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후기 노론의 지역기반 변동연구 : 畿內 진출가문의 묘역변동을 중심으로

        유준상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사학과 한국사(Ⅱ)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34287

        Postulating that the family to seize political hegemony in the Joseon Dynasty builds up the regional base by possessing the tombs and land near modern-day Seoul and in modern-day Gyeonggi-do Province,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 in terms of the possession or expansion of the regional base in Gyeonggi-do Province from Bukin faction, Namin faction, Soron faction to Noron faction, through the political events such as the change of political hegemony from the meritorious elite(Hungu: 勳舊) to Neo-Confucian literati(Sarim; 士林) and enthronement of King Injo subsequent to dethronement of a predecessor king, Gapsul Hwanguk and enthronement of King Yeongjo caused by the factional politics. From the premise, first, I look into the move of the tomb spots of a pivotal ancestor and other ancestors into Gyonggi-do Province and change of their stronghold in the families of Andong Kim, Gigye Yoo, Yeoheung Min and Gyeongju Kim in order to grasp the distribution of Noron families' tombs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Second, the paper takes a look at the move of the regional base of Gwangsan Kim clan and Eunjin Song clan from initial strongholds to the Gyeonggi-do Province under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Gyeongsin Hwanguk and Gapsul Hwanguk in the late 17th century. Third, the paper examines the case of the loyal family that is among the meritorious elite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with Seoin faction through the marri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 and disciple with the faction as the loyal family drifts apart from King family, integrates into Noron faction and maintains or expands the regional base or the tombs of the loyal family in the Gyeonggi-do Province. As described above, the paper looks into three types of Noron faction to advance to the Gyeonggi-do Province in the chapter 2, 3 and 4 respectively. In chapter 2, the paper examines the distribution of Noron families' tombs located in the Gyeonggi-do Province. The first case, Andong Kim clan that live generation to generation inside the Gyeonggi-do Province from 16th century after moving from an initial stronghold and secures the stronghold in Seoul by taking up pubic offices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become a meritorious retainer and then build their tombs in the Gyeonggi-do Province. The second case, Gigye Yoo clan that go to their hometown in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and establish their tombs and stronghold in Goyang and Hwado, Namyangju, Gyeonggi-do Province as Neo-Confucian literati seizes the political hegemony. The third case, Yeoheung Min clan that go to their hometown, Daejeon, after King Sejo in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and build up their tombs and stronghold in Namyangju through Eulsa Sahwa. The fourth case, Gyeongju Kim clan that build up their tombs in the Gyeonggi-do Province in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but go back to Seosan, act as the major family in the region and build up their tombs in Namyangju and Yeoju located in the Gyeonggi-do Province through emergence of Queen Jeongsun in power. These clans play a pivotal role in enthronement of King Injo in the 17th century, lead the rejection of negotiations with Qing Dynasty in China after the Manchu war of 1636, are integrated into Seoin-Noron faction and are involved in the historical events such as Yeasong dispute, Gisa Hwanguk, Gapsul Hwanguk, Shinim Sawha and enthronement of King Yeongjo. During the events, the clans maintain their tombs situated in Gyeonggi-do Province constructed in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or construct the other tombs in other areas in the Gyeonggi-do Province. The clans like Andong Kim, Yeoheung Min and Gyeongju Kim lead political situation as a member of Noron faction, and mak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king family through cultivating queen, becoming a father in law of a king or a son in law of a king, while the clans construct their tombs in the Gyeonggi-do Province. Gigye Yoo clan finally seize the political hegemony in the process of Shinim Sahwa occurred as part of power struggle between factions and build the tombs and secure the stronghold in Seoul. In addition, establishing the stronghold for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their tombs in not only the Gyeonggi-do Province but the Chungcheong Province served as the hinterland for the advance to the political world of the capital. In the chapter 3, I take a look at the type that the clans build the tombs in the Gyeonggi-do Province after Gapsul Hwanguk. Gwangsan Kim clan and Eunjin Song clan, the key families of Noron faction, advance to the Gyeonggi-do Province in the 17th century when Kim Jangsaeng and Song Siyeol hold the political hegemony of the dynasty. Gwangsan Kim clan case, Kim ban, Kim Ikhui and Kim Mangi, sons of Kim Jangsaeng receive public posts and actively lead the political situation. The daughter of Kim Mangi become Queen Ingyeong, Kim Mangi become a father in law of King Sukjong. Thus, the political influence enables the clan to construct the tombs in the Bukbang-myeon, Gwangju, modern-day Daeyami-dong, Gunpo-si. Eunjin Song clan case, the clan live for a long time in Hoedeok and Cheongju. As Song Siyeol seize power in the days of King Hyojong, the political clout enables the clan to build the tombs in Manui, Suwon, modern-day Dongtan. The common feature of the two clans is that as the big shots in the two families who reside for a long time in Chungcheong region are directly involved in the politics in the 17th century, the growing influence makes the clans to establish their tombs and strongholds in the Gyeonggi-do Province. It shows that the influential clan in the hometown becomes a major clan in the capital area since the 17th century owing to the seize of the political hegemony. In the chapter 4, I explain the Lee Gyeongyeo's prince Milsung clan and Lee Huwon's prince Geangpyeong clan. The two clans are loyal families but are classified as the Seoin-Noron faction because of the relationship established by marriage and master and disciple. The two clans are a member of the loyal family as a prince. Thus the clans can foster their tombs in the vicinity of the capital called Hanyang such as Gwangju region, modern-day Choi-dong, Hanam-si, Hakdang-ri, modern-day Seolleung and Daemosan Mountain in Suseo. But, after several generations pass, the clans drift apart from the loyal family, integrated into the nobility and establish the relationship with Neo-Confucian literati by marriage and master and disciple. In addition, during the power struggle between factions of Neo-Confucian literati, the clans from the loyal family that belongs to Seoin-Noron faction receive the public posts and actively join in the political activities. Like other Noron clans, the clans can maintain their tombs and stronghold in the Gyeonggi-do Province and expand the tombs and stronghold to other Gyeonggi regions and Hose regions. The clans from the loyal family's establishment of the close relationship with major clans of Seoin-Noron faction by the marriage give the chance to join in Seoin-Noron faction to the clans initially of the loyal family. The Noron families hold the political hegemony amid the factional politics and then go through the ups and downs in the process of Gabin Yeasong, Gisa Hwanguk and Shinim Sahwa. However, since King Yeongjo, Noron clans secures the political hegemony and become the major clans in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 Thus, Noron clans secure the areas for their tombs and stronghold in several regions of the Gyeonggi-do Province. I realized that Noron clans are not clans that possess the large land inside the Gyeonggi-do Provin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while experiencing the historical events such as the shift of power from the meritorious elite to Neo-Confucian literati and enthronement of King Injo subsequent to dethronement of a predecessor king, the rejection of negotiations and the expedition plan to conquer the Qing Dynasty after the Manchu war of 1636, Yeasong dispute and Gapsul Hwanguk, Shinim Sahwa and enthronement of King Yeongjo caused by the factional politics, Noron clans ultimately take political hegemony and expand the areas for their tombs and stronghold inside the Gyeonggi-do Province or newly advance to other Gyeonggi regions. As the factional politics unfolds, the aspect in the regional base of each faction changes. The Yongnam region-based clans losing the political power since King Inj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 family, issue the genealogy and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and construct and run lecture halls in order to unite the members of the clan and band other clans together. Meanwhile, the Hoseo region-based clan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political world of the capital as a de facto power. The Gyeonggi region has the tombs of the loyal family and the ruling class as a hinterland of power. The Gyeonggi region-based clans enter the political world of the capital and the Gyeonggi region serves as a hinterland of power.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as the Noron faction takes power since King Yeongjo, Seoin clans as a major faction of Noron faction increasingly acquire the ownership of tombs, agricultural land and villas.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정국의 주도권을 확보한 가문은 서울 근교 및 畿內에 묘역과 토지를 소유하여 지역기반을 형성하였다는 점을 전제하여 훈구와 사림의 교체와 붕당정치 과정에서의 인조반정, 갑술환국, 영조의 즉위 등 정치적 사건으로 북인, 남인, 소론세력의 지역기반이 기내에서 밀려나고 노론세력이 정국의 주도권을 확보하면서 지방에서 기내로 묘역이 진출하거나 기내에서의 지역기반 또한 확장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러한 전제하에 첫 번째는 기내 소재 노론계 가문의 묘역 분포를 검토하여 안동김씨, 기계유씨, 여흥민씨, 경주김씨 가문의 중흥조와 기내묘역의 이동, 세거지 등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는 17세기 후반 경신대출척과 갑술환국을 배경으로 광산김씨와 은진송씨 가문이 지방에서 기내에 자리잡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로는 왕실가문으로서 조선전기에는 훈구세력이었으나 왕실과의 관계가 소원해지며 서인계 사림들과 혼맥관계와 사우문인관계 등을 형성하며 노론세력에 편입되어 기내에 지역기반이나 묘역을 유지하거나 확장하는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기내 진출의 노론가문을 세 가지 유형을 각각 2, 3, 4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기내 소재 노론계 가문의 묘역 분포를 검토는 기내에 16세기부터 세거해온 노론가문들은 16세기 지방에서 세거하다가 대대로 벼슬을 역임하고 공신에 들어 京邸를 마련한 후 기내에 묘역을 마련한 안동김씨, 조선전기에는 충청도로 낙향하였다가 사림정치의 전개를 계기로 기내의 고양과 남양주 화도에 묘역과 세거지를 마련한 기계유씨, 조선전기 세조대 이후 대전지방에 낙향하였다가 을사사화의 신원과정에서 남양주에 묘역과 향제를 형성한 여흥민씨, 조선초 기내에 묘역을 마련하였으나 서산으로 낙향하여 지역의 유력가문으로 활동하다가 정순왕후의 배출과 수렴청정으로 인하여 남양주와 여주로 묘역이 기내에 진출한 경주김씨 등을 사례로 들었다. 이들 가문은 17세기 인조반정을 주도하고 병자호란 이후 척화에 앞장섰으며 서인-노론으로 이어지는 정치세력에 편입되어 예송과 기사환국과 갑술환국, 신임사화와 영조의 즉위를 통한 붕당정치의 중요한 사건을 거치며 조선전기에 확보한 기내의 묘역을 유지하거나 기내의 다른 곳으로 확장할 수 있었다. 또한 노론가문으로서 정국을 주도함에 따라 왕비를 배출하여 국구가 되거나 부마가 되는 등의 왕실과의 혼맥을 통해 안동김씨, 여흥민씨, 경주김씨의 경우처럼 새롭게 기내에 묘역을 형성하였으며 기계유씨의 경우처럼 붕당정치 과정에서 신임사화를 거치며 최종적으로 주도권을 확보를 계기로 기내의 묘역과 경저를 확보하였다. 또한 기내지역 뿐 아니라 주로 충청지역의 지방에도 묘역과 세거지를 형성하여 이념집단으로서 중앙정계의 배후지 역할을 하였다. 3장에서는 지방에서 갑술환국 이후 기내에 묘역을 마련한 유형을 살펴보았다. 조선후기에 기내에 진출한 노론의 핵심가문인 광산김씨와 은진송씨가문은 17세기 사계 김장생과 우암 송시열 등의 전국적인 정국운영을 배경으로 기내에 진출하였다. 광산김씨의 경우 김장생의 아들 김반과 김익희, 김만기의 관계진출과 주도적 정국운영을 배경으로 김만기가 숙종의 비인 인경왕후를 배출하여 국구에 오르면서 기내의 오늘날의 군포 대야미동인 광주 북방면에 묘역이 진출하였고, 은진송씨의 경우에는 회덕과 청주 등지에 세거하다가 효종의 북벌 이후 우암 송시열의 정국운영과 그에 따른 기내의 활동을 배경으로 오늘날의 동탄인 수원 만의에 묘역이 진출하였다. 두 가문의 공통점은 17세기 이후 충청지역에 주로 세거하던 가문의 인물이 정국운영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면서 커진 정치적 영향력으로 인하여 기내에 묘역과 세거지가 진출한 경우이다. 지방의 가문이 17세기 이후 한국의 사상과 정국을 주도하며 기내에 정착하는 주요가문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왕실출신 가문이면서 혼맥관계와 사우문인관계로서 서인-노론세력에 속한 사례로 이경여의 밀성군파 가문과 이후원의 광평대군파 가문을 들 수 있다. 두 가문은 왕자의 신분으로 왕실의 일원이었던 관계로 조선시대 광주의 영역이었던 하남 초이동과 오늘날 선릉인 학당리, 수서 대모산과 같이 기내에서도 한양에서 가까운 곳에 묘역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세대가 지나고 가계가 복잡해지면서 이들 가문은 종실로서의 신분에서 벗어나 사대부에 편입되면서 사림에서의 혼맥관계와 사우문인관계를 통한 사회기반을 구축하였다. 또한 붕당정치의 전개와 사건에 따라 서인-노론에 속한 왕실출신 가문은 관계에 진출이 계속되어 정국주도에 참여할 수 있었고 다른 노론가문과 마찬가지로 그들의 기내의 묘역과 세거지를 유지하거나 기내의 다른 지역과 호서지역으로 확장할 수 있었다. 또한 왕실출신 가문이 서인-노론에 속할 수 있었던 계기는 서인 및 노론의 주요 가문들과의 혼맥을 통하였다는 점도 특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노론가문은 붕당정치가 전개되면서 조선후기 정치적 주도권을 확보하였으나 갑인예송과 기사환국, 신임사화 등의 부침을 겪기도 하였다. 그러나 영조 이후 노론이 정국의 주도권을 확보하면서 조선후기 유력 벌열이 된 노론가문은 기내의 다수 지역을 묘역과 향제 등으로 확보할 수 있었다. 노론은 조선 초부터 기내에 대규모 토지를 가진 고정적인 벌열가문세력이 아니라 훈구에서 사림으로의 교체 이후 붕당정치의 전개로 인조반정, 병자호란의 척화와 북벌, 예송과 갑술환국, 신임사화와 영조의 즉위로 노론이 최종적인 정국주도로 기내에 묘역과 향제, 토지의 소유가 확장되거나 기내에 새롭게 진출하는 가문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붕당정치의 전개에 따라 각 지역에 기반을 둔 각 붕당의 지역기반의 양상은 달리지게 되었다. 영남지역은 중앙정계에서 배제된 인조 이후 문중조직 강화와 족보, 문집의 간행, 서원의 건립과 운영 등을 통해 문중 내의 상호보장과 타문중과의 연대를 꾀하였다. 이에 반해 호서지역은 인조 이후 이념집단으로서 중앙정계의 배후세력의 역할을 하였으며, 경기지역은 조선초기 왕실이나 지배층의 배후지로 묘소가 있다가 집결하면 중앙으로 진출하고 그 배후 근거지가 되었다. 조선후기 서인은 영조 이후 노론이 집권하면서 노론 핵심세력의 묘소, 田莊, 별업 등의 소재지를 늘려갔다.

      • 高麗 元宗代 麗·蒙 關係와 東寧府 설치

        강재구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271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progress in the Koryeo-Mongol Yuan Empire relationship and the policy objective of the Mongol Yuan Empire after entering into the peace pact, which had been brought about through establishing the Dong-Nyoung-bu(東寧府, the Local Authorities of “Dong-Nyoung”) in Bukgye(北界) by the Mongol Yuan Empire in 1270 (the 11 year of King Won-jong). Koryeo and the Mongol Yuan Empire began to try figure out a way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after entering into a peace pact in 1260. Khubilai wanted to hold the regime under Kim Jun in check, who was regarded as a potential risk, by supporting the royal family of Koryeo Dynasty, so that they could carry out the east-oriented policy in a stable way. The Mongol Yuan Empire wanted to impose the policy on Koryeo, which was like the policy it had used to reduce Japan to obedience by dispatching an envoy. And in this process, the Mongol Yuan Empire exercised it influence to the political situation in Koryeo. The Kim Jun regime, which felt menace from the pressure of Mongol Yuan Empire, tried to find a way to dethrone the king or transfer the capital to an island. And at last King Won-jong succeeded to oust Kim Jun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 vassal named Yim Yeon. The removal of kim Jun was carried out under the direct leadership of the kin. As a result the internal status of King Won-jong was raised a lot. On the contrary, Yim Yeon began to feel fear of the increasing power of King Won-jong and the cozy relations between royal families of Koryeo and Mongol Yuan Empire, so that he dethroned the king in a hurry, making an attempt to change the situation. The information regarding dethronement of King Won-jong was conveyed to Khubilai by the crown prince Sim, who was staying in Mongolia at that time. The crown prince Sim was ennobled as 'Dong An Gong(東安公)' and granted a government post called 'Teuk Jin Sang Ju Guk(特進 上柱國)' by Khubilai. Though the ennoblement of crown prince as 'Dong An Gong' was called off, we may assume that on one hand Khubilai was trying to keep tight control over Yim Yeon by using the crown prince, but on the other hand he was trying to isolate Yim Yeon, refusing to admit the dethronement of King Won-jong. When Choi Tan and Lee Yeon-ryeong rose in rebellion in Bukgye, Khubilai approved the active obedience of Choi Tan and his men, so that the Khan could set a foundation on which he could intervene in the affairs of Koryeo. This implied that the Khan changed the diplomatic policy in which he tried to keep tight control over Yim Yeon by using the royal family of Koryeo, and the establishment of 'Dong-Nyoung-bu' was a part of counterstrategy. The 'Dong-Nyoung-bu' was established unilaterally regardless of the intention of Koryeo. After returning to reign, King Won-jong filed a strong protest with Mongolia, demanding the return of territory. But it was not accepted at all. So, King Won-jong began to govern the country himself(親朝) and gave the Mongol Yuan Empire to transfer the capital to land(出陸還都) and subjugate the powerful courtiers. On the other hand, he proposed intermarriage of royal families in both countries, trying to foster closer links with the Mongol Yuan Empire, however, his proposals were not accepted as the royal family could not expel the political group led by Yim Yeon completely. The purposes of establishing 'Dong-Nyoung-bu'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ongol Yuan Empire aimed to expel the Yim Yeon regime and prevent Koryeo from rearming and betraying through establishing the 'Dong-Nyoung-bu'. In addition, the Mongol Yuan Empire tried to get a foothold for the east-oriented policy that could connect Nam-song, Yo-dong and Japan together, as well as secure a bridgehead through which it could hold a tight control over Koryeo. The strategy of Mongol Yuan Empire can be reviewed through the policy-making process in the court of empire up to the establishment of 'Dong-Nyoung-bu'. As the empire was sufficiently aware of the strategic value of Koryeo, it made a great effort to use the policy to realize the strategy. The establishment of 'Dong-Nyoung-bu' was a part of strategy called 'Yi-yi-je-yi(以夷制夷)', which meant that an enemy could be beaten off by another enemy, so that the Mongol Yuan Empire could reduce the unnecessary waste of military power caused by a full-scale war with Koryeo, making the best use of the geopolitical value of Koryeo located near by Nam-song and Japan. In short, the empire established the 'Dong-Nyoung-bu' in Bukgye Area in order to maximize the strategic value of Koryeo and invade Nam-song and Japan, preventing Nam-song, Koryeo and Japan from banding together. And this was possible on condition that the Koryeo Dynasty could be kept. Secondly, the 'Dong-Nyoung-bu' was established in order to hold the three eastern royal families(東方 3王家) in Yo-dong Area in check, which were regraded as potential threat to Khubilai. The three eastern royal families participated in the war between Koryeo and Mongol Yuan Empire, and they were steadily seeking for self-aggrandizement into the territory of Koryeo. Khubilai tried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three easter royal families on the territory of Koryeo by ordering the troops of the families to withdraw, which were stationed in the Bukgye Area during the war. And also, he stationed the forces under his direct command in the Bukgye Area under the pretense of the dethronement of King Won-jong and rebellion raised by Choi Tan and his men. This implied that Khubilai took hold over the Bukgye Area which played a role as a buffer area on the border with Yo-dong in terms of geography. And the establishment of 'Dong-Nyoung-bu' helped to block the power of the three eastern royal families in the Yo-dong Area. By doing this, Khubilai could fully reflect his own political intention in the political situation of Koryeo, and also he could reorganize the poli 본 연구는 1270년(元宗 11) 몽골이 고려의 북계지역에 두었던 “東寧府”의 설치 과정을 통해 강화 이후 고려-몽골 관계의 추이와 몽골의 정책적 목적을 검토하였다. 고려와 몽골은 1260년 강화 성립 이후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게 되었다. 쿠빌라이는 동방 정책의 안정적인 수행을 위해 고려왕실을 후원하여 그로 하여금 잠재적 위험 요인이었던 김준정권을 견제하도록 하였다. 몽골은 일본 초유와 같은 정책을 고려에 부담지우고자 하였고, 그 과정에서 고려의 정세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러한 몽골의 압력에 위협을 느낀 김준정권은 국왕 폐위·해도재천 등을 모색하기에 이르렀고 결국 원종은 임연과 공조하여 김준을 제거하는데 성공하였다. 김준 제거는 원종이 주도하여 단행되었다. 그 결과 원종의 대내적 위상은 크게 격상되었다. 반면 임연은 높아진 원종의 위상과 여·몽 왕실간의 유착에 위협을 느끼고 다급하게 원종을 폐위시키며 국면 전환을 꾀하였다. 임연의 원종 폐위사건은 당시 몽골에 체류 중이었던 세자 심에 의해 쿠빌라이에게 전해졌다. 쿠빌라이는 세자 심을 ‘東安公’에 책봉하고 ‘特進 上柱國’을 제수하였다. 세자의 ‘동안공’ 책봉은 이후 철회되었지만, 그를 통해 쿠빌라이가 세자를 통해 임연을 통제하는 한편 폐위 자체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임연을 고립시키는 의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최탄·이연령 등의 북계 반란이 일어나자 쿠빌라이는 최탄 등의 귀부를 승인함으로써 고려에 직접 개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는 고려왕실을 통해 임연을 통제한다는 방침의 변경을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동녕부 설치는 그 연장선 상에서 이뤄진 조치였다. 동녕부는 고려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일방적으로 설치되었다. 원종은 복위 후 몽골에 강력하게 항의하고 그 반환을 요구했지만 모두 수용되지 않았다. 이에 원종은 복위 즉시 친조를 단행, 출륙환도와 권신 토벌을 약속하는 한편 왕실 통혼을 제의하면서 몽골과 적극적인 유착을 시도했지만 고려왕실 스스로 임연을 완전히 축출하지 못하면서 수용되지 못했다. 몽골이 동녕부를 설치한 목적은 첫째, 동녕부 설치를 통해 임연정권을 축출하여 고려의 재무장과 이반 가능성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고려를 통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는 한편 남송-요동-일본으로 이어지는 동방 정책을 위한 거점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는 동녕부 설치에 이르기까지의 몽골 조정 내에서의 정책 결정 과정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몽골은 고려의 전략적 가치를 충분히 인지하고 그것을 온전히 구현하기 위해 정책을 구사하였다. 동녕부 설치는 몽골이 고려와의 전면전에 따르는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막으면서도 남송·일본과 인접한 고려의 지정학적 가치에 주목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以夷制夷’의 일환이었다. 즉, 고려의 전략적 가치를 극대화하는 한편, 남송·일본 경략 및 宋-麗-日 연대를 차단하고자 북계지역에 동녕부를 설치하였던 것이고 이는 고려왕조의 유지를 전제로 성립할 수 있었던 것이었다. 둘째, 동녕부는 쿠빌라이에게 잠재적인 위협 대상이었던 요동의 동방 3왕가의 견제를 위한 목적에서 설치되었다. 동방 3왕가는 여몽전쟁기 동안 고려와의 전쟁에 참여하면서 고려 방면으로의 세력 확대를 꾸준히 도모하고 있었다. 쿠빌라이는 여몽전쟁기 동안 북계지역에 주둔하고 있던 동방 3왕가의 군대를 철수시키는 등 고려 방면에 대한 동방 3왕가의 영향력을 차단하는 한편 원종 폐위와 최탄 등의 반란을 빌미로 북계지역에 그의 직속 군대를 주둔시켰다. 이는 곧 쿠빌라이가 지리적으로 요동세력과 접경하여 완충지적 역할을 했던 북계지역을 흡수한 것을 의미하며, 이 지역에 동녕부를 설치함으로써 요동의 동방 3왕가 세력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로써 쿠빌라이는 고려에 전적으로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반영시킬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고려 역시 쿠빌라이와의 직접적 관계로 몰입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재편되었던 것이다. 쿠빌라이는 남송·일본 경략, 동방 3왕가 견제와 같은 동방 정책의 수행을 위해 고려와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그는 고려왕실을 후원하면서 잠재적인 위험요소인 무신정권을 축출하고자 했다. 그리고 임연의 원종 폐위와 최탄 등의 북계반란을 빌미로 고려의 정국에 직접 개입하였다. 그 과정에서 설치된 동녕부야말로 강화 이후 여·몽 관계의 성격과 역학관계를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 조선 전기 海州鄭氏 家門의 정치적 동향 : 海平府院君 鄭眉壽를 중심으로

        김보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4271

        훈구와 사림은 조선시대 지배세력을 규정하는 주요한 개념으로써 지배세력의 변화와 정치․사상적 발전을 단계적으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어느 한 집단이나 개인의 속성과 성향을 단순히 훈구와 사림으로 규정하게 된다면, 이러한 구도에서 벗어나는 사례의 속성은 파악하기 어려운 측면이 존재하게 된다. 이는 여러 개인이 모여 한 집단을 이루는 가문에서 보다 확연히 살펴 볼 수 있다. 조선 개국공신들은 대표적인 ‘勳舊’세력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리고 그런 훈구세력 중에는 왕실과 밀접한 연혼관계를 맺음으로써 ‘戚臣’의 지위를 누리는 집단도 있었다. 조선 전기 해주정씨 가문은 공신가문이면서, 왕실과 중첩적인 혼인관계를 맺고 있었기에 대표적인 ‘훈척가문’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세조 찬탈·중종반정 등의 정치적 격변을 거치며 해주정씨 가문의 지위와 정치사상적 지향점은 변모하게 되었다. 그들은 절의와 의리를 추구하고, 성리학적 신념에 입각한 정도정치를 추구하였다. 이는 일반적 훈구세력의 모습과는 다른 것이었다. 해주정씨 가문의 사례는 조선 전기 정치세력을 훈구, 사림으로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현실을 대변한다. 고려 말, 해주정씨 가문은 고려시대를 대표하던 여러 명문가와의 혼인과 유대를 맺으며 가문의 기반을 다졌다. 조선 개국 후, 정역이 태종과 동방의 인연으로 정계에 중용되고, 공신책봉을 받음으로써 해주정씨 가문은 유력한 공신가문으로 부상하였다. 또한 태종·세종·문종으로 이어지는 왕실과의 혼인, 그리고 당대 명문가와의 유대 등을 통하여 家格이 높아지게 되었다. 태종대 이래로 공신가문이자 왕실과의 인척관계에 기반하여 조선 전기, 해주정씨 가문은 세력을 떨칠 수 있었다. 그러나 세조찬탈과 단종의 죽음, 그리고 정종의 賜死 등과 같은 일련의 상황들이 일어남에 따라 침체의 시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해주정씨 가문은 위기를 맞이했으나, 세조와 정희왕후 등 왕실의 비호로 가문의 명맥을 이어갈 수 있었다. 그러나 세조대 공신세력들이 포진해 있던 예종~성종 초반까지 해주정씨 가문은 여전히 정치·사회적으로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성종이 친정을 전후하며 측근세력을 통해 왕권 확립을 추구해가는 속에서 정종의 아들 정미수는 성종과 유년 시절 인연으로 왕의 측근세력으로 정치무대에 복귀하기 시작했다. 정미수는 성종을 보좌하며 성리학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고, 왕도정치에 대한 구상을 구체화해갔다. 이와 함께 점진적으로 실무적 능력을 인정받게 되었다. 한편으로 정미수를 포함한 해주정씨 일가는 김종직 문인들과 교유하며 사림계 인물들과 학연을 다져갔다. 이 시기 해주정씨 가문은 왕실친인척의 성격을 회복하고 나아가 성리학적 면모를 갖추며 다시 起家하게 되었다. 연산군대 정미수는 연산군의 신임을 기반으로 정치적 지위를 확보하면서, 그의 측근에서 무자비한 살생을 막고 유교적 질서를 유지시키려 노력하였다. 그러나 삼사를 무력화하고 사림을 탄압하는 연산군의 패정을 받아들이기는 어려웠다. 이에 정미수는 결국 중종반정에 참여하게 되었다. 중종반정 공신들은 연산군대의 부정부패를 척결한다는 명분으로 반정을 성공시켰으나, 이후 자신들이 정국을 독점적으로 장악하려 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金公著·朴耕의 옥사가 일어나게 되었다. 이때 모의를 주도한 이들은 김굉필의 훈도를 받은 인물들 이었는데, 유교정치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정미수를 首相으로 내세웠다. 김공저·박경의 옥사는 비록 성공하지 못했으나, 유자광을 小人으로 지목하며 탄핵을 이끌어냈다. 유자광이 유배를 떠난 후, 정미수는 다시 정계로 복귀되었고, 은퇴하기 전까지 비교적 평탄한 관직생활을 이어나갔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정미수는 성종·연산군·중종 3대에 걸쳐 정치활동을 펼쳤는데, 그의 정치활동에는 왕도정치의 추구라는 지향점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이러한 정미수의 정치적 성격은 이후 해주정씨 가문의 위상을 일신하는데 일조하였다. 이후 정미수와 정미수 후손들은 대대로 단종과 정순왕후 兩位의 제사를 모셔, 조선 후기에는 의리와 절개를 대표하는 가문으로 재조명받게 되었다. 또한 정종이 莊陵 配食壇에 배향되고, 정미수의 묘소에는 정조의 치제문이 내려졌다. 이로써 해주정씨 가문은 국가적 인정을 받으며 사육신·생육신 가문과 함께 절의를 대표하는 가문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조선 전기 해주정씨 가문은 훈구세력의 하나로 평가받아 왔다. 그러나 일련의 정치적 사건을 통해 가문이 부침을 거듭하면서도 성리학적 의리명분을 추구하고 실천해갔다. 그로 인해 가문은 사림정치가 자리잡는 속에서 절의를 상징하는 가문으로 재평가받게 되었다. 이러한 해주정씨 가문의 정치적 성격 변화는 조선 전기 정치세력의 복합적 기반과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Hungu(勳舊) and Sarim(士林) offered a help for the phased comprehension of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ideas as well as changes in ruling class as principal concepts to define the ruling class of Joseon Dynasty. However, if the characteristic and tendency of an individual or a party is simply stated as Hungu and Sarim, there will be an elusive side in case of cases that are beyond this composition. In particular, this can be applied to families consisting of several individuals. The founding members of the Joseon Kingdom have rated as typical ‘Hungu’ forces. What’s more, there were some groups that enjoyed the position of ‘Chucksin(戚臣)’ through marriage relation with other who were close to royal family. It was estimated that Haeju Jeong's Family(海州鄭氏 家門) was typical ‘Huncheok(勳戚) family’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as a meritorious retainer’s family and in the marriage relation with royal family at the same time. Nevertheless, the intention point in political ideas and the position of Haeju Jeong's Family has changed through sudden political changes such as Sejo usurpation and Jungjong restoration. They became purse the loyalty and fidelity as well as standard politics based on the creed of Sung Confucianism. This was different from what the general Hungu appeared. The case of Haeju Jeong's Family represents the reality that is hard to understand by distinguishing the political forces with a dichotomy of view in early Joseon Dynasty. In Late Koryo Dynasty, Haeju Jeong's Family built up the foundation of themselves by forging bonds of marriage with several prestigious families represented the Koryo Dynasty. After Joseon Dynasty was established, Haeju Jeong's Family began to emerge as a influential meritorious retainer’s family. Furthermore, their The family status(Gagyeok, 家格) was improved through the marriage with royal family following King Taejong(太宗), King Saejong(世宗), and King Munjong(文宗), and had a close links with noble families of the age as well. Haeju Jeong's Family could have power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on the basis of the meritorious retainer’s family and the relation by marriage in the age of King Taejong. However, a series of circumstances such as Jeong Jong(鄭悰)’s poisoning to death and the usurpation of King Saejo(世祖) and the death of King Danjong(端宗) caused them to face a time of recession. Even though Haeju Jeong's Family encountered crisis, they could barely survive due to the aegis of the royal family including King Saejo and Queen Jeonghee(貞熹王后). But they could not escape from the political and social shrinking until the period of King Yaejong(睿宗) and King Seongjong(成宗) when the influential forces of King Saejo dominated the country. In the situation that King Seongjong was attempt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with close associate of his family, Jeong Mi-Su(鄭眉壽), the son of Jeong Jong, started to return to the political arena as one of the King Seongjong’s entourage forces resulted from his childhood relationship with him. Jeong Mi-Su deepened the understanding about Sung Confucianism, assisting the King Seongjong and specified the idea of royal politics. Accordingly, he was gradually recognized his ability to practice. In the meantime, the Haeju Jeong's Family including Jeong Mi-Su began to establish the academic relationship with the figures of Sarim through the mutual exchange with scholars of Kim Jongjik(金宗直). At the time, Haeju Jeong's Family restored the properties of the royal relatives and rebuilt the family fortunes, having a countenance of the aspects of Sung Confucianism. In the age of King Yeonsangun(燕山君), Jeong Mi-Su ensured his political position based on the trust of King Yeonsangun and tried to maintain Confucian order by preventing merciless killing standing by his side. However, it was difficult for him to accept the autocracy of King Yeonsan who suppressed Sarim and neutralized the three offices system. Not surprisingly, Jeong Mi-Su eventually took part in the renovation of King Jungjong(中宗). The credited forces of the renovation of King Jungjong led to their success with a flag to die for combating the corruption of the King Yeonsangun’s age, but then they was attempted to seize the power exclusively by themselves. Meanwhile, the renovation of Kim Gongjeo·Park Gyeong(金公著·朴耕) happened. The men who led it were directed by Kim Goengpil(金宏弼), and they put up Jeong Mi-Su as a Minister(首相). Though the renovation of Kim Gongjeo and Park Gyeong was unsuccessful, they caused the impeachment of Yu Jaguang(柳子光) as a petty man(小人). Jeong Mi-Su was reverted to the political phase and it was shown that he continued to relatively stable public office life til his retirement. In this way, Jeong Mi-Su did political activities for the three ages of King seongjong, King Yeonsangun and King Jungjong, and his political activities had consistent intention point as a pursuit of royal politics. This political characteristic of Jeong Mi-Su helped restore the position of Haeju Jeong's Family. Since then, Jeong Mi-Su and the descendants of Jeong Mi-Su have been reconsidered as a family representing integrity and constancy in late Joseon Dynasty by holding a memorial service for Queen Jeongsun(定順王后) and King Danjong. In addition, Jeong Jong was oriented in the Jangreung(莊陵) Baesikdan(配食壇) and King Joengjo’s writing of folk rituals was founded on the grave of Jeong Mi-Su. As a result, the Haeju Jeong's Family was recognized by the government and got settled as a family standing for fidelity with the families of the Six Martyred Ministers(Sayuksin, 死六臣)and Six Loyal Subjects(Saengyuksin, 生六臣). Haeju Jeong's Family has been evaluated as one of Hungu forces in the beginning of Joseon Dynasty. On the contrast, they sought justice as a concept of Sung Confucian

      • 조선전기 여흥 민씨 세족 동향

        최동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4271

        Abstract The Trend of the Yeoheung-Min Family Sejok in the Early Joseon Dynasty Choi Dong-J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as a period of political confusion. Ever since the enthronement of the first king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a series of political events: the purge of enates, the first strife of prince, the second strife of prince, Gaeyujungnam during Danjong’s reign, and the restoration of King Danjong during Sejo’s reign. Due to these significant events, there were various forces formed. To understand the political powers established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large numbers of studies were made and they have been defined as groups of founding contributors, Wonjong founding contributors, non-contributors, powers of each king, Danjong supporters, Sejo supporters, etc. For understanding of these political forces,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either cases showing the persistency of the establishment while the Goryeo dynasty was changing into the Joseon dynasty or cases in which families participating in major political events were succeeded in getting in politics or failed. In this study, from the latter perspective, yeoheung-min family was selected as a case. Yeoheung-min family was one of families showing the persistency of the establishment even during the change of dynasties. Therefore, people from Yeoheung-min family was either succeeded in getting in politics or failed after participating in power forces created by major political event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Yeoheung-Min Family grew up in its power after Min Young-Mo became Moonhasiranpyeongjangsa during the era of military in the late Goryeo dynasty. In the early Yeomalsun, there were two power lines; one power line was created with Min Min-Sik, a son of Min Young-Mo and another was with Min Gong-Gyu, another son. In the power line of Min-Sik, Min-Sun gained power by having Lee Bang-Gan, the fourth son of Lee Sung-Gye as his son-in-law while Min Yeo-Ik, a son of Min Hyun, was raised to the 3rd important Joseon founding contributor. In the power line of Min Gong-Gyu, Min Jae was able to get into politics by having Lee Bang-Won as his son-in-law. The clans, who were related with direct lineages of Min Sun and Min Jae through marriage, were able to get high rank posts, and lineages of Min Sun and Min Jae were able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Lee Sung Gye’s family which allowed to enter politics far more easier than other ancestries of Yeoheung Min Family ever since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Amid these foundations, Min Mu-Gu and Min Mu-Jil, sons of Min Jae,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first strife of prince and then, they were proclaimed meritorious retainers, and descendants of Min Sun and Min Jae were able to secure the political background since they were also able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participants of the first strife of prince through marriage. However, during the period of confusion in which founding contributors lost their political superiority to non-founding contributors, the lineage of Min Sun started the second strife of prince with Lee Bang-Gan, his son-in-law and then, purged by Lee Bang-Won. During this age, the lineage of Min Jae supported Lee Bang-Won, his son-in-law, and then, once again Min Mu-Gu and Min Mu-Jil were proclaimed Jwamyonggongsin after the enthronement of Taejong. With a victory from the josaeunan and official approval by the Ming Dynasty, Taejong was able to secure his throne, obtained through a coup. Later, Taejong began to purge the maternal relatives, starting from the Buja incident. The lineage of Min Jwas was also targeted, and Taejong even purged Sim On to securely turn over his throne to Sejong. As for Yeoheung-Min Family, ancestries other than of Min Jae were appeared during the reign of Sejong. While several clans of Min Sik and Min Gong-Gyu ancestries did not show much activities till the reign of Taejong, Min Sun clan from Min Sik ancestry made re-appearance into politics as well as people from Min Dae Saeng clan, participated in the Sejo supporting force. Since their direct ancestors were related with Lee Saek, a non-founding contributor, they could not get into politics during the reign of Taejo and Min Hyo-Hwan and Min Hyo-Yeol, sons of Min Dae-Saeng, made into politics through the past but Min Hyo-Hwan died at an early age and Min Hyo-Yeol was sentenced to Paegobulsu, prohibiting from having any public office, so they were not so different til the first year of the reign of Danjong. Out of 15 people from Min Gon-Gyu ancestry, made into politics during the reign of Saejong, thirteen people were able to get into politics with the status of relatives of Queen Wonkyong. Especially, political activities of Min Sin, participated in the Danjong supporting force, were stood out. Min Sun became a representative of relatives of Queen Wonkyong when her brothers were resigned. In the end of King Sejong’s reign, Min Sin served both positions of Byeongjopansu and Sungongjaejo, leading both military and navy, and this position was continued till the reign of Danjong. During the reign of Munjong, there were no evident political activities of Min Dae-Saeng ancestry. In case of Min Sin, he successively filled the positions of Byeongjopansu and Sungongjaejo even in the reign of Munjong and participated in various political activities. He became intimate with Jung Boon as well as Prince Anpyong. After the enthronement of Danjong, he socialized with ministers and became the minister of interior while maintaining his commandership over navy by holding the position of Sungongjaejo. On the other hand, Min Dae-Saeng seemed to have Han Myeong-Hwi as his son-in-law after the enthronement of Danjong. Even though the precise time is unknown, around the time Gwon Ram introduced Han Myeong-Hwi to Prince Suyang, Min Dae-Saeng and Han Myeong-Hwi seemed to get related. Min Dae-Saeng and Han Myeong-Hwi did not have the secure political background comparing to of Min Sin and his acquaintances. Han Myeong-Hwi was a mere Palace guard while Min Dae-Saeng was 70 years old and retired from politics. His eldest son, Hyo-Hwan died at an early age around the year of the enthronement of Danjong, his second eldest son could not get into politics since he did not pass the civil service exam, and his youngest son, Hyo-Yeol, committed a crime so could not get a government position from the end of the reign of Sejong till the year of the enthronement of Danjong. These powers were completely overturned by Gaeyujungnan. Ministers, including Kim Jong-Seo and a sect of Prince Anpyong were purged, and even Min Sin. On the other hand, Gaeyujungnan became a political opportunity for Prince Suyang and Han Myeong-Hwi and they could take over a cabinet and proclaimed meritorious retainers. And with the enthronement of Saejo, Han Myeong-Hwi, Gwon Ram and others were rewarded once again and proclaimed Jawik retainers. As one of major players of Gaeyujungnan, Han Myeong-Hwi and his relatives earned a chance to expand their political power, and Min Dae-Saeng lineage was also one of his lineages. Min Dae-Saeng become Chumjichungchuwonsa with a support of Han Myeong-Hwi on the first year of the reign of Seajo, and became Jungchuwonbusa at an age of 91. Also, since daughters of Han Myeong-Hwi married Yejong and Sungjong, Min Dae-Saeng became grandfathers to Yejong and Sungjong and his lineage became relatives of royal famili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y could easily enter politics since they participated in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as relatives of royal families. They developed further after participating in the first strife of prince, but got purged during the second strife of prince. Yeoheung-Min Family, who were politically activ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reorganized during the reign of Sejong. While kinsmen of Queen Wonkyong were either resigned or prohibited from entering politics due to the purge of Min borthers, Min Sin was able to secure his political position as a near kinsman of the royal family and another force, who had not been able to get into politics since they were engaged with people not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Joseon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was able to enter politics. They were aiming to achieve a political position by creating relationships with key figures or relatives of the royal family through marriage during the reign of Danjong. Such political advance of the Yeoheung-min family could be an example, revealing how people participating in complicated fluctuations in power at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were able to enter politics as well as the political nature of force during that period. 국문 요약 조선전기 여흥 민씨 세족 동향 崔 東 鎭 조선 전기사는 정치적으로 혼란한 시기였다. 태조 즉위 이후 주요 사건이 발생하면서 다양한 세력들이 형성되었다. 조선전기에 형성된 정치세력을 이해하기 위해 각 세력에 관하여 연구되어 조선전기에 형성된 정치세력의 성격을 규명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조선 전기사에서 형성된 세력을 이해하는데 가문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교체되는 상황에서 지배층의 지속성을 알려주는 사례로 연구된 것과 주요 사건에 참여한 가문이 각 시기에 형성된 세력에서 정치 활동한 것을 사례로 연구하였다. 본 논고에서는 후자의 관점에서 여흥 민씨 가문(이하 민문)을 사례로 선택하였다. 민문은 여말 교체기 지배층의 지속성을 보여주는 가문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민문에서 배출된 인물은 조선 전기사에서 주요 사건으로 인해 형성된 세력에 참여하여 정계에 진출하거나 탈락하였다. 민문은 고려 무신집권기에 민영모가 문하시랑평장사에 역임하면서 성장한 가문이다. 여말선초기에 와서 민영모의 아들인 민식과 민공규의 후손이 정계에 진출했다. 민식 계에서는 민선이 이성계의 4남 이방간을 사위로 맞이하면서 성장하였고, 민현의 아들 민여익은 이성계를 추대할 때 참여하여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 3등에 봉해졌다. 민공규계에서 민제는 이방원을 사위로 맞이하면서 정계에 진입할 수 있었다. 민선과 민제의 직계선대는 고위직을 역임하였다. 고려 말 세력을 결집하고 있었던 이성계는 민선가계, 민제가계와 통혼을 하였다. 이들은 이성계가계와 통혼하면서 조선 건국 이후 민문 내에 타 가계 보다 수월하게 정계에 진출하였다. 이러한 바탕 아래에 민제의 아들인 민무구와 민무질은 직접 제1차 왕자의 난에 참여하면서 정사공신에 책봉되어 성장할 수 있었다. 그리고 민선 가계와 민제가계에서 배출된 인물들이 제1차 왕자의 난에 참여한 인물들과 폭넓게 통혼을 맺고 있어 정치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정종 즉위 이후 개국공신과 비개국파의 세력이 교체되는 혼란스러운 시기에서 민선가계는 사위인 이방간에게 동조하여 제2차 왕자의 난에 참여했다. 결과적으로 제2차 왕자의 난이 이방원에게 진압되었다. 따라서 이방간을 비롯한 민선가계는 실각하였다. 한편 민제가계는 사위인 이방원을 지지하면서 태종 즉위 후 민무구, 민무질이 좌명공신에 다시 책봉되었다. 태종은 조사의 난을 진압하고 명으로부터 왕위를 인정받으면서 쿠데타로 즉위한 왕권을 안정시켰다. 이후 태종은 이거이 부자 사건을 시작으로 외척 숙청을 진행하였다. 이후 민제가계 역시 외척 제거 대상이 되었고, 태종은 상왕이 되어 심온까지 숙청하면서 세종에게 안전하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세종대 정계에 진출한 민문은 민제가계를 제외한 가계가 등장하고 있었다. 민식계 민선가계는 친 세조 세력에 가담하였던 민대생가계의 인물들이 정계에 등장하고 있었다. 이들의 직계선대는 비개국파에 해당하는 이색과 인척 관계를 맺고 있어 태조대 정계에 자리 잡지 못하였고, 사실상 민대생이 조선 건국 후 처음으로 정계에 진출하였다. 민공규계에서 세종대 활동한 인물들은 몇 인물을 제외하면 모두 원경왕후 족친의 지위를 가지고 등장하였다. 여기서 대표적으로 민신의 정치 활동이 두드러졌다. 민신은 원경왕후의 형제들이 모두 졸하자 원경왕후 족친을 대표하는 인물이 되어 정치적 활동을 하였다. 민신은 세종대 말년에 불사를 주관하면서 병조판서로써 선공제조를 겸하여 군사와 역군을 지휘하였다. 민신은 문종 즉위 이후 계속하여 병조판서와 선공제조를 역임하면서 각종 불사와 역사에 참여하였다. 이때 민신은 세종대부터 함께해오던 정분과 친분을 쌓고 있었고, 문종대 불사를 주관하였던 안평대군과 친분을 쌓았다. 그리고 단종 즉위 후 김종서를 비롯한 의정부 대신들과 교유하였다. 민신은 단종 즉위 후에도 요직을 역임하면서 선공제조를 계속 겸하였고 역군에 대한 통솔권을 유지하였다. 한편 민대생은 문종 2년을 전후한 시기에 한명회를 사위로 맞이한 것으로 보인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권람이 수양대군에게 한명회를 소개해준 시점을 전후한 시기에 민대생과 한명회는 연결되었다. 민대생과 한명회는 민신과 안평대군 세력에 비해 입지가 확실하지 못하였다. 한명회는 당시 궁지기를 역임하고 있었고, 민대생은 70대의 고령으로 이미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그의 장남 효환은 단종 즉위년을 전후한 시기에 요절하였다. 그의 차남은 과거에 합격하지 못해 출사하지 못하였으며 그의 삼남 효열은 병조좌랑으로서 죄를 지어 세종 말년부터 단종 즉위년까지 출사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민대생가계가 현달하는 것은 어려울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계유정난을 계기로 상황이 바뀌었다. 계유정난에서 김종서를 비롯한 의정부 대신과 안평대군 일파가 숙청되었다. 그곳에 민신도 역시 포함되었으며 민신은 계유정난을 계기로 숙청되었다. 반면 계유정난을 계기로 수양대군과 한명회는 정치적으로 성장하여 수양대군과 그 일파는 의정부를 장악하고 정난공신에 책봉되었다. 그리고 세조가 즉위하자 한명회, 권람 등에게 다시 포상하여 좌익공신에 책봉되었다. 한명회는 계유정난에서 주요 인물로 활동하면서 그의 인척 가계 역시 정치적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한명회의 인척 가계 중 하나로 민대생가계가 있었다. 민대생은 83세의 고령임에도 불구하고 세조 1년 한명회의 공으로 첨지중추원사가 역임하였다. 그리고 한명회의 딸이 예종비와 성종비가 되면서 민대생은 예종비와 성종비의 외조부가 되었고 그의 가계 역시 왕실 인척이 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민대생가계와 달리 민심언가계는 꾸준히 명맥을 이어나가고 있었다. 그 결과 후손이 조선 현종대에 현달하여 이들은 노론 세력의 주요 인물들인 송시열, 송준길, 김수항과 학문적, 혈연적 교류를 맺고 있었다. 이들은 선계를 밝히는 작업과정에서 계유정난 이전에 죽은 민심언이 단종대 충의를 지킨 인물로 재평가하였고 민문이 이것을 정체성으로 삼았다고 추측된다. 그리고 삼방파는 현종 2년부터 고종 22년까지 민문의 족보를 편찬하면서 가문을 지도하고 있었다. 삼방파가 민심언을 재평가하면서 밝힌 정체성은 곧 민문의 정체성이 되었다. 이러한 배경은 성종부터 조선후기에 이르는 단종을 복위하고자 했던 움직임이 가문 내에 인식 변화로 나타났고 숙종 이후 단종이 복위되면서 가문의 인식과 맞물려 정조 15년 장릉에 배향된 정단 32인과 별단 198인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여기까지 민문의 사례를 통해서 조선전기에 형성된 세력에서 활동한 인물들의 정계 활동 사례를 살펴보았다. 조선전기에 형성된 세력에서 활동했던 구성원들은 모두 각 가문의 일원들이다. 그리고 민문 외에 다른 가문의 일원들도 각 세력에서 정치적 활동을 하였다. 이들도 민문의 경우와 같이 직계선대의 정치적 배경과 가문 내의 상황이 각각 존재했다. 이러한 배경은 각 세력에서 정치 활동한 구성원들에게 일정한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각 세력에서 활동한 구성원들의 정치적 배경과 가문적 배경을 밝힘으로써 조선전기에 형성된 세력의 성격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이번 연구에서 주제로 삼은 민문은 태조대부터 태종대 활동한 외척 세력의 정치 활동 사례와 계유정난에서 형성된 세력의 정치 활동 사례연구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조선전기 가문을 연구하는 것은 조선후기에 정치 활동한 가문의 정치적 배경을 살펴볼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 顯宗代 世子侍講院의 운영과 書筵官 성분 분석

        진신승 國民大學敎 一般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34271

        The Crown Prince of Chosun Dynasty has a high significance in politics for its position as the successor of the throne. Thus, the role of Seoyeonguan(書筵官) is not only important for its task of educating the next sovereign, but also meaningful in the analysis of the political status, which could be inferred from the instance of Seoyeonguan securing the government position afterwards. In 17th century, particularly, the academic disposition of each party(朋黨, bungdang) differed slightly due to 'Sarim politics(士林 政治)', and this acted as a great factor to diversify the political ideology and perspective of the crown prince. However, studies on Seoyeonguan exists difficulties in acquiring overall comprehension on Seoyeonguan. To understand it profoundly,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e history of the monarch.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anagement of Sigangwon and the components of Seoyeonguan centering upon the king Hyon-jong period. Pertinent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the examination of Sigangwon's nature and provide substantial evidences on the administration of the government office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e 4th year of king Hyon-jong, Heomok(許穆) appealed to the higher court concerning the installation of the crown prince. Upon this, Seoin(西人) considered that Heomok intended to attack politically on them about Kihaeyesong(己亥禮訟), the funeral controversy. Afterwards, the issue of nurturing Prince Loyal was aroused by Song jun-kil(宋浚吉), and ‘Gang Hak Chung(講學廳)’ was installed as a consequence. The education institution of royal family used to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growth cycle of Prince Loyal, and ‘Gang Hak Chung’ of the time was of the level suitable for the prince before the installation. Later, Chunbanggangwon(春坊官員) was first appointed, and it is assumed that Gang Hak Chung changed into Sigangwon at about its appointment. Among Seoyoenguans, there are largely two categories, Sigangwon Samlim(山林) and formal officials called Donggungyosok(東宮僚屬), and these two have difference in method of selection and status. In particular, Donggungyosoks demonstrated the problem concerning temporary transfer of the officials. On the hidden side of such transfers, there were burdensome tasks the officials were responsible of. However, these obstacles could be settled by temporary solutions, thereby allowing Sigangwon to be operated in order. The fact this official was 'Chongjig(淸職)' works as another factor of making this possible. Through investigation of Naejik·Geojik(來職·去職) of the figures who served consecutive service as Seoyeonguan to search for more specific operation conditions, Sulseo(說書) had relatively frequent shift to scribe position due to its particular task of recording the history. Also, from Saseo(司書) to Boduk(輔德) were all actively shifted to Daeganjik(臺諫職). Such practice was widespread since Daegan(臺諫) entered Seoyeon(書筵) to control and observe the diligence and laziness of Seoyeonguan and Huanguan(宦官). This consequently resulted in rise in reputation of Daeganjik, and gradually Daegans began to hold concurrent office in Sigangwon. This tendency was continued until king Hyon-jong period. Moreover, as reaching the Boduk, shifts to Hongmunguanjik(弘文館職) of both Naejik·Geojik increased. Since Boduk was the actual official in charge of Donggungyosok, the reason for this seems to be the selection of men of outstanding talents from Hongmunguan(弘文館). The powerful families among these were mostly the Royal Family(宗室) or the Meritorious statesmen(功臣), had marital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or had a reputative writer in previous generations. In particular, many were related with descendants of Kim Jang-sang(金長生) and Kim sang-heon(金尙憲), the representative figures of Ye-hak(禮學) and Chuck-hwa(斥和), and Yangsong(兩宋)'s pupils were widespread in the government officials. Therefore, reiterated marital relations assured their possibility of their descendants entering the politics. Indeed, some people succeeded to become Seoyeonguan without help from the family or with lack in conditions that there should be no faults in Family(家門), and these figures were under the protection of their parties. Thus, influence of the party could not be ignored as well as that of the family. For this reason, we examined the parties of the officials. More than half were Seoin, and this reflects the situation in which Seoin and Namin organized an integrated government after The Injo-banjung(仁祖反正, The In-jo Restoration) but the actual power was Seoin's. Yangsong, particularly, made one's influence on nomination of the officials in king Hyon-jong period, recommending the officials and consecutively serving as Ijopanseo(吏曹判書). They might have been well aware of the role of Seoyeonguan, and this could have contributed to the rise of Seoin. Accordingly, studying the nomination status of Seoyeonguan in each party of different periods, it would be possible to ascertain political situation of king Hyon-jong period partially. During the operation of Sigangwon, value of the number of Seoin is higher in the Seoyeonguan nomination rate. This is because despite the separation of Sandang(山黨) and Handang(漢黨) within the Seoin in the late king Injo period, it was the competition for the leading power within the governing power of Seoin. In king Hyon-jong period, Sandang was prevailing over Handang, that Handang cooperated with Namin to control their power. However, Sandang was forced into a corner due to the ponding of Youngreung(寧陵, king Hyo-jong’s the royal mausoleum) and the political argument concerning theory of Minsinjosangdaebok Event(閔愼祖喪代服事件). Consequently in the 15th year of king Hyon-jong, the rate of Namin showed the highest value since 9 previous years. Ther 조선 왕실의 세자는 왕위의 계승자라는 점 때문에 정치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차기 군주를 교육하는 서연관의 역할은 중요할 뿐 아니라 이후 그 관원들이 중용되는 사례를 통해서도 이 자리가 정치적 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17세기는 사림정치 시기로 붕당 간 학문적 성향이 조금씩 달랐고 이는 왕세자의 정치 이념과 시각을 달리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었다. 그러나 그동안의 서연관에 대한 연구는 ‘서연관’을 중심으로 전체적인 이해를 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각 왕대별 검토가 필수적이며, 이에 본고에서는 현종대를 대상으로 시강원의 운영양상 및 서연관에 대한 성분분석을 시도할 것이다. 이 같은 연구는 직접적으로 현종대 시강원의 성격 규명에 일조함과 동시에 조선후기 해당 관서의 운영에 대한 실증적 사례를 제공할 것이다. 현종 4년에 허목은 원자의 책봉례와 관련하여 상소를 올렸다. 이에 대해 서인측은 기해예송과 관련하여 허목이 정치적으로 공격할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후 송준길에 의해서 원자 보양 문제가 논의되고 ‘講學廳’이 설치되었다. 왕실 내 교육기관은 원자의 성장 사이클에 따라 단계적으로 설치되며 아직은 원자가 책봉 전이라 그 위치에 맞는 강학청이 설치되었다. 이후 춘방관원이 처음 임명되고 이를 전후하여 강학청이 시강원으로 넘어 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연관은 크게 시강원 산림직과 흔히 ‘東宮僚屬’ 등으로 지칭되는 정식관원이 있으며, 이들간에는 인선방법과 그 위상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동궁요속들은 ‘관원차출’에 대한 문제점이 드러났으며, 이러한 이면에는 바로 이 직책이 고역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문제들은 임시적인 방편들로 해결하였으며 따라서 시강원은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었고, 이러한 점이 가능했던 것 또한 바로 이 직이 淸職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서연관의 더 구체적인 운영 실태를 알아보고자 서연관 역임자들의 來·去職을 살펴본 결과, 說書는 역사를 기록한다는 특수 업무로 인해 사관직이라는 유사 직종내에서의 자리 이동이 많았다. 또한 司書부터 輔德까지는 모두 대간직으로의 이동이 활발했다. 이는 대간이 서연관의 근태와 환관을 단속·관리하기 위해 서연에 입시한 이래 그러한 관행이 굳어지게 되었고, 점차 대간직의 위상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대간들의 시강원 겸직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이후 이러한 경향성이 현종대에도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보덕에 이를수록 내·거직 모두가 홍문관직으로의 이동이 많아지고 있다. 이는 보덕이 동궁요속의 실질적인 책임자였기 때문에 홍문관에서 뛰어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 중 유력한 가문을 살펴보면, 주로 종실·공신 집안이거나 왕실과의 혼인을 맺었으며 선대부터 이름난 문장가 집안이었다. 특히 예학·척화의 대표적 인물인 김장생·김상헌 후손 집안과 혼인·문인 관계로 맺어졌으며, 이들의 뒤를 잇는 兩宋 문하들이 조정에 넓게 포진되어 있었다. 따라서 중첩적인 혼인관계를 맺으며 그들의 자손들이 정치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었다. 물론 가문의 영향을 받지 않거나, 世系의 흠이 없어야 한다는 자격 조건에 조금 떨어지더라도 서연관이 된 경우가 있었으며 그들은 당색의 비호를 받아왔던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가문도 중요하지만 당색의 영향 또한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당색을 살펴보았다. 서인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이는 인조반정 이후 서인이 남인과의 연합정권을 꾸려왔지만 실상은 서인 위주의 정국이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특히 양송은 현종대에 유현으로서 인재 천거권을 행사하고 모두 이조판서를 역임하는 등 관원 임명에서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들은 서연관 역할에 대한 중요성도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을 것이기에 이러한 점이 서인 당색의 비율을 높이는데 일조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시기별로 당색의 서연관 임명 상황을 살펴본다면 현종대 정치세력의 동향 또한 일부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시강원이 운영되는 동안, 전반적으로 서인의 서연관 임명 수치가 높다.이러한 점은 인조말 서인 내 山黨과 漢黨이 분파되었고 계속해서 정치적 대립을 해왔으나 기본적으로 서인이라는 집권 세력 내에서 벌어지던 정국 주도권 싸움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종대에는 특히 산당의 우세 속에 한당이 남인들과 연계하여 이들을 견제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산당은 寧陵에 물이 고인 사건, 閔愼祖喪代服사건 등으로 수세에 몰리게 되었다. 이로써 위의 상황들을 반영하는 현종 15년에는 남인의 수치가 지난 9년 동안 가장 높은 비율은 보이고 있다. 따라서 서연관이라는 직책은 이러한 정치세력의 동향과 정치적 판도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다시 한 번 ‘청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서연관이 나라의 국본인 왕세자를 교육한다는 역할 자체가 중요할 뿐만 아니라 17세기에는 붕당마다 정치이념과 정치운영방식이

      • 新羅 善德女王代의 帝釋信仰

        진주옥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34271

        Seondeok (AD 645). Queen Seondeok had Monk Yangji(良志) put the statue of the Four Devas in Yeongmyosa. This can be understood as Queen Seondeok's intention that she would reinforce her regal power by making the Four Devas Faith more specific and concrete. In addition, Queen Seondeok wanted to gather all the people in Silla(新羅) through the Four Devas Faith which had strong characteristic of national defense. By the time she was in the reign, there was a rebellion by Jingol(眞骨) noblemen, and she wanted to unify the seperated political power. The second period was in the 7th reign of Queen Seondeok (AD 648) when Jeseok Faith was popular and when it became closely related to Rules Order(戒律宗). In 648, Monk Jajang(慈藏) entered the Buddhism and heard from Munsudaeseong(文殊大聖) whom Jeseok(帝釋) appointed that rules were important and the royal family of Silla was Chaljerijong(刹帝利種, the same holy lineage as Buddha's), which means Jeseok admitted the holiness of rules. It was said that Jeseok led the four kings of heaven and their families and that he emphasized the circulation and protection of the correct doctrine. The rules that Monk Jajang received from Munsudaeseong and cherished wa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doctrine of Jeseok Faith. Moreover, this doctrine was also for the protection of the nation. In the late years of Queen Seondeok, Monk Jajang became the national head monk and belonged to Hwangryongsa(皇龍寺). He spread the rules all over the nation, and the authority of Jeseok Faith, which emphasized the rules, became much higher. Monk Jajang also built many Buddhist temples throughout the country. Through Monk Jajang's work, Queen Seondeok could reinforce her regal power and unify the people in Silla. The third period was in the 13th reign of Queen Seondeok (AD 654) when the faith in Maitreya(彌勒信仰) was developed. In the late years of Queen Seondeok, Jeseok Faith was in harmony with the faith in Maitreya. The Three Stone Maitreya Statue of Saenguisa(生義寺) shows that the faith in Maitreya, which was Maitreya would come to the earth to save people, was popular among people, and this faith led people to make statue of Maitreya. Jeseok was said to be born as Buddha in the former life or as Brahman(婆羅門) who became Maitreya. This gave hope to Hwarangs(花郞), the flower youth in Silla, who believed in Maitreya, the hope that if they did good things while they were alive, they could be born as Jeseok or Buddha in the later lives. In order to establish a nation with rules, Hwarangs who believed in Maitreya demanded Jajang's rule-originated Buddhism. The reason that Jajang's Rules Order and the faith in Maitreya could coexist was because Queen Seondeok tried to unify people in Silla by developing Jeseok Faith to protect the nation. After the death of Queen Seondeok, in AD 670, during the reign of King Munmu(文武王), Sacheonwangsa(四天王寺) was built in the Sinyurim(神遊林) area of Mount Nangsan(狼山). This means that as Queen Seondeok predicted in her will, Jeseok Faith was finally settled down a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reinforcement of regal power. Jeseok Faith newly appeared in Heungryunsa(興輪寺) by the time King Gyeongmyeong(景明王) was in the reign. It was adopted by the first King Wanggeon(太祖 王建), who unified three nations after Silla, to strengthen his regal power and unify the people of Goryeo(高麗).

      • 朝鮮 肅宗代 金錫胄의 國政運營策

        장수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34271

        17세기 조선의 정치상황은 인조반정을 주도하였던 서인을 중심으로 신권이 강하였다. 이에 상대적으로 왕권이 약화되면서 정치역학의 균형이 일시적으로 무너졌다. 이러한 때 훈척이 국왕의 입장에서 집권세력들을 견제함으로써 왕권의 확립을 주도하였다. 그 중심에 있었던 인물이 金錫?이다. 김석주의 정치적 기반은 그의 집안 청풍김씨 가문과 혼인으로 맺어진 왕실과의 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그는 대동법 시행의 중심적 역할을 하였던 김육의 손자이며 숙종의 모후인 명성왕후의 사촌오빠이다. 이러한 관계는 김석주가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활동하는 기반이 되었다. 김석주는 김만기, 김익훈, 이사명, 조사석 등 훈척과 박신규, 이세화, 남구만, 윤이제, 유상운, 이지익, 김덕원 등 측근인사를 등용하였다. 김석주는 이들에게 주요직이나 군권을 맡김으로써 정치세력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그는 숙종 8년(1682) 금위영을 창설하고 수도방어체제를 구축함으로써 군사제도를 개편하였고, 국가재정을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다. 요컨대, 김석주는 강력한 군권을 장악한 훈척으로서 왕권확립에 기여한 인물이었다. 그는 외척의 국정농단을 이유로 경신환국 이후 소론소장파 관료들의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는 정치권력의 생태에 따라 움직였던 권력지향형 인물이 아니었다. 나아가 자신만의 관료적 철학과 이상에 따라 실천하는 현실지향형 관료였다. For the political situation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new authority focusing on seoin who led Injobanjeong was strong. As royal authority was relatively weakened, the balance of political dynamics was collapsed temporarily. At that time, huncheok led the the establishment of royal authority by making a diversion of ruling cliques from an angle of national king. At the center of it, there was Kim, Suk-joo(金錫?). The political base of Kim, Suk-joo can be found in the marriage relations between royal family and Cheongpung Kim family. He is a grandson of Kim, Yuk who played a pivotal role for Daedong law and cousin of Myeongseongwanghoo, a mother of Sookjong. The relations became the base for close relations and works between Kim, Suk-joo and royal family. Kim, Suk-joo appointed hooncheok such as Kim, Man-ki, Kim, Ik-hoon, Lee, Sa-myung, Jo, Sa-seok, etc. and close associates such as Park, Sin-kyu, Lee, Se-hwa, Nam, ku-man, Yun, Ea-je, Yu, Sang-un, Lee, Ji-ik, Kim, Duk-won, etc. Kim, Seok-ju formed political authority by assigning main jobs or military authority to them. And, he established Geumwiyoung and capital defense system, so reorganized military system and made an effort to secure national finance in the 8th year of Sookjong(1682). To sum up, Kim, Suk-joo was a person who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royal authority as the hooncheok seizing strong military authority. He was criticized by soron bureaucrats after Gyeongshinhwanguk due to the government ministration monopoly. However, he was not a person aiming at authority, who was moving by state of political authority. Furthermore, he was a bureaucrat who practices by his own bureaucratical philosophy and ideology.

      • 16~18세기 寧海 新安朱氏 家의 분재기 분석 : 16~18세기 寧海 新安朱氏 家의 분재기 분석

        김순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271

        An Analysis on Boonjaegi of Shinan Joo Family in Younghae between 16th and 18th Centuries Kim Soon Han Korean History Major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r by professor Lee, Su Hwan)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on the background of entering into Younghae area and genealogies and economical bases of a fami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oonjaegi of Shinan Joo family in Younghae. Through this, the following conclusion are derived. Shinan Joo family's entering into Younghae started from Joo Woon settled in Guisi-ri, Younghae-myeon, through temporally locating there in the era of King Kongmin in the Korea dynasty. Including the forefather Joo Yoon who started to enter to the village, his descendants had married the local family of Yonghae area, Younghae Shin family, Suan Kim family, Jaeryeong Lee family, Andong Kim family and so on and extended their academic exchanges, establishing social and economical bases. The reason of their successful settlement seems that they could prepare bases for extending power of Joo Woon's family through countless networks with local families until the 16th Century. For reviewing the entire scale of properties on the boonjaegi during 16th, 17th, and 18th Centuries, compared to the other family's properties in the same era, the family's properties were not big but this family had clearly grown as one of powerful families in Younghae area. In particular, during 16th and 17th centuries, the family had many successes in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s with active entries into government services, showing their establishment in social and economic basis. However, in the 18th Century, their successes in government and military services were restrained and in this situation, through continual inheritance of properties, the scope of properties were dramatical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sources, before the mid 17th Century, inheritance was done equally, and since then, equal inheritance switched to different one and after the mid 18th Century, different inheritance became generalized. Based on these research sources, for reviewing changes in inheritance of Shinan Joo family in Younghae, in the 16th Century, without discrimination of status of children, inheritance was done equally and after the mid 17th Century, depending on status of children strict different inheritance was made. There is no big difference with the previous studies. For causes of changes in inheritance, decease of properties due to continual equal inheritance and resolution of circulating services affected switch to service lead by the eldest son, resulting in rapid change to inheritance weighing the eldest son. Like this, the importance of ancestor worship service by local noble families caused changes to different inheritance with direct family focusing on patrilineal lines. Likewise, changes of services of Shinan Joo family in Younghae explains this social circumstance well. In the 16th Century, the rate of weighing a fifth more than other children in Kyungkookdaejeon, during the mid 17th Century and the 18th Century, the rate for services dramatically increased. Also, with bigger inheritance for children who succeeded the worship service for ancestors, enhancement of service rate and consciousness on significance to ancestor worship affected quite considerably it. For changes in Sojongrae, the sources of the properties, in the 16th Century, each slave or land were recorded an managed with sources from husband or wife in order not to transfer the properties to others. This is the concept of prohibition of inheritance to others except for descendant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records on sources of the properties disappeared but the will of prohibiton of inheritance to others except for descendants increased. Finally, Shinan Joo family in Younghae faced extinction due to death of a son in the generation of Joo Jung Hwi in the 18th Century. In order to avoid it, the family submitted a document for adoption to the government and it was granted by the authority, succeeding their generations. This shows, in the 16th Century, Sung Confucianism and the disciplines of courtesy were deepened, switched to patrilineal family system, succeeding family and ancestor worship was recognized as important ritual in the Confucianian ethics, differential inheritance depending on status of children, weighing the successor, adoption from the same familial line affected quite considerably the family. Through reviewing ancient documents such as boonjaegi, hogudanja, maemaemoongi, and soji, the management of properties by a noble family was very strict. Though it is limited for analyzing the status of property management through the boonjaegi of Shinan Joo family in Younghae, during the 16th and 18th Century, as one of local noble families in Younghae area, this family showed their countless efforts to establish social and economical foundation through increasing the properties and marriages with other prosperous families. 이 논문은 영해 신안주씨 家의 분재기 분석을 통해 영해지역 입향 배경과 가문의 家系와 경제적 기반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영해 신안주씨가 영해로 입향하게 된 계기는 朱雲이 13세기 고려 공민왕代에 영해면 괴시리로 우거하여 정착해 살면서 부터이다. 입향조 주운을 비롯하여 그의 후손들은 영해지역 토성인 영해신씨를 비롯하여 수안김씨, 재령이씨, 안동권씨등의 가문과 서로 혼인관계를 맺고 학문적 교류를 확대하면서 사회  경제적 기반을 확립하게 된다. 이처럼 성공으로 정착할 수 있었던 것은 16세기까지 토착세력들과 끊임없는 교류를 통해 가문의 세력을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16 · 17 · 18세기의 분재기의 전체적인 재산규모를 살펴보면 동시기의 타 가문의 재산규모에 비해 규모가 큰 편에 속하지는 않지만 분명한 것은 영해지역의 재지사족의 세력가문으로 성장해온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라 할 수 있겠다. 특히 16 · 17세기는 무과 급제와 활발한 관직진출의 시기로 사회 · 경제적기반이 확립된 시기로 보여 진다. 하지만 18세기에는 등과와 관직진출이 위축되고 이런 상황에서 지속적인 재산상속으로 인해 재산규모는 크게 감소되어진다. 연구 자료에 의하면 재산상속은 17세기 중엽 이전에는 균등하게 상속하였고 17세기 중엽부터는 균등상속제에서 차등 상속제로의 전환기로 보았고 18세기 중엽부터는 차등 상속이 일반화되어 가는 경향으로 보았다. 이러한 연구 자료를 토대로 영해 신안주씨 家의 상속변화를 살펴보면 16세기에는 자녀의 신분의 차별 없이 평균상속이 되었고, 17세기 중엽이후는 자녀의 신분에 따라 철저하게 차등 상속이 되어 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연구 자료와 큰 차이점이 없다고 할 수 있겠다. 조선시대 상속 변화의 원인은 대체로 지속적인 균등상속에 의한 재산 감소와 윤회봉사의 해소로 인한 장자 중심의 봉사전환이 장자우대 상속으로 빠르게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재지사족들의 조상 봉사의식의 중요성은 차등 상속의 변화로 이행되었고 부계중심의 직계가족제로 바뀌게 되었다. 영해 신안주씨 家의 봉사조의 변화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사회현실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고 하겠다. 분재기를 살펴보면 16세기에는 『經國大典』의 중자녀 상속분의 1/5 가급율 규정보다 우급 되어졌고, 17세기 중엽 ~ 18세기까지 봉사조 비율은 빠르게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제사를 승계 받은 자식에 대해서 재산을 우대 상속하는 폭이 큰 것으로 보아 가문의 봉사조 강화와 조상 봉사에 대한 의식이 상당히 중요하게 작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재산의 출처인 소종래의 변화를 살펴보면 16세기에는 노비나 토지마다 부변 · 처변전래 등으로 기재하여 재산을 관리하여 타인에게 재산이 전계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는 손외여타금지의 개념으로 17 · 18세기에는 재산 출처의 기재는 사라지지만 분재기 내용에 손외여타금지에 대한 의지를 기록하는 사례가 늘어나게 된다. 마지막으로 영해 신안주씨 가문은 18세기 주중휘 代에서 아들의 사망으로 절손위기 처해지는데 이를 막기 위해 문중에서 수양자로 계후하는 소지를 올려 예조의 허가 받아 영해 신안주씨 가문의 代를 이어나가게 된다. 이는 16세기에 성리학과 예학이 확산되면서 부계중심의 가족제로 빠르게 바뀌게 되어 가묘 또는 喪祭를 지낼 막중한 책임을 이어받는 것은 유교윤리의 중요한 의식으로 인식되면서 자녀신분에 따른 차등 상속과 조상 봉사를 승계받은 자식에게 재산상속을 우대하는 것, 부계혈통 자손의 養子制는 사족들에게 상당히 중요하게 작용된다. 본 연구 자료인 영해 신안주씨 가문의 분재기만으로 정확한 재산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일반화 하기에는 자료의 한계는 있다고 보여진다. 하지만 16~18세기 영해 지역 재지사족으로 가세의 번성과 침체를 거듭하면서도 사회적 기반과 재산증식을 위하여 세력이 번성한 가문과의 교류 또는 혼인관계을 통하여 영해지역의 영향력있는 가문으로 그 위상을 지키려는 노력과 조상 봉사의식을 지키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 17세기 淸風金氏 家門의 정치적 역할과 위상 : 현종비 명성왕후 집안을 중심으로

        이혜지 國民大學敎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34271

        Abstract The cheongpoong Kim family’s political role and status in the 17th century by Lee Hye-Ji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17th century was a Sarim(士林) politics period of conflictsand antagonism occurring over and over again between Seo-In(西人) and Nam-In(南人) factions. In this period Cheong-Poong Kim family(淸風金氏), appearing as a maternal relatives family of the king,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n aide to the king, in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from the King HyeonJong(顯宗) to the early King SookJong(肅宗) period. Therefore studying the political activities of Cheong-Poong Kim family could be a measure of understanding political history of 17th century. Cheong-Poong Kim family dwelled in GeumChon, YangJoo, GyeongGi-Do from Kim Sook-Phil(金叔弼) downward. Kim Heung-Woo(金興宇), the father of Kim Yook(金育), studying under YulGok Yi Yi(栗谷 李珥) and WooGye Seong Hon(牛溪 成渾) provided the political direction for Seo-In. Kim Yook studied under Woogye Seong Hon and Jisan Jo Ho-Ik(芝山 曺好益) under the influence of his father. Also he accepted studies of Shaowong(邵雍學) which Seo-In in GyeongGi region studied. He and Pyeong-San Shin family, a representative family studying studies of Shaowong, are connected by a marriage and Han Party(漢黨) of Seo-In. As for the marriage relationships of Cheong-Poong Kim family, in the previous generations of Kim Yook, marriage with royal family such as Grand Prince YangNyeong(讓寧大君) and Grand Prince HyoRyeong(孝寧大君) is distinctive. In the generation of Kim Yook, relations by marriage with Prince BokChang(福昌君) and Prince BokNyeong(福寧君), the kindred of the king and with families of Shin Ik-Seong(申翊聖), Jeong Jae-Ryoon(鄭載崙), and Oh Tae-Joo(吳泰周), sons-in-law of the king are formed. Marriage with royal family and its relatives served as a foundation for them to be a political leading group in the 17th century. It was not until King HyoJong period that Cheong-Poong Kim family began political activities in earnest. Han Party, a faction of Seo-In in the late King InJo(仁祖) period, came into operation with Shin Myeon(申冕) leading the party. Afterwards in the early King HyoJong period as Sanrim(山林) faction entered politics, a conflict between San Party(山黨)and Han Party came to the surface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DaeDongBeob(大同法). In the second year of King HyoJong(孝宗) period, Kim Yook was selected as a YeongEuiJeong(領議政) and a daughter of Kim Woo-Myeong(金佑明) was chosen as the crown princess(世子嬪). The chances are pretty high that the relationship with Shin Ik-Seong, a member of the son-in-law family and GongShin(功臣) in the political upheaval(仁祖反正) would work. After choosing the crown princess, Han Party became a political leading power around Kim Yook. Second YeSong(禮訟) in the fifteenth year of KingHyeonJong period(1674) is an event that shows a political role of Cheong-Poong Kim family as maternal relatives of the king. It was brought up with the issues of Queen JangRyeol(莊烈王后)’s clothes for national mourning after the demise of Queen InSeon(仁宣王后).Kim Seok-Joo(金錫冑) aroused political controversy on the amendment of mourning clothes etiquette from GiNyeonBok(1Year) to DaeGongBok(9months) and this made King HyeonJong reexamine this decision. In the retrial for mourning clothes etiquette, EuiRyeJeShins(議禮諸臣) of BinCheong(賓廳), who were disciples of Song Si-Yeol(宋時烈), insist on Sajongsul(四種說). So King HyeonJong ousted Seo-Ins from Song Si-Yeol line, leaving the interpretation of EuiRyeKyeongJeon(儀禮經傳) absolutely in the hands of Kim Seok-Joo, a maternal relative.In the King HyeonJong period, Cheong-Poong Kim family led by Kim Seok-Joo stood close to the king and became characteristic of a maternal family of the royal family. However one month after revision of mourning clothes etiquette, on the sudden decease of King HyeonJong, King SookJong was crowned at a tender age. Queen MyeongSeong(明聖王后) needed checks on three Bok brothers, sons of Grand PrinceInPyeong, who were to be crowned in an emergency. So she started ‘Disturbance by Hong-Soo’(紅袖之變) with her father Kim Woo-Myeong(金佑明), exposing the event that Prince BokChang and Prince BokPyeong had affairs with a court lady. However King SookJong, who treated Prince BokChangbrothers with cordiality, tried to cover the event up and in the end Queen MyeongSeong intervened in the situation in person. In the process Nam-In faction backlashed and Seo-In faction advocated and this made it possible for Seo-Ins to make a coalition with Seo-Ins from Song Si-Yeol line. Though Prince BokChang brothers were not ousted, but King SookJong, at the fourth year of accession to the throne, after he recovered from an illness, gradually entrusted military power to maternal relatives of the King. King SookJong appointed Kim Seok-Joo as a BooCheChalSa(副體察使) and EoYeongDaeJang(御營大將) Meanwhile, in the sixth year of King SookJong period, due to Heo Jeok(許積) taking and using royal family’s glaze arbitrarily, Nam-In faction encountered downfall. Power changed, the impeachment of three Bok brothers and Heo Gyeon(許堅) was called for. As Jeong Won-Ro(鄭元老) and Gang Man-Cheol(姜萬鐵) asserted that Heo Gyeon helped Prince BokSeon to the throne, Prince BokSeon was hanged. Jeong Won-Ro’s reporting treason was caused by urge of Shin Beom-Hwa(申範華), Kim Seok-Joo’s cousin(內從弟) and this was a part of Kim’s taking advantage of relatives by marriage. Afterwards Prince BokPyeong and Prince BokChang were eliminated and even DoCheChalSaBoo(都體察使府) was abolished and maternal relatives of the King mainly constituted military power. Shortly after the political upheaval, Kim Seok-Joo was appoint 국문 요약 17세기 淸風金氏 家門의 정치적 역할과 위상 李 慧 智 17세기는 사림정치기로 西人과 南人세력의 경쟁과 반목이 거듭되고 있었다. 이 시기 효종대 외척가문으로 등장한 청풍김씨는 현종~숙종초에 왕의 측근에서 왕권강화에 기여하였다. 그러므로 청풍김씨의 정치활동은 기존의 사림세력의 연구와 더불어 17세기 정치사를 이해하는 데 또 다른 방법이 될 수 있다. 淸風金氏 가문은 金叔弼 이래로 경기도 양주 금촌에 세거하면서 가학을 형성한다. 하지만 金湜이 기묘사화를 당하면서 후손들은 정계에 진출하지 않고 후학을 양성하며, 대표적 사림가문으로 성장하였다. 또한 金堉의 아버지 金興宇는 栗谷 李珥와 牛溪 成渾에게 수학하며 서인의 정치적 방향을 확립하였다. 김육은 아버지의 영향으로 우계 성혼과 芝山 曺好益에게 수학였으며, 또한 17세기 경기지역에 서인들이 연구하던 邵雍學을 받아들였다. 대표적으로 소옹학을 연구하던 平山申氏 가문과는 혼인과 서인내 漢黨으로 연결되었다. 청풍김씨의 혼맥을 살펴보면 김육 선대에는 讓寧大君․孝寧大君을 중심으로 한 왕실과의 혼인이 특징적이고, 김육대에는 종친 福昌君․福寧君, 부마 申翊聖․鄭載崙․吳泰周 집안과 인척관계를 형성하였다. 왕실 친인척들과의 혼인은 17세기 정치 주도세력으로 부상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청풍김씨 인물들이 본격적으로 정치활동을 시작한 것은 효종대 이르러서였다. 인조 말 서인의 한 분파로 나온 한당은 申冕을 당주로 하여 활동하였다. 이후 효종초 산림세력의 정계진출로 한당과 山黨의 갈등은 대표적으로 대동법 시행의 갈등으로 표면화된다. 효종 2년에는 김육이 영의정으로 발탁되고 김우명의 딸이 세자빈으로 간택되는데, 이는 부마 가문이면서 인조반정 공신인 신익성과의 관계가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세자빈 간택 후 한당은 김육을 중심으로 정국을 주도하는 세력이 되었다. 현종 15년(1674) 2차 예송은 청풍김씨가 외척으로써의 정치적 역할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仁宣王后 승하 후 莊烈王后 趙氏의 상복 문제로 시작되었다. 상복을 기년복(1년)에서 대공복(9개월)복으로 개정된 문제를 金錫冑가 정치분쟁화 시키면서 현종이 재심하게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복제 재심에서 宋時烈의 제자들이었던 빈청의 의례제신들은 四種說을 주장하였고, 이에 현종은 외척 김석주에게 『의례경전』의 해석을 일임함으로써 송시열계 서인을 축출한다. 현종대 김석주를 중심으로 한 청풍김씨는 국왕의 측근에 서면서 외척 가문으로의 성격이 뚜렷해지게 된다. 한편 복제개정 한달 후 현종이 갑작스런 승하로, 숙종은 어린나이에 왕위에 등극하게 된다. 明聖王后는 유사시에 왕위에 오를 수 있던 麟坪大君의 아들들인 삼복형제에 대한 견제가 필요했다. 이에 아버지 金佑明과 함께 福昌君과 福平君이 궁녀와 간통한 사건을 적출하여 ‘紅袖의 變’을 일으켰다. 하지만 복창군 형제를 극진히 대했던 숙종은 이 사건을 덮으려고 했고, 결국 명성왕후는 직접 사건에 개입한다. 이 과정에서 남인 세력은 반발하고, 서인 세력은 옹호하는 입장을 취하는데 이는 송시열계 서인과 다시 연합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복창군 형제는 축출되지 않았지만, 숙종은 즉위 4년 만에 건강이 악화되었다가 회복된 뒤 점차 병권을 외척세력에게 일임하는 모습을 보인다. 숙종은 김석주를 副體察使와 御營大將에 임명한다. 그러던 중 숙종 6년 許積이 왕실에서 사용하는 帷幄을 마음대로 가져가 사용한 사건을 계기로 남인 세력은 실각하게 된다. 세력이 교체되면서 바로 삼복형제와 許堅에 대한 탄핵이 시작된다. 鄭元老와 姜萬鐵에 의해 허견이 복선군을 옹립하려 한다는 급변이 올라오면서 복선군은 교수형에 처해졌다. 정원로의 고변은 김석주의 內從弟인 申範華의 종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인척세력을 이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복평군과 복창군까지 제거되고, 都體察使府까지 폐지되면서 군권은 외척중심으로 구성되었다. 환국 직후 김석주는 保社功臣元勳에 임명되고, 공신의 선정까지 개입하면서 외척으로써 영향력을 극대화한다. 또한 인경왕후가 승하하고, 이듬해 서인 宋浚吉의 외손녀이면서 閔維重의 딸을 왕비로 간택하면서 외척 세력의 기반을 더 확고히 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김석주를 중심으로 한 군제개편은 왕실 중심의 군권을 이루었고, 이후 숙종의 개혁에 바탕이 되었다. 이렇게 청풍김씨 가문은 사림계 가문에서 현종대 외척계 가문으로 성격이 점차 변화하면서 외척으로서 국왕 중심의 정국을 운영하는데 기여하였고, 대표적 외척 가문으로 발돋움하였다.

      • 1900~1910년대 샌프란시스코 한인사회의 형성과 성격

        이하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4271

        Due to geographical condition of port city, frequent contact with different races was taken place in San Francisco from the past and it shows more diversified racial composition than Eastern US. US immigration of Koreans having been started from early 1900s was progressed under the plundering process of Japanese imperialism. Koreans being recruited under the arrangement of East-West Development Company and Christian missionary were immigrated to San Francisco via Hawaii. Where, an economic factor of better working condition was strongly acted and Koreans of city birth tried to relocate their working place to US continent. For Koreans who settled down in a strange land needed an alliance for information exchange and as a venue of gathering, Korean United Methodist Church(桑港韓人聯合監理敎會) was established. This church was a center of general activity for Korean settlement and racial movement and after it being developed to a venue of Korean community, United Korean Association(共立協會) was organized. This organization was developed, re-organized to Korean National Association(大韓人國民會) and engaged in its activity by forming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general Korean along with plundering of national sovereignty. On the other hand, for Korean immigrants, maintaining a livelihood was the most urgent matter. During those times, industrialization of western US was just started and in labor market, cheap Oriental laborers were recruited in large scale. Koreans played a role of laying foundation in a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of western US based on cheap labor and sincerity. This labor was so called '3D' job such as railroad work or mining job. This field was a part that could be participated by Koreans who were still unskilled in communication as livelihood means in the US society. Commerce and service business based on skilled communication were progressed, developed independently in Korean society and over time. range of economic activity was widened together with local adaptation. Economic activity of Koreans like this was not limited to just Korean society but it shows multi-layered nature of playing its role in US society also. Korean did not spend their income earned by economic activity in a waste land just on their subsistence. Under the situation of lost country, their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were to arrange independence movement fund and they regarded it as top priority of save-the-nation campaign. Financial support for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n in US showed their advanced consciousness and such a result was enabled by sustained ethnic education activity. Ethnic education was essential for Koreans living abroad under the situ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plundering in order to maintain identity as Koreans, not as "subjects" of Japan. However, contrary to English education that receives US government support, ethnic education of Koreans could not receive any financial support. Therefore, ethnic education of Korean at early stage was performed in a form of night school at home or Korean church. From the beginning of 1910s, as 2nd generation was growing,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and ethnic education was further emphasized. Under this situation, Korean society in the US constructed a system by establishing Korean school under the umbrella of Korean National Association that was Korean autonomous government and each local society and allocating budget. Korean-Americans who had to settle down and lead their life without legal personal status in a strange land did not stop their effort in order to solidify Korean society by overcoming this crisis of ethnic identity. During the times of national sovereignty plundering, Korean society in the US was an unofficial nation of Koreans and an aggregate of ethnic identity. In particular, Korean society in San Francisco completed its role at an early stage of immigration as a first residing place of Korean immigrants and a center of overseas Korean society where central assembly of Korean National Association was positioned. 샌프란시스코는 항만도시라는 지리적 조건으로 예전부터 이민족과의 접촉이 잦았으며 미국 동부 보다 다양한 민족 구성을 이루고 있다. 1900년대 초 시작된 한인의 미국 이민은 일본 제국주의의 침탈 과정 속에서 진행되었다. 동서개발회사와 기독교 선교사의 주선으로 모집된 한인은 하와이를 거쳐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이주하였다. 여기에는 더 나은 노동조건이라는 경제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으며 대다수 도시출신이었던 한인들은 미국 대륙으로 일터를 옮기고자 하였다. 낯선 땅에 정착한 한인에게는 정서적 안정과 정보 교류를 위한 연합이 필요하였고 모임의 장으로 상항한인연합감리교회가 세워졌다. 이 교회는 한인의 정착을 위한 제반 활동과 민족운동의 중심이 되어 활동하며, 이후 한인공동체의 장으로 발전하여 한인자치정부 공립협회를 조직하였다. 이 조직은 국권침탈과 함께 대한인국민회로 발전·개편되어 한인 일반 동포들과 유기적 관계를 맺으며 활동하였다. 한편 이주한 한인에게는 생계유지가 가장 시급한 문제였다. 이 시기는 미국 서부의 산업화가 시작되던 때로, 노동시장에서 값싼 노동력인 동양인 노동자를 대거 모집하였다. 한인은 값싼 노동력과 성실함을 무기로 미국 서부 산업화 과정에서 그 기초를 닦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위와 같은 노동은 철도공사나 광산캐기와 같은 소위 ‘3D’업종이었다. 이 분야는 아직 의사소통에 미숙한 한인이 미국사회에서 생계 수단으로 참여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능숙한 의사소통을 기본으로 하는 상업 및 서비스업은 한인사회 내에서 자체적으로 진행·발전되었고, 시간이 지나 현지에 적응해가면서 경제 활동의 폭도 넓어졌다. 이와 같은 한인의 경제 활동은 한인사회 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미국사회에서도 그 역할을 이행하는 중층적 성격을 보이고 있다. 재미한인은 불모지에서 경제 활동으로 얻어진 수익금을 자신의 생계유지에만 국한하여 쓰지 않았다. 이들은 나라를 잃은 상황에서 재미한인의 책임과 의무를 독립운동자금마련에 두고 그것을 구국운동의 제일로 삼았다. 재미한인의 독립운동 재정지원은 한인의 의식 성장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것은 그간의 민족교육 활동이 꾸준히 전개되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국권 침탈의 상황 해외한인에게는 일본의 “신민”이 아닌 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한 민족교육이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한인의 민족교육은 미국정부의 지원을 받는 영어교육과 달리 어떠한 지원도 받을 수 없었다. 따라서 초기 재미한인의 민족교육은 가정이나 한인교회에서 야학 등의 형태로 이행되었다. 1910년대에 들어서고 한인 2세가 성장함에 따라 국어교육 및 민족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었다. 이에 재미한인사회는 국어교육의 의무화와 함께 한인자치정부인 대한인국민회 각 지방회 소속으로 한인학교를 설립하였고 예산을 편성하는 등 체계를 갖추어갔다. 낯선 땅에서 법적 신분 없이 정착하고 생활해야 했던 재미한인은 이와 같이 민족정체성의 위기를 극복하고 한인사회를 공고히하기 위해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국권침탈의 시기 재미한인사회는 한인의 비공식 국가였으며 민족정체성의 집합체였다. 특히 샌프란시스코 한인사회는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이 처음 거하는 곳이자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가 자리한 해외한인사회의 중심부로서 이민 초 그 역할을 다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