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mmune regulatory roles of activin A in mouse B lymphocytes and macrophages

        Lee, Hwa-Joung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373

        It is well established that TGF-β1 induces IgA and IgG2b isotype switching in mouse B cells. In the present study, I explored whether activin A, a member of TGF-β superfamily, is involved in Ig expression. First, I examined the effect of activin A on Ig secretion in CH12F3-2A B lymphoma cells. Activin A, although less striking as compared to TGF-β1, substantially increased IgA secretion by LPS-activated CH12F3-2A B lymphoma cells. However, unlike TGF-β1, it failed to increase IgG2b secretion. The increase of IgA secretion by activin A was completely abrogated by SB431542 (TGF-β type I receptor inhibitor), suggesting that its signal transduces through Smad proteins. Under the same condition it also increased Ig germ-line a transcripts, which is an indicative of IgA class switching recombination. In addition, activin A, in the presence of IL-5, induced 2-fold increase in IgA secretion by LPS-activated normal spleen B cells, but little or no increase of IgG2b, IgG1 and IgM secretion. Furthermore, a similar pattern of Ig secretion was observed using a purified surface IgA negative B cell popul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ctivin A specifically induces IgA isotype switching in mouse B cells. I further characterized the effects of activin A on IgA expression and B cell growth. An increase of IgA secretion by activin A was completely abrogated by anti-activin A Ab but not by anti-TGFβ1 Ab. On the other hand, activin A had no influence on the LPS-stimulated cell viability. Similarly, CFSE analyses also revealed that activin A little affects cell proliferation. Secondly, I assessed the role of activin A in APRIL expression by mouse macrophages and its signaling mechanism involved. Activin A markedly enhanced APRIL expression in mouse macrophages at the transcriptional and protein levels. Overexpression of DN-Smad3 and SB431542 abrogated activin A-induced APRIL transcription. Further, activin A activated Smad3 phosphoryl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ctivin A enhances APRIL expression through ALK4 and Smad3. From the subsequent analysis, PD98059 (an ERK inhibitor) inhibited the activin A-induced APRIL expression. Overexpression of CREB, one of the ERK downstream molecules, augmented activin A-induced APRIL expression. This effect was abolished by SB431542 and PD98059. As anticipated, activin A induced ERK and CREB phosphorylation, indicating that ERK and CREB act as intermediates in APRIL express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ctivin A may enhance APRIL expression through two different pathways, Smad3 and ERK/CREB. I. 마우스 B cell에서 activin A에 의해 증가된 IgA 발현 TGF- 1은 마우스 B cell에서 IgA와 IgG2b 항체 전환 인자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TGF- superfamily에 속하는 activin A가 항체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첫번째로 CH12F3-2A B lymphoma 세포주에서 activin A가 항체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ctivin A는 TGF- 1보다 약하지만 IgA 항체 합성을 뚜렷하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TGF- 1과 달리 activin A는 IgG2b 분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GF- type I receptor의 신호전달을 저해하는 SB431542 처리로 activin A에 의한 IgA 분비 증가가 완벽하게 저해되었는데 이는 Smad 단백질에 의해 신호가 전달됨을 시사한다. 또한 CH12F3-2A B lymphoma 세포주에서 activin A는 IgA class switching recombination의 지표로 알려진 germ-line (GL) 전사체 발현을 증가시켰다 Activin A에 의한 GL 의 발현은 Smad3/4 과발현에 의해 더욱 증가되었으며, DN-Smad3에 의해 억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activin A에 의한 GL 전사체의 발현에 Smad3/4가 매개함을 보여준다 LPS로 활성화시킨 마우스 비장 B cell에서 activin A와 IL-5를 함께 넣어준 경우에는 IgA 분비를 2배 정도 증가시켰으나 IgG2b, IgG1, IgM 분비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위와 같은 항체합성 분비의 유형은 surface IgA- B cell군에서도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마우스 B cell에서 IgA 발현에 대한 activin A의 특성을 CFSE를 사용하여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ctivin A에 의해 증가된 IgA 분비 현상은 anti-activin A 항체에 의해 완전히 중화되나 anti-TGF- 1 항체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들은 마우스 B cell에서 activin A가 독립적으로 IgA switching을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activin A는 LPS로 활성화된 B cell의 생존과 성장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II.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activin A에 의해 유도된 APRIL 발현 조절과 기작에 관한 분석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activin A에 의해 증가된 APRIL 발현 조절과 그 신호 전달에 대한 기작을 조사하였다. Activin A는 뚜렷하게 APRIL 발현을 전사 수준과 단백질 수준에서 모두 증가시켰다. DN-Smad3의 과발현과 SB431542 (ALK4 저해제)는 activin A에 의해 증가된 APRIL 발현을 저해하였으며, activin A는 Smad3를 인산화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activin A가 Smad3와 ALK4 (activin 수용체)를 통해 APRIL 발현을 증가시킴을 시사한다. 다음으로, activin A의 다른 신호 전달 기작에 대해 조사한 결과, activin A에 의해 증가된 APRIL 발현을 ERK 저해제인 PD98059가 감소시켰다. 또한 Activin A에 의해 증가된 APRIL 발현은 ERK의 하위 신호전달 물질인 CREB의 과발현에 의해 더욱 증가되었으며, PD98059 (ERK 저해제)는 이러한 증가를 저해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activin A가 ERK와 CREB을 인산화시킴으로써 activin A에 의해 유도된 APRIL 발현에 ERK와 CREB이 관여함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activin A가 Smad3와 ERK/CREB을 통해 APRIL 발현을 조절함을 보여준다.마우스 대식세포에서 분비된 APRIL은 B cell에서 항체 전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AID 발현을 유도하며, 따라서 activin A는 마우스 B cell에 직접 영향을 주어 IgA 항체 생성을 증진시키며, 대식세포의 APRIL 발현을 증가시켜 B cell의 IgA 항체 전환에 간접적으로 관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Effects of 4-week self cross body stretching with scapular stabilization on shoulder motion and horizontal adductor strength in subjects with limited shoulder horizontal adduction : 어깨관절의 수평모음 제한이 있는 대상자에게 4주간의 셀프 크로스 바디 스트레칭 적용

        Joung Ha Na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359

        어깨 후방 긴장(posterior shoulder tightness)은 후방 어깨(posterior shoulder)의 축적된, 연속된 미세손상(microtrauma)으로 인해 유발된다. 어깨후방긴장은 어깨관절의 안쪽돌림, 수평모음의 관절가동범위의 제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후방 어깨의 구조물들을 신장시키기 위해 크로스 바디 스트레칭(cross body stretching)을 시행해왔다. 그러나 크로스 바디 스트레칭 시 어깨뼈는 고정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셀프 크로스 바디 스트레칭 시 어깨뼈 고정(scapular stabilization)의 적용 유무에 따른 어깨관절의 안쪽돌림, 수평모음의 관절가동범위와 수평모음 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었다. 어깨관절의 수평모음 제한이 있는 26명(남자 14명, 여자 12명)의 대상자가 모집되었다. 어깨뼈 고정 후 신장운동을 하는 실험군과 고정 없이 신장운동을 시행하는 대조군으로 무작위 분류하였다. 어깨관절의 안쪽돌림과 수평모음의 관절가동범위는 스마트폰 경사계 어플리케이션(Clinometer application)으로 측정하였다. 어깨관절 수평모음 힘은 휴대용 검력계(hand-held dynamometer)로 측정하였다. 어깨관절 안쪽돌림, 수평모음 관절가동범위와 수평모음 힘을 측정한 후, 가 그룹은 셀프 크로스 바디 스트레칭을 교육받았다. 실험군은 대상자 겨드랑이 바로 아래에 벨트를 적용하여 어깨뼈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셀프 크로스 바디 스트레칭을 시행하였다. 대상자는 일주일에 4일간 셀프 크로스 바디 스트레칭을 시행하였다. 4주 후, 어깨관절 안쪽돌림, 수평모음 관절가동범위와 수평모음 힘을 재측정하였다. 어깨관절 수평모음 힘은 표준화를 위해 대상자의 몸무게로 나누었다. 어깨관절 안쪽돌림, 수평모음 관절가동범위와 수평모음 힘 사이에 집단 간 그리고 집단 내에서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이원배치 혼합 분산 분석(2×2 mixed analysis of variance)을 사용하였다. 상호작용효과(interaction effect)가 있는 경우, 단순효과(simple effect)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어깨관절 수평모음 관절가동범위와 수평모음 힘에서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어깨관절 수평모음 관절가동범위의 운동 후 측정값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컸다. 어깨관절 수평모음 힘에서는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어깨관절 수평모음 힘이 더 증가하였다. 어깨관절 안쪽돌림 관절가동범위는 운동 전보다 운동 후 측정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어깨관절 수평모음에 제한이 있는 대상자에게 셀프 크로스 바디 스트레칭 적용 시 어깨관절 수평모음, 안쪽돌림, 수평모음 힘을 증진시키기 위해 어깨뼈 고정이 필요하다. Posterior shoulder tightness (PST) is caused by cumulative, consecutive microtrauma on the posterior shoulder. PST can influence the limited range of motion (ROM) of shoulder motion including shoulder internal rotation (SIR) and shoulder horizontal adduction (SHA). Shoulder horizontal adductor strength (SHAS) could be weakened in PST because muscle weakness results in shortness of opposite tissue. For stretching the posterior shoulder structures, cross body stretching has been performed. However, scapula should be stabilized during cross body stretc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self cross body stretching with and without scapular stabilization (SS) on SHA and SIR ROM and SHAS in subjects with limited SHA. Twenty-six subjects (14 males, 12 females) with limited SHA were recruited. SS group and without stabilization (WS) group were assigned randomly. ROM of SHA and SIR was measured by Clinometer smartphone application. SHAS was measured by hand-held dynamometer (HHD). After the pre-test of SHA, SIR ROM, and SHAS was measured and each group was educated about self cross body stretching. SS group performed self cross body stretching with SS by applying belt just under the subject’s axilla. The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self cross body stretching in 4 times a week. After 4 weeks, post-test of SHA, SIR ROM, and SHAS were measured again. SHAS was divided to bodyweight for normalization (represented by %BW). 2 × 2 mix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in SHA, SIR ROM, and SHAS between two groups (SS vs WS group) and within groups (pre- vs post-test). If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t-test was used to confirm the simple effec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in SHA ROM and SHAS. The post-test value of SHA ROM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SS group than WS group (p < 0.012). In SH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p > 0.012), but SHAS was more increased in SS group than WS group. SIR RO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ost-test compared to pre-test. In conclusion, SS during self cross body stretching is necessary to improve SHA, SIR ROM, and SHAS in individuals with limited S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