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달장애학생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연구

        김국연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인지하는 발달장애학생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필요정도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한 일반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110명을 표집 하였다. 이중 응답이 부실하거나 3문항 이상 응답하지 않은 7명의 표본을 제외한 총 10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설문지의 통계처리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학생에게 일반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은 문화예술교육이 매우 긍정적이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문화예술교육이 발달장애학생의 정신적, 신체적, 표현능력 향상과 감성발달 및 정서적 안정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일반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필요인식정도를 살펴보면 장르를 구분하지 않은 통합교육 즉, 모든 예술분야의 교육이 발달장애학생들에게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효율적인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교수법과 교육내용 관련 교사연수, 수업확대, 활동 공간 마련, 예술전공 교사 채용 및 강사 확대, 그리고 충분한 수업시간 제공 등 전반적인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여건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학생들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잘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문화예술교육이 발달장애학생의 미적감수성을 개발하고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정신적 건강 및 표현능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육내용 개발과 그에 따른 지원이 다양화되어야 한다. 둘째, 발달장애학생의 문화예술 교육목표와 내용이 발달장애학생의 발달과제와 잘 부합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셋째, 문화예술교육 관련 교육내용과 교수법 연수 및 재정적인 지원 등을 통해 일반 중·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 발달장애학생들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인적, 사회적, 정책적 차원에서의 활용방안 수립과 보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warenes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eneral middle and high schools. 110 general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 have been surveyed. A total of 103 surveys have been analyzed. Seven surveys have been excluded due to insincerity with less than three answers. Collected surveys have been cross-analyzed through the SPSS 18.0 program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warenes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eneral middle and high schools is exceedingly positive, and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also highly recognized. Particularly, mo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 culture and art education as a tool for the enrichment of mental and physical power of expression, enrichment of sensitivity, and emotional stability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eneral middle and high schools recognize a need for an integrated education regardless of genres. In other words, education should include all fields of art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oreover, the subjects answered effective culture and art teaching method, expansion of class, preparation of activity space, recruitment of culture and art teachers and improvemen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hrough sufficient class hours are needed. According to the findings, in order to supplement invigor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se conditions have to meet. First of all, diversification of support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with the aim that it would develop the aesthetic sensibilitie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mprove their emotional stability,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and express power. The second condition is a balanced configuration between the goal and context of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al task. Last, the training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methods and techniques, field applications and financial supports through individual, social and political scaled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application plan for vivacity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o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 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분석

        김애희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최초로 시도되고 있는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일반 고교생들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고, 이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부차적인 목적은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고교 학생의 체계별 욕구와 각 체계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이 분석 결과를 각급학교에 상응하는 학교생활 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맞춤식 개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문지를 사용한 조사연구로서 조사대상자는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 180명과 비교 대상자인 일반 고교로는 서울시 S구 소재 S고교 학생들 282명이다. pilot study를 실시하여 문항의 내용, 소요시간, 편집 형식, 설문지 길이에 관한 미비점을 보완 한 다음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의 설문지 180부와 S고교생 설문지 28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일반 고교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조사대상자 중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매우 높게(평균 4.24), 일반 고교생의 학교생활 만족도는 보통(평균 2.88)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22개의 독립 변인 중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고교간 가장 많은 차이가 있는 변인은 교사와의 관계, 부모 교사 관계, 자기 유능감으로 모두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의 평균이 높았다.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이 일반고교에 비해 교우관계, 학교의 복지시설, 부모-친구 관계, 한국의 교육제도에 대한 만족도에서 평균 차가 많이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 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경우, 거시체계 변인을 투입하기 전인 모델 Ⅵ의 설명력(R²=.501)이 가장 높았으며, 일반고교생의 경우는 모든 변인을 투입한 모델 Ⅶ의 설명력(R²=.546)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의 경우, 교우관계, 교사 관계, 정서인식, 자기 유능감, 생활수준 순으로 5개의 변인이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후자의 경우, 교사 관계, 교우 관계, 외에도 한국의 교육제도에 대한 만족도, 자기 유능감, 수업과 학습, 부모-교사 관계 순으로 14개 변인이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고교 모두 ‘교사 관계’ 및 ‘교우 관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일반고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에 필요한 개입 내용을 본 연구에서 발췌된 변수를 중심으로 전개해보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우선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경우 5개의 의의 있는 변인을 중심으로 유기체에서는 정서인식의 능력과 자기 유능감을 높일 수 있는 지도가 필요하다. 학교 미시체계에서는 교사 관계, 교우 관계가 가장 중요하게 대두된 점을 볼 때 이 두 변인의 관계를 깊게 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한국과학영재학교의 학생들이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 휴일을 제외한 평일 대부분을 보내기 때문에 이 두 변인에 대한 관심과 배려는 학교생활 만족도 개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 고교의 경우 14개의 변인을 중심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즉 고학년 일수록 학교생활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점을 고려해 고학년에 대한 개입이 저학년에 비해 강화 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학교 복지시설을 확충하고, 부모-교사 관계의 강화가 필요하다. 한편 한국의 교육제도에 대한 만족도도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교육 문제에 대한 진단과 학벌지상주의 지지 정도가 높은 것을 감안해 학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작업이 사회적인 차원에서 전개되어야 한다고 본다. 한국의 교육제도와 학벌요인의 영향력은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은 우리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에서와 같이 학교생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입 서비스에 적용되는 생태학적 접근은 학생 본인과 주변 환경의 능력 및 기능이 생태체계의 지원으로 강화될 수 있는 접점을 알려준다. 또 역기능이 순기능으로 전환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발췌함으로써 생태하적 접근의 의의가 크다고 본다. The primary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compare the students' life satisfaction of Korea Science Academy with a general high school, and to analyze relative magnitudes of significant predictors. The study employed ecological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180 students of Korea Science Academy and 282 students of a general high school in Secho-Ku,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level of students' life satisfaction of Korea Science Academy(M=4.24, SD=0.574) was much higher than a general high school (M=2.88, SD=0.830). 2.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yielded that Model Ⅵ as the most powerful model for Korea Science Academy, explaining 50.1%(Adjusted R²=.501) of the variance of students' life satisfaction, while that of the general high school was Model Ⅶ, explaining 54.6%(Adjusted R²=.546) of the variance. 3.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found in Model VI for Korea Science Academy were 'relationship with friend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elf-efficacy,' in that order, while those in Model Ⅶ for the general high school were 'relationship with teachers,' 'satisfaction with Korean educational system,' 'agreement with Korean's belief system,' 'relationship with friends,' 'relationship of parent-teachers,' 'age of the student,' 'self-efficicacy,' 'convenience facilities of school,' 'academic atmosphere of the classroom,' and 'SES of the family,' in that order.

      • 사립 전문박물관의 관람객 개발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연구 : 어린이 체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주선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31

        Today, museums make primary efforts not only to collect, preserve, research and exhibit ancient relics but also to help the audience correctly and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exhibits they have possessed. Recently, many museums have developed various programs including hands-on learning, combined learning and touring display, in an effort to erase their impression as a solemn and static place and give an impression as a place where interesting and special things can be experienced. During the last 10 years, diverse styles of small-scaled private museums, which display unexpectedly novel and exciting exhibits, have been establish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Jeju Island and other areas. In Seoul, an increasing number of small private museums are set up at Samcheong-dong and Gahoe-dong and many of them are so-called specialized theme museums. Not only in downtown Seoul but also in various place across the country, there are private specialized museums on different themes. Private specialized museums are increasing in number, but most of them are suffering financial difficulties. Their revenue from admission fees is tiny since common people do not have much interest in and high recognition of them and many people do not visit them. The public sector should support such museums because they may be considered a kind of public institution; but, they by themselves should also set up self-support schemes to activate their operation. Entitled "A study on the education programs for audience development of private specialized museum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museums' hands-on education programs especially for children. Many people will visit the private specialized museums if they are developed education programs attracting more audience and hands-on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effective for children to use their five senses to understand and learn the principles and movements of things and be motivated for lear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private specialized museums located in Seoul, which were the members of the Korean Private Museums Association and offered hands-on programs for children on a regular basis. After all, the research was made into the seven museums such as ‘the Gahoe museum,’ ‘the Tteok museum,’ ‘the Onggi folk museum,’ ‘the Museum of Korea straw and plants handicraft,’ ‘the Chojun textile and quilt art museum,’ ‘the Museum of Korean Buddhist art’ and ‘the Han sang-soo embroidery museum.’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nd collected from the people who had attended along with their children the education programs offered by those museums, in order to know the current condition of their operation, finance, education and exhibition; verify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nd investigat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program participants. An analysis of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confirmed the assumption that the children visited the museums mainly to attend their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First, most adults visiting the museums along with their children gained the information on the museums' education programs from their neighbors. Second, they selected the programs with the highest priority given to their children's opinions and expected various experiences from the education. Third, for the improvement of learning from the education, they demanded the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iversified. They preferred that their children would attend the education programs during summer vacation. Finally, they hoped that their children would attend the programs in which relevant theories could be learned and moulding activities guide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programs was verified through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ith the personnel in charge of the museums' education programs. The personnel told that the audience desiring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attended learning programs in larger numbers and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exhibits. Considering what has been mentioned in the above, the present author suggests how to operate hands-on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what should be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with a view to activating the museums. As part of the infrastructure needed for smooth oper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s, it is proposed that advertisement strategies should be set up, programs connecting schools with the museums developed, and specialized manpower cultivated. Also, the education programs should have such activities as can be conducted by means of ‘plays’ and should be connected with school textbooks and an ‘work sheet’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as a post activity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This study has investigated into private specialized museums' child education and hands-on programs, the importance of whose development is growing day by day. From the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 the possibility has been also ascertained that more audience will be drawn to domestic private specialized museums when various hands-on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re develop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be useful to look for how to improve the programs in the future. 오늘날 박물관은 유물의 수집·보존·연구·전시를 넘어서 어떻게 관람객들에게 소장품과 전시품들을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이해시킬 것인가의 문제를 주요 관심사로 삼고 있다. 최근에는 체험 학습, 통합학습, 찾아가는 박물관 등 각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곳도 크게 늘어 그 동안 박물관이 지니고 있던 엄숙하고 정적인 분위기에서 벗어나 재미있고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전환하려고 시도하는 곳을 많이 볼 수 있다. 지난 10여 년간 서울지역을 비롯하여 경기에서 제주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생각지도 못했던 기발하고 흥미로운 주제의 소규모 개인 박물관이 다양하게 설립되고 있다. 서울지역의 경우 삼청동이나 가회동 일대에 소규모 사립박물관들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데 일정한 테마를 가진 이른바 전문 박물관들이 많다. 서울도심을 중심으로 한 곳 외에도 전국에 다양한 소재의 사립 전문박물관들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사립 전문박물관은 수는 늘어나지만 재정적 어려움이 많은 곳이 대부분이다. 게다가 일반인들의 관심과 인지도가 낮아 관람객의 방문이 활발하지 못하기 때문에 당연히 입장료의 수입이 적어 운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박물관의 공공성이라는 측면에서 이들에 대한 공공지원이 있어야 하지만, 박물관 자체에서도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자구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립 전문박물관의 관람객 개발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연구’ 라는 주제로 어린이 체험교육프로그램 중심으로 연구하고자한다. 관객의 방문이 활발하지 않은 사립 전문박물관에 많은 관객을 끌어들이기 위한 질문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어린이들의 참여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체험 교육은 어린이들의 오감을 이용하여 사물의 원리와 내용의 이해, 흥미를 유발할 수 있으며 학습의 동기를 부여 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먼저, 연구의 대상은 (사)한국사립박물관 협회에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서울소재 사립 전문박물관으로서 어린이 체험 프로그램이 방학 외에 학기 중에도 정기적으로 개설되어 있는 박물관으로 제한하였다. 그 결과 ‘가회민화박물관’, ‘떡 박물관’, ‘옹기민속박물관’, ‘짚풀생활사박물관’, ‘초전섬유·퀼트박물관’, ‘한국불교미술박물관’, ‘한상수자수박물관’ 7개의 박물관이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 박물관들의 운영현황, 재정현황, 교육현황, 전시현황 등을 살펴보고, 본 논문 연구주제에 따른 가설을 확인하고 참여자의 만족도 조사를 위해 각 기관의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린이의 동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어린이의 박물관 방문에 있어, 교육프로그램 참여 목적이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설문분석을 통해 이 연구의 가설검증 외에, 몇 가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정보 경로에 있어서 어린이 동반 인들은 주변사람을 통해 방문하는 경우가 제일 많았고, 둘째로 교육프로그램 선택 시 고려사항이나 결정에 있어서 어린이의 의견을 존중하며, 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체험을 기대하였다. 셋째, 교육수업 개선사항에 있어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요구하였으며, 어린이 교육프로그램 참가의 적절한 시기에 대해서는 여름방학을 선호하였다. 넷째는 향후 원하는 프로그램 및 평상시 선호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이론학습과 만들기 활동을 선호하였다. 설문결과를 통한 가설확인 이외에도 박물관 교육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교육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담당자들은 전시 관람객과 교육목적 관람객의 전시관람 태도에 있어서 교육목적이 있는 방문객이 학습 참여율도 높으며, 전시 관람에 관한 만족도가 높다고 답하였다. 이 설문결과와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박물관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어린이 체험 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의 전략과 교육내용에 대해 제안하였다. 교육프로그램 내의 교육활동으로는 ‘놀이’를 통한 활동, 학교교과서와 연계 프로그램, 사후활동으로 활용될 수 있는 ‘활동지’의 개발에 대해 제안하였고, 교육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으로서 홍보전략, 인적자원 유치 및 개발, 학교-박물관연계를 위한 협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는 국내·외 박물관의 어린이 교육과 체험을 통한 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이를 토대로 국내 사립 전문박물관 어린이 체험 교육을 통해 관람객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프로그램을 개선해 나갈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 비즈니스 일본어 학습용 교재에 관한 연구

        신은정 同德女子大學校 一般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31

        오늘날은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새로운 정보의 창출과 정보의 전달이 동시간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세계화라는 말이 보편화되고 지역적 유대관계가 더욱 강화되고 있는가하면 같은 문화권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함께 국제적인 자질을 신장시키기 위해 외국어 학습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정치적, 경제적으로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해 오던 일본과 문화적인 개방을 통해 지금까지와는 다른 국면을 맞이하면서 일본어 학습에 대한 열기가 고조되고 있다. 일본어를 배우고자하는 연령층의 다양화 및 학습목적의 다양화에 따라 일본어 교육에서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속적인 경상수지 적자를 낳고있는 대일 무역관계에서 일본어를 사용하여 일본인과 실질적인 비즈니스를 행하는 비즈니스 관계자들을 위한 일본어 교육은 간과되어 온 경향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언어능력과 경제와의 연관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한국에서 비즈니스 일본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의 학습환경 및 학습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일본어 교육용 교재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일본어 교육의 문제점과 나아가야 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직장인들의 일본어 학습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가지고 있어 학습의 지속성을 가지기가 어렵고 국내 주요 기업에서는 주로 사내 교육이나 연수원 교육을 통해 일본어를 교육하고 있으나 대부분 일본어의 수준이 초급에 머물고 마는 경향이 강했다. 일반 사설교육 기관에서도 비즈니스 일본어 강좌가 별도로 개설된 곳이 드물었을 뿐만 아니라 강좌가 개설된 시간이나 학습목표에 대한 제시가 직장인들의 학습 여건이나 학습의 영속성을 배려하지 못하고 있었다. 교재 분석의 결과 비즈니스 일본어 교육용 교재의 대부분은 회화용 교재로 장면이나 기능 실러버스를 택하고 있었으나 장면의 선택에 대한 기준이 모호하고 설정된 장면에서 실제성과 연관성이 낮은 경우가 많았다. 언어의 4기능 면에서도 말하기 기능에 치우친 나머지 듣기나 읽기, 쓰기 기능에 대한 과제제시가 적었으며 경어의 도입과 사용 면에서도 도입은 일찍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경어의 사용의 유도가 교재 후반부에 치중되거나 일부 동사 활용에만 머물러 경어 사용을 고려한 장면 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느낌을 주었다. 타문화 이해를 위해 비즈니스 관행에 대한 소개나 비언어 행동의 주의 점에 관해서는 전체적인 교재에서 비교적 상세히 다루고 있었으나 제품 설명서나 전문 용어 등 빈번한 외래어를 접하게 되는 비즈니스 일본어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외래어 사용은 식품이나 사무기기 용어에 치중되어 가타카나 읽기에 대한 잦은 노출을 유도하지 못하고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 효과적인 비즈니스 일본어 교육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의 학습 요구를 좀더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학습자 요구를 바탕으로 한 교육설계와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고 느꼈다. 또한 비즈니스 일본어의 교육에 있어 교사는 일본어라는 언어적인 지식 외에도 일본의 비즈니스 관행 및 전문용어에 대한 지식을 구비한 전문인으로서 요구되어 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전문인 양성을 위한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실질적으로 일반 사설 교육 기관에서 비즈니스 일본어를 지도할 만한 교재와 교사의 부재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듯이 비즈니스 일본어 교육에서는 다양한 교재 개발이나 부교재 개발 및 성인 학습자라는 특성이 고려된 새로운 교수법 개발이 앞으로 남은 과제라고 생각한다. In the world of globalization, both the cre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information occurs at the same time due to the internet. As the result the ties among the various regions are getting closer to each other and interest in the common culture are increasing. Therefore, to extend the needs of the times and the international talent, the importance of the foreign language has increased dramatically and though the open culture with Japan which has been in a lasting relationship both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the learning of the Japanese language is heating up unlike the former days. In relation to the diversity of the age groups and learning purpose of the people wanting to learn Japanese,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various kinds of research in the Japanese education. But the current relations with Japan which is having a continuous deficit in the international account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ignore the Japanese education for the people who are practically doing business with the Japanese. Hereupon by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inguistic ability and economics, this paper is to defin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business Japanese education in Korea and to purpose an alternative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eaching materials of the business Japanese education that is based upon the survey about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he needs of the learners wanting to learn business Japanese in Korea. From the survey it is found that the businessmen wanting to learn Japanese, as the most part, remain at the beginners stag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pace and time. It was hard to find private education academy with a special class for the business Japanese lecture and in addition, the provision of the time schedule and the learning purpose don't usually go with the communication of the study or the learning conditions of the businessmen. From the analysis of the teaching materials, we found that most of the teaching materials of the Japanese language chose functional or situational syllabus but the standard of the selected situations is very vague and a lot of them were low in reality and relativity in terms of settled situation. Among four functions of he language, most of the teaching materials were inclined only to speech function so there were only a scare number of materials that were objected to the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functions. And from the aspect of the instruction utilization of the honorific, since the instruction comes at the very beginning of the text and the utilization come very last or partially occurs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verb, it was easy to feel that the selected situations don't normally go with the honorific. And also, we found that he introduction of the business customs to understand the different culture or the notices on the use of slang were comparatively dealt with in detail throughout the text. But the utilization of the words brought from the abroad that are focused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business Japanese language learners who frequently uses terms such as that of he product manual or technical terms, fails to lead to the frequent exposure of the Katakana reading since they are only inclined to the use of the terms that are used for groceries or office supplies. To have more effective business Japanese education the needs of the learners have to be more deeply concerned. And it is imminent that suc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that goes with the education design and variety of needs that are based upon the learners needs, are necessary. And also, sine the needs of the instructors with the knowledge of the Japanese business customs is increasing, it is necessary to put much efforts in growing these kinds of specialists nowadays. Substantially, the biggest problems of the private education academy happen to the lack of the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ctions suitable for teaching business Japanese,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methods including the func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wn-up learners or the development of the various teach materials are needed.

      • 자연과 인체 - 그 形과 色에 대한 표현 연구 :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안종임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인체, 또 다른 시각에서 본 영원한 자연 - 손에서 몸으로, 자연으로’ 라는 주제로 <대학원 졸업 작품 평가를 위한 개인전 (2008. 5. 28 - 6. 3, 동덕아트갤러리)>에서 전시된 나의 작품들을 제작하게 된 계기 및 점의 중첩을 이용한 창작과정을 통해서 보여진 다양한 인체 유형의 이미지 표현, 즉 회화가 갖는 2차원의 평면위에서 인체를 통한 자연의 또 다른 해석과 나의 시각을 통한 표현방법들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현대인은 전 시대와 달리 인체를 물량화하기도 한다. 인체에 대한 자유로운 시각의 표현은, 서양에서는 피카소(Pablo Ruiz Picasso, 1881 - 1973)의 <아비뇽의 처녀> 에서 보듯이, 인체의 옆면, 앞면을 해체하고 붙인다든가, 헨리 무어(Henry Spencer Moore, 1898 - 1986)의 <모자상> 에서 보듯이, 역설적으로 어머니의 가슴부분을 비워놓는 시각을 달리한 인체조각으로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나는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1866 - 1944)에 의해서 그 중요성이 인정된, 회화에서 가장 원초적인 점·선·면이라는 회화의 기본 원리를 이용하여 자연의 이미지를 우리에게 익숙한 인간의 몸의 이미지로 표출하고자 하였다. 나의 작업은, 한편으로는 동양화에서의 정형적(定型的)인 인물화에서 벗어나 현대의 다양한 시각에 따른 것이다. 즉, 자연과 인간이라는 전통적인 이원론에서 벗어나 둘이 아닌 하나로 형상화시키고자 하는 바람에서 비롯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동양화에서 함의(含意)와 은유(隱喩)가 많이 사용되듯이, 직접적으로 인체의 형상을 드러내기 보다는 오히려 은유적인 산수표현으로 자유롭게 인체의 구조나 해석을 표현하고자함 때문이었다. 그러나 작업기간이 오랫동안 지속됨에 따라 대상이 확대되고, 그 결과 어떤 대상 안에 있는 다양한 선들과 색의 조화를 통해 그들 형이 갖고 있는 어떤 조형적 법칙 또는 이해의 축(軸)이 발견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나의 작업을 논리적으로 역추적한 것이다. 나의 논문은 이러한 면에서 현대 심리학에서 혜성처럼 나타난 형태 심리학(Gestalt Psychology)의 의식 전환에 의한 대상 해석의 관점에서 나의 작품에서의 자연과 인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모색하고, 점ㆍ선ㆍ면이라는 회화의 원초적 요소를 역추적하며 동ㆍ서양의 자연과 인체를 바라보는 시각 및 개념과 현대의 다양화된 표현들을 서술하고, 그러한 이론적 배경에 의해 나의 작품의 제작의도와 표현 방법에 대한 분석을 함으로써 나의 작품의 미학적 특성 및 작가로서의 나의 의식 내지 의식 밑에 깔려있는 나 자신의 무의식을 구명(究明)하려고 하였다. 이렇게 대학원 재학 시 나의 작품을 분석해보고 재조명한 나의 논문은 나 자신 내지 더 나아가 나의 작품을 앎으로써 앞으로의 나의 작업에 대한 예견 및 앞으로의 작품 해석과 진취적 진행의 밑거름이 되리라고 믿는다. This treatise has been studied like this: the motivation with which to create my paintings that exhibited in my personal exhibition (Dongduk Art Gallery, May 28th - June 3rd, 2008) for graduation valuation under the theme of ‘The human body - an eternal Nature seen from another view - from hand to body, to Nature’ and the expressions of the images of various types of human bodies as viewed through the creative process by making use of the overlapping of dots, that is, another way of interpreting about the nature through human bodies on the two-dimensional plane and the ways of expressions from my point of view. Unlike the painters of the preceding ages, the modern man sometimes dematerializes the human body which has respected in past. Free expressions of the human body as seen from different angles have endured up until now, finding their embodiment in Picasso(Pablo Ruiz Picasso, 1881 - 1973)'s paintings such as ‘Virgins of Abignon(Les Demoiselles d'Avignon)’ where the sides and the front of the human body were taken apart or put together, or in the works of Henry Moore(Henry Spencer Moore, 1898 - 1986)'s ‘The Image of the Mother and Son’ where the mother's breasts which are important in human body were paradoxically hollowed, thereby sculpturing the human body as seen from different angles. I have tried to express the Nature into human body's image to be familiar to us by making use of dots among principles of point, line and plane which is most primitive in painting which the importance of it was acknowledged by Wassily Kandinsky(1866 - 1944). My paintings, on the one hand, follow a view among modern various points of view to get out of typical portrait painting in oriental paintings. In other words, my point of view originated from the attempt to sculpture the Nature and the man as a unified whole, not as two different entities, noticeably deviat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traditional dualism of the Nature and man. On the other hand, as we are being used connotations and metaphors in the Oriental painting, I didn't choose way to immediately reveal human body but to try to express structure or interpretation of human body by metaphorical expression of landscape painting. However, with going on painting during a long period of time, the objects were being expanded, thereby, it enables me to discover some plastic rules or an axis of understanding which found in the shapes by means of harmony of various lines and colors to present in a object. This treatise has aimed to inversely trace such paintings in a logical manner. First, from the foregoing two aspects, I have groped my new point of view of the Nature and the human body, that is, the perspective of the interpretations of objects in terms of the conversion of consciousness as maintained in Gestalt psychology, a branch of psychology that emerged receiving the limelight in modern psychology; secondly, I have traced the primitive principles of dots, lines, and planes in the paintings; thirdly, I described various expressions of the points of view, concepts and modern various expression of the Nature and the human body in the East and West. Under such theorical background I have analized the aesthetic features of my works and my consciousness or the unconsciousness as a artist that is underlying the consciousness. My treatise as an analysis and review of my paintings to paint while I was attending the graduate school has been a motive to know myself, and then my paintings makes me possible to predict my works to follow and better to interpret and preceed my paintings.

      • Schein의 컨설팅 유형을 활용한 대학생 창업컨설팅 모형설계 연구

        김태린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lt;국문초록&gt; Schein의 컨설팅 유형을 활용한 대학생 창업컨설팅 모형설계 연구 지도교수 신기현 교육컨설팅학과 김 태 린 대학생의 창업은 창의성과 혁신이 결합된 경제활동으로서 국가 경제발전과 산업혁신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생 창업자들은 경험 부족과 자원의 제한으로 인해 창업과정에서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곤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적인 컨설팅 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컨설팅은 창업자들이 사업계획을 명확히 하고, 시장진입 전략을 수립하며, 잠재적인 위험을 예방하고,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대학생 창업자에게 컨설팅은 사업성 분석, 자금조달 방안, 아이디어 구체화, 법률적 조언 등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고 초기 창업 단계에서 겪을 수 있는 실수를 줄인다. 대학생 창업의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다. 대학생 창업컨설팅 모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대학생 창업자들이 창업 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고, 창업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대학생 창업컨설팅 프레임워크를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Schein의 컨설팅 모형을 이론적 틀로 삼아 대학생 창업자가 겪는 구체적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Schein의 컨설팅 모형은 조직 개발과 변화를 위한 접근법으로 조직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Schein의 모형은 컨설턴트가 컨설티와 관계를 형성하고, 문제를 진단하며, 개입전략을 수립하고, 변화를 촉진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Schein의 모형은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전문성 구매 모형은 창업자가 창업결정을 내리는데 필요한 전문성과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둘째, 의사-환자 모형은 창업자가 창업실행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셋째, 과정컨설팅 모형은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팀워크, 리더십 등의 '과정'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둔다. 대학생 창업자는 창업과정에서 진로정보 부족, 경제적 어려움, 가족이나 주변 환경의 반대, 창업에 대한 지식 및 기술 부족, 창업자금 부족, 수익 모델의 부재 등 다양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 창업자가 직면하는 문제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대학생 창업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창업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과 해결과제를 탐구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문제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 선행되어야 하는 활동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창업과정에서 필요한 제반 사항을 조사하였다. 창업컨설팅 모형을 설계하기 위해 Schein의 세 가지 컨설팅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세 가지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타당성을 확립하기 위해 내용타당도 비율(CVR)을 계산하고, 반구조화된 설문을 수행하여 이론적 및 실용적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내용타당도 검토를 위해 구성된 전문가 패널은 8인이며, 모든 항목이 이상적인 내용타당도 비율(CVR)인 0.75 이상을 충족했다. 그러나 일부 항목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CVR이 나타났다. 따라서, 반구조화된 응답 설문지의 내용을 검토하여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확인하였다. 반구조화된 설문 응답에서 주요한 발견 사항은 이론적 적용 가능성을 개선하고, 도식적 표현을 정제하고, 창업단계별 프로세스를 명확히 하고, 대학생 창업컨설팅의 맥락에서 실용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성된 전문가 패널 8인 중에서 심층 인터뷰 대상을 3인으로 선정하고 모형 확정을 위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심층 인터뷰 대상은 대학생 창업컨설팅 맥락과 연구모형 설계에 대한 이해가 있는 교육컨설팅 대표 및 교육학 분야 박사로 구성하였다. 이상의 논의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창업단계별 창업컨설팅 모형의 정량 및 정성적 타당성을 검토하고 컨설팅 모형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창업컨설팅 모형은 대학생 창업지식 활용모형, 창업문제 진단모형, 창업과정 협력모형이다. 모형들은 대학생 창업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하며, 대학의 창업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창업컨설팅 모형의 설계를 통해, 대학생 창업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 창업자 개인에 초점을 맞춘 컨설팅 접근법을 통해 창업이라는 복잡한 과정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헤쳐 나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결과적으로 대한민국의 창업 생태계와 국가 경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 대학생 창업, 대학생 창업단계, 창업지식 활용모형, 창업문제 진단모형, 창업과정 협력모형

      •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소득수준에 따른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의 차이 : 저소득가정과 일반가정 비교

        김경하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has compared low-income families with middle-income ones to find out difference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depending o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income leve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s and social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nd 209 mothers of these children. The scale of Kim Hyeon-Mi(2004), an adapted version of PSI/SF(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which was a downsized revision of PSI(Parenting Stress Index) developed by Abidin(1990), was used with mothers in order to measure their parenting stress. In regards to the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measures which Lim Hee-Su(2000) constructed on the basis of 13 emotional regulation methods employed by Eisenberg(1993) as strategies used for managing emotion, were used with children.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 statistics software. To examin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ocial-demographic backgrounds toward the subject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others were calculated, and for identifying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ment tool, Cronbach α was calcula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by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income level, T-test was conducted and correlation of sub factors for each variable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2-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or not any difference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s found depending on parenting stress and income lev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ub-factor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by income level. Mothers from low-income famili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more stress associated with the 'parents distress',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child's difficult temperament', 'total score of mother's parenting stress' than those from middle-income families. Secon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by sex, in case of male children, the parents distress considered to be a subfactor of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found to be linked to emotion release, evasion, offensive expression and total score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rd, as to the difference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by parenting stress and income level, a main effect and an interaction effect were found in the entire group and a group of male children. In regards to the main effect in the entire group, the group with higher parenting distress was found to have higher total score for evasion, a subfactor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to have higher total score fo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an those with lower parenting distress. As for emotion release, a subfactor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income level and children's difficult temperament, a subfactor of parenting stress. As for the main effect in groups of male children, the group with higher total score of parenting stress showed more emotion release, evasion and higher total score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an those with lower total score of parenting stress. The group with higher parenting distress showed higher total score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emotion release, evasion, and offensive expression than those with less parenting distress. As for emotion release, a subfactor fo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child's difficult temperament, which are considered as the parenting stress subfactor, were respectively found to be interacted with income level. In terms of evasion, a subfactor fo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hildren's difficult temperament and income level which are considered as the parenting stress subfactor were found to have an interaction effect with each other. A significant main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however, were not found in groups of female children.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소득수준에 따른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저소득 가정과 일반 가정을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와 종합사회복지관 4, 5, 6학년 학생과 이들의 어머니 209명이었다.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90)이 개발한 PSI(Parenting Stress Index)를 축소 개정한 PSI/SF(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을 번안한 김현미(2004)의 척도를 어머니에게 실시하였다.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은 정서를 조절(manage)하는데 사용하는 전략들로 Eisenberg(1993)가 사용한 13가지 정서조절방식을 바탕으로 임희수(2000)가 구성한 것을 아동들에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 등을 산출하고,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소득수준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차이와 소득수준에 따른 아동들의 정서조절 능력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증(t-test)과, 각 변인들의 하위요인의 상관을 파악하고, 양육 스트레스와 소득수준에 따른 정서조절 능력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2-way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하위요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 가정 어머니들에 비해 저소득 가정 어머니가 ‘부모 고통’, ‘부모 자녀 간 역기능적 상호작용’,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총점’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간의 상관분석에서 남자 아동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하위요인인 부모고통이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의 하위요인인 감정발산, 회피, 공격적 표현, 정서조절 능력 총점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양육 스트레스와 소득수준에 따른 정서조절 능력의 차이에서는 전체 집단과 남자 아동의 집단에서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전체 집단에서의 주효과는 부모고통이 높은 집단이 부모고통이 낮은 집단보다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총점과 정서조절 능력 하위요인인 회피의 총점이 더 높았다. 정서조절 능력 하위요인인 감정발산에 대해서는 양육 스트레스 하위요인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과 소득수준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남자 아동 집단에서의 주효과는 양육 스트레스 총점이 높은 집단이 양육 스트레스 총점이 낮은 집단보다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총점과 감정발산, 회피가 더 높았다. 부모고통이 높은 집단이 부모 고통이 낮은 집단보다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 총점과 감정발산, 회피, 공격적 표현이 더 높았다. 정서조절 능력 하위요인인 감정발산에 대해서는 양육 스트레스 하위요인인 부모 자녀 간 역기능적 상호작용과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이 각각 소득수준과 상호작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조절 능력 하위요인인 회피에 대해서는 양육 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과 소득수준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여자 아동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주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 꽃의 상징적 이미지와 색채연구 : '꽃-훔쳐보기'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완진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논문은 '꽃-훔쳐보기'라는 주제로 <대학원 졸업작품 평가를 위한 개인전>(2002년 10월2일∼8일, 동덕 아트갤러리)에서 전시된 작품들을 중심으로 한 작품의 내용 분석 및 재료와 기법에 관한 연구 논문이다. 꽃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미감을 만족시켜주는 자연 대상이다. 꽃의 특색 있는 형상과 환상적인 색채는 신비로운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그러한 꽃의 이미지는 나의 경우 그 안에 인간의 여러 모습들과 일상들을 대변해 주기에 충분하다고 생각되었다. 나의 작품 속의 꽂은 꽃이라는 대상을 그대로 객관적으로 재현한 것이 아니라 감성 이미지 그 자체로 형상화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서, 꽃이라는 주제를 객관적 소재가 아니라 그 안에 인간의 여러 모습들과 일상들을 대변해 보여주고 싶었다. 그 표현 수단으로 꽃이 지니고 있는 독특한 구조를 부각시켜 꽃의 형태를 크게 확대하거나 변형시켰으며, 꽃의 고유색에 의해서가 아니라 주관적인 자유로운 색채표현에 의해 나만의 독자적인 환상의 세계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나의 작품의 경우, 색채는 조형 언어로 분위기를 주도하는 것이다. 색채는 인간의 내적 감정에 즉각 반응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내가 의도하고자 하는 꽃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물의 고유색 그대로의 재현이 아니라 주관적인 색채의 자유로운 구사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고, 우의(寓意, allegory)와 상징을 빌어 확대기법을 택했던 외국과 한국의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하면서 일반적인 색과 한국의 전통색이 갖고 있는 심리적인 표현방법도 살펴보았다. 그러나 나의 경우, 꽃마다 꽃잎과 암술, 수술이 붙어있는 모습이 제각기 이고, 개화기 중에도 그 모습은 시시때때로 달라지는 것이 인간과 인간간의 관계와 닳았다고 여겨졌다. 즉 나의 꽃의 확대표현 방법은 전통 초상화기법에서 얼굴의 표현에 집중하고 나머지 부분을 간단하게 선 처리하는 기법에서 원용하여 얼굴에 해당하는 꽃을 확대 표현한 것이다. 그러나 꽃은 그 색이 생명인 만큼 본 연구를 계기로 삼아 나만의 독자적인 색의 사용과 색을 통한 꽃 이미지의 새로운 해석을 모색하는 시도를 통해 사고(思考)와 느낌의 표현 영역을 넓혀가고자 한다. This thesis is about the contents, materials and skills of the works displayed in the <personal exhibition to be evaluated for graduates> (Oct. 2∼8, 2002, at Dong-duk Art Gallery). In general, flowers are the object of nature to satisfy a sense of beauty of man. Distinctive figures of flowers and fantastic coloring contain mysterious beauty. Such image of the flowers, in my cases, represented a variety of kinds of people and routines of human. Flowers of my works are not objectively expressed but are intended to be configurated as an emotional image in itself. In other words, I designed to show the representation of diverse sorts of man and ordinary lives with the subject of flowers, not objective view-point. I enlarged and transformed the form of flowers to spotlight the unique structure innate in flowers and I would like to reveal my own original and fantastic world by expression of my own coloring freely, not by the original colors of flowers. In my works, coloring leads the atmosphere as a language of modeling. Since coloring has characteristics which reacts to human's emotion immediately, it was used as a means of expressing my intended image of flowers. Therefore, this research is focused on free use of subjective coloring, not representation of original color of things in itself and covers psychological methods having general and traditional Korean colors, analyzing the works of foreign and Korean artists who selected extension skills from allegory and symbol. However, in my case, the features of petals, pistils, and stamen are different for each flower and even during the flowering time the figures of them change constantly. Those phenomena are considered similarities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In short, my own extended way of expression shows flowers corresponding to face, derived from traditional portrait method which concentrates on expression of faces and express the rest as simple lines. Nevertheless since color is essential for flowers, I try to extend the boundary of expression of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out the creative use of colors and trial of searching new interpretation of flower's image with this research.

      •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김나라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631

        It is necessary to support undergraduates’ career preparation based on practical research results not only in the cognitive domains but also in the behavioral domains, typicall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cause undergraduate students must substantially prepare for their own careers during the university days. Based on this need of research,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More specific research objectives were as follows: Firstly, to identify the causal structural model fitness; Secondly, to identify direct impacts between variables; and Thirdly, to identify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 resilience.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undergraduate students attending 4-year universities in Korea, and a total of 490 students from 7 universities were sampled using stratified, cluster, and ratio sampling methods. The instrument consisted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resili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demographic items and those items were selected from previous studies.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were secured through pilot and main data collection. The pilo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th to 23rd, 2023 and some items were modified based on the pilot test result. The mai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5th to October 10th, 2003. A total of 560 copies of the instrument were distributed, and a total of 399 copie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IBM SPSS Statistics 21.0 and Amos 24.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as a statistical metho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self-direct learning. This means that the more students have faith that they can make wise career decision, the more prepared they are to control their own internal or external factors as learners; Second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career resilience. This means that the more students have faith in wise career decision making, the better they can cope with difficult situations related to their careers; Third, undergradua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career resilience. This means that the more prepared they are to control their internal or external factors, the more efforts they will make to actively cope with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or difficult situations related to their careers; Fourth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resilience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students who respond flexibly to their career-related environment have a highe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fthly, undergradua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has a direct positive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more learners have a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behavior, the higher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comes; and Sixthly,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students who have greater belief that they can successfully perform the tasks necessary in career decision making process are more likely to displa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conclusions and research proces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need to conduct research with expanded sample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rade, so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ample and conduct research to confirm differences by grade. In the case of freshme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y have not yet performed specific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may not yet have matured in terms of career resilience,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crease as the grades go up; Secondl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tructural model that considers career decision level variabl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n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making,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including career decision level variables; and Thirdly, since the variables related to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ve been revealed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detailed research on the career guidance system and what preparations are needed within universities to support these preceding variables. 대학생들은 재학 중 자신의 진로를 실질적으로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행동적 영역, 대표적으로 진로준비행동 관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그들의 진로준비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을 주된 목적을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인과적 구조 모형을 검정하고 둘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밝히며, 셋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과 진로탄력성을 매개로 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을 연구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이고, 층화 표집, 군집 표집, 비율 표집을 활용하여 총 7개 대학, 490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과 인구통계학적 항목으로 구성하였고, 선행연구들에서 개발된 도구를 연구 맥락에 맞게 선정하여 활용하였으며,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예비조사는 2023년 9월 20일부터 9월 23일까지 실시하였고, 본조사는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역 문항을 일반 문항으로 수정하고, 문항의 순서를 일부 변경하여 2023년 9월 25일부터 10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560부의 조사도구를 배포하여 최종 39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0과 Amos 24.0을 활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으며,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통계 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대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현명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신념을 가질수록 학습자로서 자신의 내적 또는 외적 요인을 통제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진로와 관련된 현명한 의사결정에 대한 신념을 가질수록 진로와 관련된 어려운 상황에 처하더라도 잘 대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은 진로탄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학습자로서 자신의 내적 또는 외적 요인을 통제할 준비가 되어 있을수록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환경 변화나 어려운 상황에서도 적극 대처하기 위해 노력함을 의미한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탄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대학생일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와 행동을 할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더 높아짐을 의미한다. 여섯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자신의 진로와 관련한 의사결정과정에서 필요한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믿음이 큰 학생일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론과 연구 수행 과정을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표집을 확대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 학년별로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다고 나타나, 향후에는 표집을 확대하여 학년별로 차이를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1학년의 경우 아직 구체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수행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진로탄력성 측면에서도 아직 성숙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지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진로결정수준 변인을 고려한 구조모형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진로준비행동은 진로결정수준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해볼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관련된 변인들이 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으므로, 이들 선행 변인을 지원하기 위해서 대학 내에서 어떠한 준비가 필요한지 진로지도 체계에 대한 연구가 보다 구체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구조적 관계, 대학생

      • 재즈댄스 참여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전수옥 同德女子大學校 一般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재즈댄스가 참여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재즈댄스에 참여하고 있는 집단 200명과 참여하지 않는 집단 200명을 무선표집하여 총400명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간이정신진단 검사지(SCL-90-R)의 단축형이며 정신건강의 9개 하위항목으로 이루어져 있고 설문 문항수는 총 5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전체문항에 대한 신뢰도 cronbach' α계수는 .967로 매우 높았으며 각 항목별 신뢰도 계수는 .72∼.86으로 대체로 높았다. 본 연구는 순차형 혼합방법을 사용하여 양적연구를 한 후 재즈댄스에 참여한 집단 가운데 10명을 추출하여 개인면담을 통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면담 질문내용은 각 요인의 정신건강의 증상에 따른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같은 요인끼리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신건강의 9개 하위항목별로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의 개인별 특성인 성별, 연령, 직업, 학력, 참여기간에 따라 나타난 차이와 면담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즈댄스 참가여부와 신체화의 관계는 연령변인에서 20세미만, 학력변인에서 대학원 이상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p<.01, p<.001) 신체적 효과의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따라서 재즈댄스는 신체화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재즈댄스 참가여부와 강박증의 관계는 연령변인의 20세 미만을 제외한 성, 연령, 직업, 학력별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05, p<.01, p<.001) 강박적인 행동들의 소멸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따라서 재즈댄스는 강박증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재즈댄스 참가여부와 대인민감성의 관계는 연령변인에서 20세 미만과 41세 이상, 학력변인에서 고교재학과 대학원 이상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1, p<.001), 개인면담을 통한 대인민감성의 경험은 대인관계와 열등감 등의 효과에 대한 만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재즈댄스는 대인민감성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재즈댄스 참가여부와 우울과의 관계는 연령변인에서 20세 미만과 학력변인에서 고교재학생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인에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p<.05, p<.01, p<.001) 개인면담을 통한 우울의 경험은 긍정적인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재즈댄스 참여는 우울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재즈댄스 참가여부와 불안, 편집증의 관계는 연령변인에서 20세 미만과 학력변인에서 대학원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인에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p<.05, p<.01, p<.001) 개인면담을 통한 불안과 편집증의 경험은 각각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재즈댄스 참여는 불안과 편집증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재즈댄스 참가여부와 적대감, 공포불안의 관계는 성별에서 남자, 연령변인에서 20세 미만, 학력변인에서 고교재학생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인에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p<.05, p<.01, p<.001) 개인면담을 통한 적대감과 공포불안의 경험은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재즈댄스 참여는 적대감과 공포불안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곱째, 재즈댄스 참가여부와 신경증의 관계는 성별에서 남자, 연령변인에서 20세 미만, 학력변인에서 대학원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인에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p<.05, p<.01, p<.001) 개인면담을 통한 신경증의 경험에서 긍정적인 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재즈댄스 참여는 신경증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여덟째, 참여집단에서 참여기간과의 관계는 신체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강박증, 대인민감성,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신경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p<.01). 따라서 위의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재즈댄스 참여는 정신건강의 모든 요인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has a purpose of clarifying the effect that jazz dance brings to mental health. The target of this study will be 200 people who are participating in any jazz dance activity and 200 people of those who do not. Randomly, 400 people were selected. The questionarre of this study is consisted of a contracted form of SCL-90-R, 9 low-ranking items and the total number of questions are 50. This study used 'orderly alligation' and do quantitative study first and after the personal interview if 10 jazz dance participants qualitative study was done. The demographic characters(gender, age, job, education, duration) of the personal interviews of th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jazz dance will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significant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jazz dance and physicalization came out high in the 20s of age section and over graduate schoo in the education section(p<.05, p<.01, p<.001). According to the personal interview it was also clear to see that the physicalization satisfaction was high, Second, the significant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jazz dance and obsessional neurosis came out high in the gender, age, job and educational factor except for the age 20s(p<.05, p<.01, p<.001). Also according to the personal interviews the satisfaction of obsessional neurosis was quite high. Third, the significant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jazz dance and anthropophobia was clear in all factors except age below 21 and over 41 years old and educational levels which are not attending high school and above graduate school(p<.01, p<.001). Also the satisfaction of anthropophobia was quite high according to the personal interviews. Fourth, the significant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jazz dance and depression was high in all factors except below age 20s and high school attendants(p<.05, p<.01, p<.001). Also the satisfaction of depression was high according to the personal interviews. Fifth, the significant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jazz dance and anxiety, paranoia was high among all factors except ages below 20s and educational status above graduate school(p<.05, p<.01, p<.001). The satisfaction of hostility, paranoia was high according to the personal interviews. Sixth, the significant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jazz dance and hostility, fear was high among all factors except ages below 20s and educational status attending high school(p<.05, p<.01, p<.001). According to the personal interviews the satisfaction towards hostility, fear was high. Seventh, the significant lev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of jazz dance and neurosis was high except ages below 20s and educational status above graduate school(p<.05, p<.01, p<.001). According to the personal interviews the satisfaction towards neurosis was high. Eighth, the relationship of participants' group and the period of participation did not give a significant effect to the somatization, however the effect towards somatization, obsessive-compulsive, interpersonal sensitivity,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phobic anxiety, paranoid ideation and psychoticism was high and clear(p<.05, p<.01). According to all the results of the case studies and interviews it is clear to see that the participation of jazz dance does bring positive effects to the ment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