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콘 빔 CT 영상에서 시행된 교정 진단 모형 분석의 정확성 평가

        곽재혁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콘 빔 CT 영상에서 시행된 교정 진단 모형 분석의 정확성 평가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 대학원 치과교정학과 곽 재 혁 서론: 치과 교정 영역에서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CBCT)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CBCT 영상에서 이루어진 교정 진단 분석의 정확도를 조사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CBCT 영상과 석고 모형으로부터 Bolton ratio를 비롯한 각종 모형 분석 측정치들을 얻어 서로 비교함으로써 CBCT 영상이 석고 모형을 대신하여 모형 분석에 사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구강 내 금속 수복물이 없는 영구치열기 교정 환자 30명의 CBCT 영상과 석고 모형을 수집하여 Bolton ratio를 비롯한 모형 분석을 시행, 측정치들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CBCT에서 얻은 측정치들과 석고 모형에서 얻은 측정치들 간 대응 t 검정을 시행한 결과, overall Bolton ratio의 측정치는 1.16±1.954의 mean difference를 보였고, Anterior Bonton ratio의 측정치는 0.85±2.341의 mean difference를 보였다. CBCT 영상과 석고 모형에서 얻은 측정치 간의 Intraclass coefficient를 측정한 결과 0.733~0.972의 범위를 나타났다. CBCT 영상과 석고 모형에서의 얻은 측정치에서 pearson correlation을 구한 결과 모든 측정치에서 상관관계가 0.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CBCT 영상과 석고 모형으로 모형 분석을 시행하여 Bolton ratio를 비롯한 각종 측정치들을 대응 t 검정한 결과, 몇몇 측정치들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가 크지 않고 Intraclass coefficient와 Pearson correlation에서 높은 수준의 일치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므로 임상에서 CBCT 영상을 모형 분석에 활용하는 것은 타당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Keywords: CBCT 영상, 석고 모형, Bolton ratio Evaluation on the accuracy of orthodontic diagnostic model analysis performed in cone beam CT images Jai Hyeok Kwak, D.D.S. Department of Orthodontics,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Korea University INTRODUCTION: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CBCT) is used in various dental fields such as implant planning, TMJ examination, orthodontic treatment, and diagnosis in orthognathic surgery.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accuracy of the diagnostic analysis performed on CBCT images. The CBCT image and the gypsum model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by statistic comparison of various orthodontic diagonostic model analysis measurements including Bolton ratio, and it was evaluated whether the CBCT image could be used for model analysis instead of the gypsum model. MATERIALS AND METHODS: CBCT images and gypsum models of 30 orthodontic treatment patients without metal restora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orthodontic diagonostic model analysis including Bolton ratio. RESULTS: As a result of the paired t test between the measurements obtained from the CBCT image and the gypsum model, the mean difference of the overall Bolton ratio was 1.16 ± 1.954 and the mean difference of the Anterior Bonton ratio was 0.85 ± 2.341. The Intraclass coefficient between the CBCT image and the gypsum model was ranged from 0.733 - 0.972. The Pearson correlation was obtained from the CBCT image and the gypsum model, and the correlation was significant at 0.01 level. CONCLUSIONS: The results of paired t-test between the measurements of the CBCT image and the gypsum model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veral measurements,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great. Intraclass coefficient and Pearson correlation showed high level of agreement and correlation. It is reasonable to use CBCT image for clinical analysis in the orthodontic diagnostic model analysis. Key words: CBCT image, gypsum model, Bolton ratio

      • 즉시 하중된 오스템 SS- II 임프란트의 후향적 임상결과

        조재우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 Abstract - A Retrospective Study of Immediate Loaded Osstem SS-Ⅱ Implant : 2-year Follow-up Jae -Woo Cho, D.D.S. (Directed by professor Jong - Jin Kwon, D.D.S., M.S.D., Ph,D.) Implant Major,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Korea University Purpose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 (success rate) of Osstem SS-Ⅱ implant in several cases along with the marginal bone changes, for 24 months after placement.   Materials and methods : Total 388 Osstem SS-II implants were placed in 112 patients (M/74, F/38, mean ages: 52.3 years). 279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axilla and 109 were in the mandibl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manufacturer and solid abutments were connected as a routine procedure. 157 immediate loading implants and 70 immediate-immediate loading implants were immediately restored with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and these restorations were cemented with polycarboxylate cement. The occlusion was adjusted. Minimized occlusions in centric and any eccentric contacts were removed completely.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ccess rates by sex, installed location, diameter, length, prosthetic pattern, and loading pattern. The mean marginal bone levels after 12 months were -0.34mm in the maxilla, -0.18mm in the mandible when implants were immediately loaded. Marginal bone change was noted according to fixture length and provisional restoration.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2-year prospective study, Osstem SS-II implants may be recommended in several conditions. But, long-term, prospective studies are still needed to evaluate other potential determining factors on this technique. Keyword : Osstem SS-Ⅱ implant, Success rate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05년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치과에 내원하여 오스템 SS-II 임프란트 시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성별, 식립부위별, 길이별, 상부보철물의 형태별, 골이식여부, 치은절개여부,하중방법, 변연골변화 등에 따라 그 생존률을 평가하여 향후 임상가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유효한 결과를 얻고, 이를 분석하여 성공률을 높일수있는 protocol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112명의 환자(M/74명, F/38명, 평균연령 52.3세)에게 총 388개의 오스템 SS-II 임프란트가 다양한 방법 (즉시하중. 즉시식립 즉시하중, 통상적인 하중)으로 시술되었고,연구대상에서 제외한 환자는 조절되지 않는 당 뇨,심근경색등의 전신질환환자, 임프란트 시술부위에 조절되지 않는 염증이 있는 경우, 심한 이갈이 환자, 임프 란트 식립시 협측벽이나 설측벽에 임프란트 본체의 노출이 있는 경우, 6개월 이내에 두경부에 방사선 조사를 받 은 경력이 있는 환자와, 임신중인 환자등 이었다. 약 2년동안 술 후 관찰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표준술식을 이용 해 식립한 임프란트는 274개이고 골이식을 시행한 경우는 56개, 치은절개 없이 식립한 경우는 58개이었다. 총388개의 임프란트중, 279개는 상악에, 109개는 하악에 식립 되었다. 임프란트의 길이는 8mm 4개, 10mm 94 개,11.5 mm 126개, 13mm 164개 였고, 직경별로는 4.1mm 375개, 4.8mm 13개였다. 상부보철 유형에 따라서는 단일 치수복 가공성의치 41개, 2-임프란트지지형 고정성 가공의치49개, 3-임프란트지지형 고정성 가공의치50개, 4-임 프란트지지형 고정성 가공의치 21개, 5-임프란트지지형 고정성 가공의치 3개였다. 임프란트 식립부위는 상악전 치부 70개, 상악 소구치부 73개, 상악 대구치부 136개, 하악전치부 21개, 하악 소구치부 28개, 하악 대구치부 60개였다. 환자는 통상의 임프란트 술식에 따라 내원 하였으며, 이때 성공여부와 임프란트와의 연관된 합병증 등을 평가 하였다. 또한 술 후 1개월, 3개월, 6개월, 그리고 12개월째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 치조 변연골 변화를 평가 하였다. 임프란트의 실패는 Smith 와 Zarb 의 성공기준에 의해 평가 하였는데 유의있는 치조변연골 흡수가 있는 경우와 임프란트 주위 방사선 투과상이 있는 경우, 그리고 임프란트 동요도나 동통, 불편감 또는 감각이상이 있 는 경우를 임프란트 실패로 간주하였다.식립된 오스템 SS-II 임프란트 총 388개중 상악에서만 6개가 실패하였고 하악에서는 모두 성공하여 전체적으로는 98.45%의 높은 임프란트 성공률을 보였다. 또한 성별, 식립부위별, 길 이별, 상부보철물의 형태별, 하중방법등 과 임프란트 성공률 사이의 상관 관계는 통게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 며,다만 상하악간 치조변연골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 하였는데 이는 초기 임프란트의 식립 깊이의 차이에 기 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한국 성인들의 편측 저작 성향에 관한 연구

        김정석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한국 성인들의 편측 저작 성향에 관한 연구 김정석 D.D.S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 대학원 심미수복학과 (Director : 류재준 , D.D.S., M.S.D., Ph.D.) 2186명의 일반인에 대해서 편측저작선호와 연령, 성별, 치주질환에 대한 연관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전체 연구대상에서 43.5%가 편측저작선호 비율을 보였다. 2. 편측저작선호 중에서 좌측보다 우측 편측저작선호의 비율이 더 높았다.(좌측19.0%, 우측 23.8%) 3. 남녀 편측저작선호비율은 남성이 39.3%, 여성이 46.7% 로 여자의 편측저작선호 양상이 더 높았다. 4. 증령에 따라서 편측저작선호 비율이 증가하였다. 5. 치주상태가 악화될수록 편측저작선호양상이 증가하였다. 5-1. 임상적 부착상실이 증가할수록 편측저작선호양상이 증가하였다. 5-2. 지역사회치주지수(CPI)가 커질수록 편측저작선호양상이 증가하였다. 6. 치주질환이 더 진행된 연구군에서 덜 진행된 연구군보다 편측저작선호 비율이 더 높았다. 6-1. 임상적 부착상실이 4∼8mm정도로 치주질환이 가장 심하게 진행된 연구군에서 그렇지 않은 연구군에 비해서 편측저작선호비율이 1.70배 더 높았다. 6-2. 지역사회치주지수가 4로 적극적인 치주치료가 필요한 연구군에서 4보다 낮은 모든 연구 군에 비해서 편측저작선호비율이 1.36배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편측저작선호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것보다는 국내에서 역학적으로 어느 정도의 편측 저작선호를 보이는지에 중점을 두었다.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개체를 대상으로 한 것이라는 점과 성별, 연령과 편측저작선호와의 상관성에 대한 초기 연구이며, 임상적 부착상실과 지역사회치주 지수등의 치주상태지수를 이용하여 치주상태에 대한 관련성을 보고하였다. Study on trends of preference chewing side in Korean adults Kim, Jung Suk, D.D.S. Esthetic Restorative Dentistry,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al Medicine, Korea University. (Director : Professor Ryu, Jae Jun, D.D.S., M.S.D., Ph.D.) The correlation between preference chewing side with age, gender, and periodontal disease were evaluated upon 2186 ad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the total sample size, 43.5% showed a preference chewing side. 2. Right side chewing showed a higher percentage than the left. (left 19.0%, right 23.8%) 3. Females showed a higher percentage of preference chewing side than the males. (male 39.3%, female 46.7%) 4. The percentage of preference chewing side increased as the age increased. 5. The percentage of preference chewing side increased as the periodontal condition worsened. 5-1. The percentage of preference chewing side increased as the clinical attachment loss increased. 5-2. The percentage of preference chewing side increased as the CPI increased. 6. The percentage of preference chewing side increased as the periodontal disease progressed. 6-1.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percentage of preference chewing side increased 1.70 times in the most severe periodontal disease group with clinical attachment loss of 4∼8mm. 6-2. Compared to ther groups with CPI below 4, the percentage of preference chewing side increased 1.36 times in the group that needed active periodontal treatment with CPI of 4.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centage of the preference chewing side in Korean adults rather than investigating on its cause. The sample size was relatively large and it served as a initi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reference chewing side with age and gender. The correlation to periodontal conditions using periodontal indices such as the clinical attachment loss and CPI were also reviewed.

      • Face mask로 치료한 골격성 제 III급 여아의 장기적 관찰시 골격성 제 I급 성인 여성과의 두부 안모 양상 비교

        정혜경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아동기때 face mask 악정형 치료를 받은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여아의 치료 이후 장기적 관찰시 골격성 제 I급 부정교합 여성과의 골격 양상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하여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face mask를 이용한 치료를 받은 36명의 여아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초진시 실험군 환자의 평균 나이는 7.3(±1.7)세, 평균 사용기간은 1.6년이었고, 평균 유지기간은 6.9년이었다. face mask 사용전(T1), 사용직후(T2), 유지기간(T3)에 각각 촬영된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Vatech, Seoul, Korea)을 이용하여 한 명의 관찰자가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치과 교정과에 내원하여 골격성 제 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한국인 여성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시 평균 나이는 16.1(±2.16)세 였다. T3시점의 실험군의 악골 형태가 골격성 제 I급 부정교합 성인군과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서는 p-value <0.05 수준에서 t-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T3 시점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 연령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T3 시점의 실험군의 SNA, SNB, IMPA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컸고, IMPA는 유의성 있게 대조군보다 더 작았다. 그러나 ANB는 T3시점의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상악 열성장의 골격성 제 III 부정교합 여아에서 아동기때 face mask 치료시 양호한 골격적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장기적 관찰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골격성 제 I급 성인 여성에 비해 실험군이 골격적 Class III 양상을 나타내었다.

      • 가토의 두개골 골결손부에서 이종골 이식술 시 혈소판 풍부 섬유소의 골형성 효과

        강영훈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 초록 가토의 두개골 골결손부에서 이종골 이식술 시 혈소판 풍부 섬유소의 골형성 효과 고려대학교임상치의학대학원 구강악안면외과학과 강 영 훈 (지도교수 : 임 재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가토의 두개골 결손부위에 우골 및 저골 이종골 이식술 시 혈소판 풍부 섬유소의 골형성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실험 재료 및 방법 : 가토 (2.5-3.5kg) 10마리를 실험동물로 사용하여 두개골 부위에 8.0mm 결손부를 형성하였다. 실험군 1은 저골 이식재와 혈소판 풍부 섬유소를 이식하였으며, 실험군2는 우골 이식재와 혈소판풍부섬유소를 이식하였고, 혈소판풍부섬유소만 이식한 군을 대조군 1, 아무런 이식을 시행하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2로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후 약 6주, 12주 조직절편을 채취하여 방사선학적 (μ-CT) 및 조직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 방사선학적 분석에서 골형성율 (Bone volume / tissue volume percents, %)은 6주 소견에서는 실험군 1, 실험군 2에서 각각 32.33 ± 6.35, 34.74 ± 3.13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에서는 각각 25.70 ± 13.54, 22.20 ± 10.53 로 나타났다. 실험군 간의 수치를 통계학적으로 비교한 결과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저골 이식재는 골형성에 있어서 유용한 골이식재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골격성 하악 전돌증 수술 후 pharyngeal airway의 적응에 관여하는 인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

        김창균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655

        하악 전돌증 환자에서의 하악지 시상 분할술에 의한 하악골 후퇴술은 악골의 골격적인 변화 뿐만 아니라 연조직 변화와 함께 기능적인 변화를 가져오는데, 특히 인후부 용적의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하악골 시상 골절단술 후, 감소된 인후부의 용적으로 인하여 기도의 공기 통과량이 저하되어 호흡에 지장을 주거나 발음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으나, 실제 임상에서는 악교정수술 후 호흡 곤란이나 발음의 장애를 남기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감소된 후두부용적에 영향을 주요하게 미치며 호흡 능력에 관계된 혀, 설골 및 기도의 변화를 측정하고,서로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하악골 후퇴술 후 안정성을 예견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고려대학교 치과병원 구강악안면외과에 내원한 환자 20명(18세 이상 남, 여)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혀와 설골의 위치에 대한 전후방적, 수직적 거리, 인두부 기도 공간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술 직후 혀의 길이, sagittal area에서 증가를 보였으며,혀 최후상방점에서의 후상방, 설근 부위에서의 후방이동(p<0.01), 설배면의 상방이동이 관찰되었다. 술후 1년 경과시, 혀의 태양에 있어서 설배면에서의 상방이동, 최후상방점 및 설근 부위에서 각각 후상방, 전방이동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05). 그러나 혀는 더욱 upright된 형태로 기도유지에 장애가 되지 않고 적응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혀의 위치, 태양과는 연구개 후방이동, 후두개첨 및 하인두 수준의 인두 기도 폭경, 술후 기도 면적의 감소, 하부 구인두의 길이와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P<0.05). 2. 혀는 기도 공간 감소의 중요한 변화 요인 중의 하나다. 혀는 수술 직후 후방이동 하였으며(P<0.01), 술후1년 경과시 설하부는 술전 위치로 회귀하였으며, 설상부의 원래 위치로의 회귀는 거의 없었다. 이는 연구개와 제2 경추 수준의 인두 폭경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P<0.05). 3. 설골은 수술 직후 후하방 이동한 후, 수술1년 경과한 후에는 술전위치로 회귀하려는 경향이 있었다(P<0.01). 그러나, 20%정도 술후에 전방이동이 관찰되었으나 이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원래 위치로 회귀하는 경향이 있었다. 설골의 수직변위는 연구개의 후방이동(p<0.01), 설골과 하악 하연(p<0.01)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수술 직후 후두개첨 부위인 구인두 하방부위에서 하악 이동량에 상관없이 전후방 기도 폭경의 절대량이 가장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이는 동일 시기의 혀의 전후방이동, 하인두부 수준의 기도 폭경, 혀 길이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1) (P<0.05), 인두부 기도 전후 폭경의 상대적 감소율이 혀기저 수준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 기도량이 가장 감소된 바, 이 부위는 호흡에 중요한 영향을 주리라 생각된다. 5. 수술시 과도한 후방 이동량이 요구될 경우, 호흡 곤란, 특히rick factor를 가진 환자들은 OSA가능성이 높으므로 술전 이학적 검사 및 구인두 부위의 철저한 분석이 요구되며 양악 수술을 고려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6. 기도 면적에 있어서 수술 직후에 90.5%로 감소하였으며, 수술 1년 경과시에는 106.8%로 다소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수술 직후 혀의 후상방 이동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었으며(P<0.01) 술후 1년 경과시에는 기도 면적의 회귀와 혀의 전방,상방 이동과 하악의 회귀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P<0.0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in tongue, hyoid bone position and pharyngeal airway space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in 20 subjects who were diagnosed as having skeletal mandibular prognathism and underwent mandibular setback surgery. They were assessed at the level of several points and their relationships pre-treatment(T1), 1 or 2 months after surgery (T2), over 1 or more years after surgery(T3) by the lateral cephalometric analysis. Statist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by ANOVA, multiple range Tukey test and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 tongue is recognized as a factor that causes the pharyngeal dimensional changes; The displacement, length, thickness, area, occupied proportion of tongue. The tongue showed increased length and sagittal area immediately after surgery(p<0.05), a more upright posture during follow-up period. The tongue position and posture adapted to the pharyngeal function. 2. The tongue was displaced posteriorly immediately after surgery(p<0.01). Lower tongu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correlated with the hyoid bone during the follow-up period but upper tongue did not. 3. The hyoid bone was displaced backward and downward immediately after surgery and it returned to the preoperative position. 4. The antero-posterior width of the pharyngeal space at epiglottis tip level, not at the 3rd cervical vertebra point level was revealed the narrowest dimension correlated with the displacement of tongue and the movement of hyoid bone(p<0.05) ; The distance between the posterior point of tongue and posterior pharyngeal wall showed a relatively significant decreasing rate at the hypopharyngeal-tongue base level (p<0.01). 5. Preoperative optimal diagnosis and planning for patients with exhibiting other risk factors were performed carefully including complete cephalometric analysis, especially the excessive amount of the mandibular setback, respiratory distress, severe antero-posterior discrepancies, the short distance between the base of tongue and posterior pharyngeal wall, it might be better consideration bimaxillary osteotomy. 6. PAS area decreased by 90.5 percent immediately after surgery, but it demonstrated mild significant increase by 106.8 percent during follow-up perio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posterior displacement of the tongue and PAS area immediately after surgery(p<0.01) and between the increase in the PAS area and change of the tongue, advancement of pogonion during follow-up period(p<0.05).

      • CAD/CAM으로 제작된 지르코니아 Framework Span 길이가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최상진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연구목적: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된 지르코니아 single 크라운, 4-unit, 6-unit 브리지 코어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replica technique을 이용해 측정하여 span의 길이가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 측정된 변연 간격이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범위 내(120㎛ 이하)에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군을 지르코니아 Single 크라운, 4-unit, 6-unit 브리지의 3그룹으로 나누고, dentiform의 치아를 삭제하고 이를 복제하여 타이타늄 주모형을 제작한 후, CAD/CAM 시스템(Orapix, Seoul, Korea)을 이용하여 각 그룹별로 10개씩의 지르코니아 코어를 제작하였다. Replica technique을 이용해 변연 및 내면 간격 측정을 위한 표본을 제작하고, 근원심, 협설 방향으로 표본을 절단하여 16개의 계측점에서의 간격을 측정하였다. 협설과 근원심으로 나누어 다변량 분석을 이용해 계측점 별로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 Dunnett T3 test로 사후검정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근원심 계측점 분석결과 b, d, e, f, g 부위에서 그룹 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으며, 협설 계측점 분석 결과 2, 4, 7, 8 부위에서 그룹 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다. 이를 통해 span 길이의 증가가 적합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span 길이의 증가와 변연 및 내면 간격의 증가 사이에 비례적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 single 크라운과 4-unit 브리지 그룹의 변연 간격은 임상적 허용범위 내에 있었지만, 6-unit 그룹의 일부 변연에서 120㎛를 넘는 값을 보였다. 결론: Span의 길이의 변화가 지르코니아의 일부 변연 적합도에 영향을 주었고, 일부의 내면 적합도에도 영향을 주는 것 같다. Single 크라운 및 4-unit 브리지 그룹에서는 변연 적합도의 평균값이 임상적 허용범위 내에 있었으나, 6-unit 그룹에서는 일부 변연에서 임상적 허용범위를 벗어나, 6-unit 브리지 이상의 span 길이의 증가는 지르코니아 코어와 지대치 간의 적합도를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보인다.

      • 지르코니아와 대합되는 자연치아의 마모에 관한 연구

        정유석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55

        지르코니아와 대합되는 자연치아의 마모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고급치과보철학과 (지도교수 : 신 상 완) 정유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르코니아 단일구조 전부도재관이 대합치를 마모시키는 정도를 평가하여 그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를 위해 그룹1은 연마한 장석계 도재(vita omega900), 그룹2는 연마한 지르코니아(zirkonzahn prettau), 그룹3은 연마 후 glazing 처리한 지르코니아(zirkonzahn)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2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연마는 1200 grit abrasive paper를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소성이나 응축, glazing등의 각 과정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랐다. 마모시험은 dual-axis chewing simulator CS-4.8을 이용하여 240,000회의 저작을 재현하였다. 대합치의 마모량은 MTS 3D profiler와 Ansur 3D software를 이용하여 부피 감소를 측정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를 사용하여 변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각 변수의 평균차이를 one way ANOVA 및 Turkey test로 통계적 유의성을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결과 치아 마모량은 그룹1이 0.119 mm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그룹3이 0.078 mm3의 마모량을 보였다. 가장 적은 마모량을 보인 것은 그룹2로 마모량은 0.031mm3였다. 그룹1과 그룹2, 3간에 유의한 차가 있었고 (P < .05) 그룹2와 그룹3간에는 유의한 차는 없었다 (P > .05). 결론 본 연구에서 지르코니아가 도재에 비해 대합치의 마모가 더 적었다. The study on the wear of natural teeth opposed to zirconia ceramics Yu Seok Jung, D.D.S. Major in prosthodontics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Korea University (Director : Professor Sang-wan Shin, D.D.S., M.P.H., PhD., MSc.) Purpose. Th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evaluate the wear effects of zirconia ceramics against human enamel by two-body wear tests. Material and Method. For the wear test, twenty samples of three different groups and human enamel were prepared. Vita Omega 900 was chosen for comparison as group 1. zirkonzahn prettau was chosen for test as group 2. Group 1,2 and 3 samples surfaces were finished with 1200 grit abrasive paper. zirkonzahn prettau with glazing (manufacturer’s recommendation) was chosen as group 3. Each group was loaded for 240,000 cycles in a dual-axis chewing simulator CS-4.8. Wear resistance was analyzed by measuring volume loss using a MTS 3D profiler.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Multiple pair-wise comparison of the means was performed by the Tukey (P<0.05). Resul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tooth volume loss after loading cycles (P<0.05). Group 2 showed less wear than group 1(P<0.05). Group2 showed less wear than group3(P>0.05).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zirconia full coverage crown seemed to be more suitable for restoration opposing natural teeth in terms of wear of teeth.

      •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MBCP)와 Substance P를 이용한 골재생

        안지현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Abstract Bone regeneration with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MBCP) and Substance P Jihyun Ahn, D.D.S. Departmen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Kore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Hyonseok Jang, D.D.S., M.S.D., Ph.D.) Aim of the stud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availability of Substance P in the new bone formation with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MBCP). Materials & methods: Substance P was coated to MBCP and lyophilized. After Substance P – coated MBCP was grafted, new bone formation was evaluated with rat calvarial critical size defect model(8.0 mm diameter CSD). 8 weeks after animal experiment, evidence of bone formation was confirmed by soft X-ray, micro CT and histologic analysis. Results: At 8 weeks, increased new bone formation was found in Substance P – coated MBCP group compared only MBCP graft group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coating of Substance P into MBCP can accelerate the new bone formation in the rat calvarial bone defect. So Substance P could be used as a promising agent in bone tissue engineering. ---------------------------------------- Key words) Substance P, MBCP, Rat calvarial critical size bone defect(CSD), New bone formation. 국문초록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MBCP)와 Substance P를 이용한 골재생 안 지현 구강악안면외과학 전공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 대학원 (지도교수: 장 현석) 연구목적: 골이식시 Biphasic Calcium Phosphate (MBCPTM)의 유용성에 대하여 규명하기 위하여 MBCP 이식 후 골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MBCP에 Substance P를 도포하고 이를 분석하여 향후 골조직 공학에서 사용이 가능한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MBCP에 Substance P를 도포하고 동결 건조를 시행한 뒤 백서 두개골 임계 골 결손부에 이식하고 8 주 경과 후, 실험동물을 희생하여 soft X-ray, micro CT와 조직학적 소견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Substance P를 도포한 MBCP를 이식한 8주 후의 방사선학적 소견과 조직학적 소견에서 신생골 형성이 MBCP 만을 이식한 군과 대조군에 비하여 양호하였다. 결론: MBCP에 Substance P를 도포하여 이식한 경우 신생골 형성이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어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Substance P의 사용 가능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 주요어) MBCP, Substance P, 신생골 형성.

      • 즉시 하중 임프란트에서 성공률과 시기에 따른 임프란트 변연골 높이 변화

        오형우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655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고려대학교 안암 병원에서 즉시 하중 임플란트 시술을 받은 환자들 중 식립 후 2년까지 follow up이 이루어진 환자를 대상으로 임플란트간의 성공율 차이와 악간별, 식립 부위별, 길이별, 그리고 상부 보철 유형별 임플란트 변연골 변화를 평가하여 향 후 임상가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유효성 있는 결과를 얻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총 110개의 ITI 임플란트와 61개의 AVANA 임플란트가 75명의 환자에게 식립되었다.(M/38, F/37, 평균: 52.5세). 임플란트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을 이용하여 식립되었고 solid abutment가 연결되었다. 모든 임플란트는 자가 중합 레진을 이용한 임시 치관을 사용하여 즉시 하중이 가해졌다. 교합은 중심교합에서는 최소한의 접촉을 형성하였고 편심위 교합에서는 교합 접촉이 없게 조정하였다. Results: ITI 임플란트와 AVANA 임플란트 사이의 성공률의 차이는 주목할 만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임플란트 길이, 상부 보철물의 유형, 식립 부위, 악궁에 따른 임플란트 변연골 변화는 모두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식립 후 12개월까지 거의 대부분의 변연골 변화가 왔고 추 후 24개월까지는 비교적 안정된 수준을 유지하였다. 일반적으로 초기에 임플란트가 깊이 식립될 수록 12개월 후 까지의 골 흡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토의: 임플란트 식립 시 초기 변연골 수준이 일정하다면 임플란트 길이, 상부 보철물의 유형, 식립 부위, 악궁에 따른 임플란트 변연골 변화 양상도 역시 안정적일 것이라고 사료된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 ITI 임플란트와 AVANA 임플란트의 식립 후 즉시 하중 시 높은 성공률을 나타냈다. 그러나 이런 즉시 하중 임플란트 술식이 보다 더 에지성이 있는 술식이 되려면 주의 깊은 술 전의 임상적, 방사선적 평가와 의학적, 치의학적 병력 조사가 선행되어야 하겠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success rate and marginal bone level change) of immediately loaded implants at least 24 months after placement. Materials and Methods: Total 110 ITI implants and 61 AVANA implants were placed in 75 patients(M/38, F/37, mean ages: 52.5years). Implants we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manufacturer and solid abutment were connected as routine procedure. All implants were immediately loaded with autopolymerizing acrylic resin crown and these restoration were cemented with polycarboxylate cement. The occlusion was adjusted minimized occlusion in centric and any eccentric contact were removed completely. Result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success rates between ITI implants and AVANA implants. The marginal bone level change showed similar aspect according to the implant length, the type of upper provisional restoration, the place of installation, and different jaws. Until 12 months, almost bone level changes occurred and until 24 months, bone level changes were comparatively maintained stably. Generally in this study, if the initial bone level was upper than reference point, bone absorption was also much. Discussion: It is considered that if the initial marginal bone level is uniform and regular at surgery, marginal bone level changes might be stable although the implant length, the type of upper provisional restoration, the place of installation, and jaws are different.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immediate loading of ITI and AVANA implants showed a very high success rate. But if this immediate loaded implant procedure become more predictable treatment option, certainly careful pre-OP clinical and radiographic evaluation, and medical, dental history taking must be carried 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