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ces in experiences and opinions on English proficiency improvement between English teachers and interpreters

        김민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9695

        영어를 원어민처럼 잘 말할 수 있다고 해서 영어를 잘 가르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요즘은 높은 영어숙련도를 갖추지 않고는 영어교사를 하기 힘든 상황이 되었다. 영어로 영어를 가르치는 TETE (Teach English Through English) 시행과 함께, 영어교사들의 영어숙련도를 높이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 이런 현실과는 대조적으로, 현직 교사들의 영어실력에 대한 불신과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그리고 영어교사들 자신도 이런 변화에 준비가 되어 있지 않고 걱정스럽게 생각한다는 연구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현직교사가 재교육을 받고, 예비교사가 교사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는 교육대학원이 이런 현직, 예비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부분을 교육과정에서 제공하고 있는가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현재 영어교사들의 영어숙련도를 높일 필요가 있지만, 현재 교육대학원에서는 이런 요구를 교육과정에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가정 하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가정이 맞는가를 증명하기 위해 교육대학원 영어교육과 졸업생 및 재학생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서 강조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부분과 교육과정에서 실제로 경험한 바를 묻는 설문을 실시했다. 경험과 생각한 것과의 차이점이 있다면, 그 간극을 줄여나가야 교육대학원이 변화하는 환경에서 실력을 갖춘 교원을 양성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교육대학원 학생 집단 내 비교와 더불어, 다른 대학원 교육과정과의 집단 간 비교도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대학원 입학부터 졸업까지 영어구사력을 더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졸업 후 현장에 투입이 되었을 때, 영어구사력을 갖춰야지만 활동할 수 있는 집단으로 통역대학원 한영통역과를 비교 대상으로 선정했다. 두 집단의 학제간 연구의 필요성은 문헌 분석을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았다. 설문 조사 결과, 교육대학원과 통역대학원 교육과정에서의 경험은 상이한 것으로 드러났다. 예를 들어, 실제 수업을 연습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기회가 실제 통역을 연습하고 피드백을 받을 기회보다 적었다. 좋은 퍼포먼스를 구성하는 요소나 피드백의 효용성 등에 관해서는 두 집단의 의견차가 거의 없었다. 단, 전공지식함양의 중요성에 대해 영어교사 집단이 통역사 집단보다 더 중요하다고 답했다. 결론적으로 영어교사나 교육대학원 재학생이 생각하는 바가 교육과정에서의 실제 경험으로 연결되지는 못했다. 단적이 예로 피드백을 받는 것이 실제 수업을 하는 역량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교육대학원 과정에서는 이런 기회가 많이 제공되지 못했다. 반면에 통역대학원 학생이나 통역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들과 실제 교육과정에서의 경험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실제 통역을 연습하고 피드백을 받는 것은 통역대학원 교육과정의 중요한 축을 차지하고 있다. 실제 시연기회와 피드백이 영어숙련도를 높인다는 사실은 출력 가설 (output hypothesis) 등의 외국어습득 이론으로 이미 증명된 바 있다. 따라서 현재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이 영어교사의 영어숙련도를 높이는데 있어서 개선되어야 한다는 본 연구의 가정은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언급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영어교사 교육과정에 그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실제 수업 기회와 피드백 기회가 더 많이 제공될 것을 권고하는 바이다.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전공 교과과정 분석연구

        박내경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95

        As more emphasis is laid on English and the position of English more heightens entering the age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accordingly there is increased interest in English education, and as recently policies of implementing English immersion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announced, it has become the actual state that interest in public English education is increasing more than any other time. Keeping pace with this increasing interest, teacher quality required for implementing English immersion education programs has become a rising subject of discussion, and voices for teacher cultivation and re-education are being heard everywhere. In order for public English-language education to be reinforced, first of all teacher professionalism should be enhanced, and in order to examine the professionalism, it is necessary to take a look at curricula in institutions for cultivating English teachers, and of those curricula, it is needed to consider curricula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also strategies employed in each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reinforcing public English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curriculum in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eacher education, and conducted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surveys on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articles, and ultimately laid its purpose on finding out strategies for qualitative improvement in curricular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the futur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which functions should be carried out by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ccording to occupations, teaching systems in schools, the presence and absence of a teacher license,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ctual teachers, the response of continuing education and re-education for enhancing teacher quality was 65.3% showing the relatively higher rate than in other occupations, and instructors indicated the specialization of educational functions for various education consumers as a needed function as 55.6%.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on functions which should be carried out by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s. In addition, persons with a teacher license indicated continuing education and re-education as a function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current teachers as 62.8%, and persons without a teacher license indicated educating teachers as educational institutions as a function for cultivating teachers as 42.1%. Second, as a result of taking a look at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for English education, as subjects considered as possibly (certainly) being a help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in the case of schools implementing teacher cultivation programs and persons with a teacher license, the area of English skills was mostly considered as helpful, while in the case of persons without a teacher license and schools implementing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e area of English education was mostly considered as helpful. On the other hand, as subjects possibly (certainly) not being a help, the area of English-American literature was mostly indicated, showing the result similar to the finding by Jeong Gyeong-ah (1995). Accordingly, we could understand that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English-American literature in a practical way and then link it to actual educational settings. In addition, it is one of desirable methods to deal with subjects of English subject education and English skills and also those should be linked to curricular for middle and high school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eaching methods for English education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most generally employed teaching methods was lecturing (59.4%), while not showing big differences according to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s the generally used teaching means, blackboards were indicated mostly (52.6%). The response of the blackboard showed more in the case of providing teacher cultivation programs rather than in the case of providing teacher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and in the case of the latter rather than the former, the use of other means was indicated more. In schools cultivating teachers, effective lecturing was practiced in order to help acquire a teacher license, while in schools giving re-education for such as teachers, other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lecturing were more practiced. However, various methods fit to the research areas of professors and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hould be applied to class activities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should be sought, so that student-lead class activities could be designed and carried flexibl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English education, as what is needed to be improved most within the English curriculum, it is indicated by majority of respondents irrespective of group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improved systematic English curriculum by study areas is required most. As what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English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was indicated, and what should be given priority for the development of English education is also to develop English education programs. Beside existing subjects, one should develop other application subjects required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open related courses, and thereby reinforce teacher professionalism for vitalizing public English education. The quality of education depends on the quality of teachers, and good education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quality teachers. Especially, in the education of foreign language such as English, the quality of teachers would be important more than anything. In light of this, Educating teacher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task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order for these teachers to improve professionalism, educational efforts should be given to the system of teacher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teacher cultivation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also in order for English teacher education in these schools to be fit to English education according to policies of reinforcing public education, continuous efforts and countermeasures should be made.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들어서면서 영어의 비중이 높아지고 영어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자연히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었으며 근래에는 몰입식 영어 교육의 시행에 대한 정책들이 발표되면서 그 어느 때보다 영어 공교육 강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심의 연장선에서 몰입식 영어교육 시행에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 할 교사자질 문제가 거론되며 교사양성, 교사 재교육에 관한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영어 공교육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우선 교사의 전문성이 무엇보다도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전문성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영어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며 그 중에서도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대해 고찰해보고 각 교육대학원이 지니고 있는 공교육 강화 방안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교육을 위한 각 교육기관의 영어교육 교과과정을 살펴보고, 논문의 주제 및 내용을 문헌과 설문을 통해 조사, 분석 하였으며, 향후 교육대학원 교과과정의 질적인 향상을 이루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차이를 살펴본 결과, 앞으로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할 기능에 대한 차이로 직업, 학교 수업 체계, 교사 자격 증 취득 유무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교사의 경우 현직 교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계속 교육, 재교육이라는 응답이 65.3%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타 직업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강사는 다양한 교육 수요자를 위한 차별성 있는 교육 기능의 분화라는 응답이 55.6%로 높게 나타났다. 대상에 따라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할 기능에 대해 상반된 의견이 나타났다. 더불어 교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 역시 현직 교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계속 교육, 재교육이라는 응답이 62.8%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 자격증이 없는 경우 교원 양성기관으로서 예비 교사 교육이라는 응답이 42.1%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어 교육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실제 교육현장에서 가장 도움이 될 것 같은(되는) 과목으로 교원 양성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와 교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는 영어 기능 분야가 가장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난 반면, 교사 자격증이 없는 경우와 교원 계속 실시를 하는 학교인 경우 영어 교육 분야가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도움이 되지 않는(않을 것 같은) 과목으로는 영미 문학 분야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정경아(1995)의 결과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미 문학과목을 실용성 있게 다뤄, 실제 교육 현장과 연관성 있게 반영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영어 교과 교육이나, 영어 기능에 대한 교과목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것도 좋은 방법 중에 하나이며, 중, 고등학교의 교육 과정과 연관성 있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육대학원 영어 교육 교수 방법에 대해 살펴본 결과 일반적으로 주로 이용되는 교수법은 강의법이 5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로 활용하는 교수 매체로는 칠판이 5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원 양성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 교수 매체로 칠판이라는 응답이 교원 계속 실시하는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교원 계속 실시하는 경우는 기타 매체를 이용한다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교원 양성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교원을 양성하기 위한 경우는 교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 효율적인 강의법을 주로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현재 교사 등의 재교육을 실시하는 교원 계속 실시의 경우는 강의법 외의 다른 교수법을 실시하는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수의 연구 분야와 교과과목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업이 진행하고, 다양한 교수방법을 모색하여 융통성 있는 학생 주체 수업을 운영하는 것이 앞으로는 더더욱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영어 교육 발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영어 교육과정 중 가장 필요한 개선점으로 분야별로 향상된 체계적인 영어 교육 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가장 필요한 개선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집단에 큰 관계없이 과반수이상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교육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영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가장 필요한 점으로 나타났으며, 영어 교육 발전을 위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은 영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가장 급선무이다. 기존의 교과과정 외에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필요시 되는 다른 응용과목들을 개발하고, 이를 개설하여 영어 공교육 활성화를 위해 교사의 전문성 강화해야 할 것이다. 교사의 질적 수준은 교육의 질을 좌우하며 좋은 교육이란 훌륭한 교사가 존재해야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영어와 같은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자질이란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교사교육의 문제는 교육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교육의 체계와 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이러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의 영어교사교육들이 공교육 강화 방안에 따른 영어교육에 적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과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속담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이효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외국어 학습의 궁극적인 목적은 원활한 의사소통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목표 언어 민족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한데, 문화란 그 사회 구성원의 사고와 행위 양식을 담고 있는 총체적인 개념으로 언어에는 그 언어가 속해 있는 사회의 문화가 잘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한국 문화에 대한 바른 이해를 통하여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삶의 방식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타국 문화와 한국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하여 상호 문화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게 한다. 본 논문은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화 교육의 다양한 학습 자료로 속담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렇게 특별히 속담을 이 논문의 고찰 대상으로 삼은 까닭은 어느 언어에서나 대체로 존재하며, 그 내용은 그 민족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내용을 장별로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속담이 갖는 가치에 비해 연구가 아직은 미진한 상태임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혔다. 제2장에서는 문화의 일반적 개념 및 언어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문화 교육을 위한 학습 자료로써 ‘속담’을 제시하였다. 속담은 짧은 문장 속에 민중의 전통적인 생활 습관, 의식 구조, 사회 구조, 가치관 등 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응축되어 있으므로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을 위한 자료로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즉 속담의 문화 교육적 특성과 기능을 알아보고 속담이 어떤 문화 교육적 가치를 갖는지에 대한 의의를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속담의 개념 및 특징을 살펴보고, 속담을 주제별로 분석하여 그 속에 한국 문화의 독특한 양상을 추출하여 정리해 보았다. 특히 한국 속담은 민중의 생활 문화의 정수를 포괄적으로 반영하고 있는데, 속담에 나타난 문화 교육적 요소를 ‘낙천적·숙명론적 인생관, 농경 생활 문화, 유교 문화, 불교와 샤머니즘 문화, 집단 문화’로 크게 나누어 살펴보았다. 즉 이 장에서는 속담이 담고 있는 문화 교육적 기반을 정리하였으며, 속담이 어떤 문화적 가치를 갖는지에 대한 의의를 구체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제4장에서는 3개의 대학(경희대, 연세대, 고려대) 부설기관에서 현재 쓰고 있는 중급과 고급 교재를 대상으로 속담 교육의 현황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제5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용 속담의 선정 방안을 검토하여 단계별로 교육용 속담을 선정하였다. 제5장에서는 한국 문화가 잘 반영된 속담을 어떻게 학습시킬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속담 교육을 위해서 앞서 선정한 교육용 속담을 포함한 단원을 구성하여 실제 속담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수업 모형은 크게 중급 단계와 고급 단계로 나누어서 ‘제시-설명-연습-활용-보충·심화’의 단계로 진행되며, 속담과 한국 문화가 연계되어 학습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만화나 비교적 실생활에서 많이 접하게 되는 신문, 드라마, 뉴스 등을 학습 자료로 활용하여 구성하였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속담을 통한 문화 교육의 의의를 발견하고, 이를 위한 교수 학습 모형을 마련하였다는 데 있다. 이렇게 실제 자료를 이용한 수업은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의욕을 증진시키며 자연스럽게 속담을 통해 한국 문화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초급 단계 학습자를 위한 모형을 제시하지 않은 점과 각 단계의 구체적인 목표와 내용을 설정하지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는 연구를 앞으로의 과제로 남긴다.

      • 사립대학교 대학원 행정조직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중심으로

        유춘상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study focuses on presenting improvement plans for effective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problem of private university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structures, also aiming at the smooth operating universities' businesses. This study analyzes the following, in terms of the conditions and operations of the private university's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1) Analysis of the state of the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2) Analysis of the results of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mprovement. (3) Comparison and analysis of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business contents. (4) Analysis of innovation plans of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business. (5) Presentation of plans of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focusing 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UFS) Graduate School. For your information, the methodology includ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comparison and analysis of graduate school outlines, organizations, articles of incorporation, school regulations and self-evaluation reports of four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Korea, as well as unofficial interviews with staff members working at those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Research shows that most graduate schools consist of a dean, assistant dean, general manager in academic affairs, assistant manager in educational and academic affairs and staff members. Graduate school "c," however, appoints only a dean, and it operates administrative affairs by integrating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2) All graduate schools reorganized their graduate schools, overhauled office organization and innovated the administrative systems to improve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ir graduate school. (3) Analysis of the administrative business contents shows a trend: that graduate schools are being reorganized from main-office oriented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to college- and department-oriente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lso, graduate schools are decentralizing power through daring reorganization. (4) Analysis of the innovation plans of the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business shows that all graduate schools have simplified and computerized their administration contents and are endeavoring to innovate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business by improving testing systems, thesis examination systems and computerization of data, among others. (5) The operations improvement plan of HUFS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s as follows: The HUFS graduate school office employs five staff members who handle the business of the main office first, and as a result, cannot offer high-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s to graduate-school students because of their excessive workload. In order for graduate schools to operate more effectively, plans for organizational improvement follow: (1) It is necessary to decentralize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Specialization and greater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business is possible by decentralizing administrative duties that are now handled by the graduate school office. This can be accomplished by allocating various duties to related departments such as college departments, the general affairs section, and the accounting section, among others. (2) Administration with responsibility is necessary. For this, we should have staff members handle their business independently. For smooth operations of the graduate school administration, we need to encourage more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by giving the staff members independent administrative business allocated clearly in responsibilities and duties. Administrative staff members should strive to improve their business and administrative skills, as well as their specialty, so as to offer high-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 to graduate school students. (3) There should be integration of the administrative departments of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Administrative efficiency can be boosted by integrating the business of related colleges and departments that are presently being handled by the graduate school office, focusing on the main office. This will reduce the number of staff members and save on costs. Finally, I hope that plans presented in this study of private university graduate school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will prove somewhat helpful in improving graduate schoo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 단기해외봉사활동 한국 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 : 캄보디아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혜민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d develop Korean 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in Cambodian University through the Short-term Volunteer Activity Programs. Chapter 1 introdu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brief history and the necessity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for students in Cambodian University. Chapter 2 generally describes the present situation of Short-term Volunteer Activity and Korean education of Cambodia Universities. Chapter 3 shows the survey of the necessity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Cambodia. Research producers and subjects on needs analysis are provided, then the written questionnaire are followed. On describing questionnaire, the procedure, content and analysis tool for the data are mentioned in detail. Chapter 4 analyzes the survey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program through Short-term Volunteer Activity. The questionnaire analysis has several variables. It is categorized into two groups by sex, grade, major, Korean teaching experience, a purpose of Korean study, ect. The necessity of the curriculum and the differences of nees between groups are also described. Chapter 5 analyzes the statistic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ith students in Cambodian University. I suggest the new desired Korean 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 Chapter 6 summarizes this study and the suggested new curriculum based on this analytic results, and provides with the limit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 of a following study.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students in Cambodian University through Short-term Volunteer Activity Programs. It can also contribute to Korean 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local educational situation.

      • 영어회화 교과서와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듣기문항 유형 비교

        이정민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문 개요 국제화 시대에 국제어로서의 영어의 위상과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시대적 변화에 따라 우리의 영어교육도 문법위주의 언어지식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교육목표로 하는 의사소통중심 교육과정으로 바뀌었다. 인간의 의사소통 활동의 일차적인 형태인 듣고 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언어소통능력 신장시키기 위해서 제작된 검인정 영어회화 교과서들에서 평가하고 있는 듣기문항들이 교육과정에 명시된 목표를 제대로 구현하고 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편 교육과정상에 영어교육목표가 의사소통능력에 신장이라고 명시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은 입시위주의 수업을 받으며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고득점을 영어학습목표로 삼고 영어학습에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의 구현체이며 학교교육의 기본 교재인 교과서의 평가문항들과 고등학생들의 현실적인 목표인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문항들 사이의 연계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교육과정이 고등학교 영어교육에 적용되면서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의 출제범위가 종전의 공통영어수준에서 심화선택과목으로 심화․확대되어 그 출제범위에 포함된 영어회화 교과서의 듣기문항 유형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의 듣기․말하기문항 유형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영어회화 교과목은 음성언어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의사소통능력의 성취여부를 측정하기 위해서 의사소통의 기본 요소인 듣고 말하는 능력을 동시에 평가하여야 하나 일선 학교에서는 현실적인 이유로 음성언어소통능력의 기본능력 중 한쪽 능력인 듣기이해능력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역시 금전 및 시간적 이유로 학생들의 음성영어구사력을 직접 평가하지 못하고 듣기문항 형식의 간접적인 말하기 평가를 포함한 듣기이해력을 평가하고 있다. 이런 현실적인 이유를 고려하여, 교육과정의 구현체인 영어회화 교과서와 학생들의 현실적인 목표가 되고 있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이 듣기문항 유형에 있어서 서로 연계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검인정 8종 영어회화 교과서의 듣기문항 유형분포에 있어서 서로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난 후,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듣기․말하기 문항들이 최근 5년간 그 유형분포 상에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나서 검인정 8종 영어회화 교과서의 듣기문항들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의 듣기․말하기 문항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영어회화 교과서로 교수․학습하는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회화 교과서의 유용성과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검인정 8종 영어회화 교과서의 듣기문항들과 2001학년도부터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의 듣기․말하기문항 유형분포를 분석하기 위해서 국립교육평가원(1997)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4)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매뉴얼을 참고하여 듣기문항 유형 분석 기준을 만들었고 그 문항유형 분석 결과와 교사와 학생 대상의 영어회화 교과서설문조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회화 교과서간의 듣기문항 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듣기문항의 유형을 크게 기초언어능력과 언어사용능력으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음운규칙, 어휘, 통사규칙, 담화규칙,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종합적 이해, 이해 및 적용, 적용의 9가지로 분류하였다. 교과서의 듣기문항 유형 분석 결과, 기초언어능력과 언어사용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의 빈도수에 있어서 8종 교과서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8종 영어회화 교과서의 문항 유형분포에 있어서 서로 차이가 있다는 것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동일한 교육목표와 내용을 교과서들이 제대로 충실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것을 보여준다고 해석할 수 있고 이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목표가 구체적이지 못하고 추상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상의 목표와 내용을 제대로 반영하는 검인정 교과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며 교재 제작자들은 이 목표와 내용을 최대한 충실히 따라야 할 것이다. 둘째, 2001학년도부터 2005학년도까지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듣기․말하기 영역을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종합적 이해, 이해 및 적용, 적용으로 세분화하여 지난 5년간 출제된 행동영역별 듣기문항의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 사실적 이해영역의 문항 수는 전체 문항수의 38.82%를 차지하였고, 말하기의 간접적인 평가인 적용영역의 문제는 23.53%, 화자의 심정, 대화나 담화의 목적과 주제를 찾는 종합적 이해력을 요구하는 문항 비율은 18.82%였다. 추론적 이해력을 측정하는 문항의 비율은 전체 문항의 11.76%이고, 이해 및 적용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은 7.06%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문항 비율 조사결과에서 나타나듯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가장 단순한 이해력을 측정하는 사실적 이해영역의 문항수가 너무 많이 출제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사소통능력측정은 단순한 사실적 이해력 평가만으로 부족하므로 제7차 외국어(영어)과 교육과정 목표, 내용 및 수준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추론적 이해나 종합적 이해 등 고차원의 사고능력을 요하는 문항의 수가 더 많이 출제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수학능력시험 듣기․말하기 영역이라고 명시하고는 있지만 말하기 영역에 해당하는 적용영역의 비중이 너무 낮다고 판단되어 진다. 다음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2001학년도부터 2005학년도까지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듣기․말하기 문항간의 상관계수가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상관계수는 최고 .954(’03-’04), 최저 .714(’01-’05)로 지난 5년간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듣기․말하기 문항 유형이 상당히 유사하게 출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듣기․말하기 영역의 문항들이 정형화되어 있음이 드러났다. 셋째, 대학수학능력시험 듣기․말하기 문항 유형과 검인정 8종 영어회화 교과서 문항 유형간의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교과서는 현대출판사의 영어회화 교과서로 상관계수가 .900이다. ‘화자와 청자관계’를 추론하는 문항을 제외한 11개 유형의 문항이 교과서에 포함되어 있었다. 반면에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 유형과 비교해서 가장 이질적인 교과서는 민중서림의 영어회화 교과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민중서림간의 상관계수는 .343으로 문항 유형 분포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드러냈다. 교과서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듣기문항유형에 대한 상관계수가 교과서 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일선 학교에서 어떤 출판사의 교과서를 선정하느냐에 따라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준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회화 교과서는 일차적으로 영어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충실히 반영하여야 하고, 또한 가급적이면 학생들의 현실적인 목표인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고득점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영어회화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4개교의 교사 22명과 고등학교 2, 3학년생 223명이고 응답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는 3개 출판사-능률영어사, 지학사, 천재교육-이었다. 교과서 난이도에 대해 학생집단이 교사집단보다는 교과서의 난이도가 더 높다고 응답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57%의 학생과 81%의 교사가 교과서의 난이도가 ‘낮다’ 또는 ‘매우 낮다’라고 응답했다. 즉 영어회화 교과서의 난이도가 낮아서 학생들의 학습의욕을 떨어뜨릴 수 있고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을 지루하게 만들 수 있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교재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묻는 문항에는 18%의 학생과 9%의 교사만이 현재 교수․학습하는 교과서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극소수의 학생과 교사가 현재 수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에 대해 만족하고 대부분의 학생과 교사 모두 현재 사용하는 교재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영어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교과서 제작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좀더 구체적으로 진술되어서 교재 제작자들 마다 다른 해석을 하지 않고 검인정 교과서 간에 서로 상관관계가 높은 교과서를 만들고, 교재와 교사와 함께 교육의 3대 요소인 학습자들의 요구에 적합한 교재를 제작하는데 본 연구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를 바란다. 우리나라처럼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환경에서는 영어학습에 있어서 교과서는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본 연구가 최적의 교과서를 선정․지도해야 하는 교사들에게 교과서 선택과 활용에 도움을 주고, 교과서 제작자들에게는 더 나은 교과서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The Comparison of Listening Question Types in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and CSAT Lee, Jung-min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listening comprehension question types in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in comparison with those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Both high school textbooks and CSAT ar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whose the objective is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ies in English. In reality, howeve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ain goal of English learning is to achieve as high grade as they can in the college entrance exam, that is CS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whether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contain the same types of listening questions as CSAT and how much learners and teachers find satisfaction in their textbooks of the English Conversation course at school. This thesis has two parts: the comparison of the listening question types in 8 authorized textbooks and those in CSAT and the analysis of survey data on textbook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223 high school students and 22 Korean English Conversation course teachers in Kyonggi province. The finding of the comparison of the question types shows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CSAT - 8 authorized textbooks are quite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e most homogeneous textbook in terms of the listening question types in comparison with CSAT is the textbook published by Hyundai publishing compan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SAT - Hyundai publishing company is .900. Hyundai deals with all types of CSAT listening comprehension questions, except one. Meanwhile, Minjung Press turns out to be the most heterogeneous textbook.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SAT - Minjung Press is merely .343. As for the data on the satisfaction with textbooks, three out of 8 authorized textbooks were evaluat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this research. They includes textbooks published by Neungnyul, Jihaksa, and Cheonjae Education. The survey reveals that those three textbooks satisfy neither Korean English language teachers nor learners. Only 18% of the students and 9% of the teachers are in favor of their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level of the books between the two subject groups, teachers and students. Over 57% of the students and 81% of the teachers found that the level of their textbooks are rather low for the learners. That means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are not challenging enough to the high school students. As far as the content of listening activities in the books are concerned, no more than 10.8% of the learners and 18.2% of the teachers thought the content of the activities were fun and well-organized. In conclusion, both teachers and students have a negative opinion of their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The lack of interesting content and topic, the amount of learning per lesson, tedious listening activities and the low degree of difficulty in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failed to make the users feel content with their English Conversation course books . In EFL environment, materials play a significant role i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Good and qualified textbooks should be the ones which fulfill learners and teachers' need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a slightest idea and helpful tips to textbook designers as well as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course teachers who design or select the course books. The Comparison of Listening Question Types in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and CSAT Lee, Jung-min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listening comprehension question types in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in comparison with those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Both high school textbooks and CSAT ar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whose the objective is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ies in English. In reality, howeve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ain goal of English learning is to achieve as high grade as they can in the college entrance exam, that is CS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whether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contain the same types of listening questions as CSAT and how much learners and teachers find satisfaction in their textbooks of the English Conversation course at school. This thesis has two parts: the comparison of the listening question types in 8 authorized textbooks and those in CSAT and the analysis of survey data on textbook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223 high school students and 22 Korean English Conversation course teachers in Kyonggi province. The finding of the comparison of the question types shows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CSAT - 8 authorized textbooks are quite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e most homogeneous textbook in terms of the listening question types in comparison with CSAT is the textbook published by Hyundai publishing compan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SAT - Hyundai publishing company is .900. Hyundai deals with all types of CSAT listening comprehension questions, except one. Meanwhile, Minjung Press turns out to be the most heterogeneous textbook.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SAT - Minjung Press is merely .343. As for the data on the satisfaction with textbooks, three out of 8 authorized textbooks were evaluat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this research. They includes textbooks published by Neungnyul, Jihaksa, and Cheonjae Education. The survey reveals that those three textbooks satisfy neither Korean English language teachers nor learners. Only 18% of the students and 9% of the teachers are in favor of their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level of the books between the two subject groups, teachers and students. Over 57% of the students and 81% of the teachers found that the level of their textbooks are rather low for the learners. That means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are not challenging enough to the high school students. As far as the content of listening activities in the books are concerned, no more than 10.8% of the learners and 18.2% of the teachers thought the content of the activities were fun and well-organized. In conclusion, both teachers and students have a negative opinion of their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The lack of interesting content and topic, the amount of learning per lesson, tedious listening activities and the low degree of difficulty in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failed to make the users feel content with their English Conversation course books . In EFL environment, materials play a significant role i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Good and qualified textbooks should be the ones which fulfill learners and teachers' need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a slightest idea and helpful tips to textbook designers as well as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course teachers who design or select the course books.

      •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속담 연구 : 한ㆍ영 속담 비교를 중심으로

        정혜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9679

        외국어 학습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최후의 목표는 원활한 상호의사소통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문화란 지식․신망․예술․도덕․법률․관습 등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획득한 능력 또는 습관의 총체적인 개념이다. 문화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하지만 그 중에서 한 나라의 언어가 그 사회의 문화를 잘 반영한다. 또한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는 한국 문화의 이해를 위한 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한국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삶의 방식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영미 문화와 한국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하여 상호 문화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게 한다. 본 논문은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방법으로 한국어 교육의 다양한 학습 자료 중 속담을 이용한 교육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렇게 특별히 속담을 이 논문의 고찰 대상으로 삼은 까닭은 속담은 어느 언어에서나 대부분 존재하며, 속담의 내용은 그 민족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내용을 장별로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한·영 속담 비교를 이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가 미진한 상태임을 확인하고,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논문을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속담의 개념 및 특징과 속담의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속담이 가지고 있는 문화 교육적 특성과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속담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속담은 짧은 문장 속에 민중의 전통적인 생활 습관, 의식 구조, 사회 구조, 가치관 등 민족의 역사와 문화가 응축되어 있으므로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자료로서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즉 속담의 문화 교육적 특성과 기능을 알아보고 속담이 어떤 문화 교육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6개의 대학(경희대, 고려대, 서울대, 선문대, 성균관대, 연세대) 부설기관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중급·고급 교재를 중심으로 속담 교육의 현황 및 특징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한국 문화와 영미 문화의 차이점을 문화 요소와 의식구조의 차이에 따라 분류하였다. 한국 문화는 집단주의 문화, 계층주의 문화, 형식주의 문화, 감성주의 문화, 유교문화, 농경문화와 같이 6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영미 문화는 개인주의 문화, 평등주의 문화, 실용주의 문화, 이성주의 문화, 기독교 문화, 유목․상업 문화로 구분하였다. 분류된 문화별로 제3장에서 조사 분석된 한국어 교재에서 사용된 속담들 및 선행연구에서 조사한 속담들을 문화별로 정리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4장에서 정리된 속담들을 이용하여 한국어 교육용 속담의 선정 방안을 검토하여 단계별로 교육용 속담을 선정하였다. 수업 모형은 크게 중급 단계와 고급 단계로 나누어 ‘제시-설명-연습-활용-보충․심화’ 로 제시하였으며, 속담과 한국 문화가 연계되어 학습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마지막 제6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과 한계점을 정리하였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한국 문화와 영미 문화의 차이점을 고려하여 6개의 문화로 구분하고 문화별로 한·영 속담을 정리한 것이다. 또한 정리된 한·영 속담을 중급과 고급 단계로 나누어 학습모형을 개발한 점이다.

      • 영어 및 한국어 쓰기불안이 한국인 대학원생들의 영어쓰기수행에 미치는 영향

        정다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영어 및 한국어 쓰기불안이 한국인 대학원생들의 영어쓰기수행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한국 대학원생들이 글을 쓸 때 경험하는 영어 쓰기불안과 한국어 쓰기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이 두 언어불안이 외국어 쓰기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외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모국어)쓰기불안과 영어(외국어)쓰기불안 간의 상관관계는 있는가? 둘째, 한국어(모국어)쓰기불안과 영어(외국어)쓰기불안은 각각 영어(외국어)쓰기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쓰기불안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들인 낮은 자기효능감, 평가에 대한 두려움, 쓰기에 대한 거부감 등이 쓰기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에 있는 H대학교 교육대학교에서 영어 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47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들 가운데 두 강좌의 영어 글쓰기 수업을 동일하게 수강하는 학생 2명과 실험참여에 기권하는 학생 4명을 제외시키고 최종적으로 41명의 연구대상자 자료를 본 연구의 표본으로 삼아서 실험자료로 이용하였다. 먼저, 연구자가 본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자 하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에 대하여 피험자들에게 설명을 하고 난 후, 피험자들은 30분 동안 해당 주제(“인생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최고였던) 경험에 대하여 서술하시오”)에 대한 영어쓰기를 실시하였다. 영어쓰기를 마치고 난 후, 15분 동안 Daly와 Miller(1975)의 쓰기불안 측정도구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 및 영어 쓰기불안 측정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영어와 한국어 쓰기불안검사를 실시하고, 본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을 파악하고자 배경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본 논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대학원생들이 글을 쓸 때 경험하는 한국어 쓰기불안과 영어 쓰기불안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둘째, 한국어 쓰기불안과 영어 쓰기불안 모두 학습자들의 영어쓰기수행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영어쓰기수행을 설명하는데 두 언어불안은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다. 셋째, 쓰기불안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인 낮은 자기효능감, 쓰기에 대한 거부감, 평가에 대한 불안감 중에 낮은 자기효능감이라는 요인은 학습자의 영어 쓰기수행을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쓰기에 대한 거부감이과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학습자들의 영어쓰기 수행을 설명하는 요인으로는 미비하다는 결과가 도출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EFL이나 ESL학생들을 위하여 영어쓰기지도교사들에게 더 나은 영어쓰기지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한국어(모국어) 쓰기불안과 영어(외국어) 쓰기불안 간에 유의미한 상관간계가 존재함으로 교사는 영어쓰기 지도 시, 학습자의 영어(외국어) 쓰기불안을 낮추기 위해서 먼저 학습자의 한국어(모국어)어 쓰기불안을 낮추게 된다면 그들이 영어(외국어)로 글을 쓸 때 부정적인 감정을 덜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해 준다. 둘째, 한국어(모국어)쓰기불안과 영어(외국어)쓰기 불안은 학습자들의 영어로 글을 쓰는 수행에 영향을 줌으로 학습자에게 영어쓰기 지도 시, 영어(외국어/제2언어) 쓰기교수자는 한국어(제1언어)쓰기교수자와 협력적인 교수방법을 통하여 먼저 학습자들의 제 1언어 쓰기불안을 감소시킨다면 그들의 제2언어 쓰기불안감 또한 감소되면서 영어로 글을 쓸 때 부정적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셋째, 두 언어 쓰기불안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인 낮은 자기효능감, 쓰기에 대한 거부감, 평가에 대한 불안감 중 낮은 자기효능감이 학습자들의 외국어쓰기 수행 시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으로, 외국어 쓰기지도 교수자는 학습자들에게 외국어로 글을 쓸 때 높은 자기효능감을 갖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즉, 외국어로 글을 쓰는 것에 대한 성공적인 경험을 많이 부여해주고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쓰기과제를 제시하고 긍정적인 피드백과 함께 약점을 보완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도록 도와주면 한국어나 영어로 글을 쓸 때 긍정적인 수행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