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전공 영역에 따른 화용의사소통능력의 비교

        김영순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87

        Living in an era that has developed radically as industri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took place, we live by communicating directly or indirectly with each other through enormous information and various media media.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experienced the bad news of the COVID-19 pandemic at a time when they had to go to school and prepare for employment in their early adulthood are also called the "lost generation," and the issue of isolated young people is emerging as a social issue. College students in 2020 called "COVID-19 Student Number" did not have a smooth adjustment process to college life compared to other students, and not only Corona Student, who started college life non-face-to-face, but also existing students need to make efforts to cultivate core competenci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college life.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communication experience, it is estimated that the number of young people who are currently isolated and do not have positive interactions with others in Korea reaches about 540,000. This problem cannot be solved without being connected to people. Communication skills are part of the skills that everyone must have in order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and successful interactions, and companies also consider communication skills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talent. College students are learning new thing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are having an important period in their lives in general. It is also important to achieve studies and prepare for the future through college life, but it is considered essential to establish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ultivate individual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order to live a successful life in our society. There are standardized test tools and informal evaluation methods for evaluating the pragmatic language ability among language test tools, but the method of evaluating pragmatic language for adults is different for each examiner without standardized standards, and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ventions of pragmatic language ability in adulthood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pragmatic communication skills that affect communication core competencies by major area, and also prepared basic research data on pragmatic communication skills for adults. In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y referring to DSM-5's diagnostic criteria for social pragmatic communication disorders and the questions of KOPLAC (Korean Children's Meta-Voice Test). Sub-detailed items were set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results, and the ability of pragmatic communication by major area was analyzed with 60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for questionnaire items for adults were judged to be suitable for the analysis model and were found to be five factors. The five factors were named conversation technology operation, communication coordination, causal relationship identification and discourse resolution, contextual explanation, and situational communication. Second, comparing the overall average score of pragmatic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by major area, it was found that engineering colleges were lower than those of rehabilitation science colleges, formative arts colleges, and social science colleges. When compared by factors, engineering colleges were lower than those of formative arts colleges and social science colleges in terms of dialogue technology operation and explanation according to situations and opponents. In terms of communication coordination, engineering colleges were lower than formative arts colleges. Engineering colleges were lower than social science colleges in their ability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and resolve discourse. In terms of communic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engineering colleges were lower than those of formative arts colleges, business schools, social science colleges, and rehabilitation science colleg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communication skills among the core competencies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have for general adult college students by major area,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undergraduat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s had lower scores than those of rehabilitation science colleges, formative arts colleges, and social science colleges, among which they had the lowest communication skills according to circumstances. Therefore, whether engineering students' low pragmatic communication skills are the result of learning about their major areas, and they encounter various communication situations such as counseling and meetings not only in college but also in their work lives, and follow-up studies are needed on communication education or methods that can provide difficulties in the university curriculum. 산업화와 정보화가 이루어지면서 급진적으로 발전해 온 시대 속에 살고 있는 우리는 막대한 정보와 다양한 미디어 매체 속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소통하며 살아가고 있다. 성인 초기의 시기를 보내며 진학과 취업 준비를 해야 할 시기에 코로나19 펜데믹이라는 악재를 겪었던 2030세대는 ‘잃어버린 세대’로도 불리고 있으며 고립 청년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코로나 학번’이라고 불리는 2020학번 대학생들은 다른 학번에 비해 대학 생활의 적응 과정이 원활하지 않았으며 대학 생활을 비대면으로 시작한 코로나 학번뿐 아니라 기존의 재학생들 또한 대학 생활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 등과 같은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소통 경험의 부족으로 현재 국내에서 타인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갖지 못하고 고립되어있는 청년 인구의 수는 약 54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문제는 사람과 연결되지 않고서는 해결될 수 없는 문제이다. 의사소통능력은 긍정적인 관계를 맺고 성공적인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서 모든 사람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능력의 일부이며 기업에서도 의사소통능력을 인재 선발의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다. 대학생들은 다양한 경험을 통해 새로운 것을 배우며, 삶의 전반에 있어서 중요한 시기를 보내고 있다. 대학 생활을 통해 학업을 성취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맺으며 학생 개인의 핵심 역량 함양은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언어 검사 도구 중 화용언어 영역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표준화된 검사 도구와 비공식적인 평가 방법들이 있지만 성인을 대상으로 한 화용언어 평가 방법은 표준화된 기준 없이 검사자들마다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고, 성인기의 화용언어능력의 특성이나 중재 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사소통 핵심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화용의사소통능력을 전공 영역별로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화용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연구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SM-5의 사회적 화용 의사소통 장애 진단 기준과 KOPLAC(한국아동메타-화용언어검사)의 문항을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여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위 세부 항목을 설정하였으며, 대구·경북 지역 대학교에 재학중인 학부생 60명을 대상으로 전공 영역별 화용의사소통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문항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는 분석 모형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으며 5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5개의 요인은 대화 기술 운용, 의사소통 조율, 인과관계 파악 및 담화 해결,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설명하기, 상황에 따른 의사소통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전공 영역별 화용의사소통능력의 전체 평균 점수를 비교해 본 결과 공과대학이 재활과학대학과 조형예술대학 그리고 사회과학대학의 점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대화 기술 운용과 상황과 상대에 맞추어 설명하기 능력에서 공과대학이 조형예술대학과 사회과학대학보다 낮았다. 의사소통 조율 능력에서 공과대학이 조형예술대학보다 낮았다. 인과관계 파악 및 담화 해결 능력에서 공과대학이 사회과학대학보다 낮았다. 상황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에서 공과대학이 조형예술대학과 경영대학, 사회과학대학, 재활과학대학보다 낮았다.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 중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 전공영역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과대학 학부생들의 화용의사소통능력이 재활과학대학과 조형예술대학, 사회과학대학의 점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상황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에서 가장 유의미하게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공과대학생들의 낮은 화용의사소통능력이 전공 영역에 대한 학문을 학습하며 나오는 결과인지, 또한 대학 생활뿐 아니라 직장생활에서도 상담이나 회의 등의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을 접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의사소통에 대한 어려움을 대학 교육 과정에서 제공할 수 있는 교수 방법 등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영향

        백기영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2월부터 4월까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N 재활병원에서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 중에서 대상자를 선별하였다. 선별기준에 합당하고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하여 충분히 설명한 것을 듣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38명의 대상자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별된 대상자는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인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하여 인지기능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 19명과 전통적 인지기능 훈련을 적용한 대조군 19명으로 무작위 배분하였다. 치료중재는 1일 30분, 주 3회, 총 8주에 거쳐 중재를 시행하였다. 두 집단의 중재 전․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을 비교하기 위해 NCSE, LOTCA, K-MBI를 시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집단 내에서 중재 전․후 인지기능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р< .05), 두 집단 간 중재 전․후 인지기능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р> .05) 둘째,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이용한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집단 내에서 중재 전․후 일상생활 수행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р< .05), 두 집단 간 중재 전․후 일상생활 수행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р> .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기존의 재활치료와 더불어 가상현실재활프로그램인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적용할 경우 대조군에 적용된 전통적 인지기능 훈련과 같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통적 인지기능 훈련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환자의 흥미와 동기유발을 통해 능동적인 참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재활치료와 병행하여 사용한다면 인지기능 훈련에 효과가 있는 중재법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RAPAEL Smart Glove’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February to March in 2017. The subjects of 38 were selected among stroke patients in ‘N’ rehabilitation hospital in Daegu. They met screening criteria and clearly understood about purpose of this study to agree to join it.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of 19 and control group of 19 randomly. Whil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RAPAEL Smart Glove’, control group was given traditional cognitive - functional program. Each group got 30minutes of therapeutic intervention a day, 3times a week for 8 weeks in total. NCSE, LOTCA and K-MBI were taken to assess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wo group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 First, cognitive function of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p< .05). But cognitive func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id not 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 .05). Seco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p< .05). But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id not pres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 .05).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existing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program with ‘RAPAEL Smart Glove’ together can produce good effect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stroke patient. Al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cognitive treatment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it is meaningful that the use of patients can be helpful in the sense that they can benefit from the cognitive function of cognitive function, provided they engage in active participation in patients ' interest and motivation.

      • 근로사업장의 비용-편익 분석을 통한 사회경제적 가치 연구

        최동우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the costs incurred in the disabled workplace through the cost-benefit analysis of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reference point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y of individual with a significant disabilities in local governments to be implemen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st-benefit analysis of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three-year operation of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point of direction for the support policy of the local governments on the operation and support of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calculating the total budget including the subsidy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 as the cost factor.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uggested. first. Quantify the cost-benefit components of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three-year cost-benefit ratio of the analysis target is calculated, Thirdly. Prove the socioeconomic value through the cost-benefit analysys of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policy direction of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st factors of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re labor cost, facility operation cost, facilities and equipment cost, business cost, and the benefit factor is total wage for disabled person, income other than labor cost, tax contribution. Second, the cost-benefit net present value and ratio of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represent the net present value and the benefit ratio (+) for each year of 2016, 2017, and 2018, and more than 1 and the total benefit for three years It has proven to be an efficient program because of the same result. Third, in order to operate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fficiently, ① continuous investment should be made in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ncrease in investment in the business led to an increase in the output derived from the protected employment project, and the fact that the output was larger in comparison with the inpu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job opportunities for the individual with a significant disabilities, the state should increase the investment in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o that high quality jobs can be created. In order to increase the cost-benefit of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self-produced items and the sale of products. In order to increase the benefit factor, product profitability is important, so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efficienc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firstly, the efficiency of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shown. Therefore, the state and the local government should try to make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uitable for the actual condition of the reg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support system that access to th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the employee through linkage with alternative programs and social security expense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support system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such as cost/benefit analysis other than social welfare facility evaluation, also it is necessary to define cost and benefit factors periodically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Fourth,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facilities in specific areas because there is not enough data to understand the results of the reorganization of nongovernment organizations and the performance of the whole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fter the local autonomy. Therefore, can not be represent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cumulative effect of depreciation application and the change of the service life to the facility and equipment costs in calculating the cost factor, and the wage factor of the benefi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the average number of years of service of the workplace is 11.5 years. These factors were not considered. Therefore,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find out more detailed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overall social enterpri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peopl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장애인 보호고용사업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중 근로사업장을 대상으로 비용-편익 분석을 통하여 장애인근로사업장에 투입된 비용이 얼마나 사회경제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하고, 결과를 토대로 향후 추진될 기초자치단체의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정책방향과 기준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직업재활시설의 비용-편익분석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 대상 직업재활시설(근로사업장)의 3년간의 운영성과 즉 해당 시설의 투입 대비 산출적인 측면에서 사회경제적인 효과가 얼마나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편익요인으로 산출하고 기초자치단체의 보조금을 포함한 소요된 예산총액을 비용요인으로 산정하여 직업재활시설의 운영 및 지원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정책 방향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직업재활시설의 비용-편익 구성요소를 계량화하며, 둘째. 분석대상의 3년간의 비용-편익 비율을 산출하며, 셋째. 근로사업장 비용-편익분석을 통한 사회경제적 가치입증과 지방자치 단체의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지역의 A근로사업장을 대상으로 비용과 편익효과에 대한 3년간의 행정자료를 전수조사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첫째, 장애인근로사업장의 비용요인은 종사자 인건비, 시설운영비, 시설 및 장비비, 사업비이며 편익요인은 근로장애인 총 임금, 인건비 외 수익, 세금 기여액, 보호자의 경제활동 기여, 대안프로그램 비용이다. 둘째, 장애인근로사업장의 비용-편익 순현재가치와 비율은 2016년, 2017년, 2018년 3년간의 매년에 대한 순현재가치와 편익비도 (+)와 1이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3년간의 총편익도 동일한 결과이기 때문에 효율성이 있는 프로그램으로 입증되었다. 셋째, 장애인근로사업장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①장애인 직업재활시설, 특히 근로사업장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 져야한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나듯 사업에 대한 투자의 증가는 보호고용사업으로 인해 파생하는 산출의 증가로 이어졌으며, 오히려 투입에 비해 산출 규모가 더 큰 결과를 가져옴으로써 보호고용사업이 경제적인 효율성이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국가는 중증장애인들의 일자리 기회확대를 위해서는 근로사업장에 대한 투자 규모를 확대하여 양질을 일자리가 만들어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②직업재활시설의 비용-편익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자체 생산품목의 개발과 생산품 판매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편익요인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생산품의 순이익 창출이 중요함으로 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품개발과 마케팅지원은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 결과를 토대로 제언하면 첫째, 장애인 근로사업장에 대한 효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지역의 실태에 적절한 근로사업장이 만들어 질 수 있도록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노력하여야 하며, 둘째, 편익요인이 증대될 수 있도록 대안프로그램과 연계나 사회보장비 등과 연계 등을 통해 이용자인 근로자들이 근로사업장에 접근성이 용이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확립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사회복지시설 평가 외의 비용/편익분석과 같은 효율성 평가를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정기적으로 시행하여 비용요인과 편익요인을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넷째, 이 연구는 직업재활시설의 유형개편과 지방자치제 이후 우리나라 전체 근로사업장의 성과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여 특정 지역의 시설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 연구의 결과가 전체 근로사업장 성과를 대변할 수 없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또한 비용요인 산출시 시설 및 장비비는 감가상각적용과 내용연수 변경에 따른 누적효과의 적용이 필요하고 편익의 임금요인도 근로사업장의 평균 근속 년수가 11.5년이라는 점을 고려하여야 하나 연구분석의 한계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정책적인 차원에서 장애인근로사업장 전반의 성과 평가를 진행하여 좀 더 세부적인 분석과 이에 따른 함의를 찾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3D프린터를 이용한 악력 재활 훈련용 시제품 개발 연구

        곽태헌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3D프린터를 활용하여 악력 재활 훈련용 시제품 개발을 주요한 목표로 한다. 손의 사용은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중요한 행동 중 하나이다. 하지만 노화 및 질병, 장애 등과 같이 여러 가지 선·후천적인 요인으로 인해 손의 악력이 자연스럽게 감소한다. 이로 인해 손의 운동 능력 및 범위에 제약을 받게 되며 이는 곧 삶의 질 하락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중에는 다양한 형태의 악력 훈련 도구가 판매되고 있지만 모두 수동적이며 특정한 하나의 치수만으로 제작된 기성품의 형태만을 취하고 있다. 또한 젤리,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을 채택한 경우 탄성 및 강도의 변화로 인해 소모품의 성향을 띈다. 전자적으로 작동하는 외골격형의 손 재활훈련기기 개발 연구도 일부 있으나 형태가 복잡하여 접근성이 떨어지고 일상생활활동에 접목시키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 재활훈련을 수행함에 있어서 치료사들의 개입은 필수불가결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낮은 접근성으로 인해 적절한 재활훈련을 처방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설계도 등이 공개되지 않아 사용자 개인의 신체적 특성을 디자인에 적용할 수도 없어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악력 훈련 도구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 개발을 다루고자 한다. 본 시제품은 손등 위에 장착하는 방식이며 손끝과 서보모터 사이에 나일론사(Nylon thread)를 연결한다. 아두이노(Arduino) 기반으로 서보모터(Servo Motor)를 제어하게 되며 이를 통해 손이 신전되게끔 한다. 착용자는 손이 신전된 상태에서 반대로 굴곡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악력을 단련할 수 있게 된다. 손끝과 서보모터 연결 사이에 평면과 계단형의 내부 메커니즘을 채택하여 손가락 훈련의 범위 및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해당 시제품은 Autodesk社의 Inventor 2016 기반으로 외형을 제작하였으며 사용자 개인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부속품을 즉각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모듈형태의 디자인을 채택하였다. 제품의 외형 제작을 위해 Inventor 2016에서 모델링 파일들을 표준 확장자인 stl로 저장하였으며 가장 많이 보급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FDM방식의 3D프린터를 이용하였다. 해당 연구는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에 의거하여 설계도와 회로도, 소스코드 등 모든 정보를 오픈소스의 형태로 공개하며 이를 통해 누구나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개인의 근 기능도와 특성에 맞게 변형된 제품을 사용하여 재활 훈련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재활분야 전공자들은 전문적인 공학적 지식이 없더라도 제품의 작동 횟수와 세기 등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재활 훈련을 고안하고 처방하는 등 재활 의료기기 개발에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이상 연구는 공학자들과 재활 치료사의 협업을 유도하는 중간 매개체이다. 향후 이들의 협업을 통해 시제품이 개선된다면 사용 대상자는 더 효과적인 재활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재활산업 분야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창출하고 이를 통해 재활 산업 분야의 활성화와 발전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ototypes of a rehabilitative device for grip strength using a 3D printer. Use of the hands is essential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However, hand grip strength naturally decreases due to factors such as aging, disease, and injury. This will result in restrictions on exercise capacity and hand range of use, leading to a decline in quality of life. To address this issue, various types of grip strength training tools are available, but all are passive, comprising only ready-made shapes in only one size. When adopting materials such as gels, rubber, or silicone, fabrication causes loss of elasticity and strength. Several studies have evaluated electronic hand rehabilitation equipment with externally mounted frames, but the shapes are complicated, accessibility is lost, and the findings could not be applied directly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tervention by therapists is indispensable in rehabilitation training. However, many rehabilitative devices are not commercially available and are difficult to use. In addition, since design drawings are proprietar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cannot be applied to the device, making universal use somewhat difficult. Therefore, this study will address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grip training tools and consider development of a device with universal use. This prototype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hand and a nylon thread connects the fingertip with a servo motor. The servo motor control is based on the Arduino platform, and allows the hand to be extended. The wearer can extend and stretch the hand, thereby improving grip strength.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ngertip and servo motor, a flat-type and stair-type internal mechanism can be adapted to adjust the range and strength of finger training. The prototype was designed with Autodesk Inventor 2016, and a modular design was adopted to allow immediate replacement of accessories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user physical characteristics. To construct the outline of the product, modeling files created with Inventor 2016 were saved as the standard filename extension stl, with use of the most common Fused Deposition Modeling 3D printer. Research was driven by the open source maker movement, which discloses all information such as design, schematics, and source code, making it universally accessible. Thus, users will be a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ehabilitation training by using products modified according to individual muscular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rehabilitation specialists can easily control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product operation, even without professional engineering knowledge. This provides a foundation for more active involvement in the development of rehabilitative medical devices, enabling creation and prescription of various forms of rehabilitative training. This study used intermediary methods that promote collaboration between engineers and rehabilitation therapists. If this collaboration improves the prototype, patients will receive more effective rehabilitation. Ultimately, the project will generate meaningful results in the rehabilitation industry and contribute to its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 이공계 대학원생의 그릿(Grit)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의 매개효과

        차유정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671

        대부분 전일제로 학업을 수행하는 이공계 대학원생은 다른 대학원생보다 더 높은 학업스트레스를 호소한다. 아울러 이공계 대학원생은 연구실에서 동료들과 함께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들이 겪는 스트레스에는 사회적 지지와 동료의식 등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의 인내와 열정을 의미하는 그릿(Grit)과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가 있었기에, 본 연구는 이공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전국 대학원 재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절차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Baron &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 Macro Process의 Bootstrapping을 실시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그릿, 학업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조직동료의식은 상호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릿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동료의식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공계 대학원생들의 그릿 수준이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며, 이때 사회적 지지와 조직동료의식이 유의한 부분 매개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이공계 대학원생, 그릿(Grit), 학업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조직동료의식 Most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who study full-time, complain of higher academic stress than other graduate students. In addition, as most graduate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perform research tasks with their colleagues in the laboratory, social support and companionship greatly affect the stress they experience. Grit, which means individual patience and passion, and social support, a positive resource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were previously studied as factors that affect academic stress. In this study, I check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on the effects of grit on academic stress. Data from 206 graduate students were collected nationwide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The main analysis procedures we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Baron & Kenny (1986)'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acro Process's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it,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academic stres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academic stres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the grit level of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tudents affects academic stress, and at this time,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act as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facto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Key words: A graduate student in science and engineering, Grit,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panionship

      • 청각장애 노인의 직업재활과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신승봉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plans to provide effective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rehabilitation service for the old with auditory handicap through surveying difference of demands between the employed old and the unemployed old and difference of demands along the occurrence time of auditory handicap, with the subjects of the old with auditory handicap in Daegu. For the purpose, this thesis conducted a document research and a interviewing survey of 898 old with auditory handicap between 55 and 100 in Daegu, visiting them in person. Except for 426 old who rejected to answer and 27 with language handicap, total 44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vocational condition of old with auditory handicap, only few of them had vocation, contrary to their desire for job. And it was shown that their reasons for having job were because of economic difficulty not for their leisure or self development. Second, in the difference analysis on the economic condition along their vocation, it was found that the house revenue of the group with vocation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 without vocation, in that whether they have job or not affects their house revenue. As for the main source of the house revenue, the group with vocation was found to be depending on their own revenue while the other group without vocation was dependent on the revenue of their children. As for the degree of economic difficult they feel, both group were feeling the economic difficulty. It can be explained that even the group with vocation was facing economic difficulty. Third, in the differenc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the group with vocation using medical facilities of individual hospital level was low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out vocation. But, as for demands for medical service such as medical testing, the group with vocation showed higher demands than the group without vocation. It is explained that the group with vocation have more demands for services for their health than the group without vocation though the they have limitation because of their vocation.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group without vocation spend time with nothing to do particularly while more than half of the group with vocation spend time working. It was studied that most of the old without vocation spend time tediously an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ppropriate leisure programs or hobby programs for them. Third, as for their demands for welfare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long the occurrence time of auditory handicap, it was surveyed that more of them were facing economic difficulty as the occurrence time of auditory handicap was earlier. In that, it means that many of the handicapped who had been excluded from education and employment since young have faced continuous economic difficulty. As for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and cognition along the occurrence time of handicap concerning matters related to the law and the system, the degree of satisfaction appeared the lowest, although cognition concerning welfare service was higher as handicap time is earlier. This explains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service although they knows better about governmental policies as their occurrence time of handicap is earlier.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degree of hope for welfare service, they showed higher degree of hope as their occurrence time of handicap is earlier. This menas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welfare service but they are dependent on the supports of the law and the system. 본 연구는 대구지역 청각장애 노인들을 대상으로 취업노인과 미취업 노인의 직업재활 및 복지욕구 차이와 청각장애 발생시기에 다른 욕구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청각장애노인의 효율적인 직업재활 및 재활복지 서비스 제공방안을 알아보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문헌조사와 이를 토대로 조사표를 구성하여 대구지역 55세이상 100세이하의 청각장애 노인 898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을 통한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 중 설문응답을 거부한 426명과 언어장애인 27명을 제외한 총 444명의 설문응답지를 분석에 활용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 노인의 취업현황에 대한 조사결과 직업에 대한 욕구에 비해 매우 소수만이 직업을 갖고 있었으며, 취업의 이유도 자기개발 및 여가를 위해가 아니라 경제적 어려움으로 취업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유무에 따른 경제적 상황에 대한 차이분석에서 취업자 집단의 가구소득이 미취업자 집단의 가구소득 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어 청각장애 노인의 취업유무가 가구소득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구 주수입원에서도 취업자 집단에서는 자기수입으로 주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미취업자 집단에서는 자녀의 수입에 주로 의존하는 것에 조사되었다. 한편, 본인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 정도에서는 취업자 집단과 미취업자 집단 모두가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는 취업자의 경우도 취업을 통해 다소간의 소득보전이 있다 하더라도 경제적 어려움에 계속 놓여져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직업유무에 따른 서비스에 대한 차이분석에서 취업자 집단이 개인병원급 의료기관이용 비율이 미취업자 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건강검진 등과 같은 의료서비스 욕구에 있어서는 오히려 취업집단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취업자 집단의 경우 직장근무로 인해 병원진료에 제약을 받고 있으나 건강에 대해서는 미취업집단보다 욕구가 더 강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일상생활 시간에 대한 조사에서 취업자 집단은 일을 하면서 하루를 보내는 경우가 과반수 이상인 반면, 미취업자 집단은 특별히 하는 일 없이 하루를 보내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즉, 미취업자의 경우 하루를 무료하게 소비적으로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들을 위한 적절한 여가 프로그램 개발이나 취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청각장애의 발생시기에 따른 직업재활 및 복지욕구에서는 청각장애 발생 시기가 어릴수록 경제적으로 어려움에 놓여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청각장애 발생시기가 어릴수록 교육·직업 등에서 소외받아 온 청각장애인들이 노후에도 계속적인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청각장애 발생시기에 따른 법·제도 관련사항에서는 노인복지 및 장애인 복지서비스의 인지도 및 만족도 차이에서는 장애시기가 어릴수록 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만족도에서는 오히려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다. 이는 청각장애 발생시기가 어릴수록 정부시책에 대해 잘 알고 있지만 그 서비스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해석되었다. 반면 복지서비스의 이용희망 정도에서는 장애발생시기가 어릴수록 높은 희망정도 분포를 보였는데, 이는 복지서비스가 만족스럽지는 않으나 법·제도적 지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나타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각장애노인의 직업재활 및 복지서비스 향상을 위해 몇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청각장애 노인은 장애로 인한 어려움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하지만 그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서비스 일부 건청인 노인에 대한 서비스에 국한되거나 혹은 청각장애 노인에 대한 배려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청각장애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청각장애노인 공동작업장 신규설치, 노인인력은행에서의 청각장애 노인서비스 확대, 노인의 건강 및 신체 상태를 고려한 임금체계 개선과 근로시간의 탄력적 운용 등의 제도개선이 필요하겠다. 둘째, 중도 청각장애 노인은 선천성 청각장애 노인에 비해 장애인복지서비스 및 노인복지서비스 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청각장애 노인 중 상당수가 중도 청각장애 노인임을 고려할 때 정부차원에서 노인성 청각장애 혹은 중도 청각장애 노인을 위한 보다 적극적이고 다각적인 복지서비스 홍보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연령과 청각장애라는 특정한 인구사회학적인 특성으로 인해 청각장애 노인의 사회적 환경이 매우 열악함에도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한 관계로 연구의 내용과 깊이에 있어서 제한성이 많았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청각장애노인들의 직업재활 및 복지욕구와 관련하여 보다 종합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욕구를 구성하고 있는 변인들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요구되며, 또한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계와 향후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성과요인들에 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그리고 청각장애인의 직업재활 및 재활복지 시책은 지방정부가 아닌 중앙정부와 관련되어 있는 만큼 조사대상을 전국의 청각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겠다.

      • 난독증 특성 및 평가와 중재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

        이정실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읽기’는 사회적 맥락과 사회적 의사소통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학교 교과 학습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언어재활사에게 난독증 위험 학생들을 평가하여 중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난독증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3개의 광역시와 2개의 도 중심 지역으로 사설 센터, 병원, 복지관, 어린이집 등에서 근무하는 언어재활사 1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언어재활사의 일반적 특성, 난독증 특성에 대한 인식, 난독증 평가에 대한 인식, 난독증 중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재활사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고 연령은 20대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결혼 여부는 미혼이 가장 많았고, 최종학력은 학사 졸업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자격증 급수는 2급 언어재활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임상경력은 5년 이상∼10년 미만이 가장 많았다. 현재 근무지는 사설 센터가 가장 높았고, 근무 횟수는 주 5회가 가장 많았다. 한 달 총 치료 회기 수는 60회기 이하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치료 대상자 유형은 언어발달장애와 단순언어장애/언어발달지체가 가장 많았다. 둘째, 난독증 특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재활사의 약 53%는 난독증이 읽기장애와 동일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난독증이 완치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하는 언어재활사는 약 41%에 불과했다. 셋째, 언어재활사의 42%는 난독증 평가를 해본 적이 있었으며, 약 76%의 언어재활사는 난독증 관련 연수가 있을 경우 적극적으로 참석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읽기 관련 검사 도구로는 한국어 읽기검사(KOLRA)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45%의 언어재활사는 난독증 중재를 해본 적이 있었으며, 현재 치료를 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치료도구는 음소 카드로 생각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음운인식훈련을 첫 번째 훈련으로 생각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또한 시교육청에서 운영하는 난독바우처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것으로 난독바우처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언어재활사는 난독바우처 제공기관에서 함께 작업해야 할 제공인력으로 난독증에 대한 인식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Reading' is very important for both social context and communication, and to speech-language pathologists's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in students at risk of dyslexia very important as factors essential for curriculum instruction in schools. This study examin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perceptions on dyslexia. The study included 106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orking in private centers, hospitals, welfare centers and child care centers around three metropolitans and who two provinces,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ir perceptions on the characteristic and the assessment of and intervention in dyslexia.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ere examined to show that the number of female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most of them were in their 20s, unmarried and graduated from universities; most of them had second-degree certificates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ith 5 years≤ clinical careers <10 years; most of the current work places were private centers; the number of work a week is most often five; the number of therapy sessions a month was most often less than 60; treatment subject types developental language disorders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delayed language development. Second, the levels of their perceptions on the characteristic of dyslexia were found to be high. About 53%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perceived that dyslexia is not equivalent to reading disabilities and only 41% of them though that dyslexia cannot be perfectly cured. Third, 42%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have ever engaged in the assessment of dyslexia and 76% of them responded that they woul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regarding dyslexia, if any. Most of them reported that they have used KOLRA, as an assessment instrument for reading. Fourth, 45%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have ever made an intervention in dyslexia, and most of them responded that they do not engage in the therapy of it. Most of they also responded that they thought phonemic cards as a therapeutic instrument and the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as the first one. In addition, their understandings of the dyslexia voucher institution managed by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re inadequate, so active publicity for the dyslexia voucher is thought to be required. The findings above can be summarized to show tha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perceptions on dyslexia are thought to be very important, since they are personnel who would work with institution providing dyslexia vouchers.

      • 직업재활시설의 작업환경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진각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hows that in order for healthy citizens and the disabled to be able to live in harmony, a new system is required. Government supported intern facilities along with disability welfare are among the processes to which the ideal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ility can be achieved. A number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ould be employed as a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 protec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research to analyze the inherent issues and suggested measure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In January of 2008, Korea Association of The Welfare Institutes for The Disabled, via the postal inspector, conducted a survey with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Included were items on labor facility, sheltered workshop facility and operations research. A total of 110 questionnaires were used to extract a wealth of data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Primary results obtained in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irst,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improvement of facilities related to the work environment are a priority that must be resolved by budgetary support. Secondly,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sale of the products we support are needed. Third, a link to other measures is needed for situations where a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y's role and capabilities is not appropriate. Fourth, the promo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for disability accessibility, appropriate wages, and a disability workers job classification system is needed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Fifth, appropriate and accessible facilities for us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disabled persons are needed. Sixth,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s are needed in the social worker process. Based on this, we can draw more than a few conclusions. First, despite the level of protection afforded to the disabled, in some cases it is not enough to correct the working or vocational facilities. For many products, minimum wage at facilities for the severely disabled is not enough. The establishment of proper wages is needed. Second, a special law encouraging local governments, school boards, government-funded institutions, public enterprises and local public enterprises to purchase goods or services from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s needed. Thir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based production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partnership employment. In this regard, cooperation of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Family, Ministry of Labor and local governments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duction facilities are needed based on the imperative of building and strengthening health and welfare in the future. This will lead to the required suppor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at are most essential to strengthen the production base. Fourth, the structure of the facilities, amenities and facilities that employ people with disabilities, must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aged consistent with gender, age and work or service. Expectant mothers should be made aware of the guarantees provided by law, such as promoting convenience and amenities. Depending on the type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codes operations, proposed food hygiene laws, industrial hygiene and food-related health care facilities must be considered. Therefore, the continual improv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s needed. 본 연구는 장애인의 직업재활과 장애인이 건전한 시민으로 생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부 지원 제도나 시설운영 체계가 요구되어지며, 이러한 과정 속에 장애인복지의 이념 실현을 위한 완충적 수단으로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역할이 자리 매김 할 수 있다고 보며, 보호고용제도로서의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작업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토대로 작업환경개선 조사 설문지를 구성하여 2008년 1월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에 등록된 전국의 보호작업시설과 근로작업시설의 관리자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1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직업재활시설의 작업환경 개선과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하는 제도는 예산지원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직업재활시설의 생산품판매에 대한 지원방안이 강구가 필요하다. 셋째, 직업재활시설의 역할과 기능에 따라 적절한 하지 않은 경우 전이 혹은 연계가 될 수 있는 강구가 필요하다. 넷째, 직업재활시설이 지역사회 재가 장애인이 직업재활시설에 대한 접근성, 적절한 임금지급, 장애인근로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직급체계(승진)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직업재활 시설의 구조와 설비가 그 시설을 이용하는 장애인의 작업이나 서비스 특성에 맞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여섯째, 장애근로자가 사회통합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사회적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첫째, 일부 근로작업시설의 경우 중증장애인이 다수 근무하고 있고 직업재할사업의 생산품이 최저 임금을 줄 정도가 되지 못하여 근로직업시설임에도 보호작업시설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는 등 시설의 설립 목적에 부합되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시설이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직업재활시설의 생산품이나 서비스 판매를 위하여 제정한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 실효성이 있도록 국기기관, 지자체, 교육청, 정부투자기관, 공기업 및 지방공기업이 구매를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셋째, 직업재활시설의 생산기반 강화를 통한 연계고용 활성화를 해야 한다. 직업재활시설의 생산기반의 구축 및 강화가 시급한데 이와 관련하여 향후 보건 복지가족부, 노동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지원을 통함 직업재활시설의 생산 기반 강화가 가장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하겠다. 넷째, 시설의 구조와 설비는 그 시설을 이용하는 장애인의 장애유형, 정도별.성별.연령, 작업이나 서비스 특성에 맞도록 하여야 하며,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령에 의한 편의시설과 작업종류에 따라 산업안전보건법, 식품위생법등 관련 법률에서 제시하는 산업보건 및 식품위생 관련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고 되어있다. 따라서 직업재활시설의 물리적 환경 개선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과부하, 사회적 지지와 직무 자율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지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xperiences of job overload and job burnout of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to find out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job autonomy in relationships of job overload and job burnout.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e-mail and SNS using job burnout, job overload, social support, and job autonomy scale for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 total of 21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based on 211 questionnair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onducted on job burnout, job overload, social support, and job autonomy.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overload, social support, and job autonomy on job burnou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job autonomy was analy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overload and job burnout. First,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s in job burnout, job overload, social support, and job autonom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re were differences in job burnout and job overload, social support and job autonomy depending on the age group,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income, and working period of worke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utonomy of the work method among the subcategories of job overload and social support, evaluation support, and job autonom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burnout. Third, job overload negatively affected social support and job autonomy, and in the end, social support and job autonomy play a role as a protective factor for job burnou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patterns and conditions of job overload and job burnout of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social support and job autonomy were identified as protective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overload and job burnout. These results implicate the need to find ways to reduce job overload in order to reduce and prevent job burnout of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to improve social support and job autonomy to reduce or prevent job burnout within the same work environment. In subsequent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not only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but also job overload and job burnout patterns in various social welfare fields. Keywords: job overload, job burnout, social support, job autonomy,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과부하와 직무소진의 경험 양상을 알아보고, 이들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직무자율성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이메일과 SNS를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로 총 212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 중 211부의 자료들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각 변인 간의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소진, 직무과부하, 사회적 지지, 직무자율성의 차이 검정 결과, 종사자의 연령대와 학력, 직위, 수입, 근무기간에 따라 직무소진과 직무과부하, 사회적지지, 직무자율성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업무방식의 자율성이 직무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과부하는 사회적 지지와 직무자율성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지지와 직무자율성은 직무소진의 보호요인으로서의 역할한다고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종사자의 직무소진 감소와 예방을 위해서는 직무과부하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고, 동일한 직무환경 내에서 종사자들의 직무소진을 줄이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사회적 지지와 직무자율성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강조된다고 할 수 있다. 주요어: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 직무과부하, 직무소진, 사회적 지지, 직무 자율성

      • 병원 내 언어치료실에서 근무하는 언어재활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식과의 상관관계

        김도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병원 내 언어치료실에서 근무하는 언어재활사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그들의 대처방식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건강 및 직무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이해는 직무 만족도와 전반적인 직무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재활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가 차이가 있는지, 언어재활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에는 차이가 있는지, 그에 따라 언어재활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상관관계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지역 내 있는 병원 언어치료실에서 근무하는 50명의 언어재활사들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연구자로부터 연구의 목적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온라인 형태의 설문에 응답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KOSS-SF)를 사용하였고, 대처방식을 측정하기 위해 대처방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비교는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과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 사후분석 Scheffe test)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 모든 과정은 SPSS 25.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 수준 하위요인 직무자율은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하위요인 문제 중심적 대처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 수준 하위요인 직무불안정은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하위요인 정서적사고 대처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수준 하위요인 조직체계는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하위요인 사회적지지 추구와 양의 상관관계, 소망적사고 대처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언어재활사들이 더 효과적인 대처방식을 통해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병원 내 언어재활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이해하고 관리하기 위한 실무적인 제언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언어치료 전문가들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level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orking in hospital language therapy rooms. Since job stress can have negative effects on health and job performance, understanding this relationship is crucial for enhancing job satisfaction and overall job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job stress levels among speech-language pathologists based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coping strategies for job stres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tly, to investigate how these general characteristics correlate with coping strategies for job stress among speech-language pathologists. For this study, responses from 50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orking in hospital language therapy rooms in the Busan area were analyzed. Participants were briefed on the study's objectives by the researchers and subsequently responded to an online survey. Job stress levels were measured using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SF), and coping strategies were assessed using a coping strategies scale. To compare job stress level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participants based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we conducted analyses using independent t-tests and one-way ANOVA with post-hoc Scheffe tests. Additionall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the participants. All thes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softw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levels and coping strategies revealed that the job stress sub-factor of job autonom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oping strategy sub-factor of problem-focused coping. Additionally, the job stress sub-factor of job instability exhibit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oping strategy sub-factor of emotion-focused coping. Furthermore, the job stress sub-factor of organizational syste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oping strategy sub-factor of seeking social support,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oping strategy sub-factor of wishful thinking. This suggests tha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can alleviate job stress more effectively through strategies focused on seeking social support rather than wishful thin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understanding and managing job stress among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ithin hospitals. Furthermore, it is anticipated that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understanding of job stress among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speech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