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령화 사회와 노후준비에 관한 모형구축 : 일개 대학교 20~30대 교직원을 대상으로

        이동훈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고령화 사회와 노후준비에 관한 모형구축 본 연구는 일개 대학교에서 교직원을 하고 있는 20~30대의 고령화 사회 인식, 고령화 사회의 사회적 문제 인식, 고령화 사회의 경제적 문제 인식, 저출산 문제 인식, 노후준비 필요성, 노후준비 정보력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노후준비 개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개 대학교에서 교직원을 하고 있는 20~30대 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4개의 하위 요인(고령화 사회 인식, 고령화 사회의 사회적 문제 인식, 고령화 사회의 경제적 문제 인식, 저출산 문제 인식)으로 구성된 고령화 사회 측정도구와 2개의 하위 요인(노후준비 필요성, 노후준비 정보력)으로 구성된 노후준비 측정도구를 사용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ANOVA(ANalysis Of VAriance), ANOVA에서 유의한 경우 Duncan 방법을 사용해 사후검증을 하였고, 편상관분석, 경로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고령화 사회 인식 정도는 4.21(.46)점으로 나타났으며, 고령화 사회의 사회적 문제 인식은 4.36(.52)점, 고령화 사회의 경제적 문제 인식은 4.10(.60)점, 저출산 문제 인식은 2.17(.71)점, 노후준비 필요성은 4.31(.48)점, 노후준비 정보력은 2.01(.59)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고령화 사회 인식은 성별(=-2.067,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고령화 사회의 사회적 문제 인식은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고령화 사회의 경제적 문제 인식은 주거현황(=3.094,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저출산 문제 인식은 경제적 상태(=3.579, <.05), 올바른 소비습관(=2.974, <.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후준비 필요성은 모든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후준비 정보력은 경제적 상태(=3.974, <.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연구대상자의 고령화 사회 인식, 고령화 사회의 사회적 문제 인식, 고령화 사회의 경제적 문제 인식, 저출산 문제 인식, 노후준비 필요성, 노후준비 정보력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표 10>과 같다. 먼저 고령화 사회 인식은 고령화 사회의 사회적 문제 인식(=.416, <.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그림 4>와 같이 나타났다. 고령화 사회의 사회적 문제 인식은 고령화 사회의 경제적 문제 인식(=.295, =.004)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그림 5>와 같이 나타났다. 고령화 사회의 경제적 문제 인식은 노후준비 필요성(=.263, =.01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그림 6>과 같이 나타났다. 저출산 문제 인식은 노후준비 필요성(=-.205, =.049)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그림 7>과 같이 나타났고, 노후준비 정보력(=.329, =.001)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그림 8>과 같이 나타났다. 4. 경로분석 결과 노후준비 필요성에는 고령화 사회의 경제적 문제 인식(B=.232, =.008), 저출산 문제 인식(B=-.156, =.018)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노후준비 정보력에는 저출산 문제 인식(B=.300, <.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20~30대 일개 대학교 교직원의 노후준비 필요성에는 고령화 사회의 경제적 문제 인식, 저출산 문제 인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후준비 정보력에는 저출산 문제 인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풀뿌리주민자치 활성화를 위한 주민조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전광역시 대덕구 송촌동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이은하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47

        민주화의 결실로서 나타난 지방자치는 근대 이후 민주주의의 뿌리로서 정치적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역사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유럽을 중심으로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다는 문제의식이 확산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어 이의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서 ‘주권재민’이라는 민주주의의 본래 핵심 가치에 관심을 두고 지방정부 내의 주민자치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견주어 우리나라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주민자치가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던 2010년대를 시작으로, 2013년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이 지금까지 전개되면서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주민자치회가 풀뿌리마을자치 활성화에 중추적 조직으로서 얼마나 기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판단으로, 첫째, 읍․면․동 주민자치회가 마을 안에서 실질적으로 어떠한 역할과 기능을 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둘째, 우수 사례로 평가받고 있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송촌동 주민자치회를 ‘주민자치회 주도의 읍․면․동 마을역량강화 기본모형’에 적용하는 최초의 연구로서, 주민자치회의 조직역량에 초점을 두어 주민자치회의 성공요인을 발견하고 이의 실질적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민자치회의 조직역량을 조직의 성패와 관련해 무엇보다도 중요한 항목으로 고려하였다. 조직역량은 명확한 사명, 위원구성 다양성, 민주적절차, 전략적 기술과 리더십, 다양한 자원 하위분과의 전문성, 관여범위와 심도(depth)의 확대, 연합형성, 공동체 비전설계 및 공동체 기반의 기획이라는 9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초자치단체장의 확고한 의지와 행정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송촌동 주민자치회는 타 주민자치회보다 초기 빠르게 안정적인 정착이 가능하였는데, 우선, 주민자치회의 초기에는 행정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고 주민자치회가 안정기에 접어들면 행정은 보충성의 원리로서 주민자치회의 관리‧감독 차원에서 벗어나, 그들의 독립성을 인정하여야 한다. 둘째, 기존에 시행되고 있던 주민자치위원회를 주민자치회로 빠르게 전환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송촌동 주민자치회를 통해 기존의 주민자치위원회와 차별된 전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주민자치회는 지속적인 학습으로 역량을 강화하고 주민자치의 중추조직으로서 마을의 일반주민 대상 교육을 추진할 수 있도록 그 영역을 점진적으로 확장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주민자치회를 통해서 우리사회가 진정 얻고자 하는 것은 주민의 신뢰관계 속에서 그들의 행복을 증진할 수 있는 사회적 자본과 역량의 형성이므로, 자칫 사회적 자본에의 관심이 소홀해질 수 있음을 미연에 방지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주민자치회는 주민의 시선으로 행정이 미처 할 수 없는 영역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시 되고 주민 간 관계맺기가 최상의 우선순위에 놓이도록 주민자치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현주소의 점검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섯째, 구청 행정과 파트너십이 발현되어 민관협치의 좋은 사례를 보여줄 수 있었던 것으로, 주민과 주민 간, 주민과 다른 단체 간 및 주민과 행정 간의 결속 또는 가교적 관계형성이 주민자치회의 중요한 사명과 역할로 자리 잡아야겠다. 여섯째, 주민자치회는 마을의 다양한 계층의 주민들이 고르게 참여할 수 있도록 주민참여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는 주민의 대표성을 확보하고 주민자치회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마을의 일반주민 참여 활성화가 우선시 되어야 하는 전제조건임을 시사한다. 일곱째, 주민자치회는 일반주민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참여방법을 다각화해야 한다.이는 주민에게 시간적, 장소적 제한이 없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여덟째, 주민자치회는 전담 중간조직을 설치하여, 담당 자치지원관을 통해 주민자치회를 지원하고 활성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주민자치회는 정치적으로 중립성을 유지해야한다. 주민자치회가 정치적 성향을 띄게 되면 주민자치회는 더 이상 독립된 결사체조직으로서 작동하지 못한다. 이상과 같은 주민자치회가 가지는 여러 가지 한계를 극복하려는 적극적 노력이 시도될 때, 주민자치회는 마을의 독립적 결사체로서 주민자치를 주도하고 마을역량강화를 위한 중추적 조직으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며, 그 ‘구체적인 노력’은 다음과 같다. 우선,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주민자치회의 법과 관련된 논의에 앞서 마을의 기존 제도들의 유기적 연계를 통한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우리 주변에서는 송촌동 주민자치회 사례처럼 모범적으로 운영되는 성공 사례가 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주민자치회가 우리의 성숙한 지방민주주의 실현에 어떤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를 기대해볼 만하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주고 있다.

      • COVID-19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두려움, 피로도, 회복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조예진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COVID-19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두려움, 피로도,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가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신종 감염병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향상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1개의 상급종합병원, 1개의 종합병원에서 COVID-19 환자 간호를 시행한 143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하였고 자료는 2021년 8월 8일부터 2021년 9월 4일까지 설문조사 또는 인터넷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두려움은 평균 16.27±5.68점(도구범위 7-35점), 항목평균 3.26±0.80점(척도 범위 1-5점), 피로도는 평균 131.08±25.39점(도구 범위 39-195점), 항목평균 3.36±0.65점(척도 범위 1-5점), 회복탄력성은 평균 108.09±13.18점(도구 범위 30-150점), 항목평균 3.60±0.43점(척도 범위 1-5점), 사회적 지지는 평균 98.64±13.51점(도구범위 25-125점), 항목평균 3.94±0.54점(척도 범위 1-5점)이었다. 2. 대상자의 전문직 삶의 질 중 공감만족은 평균 31.82±5.45(도구범위 10-50점), 항목평균 3.18±0.54점(척도 범위 1-5점), 소진은 평균 28.86±4.74(도구 범위 10-50점), 항목평균 2.88±0.47점(척도 범위 1-5점),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27.41±5.30(도구 범위 10-50점), 항목평균은 2.74±0.53점(척도 범위 1-5점)이었다. Stamm(2009)의 분류 기준에 따라 점수의 총합이 22점 이하는 낮은 수준의 집단, 23-41점은 보통인 수준의 집단, 42점 이상은 높은 수준의 집단으로 전문직 삶의 질을 영역별로 비교한 결과 공감만족 상위 집단은 6명(4.2%), 중위 집단은 130명(90.9%), 하위 집단은 7명(4.9%), 소진은 중위집단이 133명(93.0%), 하위 집단은 10명(7.0%),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상위 집단은 1명(0.7%), 중위 집단은 119명(83.2%), 하위 집단은 23명(16.1%)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두려움은 성별(t=2.01, p=.046), 총 임상경력(F=3.85, p=.024), COVID-19환자 간호 기간(F=4.85, p=.009), 동거형태(t=-2.38, p=.019)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피로도는 나이(F=4.59, p=.012), 성별(t=3.42, p=<.001), 결혼상태(t=2.83, p=.005), 총 임상경력(F=5.55, p=.005), COVID-19 환자 간호 기간(F=12.71, p=<.001), 동거형태(t=-4.11, p=<.001), COVID-19로 자가격리를 경험한 경우(t=2.13, p=.03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나이(F=4.07, p=.019), 결혼상태(t=3.13, p=.002), 총 임상경력(F= 3.61, p=.03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는 성별(t=2.17, p=.03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만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소진은 COVID-19 환자 간호 기간(F=6.34,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COVID-19 환자 간호 기간(F=6.33,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전문직 삶의 질 중 공감만족은 회복탄력성(r=.563, p<.001), 사회적 지지(r=.421,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 피로도(r=-.169, p=.043)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소진은 회복탄력성(r=-.460, p<.001), 사회적 지지(r=-.287, p<.001)와는 음의 상관관계, 두려움(r=.301, p<.001), 피로도(r=.467, p<.001)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두려움(r=.483, p<.001), 피로도(r=.461,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전문직 삶의 질 중에 공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β=.511, p<.001), 피로도(β=-.203, p=.003)였고 설명력은 35.0%로 나타났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β=-.503, p<.001), 피로도(β=.421, p<.001)였고 설명력은 45.2%로 나타났다.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두려움(β=.346, p<.001), 피로도(β=.291, p<.001)였고 설명력은 30.7%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은 공감만족과 소진의 유의한 영향요인, 피로도는 공감만족, 소진,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의 영향요인, 두려움은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COVID-19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두려움, 피로도를 낮추고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침 보완이 필요하다.

      • 간호사의 항암제 안전관리지침 이행 영향요인

        황보영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for anticancer drug-handling nurses an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es handling anticancer drugs at two general hospitals in D area, and 208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2020 to October 2020, and was conducted through a self-report survey. Research tools include general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perceived benefit, perceived disability, evidence-based practical self-efficacy, behavior-related feelings, evidence-based practical beliefs,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and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1.0 version for reliability analysis of each tool, an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imultaneous inp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behavior-related feelings, and evidence-based practice self-efficacy of nurses, the higher the compliance with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implementation of the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was shown to be 100.09±11.12 out of 130. Out of 5 points for each sub-area, the anticancer drug discard was the highest with 4.03±0.40 out of 5, followed by dosing (IV) with 3.94±0.47 points, anti-cancer drug exposure with 3.80±1.37, preparation for administration with 3.76±0.45 points, and administration (oral) with 3.55±0.75 points. 2) As for the score for each variable, out of 5 points, perceived benefit 4.40±0.56 points, perceived disability 2.01±0.71 points, behavior-related emotions 3.91±0.61 points, evidence-based practical belief 3.53±0.50 points,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scored 3.69±0.57 points and evidence-based practice self-efficacy was 5.78±1.50 points out of 10. 3) The implementation of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statistically depends on the working period (F= 3.03, p=.030), the working department (F= 5.05, p=.007), and the handling period (F= 5.66,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4) Perceived benefit (r=.193, p<0.01), evidence-based practice self-efficacy (r=.298, p<0.01), evidence-based practical beliefs (r=.265, p<0.01) and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r=.419, p<0.01)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perceived disability (r=-.233, p<0.01)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value. There was a correlation. 5) Factors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were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β=.33, p<0.01), work department internal medicine ward (β=-.26, p=.006), behavior-related emotions (β=.24, p=.003), evidence-based practical self-efficacy (β=.20, p=.017), 23% explanatory p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safety culture, behavior-related emotions, and evidence-based practical self-efficiency of nurses, the higher the implementation of anti-cancer drug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This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safe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anti-cancer drugs by nurses in the future.

      • 남녀간호사의 성 고정관념 비교

        박은주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남녀간호사의 성 고정관념을 파악하고, 남녀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근무관련 특성에 따른 성 고정관념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 충남지역 소재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남녀간호사와 인터넷 카페 ‘대한민국 남자간호사’의 남자간호사 회원들로, 남자간호사 103명, 여자간호사 235명, 총 338명이었다. 연구도구는 김동일(1993)이 개발한 성 고정관념 측정도구를 포함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할 것에 서면 동의한 대상자에게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test, Chi-square test, Two-way ANOVA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자간호사와 여자간호사는 일반적 특성과 근무관련 특성에서 연령, 결혼상태, 근무부서, 직위, 총 임상경력, 현재 근무부서 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5). 2) 남자간호사와 여자간호사의 성 고정관념은 165점 만점 중 남자는 평균 86.54±16.32점이고, 여자는 평균 76.75±17.41점으로 남자간호사의 성 고정관념이 여자간호사의 성 고정관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4.84, p=.001). 3) 성 고정관념 하위 5가지 영역 중 사회적 성 고정관념, 직업/외형적 성 고정관념, 심리적 성 고정관념, 지적 성 고정관념은 남자간호사가 여자 간호사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가정적 성 고정관념은 남자간호사와 여자간호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남자간호사는 직업/외형적 성 고정관념이 가장 높았고, 여자간호사는 가정적 성 고정관념이 높았으며, 남녀간호사 모두 사회적 성 고정관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남녀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근무관련특성에 따른 성 고정관념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남녀간호사의 성별과 일반적 특성 및 근무관련특성 간에 상호작용효과가 없었으며, 남녀간호사의 성별에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5).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 고정관념은 물론 그 하위 영역까지 여자간호사보다 남자간호사에서 높게 나타나 남자간호사들도 간호전문직에 만족하면서 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남자간호사의 성 고정관념을 낮출 수 있는 중재전략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여자간호사에서는 가정적 성 고정관념이 제일 높게 나와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상의 결론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사가 전문직 역할 수행 하는데 있어 남성성과 여성성을 모두 갖춘 양성성 교육이 이상적이므로, 성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성 고정관념을 개선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2. 남자간호사의 역할 파트너인 의료인, 병원 일반직원 및 환자를 대상으로 남자간호사에 대한 이미지 조사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3. 여자간호사의 가정적 성 고정관념이 높으므로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A Comparative Study on the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e and Female Nurse Park Eun-Ju Dept. of Nursing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Lee Kang-yi, RN, Ph. 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gender stereotypes between male nurse and female nurs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338 nurse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in Daejeon and Chungnam area. 235 were female nurse, 103 were male nurse as members of the internet cafes ‘Korean male nurse'. The gender stereotypes among nurses were measured by the Gender Stereotyp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1993).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two-way ANOVA using SPSS/Win 12.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noted in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le nurse and female nurse such as age, marital status, working department, position,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nd current department career. 2. The mean scores of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s were 85.54±16.32, and the mean scores of female nurses’ gender stereotypes were 76.75±17.4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noted in the mean scores of the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e and female nurse (t=4.84, p=.001). Regards to the subcategories of the gender stereotypes, for male nurse, the highest score was occupational/external gender stereotype and for female nurse, the highest score was familial gender stereotype, and for both male nurse and female nurse, the lowest score was social gender stereotyp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noted in familial gender stereotype between male nurse and female nurse, but social, occupational/external, psychological and intellectual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e were significantly high. 3.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s noted between the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e and female nurse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ork-related variables of nurse. There were no between group effects noted in gender stereotyp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ork-related variables of nurs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noted in the gender stereotypes according to the gender of nurse (p<.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ale nurses’ gender stereotypes were higher than that of female nurses. An educational program for male nurse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the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e. And the strategies for a balance between job and house work need to be developed for female nurses. Key word : Gender Stereotype

      • 이혈 요법이 노인의 스트레스 관련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전미자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9631

        논문요약 이혈 요법이 노인의 스트레스 관련 자율신경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이혈 요법을 실시하였을 때 고혈압과 심박변이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혈압의 안정과 스트레스가 고혈압을 유발하는 과정에서 자율신경계의 변화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전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본태성 고혈압여성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1일부터 2016변 12월 7일 까지, 주1회 총10회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150명을 대조군, 마사지군, 첩압군으로 각각 50명씩 무작위로 분류해 실험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으로, 이혈 요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각 집단 간의 차이 검증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으로 분석하였다. 가설 검증은 유의수준 p<.05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혈 요법을 실시 한 후 좌·우 수축기 혈압, 좌·우 이완기 혈압, 좌·우 맥압, 자율신경계인 교감활성, 부교감활성, 스트레스 지수, 맥박표준편차, 평균편차 모두에서 통계적(p<.001)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안정된 상태에서 측정된 좌·우 맥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율신경균형은 시기에 따른 p=.218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기와 집단 간은 통계적(p<.01)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평균맥박은 시기에 따라 통계적(p<.05)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시기와 집단 간의 변화에는 p=.54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사전·사후 스트레스 받는 상황(p=.390)과 건강 증진 행위(p=.119)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스트레스 대처행동, 삶의 만족도와 우울 척도에서 통계적(p<.001)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혈 요법 마사지와 첩압이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혈압 하강과 스트레스 감소에 대한 효과가 검증된 결과는 보완대체요법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 자율신경계, 본태성 고혈압, 첩압, 스트레스

      • 대전대학교 학생들의 식습관 및 야식 실태 조사

        정혁순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stud on the Eating habit and late night sack of Daejeon university Joung huck-soon Dept. of Food and Nutrition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Directed by Prof. Koo Nan-Sook Ph.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usual and the late-night eating habits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gender and housing typ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sirable eating habits and late-night eating habits with the students. From June 10 2013 to June 11 2013, 450 questionaires were distributed and the retrieved 432 questionaires were processed with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mainly statistically analyzed with χ2(Chi square) cross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As for the types of the housing of subjects, 223 male students and 209 female students, 191 of them lives in their own home, 158 of them live apart form their family or live in their relatives', and 83 of them live in dormitories or boarding houses. 200,000 ~ 300,000 won for a month is the most common allowance. They can mark diseases on the questionaires as much as they have and 241 of them(50%) don't have any disease. 138 of them use computer for 1 ~ 2 hours a day. 132 of them get up at 7 ~ 8 o'clock in the morning. As for stress, grades cause stress most (28.9%) and meeting friends reduce stress most(27.7%). Their favorite exercise is walking(27.2%). As for whether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own physique,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question about their physique style (P<0.001), in the satisfaction level(P<0.001). Most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ren't satisfied with their own physique but female students are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weight control between genders(P<0.05) and both genders try to lose weight(P<0.001).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ir own physique and weight control according to housing style. Taking snack at night, both genders usually have soda with it. As for alcohol, they drink soju and beer most. The frequency is 1~2 a week is most common and they drink alcohol near their university most. Though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y liquor type between genders(P<0.05), there isn't in housing type. Nor there isn't in the frequency of drinking according to genders and housing style.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where they drink between genders(P<0.05) and in housing style( P<0.001). Both students eat late-night snack at home 1~2 a week most and 50 % of them spend 10,000~20,000won. They eat snack before midnight most.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when they have snack between genders. So is there in the place according to housing style. As for the reason and the behavioral type of eating snack at night, they have snack at night because of hunger mainly. They usually eat late-night snack with 2~3 of their friends.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snack companions between genders(P<0.001) and there is in snack companions(P<0.001) and the number of the companions (P<0.05) according to housing style, too. Therefore, there is meaningful difference in life habit, eating habit, recognition of their own physique, and eating snack at night. Especially in eating snack at night. And a lot of university students eat snack at night these days. Students need to improve their eating habit, eat desirable snack not that late if they can't control appetite at night, and have desirable drinking culture when they drink alcohol with snack at night.

      • 중소기업지원기관의 마케팅지원사업 수요 및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성영주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A study on the demand and satisfaction research of marketing support program of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support institutions. - based on Dae-Jeon city - Yung-Ju, Sung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Directed by Prof. In-Am, Song, Ph. D) Abstract Small and Medium business support Institutions are implementing a variety of marketing-supporting policy for the growth of small medium enterprises.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the demand and satisfaction to effectively push forward with support project. This study would aim to present the results and the improvement by conducting the satisfaction research based on small businesses in Dae-Jeon. This study on the presented results and implication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t needs to be promoted by Sponsoring Authority as it does scant justice to Marketing Support Program. Second, it is though to need the expansion of the support such as promotional materials of the result of the demand investigation, a market research as well as the design development as it is in high demand for these sectors. Third, this survey found that Support Program were the most satisfied in terms of the process of progress, the evaluation process, the business process and the quality. In addition, I could get the results that influence these factors. Forth, it revealed that the improvement of Marketing Support Program is needed in order of the expansion of the marketing division, the early enforcement of supporting program as well as the diversification of supporting program. At last, the infant enterprises is needed to manage now that it shows that the quality satisfaction of supporting businesses is quite low. We nee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satisfaction of the relevant enterprises since the sales scale is less than five million won. This study differentiate it from a previous research with Marketing Support program conducted and analyzed by the satisfaction investigation as the center. It is presented what the process of progress, the evaluation process, the business process and the quality impacts and also adduced to explain the industry, scale and growth. Furthermore, it is presented for some improvement and the direction of policy, so this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would help the support organization and small and medium businesses

      • 청소년의 인지적 지역요인과 자살생각 사이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백승진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청소년이 거주하는 지역의 환경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상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자살생각을 예방할 방안을 모색하고 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대전광역시의 5개구에서 각 구에 중학교 1개씩을 선정하여 2학년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결과는 첫째, 개인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성별, 거주 지역, 가족구성, 경제수준이 자살생각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인지적 지역요인 중 지역애착은 애착이 낮은 지역의 청소년이 자살생각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무질서는 무질서 지역이 그렇지 아니한 지역보다 자살생각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개인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 가정형편, 가족구조 중 기타가정의 순으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쳤다. 개인의 일반적 특성, 인지적 지역 요인과 청소년자살생각의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성별, 지역애착의 감독기능, 지역무질서의 사회적 무질서, 가정형편, 가족구조의 기타가정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개인이 인지한 지역요인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이해를 넓혀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지역환경의 개선 대책 마련 연구를 심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청년창업기업의 애로사항과 사업성과 극대화 요인의 우선순위 연구

        송명섭 대전대학교 대학원,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청년창업자가 창업 시 고려해야할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우선순위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기업의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기업내부요인과 기업외부요인이 존재하고 있으며 기업내부요인으로 대표이사의 창업 전 경험과 역량, 기업요소인 Value Chain 상의 요인이 있고, 기업외부요인으로 투자/융자, 컨설팅/교육 등 지원하는 정부정책 등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에 미치는 요인이 창업기업의 사업성과 극대화에 영향은 기업성장 단계별, 창업기업 특성에 따라 요인 우선순위 중요도를 창업 3년 이내, 만 39세 창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사업성과에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적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성과에 미치는 중요도 분석하기 위해 AHP기법을 이용하였다. AHP기법의 계층구조는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기존 국내연구자와 해외 연구자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4계층으로 구성하여 설계하였는데 제2계층은 2요인, 제3계층에서 3요인, 제4계층에서는 12요인을 선정하여 구성하였다. 각 요인들의 비교평가와 분석과정에서의 결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청년창업센터 전문컨설턴트, 창업컨설턴트의 토론을 통한 의견을 수렴하여 요인들을 선정하는데 반영하였으며, 결과의 분석 도구로는 AHP기법 전용 전문 소프트웨어인 “I MAKE IT”솔루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창업자들이 사업을 영위하면서 사업성과 극대화를 위해서는 기업내부요인보다 기업외부요인이 다소 높아 기업외부요인이 기업성과에 우선적으로 영향을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최하위요인 순위도에 의하면 정부의 투/융자지원이 가장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2순위로는 기업내부요인 대표이사의 관련 산업경험, 그 다음 순서로 근소한 차이를 보이면서 마케팅지원, 컨설팅/교육지원순위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창업자는 창업에 소요되는 자금조달이 압도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고, 관련 산업경험이 대표이사로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느끼고 있으며, 또한 마케팅지원과 사업전반에 관한 교육지원과 컨설팅이 창업초기 외부로부터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2단계 상대적 중요도(기여도)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기업내부요인 중 대표이사 역량이 기업요소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 대표이사의 준비해야할 창업 전 경험이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고, 기업요소는 기업이 일정수준의 성장 후 관리적 개념이 내포되어 있어 창업초기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신규 청년창업자의 창업 시와 정부가 청년창업자의 정책을 입안 과정에 수요자인 청년창업자의 애로사항과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청년창업자가 창업 후 경영경력이 3년 내외로 조사한 결과가 경영성과 극대화 요인의 우선순위를 판단하는데 한계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 이어 조직전반의 이해도가 높고 경력이 풍부한 컨설턴트, 경영자 등의 전문가의 동일 설문을 조사하여 AHP기법을 이용하여 창업자와 전문가의 인식차이 분석을 포함시킨다면 좀 더 가치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iority order of the factors which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and thus should be considered when a young startup entrepreneur found a business. For the management of the business of a company, corporate internal factors and corporate external factors exist. Corporate internal factors include a CEO’s experience and capability before starting a business and the factors in value chain, the corporate factor. Corporate external factors include government policies which support investment & financing and consulting & edu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iority order of the factors which affect companies based on their influence on the maximization of the corporate performance of a startup company according to company growth st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startup business,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entrepreneurs aged 39 who had started their businesses no more than three years ago.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factors which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and generated the priority order of the factors. In the study,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echnique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which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As for the hierarchy structure of AHP technique, a variety of factors which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were designed into a four-hierarchy structure with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based on the findings of researchers at home and abroad. The second hierarchy consisted of two factors, the third hierarchy was composed of three factors, and the fourth hierarchy consisted of 12 factors.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from the comparative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factors, results from the discussion between specialized consultants in the youth startup center of Small & medium Business Corporation and consultants specialized in starting up a business were reflected in selecting the factors. As for the tool employed i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 MAKE IT”solution program, the software exclusively for AHP technique, was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rporate external factors were higher than corporate internal factors when young startup entrepreneurs maximized their corporate performance. This indicates that corporate external factors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earlier than other factors. According to the lowest ranks of factors, investment and financing supported by the government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importance in terms of th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A CEO’s relevant industrial experience, one of corporate internal factors, took the second place, followed by marketing support and consulting & education with a sligh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startup entrepreneurs thought that financing for a startup was dominantly important. In addition, they believed that relevant industrial experience increased a CEO’s possibility to succeed and that marketing support, education support on overall business and consulting should be provided from the outside at the early stage of starting up a busi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two stage relative importance (contribution) in the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a CEO’s capability, one of corporate internal factors, was slightly higher than corporate factors. This indicates that the experience a CEO should prepare before starting up a business is important and that, as corporate factors include managerial concepts after a company has grown to a certain level, there is a low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early stage of starting up a business.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d when a young startup entrepreneur founds a business or when the government establishes a policy for youth startup entrepreneurs with the consideration of youth startup entrepreneurs’ difficulties and the priority order of the factors which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However, as the young startup entrepreneu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all had about three-year experience of management after founding a busi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limitations in determining the priority order of the factors which maximize management performance. If a follow-up study conducts a survey involving experts including consultants and managers with good understanding of an organization in general and abundant experience and contains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startup entrepreneurs and experts using AHP technique, the study will be more val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