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기관 대상 안전보건교육의 효율성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방수일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35

        공공기관 대상 안전보건교육의 효율성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경영공학과 방 수 일 산업안전보건법 개정과 중대재해처벌법 제정 등 법률을 통해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발생 현황을 보면 2021년 기준 으로 사고사망만인율이 0.43‱로 OECD에 가입한 38개국 중 34위로 높은 수준을 유지 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교육이 이러한 산업재해 감소에 매우 효과가 크다는 것은 많은 선행 연구를 통해 보고되고 있으며,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하면 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안전·보건관리자 및 근로자를 대상으로 안전보건교육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공공기관은 공공의 이익을 목적으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안전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하고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 활동 수준을 높이기 위해 발주기관인 공공기관의 경영진과 관리감독자의 안전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안전보건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공공기관 특성에 맞는 공공기관의 경영진과 관리감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보건교육은 별도로 실시되지 않다가 2021년에 기획재정부에서 주관하는 안전 관리등급제 대상 공공기관 경영진 안전혁신교육이 시범적으로 실시되었고, 2022년 도에 공공기관 경영진 안전혁신교육과 관리감독자 역량강화교육이 실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22년에 실시된 공공기관 경영진 안전혁신교육과 관리감독자 역량강화교육 참가자를 대상으로 교육 참가자의 특성과 교육특성 중 교육 참가자의 행동의도와 전문성 향상도 등 교육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요인과 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내·외 자료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독립변수·종속변수·매개변수간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교육참가자 특성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공공기관 경영진의 경우 상임이사가 CEO보다 행동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EO 과정은 강의 위주의 교육이 진행된 반면 상임이사 과정은 다양한 체험교육이 병행되어 상임이사의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행동의도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공공기관 관리감독자의 경우 건설현장 분과와 작업장 분과가 연구시설 분과보다 전문성 향상도가 높았고 근무기간이 길수록 전문성 향상도가 높은 것을 나타났다. 두 번째 교육특성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공공기관 경영진의 경우 교육특성 (교육품질, 교육강사, 교육환경)이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공공기관 관리감독자의 경우 교육특성 중 교육품질만 전문성 향상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이는 관리감독자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험 위주의 실습교육의 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교육특성이 교육효과(행동의도, 전문성 향상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안전의식 향상도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기관 경영진과 관리감독자 대상 안전보건교육은 행동의도와 전문성 향상도에 영향을 미치는 등 교육효과가 있으므로 이러한 교육이 지속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안전보건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 체험교육장 등을 이용하여 실습이나 체험위주의 교육을 실시하고 안전의식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마련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약 350여개의 공공기관 중 기획재정부에서 주관하는 공공기관 안전관리 등급제 대상 99개 기관을 대상으로 산업안전보건교육원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개인 특성과 교육특성을 단순화하여 연구하였으나 향후에는 공공기관 분과별 사업분야, 근무환경 등 조직특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화요인을 설문문항에 포함하고 우수 공공 기관을 벤치마킹한 후속조치와 산업재해 현황 등 교육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업장 안전관리에 영향력이 큰 공공기관을 통해 산업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전체 공공기관으로 본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여 후속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Key word : 공공기관, 산업안전보건교육, 교육훈련, 행동의도, 전문성 향상도, 안전 의식 향상도

      • 산업구조분석을 통한 국가별 산업고령화지수 모델 개발

        유제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19

        전 세계적으로 많은 나라가 보건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서 전체인구에서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비교 되지 않을 정도로 빠른 속도로 인구가 고령화되고 있다. 2000년에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으며 2020년에는 고령사회, 2026년에는 초 고령 사회가 될 전망이다. 인구의 고령화는 노인 당사자뿐 아니라 전체사회가 직면하는 사회문제이다.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은 고독, 빈곤, 질병 등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고, 사회는 사회적으로 보호하고 경제적으로 지원해야 할 급격한 노인인구 비율의 증가로 인해 의료비 증가, 연금고갈, 노동인력 감소, 사회복지서비스 대상 및 비용의 증가 등의 문제를 안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국가경쟁력을 파악하는 모델로는 고령화 지수나 노인인구비율 같은 인구를 대상으로 한 지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선진국이면 무조건 높게 나오고, 고령화 지수는 높으나 경제성장률이 상승하는 독일 같은 경우를 설명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구 측면이 아닌 산업 측면에서 국가의 고령화 상황을 설명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산업구조를 현 상황에 맞추어서 재분류하고, 각 산업의 가중치를 부여해서 국가경쟁력을 판단하는 국가 산업 고령화 지수를 제시하려고 한다. 산업 고령화 지수는 국가들의 실제 자연연령과 비교함으로써 고령화 현상을 겪고 있는 국가의 현 상황을 설명하는 하나의 의미 있는 지표로써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For world widely, the average life span extended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technology and the birth rate decreased, the portion of the old population has been being increased in very rapid. Korea is the fastest nation increasing the old population in the world. Year 2000 Korea started to face Aging-society, predicting, year 2020 being Aged-society, 2026 being post-aged society. Aging-society issue is not only related with the olds themselves, but also related with whole society. In Aging-society the old need to struggle with loneness, poverty, disease, and etc, and society needs to deal with medical expense, the drain on pension from government, shrinking work forth, and the increasing cost raised by the extension of social welfare. In this context, Aging-index and the old population rate are used to evaluat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By the way the competitiveness of the advanced nation is highly marked. And also it can’t explain why German has increased the economy growth rate in spite of having a high aging-index. Therefore this research intends to suggest other index that can explain the aging of nation which is not respect of population, but industry. To do so, we need to re-categorize the industrial structure in current situation, adding extra point based upon industrial situation, and are going to suggest The Industry Aging Index which can evaluate nation’s competitiveness more accurately. It’s expected that The Industry Aging Index will be a meaningful index that can explain the current situation of nations struggling with aging-society by using through comparing with natural age.

      • 산업 4.0시대의 중소기업 품질 성과지표 상대적 중요도 연구

        성지인 成均關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8719

        품질은 오늘날 세계적으로 대다수의 기업들이 기업의 대내·외적인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면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 한국기업들도 경쟁력제고를 위해 개선해야 할 것으로 90% 이상이 품질을 들고 있어 기업생존을 위한 경쟁력 확보에 가장 중요한 요소가 품질임을 알 수 있으며, 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품질경쟁력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2014년 기준 국내 중소기업 현황을 보면 전체산업에서 사업체수는 99.9%, 종사자수는 87.9%를 차지하는 만큼 국내 중소기업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중소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산업 4.0 시대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품질 성과지표를 갖추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시대가 변할수록 기업의 성과측정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고, 이를 통해 산업의 개념적 차원에서 부터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전제를 할 때 이제 기업의 성과 측정 지표라는 부분 또한 그에 맞게 변화되어야 한다. 현재 많은 회사, 연구소 및 대학에서 4차 산업혁명을 최우선 과제로 생각하고 있지만 새로운 패러다임을 적절히 적용되기에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며,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그 준비 및 대응이 더욱 더 미미하다고 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산업 4.0 시대에 필요한 국내 중소기업의 품질 성과지표 세부 항목을 도출하고, AHP 분석을 통해 산업 4.0 시대에 중소기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해 산업 4.0 시대에 활용할 수 있는 중소기업의 새로운 품질 성과지표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표준협회에서 제시한 중소기업 품질경쟁력 평가지표와 품질 측정 시스템(QSC: Quality Scorecard)을 비교하여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해 산업 4.0 시대에 필요한 국내 중소기업의 품질 성과지표 세부 항목과 중소기업 QSC Wheel을 도출했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 4.0 시대의 중소기업 품질 성과지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중요도와 상대적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AHP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Local Weight 분석 결과 예방, 평가, 성과항목 간 중요도는 평가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 항목 간 중요도 분석 결과 예방항목에서는 결함보상 계획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다. 평가항목에서는 경영리더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과항목 간 중요도 분석 결과 TPM 활동성과가 가장 중요도가 높았다. Global weight의 분석 결과 대 항목 간 중요도 역시 경영 리더십이 가장 높았으며, 중 항목의 분석결과 설비 및 종합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산업 4.0시대에는 경영리더십의 역할과 변화가 중요함을 알 수 있으며, 설비에 따른 설비관리 및 에너지 관리를 위한 관리 방안이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술의 혁신에 따른 적합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운영 및 품질시스템을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는 평가가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을 품질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지만 중소기업의 특성상 잦은 부서이동과 인력부족으로 인해 품질 성과지표와 논문의 방향성을 이해할 수 있는 종사자를 찾기 어려워 표본의 수가 상대적으로 작아 중요도 산출에 있어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이 같은 점을 볼 때 중소기업의 표본을 늘리고 좀 더 객관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해 즉각적인 개선을 도울 수 있는 실무적인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Today, majority of companies in the world consider quality as the most important means to secure competitiveness as adapting themselves to their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90% of Korean companies also say that quality is what to be upgraded for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which shows that quality is the key to securing competitiveness for business survival. Therefore, it is positively necessary for companies to secure quality competitiveness for securement of their competitiveness. The present conditions of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as of 2014 show that 99.9% of businesses in the entire industry are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and 87.9% of the whole employees work for them, which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of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s more stressed. With this trend, it is the time to make preparations for a new quality performance indicator that can be used in industry 4.0 era to secure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competitiveness. As times change, the importance of measuring company performances is gradually emphasized. Assuming that there need to be a change from a conceptual level of industry, company performance indicators have to be changed accordingly. Currently, a large number of companies, laboratories and universities regar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the top priority, but it takes a lot of time to apply a new paradigm properly, and especially,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have not been fully prepared for it ye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new quality performance indicator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that can be used in industry 4.0 era by deducting quality performance details of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needed in industry 4.0 era and analyzing relative priorities of factors influencing o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n industry 4.0 era through AHP analysis. Quality performance indicator details of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needed in industry 4.0 era and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QSC Wheel were deducted by comparing quality competitiveness evaluation indicators suggested by Korean Standards Association(KSA) with Quality Scorecard(QSC) and analyz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Based on this, a survey to analyze the relative priorities of quality performance indicators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n industry 4.0 era was conducted using AHP helpful to decide importances and relative priorities. The deducted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Local Weight analysis result, appraisal had the highest priority among prevention, appraisal and final result category. The analysis result of priorities among the main categories showed that defect compensation plan had the highest priority in the prevention category. Management leadership was the highest in the appraisal category, and the analysis result of priorities among the final result categories showed that TPM performance was the highes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by Global weight, management leadership had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main categories, and equipment and overall efficiency had the highest priority in the sub-categor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oles and changes of management leadership and administration of equipment and energy are important in industry 4.0 era. In addition, to secure suitable qualities according to technical innovations, evaluation that can manage and analyze management and quality systems is what matters the most. In conclusion, though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quality workers in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frequent movements of department and manpower shortage, which are the natures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made it difficult to find those who could understand quality performance indicators and the direction of the thesis, and it might influence on the calculation of priorities since the number of samples was relatively small. Considering this, it is required to increase samples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suggest more objective study results and raise practical efficiency for immediate improvement.

      • 損失函數를 利用한 産業製品의 最適規格値 設定에 있어서 人體特性의 應用

        유병철 동아대학교 1997 국내박사

        RANK : 248719

        일상생활에서 인간이 사용하는 모든 산업제품은 그것이 가지는 고유의 기능 뿐만 아니라 신체 특성이나 치수에 따라 신체적인 안락성과 성능에 영향을 끼치므로 실용적 효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산업제품 설계의 기본이 되는 인간공학적 측면에서의 연구가 되어야 하고 이를 산업제품 설계의 표준화에 응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산업제품의 최적 규격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국내외 규격시스템 현황을 조사하고 규격 설정시 고려해야 할 인간 요소인 인체특성치, 체형 그리고 제품 선택의 선호도 등을 분석하여 손실함수에 의한 최적 규격치 설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고객이 요구하는 치수와 생산자가 제공하는 제품 규격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적의 표준치수를 결정하는 문제로서, 다꾸지의 손실함수를 이용하여 기대 총손실을 최소화하는 요구치수와 규격치수를 결정함에 있어 이분탐색법을 사용한 반복계산 절차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정규분포 누적확률은 IMSL 루틴 DNORDF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사례 연구에서는 제시된 알고리즘을 현재의 한국산업규격과 ISO 기준에 제시된 표준 규격치 결정 절차에 따라 계산된 결과를 실증적으로 비교검증하기 위하여 노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인간공학적인 측면에서 인체측정을 실시하고, 형태적 요인추출을 위한 인자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하여 체형을 분류하고 계량화함으로써 산업제품의 표준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인체 특성치를 고려하여 제시한 본 연구의 최적 규격치 결정프로그램에 의해 노년기 여성용 산업제품의 규격시스템을 도출하여 기존의 치수시스템과 비교분석 및 평가를 하였는데 제시된 모형이 등간격인 한국산업규격 보다 치수간격에 차등을 주어 생산제조업체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소비자의 규격치수 적합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제시된 모형과 한국산업규격과의 비교결과 제시된 모형의 커버율 및 경제적 측면에서의 기대 총손실 비용의 절감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비과학적인 방법에 의해 임의적으로 정해지는 현재의 규격치수 설정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이론화하였으며, 인간공학적 측면에서의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산업제품의 표준화를 위한 설계에 응용할 경우 활용도가 매우 높고 산업현장 및 일상생활에 필요한 제품설계 등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Various types of industrial products which are used these days are need to be designed and manufactured in a way that is proper to the human functions and easy to use. For products which are related to human's body characteristics or sizes, in particular, researches need to be made in human factors point of view and applied to the product design to make the products more effective for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method to select optimal size using loss function for the industrial product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human's body size. For this purpose, human factors such as body characteristics, body features, and preference in product selection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in setting standards were analyzed. This analysis is to select optimal size to minimize losses caused by the difference of size between demand by the customers and supply from the manufacturers. Using Taguchi' s loss function, repetitive calculation process algorithm by using bisearch method was applied in selecting the sizes of demand and supply which minimize the total expected losses. For cumulative normal distribution probability, IMSL routine DNORDF was used. In case study, comparison has been made between the result which was calculated using presented algorithm and the results calculated by the process currently used by KS and ISO by measuring aged women's body size in human factors side and sorting them through the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for feature factor extractoin. Thus, they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industrial product standards. The comparison analysis and evaluation has been made by existing standards for industrial products for aged women with the program presented in this study which takes consideration of bod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is analysis, presented with weighted interval size showed not only more minimized loss for manufacturers but also more appropriate sizes for users than the existing even interval size. The comparison model also gave better coverage for all sizes and cost effctiveness. Therefore, systematically theorized size selection method presented in this thesis are expected to be effctively utilized in application to the design for standardization of not only industrial products, but also daily life products.

      • 鐵鋼産業에서의 原價節減을 위한 P-VE 모델 開發 및 適用

        김종욱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19

        鐵鋼産業에서의 原價節減을 위한 P-VE 모델 開發 및 適用 김 종 욱 명지대학교 대학원 산업경영공학과 지도교수 김 창 은 철강 산업은 중후 장대한 장치산업으로써 초기 대규모 투자비용과 이후 막대한 설비 유지비용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철강업의 원가절감은 Plant Life Cycle 관점에서 Plant 설계 개선과 공정 Loss 저감으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Plant 설계는 고급 설비 엔지니어링 기술력을 갖춘 선진회사에 의존하기 때문에 설계 단계의 혁신 방법론(VE 등)을 접목하기란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또한 공정 Loss 저감을 위해 그 동안 Six Sigma, TPS, TPM 등 다양한 혁신 방법론을 적용하였지만 지속적이면서 뚜렷한 원가절감 효과를 보지 못한 것도 또 다른 상황이다. 철강업은 핵심 기초 소재산업으로 우리나라의 국가 경제발전을 이끈 대표적인 산업이다. 하지만 철강업의 미래는 더 이상 장밋빛이 아니다. 선진 철강공업국보다 우월한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철강수요의 감소, 중국의 공급과잉 등을 극복하고, 철강수요 시장의 고급화·고기능화 추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이를 위해 低 원가 高효율의 제조공정 구현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형 장치산업인 철강 제조공정에서 실질적이며 지속적인 원가절감 방법론을 수립하기 위해 도입된 경영혁신 기법들을 잘 연구하여 어떤 방법으로 접근해야 가능한지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철강 산업 제조공정의 원가절감을 위한 P-VE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어떤 효과와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를 제시하고자 한다. P-VE모델은 VE(Value Engineering)를 기초로 하고, 6시그마(Six Sigma)의 논리적 전개, IPS(Ideal Production System)의 Ideal Cost 설정, IE(Industrial Engineering)의 업무 및 프로세스 최적화, TRIZ의 창의적인 솔루션 도출 등을 융합한 모델로써 철강업체인 P사의 철강 제조공정에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철강산업 제조공정의 새로운 원가절감 프로세스인 P-VE모델은 1)Pre-Study 2)Target Costing 3)Redundancy Analysis 4)Idea Maximizing 5)Control의 5단계로 이루어진다. Pre-Study 단계에서는 CFT구성, 일정계획수립 등을 수행하고, Target Costing 단계에서는 공장별 이상적인 모습을 정의하고 생산량, 허용한도를 고려하여 공정별 Ideal Cost를 산정하고 당해년도 절감해야 할 목표를 설정한다. Redundancy Analysis 단계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원가요인을 빠짐없이 도출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써 공정간 이슈사항과 기술력 진화를 위한 정보분석과 작업방법의 비효율, 속인성 편차를 줄이기 위한 TASK분석 그리고 설비의 고효율 저비용관점의 기능분석, 마지막으로 재료, 에너지 등 원단위 개선 등의 원가분석으로 구성된다. 제약요인에 대한 이슈와 이를 극복한 개선착안점을 모두 도출하여 어디에 무엇을 개선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을 결정하고, 개선 방법을 개략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dea Maximizing 단계에서는 이슈 및 개선착안점을 종합하고, 경제성과 실현성 평가로 채택유무를 결정한 다음, 채택된 개선안들의 영향도 분석으로 잠재적 Risk를 제거하고, 재무효과 분석 및 실행담당자 등을 선정하여 실행해야 할 과제로 구체화하는 것이다. Control 단계에서는 최종 결정된 실행과제를 공장별로 낭비제로 통합시스템에 등록하여 진도, 성과, 산출물관리를 자체 실시하고, 주관부서는 지표 달성의 결과를 주기적으로 리뷰하고 피드백하여 과제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Follow Up을 한다. 제안된 P-VE 모델을 P사의 포항지역 40개 공장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적용하였으며, P-VE 모델을 적용하기 이전의 기존 방법론과 개선착안점 도출 건수, 최종 채택된 실행과제 건수, 그리고 예상 재무성과 금액 관점에서 성과를 비교하였다. 먼저 첫 번째 성과지표인 실행과제 적용 성공률에서는 적용 전 52~72% 수준에서 P-VE 모델 도입으로 인해 94~97%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이것은 기존 방법론으로 발굴된 과제와 달리 P-VE 모델 적용으로 도출된 과제의 실현가능성이 대폭 상승되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성과지표인 실제 가공비 변동에서도 P-VE 모델 적용전의 실적은 +3.3% 상승 수준이었으나, P-VE 모델 적용 후에는 평균 -3.3% 감소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저인망식의 과제발굴로 대량의 원가절감 과제를 산출한 점, 타 공정 영향도 체크 등 과제적용으로 인한 부작용을 사전에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마련한 점, 과제발굴에서 실행, 모니터링까지 과제 Life Cycle을 고려한 관리 시스템을 도입한 점 등 제안된 P-VE 모델이 가지는 장점을 활용하여 성과지표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VE 방법론을 조립 산업이 아닌 프로세스 중심의 장치산업에, 또한 설계 단계가 아닌 공정 Loss 저감을 위한 방법론으로 활용한다는 것은 한편으론 무모하고 또 다른 한편으론 상당히 도전적인 과정의 연속이었다. 수 년에 걸쳐 고객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진화, 발전해온 P-VE 모델은 원가Mind 제고에 대한 좋은 생각과 원가절감 활동 체계에 대한 좋은 패턴을 만들기 위함이며, 무엇보다 문제해결의 능력보다 과제발굴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원가절감의 힘은 세밀함에 있다는 것을 더욱더 강조함으로써 명실공히 그 어떤 방법론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원가혁신 방법론으로 재탄생 하게 되었다. 키워드 : VE, 6시그마, IE, IPS, TRIZ, 원가절감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VE model for cost reduction in steel industry KIM, Jong-Ouk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im, Chang-Eun The steel industry, as a heavy equipment industry, incurred large initial investment costs and subsequently substantial equipment maintenance costs. Therefore, cost reductions in the steel industry can be approached from a plant life cycle perspective by dividing into the plant design improvement and process loss reduction. However, plant design relies on engineering companies with advanced facilities engineering skills, so it is very difficult to use the methodology of design innovation (VE). And, we have applied various innovation methodologies such as Six Sigma, TPS, and TPM to reduce process losses, but it is also true that we cannot deny that we have not achieved sustained and clear cost savings. The steel industry is a key basic material industry, and is a leading industry that has led Korea's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e future of the steel industry is no longer bright. In order to secure superio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an that of the advanced steel rivals, we must overcome the decline in global steel demand and oversupply of China, and we must preemptively respond to the trend of high-tech steel market. For this, implementation of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manufacturing process is not an option but a necessity. Therefore, this paper starts from the desperate need of management to establish and develop a clear methodology for real and continuous cost reduction in steel manufacturing process, which is a large.scale equipment industry. In this study, we propose a P-VE model for cost reduction of steel industry manufacturing process and concentrate on key issues and improvement points related to cost elements. The proposed P-VE model is based on Value Engineering (VE). It is based on 6σ (Six Sigma) logical development, strategic cost setting of IPS (Ideal Production System), process analysis of IE (Industrial Engineering), and TRIZ creative solution. It is applied to manufacturing process of steel company P. The P-VE model, a new cost reduction proces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teel industry, consists of five stages: 1)Pre-Study 2)Target Costing 3)Redundancy Analysis 4)Idea Maximizing 5)Control In the Pre-Study phase, CFT configuration and scheduling are performed. In the Target Costing phase, the future factory is defined as ideal. The ideal cost is determined by also considering the production amount and the allowable limit. The redundancy analysis is an important step for deriving all cost factors to achieve the goal. It analyzes information for inter-process issues, technological evolution, and inefficiency of work method. TASK analysis is to reduce variation in workers performances. Function analysis should be done in the respective of acquiring efficiency and low cost of equipment. Cost analysis should be done for improving basic level of materials and energ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rive both the issue of constraints and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where and what to improve and to outline the improvement method in more detail. In the Idea Maximizing phase, for cost reduction, the issue and improvement viewpoints should be integrated, and the decision to initiate the project should be made based on economic effect and feasibility assessment. Then, the potential risks should be removed by analyzing the effects of adopting improvement measures. In the Control phase, the finally determined execution projects are registered in the project management system of each factory, and the progress, performance and output management are carried out by themselves. The main office periodically reviews the results of the achievement of the indicators and feedbacks them so that the tasks can be successfully completed The proposed P-VE model was applied to 40 plants in Pohang area of global steel company. The results between P-VE model and existing methodology before applying the P-VE model are compared in the respective of the number of improvement ideas, Financial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First, the success rate of execution of projects, which is the first performance index, improved to 94 ~ 97% due to P-VE model as with 52 ~ 72% before P-VE application. This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the projects deriv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P-VE model is significantly valid, comparing to the projects which derived by the existing methodology. In the cost saving respect, which is the second performance index, the manufacturing cost savings before applying the P-VE model were +3.3%, which was improved to -3.3% after applying the P-VE model. P-VE model has a systematic and scientific process like a trawling to find a large amount of cost reduction task and has a function of checking the influence of other processes. P-VE model included the introduction of a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the life cycle of projects. It is believed that i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index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P-VE model Using the VE methodology as a improvement methodology for the process oriented industry rather than the assembly industry, and as a methodology for reducing process losses rather than in the design stages, was a series of reckless and, on the other hand, quite challenging processes. The P-VE model, which has evolved and developed based on customer feedback over the years, is to create a good pattern for improving the Cost Mind and the cost reduction activity system.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and cost-cutting power of detail, we have redefined systematic and scientific cost innovation methodology more than any method. Keyword : Value Engineering, Six Sigma, Industrial Engineering, Ideal Production System, TRIZ, Cost Reduction

      • 로봇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뇌파분석 적용에 관한 연구 : 산업용 양팔로봇의 형태적 디자인 선호도 분석을 중심으로

        조은경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19

        Enormous amounts of resources and number of personnel are invested to secur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coming future by using the robot industry as a driving force for national growth. In the past, the robot is primarily used in some special fields requiring professionalism, such as industry, medical, military, universe and agriculture, but the development field of it is gradually extended into the scope of daily life. As the robot is introduced into the life scope of human beings, it is recognized as a communication individual which interacts with human beings, beyond a general product, an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study on the 'robot design' is emphasized. The scenario develop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characters of the stage of design development show the most prominent difference between robot design and product design process. As the robot is required to not only perform jobs and deliver information but also conduct the 'emotional communication' with human beings, the process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product design occurs. In order to understand subjective feelings and measure emotional satisfactions in establishing characters of robot design, the pyschophysical scale method using a questionnaire are frequently used. The pyschophysical scale method which allows subjects to express their subjective favorites as scores, needs careful attention in designing the questionnaire with objectivity, accuracy, validity,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And it is difficult to avoid psychological distortion even if well-designed evaluation mode and questions are used. In order to overcome such a weakness of the pyschophysical scale method, the number of studies using the psycho-shysio-logical measurements should be increased, and especially the electroenceph-alogram (EEG) is one of them. As a scale of favorite, EEG has an advantage in that emotional responses of subjects can be analyzed in real time, and the psychological distortions can be avoided by using objective and direct psycho-shysio-logical measurements, rather than users' subjective evaluations. In order to effectively overcome many problems of the pyschophysical evalu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relation between questionnaire data of robot favorite and EEG data of subjects who perceive form images of robots and explores availability of EEG according to robot design. The industrial dual-arm robot design is applied to study on development cases by verifying the EEG analysis method having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form favorite of the robot design and providing a guideline regarding form favorite analysis method of industrial dual-arm robot design using EEG. 로봇산업을 국가차원의 성장 원동력으로 삼아 다가오는 미래에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막대한 인력과 자원을 투자하고 있다. 과거 로봇의 활용분야는 산업, 의료, 군사, 우주, 농업 등 전문성이 요구 되는 특수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었지만 로봇 개발영역은 점진적으로 인간의 일상생활 범위까지 확대되고 있다. 로봇이 인간 생활 범위의 영역으로 들어오면서 로봇은 인간과 일반적인 제품 이상의 상호작용을 하는 커뮤니케이션 개체로 인식 하게 됨에 따라 ‘로봇디자인’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떠오르고 있다. 로봇 디자인 프로세스와 일반적인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의 가장 큰 차이점은 디자인 개발 단계에서의 캐릭터 설정과 시나리오 개발이다. 로봇은 사람과의 사이에서 정보 전달이나 직무 수행만이 아니라 ‘감성’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로봇디자인에 프로세스에서는 일반적인 제품디자인 프로세스와는 다른 과정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로봇 디자인의 캐릭터 설정에서의 주관적인 느낌을 파악하고 감성적인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한 심물리적 스케일(pyschophysical scales)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피험자에게 주관적인 선호도를 점수로 표현하게 하는 심물리적 평가 방법은 객관성, 정확성, 타당성, 신뢰성, 가용성을 갖는 설문지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고 잘 고안된 평가 양식과 질문을 이용하더라도 평가과정에서 심리적 왜곡이 일어나는 것을 피하기 어렵다. 이러한 설문지를 이용한 심물리적 스케일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위해 심생리적인(Psycho-physio-logical) 측정방법을 사용하는 연구가 늘어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EEG(electroenceph-alogram; 뇌파)이다. EEG는 선호도의 척도로서 사용자의 주관적인 평가보다 객관적이고 직접적인 심생리적 측정 방법을 이용하면 심리적 왜곡을 피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피험자의 감성 반응을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심물리적 평가 방법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극복하고자 로봇의 형태 이미지를 지각하는 피험자의 뇌파 데이터와 로봇 선호도 설문지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로봇 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른 뇌파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로봇 디자인의 형태적 선호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뇌파분석 방법을 확인하고, 뇌파를 이용한 로봇 디자인의 형태적 선호도 분석 방법을 가이드라인화 하여 산업용 양팔로봇 디자인을 개발 사례 연구에 적용하였다.

      • 산업공학기법을 활용한 8속 변속기 부품의 생산 효율 향상

        황의관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8719

        As market competition increase in today's automotive industry,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by innovative activities such as main issue process improvement and improvement of defect rate for company survival. It is necessary to increase of output which means UPH (unit per hour) for better delivery and lower loss in production. This study analyzes and evaluates the role and cycle time of each step of the production process at the site and presents the improved results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core process stage in order to improve productivity by applying industrial engineering techniques in the automotive vendor that mainly produces Hyundai and Kia 8-speed transmission parts only. The conclusion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C / T (Cycle time) is shorten 15 seconds in the CNC process which is the main core process item and UPH of CNC machine is increased from 1,046 EA to 1,150 EA 2. Productivity is increased about 9.95% and also the LOB (Line of balance) was improved from 67% to 75.5% And also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is needed improved C/T(cycle time) in main core process of automotive vendor and also need process change and know – how by experience for lower defect rate

      • 타워크레인 재해예방요인의 실증적 분석을 통한 국가자격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임성일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19

        본 연구에서는 산업과 직업 그리고 교육의 변화에 따른 자격의 변화라는 거시적 측면보다 새로운 사회변화에 따라 신설․운영되고 있는 자격이 실제 산업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산업발전 및 경영신뢰성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는 중대재해의 발생으로 전체산업의 강도율을 상회하는 건설산업분야 중 동력크레인에 관련된 국가자격 5종목에 대해 그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중 2006년도에 신설·운영된 건설산업 동력크레인 국가자격 중 타워크레인 자격이 건설산업 재해예방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건설산업 안전관련 연구에서 교육적 측면으로 재해예방에 대해 논의되는 편의성에 대해 논리적 문제점을 지적하고, 실제 재해예방 요인이 한 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종합적 요인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재해예방 요인으로서 국가자격이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현장 운전자 216명에 대해 설문하고, 재해예방요인으로서의 국가자격의 입지에 대해 증명하였다. 연구의 수행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재해통계연보를 바탕으로 건설산업 전반에 걸친 재해율과 더불어 최종 타워크레인에 관련된 재해율 그리고 재해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재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는 기존 연구들과 재해통계연보에서 제시된 기본 세 가지 요인과 더불어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법․제도적 요인과 자격적 요인을 추가하여 다섯 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다르게 건설산업 재해예방에 영향을 가장 많이 미치고 있는 것이 교육적 측면이 아닌 기술적 측면과 자격적 측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종 국가자격이 건설산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 따라 미래 종합적 학문과 기술평가의 종합적 요인으로서 보다 개선되어야 할 방향에 대해, 자격의 제도운영 측면 검정운영 측면 그리고 평가운영 측면에 대해, 미래개선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자격이 우리나라 공업화의 유산으로서가 아닌 고기술화 초정밀화 되어가는 현재와 미래 산업사회에서 직업 및 자격에 신호기능, 선도기능, 선별기능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격의 유연한 대처가 국가경제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다는 확신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qualifications newly established and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emergence of new industries and occupational change, and its influences on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job reliability, rather than in the aspects of macroeconomics, the changes in the qualific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industries, occupations and education.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5 national qualifications relating to power cranes among the construction sectors with intensity ratio of labor accident exceeding the average intensity ratio of labor accident across the entire industries and then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qualifications on the construction sector. However, most of the qualifications were established and operated during the time of the industrialization of our countr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nalyze the changes in industries and occupations. Thus, this study, as an alternative, analyzed influence of the newly established qualification on the prevention of the disaster in construction sector focusing on the qualification for the tower cranes for which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disaster statistics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qualifications because of the establishment in 2006. In this paper, the logical problems about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safe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concentrating on the discussion about the prevention of disaster in the educational aspect in most cases, were pointed out and the fact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prevention of disaster in fact consisted of comprehensive factors, was identified. Thus, 5 disaster preventive factors were selected from the experts and the qualified professionals, and then the extent of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in the aspect of the qualification on the prevention of disaster, was investigated and then analyzed. As for the sample for this study, 296 operators of power crane were selected as the respondents to the questionnaire and 216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verify the status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s as disaster preventive factors and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qualifications was presented. As for a quantitative analysis for this study, the final tower crane accident rate, and disaster factors as well as the accident rate across the entire industry through the analysis of Statistical Yearbook of the disaster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ere analyzed. In addition, as for a qualitative analysis, 5 disaster prevention factors in construction industry were selected and the second questionnaire survey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and the findings from this survey were analyzed. The findings showd, unlike the previous studies, what influenced over the prevention of the accidents in construction industry, was the aspect of the technique and the qualification, not the educational aspect. As the qualification factor had th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constriction industry, in respect of the ways to enhance the status as the comprehensive factors for the comprehensive studies in the future and the comprehensive factors for the evaluation of techniques in the future, the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was suggested in the aspect of the qualification system, verification and evaluation by comparing them with the trend on the national qualific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vinced that the national qualification could play a role as the signals the occupations and the qualifications, lead and select them in the industrialized society in the future, not the heritage of the industrialization of our country and the flexible handling of the qualifications c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 산업단지 복합용도 계획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박성용 가천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19

        현재 공공 및 민간차원에서 산업단지 복합용도 계획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법률 및 지침상 개념적인 가이드라인 운영으로 조성 및 재생사업에서 상호 기준 없이 각각 움직이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의 산업 정책변화에 따른 추이 분석도 구조고도화 및 재생사업이 먼저 추진되었고, 후속으로 산업단지 토지용도에 복합용지 및 복합구역이 생기면서 제도간 혼선을 야기시키고, 재생사업은 국토부가 구조고도화사업은 산자부가 진행하면서 재생사업 시너지 효과를 약화시켰다. 도시첨단산업단지는 위치와 기능에 따라서 복합용지 비율, 용적률, 산업시설용지, 주거시설용지, 지원시설용지 기준이 다르게 운영되고 있으며, 수도권에 입지한 단지는 산업기능 보다는 지원기능 위주의 고밀개발로 민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산업단지 조성사업 복합용지 개선방향으로 산업단지 입지여건에 맞춰서 용도지역과 용적률 관리체계 강화, 산업단지 개발규모와 연동한 복합용지 비율 설정, 산업단지 입주수요와 연계한 도시첨단산업단지가 지정되어야 한다. 노후 산업단지 복합용지 및 복합구역 계획 수립시에도 전체 면적에 대한 비율 문제, 건축물 세부용도, 용적률 등이 지역별로 상이하게 움직이고, 민간에서 시행하는 일부 산업단지는 복합용지를 사업시행자가 개발이익을 최대한 취득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노후 산업단지 재생사업 시행시 복합용지는 위치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총량개념으로 접근하고, 이는 산업단지 공간구조 문제와 고밀개발에 따른 기반시설용량 부족 등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산업단지 재생사업 복합용지 개선방향으로 산업단지 내 지원시설용지와 대중교통 연계체계가 양호한 역세권 지역을 고려한 단계별 복합용지 위치 지정, 산업단지 입지여건 및 기능에 따른 복합용지 총량기준 설정, 재생사업과 구조고도화사업 및 관리기본계획과의 정합성이 이루어져야 지만 산업단지 조성 목적과 취지에 적합할 것이다. 산업단지 복합용지 계획 실태분석에 제시된 개선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복합용지에 대해 체계적인 정책 연구가 시행되어야 한다. 전국단위 권역별 산업집적지 마스터플랜수립으로 재생사업, 구조고도화사업, 경쟁력강화사업의 밑그림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권역별 산업단지 및 공업지역에 대한 복합용지 총량을 설정하고, 총량 배분시 입지여건 및 산업단지 기능에 따라 차별화하는 전략수립도 필요하다. 또한, 복합용지 잦은 변경에 따른 강제규정, 공공기여 방안, 개발이익 재투자 등과 연계한 세부적인 가이드라인 수립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계획 실태분석이 기존 통계 및 사례중심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산업단지 맥락에서 한계를 갖고 있으나, 향후 보완할 수 있는 정책 연구가 공공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건설업 안전보건규제 준수의지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안광용 明知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8719

        건설업 안전보건규제 준수의지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안 광 용 명지대학교 대학원 산업경영공학과 지도교수 강 경 식 산업화 이후 산업구조가 복잡해지고 고도화되어 생산기술도 기계화․고능률화가 진행되어가면서 산업재해 발생 위험이 존재하고, 더욱 더 새로운 위험이 발생하고 있다. 건설 산업의 경우 일반 산업에 비해 작업환경이 급속히 바뀌는 특성을 갖고 있고 이러한 특성의 작업환경 속에서 근로자가 적응하는 과정에 사고발생 위험이 높은 작업이 많이 존재할 것이다. 또한, 다른 산업보다 유해하고 위험한 작업을 상당부분 보유하고 있어 사고가 발생할 경우 재해의 강도가 그만큼 높게 나타난다. 실제로 건설업에서 사망재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어 건설 산업현장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체계적인 안전관리방안이 필요하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건설 산업의 안전보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정부와 민간이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하여 문제해결을 도모해왔다. 이와 함께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각종 산업안전 연구는 지금까지는 교육 등 안전의식, 안전문화, 기술안전 등의 영역에서 집중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젠 앞으로는 산업안전 연구는 산업안전의 기준인 안전규제와 정책을 바탕으로 각종 산업안전 영역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중점적으로 고려할 연구주제는 건설 종사자 중 공사현장에서 직접 종사는 관리자와 근로자로 하여금 산업안전규제 준수의지와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 및 산재예방활동․관리방향이 어떠한 것인지 이다. 또한, 산업안전규제와 관련한 실증적 연구에 앞서 현장 관리자와 근로자가 산업안전규제를 준수하려는 의지가 현장에서 종사하는 근로자를 산업재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지 근본적인 의구심이 있다. 이러한 의구심에 대해 현장에서 직접 산재예방활동을 참여하는 현장 관리자와 근로자가 현장조직 내에서 조직행동론의 개인적 요인인 조직애착과 임파워먼트를 매개하여 접근하는 것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현장 관리자와 근로자를 대상으로 규제순응도가 조직애착, 임파워먼트를 통해 안전보건규제 준수의지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안전관리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 당사자이고 산업재해를 예방활동을 직접 관리․활동하는 현장 관리자와 근로자가 실질적으로 법을 준수하는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이들이 형성하는 산업안전규제 준수의지가 산업재해 예방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공사현장에서 근무하는 관리자와 근로자가 대상이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근무하는 현장소장, 안전관리자, 관리감독자,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설문에 참여하도록 하여 총 55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가설검정을 위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상단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고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산업안전규제 준수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은 규제 인정도와 규제 준수도로 나타나 산업안전규제 준수의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규제 인정도과 규제 준수도가 필요하며, 조직애착과 임파워먼트도 함께 향상시키면 산업안전규제 준수의지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장 종사자들의 산업안전규제 준수의지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건설현장에서 산업안전규제 준수의지를 기반으로 산재예방활동이 전개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향후, 연구검토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설문모집단이 수도권 지역 120억원 이상 현장, 현장 종사자로 제한되었던 범위를 전국 지역 현장으로 모집단을 대상으로 관리자와 근로자를 나눠 산업안전규제 준수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장하여 연구를 수행해 보고자 한다. 주제어 : 임피워먼트, 조직애착, 준수의지, 산업안전보건법, 규제순응, 안전보건규제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Factors for Compliance with Construction Safety and Health Regulations Ahn Kwang-yong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Management Engineering Graduate School,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Kang Kyung-sik After industrialization, industrial structure has been complicated and elevated, so productive techniques are also mechanical and highly efficient. Meanwhile, there is risk for industrial disaster and newer danger is generated. Working environment of construction industry is changed more rapidly than general industries and there are lots of works with high danger of accidents while workers are adapted themselves to working environment. Also, it is more dangerous and has more dangerous works than other industries, so strength of disaster is much high in case of accidents. Actually, there are most death disasters in construction industry, so it’s necessary to manage safety systematically so as to secure safety of construction field. So, in our country, government and individuals prepared measures to solve safety and health problems of construction industry in various ways and have promoted problem-solving. In addition, all sorts of industrial safety studies for preventing industrial disasters have been conducted by focusing on sectors of education such as safety awareness, safety culture, technical safety, etc. Following studies on industrial safety must be conducted continuously and positively for all sorts of industrial safety based on standard of industrial safety, safety regulations and policies. Especially, research subject to be considered intensively is policies, industrial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direction for improving managers and workers’ will to obey industrial safety regulation and safety in construction field among the construction workers. In addition, before positive study on industrial safety regulation, there is a basic doubt that the will field managers and workers want to obey industrial safety regulations can protect workers of the field from industrial disasters. For the doubt, field managers and workers who participate in industrial disaster prevention in the field approach in field organization through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empowerment of organization behavior theory.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regulation adaptation and will to obey safety health regulations through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empowerment for field managers and workers and suggest direction for effective health management that can prevent industrial disasters. In addition, they are damaged by industrial disasters of the field and field managers and workers that directly manage and conduct industrial disaster prevention are actually in charge of the obeying of laws, so the will to obey industrial safety education formed by them is effective to prevent industrial disasters.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managers and workers of the construction field, so field chief, safety manager, management supervisor, worker, etc. of the field participated the survey, so total 55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credi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unselling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used for hypothesis analysi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confirmed. In conclusion, main factors that make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 to obey industrial safety regulations were regulation recognition and regulation obeying. To improve the will to obey industrial safety regulation, regulation recognition and regulation obeying are necessary. If improving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empowerment together, it can be helpful to improve the will to obey industrial safety regulations. The results are significant to draw problems and improvements for the field workers’ will to obey industrial safety regulations and from now on, it should be helpful to carry out industrial disaster preventive activities based on the will to obey industrial safety regulations in construction field. In the future, if research and examination are conducted additionally, mother group of survey is the field of more than 12 billion won in metropolitan area. The range restricting field workers is the whole nation and they are divided into managers and workers. And then, it’s to conduct a study by expanding to the effects on the will to obey industrial safety regulations. Keyword : Empower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plianc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Regulatory Compliance, Safety and Healt Reg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