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탐색

        조인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탐색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의 삶을 이해하고 진로의 제약 문제들의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대학원 졸업생 중 임용고사를 준비 중인 준비생 2명, 임용고사를 합격한 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 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들이 임용고사 준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실기수업 부재’, ‘교육과정 혼재’, ‘심리적 불안감’으로 범주화 되었다.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실기수업이 부족하여 2차 실기시험을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재교육과 교사양성교육의 교육과정 혼재로 인해 교사재교육에 관련된 수업을 듣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을 통해서 임용고사에 관련된 내용을 보충하고 있었다. 또한 인터넷 강의와 사설학원 등록비와 학부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나이로 인해 심리적인 불안감을 격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어려움은 교육대학원생 개인적인 수준에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체육교육전공 교육대학원생이 임용고사를 준비하는데 경험하는 어려움의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의 교육과정에 실기교육과정 추가와 교사양성과정과 교사재교육의 분리하여 운영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life of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preparing alternatives career constraint issues through thi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2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nd 2 teachers who passed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of the graduate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data through an inductive analysis of categories. I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the process to prepare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were categorized as 'absence of practice classes', ‘the mixture of curriculums’, and‘psychological anxiety.’Lack of practice classes in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found that the subjec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second practical examination. The mixture of teachers' reeducation and education curriculums h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take classes related to teachers' reeducation and supplement contents related to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through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due to this. And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suffer psychological anxiety due to tuition fees of lectures on the internet and private institutes and their older age than undergraduates and have found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due to this. These difficulti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have found to have limits to be solved on an individual level of graduate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e addition of practice classes to curriculums for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separation and operation of teachers' education from their reeducation as plans to solv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who major in physical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le preparing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대학 기술이전 체계 개선방안 :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손영수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case of technology licensing transfer, such as patents and/or intellectual rights, from universities to industries has recently increased every year, but it hasn't been actively done yet except a few case in some universities. So far, it has been done only recently fo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o enforce the policies of technology licensing, and moreover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have enforced many different sorts of polici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officer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to facilitate in universities on doing their projects, since there are not enough practical case-oriented analyses data of the universities'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some useful practical information to policy makers and hands-on staffs in charge of technology licensing projects in universities. So, various data related to technology licensing systems, such as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labor forces in the related office, and their activities for 3 years (2006~2008) of other universities in Korea and those of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s the major source are reviewed, and some ideas are suggested how to improve their activities effectively. 대학의 지적재산인 신기술이나 특허 등이 산업체로 이전(이하 “기술이전”이라 함)되는 건수는 최근 들어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일부 대학을 제외하고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술이전에 관한 정부와 대학 자체의 정책이 시행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그 동안 정부와 대학은 기술이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으나, 이에 관한 사례 중심의 실증적 분석이 충분치 않아서 업무 담당자들이 기술이전을 촉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학에서 기술이전 업무를 담당하는 정책입안자와 실무자들에게 실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기술이전과 관련된 3년 동안(2006~2008)의 각종 자료들을 재정리하여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기술이전 전담부서의 조직 구조 및 인력, 제도에 대한 실증적 비교 􍾳 분석을 통하여 기술이전 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日本語敎育と敎科書硏究 : 일본어교육과 교과서연구

        김 성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抄錄) 日本語教科書에 대한 分析硏究는 敎育人的資源部에서 정한 “敎育課程”을 準用하고 있는 高等學校 日本語教科書에 集中되고 있다. 본 論文은 이러한 狀況을 直視하면서 日本語와 日本에 관한 一般的인 敎養의 習得을 目標로 하는 大學校 日本語敎養教科書 使用語彙의 バラツキ를 實證하고 語彙選定의 妥當性의 度合い를 明確히 하는 것을 目的으로 하고 있다. 지금 까지, 語彙分析에 있어서 先行硏究의 對象은 私立大學校의 日本語敎養教科書에 限定되어 있었지만, 본 論文는 2007年 現在 日本語 關聯學科가 設置되어 있는 國立 5個 大學校 즉, 慶北大學校(KB), 慶尙大學校(KS), 釜山大學校(PS), 全南大學校(CN), 全北大學校(CB)의 教養科目 『日本語Ⅰ』과 『日本語Ⅱ』를 對象으로 했다. 一般的으로 前者는 1學期, 後者는 2學期에 使用하는 敎科書를 意味한다.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는 高等學校 日本語敎科書와 달리 日本語 關聯學科의 敎授의 主觀的인 觀點에서 執筆한 敎材나 特定 出版社가 製作한 敎材를 그대로 敎科書로 使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使用語彙의 選定基準이 없기 때문에, 語彙分析의 基準으로 삼을 만한 根據가 없다. 따라서, 본 論文에서는 2007年3月 敎育人的資源部가 第7次 敎育課程을 修整・補完한 『2007年 改訂敎育課程』의 基本語彙1,023字를 語彙分析의 基準으로 設定하여,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의 使用語彙와 함께 名詞, 動詞, 形容詞, 形容動詞, 副詞, 連體詞, 接續詞, 感動詞, 助動詞, 助詞, 連語, 接頭語, 接尾語 등의 13品詞로 分類한 後, 兩者의 語彙를 總語彙一致數와 總語彙一致率, 品詞別一致數와 品詞別一致率, 換算品詞別一致率과 偏差値, 種數別共通語彙數와 種數別共通語彙率 側面에서 各各 比較分析하였다. 以下 본 硏究을 통해서 얻은 結果를 敍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総語彙一致數에서 얻은 総語彙一致率를 보면, 慶北大學校(KB)ー釜山大學校(PS)ー慶尙大學校(KS)ー全北大學校(CB)ー全南大學校(CN) 順이고, 各各의 數値는 「54.1%」「49.5%」「39%」「35.3%」「26.2%」이며, 平均的으로는「40.8%」程度이다. 이 結果는, 各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総語彙數에 따른 順序, 釜山大學校(PS)ー慶北大學校(KB)ー全北大學校(CB)ー慶尙大學校(KS)ー全南大學校(CN)와는 一致하지 않는다. 이것은 各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総語彙数와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와의 一致語彙數는 반드시 比例하지 않는다는 것을 意味한다. 즉, 教養教科書의 使用語彙數가 많다고 해서 改訂教育課程의 基本語彙와의 一致語彙數가 많아 진다고는 断定할 수 없는 것이다. 다음으로, 品詞別一致數로 얻은 品詞別一致率을 보면,「名詞」「形容詞」「形容動詞」「副詞」「連体詞」「感動詞」「接頭語」「接尾語」의 8個 品詞에서는慶北大學校(KB),「動詞」「助動詞」「助詞」「連語」의 4個 品詞에서는 釜山大學校(PS)、「接続詞」에서는 慶尙大學校(KS)가 各各 가장 높은 一致率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結果를 基準으로 判斷하면, 総語彙一致數와 品詞別一致數는 대체로 比例한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品詞別偏差値の合計を基準으로, 가장 偏差値가 작은 것부터 順序대로 敍述하면, 慶北大學校(KB)ー全北大學校(CB)ー慶尙大學校(KS)ー全南大學校(CN)ー釜山大學校(PS)이고, 各各의 數値는「0%」「-0.1%」「0.2%」「-2.1%」「3%」가 된다. 이것은 総語彙一致率에 의한 妥当性에 따른 順序와는 전혀 一致하지 않으며, 특히, 釜山大學校(PS)의 경우, 総語彙一致率에 따른 順序에서는 2位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서는 最下位에 位置하고 있다. 이와 같은 現象은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品詞別構成比率에도 バラツキ가 存在하고 있다는 좋은 證據라 말할 수 있다. 또한, 平均偏差値을 보면,「接尾語」ー「動詞」ー「形容動詞」ー「助詞」ー「名詞」ー「感動詞」ー「副詞」ー「接続詞」ー「連体詞」ー「接頭語」ー「連語」ー「形容詞」ー「助動詞」順이며, 各各의 數値는 「-1.3」「+0.8」「-0.8」「+0.7」「-0.7」「-0.4」「+0.3」「+0.2」「-0.2」「+0.1」「-0.1」이 된다. 이것을 合計하면 플러스数値「+2.8%」, 마이너스数値「-2.9%」이고, 兩者의 差를 計算하면, 마이너스「-0.1%」로、基準數値「0%」에서 보면,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속의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의 採用程度가 各 品詞別側面에서도 여전히 마이너스傾向을 띄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種数別共通語數에 있어서는, 3種,4種,5種 語彙數는 적고, 2種과 1種 語彙數가 차지하는 比率이 3.5%로 半 以上이나 된다. 이 數値는, 가령, 種數別共通語率87.7%를 100%로 換算할 경우, 61%에 이르고, 3種,4種,5種 語彙數는 극히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結局, 各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 使用語彙에 バラツキ가 그 만큼 크다는 것을 意味한다. 以上과 같은 結果에서 国立 5個 大學校의 教養教科書 使用語彙는, 그 選定基準이 없기 때문에 使用語彙의 種類나 數에 있어서 큰 差가 생긴다는 것을 確認할 수 있었다. 이것은 國立 5個 大學校의 敎養敎科書는 使用語彙에 バラツキ가 큰 教材를 授業에 使用하고 있다는 것을 意味한다. 이와 같은 教材를 使用해서는 教養科目 本来의 目的에 適合한 授業은 期待하기 어렵기 때문에 教材의 改善이 시급히 要求되고 있다. 따라서, 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現況을 直視하고, 이와 같은 諸問題를 解決하기 위해서라도 第7次 改訂教育課程 基本語彙를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 使用語彙의 選定基準으로 삼는 것을 하나의 方案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以上과 같이, 大學校 日本語教養教科書의 語彙分析을 中心으로 多樣한 分析方法을 利用하여, 使用語彙의 バラツキ를 實證하고 語彙選定의 妥當性의 度合い를 明確히 하고자 努力하였다. 그러나, 본 論文의 對象을 벗어난 그 밖의 大學校 日本語敎養敎科書에 대한 보다 폭넓고 深度있는 分析硏究가 이루어질 必要가 있다고 思料되지만 이 部分은 今後의 課題로 남기고 싶다.

      • 초등학교 미술 현장학습과 연계한 경북대학교 박물관 셀프가이드 연구

        김아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A museum can be said to be a treasure house of educational resources and a field of history and culture class to awaken a viewer's intelligence and emotion and enhance the level of culture and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exhibition, a collection of art works and relics. Recently, the educational role of the museum tends to get bigger and the museum gets its function emphasized as a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 and cultural institution for all walks of people, and especially becomes a place of field study connected to school education. The strongest merit of museum field study lies in that students can see the works directly instead of seeing them only through subject illustrations, and the museum presents the environment of appreciation to understand the arts in a big context through ‥exhibition…. Therefore, the museum needs to grope for positive and diverse methods to reflect students' tastes and dispositions and induce their interest in developing the appreciation program and educational material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What is most important for the activation of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museum is to prepare and use the educational materials to induce an active participation in appreciating and understanding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Hence the museum requires 'a Self-guide' fitted for the students' eye level as an educational means placed in the museum for the service. The Self-guide plays the role to help the students themselves to become the study subjects, learn to be fitted for their own level and necessity and make a meaningful view in their field trips. The field trips using a Self-guide will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museum themselves and also make out the exhibitions and collections of the museum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 This student's problem awareness starts from here. Usually schools make field trips of the museum to get over the limitation of the appreciation activities in the school classrooms, but the museum and the schools have neglected the efforts for the systematic appreciative education. This student hereby intended to personally develop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for the students to express and criticize the reason of their favorite works through a field study and approach them closely. The Self-guide of this research is to help the students learn the museum and understand the appreciation widely and draw students' originative and creative ideas, and focus on their diverse activities with an active attitude to express ?E appreciate the works fully and evaluate themselves together with aesthetic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elf-guide aimed at analyzing the self-guide previously developed by the art gallery and the museum at diverse angles, complementing and differentiating insufficient parts in the museum appreciation activities, first of all, developing an integrating class to induce a creative idea and thinking as well as history study based on objective facts.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rgue the necessity of a Self-guide as an educational means to heighten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field trips and the appreciation effects thereon, design ?E develop the Self-guide of the museum of Kungpook National University with a high educational value as a district museum and find out a method of the use of the Self-guide. In addition, it intended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self-guide of the existing art gallery and museum and seek for the progressive direction of the self-guide to be developed in future. It also attempted to contribute to arousing viewers' interest and lifting the efficiency of the appreciative education of the museum through a fresh self-guide development needed in inducing a variety of activities in the museum field trips.

      • 대구경북지역 섬유산업의 우수기업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김원식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 논문은 지역 섬유업계의 우량기업군 정의를 내리고, 섬유기업의 경영전략과 시사점을 도출하여, “3단계 밀라노프로젝트”사업의 주요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우량기업군의 표준화 형태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대구광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스타기업 100 육성계획 및 섬유스타기업 추진현황」에 대해 연구 분석하였다. 본 연구 내용은 대구·경북지역 섬유업체를 대상으로 잠재적인 우량기업군을 발굴하고 이들 기업군들이 스타기업으로 발돋움 하도록 표준화된 기업 경영형태를 조사하였으며, 지역에 산재해 있는 섬유산업의 제직, 염색, 비의류 분야의 3개 업종 80업체를 표본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지역 우량섬유기업이 성장·발전하여 잠재적 스타기업 또는 글로벌 스타기업으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스타기업 육성체계에 관한 배경, 필요성, 육성목표, 추진전략, 추진체계 그리고 지원내용 등을 주 연구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우량기업군의 정의는 한국섬유개발연구원(KTDI)과 대구경북섬유산업협회(Daegu Gyeongbuk Textile Industries Association)간의 정의가 조금씩은 차이가 있으나, 이는 연구자의 관점에서 어느 요소를 우위에 두느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의 정의를 바탕으로 우량기업을 선정하기 위해 「티몬스 모형(Timmonse Model)」에 의한 “기업가의 특성(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과 “업무수행에 필요한 요건(Role Demands and Requirements)”을 기준으로 지역(Daegu Gyeongbuk Region) 표본 섬유업체(Sample) 80개 업체를 대상으로 우량기업군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섬유산업에서 3개 업체가 스타기업으로 선정되기 위한 과정 및 육성전담기관 및 PM의 역할 등에 관하여 활성화 방안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1. 우량기업군 정의(한국섬유개발연구원 기준)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권 차입(Borrowings)이 적고 건실한 재무구조(Financial Structures)를 유지하고 있는 기업 둘째, 기업 전체 연구개발(R&D)비 대비 매출액(Research and Development Costs to Sales)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 셋째, 시장지배력(Market Share)이 높은 기업, 해외마케팅(Overseas Market) 활 동을 전개하는 기업 넷째, 제직(Weaving)·염색(Dyeing)·무역 등 일관된 공정을 보유한 기업 다섯째, 모기업에 의존하지 않은 구조의 기업 여섯째, CEO의 경영이념과 기업 활동이 여타기업에 영향을 확산시키는 기업 일곱째, 혁신적 기업조직 및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실천하고 있는 기업으로 정의내리고 있다. 2. 대구·경북지역 표본(Sample) 80개 섬유업체를 분석한 결과 우량기업군의 표준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설립 역사가 일천하기보다는 창업한지 오래된 기업, 종업원에게도 재 무제표(Financial Statements)의 공개를 통한 투명성, 건실한 기업경영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둘째, 상시종업원 규모가 51~100명, 연간 매출액(Sales) 규모가 100~500억원이다. 셋째, 수출시장 지배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11~30개사의 협력업체 보유하고 있다. 넷째, 제직·염색·무역 등 일관된 공정을 갖춘 기업군 분포도가 높다. 다섯째, 연구개발(R&D) 능력을 보유, 4~6명의 연구전담 인력을 확보하고 있다. 여섯째, 연구개발부서는 타 부서와 차별화된 성과보상 실시하고 있다. 일곱째, 지적재산권(특허, 실용신안, 의장등록, 상표권) 등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다. 여덟째, 직수출의 무역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3. 섬유산업에서 선정된 3개 스타기업은 다음과 같다. 섬유산업의 2007년도(1차년도 선정) 선정된 기업들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전문기업인 서광무역(주)(Seokwang Trading Co., Ltd), 고기능성 스포츠의류 소재기업인 신풍섬유(주)(Shinpung Textiles Co., Ltd), 섬유가공소재 기업인 미광다이텍(주)(Mikwang Dyetech Co., Ltd) 등 3개 기업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스타기업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육성전담기관의 지원책 이외에도 수주량(Order) 확보 및 자금의 원활한 운용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PM(Project Manager)과 스타기업간의 네트워킹 강화” 및 “신뢰를 구축”해가는 일이 더욱더 중요하다고 본다. 대구광역시(Daegu Metropolitan City)에서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최초로 시장 공약사항으로 추진하고 있는 「2007 스타기업 100 육성 계획」이 1차년도 24개 스타기업을 탄생시켰으며, 육성전담기관과 스타기업간 MOU 체결을 완료한 상태에서 육성전담기관의 PM과 스타기업간 활발한 네트워킹과 수요조사를 진행 중에 있다. 가장 중요한 구체적인 지원계획은 대외비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밝힐 수 없음을 아쉽게 생각한다. 이상으로 본 논문의 연구자는 상기의 연구경험을 토대로 향후 섬유산업의 우량기업군 분석을 격년도 마다 표본업체를 확대하여 조사·분석함으로써 신규 우량섬유업체가 증가 될 것을 기대해본다. 따라서 이들 섬유 우량기업이 대구광역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잠재적 스타기업에 속하고 더 나아가 글로벌 스타기업으로 성장 발전하는데 본 연구가 첨병역할을 하리라 확신한다.

      • 대구·경북지역 대학생의 음료섭취 실태 및 관련 요인 분석

        박애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everages intake and related factors of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The subjects of 518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with a questionnaire developed for this stidy. The date were analyzed with SAS 8.0 and ANOVA were employed for the data analysis and Scheffé test for post-hoc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akes of beverag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Male drank more than female and had low interest in considerations to purchase beverage. Participants who live with parents drank more than others. When they buy beverage, the didn't much care about nutritive value, advertisement, and packing. For BMI, obesit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intake quantity of beverage and highly considered nutritive value. Second, the amount of beverage intak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ating habit. The group of higher eating habit drank more of milk, dairy products, and tea beverage while lower eating habit group drank more of carbonated drink, which implies that eating habit influences on beverage intake and preferrence. Third, beverage intak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meal type. The group of higher snacking frequently drank more of water, carbonated drink, and fruit juice which goes well with snacks. Taste was the most highly concerned factor for selecting beverage. The group with higher frequency of eating-out drank more of carbonated drink, caffeine drink, and alcohols and they also drank more then any others. Fourth, beverage intak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cognition and knowledge of beverage also affected the intake of beverage. The group with higher recognition and knowledge leve on beverage drank more of milk and tea and less of for alcohols and carbonated drinks. They considered nutritive value more then any oothers to select bever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beverage intake is affected by eating habit and behavior as well as the knowledge and recognition on beverage.

      • 경북대학교 자연사박물관 웹사이트 개발 연구

        주세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As the damage on nature and the ecosystem is getting more severe and as the rate of extinction of the species increases, there has been an increased emphasis on the importance and phase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along with the increased debate on its construction among those of the government and the civilians. As there has been an increase of interest towards the respect and the protection of nature, the civilians have come to desire first hand experiences of educational programs and learn essential information of the Natural Science in a virtual space. The natural history museum must not only collect and preserve samples of the Natural Science, but also be able to provide vast amou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students and scholars and satisfy the diverse cultural desires of the citizens. As the need for the natural history museum to be available to the society has become more desperate and as the government and the citizens increase their efforts to magnify the base, a desirable way to modify the homepage of the museum in order to modernize it will be suggested through this research. In the research, the layout, color, navigation, typography and interaction have been chosen as the five most important aspects of web design and there have been investigations on theoretical studies and real cases. Ten internet homepage of natural history museums, national and foreign, that best fit the criteria above were chosen in order to compare the designs and find similarities in order to have a proposed direction for the future natural history museum web design. Having analyzed ten websites of national and foreign natural history museums, the results all showed similar tendencies. The colors are not only calm, elegant, clear and graceful but also give out a natural atmosphere. The general layout has nothing outstanding while they use many of the interaction aspects that focus on the users which have become the major trend today. In case of the foreign sites, there was a larger ratio on the interaction aspects and on the texts. Each site is increasing the ratio of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are interacting activities for the citizens and the students, while also working on separate programs for children. Also, there have been major adaptations to visual graphs, flash, animation and other aspects of navigation that might gain more interest, along with other additions of links and other pages that might arouse more interest and facilitate users' tours. Focusing on the comfort of the user rather than the aesthetic aspec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omfort use and easy access to the information to achieve the main goal of visiting the site as fast as possible by categorizing the menu and grouping as many contents as possible. The suggested direction that the future nature history museum's homepage should take is the design that focuses on the user's interface. The design needs to reflect on graphic experience that combines the user's movements of searching the contents, contents' readability, and the site's image. Because the range of those who visit the website is from adults to kindergarteners, a carefully thought out layout of construction is needed. Also, the site needs to become one full of knowledge and interest that not only helps feel the beauty of the nature but also educates the respect and protection of nature for the brighter future of mankind. With this, the research has proposed the development of the website of the Kyungbook University Natural History Museum based on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design of the website and the analysis of the ten websites of national and foreign natural history museums. While the visual identity of the design development is correlated with the love to the planet and protection for the nature, the development processor is accurately delineated by contents, design, and development planning. It was intended to help the research of the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nature history museum's website by delineating the theory research, case analysis and the five major aspects of design presented at the beginning of the research, to be correlated. 자연과 생태계의 훼손이 심각해지고 생물종의 멸종이 빠르게 진행되자 자연사박물관의 위상과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정부와 민간부문에서도 자연사박물관의 설립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자연존중과 자연보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시민들은 자연과학에 대한 유익한 정보와 교육적인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가상공간에서 자유롭게 경험하기를 원하고 있다. 자연사박물관은 자연과학에 대한 표본들을 수집하여 전시하고 보존하는 것에만 머물러서는 안 되며 시민들의 다양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고 학자들과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방대한 지식과 유용한 정보들을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자연사박물관의 사회대중화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저변확대를 위한 정부와 민간의 노력이 활발해지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를 통해 자연사박물관의 활성화를 위한 박물관 웹사이트 개발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웹디자인의 중요 요소를 레이아웃, 컬러, 내비게이션, 타이포그라피, 인터랙션의 5가지로 규정하고 이론적인 연구와 실제 적용 사례들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기반을 토대로 국내․외 자연사박물관 상위 10개 사이트를 선정하여 디자인 요소별로 비교 분석하여 공통적인 경향을 추출하고 향후 자연사박물관 웹디자인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내․외 자연사박물관 10개의 웹사이트를 분석해 본 결과,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전체적인 칼라는 점잖고 고상하며 맑고 부드러우면서 내추럴한 분위기가 대부분이었다. 보편적인 레이아웃으로 튀는 구도는 없었으며, 최근의 트렌드인 사용자 중심의 인터랙션 요소들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외국 사이트의 경우 인터랙션 요소와 텍스트의 비중이 훨씬 높은 편이었다. 각 사이트들은 시민과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교육 프로그램들과 체험행사의 비중을 늘리고 어린이들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에도 많은 할애를 하고 있었다. 또한 비주얼 그래픽과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법 등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의 요소를 대폭 적용하고 있고 사용자들이 즐겁게 투어할 수 있도록 페이지 연결과 관련 사이트의 링크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심미적인 요소보다 사용자 편의성에 비중을 두고 가능한 한 많은 콘텐츠를 그룹핑으로 분류하고 메뉴의 카테고리화로 빠른 시간 내에 방문 목적에 도달할 수 있도록 사이트 이용의 편리성과 정보 접근의 용이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자연사박물관의 웹디자인의 방향성은 사용자 위주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이다. 사이트 이미지, 콘텐츠를 검색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콘텐츠 가독성 을 통합하는 시각적인 경험을 반영하는 디자인이 되어야 할 것이다. 자연사박물관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사용자층이 유치원에서 어른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신중한 레이아웃 설계가 요구된다. 또한 자연의 경이로움을 느끼고 인류의 밝은 미래를 위한 자연존중과 생태보호의 산 교육장이 되고 지식과 흥미가 공존하는 유익한 사이트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 디자인의 이론적인 고찰과 국내․외 자연사박물관 10개의 웹사이트 분석결과를 토대로 경북대학교자연사박물관 웹사이트의 개발 시안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개발의 비주얼 Identity는 지구사랑과 자연보호로 일관되게 적용하였으며, 개발 기획안과 콘텐츠, 디자인으로 구분하여 개발 프로세서를 분명하게 기술하였다. 이론연구와 사례분석, 사이트개발에서 연구초기 설정한 5가지 중요한 디자인 요소별로 공통되게 기술함으로서 향후 자연사박물관 웹사이트 개발과 디자인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거점국립대학 캠퍼스 도서관 휴식공간 유형 분류 및 사용특성 분석

        신재윤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오늘날 대학 캠퍼스들은 학습과 지역사회와의 교류 등 많은 기능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캠퍼스 내 도서관은 다른 시설물 보다 학생들 및 지역 주민이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시설에 속하고 이용자들 간에 의사소통의 장이 될 수 있으며 상호접촉의 기회가 보다 많은 시설물 이다. 대학 캠퍼스 도서관의 휴식공간은 보행, 휴식, 만남 등의 다양한 활동이 일어나는 장소이며 휴식의 효율을 증가시키게 되는 휴식공간을 계획 하게 되면 학습효과도 높아지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는 휴식공간과 이용자들을 분석하여 이용하기 쉽고 쾌적한 공간을 계획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a university campus, the library's rest room, and an analysis was performed as follows to: First, the resting place of the University Library to study and relaxation were classified into the four major types. And the rest of the space elements include floors, walls, ceilings, pillars, air, color, sound and lighting was limited. Second, each university libraries around the campus of the University that examined the practice of relaxation. Third, as a survey among users of the behavior and preferences were identified. Fourth, a survey of the elements of relaxation with a preference for a comfortable and easy to use comprehensive analysis to plan the space to give reasons.

      • 경주방언과 울산방언의 성조 비교 연구

        박선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the tonal systems between Gyengju dialect (the other regional dialects of Gyeongbuk dialect) and Ulsan dialect (the other regional dialect of Gyeongnam dialect),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ir changes. I also identifi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Gyeongju and Ulsan dialects to examine them that are under different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figure out the tonal theoretical status. In chapter 2, I look into the tone description theory and the comparison indicators of tones. And the comparison indicators of tones are also required to compare the tone of dialects effectively, I selected the items (which are the imperative standards of division in the theory of Korean tone) for the comparison indicators. The dialects of Korean tone appear same or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indicators of tones (the toneme, the tonal system, the aspects of combination of the tonal system, and the alternation of the tonal system). In chapter 3, I compare and describe the tonal systems between Gyeongju and Ulsan dialects focused on the comparison indicators of tones in chapter 2.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toneme of the two dialects has high tone (H), low tone (L), and rising tone (R). In the same as the toneme, it also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tonal patterns of two dialects correspond with the dialect of Gyeongbuk inland. The high tone pattern is that one syllable is only shown as a high tone, and the other one is shown as a low tone. The low tone pattern is that the first two syllables are shown as a high tone, and the other one is shown as a low tone. The rising tone pattern is that the first syllable is shown as a rising tone, the second one is shown as a high tone, and the other one is shown as a low tone. By the combination of tonal pattern as the comparison indicators, I examine the predicate using the irregular tone. The predicate of ‘ka-’ class and of ‘ki-’ class combined with the vowel ending is appeared shown as a low tone because the pattern of high tone is shown two of tonal patterns are abbreviated In Gyeongju and Ulsan dialects, the tonal pattern of ‘nagadɨra-’ class, which is discussed as an unusual pattern in Daegu dialect, is shown a low tone (among the three tonal patterns in Gyeongbuk dialect). In the change aspects of tone pattern for two dialects to show the differences of other regional dialects, there are ‘an-’ negative sentence and ‘wh-’ interrogative sentence. These changes of tonal pattern are the comparison indicators that seem to be different from Gyeongbuk-bukbu dialect (Andong, and Youngju, etc.). On the unification of the tonal pattern, it is same as Daegu dialect which is inland dialect of Gyeongbuk, but different on the composition of the surface tonal pattern. Daegu dialect is shown as [LnHL] pattern which a high tone is layed in the second syllable from behind, and Gyeongju and Ulsan dialect is shown as [Ln-1H] pattern which a high tone is layed in the last syllable after the strong tendency of /Hn/ pattern. In chapter 4, I deter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onal comparison indicators of the two dialects, and discussed the status of their tonal systems. Two dialects are identified as hav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Daegu dialect (belongs to the inland section of Gyeongbuk dialect) although they are under the domain of Gyeongbuk dialect. Especially, it is significant to identify that the tonal patterns of ‘an-’ negative sentence and ‘wh-’ interrogative sentence are shown as ‘/Hn/ pattern in two dialects. According to their aspects, they have the figure of Gyeongbuk Southern dialects (Daegu, Dalseong, and Cheongdo, etc.). Two dialects have tone-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coast in Gyeongbuk, based on the aspects of the tonal pattern of ‘nagadɨra-’ class. They are shown as a low tone (/L4/[HHLL] pattern), and it, so to speak, shows the process of unification combined into the tone pattern which exists in Korean tone dialect. I also examined the alternations of the tonal pattern to be a high tone pattern which has been from the time of the Middle Korean. This pattern is a phenomena that appears universally in the whole of Gyeongsang dialects. This would be the study to identify the indicators of dialect separation which are differently shown between the other regional dialects of Gyeongbuk rather than to find differences between two dialects by comparing their tones. The tonal pattern aspects of ‘nagadɨra-’ class is to be the standard to distinguish two dialects with Daegu dialect, and the tonal pattern aspects of ‘an-’ negative sentence and ‘wh-’ interrogative sentence is to be the standard, able to identify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wo dialects and the souther dialects of Gyeongbuk. Although Gyeongju and Ulsan dialect have the same tone system with Gyeongbuk dialect, the division and distribution between the other regional dialects of Gyeongbuk shows different figures by the tone comparison indicators. In conclusion, I summarized the comparison of their tones which are discussed lately. 이 논문의 목적은 경북방언의 하위 지역어인 경주방언과 경남방언의 하위지역어인 울산방언의 성조 체계를 비교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 그 성조론적 위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성조 기술 이론과 성조 비교의 지표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성조 기술 이론 중에서 생성음운론의 설명 체계에 따라 기저 층위와 표면 층위를 따로 두는 이론을 바탕으로 두 방언의 성조 체계를 기술해 나가고자 하였다. 아울러 방언 성조를 효과적으로 비교하기 위해서 성조 비교의 지표가 필요한데 국어 성조론에서 중요한 분화 기준이 되어 온 항목들을 비교의 지표로 선정했다. 국어 성조 방언은 성조 비교의 지표인 ‘성조소와 성조형, 성조형 결합의 양상, 성조형 변동’에 따라 서로 같거나 다르게 나타난다. 3장에서는 2장의 성조 비교의 지표를 중심으로 경주방언과 울산방언의 성조 체계를 비교 ․ 기술하였다. 두 방언의 성조소는 고조(H)와 저조(L), 상승조(R)의 세 성조소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두 방언의 성조형도 경북 내륙의 방언과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조형은 한 성조 어절에서 한 개의 고조가 실현되고 나머지는 저조로 실현된다. 저조형은 첫 두 음절만 고조로 실현되고 나머지는 저조로 실현된다. 상승조형은 첫 음절은 상승조로 실현되고 두 번째 음절은 고조로, 세 번째 이하 음절은 저조로 실현된다. 다음으로 성조형 결합 과정을 비교의 지표로 하여 용언 활용 과정에서 성조형이 바뀌는 불규칙 성조 활용 용언을 살펴보았다. ‘모음어미와 결합한 ‘가-’류 용언과 ‘기-’류 용언은 두 성조형이 축약되어 상승조형이 나타났지만 모음어미의 종류에 따라 상승폭이 적어지고, 길이가 짧아져서 저조형으로 실현되고 있다. 대구방언에서 특이 성조형으로 논의된 ‘나가드라류’ 성조형은 경주방언과 울산방언에서는 경북방언의 세 가지 성조형에 해당하는 성조형인 저조형으로 실현되었다. 또한 경북방언권에 속한 두 방언이 다른 지역과 차이를 보이는 성조형 변동 현상에는 ‘안’부정문과 설명 의문문의 성조형 실현 양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성조형이 단일화되는 현상으로 보면 경북의 내륙방언인 대구방언과 동일하지만 실현되는 실현되는 표면 성조형의 구성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대구방언은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고조가 놓이는 ‘[LnHL]’형으로 실현되고, 두 방언에서는 ‘/Hn/’형 우세 경향이 나타나 마지막 음절에 고조가 놓이는 ‘[Ln-1H]’형으로 실현되고 있다. 4장에서는 두 방언의 성조 비교의 지표에 따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 두 방언의 성조론적 위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두 방언은 지금까지 살펴 본 성조 비교의 지표를 근거로 경북방언권에 속하지만 더 가까운 것은 경북방언 안에서도 내륙에 속하는 대구방언과 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두 방언에서 ‘안’부정문과 설명 의문문의 성조형이 /Hn/형으로 실현되는 것을 확인한 것은 유의미한 발견이다. 두 방언은 ‘안’부정문과 설명 의문문의 성조형의 실현 양상으로 보면 대구, 달성, 청도방언 등의 경북 남부 방언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나가드라류’ 성조형의 실현 양상을 기준으로 보면 두 방언은 경북의 동해안 방언의 성조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두 방언에서 ‘나가드라류’ 성조형은 저조형인 ‘/L4/ [HHLL]’형으로 실현되고 있는데 이것은 우리말 성조 방언에서 존재하는 성조형으로 합류되어 단일화되어 가는 변화 과정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중세국어 시기부터 존재했던 고조형화 되는 성조형의 변동도 살펴보았다. 이 성조형은 경상방언 전제체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두 방언의 성조 비교를 통해 두 방언 간 확연한 차이점을 발견하기 보다는 두 방언이 속한 경북의 다른 지역 간 다른 양상을 보이는 방언 분화의 지표를 확인하는 연구가 되었다. ‘나가드라류’ 성조형의 실현 양상은 두 방언과 대구방언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고, ‘안’부정문과 설명 의문문의 의문사구 성조 어절에 나타나는 성조형 실현 양상은 두 방언이 경북의 남부방언과 가까운 관계라는 것을 확인해 주는 기준이 된다. 따라서 경주방언과 울산방언은 경북방언과 같은 성조 체계를 가지면서도 성조 비교의 지표에 따라 경북의 다른 지역과 분화, 친소관계가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대학생 취업준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분석 : 경북대학교 행정학부를 중심으로

        현달호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연구는 경북대학교 행정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취업준비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진로개발 활동과 취업준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학교와 지도교수, 학생 모두에게 취업준비에 대한 고민과 걱정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첫째, 대학 생활 시작부터 학생 스스로가 취업을 준비하고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교육체계가 현실적으로 되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이로 인해 취업준비가 제대로 되지 않아 졸업시즌이 되어서야 취업을 준비하는 상황이다. 둘째, 대학생들이 취업을 준비하는데 있어 정확한 목표 의식을 가지고 있다면 취업의 어려움은 쉽게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교 또한 취업준비를 위한 시스템을 강화하고 대학교 입학 때부터 비전을 제시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보다 더 효율적이 취업진로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교수도 또한 학생과의 네트웍을 강화하고 학습뿐만 아니라 학생의 진로상담 등을 강화하여 취업에 대한 부담감을 해소해주고 학생들 개인에 맞는 진로 상담이 된다면 취업준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다섯째, 학생, 학교, 교수가 삼위일체가 되어 네트웍을 강화한다면 취업준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며, 취업준비에 많은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취업을 준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가 학생뿐만 아니라 학교, 교수 모두에게 취업준비에 대한 고민을 해소할 수는 없겠지만 일정부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