earning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s and employment related in order. Eighth, for the priority information to establish for the future of the enabling lifelong education wer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various courses, the continuat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and expansion of suppor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on lifelong education which should be conducted in community units. Furthermore, it will become a local community age so the lifelong education research based on community is inevitable. Second, it is necessary to have quality approach to lifelong education. Researches conducted before were mainly focused on the quantity of lifelong education and this research is not an exception in that category as well. Third, the research on the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needs to be conducted periodically every year. Lifelong education is human life itself and the demand of people will always change by the epochal situation. Therefore, th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program through periodic research should be provided to further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 상하이 학교 평생교육 운영현황 분석

        쑨이판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개혁 개방 정책을 실시한 이래 중국의 경제는 급속도로 발전해오며, 국민들의 생활수준도 보편적으로 높아졌다. 중국 국가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까지 중국의 인구는 14억에 이르고, 그 중에서 15살 이상의 인구는 11억을 넘는다고 나타났다. 중국은 2003년에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뒤부터 경제적으로 더욱 급속도로 발전했다. 그리고 현대 사회의 구조에 일어난 변화들은 평생교육에는 사회적 참여의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것이다. 즉, 현 단계 평생교육의 패러다임은 바뀔 것이다. 기존의 중국 평생교육 시스템에는 여가 활동과 취미생활이 아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앞으로 갈수록 사회적 참여를 강조한다는 현시대 중국의 발전적 요구에 어긋날 것이다, 이와 같은 패러다임식의 전환은 평생교육을 접수하는 시민들에게 생활의 질 등과 같은 측면에서 아주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는 기존 평생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한다. 기존 평생교육이 여가와 취미에 집중되었다면, 현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평생교육은 사회적 참여를 강조한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평생교육 학습자들의 삶의 질에 많은 영항을 미치고 있다.

      • 기혼여성의 자살충동 및 예방적 접근으로서의 평생교육 요구 분석 : 경기도 의정부시, 포천시 지역을 중심으로

        조광미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사람들은 왜 자살이라는 것을 할까? 자살이란 자기 자신을 죽이는 행동이다. 당사자가 자유의지를 가지고 자기 목숨을 끊는 행동이 자살인 것이다. 왜 그런 마지막 방법을 선택하는 것일까? 미리 예방할 수는 없을까? 현재 한국의 자살사망률은 OECD국가 가운데 최고 수준이다. 한국에서 자살은 교통사고를 제치고 주요 사망원인이 되었다. 가장 많이 활동을 해야 하는 나이인 10세∼39세 까지의 사망원인중 1위가 자살이다. 그리고 40세∼59세의 제2의 삶을 시작해야 하는 나이에 사망원인중 2위가 자살이다. 이건 너무 비극적이다. 사람들은 왜 그렇게 자살을 많이 선택하는 것일까? 한국의 자살률이 높은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혼여성에 초점을 맞추고 그 원인과 자살 실태를 분석하고 이러한 기혼여성 자살을 예방하기 위하여 전통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접근 방식을 분석한 후 기혼여성 자살 예방의 일환으로 평생교육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탐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제기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의 자살 원인은 무엇이고 자살의 충동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기혼여성의 자살 예방을 위하여 어떤 노력과 접근 방법을 시도하고 경험하였는가? 셋째, 기혼여성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으며 그 교육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는가? 넷째, 기혼여성 자살 예방을 위한 평생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요구에 대하여 평소 어떻게 생각하고 평생교육적 접근으로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가? 이러한 분석을 위해 경기도 의정부, 포천지역의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총 160명에게 간략한 질문 형식의 설문지를 만들어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고, 개인별 차이를 분석 할 때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의 자살 충동원인은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가정불화로 인한 것과 신체적·정신적 질환, 장애 때문이 제일 컸고 비슷한 수치로 외로움, 고독 때문 인걸로 나타났다. 요즘 기혼여성들의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이 늘고 있는 점이 있다. 둘째, 기혼여성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교육기관과 교육을 하는 주관기관으로 여성교육기관을 가장 많이 선택했고 기타의견으로 교회등과 같은 종교기관을 선택한 답변자가 많이 있었다. 교육비에 대한 부담은 중앙정부에서 해주길 희망했으며 상담심리 같은 전문 자살예방교육은 받은 경험이 별로 없고 자살예방 교육으로 활용하면 좋은 프로그램으로 여가활동 서비스 프로그램을 선택했다. 기혼여성들은 사람과의 관계를 중요시해서 다른 사람과의 소통이 있는 프로그램을 자살예방 프로그램으로 가장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혼여성의 자살예방 교육은 참여해본 상담프로그램이 없는 경우가 너무 많았다. 아직은 상담심리 프로그램이라든가 자살예방 프로그램 상담은 일반 기혼여성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전문상담센터를 늘려서 접근에 용이하게 해야 할 것이다. 기혼여성의 특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집단은 대학원이상의 집단으로 단체 상담심리나 개인상담심리를 경험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일반 자기개발과 같은 프로그램 또는 여가활동이나 디지털 교육, 건강에 관련된 프로그램에는 참여를 하고 있었다. 이런 교육 프로그램에서도 사람들과의 소통과 관계로 자살예방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혼여성들이 느끼는 평생교육적 접근 방법에는 “거의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의 평균이 89%로 모두 긍정적으로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여성 자살예방 교육의 필요성은 알고 있지만 자살 예방에 접근하려는 노력은 거의 없었다. 그래서 기혼여성 자살 예방을 평생교육적으로 접근하여 요구하는 특성을 연구하였다. 기혼여성의 우울증이나 외로움을 이해해 주고 또한 교육을 통하여 여성으로 살아갈 길을 안내해 주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모색하였다. 무엇보다 여성 교육의 관심과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정부나 지방자치 단체에서 교육을 구체화시켜 실행하여야 한다. 기혼여성 자살이 평생교육적 접근을 통하여 예방 할 필요성이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게 해서 기혼여성의 행복지수가 높아지면 자살률도 낮아질 것 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