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erformance improvement of photosynthetic fuel cell using micro-pillar structure

        유동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4

        식물 틸라코이드(Thylakoid)를 이용하여 광합성 전류 추출하였으며, 마이크로필라(Micro-Pillar) 구조 전극을 이용하여 광합성 전류를 향상시켰다. 틸라코이드는 시금치로부터 분리되었으며, 산소 발생을 측정하여 분리된 틸라코이드가 빛을 받을 때 광합성 기능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틸라코이드의 크기와 모양을 관찰하였고, 틸라코이드 크기 분포에 근거하여 이에 적합한 마이크로필라 구조의 전극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전극의 제작에는 Metal-Assisted Chemical (MAC) Etching 공법이 이용되었다. 광합성 전류는 3 전극 시스템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빛의 세기, 바이어스 전압, 틸라코이드 양을 조절해가며 광합성 전류의 기초적인 특성을 파악했다. 또한, Cyclic Voltammogram을 통해 틸라코이드 막에 존재하는 단백질 중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을 확인하였다. 전극 자체가 빛에 의한 광전 효과(Photovoltaic Effect)로 인한 영향은 광합성 전류에 미미하다는 것 또한 확인하였다. 평면 전극과 비교하여 마이크로필라 구조를 갖는 전극으로부터 더 큰 광합성 전류를 추출해낼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전극 표면과 틸라코이드의 직접적인 접촉의 증가가 직접 전자 전달(Direct Electron Transfer)을 통해 광합성 에너지 하베스팅의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광합성 연료 전지(Photosynthetic Fuel Cell)가 제작되었으며, 마이크로필라 전극을 이용한 성능 향상이 평가 되었다. The extraction of photosynthetic currents from thylakoids was studied using a micro pillar structured electrode. Thylakoids were isolated from spinach leaves. The photosynthetic functionality of isolated thylakoids was verified by oxygen evolution under light illumina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thylakoids were estimated fro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s. Based on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thylakoids, a micro pillar shaped electrode was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the metal-assisted chemical (MAC) etching of silicon wafers. Photosynthetic currents were measured in a three-electrode setup. Light intensity, bias voltage, and thylakoid amount were controll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ylakoids. Cyclic voltammetry revealed the contributive components of the thylakoid membrane to the photosynthetic current. The influence of the photovoltaic effect was confirmed to be negligible. Larger photosynthetic currents were observed from micro pillar electrodes compared with flat electrodes. This indicates the significance of the enhanced contact between thylakoids and an electrode for harvesting photosynthetic electrons through direct electron transfer. Additionally, a photosynthetic fuel cell (PFC) was fabricated and its performance was evaluated and compared using a micro pillar electrode.

      • Research on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Antiferroelectric AgNbO3 Ceramics and Thick Films by Aerosol Deposition

        Geon, Lee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4

        휴대전화, 웨어러블 장치와 같은 소형 기기부터 전기 자동차, 데이터 저장소와 같은 대형 인프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전력 장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에너지 저장 소자에는 이차 전지, 연료 전지, 슈퍼 커패시터, 유전체 커패시터와 같은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유전체 커패시터는 뛰어난 전력 밀도를 가지고 있어, 빠른 에너지 충전 및 방전이 요구되는 펄스 파워 응용, 전력 조절, 자동차 시스템과 같은 특수 용도에 적합하다. 그러나 유전체 커패시터는 다른 에너지 저장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저장 분야에서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무연 소재인 AgNbO3 반강유전체(AFE)의 유전 및 전기적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고 AgNbO3 반강유전체가 나타내는 높은 히스테리시스 및 에너지 저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온 분사 공정 (AD; aerosol-deposition) 공정을 채택하였다. 이 공정을 통해 제작된 후막은 반강유전 특성을 나타내는 벌크 세라믹스와는 대조적으로 강유전체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유전 거동의 차이는 후막 내의 나노 입자 구조 분포에 기인한다. 나노 입자 구조 분포는 재료의 강유전체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벌크 세라믹 및 후막의 제작 공정 중에 AgNbO3는 자발적인 환원 반응에 의해 산소 공공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전기적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라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벌크 세라믹 및 후막의 제작 공정은 산소분위기에서 소결 및 열처리 공정이 진행되었다. 후막의 경우 산소분위기에서 600 - 900 °C의 다양한 열처리 조건에 따라 에너지 저장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중, 800 °C에서 6시간 동안 열처리된 AgNbO3 후막은 다른 열처리 조건의 후막에 비하여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800 °C에서 6시간 동안 열처리된 AgNbO3 후막은 벌크 세라믹에 비해 약 다섯 배 높은 1100 kV/cm의 유전 파괴 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벌크 세라믹의 경우 높은 전기장 하에서 에너지 저장 효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후막은 높은 전기장을 인가하는 조건에서도 최대 66 %의 높은 효율을 유지하였다. 벌크 세라믹과 후막 모두 비슷한 에너지 저장 밀도 값을 나타내었지만, 높은 전기장을 인가하는 조건에서 후막은 벌크 세라믹보다 효율 면에서 월등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 Mechanisms that regulate the translation of hepatitis B virus pregenomic RNA

        류동균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9 국내박사

        RANK : 247613

        The pregenomic RNA (pgRNA) of hepadnaviruses serves a dual role: as mRNA for the core (C) and polymerase (P) synthesis and as an RNA template for viral genome replication. A question arises as to how these two roles are regulated. We hypothesized that the P protein could suppress translation of the pgRNA via its interaction with 5′ stem-loop structure (ε or encapsidation signal).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we observed the upregulation of the C protein level in the absence of the P protein expression in a physiological replicon context. Importantly, translational suppression depended on the 5′ sequence. Further, the impact of the P protein on ongoing translation of the C ORF was directly demonstrated by polysome distribution analysis. We conclude that the P protein suppresses translation of the pgRNA via a mechanism involving its interaction with the 5′ sequence, a finding that implicates the coordinated switch from translation to genome replication. We have reported that hepatitis B virus (HBV) polymerase (P) protein suppresses translation of the pregenomic RNA (pgRNA) via the 5′ stem-loop structure (packaging signal or ε), suggesting that P protein acts as molecular switch of translation-to-encapsidation transition. However, the underlying mechanism of relation between the suppression and viral encapsidation remained unknown. To address this issue, we investigate whether the cap-proximity of the 5′ ε structure is essential for the translation suppression. We found that translation suppression was observed, only when the 5′ ε sequence was positioned near 5′ end. The importance of the cap proximity of the 5′ ε is reminiscent of the pregenomic RNA encapsidation. Interestingly, we observed that active translation itself impedes efficient encapsidation. In addition, mutagenesis studies for ε and P protein showed that translation suppression and encapsidation commonly require P-5′ ε interaction but encapsidation necessitates the interaction integrity rather than translation suppression. Taken together, the observation is consisted with the notion that the translational suppression is sequentially linked to and prerequisite for encapsidation by P protein.

      • Neutrophil pyroptosis mediates pathology of P.aeruginosa lung infection in the absence of the NADPH oxidase NOX2

        유재찬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박사

        RANK : 247613

        대식세포에서 세포 내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작용기작으로 NLRC4 inflammasome의 활성화에 의한 caspase-1 의존적인 pyroptosis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세균의 급성 감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중구에서의 NLRC4 inflammasome에 의한 pyroptosis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잘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녹농균으로 인한 폐 감염 시 호중구 특이적인 조절 작용과 병적인 역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였다. Nox2 결손 유전자 마우스 모델을 이용해서 확인한 결과 nox2가 없을 시 녹농균에 대한 호중구의 항균 작용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었으며 pyroptosis 또한 증가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런 호중구의 pyroptosis 증가는 녹농균의 병원성 물질 중 하나인 flagellin에 의한 것이었음을 flagellin이 결손된 균주를 이용해서 확인하였다. 녹농균으로 인한 호중구의 pyroptosis가 NLRC4와 TLR5 의존적이라는 사실 또한 각각의 유전자 결손 마우스 모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녹농균으로 인한 폐 감염 모델에서 호중구 pyroptosis의 작용기전을 밝혀내었다. 이 결과는 호중구의 기능에 문제가 있는 환자들에게서 급성 감염이 발생할 경우 호중구의 pyroptosis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Nod-Like Receptor family, CARD domain-containing 4 (NLRC4)-inflammasome activation is required for efficient clearance of intracellular pathogens through caspsase-1-dependent pyroptosis in macrophages. Although neutrophils play a critical role in protection from P. aeruginosa infection, the mechanisms regulating NLRC4-inflammasome-mediated pyroptosis in neutrophils and its physiological role are largely unknown. I sought to determine the specific mechanisms regulating neutrophil pyroptosis in P. aeruginosa strain PAO1 (PAO1) lung infection and to identify the pathological role of this process. Nox2-/- models with reduced neutrophil antibacterial activity exhibited increased neutrophil pyroptosis, which was mediated by flagellin, a pathogenic PAO1 component. I also demonstrated that PAO1-induced pyroptosis in neutrophils was dependent upon NLRC4 and Toll-like receptor 5 (TLR5), using animals deficient of Nlrc4-/-, or Tlr5-/-. This study reveals previously unknown mechanisms and physiological role of neutrophil pyroptosis during P. aeruginosa lung infection. Furthermore, those findings regarding neutrophil pyroptosis in the context of neutrophil dysfunction may explain the causes of acute infectious diseases in patients with incompetent neutrophils.

      • DESIGN OF A MULTIBAND ANTENNA FOR PORTABLE BROADCASTING SERVICES

        RYU KWANGWOO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375

        In this thesis, two compact antennas for TDMB and DVB-H / DAB bands are proposed for portable broadcasting services. A proposed antenna for TDMB is asymmetric dipole antenna using meandered structure and chip inductance, occupying a total volume of 7 × 7 × 100㎣. The length of antenna is about 0.06λ at the TDMB resonance frequency of 190 MHz. The proposed antenna has two resonance frequencies and covers the TDMB band of 174 MHz ~ 216 MHz in Korea. The antenna has good impedance bandwidth and radiation characteristics for the TDMB. DVB-H / DAB antenna is a monopole type antenna with long and short bar-shape metal plates, occupying a total volume 7 × 7 × 130㎣. By adjusting the gap distance between the long and short bar-shape metal plates, wide and dual band properties are achieved. The proposed antenna shows good impedance and radiation characteristics for DVB-H band (470 MHz ~ 870 MHz) and DAB band (1.45 GHz ~ 1.48 GHz). The measured return losses over the frequency band of interest are better than 10 dB. In addition, good radiation patterns are also obtained.

      • The Intravertebral Cleft in Benign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Non-Enhanced MRI and Fat-Suppressed Contrast-Enhanced MRI

        Ryu, Chang-Woo 강원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375

        he intravertebral cleft of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VCF) is concerned with the clinical outcome and the complication risk of the percutaneous vertebroplasty (PV). On fat-suppressed contrast- enhanced T1-weighted imaging (CEMRI), it has been reported that a cleft is seen as a focal non-enhanced area within diffuse enhancement of a vertebral body. However, whether CEMRI has efficacy for detecting a cleft has been not properly evaluated.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a cleft finding on CEMRI with findings on non-enhanced MRI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use of CEMRI to predict the presence of an intravertebral cleft in benign VCF. We retrospectively reviewed 99 consecutive patients that had undergone a percutaneous vertebroplasty for a VCF. In all cases, MRI was performed prior to a PV. A cleft was defined as a hyperintense or signal void area seen on a non-enhanced MR image (T1 weighted and T2 weighted image) or as an non-enhanced area within a diffusely enhanced vertebra seen on CEMRI. The presence of a cleft was confirmed as a solid opacification of a cleft on post-procedural radiographs.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and diagnostic performance for the diagnosis of a cleft on MRI was evaluated.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of non-enhanced MRI was substantial (k=0.698) and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of CEMRI was almost perfect (k=0.836). A solid cleft opacification on post-procedural radiographs was seen in 32 of the 99 case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non-enhanced MRI were 0.72 and 0.82 (observer 1) and 0.63 and 0.87 (observer 2),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EMRI were 0.94 and 0.63 (observer 1) and 0.85 and 0.60 (observer 2),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of CEMR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enhanced MRI (exact analogue, p < 0.05) and the specificity of CEMRI was lower than that of non-enhanced MRI (McNemar’s test, p < 0.05). CEMRI is a highly reliable and sensitive modality for the detection of a cleft of VCF. However, analysis of CEMRI should be performed with non-enhanced MRI, as the specificity of CEMRI is lower than non-enhanced MRI. 양성 척추 압박골절에서 추체내 크레프트(intravertebral cleft)가 발생하면 골절의 유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척추체의 불안정성으로 지속적인 동통을 유발하게 된다. 크레프트는 경피적척추성형술의 임상결과와 합병증에 깊은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양성압박골절 환자의 관리를 위하여 시술 전 영상진단이 중요하다. 크레프트는 지방신호억제 조영증강MRI(fat-suppressed contrast-enhanced T1-weighted images, 이하 조영증강MRI)에서 미만성으로 조영증강 된 척추체 내부의 국소적인 비조영 구역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상소견의 진단성적의 유효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분석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영증강MRI의 크레프트에 대한 진단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조영증강MRI와 비조영MRI(T1 및 T2강조영상)의 진단성적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양성 척추압박골절로 경피적 척추체 성형술이 시행된 99명의 환자의 척추영상을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크레프트의 영상소견은 비조영MRI에서는 물과 동일한 신호강도를 보이거나 신호소실을 보이는 경우, 조영증강MRI에서는 미만성 조영증강 내부의 국소적인 비조영 구역으로 정의하였다. 크레프트의 존재여부는 척추성형술 후 일반방사선촬영에서 시멘트가 고형성 분포를 보이는 경우로 판별하였고, 이러한 일반방사선촬영의 결과를 대조표준으로 삼아서 각 MRI 영상의 관측자간 신뢰도와 진단성적(민감도, 특이도)을 평가하였다. 조영증강MRI가 비조영MRI보다 더 높은 값의 관측자간 신뢰도를 보였다(k = 0.836 과 k=0.698). 시술 후 일반방사선촬영에서 99명 중 32명에서 크레프트가 관찰되었다. 비조영MRI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제1 관측자에서는 0.72 과 0.82, 제2 관측자에서는 0.63 와 0.87로 나왔다. 조영증강MRI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제1 관측자에서는 0.94 과 0.63, 제2 관측자에서는 0.85 와 0.60로 나왔다. 조영증강MRI의 민감도는 비조영MRI보다 현저히 높았으나(exact analogue, p<0.05), 특이도는 비조영MRI보다 낮았다 (McNemar’s test, p<0.05). 양성척추압박골절에서 조영증강MRI는 크레프트의 진단을 위한 신뢰도와 민감도가 높은 영상진단법이며 척추성형술 전 척추 압박골절 내 크레프트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영증강MRI는 특이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비조영 MRI와 함께 분석해야 한다.

      • Obstacle crossing training for improving balance and walking function after stroke :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unaffected limb leads versus affected limb leads

        Giseon Ryu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74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장애물 넘기 훈련 시 the unaffected limb leads(OCT-ULL)와 the affected limb leads (OCT-ALL)방법에 따른 중재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만성 뇌졸중 환자 25명이 참여하였으며, Obstacle-cross training with the unaffected limb leads (OCT-ULL)그룹 13명과 Obstacle-cross training with the affected limb leads (OCT-ALL)그룹 12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사전검사는 하지 근력검사와 균형 및 보행검사, 낙상 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1일 30분 주 5회, 4주 동안 중재에 참여하였고,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OCT-ALL그룹과 비교하여 OCT-ULL그룹에서 환측 엉덩관절 벌림근의 근력이 향상되고 균형 및 보행, 낙상 효능감에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p < .05). 뇌졸중 환자의 장애물 넘기 훈련은 OCT-ALL을 하는 것보다 OCT-ULL 훈련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균형과 보행기능 향상에 더 효과적이라고 제언한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intervention effects of obstacle crossing training using unaffected limb leads (OCT-ULL) and obstacle crossing training using affected limb leads (OCT-ALL) in stroke patients. Twenty-five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were studied and assigned randomly to the obstacle crossing training with unaffected limb leads (OCT-ULL) group or the obstacle crossing training with affected limb leads (OCT-ALL) group. A lower extremity strength test, balance and gait test, and fall efficacy test were conducted as preliminary tests. All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for 30 minutes a day, fiv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and the same post-intervention test as the preliminary tests were conducted. Compared with the OCT-ALL group, the OCT-UL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muscle strength of the affected hip abductor muscle and in balance and gait, as well as the fall efficacy (p<.05). It is suggest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OCT-ULL training method was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balance and gait function than OCT-ALL among stroke patients during their obstacle crossing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