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질오염총량관리시 비점오염원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허보연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에서의 수질은 오염원의 증가와 비점오염원의 증가로 인하여 점점 악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점오염원에 대한 처리 효율은 높아만 가고 있으나, 토지 이용의 집약적인 이용으로 인하여 비점오염원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날로 높아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비점오염원에 대한 정량적인 부하량 계산과 비점오염원에 대한 제가 방법을 개발하고, 연구하는 것이 수질 관리에 있어서 매우 필요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달리 강우 사상과 연계하여 배출되는 부하량이며, 공간적인 분포와 토양의 경사도 및 토양의 특성 그리고 지형 특성 등으로 인하여 정량적인 것을 예측하기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Qual2e 모델을 이용하여서 복하천 유역에 비점오염원의 부하량이 수질에 영향을 어느정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은 아래와 같다. 먼저, 부하량을 한강수계 오염총량관리 지침서에 나타나 있는 원단위법을 이용하여 부하량을 계산하였다. 둘째로 Qual2e 모델을 사용하기 위하여 복하천 유역을 17개의 대구간 그리고 143개의 소구간으로 나누었다. Qual2e 모델에서의 각 소구간 단위는 0.2km로 하였다. 모델에 입력되는 계수들은 실제 측정된 수질 데이터를 이용하여서 실측치와 계산치가 가장 잘 맞는 계수들을 선택하여서 입력하였다. 셋째로 비점오염원의 부하량에 대한 영향을 모델 수행후 , DO, BOD,T-N, T-P, NO3-N, PO4-P에 대하여 각 항목별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 1. 한강수계 오염총량관리 지침에 의하여 부하량을 계산한 결과 점오염원에 의한 배출부하량은 5911.3kg/d이며, 비점오염원에 의한 배출부하량은 2,455.6kg/d로 비점오염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29.3%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비점오염원 중에서 축산에 의한 배출부하량은 원두천 유역이 44.7%로 가장 많았고, 토지 이용에서는 신둔천 유역이 20.5 %를 차지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비점오염원은 축산의 경우 복하천의 상류에서 많았으며, 대지에 의한 배출부하량은 복하천 중류 부분에서 많았다. 3.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저수기시 점오염원만 고려하여 모델을 보정,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델의 계산치와 실측치와의 상관관계는 BOD 0.9507 ,T-N 0.7485 T-P 0.9011의 상관관계를 보여, BOD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4. 비점오염원을 고려한 모델 수행의 결과, DO의 농도에는 영향을 별로 미치치 않았으나, BOD 13.8%, TN 17.8%, NO3-N 17.9%, T-P 18.2%,DIS-P 46.7%로 비점오염원의 기여율이 가장 높은 수질 항목은 DIS-P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점오염원이 각 수질 항목 중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은 DIS-P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가축에 의한 분뇨가 비점오염원으로 전환시 인의 형태로 많이 배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저수기와 평수기시 목표 수질을 다르게 설정하고, 비점오염원에 대한 영향을 좀 더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In Korea, the water quality is going about lower being deteriorated with increase of the various pollutants and increase of the non point source. Specially, the effect of the non point source is the tendency which increases day after day with deepening of land use and control efficient increase of the point source. Therefore, it will be need that the accurate waste load of non-point sorce and increase of treatment of non-point source is demanded. but, the control of non point source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y are changed by spatial distruburion, soil type, land use, rain fall, topological characteristic.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analysis of the effect of waste load of non-point source on water quality for total water pollution load for Bokha stream using Qual2e model. The process is as follows. First, Caculate the pollutant load, using unit Pollutant Loads Coefficients which are presented in a guiding Han river total maximum Load. Secondly, Analysis the effect of non point source, using Qual2e model. In the Qual2e model, the Bokha stream watershed was divided into 17 reach , 143 elements. Each elements have the size of 0.2 km. The input parameters of the model were estimated by match water quality mesearment. and Third, Analysis the effect of non point source in DO, BOD,T-N, T-P, NO3-N, PO4-P. The result getting position conclusion which accomplishes the model is as follows. 1. By a guiding Han river total maximum Load. the total discharge load due to the point which calculates a load quantity was 5911.3kg/d, the discharge load due to the non point 2,455.6kg/d with the non point discharge load hold the ratio is about 29.3% degree. 2. The discharge waste load due to a livestock raising from in the non point is Wondu basin was many most with 44.7%, the shindun basin which it puts 20.5 % holds were doing from land use. The non point source of most the case of livestock raising was many from the upstream, the discharge waste load due to the land use was many from midstream portion. 3.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non point, only the storage of water flow is it considered and it calibrate and verified the model. The correlation is BOD 0.9507, T-N 0.7485, T-P 0.9011, the correlation of the BOD appeared very highly. 4. Result of the model accomplishment which considers the non point waste loads, to consistency of the DO effect especially it was not, but effect it with the BOD 13.8%, T-N 17.8% T-P 18.2%, NO3-N 17.9%, DIS-P 46.7%. The most effect of water quality is DIS-P. In conclusion, the most efferct of the non point source is DIS-P from Live stock excretions and Because, the water quality chandes in flow, when applying water quality for total Water Pollution Load, it will be need the control of non point source.

      • 사회복지공무원의 슈퍼비전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허보연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supervision they receive on their current jobs and their performance to make practical and policy suggestions for improving job performance. For this, the actual status and functions of the supervision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set as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s of October 2021,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grades 6-9 public officials belonging to 25 districts in Seoul, and 190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rough the SPSS statistic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in Seou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ot only the three functions of supervision, administrative, educational, supportive supervision, but also the actual status of supervision such as frequency and the necessary tim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upportive function had a greater impact on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elfare officials than the administrative and educational functions of supervision due to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8th-grade public officials in their 30s and over 5 to 10 years of work experienc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that all three functions of supervision are important,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function of supervision, which is particularly necessary for social welfare officials suffering from exhaustion due to their work characteristics, is a supportive supervis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task is to enhance the function of supportive supervision within the organization to improve job performance. In addition, as a professional providing human service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upervision were presented to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infrastructure expansion for supervision systematization was suggested. 이 연구는 공공영역의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자인 사회복지공무원을 대상으로 그들이 받고 있는 슈퍼비전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직무와 그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조사 분석하여 직무성과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슈퍼비전의 실태와 기능을 독립변수로 활용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성과로 설정하였다. 2021년 10월 현재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에 속한 6∼9급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190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특별시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성과는 슈퍼비전의 3가지 기능인 행정적, 교육적, 지지적 슈퍼비전 및 슈퍼비전의 실태 중 빈도와 소요시간에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며,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0대이며 임용된 지 5∼10년 이상인 8급 공무원들이 우위를 차지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상 슈퍼비전의 행정적 기능과 교육적 기능에 비해 그 지지적 기능이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성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함의는 먼저 슈퍼비전의 세 가지 기능 모두 중요하지만 업무특성상 소진을 많이 겪고 있는 사회복지공무원들에게 특별히 더 필요한 슈퍼비전의 기능이 지지적 슈퍼비전임을 확인하였으며 직무성과 향상을 위해 조직 내 지지적 슈퍼비전의 기능을 고양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임을 규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휴먼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직으로서 사회복지공무원들에게 슈퍼비전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제시하였고 슈퍼비전체계화를 위한 인프라 확충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개념도 방법을 통한 여자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탐색

        허보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s of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process of career decision. Previous studies were confirmed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factor analysis. But this study used concept mapping which is the possibility of seeing their recognition structure to more realistic and easily understand from the perspective participants. Research question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Second, how is the career barriers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ive represented on a concept map? Third, what i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lower groupings that form the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For the solving of research questions, this research underwent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In the first stage, 15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312 ideas were collected. And the through the process of synthesizing and editing the final statements were reduced to 50. Next 15 participants classified and rated final statement list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estimate dimensions in the previously extracted factor. Concept map was formed that consisted of 2 dimensions and 7 clus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ived ‘individual - environment’ dimension and ‘subjective - objective’ dimension. Second,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ived career barriers in 7 clusters. ‘Lack of preparation for career’, ‘Job environmental constraints’, ‘Limit of career selection due to social environment’, ‘Anxiety comes from career preparation’, ‘A burden on attention of people around’, ‘Barriers of career selection due to personal factors’, ‘Conflicts of personal hopes and external conditions’. Third, considering 7 clusters' the rating results, ranking mean value of each cluster was similar. The participants frquently mentioned and perceived the most significant clusters which disturbed to attain the goal ‘Lack of preparation for career’ and ‘Job environmental constraints’. This study was able to extracted data not only qualitative method but also based on participants view by using the concept mapping research method. And actually the possibility of getting an information was about the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ived that extracted factors. Thus, this study will provide an appropriate basic data about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s.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program development for solving career barriers.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진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지각하고 있는 진로장벽이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밝히는 데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요인분석을 통해 여자대학생의 진로장벽 지각의 내용을 확인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여자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에 대해 보다 현실적이고 참여자의 관점에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들의 인식구조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개념도(Concept M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여자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개념도 상에서 어떻게 표상되는가, 셋째, 여자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을 구성하는 하위 군집의 상대적중요도는 어떠한가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를 따랐다. 먼저, 서울소재 4년제 대학교(남녀공학 6학교, 여자대학 4학교)의 여자대학생 3․4학년 15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하였고, 얻은 응답 자료를 수집한 결과 총 312개의 아이디어가 수집되었다. 전체 아이디어 중 추출된 전체 아이디어를 분류 가능하도록 종합․편집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50개의 진술문으로 축약되었다. 최종 진술문은 다시 15명의 연구 참여자들에게 분류를 부탁하고, 각 진술문의 지각 정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분류 결과를 토대로 다차원 척도법(ALSCAL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각 연구 질문에 대해 2차원, 7개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개념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대학생들은 ‘개인-환경’ 차원과 ‘주관적-객관적’ 차원이라는 2가지 차원에서 진로장벽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을 추출한 결과 7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고, 군집은 ‘진로에 대한 준비부족’, ‘직업 환경의 제약’, ‘사회적 환경으로 인한 진로선택의 한계’, ‘진로 준비단계에서 오는 불안감’, ‘주위 사람들의 시선에 대한 부담’, ‘개인적 요인으로 인한 진로선택의 장벽’, ‘개인의 희망과 외부조건 사이의 갈등’ 으로 나타났다. 셋째, 7개 각 군집에 대한 평정 결과를 살펴봤을 때 각 군집들의 순위별 평균값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 중 참여자들로부터 가장 많이 거론되었으며 자신의 진로 목표 실현을 가장 많이 방해 받을 것으로 보고된 군집은 ‘진로에 대한 준비부족’ 과 ‘직업 환경의 제약’이었다.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으로부터 질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양적인 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개념도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참여자 시각에 근거한 자료를 추출할 수 있었고, 실제로 여자대학생이 추출된 요인들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까지 얻을 수 있어서 여자대학생들의 진로장벽을 이해하는 데 보다 타당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본 연구 결과들은 추후 진로장벽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적극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Learners' judgments of accent : implications for teaching pronunciation in English as a lingua franca setting

        허보연 Sookmyung Women's Univ.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uge current views on accent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in South Korea, and in particular, determine their preferences in varieties of different accents and examine the features related to their preferences. In order to fulfill this purpose, this study addressed three research questions: (1) Among the range of different native and non-native accents, which do the subjects rate the highest? (2) Which features of speech are most strongly related to subjects’ accent preferences? (3) Are the subjects able to discern accents of NSs and NNS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over four weeks with six groups of 130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at S. University in Seoul, Korea. In order to assess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seven different varieties of accents, a survey and small group interviews were used. One finding of this research was respondents’ inherent preference towards native speaker accents, especially the American accent. Not only did they overvalue the native speaker accent, but also they undervalued different kinds of non-native speaker accents. Secondly, despite their dissimilar thoughts and perceptions of certain features, respondents believed fluency and comprehensibility were most strongly related to accent preferences in this study. Finally, the majority of respondents failed to identify the country of origin of the seven speakers. Even though they wanted to speak like a native speaker, they were not able to discern which accents belonged to whom. This research suggest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in the area of teaching pronunc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