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조직사회화와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기주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카리타스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 연구는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조직사회화와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관련된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사회화와 조직몰입의 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의 향상을 그 목적으로 둔다. 연구문제는 이러하다. [연구문제 1]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조직사회화,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만족에 대한 차이를 확인한다. [연구문제 2]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조직사회화,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연구문제 3]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조직사회화와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충북지역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220명을 대상으로 2023년 9월 25일부터 10월 6일까지 약 2주에 걸쳐 218부를 회수하였다. 측정도구로 직무만족은 직무기술지표(Job Description Index, JDI), 조직사회화는 조직사회화 척도(Content Areas of Socialization: CAS), 조직몰입은 Meyer & Allen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각각 Cronbach's α = 0.87(직무만족), 0.85(조직사회화), 0.88(조직몰입)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는 이러하다. 조직사회화는 연령, 직위, 최종학력, 월 평균급여, 사회복지 총 근속이, 조직몰입에서는 연령, 직위, 월 평균급여 사회복지 총 근속 연수, 현 기간 근속 연수, 사회복지 자격등급이, 직무만족에서는 직위, 현기관 근속 연수, 사회복지 자격이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발생시켰다. 상관관계에서는 조직사회화와 조직몰입이 모두 직무만족과 정적(+)인 관계성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직사회화의 하위요인인 목표가치는 직무만족의 직무자체, 감독, 동료, 승진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조직몰입의 하위요인 정서적 몰입은 직무자체와 관련이 있고, 규범적 몰입은 승진과 관련이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서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이 목표가치를 가지고 직무를 수행하는 것에 큰 만족감을 느끼고, 그럴 때 정서적으로도 조직에 대한 애착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에게 가치중심의 교육과 업무실천은 여전히 중요하며,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교육과 조직 적응 과정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 가톨릭 본당 노인들의 노인복지서비스 욕구와 활성화 방안 : 서울 대교구를 중심으로

        안혜식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50703

        한국사회는 현대화로 인하여 핵가족화, 노인부양의식의 약화 등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으며,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노인인구의 증가로 노인문제가 사회문제로 부상하게 되었다. 사회문제인 노인문제는 보편적인 문제로서 노인이 되면 공통적으로 신체적 노화현상, 수입의 감소, 심리적인 소외감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에 따른 욕구를 충족시켜 줄 장치로서 정부의 복지정책과 민간차원의 노력이 함께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가톨릭 본당 노인들의 문제와 서비스 욕구를 조사하여 본당 노인복지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 대교구에 소속된 187개 본당을 강동, 강서, 강북, 강남 4지역으로 나눈 후 각 지역안에서 대, 중, 소 크기로 3개 본당을 선정하여 서울지역 12개 본당과 시외 1개 본당을 포함한 13개 본당에서 활동하는 65세 이상 노인 500명이었다. 조사도구로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했으며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당에서 활동하는 노인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으로 성비는 여성노인이 82.7%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70대 이상 노인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80세 이상의 고령노인이 15.0%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당에서 활동하는 노인들의 현재 당면한 문제로서 건강문제 (45.3%)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희망하는 서비스 프로그램 역시 건강에 관한 프로그램에 관심이 높았다. 개방형 질문에 나타난 노인들의 건의사항도 서비스 프로그램의 개발로 건강에 관계된 강좌나 시설을 요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본당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에 관해서는 본당 노인복지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이유는 친구와 어울리기 위하여 (41.3%)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이웃에 대한 봉사 참여의사에 대해서는 참여하겠다(77.1%)가 높게 나타난 것을 볼 때, 본당은 또한 잠재된 자원봉사 인력을 개발 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다섯째, 본당 노인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들 과반수 이상이 본당의 노인복지에 대해 전문가, 프로그램, 재정, 시설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반면, 노인에 대한 사랑과 관심은 높게 나타났다. 이것을 볼 때, 본당의 노인복지서비스가 전문화되지 못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본당의 노인복지를 위한 건의사항에 관한 개방형 질문에서는 종교적인 요구도 있지만, 노인으로써 당면한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요구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당 노인복지서비스의 발전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당의 노인복지서비스를 지역사회에 완전히 개방하여야 한다. 둘째, 본당의 노인복지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설투자가 시급하다. 셋째, 노인들의 가장 큰 문제인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으로 지역 사회안에 있는 의료서비스와 접목하여 서비스를 운영해야 할 것이다. 넷째, 건강문제 다음으로 큰 문제인 경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당내에 노인들이 할 수 있는 공동작업장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당 노인복지서비스는 노인들을 위한 교육의 장이 되어야 한다. 여섯째, 본당 노인복지서비스는 노인들의 사회참여와 여가활동을 위한 활동의 장이 되어야 한다. As a result of modernization many social changes have occurred in Korea such as the nuclear family and the weakened responsibility for aged parents. Moreover, problems of the aged will grow soon along with an increase of the aged population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The problems of the aged are deeply connected with social problem is in general, the aged commonly experience physical infirmity, income decrease, and psychological isolation as the result of growing o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government set up a welfare policy in line with general policy and members of the community should be encouraged to make an effort to meet the needs of the a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 service plans through a survey of the problems and of the needs of the aged in Catholic Church communitie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grouped 187 parishes in Seoul Archdiocese into four regional areas. Then from each area 3 parishes were selected. In addition, one parish was chosen from outside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keep the balance of the research. Consequently, the number of parishes surveyed were 13 and those aged over 65 years old were more than 500.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he data gathered was analyzed using SP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ly, in regard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82.7% of the subjects were female.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was over seventy and 15% of them over eighty. Secondly, the aged showed their strong interest in health problems(45.3%), and they asked for health service program. Suggestions in the open question indicated that health servic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lectures and facilities related to health should be provided. Thirdly, the Church seems to play social service role for 41.3% of the aged surveyed. The main reason for their coming to the Church was to make friends and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services offered by the Church. Fourthly, the aged in the Church showed strong interest in participation in the service activities provided by their local communities(77.1%).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hurch should develop available personnel resources as much as possible. Fifthly,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replied that although the Catholic Church is concerned with the aged and loves them, it lacks specialists, programs, finance, and facilities for the aged. Finally, in the open question for suggestions on the Church social services for the aged, the subjects requested actual solution of the problems which they face, including religious problem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s of the Catholic Church social services for the aged as follows ; Firstly, the Church social service programs should be fully opened to the local community. Secondly, the problems of the development programs and investment of facilities for social services in the Church are to be solved urgently. Thirdly, in order to solve health problem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for the aged, the Church should manage the health service programs in cooperation with the community medical services. Fourthly, a work - room should be provided in the Church, which the aged can make money to solve their economic problem which is their second problem. Fifthly, the Church social services for the aged should provide educational facilities for the old. Sixthly, the Church social services for the aged should provide service activities to meet their need for the participation in the society and utilization of their spare time.

      •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권한위임과 조직효과성 관계연구

        김춘아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703

        현대사회문제의 해결의 책임이 가족으로부터 사회로 이양되면서 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기대와 욕구가 날로 증대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사회복지 조직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복지 조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프로그램이 세분화, 전문화 되어감에 따라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조직의 목표, 조직 구성원, 그리고 조직관리라는 제 요소를 조정하고 통합하는 행정가의 역할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추세다. 사회복지 행정은 타 행정과 비교하여 조직의 목표달성에 대한 책임이 구성원 모두에게 공유되는 민주적인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사회복지 조직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와 프로그램 대부분이 클라이언트와 직원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구성원 개개인이 행정가로서의 역할을 인식하고 대처하는 것이 더욱 필요한 조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직원들이 조직 행정의 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총체적인 관점과 사명감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능력과 자질을 갖추어야 하며 이는 개인과 조직 차원에서 함께 연구되고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현대 조직 관리의 유효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권한위임은 일정한 조직에서 그 직무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인정된 권리를 최고 관리 층에서 실무 현장으로 분배하는 행동 또는 과정이다. 이로써 직원들을 동기화하고 자기계발을 촉진하며 직무에 대한 성취감을 높여 조직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복지 행정에서도 효과적일 것이라는 가정을 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 조직에서 중간관리자들에게 부여되는 권한위임과 조직효과성 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권한위임과 직무만족의 관계, 권한위임과 조직효과성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 연구와 실증 연구를 하였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해 관찰하였고 실증적 분석에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00년 10월 23일부터 11월 3일까지 서울 및 수도권 일부 지역(인천,부천,광명,과천,안양,성남,안산) 사회복지조직에 근무하고 있는 중간관리자(주임급 이상)을 대상으로 방문 면접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사전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한 후 권한위임, 직무만족, 조직효과성 각 17문항으로 측정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 WIN 통계처리 방법으로 빈도, 백분율,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 중간관리자 54.7%는 여성 45.3%는 남성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3세로 실무경력은 5년 미만 48명(32%), 5년에서 9년 55명(37%) 10년 이상 근속자는 47명(31%) 이었다. 2) 학력은 86%가 대졸이상(대학원 졸 포함)의 학력을 보유한 자격증은 사회복지사가 60.7%로 가장 많았다. 3) 조직의 서비스분야는 청소년, 장애인, 노인, 아동, 재가, 외국인 노동자보호, 노숙자, 자활센터로 조사대상 조직은 10인 이하의 소규모 조직이 27%, 20인에서 40인 이하가 58%, 41인 이상이 14%였다. 4) 권한위임과 직무만족, 조직효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상관관계가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표본 특성별 각 변수간의 차이 분석 결과 실무경력이 적은 사람이 권한위임을 더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업무분야에서는 직접 서비스를 하는 사람이 행정관리직에 있는 사람보다 권한위임을 더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 효과성과 인구사회학적 특성간에 유의미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핵심적인 문제인 권한위임과 조직효과성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복지 조직에서 적절한 권한위임이 조직행정의 효과적인 관리행동임을 설명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 조직에서 구체적인 방법을 개발하고 시행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시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As the responsibility for resolution of social problems today are handed to society from the family, the expectations and needs on social welfare services are increasing day by day so that a variety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re operating. Since services and programs provided by these organizations are specialized, a administrators role that integrates and coordinates all factors of a organization such as goals, members, and management to provide services effectively are perceived to be important. In comparison to other organizational administratio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end to include the concept of democracy in which all members hold the responsibility to accomplish the organizational goals. Since most of the organizational services and programs are accomplished by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a client and a staff member, each member is needed to perceive her/his role as a administrator. Thus, those working in the organization are required to provide quality services with a wholistic perspective and a sense of mission. Delegation of authority as an effective way of organizational administration today is a process or an act that allocates the formal right from the top managers to those in the lowest echelon to perform job functions, delegation of authority influences positivel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motivating staff, promoting self-development and task attainment. These findings are assumed to be effectiv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legation of authority as perceived by middle manage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r the social survey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50 middle managers working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and around Seoul from October to November 2000. The methods used were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direct interviews.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e study consisted of 17 items with three domains: delegation of authorit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t-test, ANOVA, Cronbachs alpha coefficient, Pe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The participants had a mean age of 33 years and comprised 54.7 percent female and 45.3 percent male. 2. Of the participants those with career experience of five years to nine were the most frequent (37%), followed by those who had worked less than five years (32%) and then those who had worked ten years or more(18%). 3. In education and qualifications, 86 percent had a college degree or higher, 60.7 percent had a license as a social worker, 14 percent as a teacher, 11 percent as rehabilitation therapist, 2 percent as counselor, and 12 percent had no license at all. 4. Service areas of the organizations were children welfare, youth, the disabled, the elderly, home, foreign laborer, homeless people, and those who are self-supporting. 5. Regarding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those who had personnel between 20 to 40 persons were the most frequent (58%), followed by those who had less than 10 persons (27%), and those who had over 41 persons on staff (14%). 6.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elegation of authorit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7. There were higher demands for delegation of authority with those who had shorter careers and with those who provide direct services than for those working in management. Men had a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than did women. The study will be a basis to develop a detailed way for delegation of authority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since the study resul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legation of author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장기요양보호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 부양자의 부양부담을 중심으로

        이경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우리 나라의 장기요양보호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부양부담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이며, 부양부담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고, 이들이 원하는 사회복지적 욕구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장기요양보호가족을 위한 노인복지프로그램의 향상 및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문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요양보호노인의 특성과 주 부양자의 특성에 따른 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이용욕구와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둘째, 장기요양보호노인 부양자의 각 유형별 부양부담이 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이용욕구와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파악한다. 셋째, 노인의 특성과 주 부양자의 특성, 유형별 부양부담이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이용욕구와 이용행태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파악한다. 본 조사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각 유형별 부양부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신체적 부양부담에는 주 부양자의 연령, 직업, 그리고 노인과의 관계가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부양부담에서는 주 부양자의 연령, 학력, 그리고 피 부양노인의 수입, 경제적 능력, 심신기능손상이 심할수록 부양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 부양자의 직업과 피 부양노인의 수입, 경제적 능력, 정신적 기능손상이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부양부담에서는 주 부양자의 학력, 직업, 월 평균 가족 총 수입, 그리고 피 부양노인의 수입, 경제적 능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 부양자의 부양부담이 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이용욕구 및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이용욕구 및 이용행태는 각각 유형별 부양부담이 높을수록 이용욕구 및 이용행태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재가보호 서비스의 이용욕구에서는 경제적 부양부담이 높을수록 재가보호서비스의 이용욕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및 시설보호서비스의 이용욕구에서는 정서적 부양부담이 높을수록 서비스의 이용욕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가보호 서비스의 이용행태는 사회적 부양부담이 높을수록 재가보호 서비스의 이용행태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및 시설보호서비스의 이용행태는 경제적 부양부담이 높을수록 서비스의 이용행태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장기요양보호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지닌 숨은 대상자들을 발견해야 한다. 둘째, 장기요양보호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을 부양하는 주 부양자(또는 가족)들이 선호하는 서비스의 유형은 지역사회보호 서비스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주 부양자 및 부양가족들의 부양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책들이 강화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노인 장기요양보호 서비스의 대상은 노인은 물론 그 가족까지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A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ategorize supporter's burden of taking care of long-term care elderly to investigate about causes and level of caregiving burdens and their demands on social welfare.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and information needed in ameliorating or developing social welfare programs for families of elderly under long term care. Following are topics of the study. First, an purpose is to understand about the effect of features of elderly under long term care and their supporters on the aspiration and behavior of using long term care service. Second, an purpose is to investigate about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caregiving burdens of those taking care of elderly under long term care on the aspiration and behavior of using long-term care. Third, an purpose is to study about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the aged, supporters and types of caregiving burdens on the aspiration and behavior of using long term care servic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b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caregiving burdens according to the types of caregiving burdens, in terms of physical burden, it was proven that supporter's age, job and relationship with the aged had significant effect on caregiving burdens. In terms of social burden, support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economic level and physical weakness of the aged caused higher level of caregiving burdens. Sentimental burdens are caused by supporter's job, income, economic ability and mental weakness of the aged. In terms of economic burden, supporter's educational background, job, an average of family's monthly income, income and economic ability of the aged had significant effect.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bout an effect of supporter's burdens on the aspiration and behavior of using long-term care service, it was indicated that higher level of burden caused higher level of aspiration and behavior of using the service. First, in terms of the aspiration to use home-stay care service, higher level of economic burden caused higher level of the aspiration on the use of home-stay care service. In terms of the aspiration to use regional and facility care services, higher level of sentimental burden caused higher level of the aspiration to use the service. Also, it was proven that higher level of social burden caused higher level of using home-stay care service. In terms of using regional or facility care service, higher level of economic burden caused higher level of using the services. Following are the proposals mad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hidden subjects with aspirations on long term care services must be found. Second, new perception on long term care services is necessary. Third, high necessity level of community care services was shown about the types of services preferred by supporters (or families) taking care of the aged. Fourth, policies that could improve caregiving burdens of supporters or families of the aged must be strengthened; subjects of long term senile care services must include the aged and their families.

      • 조직문화 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신운화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서울시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조직문화 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사이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즉, 서울시 지역사회복지관의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수준을 알아보고,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특성을 비교해 봄으로서 조직문화와 직무만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일반적인 기업체나 공공조직과 구별되는 특별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사회복지조직은 효과성을 증대하기 위한 방안에서도 일반기업과는 차별적인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사회복지조직은 서비스 전달과정에서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대상자 간의 신뢰관계가 우선적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와의 대면접촉과 상호관계 속에 사회복지 서비스가 지원되고 있다. 이에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조직에 대한 적응도, 만족도에 따라 서비스 수준에 많은 차이가 발생하므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최일선의 실무자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사회복지조직의 이러한 특성을 감안할 경우 사회복지조직에서 복지서비스를 계획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조직 내의 사회복지사이며,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 활동의 성과는 일선기관 사회복지 실무자들의 전문성을 어떻게 발휘하느냐에 달려 있다. 결국 사회복지 서비스는 문제를 가진 개인이나 가족이 사회복지사의 인간적 상호작용이라는 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어서 그 사업의 성패는 유능한 인력의 확보와 전문적인 인력이 계속적으로 일을 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것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서울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나타나는 조직문화 유형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수준은 어떠한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특성이 달라지는가? 조직문화 유형과 직무만족이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를 연구문제로 상정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한 분석 자료는 서울시 소재 2002년 이후에 설립된 2개 복지관을 제외한 90개 종합사회복지관에 종사하고 있는 부장급·과장급 1명, 대리급·팀장급 1명, 일반사회복지사 1명으로 기관별 3명씩 총 270명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2005년 1월 방문조사와 우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가운데 주요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의 구성요소인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중에서는 '집단문화'(3.95)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긍정적 경향으로, '합리문화'(3.15)가 상대적으로 낮은 긍정적 경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 리더쉽, 보수, 승진, 기관, 동료관계 등 직무만족의 구성요소 중에서는 '동료관계'(3.96)에 대해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보수'(2.58)에 대해 덜 만족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을 비교분석한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직무만족과 조직문화에서 높은 수치로 나타났고, 연령이 많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직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넷째, 조직문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직무만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 중에서 집단문화와 개발문화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로부터 서울시 지역사회복지관은 구성원들 사이의 신뢰감, 친밀감, 인간적 유대감, 인간적 배려를 우선시하는 집단문화 경향이 강한 조직문화가 형성되어 있으며, 동료들의 지지와 우호적 관계를 내용으로 하는 동료관계와 관련된 직무만족에 가장 만족하고 있다. 그리고 남성 사회복지사이면서 연령이 많고 직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문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즉, 서울시 지역사회복지관 그리고 복지관 구성원 상호간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며 개방적 상호작용을 하고 신속하고 융통성있는 업무처리가 잘 이루어질수록 직무만족 정도가 높고, 집단문화와 개발문화는 직무만족의 하위범주인 기관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강하게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조직문화가 조직구성원들의 만족도가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사회복지조직에 있어서의 조직문화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은 직무성과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조직문화를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사들 사이의 친밀감·인간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인간적 배려를 함으로써 사회복지사들의 소속감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이 직위에 대한 부담 없이 자신들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다양화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도록 한다. 셋째, 복지관의 업무처리 절차와 규칙 등을 정하지만 융통성 있게 운영하도록 한다. 첫째 방안은 집단문화를, 두 번째와 세 번째 방안은 개발문화를 강화하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이를 통하여 직무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집단문화와 개발문화 형성을 유도함으로써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무환경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을 살펴본 결과 먼저, 장기근속자가 조직내에서 자연승급, 승진하는 문화를 형성하기 보다는 기관내 공정하고 객관적인 직무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에 기반 하여 공정하고 형평성 있게 승진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다섯째, 정기적인 직원면담을 통해 직원의 능력과 자질을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직무배치가 이뤄져야 하며 전문가로서, 조직의 소리더로서 자기개발을 위한 정규 교육, 워크샵 등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직원복지에 관심을 갖는 리더쉽을 발휘함으로써 동료 간 일반사회복지사와 선임사회복지간의 지지적 수퍼비전 체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 사회복지 관련법규들을 준수하면서 투명하고 합리적인 운영과 전문가적 기술함양을 통해 사회복지 기관 내, 사회복지 관련조직, 지역사회 내에서 기관의 공신력을 쌓아갈 때 사회복지사들의 소진을 예방하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planned to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ification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ocial workers focused on the community centers in Seoul. That is, this study checks the connec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job satisfaction by identifying the level of them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m. To accomplish effectiveness in operatio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must use peculiar alternatives in that they have totally different organization structures from other organizations like common enterprises and public organizations. First of all, social welfare organization have to make trust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recipients in the service delivery process because social welfare services are provided under the face-to-face interactions and mutual relationship. In that regards, Social worker's stress level, affected by the organizational adaption rate and job satisfaction rat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deliver effective services. Considering this characteristic, the performance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which are targeted for clients depends on how to spring up the specialty of the stress level social workers who plan and provide the welfare services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success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s which are delivered through mutu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and clients depends on the possession of competent manpower. To check the influ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job satisfaction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this study sets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How is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Doe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ke differ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and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job satisfaction? The data in this study is gathered from visiting and mailing survey to 270 social workers in 90 community welfare centers(3 social workers in each) in Seoul except 2 centers which were built after 2002 by direct interviews and mailing interview. The main analysis is able to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ut of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y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hich are 4 classifications in organizational cultures, group culture(3.95) shows the most affirmative tendency and rational culture(3.15) result in low affirmative tendency comparably. Second, out of job, leadership, salary, promotion, organization and colleague-relationship which compose job satisfaction, colleague-relationship(3.96) acquire the highest number and salary(2.58) ranked at the lowest level. Third, in socio-demographic comparison analysis, male, old-age and high position social worker have the higher scores i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job satisfaction than the others. Fourth, the more positive evaluation the social worker makes with regard to organizational cultures, the higher job satisfaction he has. Moreover, group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mak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 job satisfaction which is dependent variable positively. By this analysis result, we can identify th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have a group culture centered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has a priority to confidence, intimacy, solidarity, consideration between social workers, and colleague-relationship centered job satisfaction which is composed by support and affirmative relation with colleagues. Furthermore, male, old-age and high position social worker have the higher scores i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job satisfaction than the others. That is to say, job satisfaction can be raised in the situation where the workers can make opened mutual works, fast and flexible works, group and development culture make an affirmative influence on a center characteristics which is the sub-category of the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organizational cultures make a significant influence to workers' satisfactions. Especially, this result is important that organizational cultures in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ffect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this satisfaction can draw the job performance. Hence, it is needed to make new organizational cultures which raise job satisfaction. With regard to these results in this study, I suggest something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attachment have to be increased by giving chances to make intimacy, solidarity, consideration between social workers. Second, the organization have a open structure in which social workers can express their opinions regardless of their hierarchy and these ideas can be used in reality. Third, flexible operation in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re needed even though there are work formality and regulation. These alternatives makes a positive result in part of group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in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By developing these cultures which are affirmative factors to job satisfaction, the work environment can be improved positively for social workers. Forth, base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ongtime workers need to be more concerned with the objective test system of their work than their promotion. Fifth, the leaders catch workers' abilities and business faculties by having interviews regularly, and divide duties efficiently. As a leaders or experts, they need to provide workers with opportunities of professional education. These make the supervision system more effective between co-workers and seniority. In addition, when they operate the organization fairly, build up expert skills and get the trust in communities, they can prevent social workers' burn-out and get much higher job satisfaction.

      • 국내여성이주노동자의 차별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금연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내 이주노동자들이 자리한지 십 년을 넘기면서 한국사회는 단일민족, 단일문화를 넘어 다문화, 다민족 시대를 열어가는 새로운 계기가 되었다. 더욱이 이주노동자들의 양적인 증가와 더불어 장기체류, 결혼 그리고 자녀출산등으로 정주의 개념이 등장함으로써 이주노동자들은 단순히 노동력으로 사용의 대상만이 아닌, 함께 살아가야 할 사회구성원으로 받아들여 질 시점이 된 것이다. 그러나 사십만이 넘는 이주노동자들, 특히 십만을 육박하는 여성이주노동자들이 처한 노동현실과 생활실태는 열악하며 바람직한 정책이 부재한 가운데 이들에 대한 인권침해가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다. 특히 여성이주노동자들은 외국인으로써 여성으로써 이중으로 겪게 되는 차별적 구조에 노출되어 있어 이에 대한 사회복지적인 개입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여성이주노동자들뿐만 아니라 남성이주노동자들의 인권문제 상담이나 의료서비스, 쉼터 제공등 사회복지서비스는 주로 민간.종교단체들에 의하여 실행되었다. 지원단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양하여 긍정적이기도 하지만 전문성이 미흡하며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여성이주노동자를 위한 별도의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마련되고 있지 않는 현실이다. 대안으로 여성이주노동자들의 문제에 전문 사회복지사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그 기초 마련을 위하여 '국내 여성이주노동자들의 차별실태와 욕구조사'를 하게 되었다. 수도권 지역에서 제조업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5개국 출신의 여성이주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면접을 통한 양적 실증 조사 방법으로 그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 욕구등을 파악하였다. 조사에 응한 필리핀, 스리랑카, 네팔, 몽골, 베트남 여성이주노동자 204명이 조사에 응답을 하였으며, 20명의 여성노동자들이 면접 조사에 응하였다. 조사의 실시는 2001년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진행되었으며 조사된 질문지는 SPSS 윈도를 통한 빈도, 교차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조사에 응답한 이들은 입국한지 5년 이내이며 한국어를 어느 정도 구사할 수 있는 기.미혼여성들이었다. 주로 경제적인 이유로 한국에 오게된 여성이주노동자들은 수도권지역 제조업 분야에서 일하고 있으며 자취방과 공장기숙사를 주거공간으로 삼고 있다. 응답자의 대부분은 30세미만의 젊은 여성들로서 비교적 건강한 상태였다. 여성이주노동자들이 직장에서 경험하는 차별은 노동조건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우선 노동시간이 너무 길고, 임금은 낮고, 휴일근로로 인한 휴식시간의 부족으로 열악한 노동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직장내에서 동일한 노동을 하여도 한국인과, 남성이주노동자들에 비하여 임금에 있어 차별적인 대우를 받고 있으며, 성희롱이나 폭력으로부터 안전하지 않은 상태였다. 한국사회적응에 있어서는 노동허가 없이 일하는 여성들이 대부분이므로 체류자격상의 불안함이 주는 어려움이 가장 크며 언어, 높은 생활비로 인한 경제문제와 정서적인 어려움으로 고통을 당한다고 하였다. 한국사회안에서 여성이주노동자들은 출신국, 언어, 나이, 용모등 신체적인 조건과 성별에 따라 한국인으로부터 차별을 당하고 있다. 같은 외국인이지만 이주노동자들로부터 당하는 차별도 한국인으로부터 받는 차별이상이며 주로 언어, 출신국, 종교, 나이순으로 차별을 당한다고 하였다. 차별을 당할 때 나름대로 조치를 취하지만 참고 지내는 여성들도 많았다. 비록 충분한 여가 시간은 없지만 여성이주노동자들은 같은 나라사람들과 모임을 갖기도 한다. 휴일에는 주로 방에서 쉬며 교회나 지원단체들에 나가거나 친구들을 만나는 것으로 시간을 보낸다. 민간 지원단체들이 실행하고 있는 사회복지활동 이용실태는 주로 의료서비스와 언어교육, 캠프나 소풍을 함께 하며 취미강좌나 오락 그리고 산업안전교육 및 성교육을 미흡하지만 이용하고 있었다. 필요한 사회복지프로그래은 언어, 노동관계법, 인권, 건강, 노동조합과 종교교육 그리고 한국의 역사와 문화, 인간관계교육 순으로 필요성을 보였다.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여성이주노동자들은 계속 한국에 거주하기를 바라고 있으며, 다만 나라별 편차가 심한 답변이 있어 차별의 정도에 따라 반응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조사분석결과를 기초로하여 사회복지사들은 여성이주노동자를 위한 전문 사회복지교육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요구된다. 정부나 기존의 민간 지원단체들이 하지 못하는 부분인 사회복지전문 서비스의 제공은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사들이 펼쳐나갈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복지프로그램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본 연구가 활용되어지기를 희망하며 여성이주노동자들이 직면하는 현실의 어려움을 사회복지사들이 개입함으로써 조건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There are over 100,000 female illegal foreign laborers working in Korea. These workers face double discrimination in Korea- they earn less because they are undocumented workers and they are also compensated less because they are women. These women all-too frequently suffer through physical and sexual violence, non-payment of wages, and dangerous working conditions. The currently available social services for these women run by NGO's and religious organizations have been criticized as being unprofessional and less than thorough. While the number of such workers is on the rise, many rights violations continue to occur due to the absence of a proper policy towards migrant laborers on the part of the Korean government. The emerging question is who should take the initiative in supplying social services to these women and what shape and form these services should assume.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helping those in the social work community identify and develop programs targeted towards women migrant workers in Korea. The researcher's task was two-fold: First, through field-work and surveys with these women we need to be aware of their particular experiences of suffering and discrimination. Secondly, we need to pinpoint those areas in which to provide services to help rectify the injustices against migrant female laborers. The first part of the study involved actually interviewing and recording data using a quantitative survey method incorporating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1-month period from mid-April to mid-May 2001 in the areas of Anyang, Ansan, Seoul, Suwon, and Gunpo where many female illegal migrant laborers are located. The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hailed from such diverse locales as the Philippines, Nepal, Sri Lanka, Mongolia, and Vietnam (with the only common thread between these places being that their respective per-capita incomes are only a fraction of those in Korea). 204 women completed the survey questionnaire and of these, 20 women were interviewed at our counselling center in Anyang. Our fieldwork revealed the following key results: 1. Women migrant laborers suffer from endemic discrimination at their work sites. While economically discriminated against in terms of lower salary, these women are also subject to violence, sexual harassment, and dangerous working conditions. 2. 72.6% of the female migrant workers surveyed are in the country illegally and as such, they have little if any legal recourse under laws of Korea. 3. Racial discrimination against female migrant laborers in Korea is widespread, especially in cases where skin color and physical featur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ns. 4. Most of the women contacted in the course of this study had difficulty communicating in Korean. This is certainly another factor that exacerbates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se women. After identifying these 4 main problems, we have highlighted 2 areas in which those of us in social services can improve the situation of illegal women migrant workers in Korea. First and foremost, the legal status of these undocumented workers in Korea needs to be resolved. We need to press those in government office to enact laws protecting migrant workers' rights as well as instituting a rational and honest work visa system more in line with the actual market demand for migrant labor. Also, undocumented workers should be given an amnesty and be allowed to work in the country according to international human rights conventions. The government plays the key role in the efficacy and success of any social welfare framework for female migrant workers in our country. Secondly, those of us in social work need to help foreign women laborers become active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its development. We also need to continue offering support services and counselling to those female migrant workers who are suffering from injustices and criminal behavior on the part of their employers. To this end, we need to offer mor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lasses in addition to education and services relating to labor and industrial law, gender discrimination laws, trade unions, and human rights. Sometimes the little help that we can give is enough to motivate even the weakest members of our society to set themselves free from their enslavement. Even though it is a bit late, it is time for social workers to begin helping female migrant laborers through diverse programs and services in order to right the injustices currently befalling these women.

      • 한국아동복지시설이 장애인생활시설로 전환된 배경요인에 관한 연구

        임성현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50703

        한국의 장애인복지는 삼국시대부터 그 역사의 근원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이고 근대적인 장애인복지는 해방이후에 태동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특히 장애인생활시설의 출현은 아동복지시설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아동복지시설이 장애인생활시설로 전환된 배경이 현재 한국장애인생활시설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그 전환된 배경요인들을 고찰하여 장애인 생활시설에 대한 사회복지 정책적 함의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아동복지시설이 장애인생활시설로 전환된 시설 내 요인과 사회환경요인은 무엇이며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 둘째, 이와 같은 배경요인들은 장애인생활시설에 대하여 어떠한 사회복지 정책적 함의를 가지고 있는가?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들은 문헌연구와 주요 원로인사들에 대한 면접조사를 통하여 고찰되었다. 배경요인을 찾기 위하여 시설 내 요인으로는 시설수용 아동요인과 시설장의 의지를, 사회환경 요인으로는 국내적으로 정부의 정책요인과 외원기관의 활동의 변화, 국외적으로는 국제재활(RI)회의의 범세계적 활동과 선진복지국가의 1970-1980년대의 환경적 요인을 분석의 틀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첫 번째의 문제인 아동복지시설이 장애인생활시설로 전환된 시설 내 요인과 사회환경 요인은 무엇이며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 내 요인으로 전쟁고아를 중심으로 시작하였던 아동복지시설들이 20년 후 연장고아들의 사회복귀, 해외입양 등으로 인하여 아동복지시설 생활아동수가 급격히 감소함으로써 아동복지시설이 존폐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아동 수의 급격한 감소는 곧 재정적 어려움으로 연결되었고 시설장들은 이러한 환경 속에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게 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정부의 다양한 전환권유와 더불어 사회복지사업을 지속하려는 시설설립자들의 강한 의지와 종교적 동기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사회환경요인 중 국내 요인으로는 1970년대에 들어 정부는 시설계획에 따라 아동시설을 장애인생활시설로 전환할 것을 강력하게 권유하였고, 사회복지사업법이 제정되면서 '사회복지법인' 이라는 특별법인이 창설하게 된 것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또한 당시 아동복지시설 운영의 근간이 되었던 외원기관들이 지원을 중단하게 되면서 재정적 측면이 더욱 어려워진 것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국외 요인으로는 국제재활협회(RI)의 범 세계적 활동과 UN의 '세계 장애인의 해' 제정 등이 전환동기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문제인 이와 같은 배경요인들은 장애인생활시설에 대하여 어떤 사회복지 정책적 함의를 갖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생활시설 운영에 대한 정부지원의 미흡으로 인한 사회복지 정책적 문제점이다. 직원배치기준의 미흡, 시설운영비 지원의 부족 등은 아동복지시설의 운영위기를 장애인생활시설로의 전환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임기응변적 정책의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두 번째 아동복지시설을 설립하고 장애인생활시설로 전환한 민간 사회복지법인자체의 한계로 인한 사회복지 정책적 문제점이다. 현재까지도 정부는 사회복지 서비스분야를 민간의 책임 하에 두는 구조를 계속 유지하여 정부의 책임과 역할은 최소화하고 사회복지를 민간인의 자선이나 동정적 동기로 유도하여 현재까지도 아동복지시설의 문제점이 지속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에서 밝힌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한국장애인생활시설 형성요인에는 아동복지시설 내의 다양한 요인과 국내적, 국외적인 사회환경 요인이 직접, 간접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으며 당시 정부의 임기응변적인 정책과 민간사회복지의 한계가 현재 장애인생활시설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The history of Handicapped Welfare in Korea originates from the Three Kingdoms era. However, it is known that a more practical and modernized Handicapped Welfare began after the liberation and especially, the emergence of Institution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derived from Institution for Child Welfa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on the social welfare political implication of the Institution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Background factors that affected the conversion of Institution for Child Welfare to Institution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is conversion h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current problems of Korean Institution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the analysis framework which consists of internal institution factors and external social environment factors was construct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wo main study questions were presented as following. First is to understand institution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 factors and how they affected the conversion of institution for child welfare to institution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Second is to understand what social welfare political implications these factors have with the institution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These studies questions were addressed through research of documentary records and interviews with notable elders in this field. The answers to the first study question to find out background factors are as follows; Firstly, with regard to institution factors, the institution for child welfare which started with 6.25 war orphans had to face closing crisis due to sudden decrease of children in the early 1970s during which time the grown orphans spread out to the society and overseas adoption was active. The sudden decrease in children led to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us the institution founders searched for other ways to overcome these circumstances. in addition to the foregoing, the strong will and religious motivation of institution's founders to maintain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during this period could be observed as the major factors. Secondly, with regard to domestic factors under social environment factors, the government's aggressive persuasion to convert child institution to institution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institution policy and plans of government during the early 1970's and the foundation of social welfare juridical pers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ocial welfare activities law could be viewed as the major factors. Also the discontinuation of support from foreign aid organizations which were the financial sources for the operation of child welfare institutions resulted in serious financial problem that significantly impacted on the conversion. As for overseas factors, the worldwide activities of Rehabilitation International(RI) and UN's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Year for Disabled Persons indirectly affected the conversion. The answers to second study question to the find out the social welfar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 social welfare's political problem result from a lack of government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institution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Inappropriate staff allocation and insufficient support for institution budget were the results of improvising policy-implementation of government to overcome the crisis of institution for child welfare by converting them to institutio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econd is the social welfare policy problems result from self-limitations those of private social welfare corporation that established the institution for child welfare and converted them to institution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Until now, The government has maintained the stance of charging private sectors with responsibilities of social welfare and minimizing it's responsibilities and roles thus making social welfare to be remained as a civilian's charity or philanthropy, leading to accumulated and continued problems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Korea. To put the results clarified above together, various factors within the institution for child welfare and domestic, overseas social environment factors have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the formation of Korean Institution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and government's improvising policy and the self-limitations of private social welfare corporations have significantly impacted on the current problems of institution for person with disabilities.

      • 敬老堂 利用實態와 生活化 方案에 關한 硏究

        최동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50703

        우리 나라의 노인인구는 1980년에 3.8%를 차지하던 것이 1990년에는 5.0%, 1995년에는 5.7%로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2000년에는 7.1%, 2020년에는 12.5%까지 급상승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오늘날 우리는 지금 역할상실의 상황하에서 무료하게 나날을 보내는 고령인구의 절대수가 증가하는 사회 속에 살고 있고, 또한 노인들의 여가욕구는 날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어 이들에 대한 복지 서비스가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될 시기라 하겠다.(박재간 외, 1984, p136) 특히 노인의 여가와 소외가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경로당에 대한 정책은 무엇보다도 경로당이 담당해 나가야 할 노인욕구의 해소, 완화과정에서 경로당의 자체적 역할을 강화시켜 나가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가능한 한 그 담당해 나아갈 욕구의 범위를 넓혀 가도록 하며, 욕구 충족의 능력을 지속적으로 배양해 나가도록 하는 것이 경로당 활성화 대책의 가장 중요한 쟁점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경로당에 대한 정책은 경로당이 전반적인 노인복지 체계 내에서 노인 복지시설이 시설보호 노인의 기본적 욕구 충족을 위한 장소만이 아니라 시설보호노인은 물론 일반 노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유기적인 기능 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을 명확히 하여야 하며 더 나아가서 경로당이 담당할 수 일는 역할을 사회변화에 따라 항상 새로이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군포시를 중심으로 노인 여가시설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경로당 운영실태를 통해 경로당이 노인들의 여가 공간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참여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경로당이 노인들의 다양한 욕구에 부합할 수 있는 노인 여가시설로서 거듭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기능수행을 모색하려고 하였으며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는 바이다. 첫째, 경로당의 참여를 증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서는 ① 경로당 이용 노인에게는 노년기에 필요한 생활정보의 제공, 복지자원 연결 서비스 등을 통하여 참여에 따른 만족도를 증진시키고, ② 비이용 노인에게는 경로당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참여를 유도하며, ③경로당 시설의 편의제공, 지역주민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등을 통하여 경로당에 대한 지역사회의 이미지를 개선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현존 경로당 시설의 규모는 대체적으로 협소하며 운영재정 상태로는 단위 경로당이 지역 노인들의 다양한 여가활동 욕구를 충족시키기는 어려우므로 각 경로당은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적으로 운영해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같은 행정구역 내에 여러 개의 경로당이 있을 경우, 그 중 하나는 바둑을 좋아하는 노인들만 모이는 노인 기원 경로당, 노인 서예 경로당, 노인 노래방 경로당, 노인 당구 경로당, 노인 독서 경로당 등으로 전문화시키는 방안도 개발해 볼 필요가 있다. 이렇게 되면 노인이 자신의 욕구충족에 적합한 경로당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위하여서는 경로당 회원가입 자격을 거주지역으로 국한하고 있는 현행 규정을 완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 경로당이 지역노인의 일차적 여가활동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있어서 필요한 최소한의 물리적 조건을 완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다. 즉 경로당의 시설보강(특히 간이식당의 설치), 비품의 재정비, 보건위생 상태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운영재원의 확충을 위하여서는 경로당, 지역사회, 정부의 공동노력이 요구된다. 경로당에서는 이용노인의 참여증진을 통하여 자체적 회비수입을 늘려 나가고, 지역사회에서는 경로당 활동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후원하며 국가 및 지방 자치단체에서는 경로당 시설보강 및 재정지원에 힘써야 할 것이다. 넷째, 경로당의 서비스 전달체계를 개선해 나가기 위하여서는 중·단기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현행 대한노인회중앙회, 연합회 및 지회의 조직 체계를 활성화하여 경로당 운영에 필요한 정보제공과 자문, 지도가 활발하게 수행 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중단기적으로는 개관되는 노인복지회관에서 단위 경로당에서 실시할 수 없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하며, 노인복지회관이 지역 내 경로당의 상위 서비스 전달체계로서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한다. 장기적으로는 사회복지 사무소의 설치, 운영에 맞춰 경로당의 운영관련 업무를 점진적으로 지역 사회복지 사무소의 노인 복지과와 연계시키도록 한다. 이외에 경로당 사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있어서 필수 불가결한 전문인력의 확보 방안으로는 사회복지사무소가 전국적으로 설치, 운영하기 전까지는 우선 지방자치 단체에서 노인복지 상담원을 적극적으로 배치, 활용해 나가도록 하며, 또한 노인복지회관에 전문인력을 배치하여 지역 내 경로당 운영에 필요한 자문과 지도 업무를 담당하게 하는 방안이 모색 될 수 있다. 다섯째, 지역사회와의 유대를 증진시키기 위하여서는 지역주민의 경로당 사업에의 참여유도와 동시에 경로당이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 또한 모색되어야 한다. 먼저 지역주민이 경로당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급식 원조, 거동불편 노인을 위한 교통편의 서비스 제공 등과 같은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과 경로당 후원회 및 운영위원회에 참여하여 재정적, 행정적 지원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경로당 재정치원을 위한 공동모금, 경로당 이용 불우 노인과의 결연 후원 사업 등을 통하여 경로당을 후원하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한편 경로당에서는 지역사회의 아동,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실시, 지역주민을 위한 경로당 시설의 편의제공, 지역사회 봉사 활동 등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를 고취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여섯째, 현실적으로 지금의 정부 지원은 시설의 유지에 전부 소모되고 있는 형편이며 경로당 프로그램을 위한 경제적 여력은 전무한 상태이므로 1개소당 월 5만 원과 연 20만 원의 연료비를 지원하여 최소한의 정부 지원을 현실화하여야하며 지원체계도 경로당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효율적으로 차등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제 우리나라도 고령화 사회가 안겨준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분야에서 고령자들을 중심대상으로 한 과학적이고, 제도적 장치와 합리적인 정책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우리 나라 노인들에게 있어 경로당의 위치도 더욱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어,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경로당의 수와 이용 노인의 꾸준한 증가로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경로당은 노인들의 여가 시설로써 더 이상 간과되거나 무관심의 대상으로 남아 있어서는 결코 안될 정도로 중요한 위치에 서 있는 것이다. 이제 고령화 사회의 진입을 맞이한 현시점에서 노인은 사회의 가치 없는 사람으로 머물러 있었서는 안 될 것이다. 즉 황혼의 노년기를 무위의 기간으로 사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자아를 재발견하고, 재편성하여 새로운 인생행로의 시작으로 자신에게 적절한 역할(가정 및 사회)을 찾아 살아간다면, 노년기의 여가 시간은 매우 의미 있는 삶을 재조명할 것이며, 노인은 자신의 권리와 주체성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경로당 또한 노인들 자신을 위한 시설임을 상기하고, 시설의 운영책임자나 그곳을 이용하는 노인들 스스로가 시설활성화를 위해서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만 할 것이며, 노인들은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으면서 국가나 사회가 해주기만을 바라는 자세를 지니고 있는 한 경로당 활성화는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전인적 사회복지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 구산후생학교를 중심으로

        김정환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상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1956년 설립된 한국 최초의 사회사업전문여성학교인 구산후생학교가 지닌 전인적 사회복지교육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이 오늘날의 사회복지, 특히 가톨릭 사회복지 교육에 지닌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산후생학교 교육과정이 졸업생들에게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1950년대 후반 한국 사회복지교육계의 상황과 구산후생학교의 상황을 정리했다. 이어서, 구산후생학교 졸업생들의 생생한 증언을 얻기 위하여 인터뷰 대상자 10명을 선정하여 반구조화된 심층 인터뷰를 한 후에 녹음한 인터뷰를 사례연구로 분석했다. 질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7가지 범주는 다음과 같다. ‘자신의 참 행복 추구인 나 하나의 세계’, ‘도움이 필요한 사람과 함께 살고 돕는 실습’, ‘클라이언트 중심의 실천을 찾아가는 실습’, ‘체험을 통한 재학 중 인식 변화’, ‘인간 존중’, ‘서로를 통한 성장’, ‘구산후생학교 교육의 내면화와 실천’이다. 사례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에서 바라본 구산후생학교 교육의 의의를 식별했다. 끝으로 구산후생학교 교육이 가지는 의미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그것이 가진 실천적 함의를 정리했다. 연구결과 사회복지교육에 제안하고 싶은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교육은 인간에 관한 근본가치와 인문학적 소양교육이 중요하다. 이론과 더불어 생활에서 그 가치를 체험하고 실천하는 것을 학생들에게 모범으로 보여줄 수 있는 역할 모델이 필요하다. 둘째, 현장실습이 이론중심에서 실천중심의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그로 인해 실습 시간이 특정 기간에 이루어지는 집중 실습이 아닌 전 교육과정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실천의 질을 높이기 위해 사회복지 기본가치와 현장 감각이 풍부한 슈퍼바이저(실습전담교수)가 배정되어 실습 동반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대학은 졸업생을 위한 추수교육(follow-up service)을 통해 사회복지사로서 소명의 기준점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지지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 IMF 경제위기 이후 기업복지재단의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연구

        곽대석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50703

        IMF 구제금융지원은 한국의 OECD가입을 무색하게 하였고, 경제적 상황의 악순환으로 인한 전 국민적인 혼란은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게 되었다. 개인뿐 아니라 기업과 국가자체도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기업은 목표설정을 생산력 향상과 이윤증대를 통한 경영효율화와 구조개선과 혁신을 통한 생존전략으로 변화하면서, 기업이 가지는 사회적 책임의 실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보다는 영리추구를 위한 경제적 활동이 더욱 많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기업복지재단의 운영은 기업의 이윤추구와 사회적 책임이라는 양분된 운영철학을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기업복지재단이 IMF 경제위기 전후인 1996년~1999년 기간 중 사회공현활동 변화에 대해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공헌활동 예산집행 및 활동영역을 파악한다. 둘째, 사회공헌활동 영역의 변화여부와 변화요인을 파악한다. 셋째, IMF 이후 새롭게 참여한 사회공헌활동을 파악한다. 넷째, IMF 이후 사회공헌활동 방향을 파악한다. 다섯째, 기타, 사회공헌활동의 평가. 소속된 재단에 관련된 일반적인 현상,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을 파악한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과 설문조사이다. 문헌고찰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알아보며, 기업재단의 사회공헌활동실태는 기업재단이 잘 활성화된 미국을 선택하여 살펴보았고, 우리 나라의 경우도 알아보았다.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IMF 경제위기 전후 기업복지재단의 사회공헌활동 실태를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은 기업복지재단 실무협의회에 소속된 21개 사회복지를 전문으로 하는 재단의 임직원이였고 설문조사 기간은 1999년 3월 24일부터 1999년 4월 3일까지 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MF 경제위기 이후 조사대상 기업복지재단의 사회공헌활동에 집행한 총예산의 규모가 1998년에는 119억8천2백만원으로서 평균(119억9천9백만원, 조사기간 중 1996년에서 1999년의 평균)이하로 감소되었으나, 1999년에는 평균 이상으로 회복되었다. 둘째, 사회공헌활동의 영역의 우선 순위 중요도가 교육/장학/학술 영역에서 사회복지/자원봉사 영역이 중요하다고 나타났으며, 이 분야에 대한 예산집행의 규모가 증가하였다. 셋째, 새롭게 참여한 사회공헌활동 영역으로는 실직자 쉼터, 노숙자 지원, 무료급식, 소년소녀 가장, 결식아동 무료급식 등과 같은 IMF 경제위기 이후에 새롭게 발생한 복지수요에 대한 거였다. 넷째, 기업복지재단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시민과 지역사회의 욕구와 기대가 크게 중가하고 있는데 비해서 기업복지재단은 조직과 인력을 감소하였고, 임직원들의 업무에 대한 만족도와 사기가 저하되었다. 1999년에는 사회공헌활동을 위한 예산의 규모가 증가했다고는 하지만, 새로운 복지수요는 상대적으로 더욱 크게 증가하고 구조화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복지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웅하기 위하여 사회복지를 전공으로 하는 대학이나 기관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활발한 토의가 요구된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기업 임직원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사회공헌활동은 기업과 사회가 모두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상생관계(Win-Win)로 발전하는 전략적인 새로운 패러다임의 정립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공헌활동은 복잡한 인간의 문제를 다루는 분야로서 문제해결방식이 상황에 따라 전문적, 지속적, 체계적인 접근과 다른 복지기관과의 협조체계가 필요하므로 사회복지 전문인력으로 조직과 인력을 구성해야 한다. 넷째, 정부에서는 기업들이 지역사회와 좋은 관계를 형성하고 지역사회문제의 해결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사회공헌활동에 필요한 지원을 하며, 법인의 기부금제도와 세법의 개정 등 각종 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IMF 경제위기와 같은 어려울 때라도 기업이 사회 공헌활동에 자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IMF bailout package put the Korea's entrance of OECD to shame, and overall turmoil came to emerge in various kinds of fields due to vicious cycle of economic depression. Corporate and government, as well as individual are faced with difficulties. As Corporate changed their objective to survival strategy through management effectiveness, restructuring and renova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productiveness and increase in profit, their economy activities to pursue profit took more parts than philanthropies to realize their social committment. Amid this situation, the operation of Corporate Foundation is meaningful in that this system is operated based on divided management philosophy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purse of profi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nges in philanthropies of Corporate Foundation during 1996-1999, after IMF economic crisis. Details on study are as follows: 1. Recognize the budget execution and activities areas of philanthropies. 2. Recognize whether the areas of philanthropies are changed and the factor of the change. 3. Recognize philanthropies that was newly entered after IMF crisis. 4. Recognize the direction for philanthropies after IMF crisis. 5. Others, evaluation on philanthropies, general phenomenon related to corporate foundation assigned, generals on respondent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are the two means for this study. First, theoretical background on corporate's philanthropies, social responsibility and roles of corporate were exami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Present status on philanthropies of corporate foundation was examined in case of USA where corporate foundation actively participate, as well as in case of Korea. Second, present status on philanthropies of corporate foundation, after IMF economic crisis, was examined through a survey and a visiting survey. Visiting survey was carried out along with survey with questionnaire. Surveyed period contained in questionnaire was decided from 1996 to 1999, and foundation year per each corporate foundation, in order to compare philanthropies of corporate foundation before and after IMF crisis. Questions were prepared to fit the objective of the study. Executives and staffs of 21 corporate foundation specializing in social welfare, among Working Conference of Corporate Foundation, were selected as respondents. Survey was taken from March 24, 1999 to April 3, 1999. Result of study through survey are found as follows: First, site of total budget executed for philanthropies of surveyed corporate foundation was 11,982,000,000 won in 1998, decrease below the average(11,999,000,000 won, average from 1996 to 1999 during survey period), however, it restored over the average in 1999. Second, priority in areas of philanthropies was given to education/scholarship/academics in the order named. The size of budget execution in these fields was increased. Third, demand of social welfare emerging after the IMF economic crisis such as resting house for unemployed, support of homeless, free meals, free meals for children householder, and undernourished children were newly entered areas of philanthropies. Fourth, organization and manpower of corporate foundation were decreased, compared with the increase of demand and expectation of communities and citizens on the philanthropies of corporate foundation. Satisfaction and morale of employee on the work were decreased. Even though the size of budget for philanthropies was increased in 1999, new demand for welfare showed comparatively high increase and became structuralized. To cope with this new demand of social welfare more effectively, active discussion for problem-solving at universities and institution majoring in social welfare is requested.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cognition on the philanthropies of corporate's executives and staff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rategic new paradigm toward win-win system from which corporate as well as society can get benefit. Thir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professional organization and manpower, as philanthropies are the area to handle complicated human problem so that problem solving should be approached professionally,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depending on case, with cooperation from other welfare institutions. Fourth, government should help corporate to form good relations with communities and support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solving problem in communities and support them with necessary resources for philanthropies. Also requested are the government efforts to help corporate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philanthropies through amendment on tax law and donation system, even in this hard times of IMF economic cri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