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쇄전자 적용을 위한 Al 도핑된 ZnO 잉크제조 및 프린팅 특성에 관한 연구

        홍아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산업기술이 발전함과 동시에 최근 이동통신을 비롯한 IT 산업의 급속한 발전은 각종 전자, 정보통신에 있어 보다 작고 가볍고 휴대하기 편리하면서도 많은 기능들이 내장 및 통합되기를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에 따라 소형화, 경량화 및 고 집접화로 향상된 기능을 가지는 각종 소자부품의 개발과 동시에 오염이 없는 친환경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산업분야에는 전통적인 패턴형성 공정인 리소그라피 공정이 사용되고 있다. 이 공정은 회로 층을 형성하는데 많은 단계가 필요하다. 여러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고 공정시간이 길다. 또한 식각공정에서 재료의 낭비가 많고 다량의 중금속이 포함된 폐수가 발생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존 공정을 대체 할 수 있는 편리하고 빠른 전도선 제조공정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요구조건에 적합한 기술로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제시 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팅 기술은 인쇄전자 기술의 하나로서 원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패턴 형성이 가능하여 전자재료의 낭비가 적고, 불필요한 화학적 폐기물의 배출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리소그라피 공정의 여러 단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고가의 진공장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잉크젯 프린팅 기술은 장비의 개발과 동시에 전자재료의 개발이 중요하다. 특히 다양한 전자소자를 제작하기 위해서 전자재료의 개발은 필수요소이다. 현재 전자재료 개발의 한 분야로서 금속 및 금속산화물 나노입자 분산 잉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나노입자의 경우 벌크 상태일 때와 비교하여 미세 패턴 형성이 용이하다. 또한 전기적, 광학적, 자기적 및 기계적으로 고유 특성을 가지고 있어 금속 나노입자 잉크의 활용도는 매우 높다. 미세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전자재료 잉크는 점도, 농도, 표면장력, 첨가물 및 기판과의 적합성 등이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각 요소의 최적 조건을 확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할 수 있는 잉크를 제조하기 위해 졸-겔법을 사용한 금속산화물 전구체 잉크와 금속산화물 나노입자가 분산된 잉크 제조 방법을 개발하였다. 금속산화물 전구체 잉크는 졸-겔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전구체 잉크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2% HEC (Hydroxy Ethylcellulose)를 사용하였다.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를 합성하기 위해서 폴리올(polyol)방법을 사용하였고, 합성된 나노입자를 다양한 용매에 분산시켜 나노입자 잉크를 제조하였다. 또한, 고 투명성 및 고 전도성 재료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금속(Al, Ag)을 도핑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졸-겔 잉크를 잉크젯 프린팅에 응용할 수 있게 잉크 토출시험을 실시하였고, 원하는 패턴을 얻기 위해 기판의 표면 온도를 변화시켜 가며 패턴형성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금속산화물 나노입자의 비저항을 확인하였다.

      • 국립박물관의 문화다양성 교육프로그램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홍아라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결혼 이주 여성, 외국인 노동자가 증가함께 따라 다문화를 가진 구성원이 늘어나면서 현재 외국인은 우리나라 전체의 약 2%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많아지면서 본격적인 다문화사회에 도래하였다. 본 논문은 다문화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오늘 날 문화와 가장 연관 있는 박물관에서의 문화다양성 교육프로그램 현황을 통한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사회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문헌연구를 통해 조사하였고, 또한 국내 박물관 문화다양성교육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국립박물관 문화다양성교육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현재 박물관 문화다양성교육의 특성과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박물관 담당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결과로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의 문화다양성 교육프로그램의 현상은 2007년 다문화정책이 확산되며 다문화정책 사업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프로그램이 양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까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2011년을 중심으로 점차 감소하였다. 이는 소수계층을 분류하여 운영되는 특성 상 소수자들의 차별 또는 편견의 느낌이 작용하여 참여를 꺼리는 부분이 있을 것으로 사려 된다. 둘째, 문화다양성 교육프로그램은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한국문화교육, 전통체험교육 등 소수자 적응교육에 중심으로 두고 운영을 해왔으며 점차 타문화이해교육, 국제이해교육의 방식으로 운영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국립박물관 문화다양성교육은 아직도 진행 중이며 담당자들은 문화다양성에 대해서 많이 연구하고 노력함을 알 수 있었다. 국립 박물관의 문화다양성 교육의 목적과 내용은 역사이해교육, 전통체험교육에서 더 나아가 서로 소통하고 이해할 수 있는 타문화이해교육, 양방향 소통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교육프로그램으로 발전 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박물관 문화다양성교육 활성화 방안에 몇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문화다양성시대 문화다양성교육이 교육정책의 화두에 올라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차별 없고, 편견 없는 느낌으로 다가 갈 수 있도록 소수계층이 선택할 수 있는 기회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둘째, 박물관 문화다양성 교육프로그램을 역사 이해교육 뿐 아니라 가족, 지역, 세대, 민족, 생활문화 등 교육의 주제와 범주를 구체화시키며, 문화다양성교육이라는 큰 틀 아래 청소년, 공무원, 전문 인력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개발에 대한 진지한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중앙박물관 및 지방박물관의 전시연계를 이용한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가 필요하며, 그와 더불어 지역 사립박물관 또는 미술관 등 사회기반시설과 연계하여 운영하여 문화다양성교육의 다양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Along with the increase of marriage immigrant spouses and foreign worker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increasing which is currently making up 2% of the families in Korea, and as the number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increases an era of multi-culture has arriv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Activating methods through the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programs of cultural diversity in museums which are most related to today’s cultures living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do so,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in a multi-cultural society, research and analysis were carried out on the situa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the national museum to grasp the flow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domestic museums, an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executed through interviews with museum manager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the current museum’s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he content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museums have been actively ongoing since 2007 when multi-cultural policies were expanded, multi-cultural projects were actively carried out, and number programs increased until 2010, but they started to slowly decrease from 2011. This is considered to be partially because of unwilling people due to discrimination or prejudice of the minority group since the programs and projects were carried out by dividing the minorities. Secondly, most educational programs of cultural diversity were carried out focused on the adaptation education of minority groups such as Korean cultural education, tradition experience education, and so on, which were slowly being operated in ways of teaching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and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irdly,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the national museum is still ongoing and the managers were putting much efforts into researching cultural diversity. the purpose and content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national museums are expected to develop from understanding history and tradition experience education into educational programs carried out as understandings of other cultures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intends to propose several methods for vitalizing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museums. First of all, currently at a point wher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the era of multi-cultures is an issue in education policies,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a direction to broaden the opportunities for minority groups to select, so that the education can be approached without discrimination nor prejudice. Secondly, there is a need for a sincere method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teenagers, government employees, and expert personnels under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by specifying the subject and boundaries of the education in categories such as family, region, generation, ethnic, living culture, etc. rather than only focusing on history understanding education programs. Thirdly, there is a need for a diversity of educational programs using exhibitions of national museums and local museums, and also pursuing diversity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by operating social facilities in link with private museums or art galleries.

      •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무용프로그램 개발

        홍아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방공무원들의 직무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나는 정신적·신체적인 증상을 파악하고 이를 무용프로그램을 통해 관리하고 완화 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소방공무원들의 직무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직무 스트레스는 무엇인지, 그로 인해 나타나는 정신적·신체적인 요인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줄 수 있는 무용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문헌고찰을 한 뒤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로 나타나는 요인들을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파악하였다. 현재 소방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직 소방공무원 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1:1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범주화하여 결과를 도출했다. 분석결과,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나는 ‘신체적 스트레스 요인’에는 ‘허리’, ‘어깨’, ‘목’, ‘무릎’, ‘호흡기’로 5개 요인으로, ‘정신적 스트레스 요인’에는 ‘긴장감’, ‘압박감’, ‘불안감’, ‘무력감’, ‘피로감’, ‘재경험’, ‘회피’로 7개 요인으로 범주화되었다.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경험’에는 ‘기회부족’, ‘시간 부족’, ‘전문가 필요’, ‘개인별 프로그램 필요’로 4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방공무원들은 소방현장에서 위험한 상황에 많이 노출되기 때문에 강인한 체력과 정신력이 요구되고 있으며, 여기서 오는 정신적·신체적 스트레스가 상당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직무 스트레스를 관리하기 위해 정부에서 시설 설치 및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지만 원활하게 지원되지 못하고, 소방공무원들의 근무환경에서 실시하기에 열악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와 같은 분석결과와 소방공무원들의 근무여건을 고려하여 그들의 직무 스트레스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무용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우리나라 소방공무원들의 제도적인 개선뿐 아니라, 특수한 직업인 소방공무원의 무용 활동 참여와 관련한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무용프로그램 개발의 학문적, 실천적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면서, 향후 소방공무원들이 무용 활동 참여로 인해 얻는 효과에 대한 가치를 구명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ental and physical symptoms appearing due to Korean fire officers’ job stress and manage and alleviate them through a dance program. Concretely, this study w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ire officers’ job, their job stress, and the mental and physical factors appearing due to that to develop a dance program that could alleviate stress based on these principles. For this purpose, after a preliminary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ssessed the factors appearing due to fire officers’ job stress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ive in-service fire officers working in the fire officers field were selected to conduct 1:1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and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to draw results. As a result of an analysis, ‘physical stress factors’ appearing in job stress of fire officers were categorized into five factors, including ‘waist’, ‘shoulders’, ‘neck’, ‘knees’, and ‘respiratory organs,’ and ‘mental stress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factors, including ‘tension’, ‘pressure’, ‘anxiety’, ‘helplessness’, ‘fatigue’, ‘re-experience’, and ‘avoidance.’ ‘Stress management program experience’ was divided into four factors, including ‘lack of chance’, ‘lack of time’, ‘need for expert’, ‘need for personalized program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ince fire officers are much exposed to dangerous situations, they require strong physical strength and mental strength and have considerable mental and physical stress coming from them. To manage such job stress, the government sets up facilities and operates programs, but they do not support smoothly and have poor conditions for implementing in fire officers’ working environments. This researcher developed a dance program that could help fire officers relieve their job stres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eir working condi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as the baseline data for academic and practical developments of the development of the dance program for fire officers as a study related to their participation in dance activities, who have a special job as well as Korean fire officers’ institutional improvements, proposing follow-up studies investigating the values of the effect of their participation in dance activities.

      • Gig 이코노미 플랫폼의 사용만족도 및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성 및 UI 디자인 요소에 관한 실증연구

        홍아라 홍익대학교 영상·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society and individual lives have been rapidly changing recently. As a result of these changes, a new industry called the "gig economy market" has emerged in the labor market, and the number of users of the gig economy platform that meets the needs of workers who need side income is increasing and growing rapidly. Therefore, efforts to solve user inconvenience and improve the usage environment and usability are essential to promote platform growth. Research on the gig economy platform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and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was a fragmentary introduction to the gig economy market or a study on the rights and interests of platform worke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mote empirical research to identify usability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using the gig economy platform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nd identify UI design elements that can improve them. The research approach first derived usability and UI design elements of the gig economy platform through prior research, and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usability and UI design elements through case analysis of market-representative "Kmong" and "Suoomgo" platforms. In addition, an empirical hypothesis test was conducted based on a survey of 202 men and women who have used the gig economy platform service. The core of empirical research is to test the effect of adjusting the type of service supply and demand on the impact of platform usability on platform usability, satisfaction with use,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Based on the results of case studies, we interpreted the usability factors derived from hypothesis test results that affect usage satisfaction and persistent use intentions and provided guidelines for UI design elements.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usability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using gig economy platforms are usefulness, efficiency and reliability, and usability, reliability and aesthetics affect continuous use intentions. Efficiency only influence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through the medium of satisfaction with use. In addition, no effect was found as a result of testing the adjustment effect according to the type of service supply and demand of platform users between the efficiency and satisfaction of gig economy platforms.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the results of case studies and practical design guides were presented. The academic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first presented an academic approach to developing UI design elements and setting improvement directions to improve platform usability, and def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tform usability elements and UI design elements. In addition, the fact that empirical tests have been conducted to see if the direction to improve usability can change depending on the user's characteristics will also help with future academic approaches. In practice, it presented practical guidelines for UI design to improve platform usability. In addition, it proposed a practical approach to derive platform usability elements, derive design elements, and check the relationship between usability and design elements. In this regard,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working-level officials who want to explore academic research or platform design improvement directions to improve platform usability in the future. 인공지능 기술 등 정보시스템의 발달로 최근 사회와 개인의 삶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노동시장에 ‘긱 이코노미 시장’ 이라는 새로운 산업이 등장하였으며, 부수입을 필요로 하는 노동자들의 욕구를 충족하는 긱 이코노미 플랫폼의 이용자 수가 점점 증가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플랫폼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자의 불편을 해결하고 사용 환경과 사용성을 향상하려는 노력이 필수적이다. 긱 이코노미 플랫폼에 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고 기존의 연구들은 단편적으로 긱 이코노미 시장을 소개하거나 플랫폼 노동자의 권익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긱 이코노미 플랫폼의 사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성 요소를 확인하고 이를 향상할 수 있는 UI 디자인 요소를 규명하는 실증적 연구를 추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접근 방법은 선행 연구를 통해 긱 이코노미 플랫폼의 사용성 요소와 UI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고, 시장을 대표하는 ‘크몽’과 ‘숨고’ 플랫폼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사용성 요소와 UI 디자인 요소 간의 관련성을 설정하였다. 또한 긱 이코노미 플랫폼 서비스를 사용해 본 적이 있는 남녀 20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로 실증적 가설 검정을 시행하였다. 실증연구의 핵심은 플랫폼의 사용성과 사용만족도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플랫폼 사용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서비스 수급 유형의 조절 효과에 대한 검정이 있다. 가설 검정 결과로 도출된 사용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성 요소에 대해 사례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해석하여 UI 디자인 요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긱 이코노미 플랫폼의 사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성 요인이 유용성, 효율성, 신뢰성이었고, 지속사용의도에는 유용성, 신뢰성, 심미성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효율성은 사용만족도의 매개를 통해서만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긱 이코노미 플랫폼의 효율성과 사용만족도 간 플랫폼 사용자의 서비스 수급 유형에 따를 조절 효과를 검정한 결과, 그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사례연구 결과로 해석하여 실무적인 디자인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으로 플랫폼의 사용성 향상을 위해 UI 디자인 요소의 개발과 개선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학술적 접근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이고, 플랫폼의 사용성 요소와 UI 디자인 요소 간 관계성을 정의했다는 점이다. 또한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사용성 향상을 위한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는지를 실증적인 검정을 시도했단 점도 이후의 학술적 접근에 도움을 줄 것이다. 실무적으로는 플랫폼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UI 디자인에 대한 실무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또한 이를 위한 플랫폼 사용성 요소 도출과 디자인 요소 도출, 그리고 사용성과 디자인 요소 간 관계성 확인을 위한 실무적 접근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향후 플랫폼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학술적 연구나 플랫폼의 디자인 개선 방향성을 찾고자 하는 실무자들에게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 Synthesis of multi-color emitting upconversion nanophosphors and their applications for bioimaging and transparent display

        홍아라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1839

        Phosphors absorb external energy and emit visible light, and they are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displays, lighting devices, and bio applications. Well-known luminescent materials, quantum dots and organic dyes emit longer wavelength light than absorbed light. On the other hand, upconversion nanophosphors (UCNPs) shown anti-Stokes shift emission that emit light at wavelengths shorter than the wavelengths they absorb. In particular the lanthanide doped UCNPs absorb near-infrared light and emit visible light. In addition, lanthanide doped UCNPs have several advantages like long life times, high-photo stability, and non-blinking. Thus the UCNPs can be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a security, a RGB printing, a transparent display, and bio-imaging. Lanthanide doped UCNPs have low cytotoxicity for cellular and biological molecules. UCNPs also show luminescence under NIR excitation. Excitation in the NIR region improves transmission of the light source into biological tissue and minimizes the autofluorescence of the biological molecules. Therefore, UCNPs are very suitable for bio-imaging applications. In the past, the glasses should be existed to see three-dimensional (3D) images, but nowadays, 3D displays without glasses have been developed. Volumetric 3D transparent displays do not require glasses and are used for education, data visualization, and medical imaging. UCNPs are also suitable for 3D transparent displays because UCNPs absorb invisible near-infrared light and emit visible light. This thesis contains synthesis of color-tunable UCNPs and their applications for bio-imaging and transparent display. Chapter 2 describes the synthesis of sub-10 nm sized LiYF4 based core/shell (C/S) structured UCNPs. C/S UCNPs shows blue to green emission under 980 nm NIR light. Chapter 3 presents the synthesis of green to red emitting NaGdF4 based UCNPs and red emitting core/double-shell (C/D-S) UCNPs under 800 nm NIR light. Red-emitting C/D-S UCNPs were used for in-vivo imaging. Chapter 4 describes the synthesis of red-emitting LiErF4-based core/triple-shell (C/T-S) UCNPs with red emission. Surface modification of UCNPs was performed and applied to in-vivo imaging. Chapter 5 introduces the synthesis of color tunable LiGdF4-based UCNPs. Blue-emitting C/D-S, red, green, and white emitting-C/T-S UCNPs were synthesized. UCNP-polymer composites were fabricated and displayed blue, red, green, and white-emitting luminescence under 980 nm irradiation.

      •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의 정보수집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홍아 한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23

        Recently, the systematic and scientific welfare system is more emphasized under the demand of the responsibility for social welfare.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is also stressed to meet effectively the various need. Collecting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can effect on the result of the program in various ways, and can be the powerful tool to increase the quality of the program, and can be essential to prove the responsibility of social welfare system. For the social worker should be able to know what clients want and to lead them to the abundant resources and information. However,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collecting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the research and study about collecting information and developing program is absolutely rare.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on the degree of collecting inform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design of the program and make the program more e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influence on the degree of collecting information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 The research surveyed 201 social workers who are in charge of children-youth program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he period of the research is from Feb, 11, 2003 to March 22, 2003. The research examined how the program practitioners' general,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ir method of the recognition about the organization, which is assumed significantly in the pre-research and documents consideration, effect on the degree of collecting inform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 First, they collect official information than unofficial one in passive ways which depend on the program developer's observation and experience. Second, the average age of target group is about 28 and women are over 70%. 4-year university graduates are over 90% and general social worker are over 70% and the period of their average career is 3 years and 2 months. Third,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is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oesn't influence on collecting information, and tha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 of the recognition about the organization effect on the degree of collecting information. Finally, the result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s that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which the general,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method of the recognition about the organization is input, is the most appropriate one. In collecting official information, the better trained and the more open-minded social worker and the more free, the less authoritative and the less work burdened organization have the more official information. In collecting unofficial information, the open-minded social worker and the less work burdened, free organization have more unofficial information. Consequently, in collecting official and unofficial information, the well trained and open-minded person and the less work burdened, free organization gather more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