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秋史 金正喜 文人畵의 造形世界硏究 : 文字香과 書卷氣를 中心으로

        최지윤 수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63

        Kim Jeong-hee (Chusa) was smart from the childhood. He was born in Chungcheong-do, Joseon (Korea) in 1786 and passed away in 1856. He has been known for calligraphy and epigraphy. For his great-great-grandfather who married a prince of the Joseon’s royal family left no children, the family adopted boys and Kim was adopted and carried his family line. However, his childhood was unfortunate as the family was sent to prison or died due to the aftermath of the policy of impartiality implemented by King Jeongjo. When he became a young man, he had a chance to travel to Qing (China) with his biological father who was dispatched as an envoy. In Qing, Kim met the intellect of China, Ruan Yuan, and the leading figure for epigraphy and Confucian classics, Weng Fang-gang, and become teachers and disciple. This helped him quickly absorb Chinese culture while he only stayed for three to four months. After he returned from Qing, he exchanged letters and books with the intellects to continue his study. As a result, he proved that the tombstone engraved onto a rock in Bukhansan Mountain is the Monument Commemorating King Jinheung´s Tour through historical research. During this time, his calligraphic style was growing closer to his teacher in Qing, Weng Fang-gang. Weng’s style was smooth and neat and was done by using plenty of ink. He also did landscape paintings greatly influenced by China’s Southern School style he learned through the exchange with Zhu He-nian. Kim had been quite active but became entangled in a political conspiracy and was exiled to Jejudo Island in the very south of Joseon at the age of 55. He felt nothing soothes the victimized feeling. The only thing he could rely on was studying and teaching the children coming to him. While spending his life in exile, he completed his own calligraphic style that he had developed for a long time. <Sehando (Winter in Miniature)>, the landscape painting he did for Lee Sang-jeok during this time, is now being protected as the national treasure. Kim had tried to resolve all problems in the Confucian viewpoint since the political ideology of Joseon was Confucianism, however, was fascinated by Buddhism as a religion rather than in terms of historical research. Feeling doubts about everything, Kim spent the rest of life quietly in Gwacheon, Gyeonggi-do until he passed away in Bongeunsa Temple. He was a great epigraphist, calligrapher, literary painter, and ideologist in the late Joseon Dynasty. I express my respect by offering a flower to his spirit.

      • 초등 학습자의 인터넷 개인 방송 수용을 위한 지도 방안 연구

        최지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최근 초등학생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터넷 개인 방송’의 지도 필요성은 높으나 구체적인 교육 방안이 전무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초등 학습자에게 단순히 인터넷 개인 방송 시청을 금지시키거나 비속어, 은어 사용 금지만을 지도하는 것은 무의미하며 지도의 효과도 적다. 초등학생들이 뉴미디어의 한 종류로서 인터넷 개인 방송을 인식하고, 그 특성을 잘 알고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돕고자 다음의 흐름으로 연구를 전개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개인 방송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국가 수준 교육과정 문서에서 인터넷 개인 방송 수용 지도에 참고할 만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인터넷 개인 방송의 매체 특성과 초등학생들이 특히 많이 접하는 ‘게임 중계’ 텍스트 갈래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앞선 분석의 시사점을 반영하여 초등 국어과 교육 대상으로써 인터넷 개인 방송의 구체적 수용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인터넷 개인 방송 수용 지도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02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개인 방송 사용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응답자 전원이 인터넷 개인 방송 시청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절반이 넘는 응답자가 초등학교 3∼4학년 때 인터넷 개인 방송 시청을 시작하였다고 답하여 인터넷 개인 방송 수용 지도의 중요성을 뒷받침하였다. 이 외에 시청 빈도, 선호하는 인터넷 개인 방송 텍스트 갈래(장르), 인터넷 개인 방송 생산 경험 여부와 능동적 수용자로서 실시간 채팅 또는 댓글에 참여한 경험, 인터넷 개인 방송의 매체 특성과 텍스트 갈래 특성의 인지 여부 등에 대한 질문으로 초등학생들의 사용 실태를 보다 정확하고 자세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국가수준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여 현행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인터넷 개인 방송 관련 교육 내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를 분석하였으며, 이 중 인터넷 개인 방송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육 내용을 다룬 교육과정은 없었다. 또한 모든 교육과정이 ‘매체’, ‘매체언어’, ‘미디어’ 등 다양한 용어를 섞어 사용하거나 하나의 성취기준 안에서 ‘매체’의 뜻을 여러 가지로 혼동하는 등의 오류를 행하고 있음을 알아냈다. 매체 교육 내용이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갈수록 자리를 잡아가고 있지만, 아직 선택 교육과정 수준에서만 다루고 있는 실정이므로 초등학생들도 다양한 매체를 접하고 활용하는 현실을 고려했을 때 초등 수준에서의 지도도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셋째, 앞선 연구들을 통해 인터넷 개인 방송을 지칭하는 혼재된 용어들과 그 의미를 확인하였으며 이 중 ‘인터넷 개인 방송’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로 정하였다. 또한 인터넷 개인 방송 수용 지도 연구의 국어교육적 의의를 밝혔다. 넷째, 인터넷 개인 방송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병규(2013)에서의 ‘제 2차 매체의 특성’을 기준으로 ‘매체 측면’, ‘정보(메시지) 측면’, ‘수신자·발신자 측면’으로 나누어 인터넷 개인 방송의 매체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인터넷 개인 방송 텍스트의 다양한 갈래 중 초등학생들이 가장 많이 시청하는 ‘게임 중계’ 텍스트 갈래를 중심으로 ‘인터넷 개인 방송 텍스트의 맥락’, ‘인터넷 개인 방송 텍스트의 내용’, ‘인터넷 개인 방송 텍스트의 구조’, ‘인터넷 개인 방송 텍스트의 표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인터넷 개인 방송 텍스트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다섯째, 앞 장에서의 시사점을 반영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인터넷 개인 방송 수용 지도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의 목적을 크게 ‘비판적 수용 능력’ 과 ‘능동적 참여 능력’ 향상에 두었다. 또한 교육 내용 선정의 원리로 ‘실제성의 원리’, ‘위계성의 원리’, ‘효용성의 원리’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인터넷 개인 방송 수용 지도 교육 내용을 성취기준과 학습목표의 형태로 서술하였다. 여섯째, 앞에서의 교육 내용 요소를 실제 초등학교 40분 단위의 1∼2차시 수업에 구현하기 위해 ‘초등 학습자를 위한 인터넷 개인 방송 지도 원리’로 ‘온·오프라인 통합의 원리’, ‘반복성의 원리’, ‘집단적 성찰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이에 기반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이어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지도의 필요성이 절실하나 아직 논의가 부족한 ‘인터넷 개인 방송’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교육 내용으로 추출하여 초등학생들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수준의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국어과에서 초등학생들의 미디어 생활상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교육내용에 대한 논의 활성화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has started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there is a high need to guid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viewing, which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iv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there is no specific lesson plan yet. It is meaningless and less-effective to b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viewing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or to teach them not to use coarse language or slang. This study is aimed at help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ze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s a type of new media, understand its characteristics, and actively view it. To achieve the goal, a surve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use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were analyzed as a reference for making teaching method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he media propertie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game broadcasting” text type,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especially familiar with, were analyzed. Reflecting on the implications of the preceding analysis, this study tried to propose the actual teaching method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n Korean elementary education. The specific argum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of 102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ir usage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n order to derive the content of the teaching method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hat would benefi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all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 with watching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n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supported the importance of teaching the viewing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by saying that they started watching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when they were in third or fourth grade. The survey also questioned about the frequency of viewing, preferred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xt types(genre), the experience of whether or not they had ever produced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n-line live chat or comment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media propertie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nd its text types. Second, we wanted to analyze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contents that are related to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ocuments were analyzed, and none of these courses had any contents directly related to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n addition, all the curriculums had errors such as mixing various terms, such as “media” and “media language”, or confusing the meaning of “media” within one achievement standard. Although the content of media educ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Korean language and education curriculum,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ess and utilize various media a lot, it also has to be taught in the elementary schools, not only for high schools. Third, we confirmed that the previous studies had been using mixed terms referring to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nd their meanings, and decided to use the name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among them. It also revealed implications of developing teaching methods about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ur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we divided the propertie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media into “media aspects”, “information (message) aspects” and “sender/receiver aspects” which were proposed by Lee Byoung-Gyu(2013). In addition, among the various branche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xt, we focused on figur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game broadcasting” text,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tched the most. “the context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xt”, “the content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xt”, “the structure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xt”, “the feature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xt” and thus defined “the meaning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xt”. Fifth, We wanted to select the content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ach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flecting the implications in the previous chapters. For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was largely aimed at improving students’ “critical capacity" and “active participation capacity". In addition, we set three principles for selecting the content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teaching: principles of actuality, hierarchy, and utility. Based on these principles we proposed the contents of teaching Internet personal brocasting view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orm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objectives. Sixth, to describe the previous contents of teaching Internet personal brocasting view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o one or two periods of 40-minute elementary school class lesson plans, we proposed three principles for teach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Internet personal broadsasting: the principles of on·off-line integration, repeatability, group-introspection.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personal broadcasting," which is still lacking in discussion. We expect this study to help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to facilitate discussion on educational contents that actively reflect the liv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edia usage.

      • 음악·미술 통합예술교육 방법연구 : -John Dewey의 경험이론을 기반으로-

        최지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지식정보화사회 또는 4차 산업혁명 시대라고 불리며 급변하고 있다. 새로운 시대는 구성원들에게 지식처리의 역량이나 창의적 역량 그리고 공동체 역량 등을 강조한다. 국내 교육은 시대에 알맞은 역량의 강화를 위해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과정의 중심을 교사에서 학생으로 옮겨놓으면서 수업방식의 또한 바꾸어 놓았다. 예술교육은 주요교과의 발달을 위한 부수적인 역할에서 단독적인 교과로의 중요성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시행된 예술교육활성화 정책은 예술교육의 양적성장을 이루었으나 질적성장까지 충분히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예술교육인을 위한 프로그램과 교육은 단발성이거나 획일적으로 진행되어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예술교육인의 자발적 연구를 통해 예술교육의 다양성을 확대하고 실질적 경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예술교육의 질적성장을 이루어야 한다. 본 논문은 존 듀이의 경험이론과 통합교육을 기반으로 삼아 예술교육의 방법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음악과 미술이라는 두 가지 예술분야를 통합의 요소로 선정하여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선행되어지고 있는 예술교육의 사례연구를 통해 통합예술교육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Ⅱ장. 존 듀이의 경험이론의 철학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 그의 저서 「경험으로서의 예술」과 「경험과 교육」을 통해 그가 말하는 경험’이 교육과 예술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지를 이해한다. 또한 선행 연구에서 중복되어 다루어진 인그램의 유형, 드레이크의 유형, 포가티의 유형을 통해 통합교육의 개념과 유형을 분석하였다. Ⅲ장. 2015 개정교육과정 총론을 통해 국내의 음악과 미술교육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제시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어떠한 활동을 제안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고등학교 음악교과서를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예술 분야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을 연구하여 관련성 높은 통합의 요소를 제시하였다. Ⅳ장. 본 논문이 제시하고 있는 예술교육의 방향과 적합한 국외의 사례와 교육방법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존 듀이의 이론은 교육과 예술에서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교육자의 역할과 교육방식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의 경험이론은 현재의 예술교육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음악의 요소와 미술의 요소를 통합하여 이루어지는 예술교육은 학습자의 새로운 감각을 자극할 수 있고 이는 곧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생시켜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예술교육에 대한 예술교육인의 적극적 활동은 다양한 교육방법 및 프로그램 개발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지속적인 실천을 바탕으로 예술교육의 발전과 교육수준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The 21th century, called era of knowledge based society of information or era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is rapidly changing. This new era emphasizes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creative mind, and community competence to its members. Domestic education is gradually changing to strengthen capability that suits this new era. This change transformed teaching method by shifting the center of curriculum from teachers to students. Art education is of growing importance as an independent subject while, in the past, it assumed subordinate role to support development of major subjects. However, it is hard to conclude the subsequent policies to invigorate art education have achieved qualitative growth though they have achieved quantitative growth. Also, programs and educations in the nation for art educators were not regular or were monolithic so require improvements. Thus, art education should grow qualitatively by expanding diversity and by developing programs that allow practical experience through voluntary study of art educators.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tudy the method of art education based on experience theory and inclusive education of John Dewey. The paper selects the two branches of art, polite arts and music, as comprehensive elements to analyse their relation and suggests method of comprehensive art education through the case study of precedent art education. ChapterⅡ. will look upon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experience theory of John Dewey and understand how his so called 'experience' is applied in art and education through his book 「Art as Experience」 and 「Experience and Education」. Also, it analyses the concepts and types of comprehensive education through Ingram type, Drake type, and Fogarty- type which are repetitively treated in precedent studies. ChapterⅢ. looks upon curriculum of domestic education of music and polite arts through the outline of curriculum revision in 2015. In order to figure out which activities are offered, based on curriculum suggested, this chapter analyses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music textbook. Further, it studies elements that compose art branches to suggest comprehensive elements that are highly correlated. ChapterⅣ. selects and analyses foreign cases that suit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suggested by this paper. The study leads to these conclusions: First, the theory of John Dewe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xperience in education and art to suggests role of educators and education method. His experience theory still has continued influence on current art education. Second, art education that combines musical elements and polite arts elements can stimulate senses of learners to generate ideas, which could lead to improvement of creativity. Third, positive activities towards art education by art educators affect diverse education method and program development. Thus, through continued activities,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 standard can be expected.

      •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피해경험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 양식의 중재효과

        최지윤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또래 괴롭힘 피해경험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정서조절 양식의 중재효과를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및 대구에 소재한 중학교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947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또래 괴롭힘 피해경험 척도와 정서조절 양식 체크리스트, 우울척도인 CES-D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또래 괴롭힘 피해경험 및 정서조절 양식과 우울증상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또래 괴롭힘 피해경험은 우울증상과 정적상관이 있었고, 정서조절 양식의 하위변인인 회피-분산적 조절양식은 우울증상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청소년의 또래 괴롭힘 피해경험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여, 또래 괴롭힘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우울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조절 양식의 하위변인 중 회피-분산적 조절양식만이 우울증상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회피-분산적 조절양식을 사용할수록 우울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또래 괴롭힘 피해경험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 양식의 중재효과는 능동적 조절 양식에서만 나타났다. 즉, 능동적 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우울증상이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또래 괴롭힘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완화해 주는 능동적 정서조절 양식의 중재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청소년의 또래 괴롭힘 피해경험으로부터의 보호요인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show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experience of bullying and depression. The subjects were 947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 in Gyeonggi and Dae-gu Province, whose grades ranged from the 7th to the 9th grade. The adolesc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Bullying,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y for Depression Scale(CES-D)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Checklist(ERSC). The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us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Pears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bullying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And avoidance/distraction way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Second, the adolescents' experience of bullying turned out to affect depression. Third, avoidance/distraction way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ly turned out to affect depression. The last,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observed only in active ways. That is, the active ways of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moderat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experience of bullying and depression.

      • 헝가리의 다뉴브 연방안 역사와 의미 : 양차 세계대전 사이(1918-1939) 오스카 야씨의 다뉴브 연방 구성을 중심으로

        최지윤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헝가리의 다뉴브 연방안 역사와 의미: 양차 세계대전 사이(1918-1939) 오스카 야씨의 다뉴브 연방 구성을 중심으로 중동부 유럽 지역에 살고 있는 각기 다른 제민족이 평화롭게 공존하며 경제적으로 영속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일까? 본 물음은 헝가리 지식인들에게 있어서 꾸준히 제기되어 왔던 문제였다. 중동부 유럽 지역은 인종, 문화, 종교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때, 서로 상이한 제민족이 혼재되어 살아왔던 지대였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중동부 유럽 내 다뉴브 지대에서 각 제민족이 번영과 평화를 어떻게 이룰 수 있는가에 대한 해결안이 본 논문의 핵심 주제가 될 것이다. 역사적 맥락으로 볼 때, 헝가리 내에서 다뉴브 연방안이 바로 그 물음에 대한 해결 방안이었다. 사전적인 의미의 다뉴브 연방안은 다뉴브 지역, 즉 중동부 유럽 내의 제민족 간의 반목과 갈등을 ‘연방’의 형태로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뜻한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양차 세계대전 사이에 발생하였던 다뉴브 지역 제민족의 갈등과 문제를 바탕으로 오스카 야씨가 이를 해결하고자 모색하였던 다뉴브 연방안의 본원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는 데 있다. 양차 세계대전 사이 기간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왕국이 해체되면서 제민족의 갈등 및 분열 문제가 본격적으로 제기되었던 시기였다. 바로 이 시기에 헝가리에서 오스카 야씨는 이러한 국제 상황을 타개할 대안으로서 다뉴브 연방안을 주장하였다.

      • 유기 광산화환원 촉매 물성 예측을 위한 양자화학 시뮬레이션 기법 개발

        최지윤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빛은 중요한 에너지원이며 분자의 발색단에 의해 화학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다. 광산화환원 촉매 (Photocatalyst, PC)는 빛을 이용하여 전자를 들뜨게 해 화학 반응을 가속화하고 새로운 화학 반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기 합성에 많은 기여를 했다. 연구 초반에는 광산화환원 촉매로 전이 금속 착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했으나 환경적 문제와 비용 문제로 인해 현재는 유기 광산화환원 촉매가 전이 금속 광산화환원 촉매의 대안으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새로운 광산화환원 촉매를 개발하기 위해선 광산화환원 촉매의 바닥 상태와 들뜬 상태의 산화-환원 속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들뜬 상태의 산화-환원 전위를 양자화학 시뮬레이션으로 정확히 구현해 내는 방법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따라서 광산화환원 촉매의 산화-환원 특성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의 제1장에선 빛 에너지의 유용성과 광산화환원 촉매의 연구 동향 및 양자화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광산화환원 촉매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서술한다. 제2장에선 dihydroquinoxalino[2,3-b]quinoxaline 유도체의 선택된 모델 시스템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여준다. 높은 정확도로 들뜬 상태에서 산화-환원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전자 상태 구조, Hartree-Fock 교환 (Hartree-Fock exchange, HFX) 및 들뜬 상태에서 이중 들뜸 특성의 고려와 같은 세 가지 요인을 고려했다 우리는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요소에 초점을 맞춰 광물리적 특성과 바닥/들뜬 상태 산화-환원 특성에 대한 매우 정확한 추정을 제공할 수 있는 스핀 플립 밀도 범함수 이론 (spin-flip density functional theory, SF-DFT)을 기반으로 하는 이론적 프로토콜을 수립한다. 제3장에선 널리 알려진 광산화환원 촉매 그룹 중 하나인 acridinium 계열 유도체들을 모델 시스템으로 선택해 연구를 진행한다. 양자화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정확한 값을 재현해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효율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높은 효율성으로 들뜬 상태에서 산화-환원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3가지의 프로토콜을 설정해 비교하고 HFX 및 바탕 함수 집합에 따른 영향을 분석해 가장 효율적인 예측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이렇게 제시한 이론적 프로토콜들이 새로운 유망한 광산화환원 촉매 후보의 효율적인 설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Light is a non-chemical energy source that can provide various amounts of energy and can be converted into chemical energy by molecules called chromophores. Photoredox catalysts (PCs) have contributed greatly to organic synthesis by accelerating chemical reactions by facilitating electrons using light and enabling new chemical reactions. In the early days of research, studies on transition metal complexes as photo-redox catalysts were active, but due to environmental and cost issues, organic PCs are being actively studied as an alternative to transition metal PCs. In order to develop a new PC,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dox properties of the ground state and excited state of the PC. However, it is still unclear how to accurately realize the redox potential in the excited state through quantum chemistry simulation. Therefore, research to accurately predict the redox characteristics of PC is very important. Chapter 1 of this thesis describes the usefulness of light energy,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PCs, and the need for quantum chemical simulations for highly accurate estimations of photo- and redox-properties of PCs. Chapter 2 proceeds with a study on a selected model system of dihydroquinoxalino[2,3-b]quinoxaline derivatives. To predict redox properties in excited states with high accuracy, we considered three factors: excited state geometry, Hartree-Fock exchange (HFX), and consideration of double excited configurations in excited states. We focus on the three factors mentioned above to establish a theoretical protocol based on spin-flip density functional theory (SF-DFT) that can provide highly accurate estimates of photophysical properties and ground/excited state redox properties. In Chapter 3, acridinium-based derivatives, which are one of the well-known photo-redox catalyst groups, are selected as a model system for research. It is important to reproduce accurate values using quantum chemical simulations, but it is also important to efficiently obtain the desired results. To predict redox properties in an excited state with high efficiency, three protocols are set and compared, and the most efficient prediction protocol is presented by analyzing the effects of Hartree-Fock exchange (HFX) and a set of background func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theoretical protocols will contribute to the efficient design of new promising PC candidates.

      • 소집단 협동학습이 어림수 및 어림셈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최지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림은 초등학교 수학에서 학생들이 수와 연산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삶과 연결 짓도록 돕는 중요한 분야다. 어림수는 수 감각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고 어림셈은 효율적인 연산을 가능하게 하며 결과의 정확성을 높인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육과정에는 어림에 관한 구체적인 학습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현장에서의 체계적인 지도에 어려움이 있다. 소집단 협동학습은 수학에 대한 토의와 토론을 촉진시키는 학습 방법으로 학생들이 수학적 의사소통을 통해 어림의 개념을 이해하고 세련된 어림 전략을 구상할 수 있기에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어림 학습 지도는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협동학습이 어림 능력 중 수와 연산 영역에 해당하는 어림수 및 어림셈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협동학습이 어림수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소집단 협동학습이 어림셈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서울특별시 T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어림학습을, 비교집단에는 교사 중심의 개별 학습 활동을 통한 어림학습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소집단의 구성은 어림 능력 사전 검사 결과에 따라 상, 중, 하 수준별로 3∼4명의 이질집단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학습 내용은 2개 집단에 동일하게 어림수와 어림셈 문항을 제작하여 한 차시 당 2개의 문항으로 총 6차시에 걸쳐 투입하였다. 실험 처치 후 두 집단에 어림 능력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검사 결과를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으로 t-검증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소감문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전반적인 어림 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소집단 협동학습은 학생들의 어림수 능력과 어림셈 능력을 신장시킨다. 이는 소집단 협동학습이 어림 학습 과정에서 학생들 간의 긍정적이고 상호보완적인 의사소통을 유도하였기 때문이다. 둘째,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한 어림 학습은 실생활 및 수학 학습에서 어림의 유용성을 알고 어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한다. 소집단 협동학습을 통해 알게 된 어림의 유용성과 어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실생활과 수학 학습 상황에 있어서 어림을 보다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할 수 있다. 결론을 바탕으로 어림수 및 어림셈 학습에 관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 문제인 소집단 협동학습이 어림수 및 어림셈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다양한 학년을 대상으로 보다 장기적인 연구가 시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소집단 협동학습 이외에도 어림수 및 어림셈 능력 개발을 위한 다양하고 효과적인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어림의 가치와 중요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에서 보다 체계적으로 어림을 다룰 필요가 있다. 지도서뿐만 아니라 교과서에도 어림 전략 및 방법을 익히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이 제시된다면 수업을 하는 교사와 학생이 어림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Estimation is a very important part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at helps students understand a meaning of numbers and operation and relates it to their real life. Using computational estimation, Students can develop their number sense with estimation numbers and do operation with high efficiency and accuracy. However, at the moment, there’s not enough teaching methods to teach estimation well in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 Korea.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increases discussion and debate in mathematics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estimation and use various kinds of proper estimation strategies. This study, thus, analyzed the effects of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on ability in estimation numbers and computational estimation focusing on 6th graders. Research questions are presented below. First, how does the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affect the ability in estimation numbers? Second, how does the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affect the ability in computational estimation? To get the answers to these research questions, 6th grade students of 2 classes from T elementary schoo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e of those classes was an experimental group, so they learned estimation through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The other was a control group, so they learned estimation without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Small groups were formed to include 3 to 4 students in different estimation level(high, medium, and low). Both classes had 6 lessons each and each lesson included 2 estimation problems related to estimation numbers and computational estimation. When all the lessons were done, students took a test to check how their ability in estimation numbers and computational estimation is compared to the previous result. I-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deal with the data. Writings from students which are about their thoughts after the whole lessons were used to check the overall improvement in their ability in estimation. Results are presented below. First,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increases students’ ability in estimation numbers and computational estimation. The reason of this is that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makes students communicate and help each other to increase their ability in estimation. Second, learning how to estimate through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helps students to know how useful estimation is and to get positive perceptions to estimation. Therefore, they can use estimation well easily in studying math and also in their real life. Conclusions are presented below. First, there needs to be more studies about the effects of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in ability in estimation numbers and computational estimation. Those studies would focus on various grades of students and be continued for longer period. Second, there needs to be more studies about successful teaching methods and skills to teach how to get estimation numbers and do computational estimation. Third,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needs to be organized in teaching estimation. Specific ways to estimate well and learn estimation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not only in teachers’ book but also in students’ textbook.

      • 항공사 승무원의 교육훈련 만족도가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 인정(Recognition)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지윤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내의 항공운송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 여러 가지 도전에 직면해 있다. 몇 년 전 유럽 발 경제위기를 거쳐 중국경제의 경착륙 우려, 아시아 경제의 불안정 지속, 최근 트럼프정권 출범으로 나타나는 각국의 신 보호무역주의 출현, 향후 예상되는 금리인상 이슈 등 세계 경제가 여러 문제로 불확실성이 높아져가고 있다. 이에 더하여 국내 저가항공사의 출현으로 인한 가격경쟁은 전체 항공사의 수익성을 저해하고 단거리 노선경쟁으로부터 점차 중장거리 노선까지 경쟁강도는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물론 이러한 항공사의 경쟁 심화는 고객의 입장에서 보면 요금인하, 서비스품질 개선 등 소비자위주의 시장으로 변화 등으로 유리한 측면이 있기도 하다. ‘이처럼 치열한 경쟁에서 특정 항공사가 살아남는 가장 중요한 무기는 무엇일까?’ 여러 가지 답이 있겠지만 이 질문에 답을 하려면 먼저 항공사가 제시하는 상품의 차이점이나 고객소구점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 항공사의 중요한 상품은 안전하고 쾌적한 운송서비스와 인적서비스이다. 이 가운데 운송서비스는 항공사별 차이가 그리 크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결국 항공사의 경쟁우위 요소는 고객들이 직접적으로 느끼는 고객서비스이며, 이를 현장에서 제공하는 승무원의 역할은 날로 커가는 실정이다. 따라서 승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교육훈련은 고객에게 의미 있는 차이를 줄 수 있는 중요한 경영수단이 된다. 이 과정에서 승무원들이 느끼는 교육훈련에 대한 만족도 또한 서비스품질을 결정짓는 기능을 갖는다고 본다. 즉, 항공사는 승무원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여 만족도를 높임으로서 궁극적인 경영목표인 서비스품질 향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승무원의 교육훈련만족도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품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해 보았다. 동시에 조직 내에서 동기부여를 통한 다양한 관계에서의 심리적 인정(Recognition)이 서비스품질에 직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와 교육훈련만족도를 높이는 심리적 인정(Recognition)이 두 가지 변수들에게 의미 있는 조절효과를 보이는지에 대하여 함께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에서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서비스품질 가치를 개발, 유지하는데 필요한 승무원에 대한 교육훈련 및 교육훈련 만족도를 검토하고 교육훈련만족도가 기업의 목표인 서비스품질 제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는 서비스품질 제고와 관련하여 항공사와 승무원 개인의 목적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제도적 관리적 방안들을 찾고자 하는 것에 의의와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 A항공사 현직에 근무하고 있는 승무원 300명을 대상으로 다각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승무원의 교육훈련만족도가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훈련 및 교육훈련만족도와 서비스품질의 개념 및 구성요인, 항공사의 특징적 사항 등에 관하여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인정(Recognition)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정(Recognition)의 개념적 정의 및 여러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인정(Recognition)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동기부여이론 중 Herzberg의 2요인이론을 바탕으로 고찰해 보았다. 셋째, 결과적으로 승무원의 교육훈련만족도가 항공사의 최종 성과지표인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승무원의 경우에 집중하여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항공사 승무원들의 교육훈련은 항공사 인사관리의 중요한 정책 중 하나이며 이를 통하여 고객에 대한 서비스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효과적인 교육훈련에 대하여는 피교육자인 승무원의 교육훈련만족도가 높아지면 그 결과 서비스품질은 더욱 제고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항공사 조직이나 상사, 동료 등이 승무원 개인에게 주는 심리적 인정은 직접적으로 서비스품질 개선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결론은 해석하는 시각에 따라 의외의 결과로 보여 질 수도 있으나 그 개인이 속한 기업이나 조직, 업무의 성격, 업무프로우, 개인들의 특성에 따라서 얼마든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요인이라 생각한다. 셋째, 교육훈련만족도와 서비스품질 간의 관계에서 인정의 조절효과에 관한 부분에서도 의미 있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인데, 이 역시 두 번째 결론에 대한 분석과 궤를 같이 한다. 다만 이번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여러 선행연구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교육훈련의 결과에 대한 인정은 교육훈련 만족도를 높임으로서 궁극적으로 고객에게도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현대기업에서 서비스경쟁은 가장 치열한 전쟁이라 할 수 있다. 상품의 질적 변별력이 축소되는 가운데 모든 과정에서 서비스는 필수적인 경쟁요소가 되었다. 더욱이 항공사의 경우는 쾌적한 여행의 제공이라는 점에서 안전한 비행과 편안한 서비스가 곧바로 기업의 성패를 좌우한다. 따라서 그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승무원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하며 승무원에 대한 교육은 가장 우선시되어야 할 투자이기도 하다. 이 과정에서 교육을 받는 승무원들에게 교육훈련에 대한 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은 곧 고객에게 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Recently domestic aviation transport industry is faced with more various challenges than ever. The uncertainties of world economy is increasing due to the concerns over business hard landing of China, the continuous uncertainties of Asia economy, the new protectionism owing to Trump government, the expected rise in interest rate and so on. Furthermore, the emergence of budget airline has been increased the price competition causing reduced profitability whole airlines from short haul to long haul route. Certainly the increasing competition of airlines has advantages such as a lower price, improvement service quality and a change to consumer-centered market. ‘What is the most important tool in order to survive for certain airlines in this competitive market?’ There are many answers for this question. To answer this, firstly we should know the difference of products provided by airlines and customer needs. The important products of airlines are safe, comfortable transportation service and human service. It is true that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transportation service of airlines. In the end the core competitiveness of airlines is the customer service that customer can feel directly and the role of crew is more important day by day. So, the various education and training can be important business tools that can provide meaningful differences for customers. It also can affect the service quality depending on how satisfied the crew is with the training. In other words, airlines can increase service quality that is the ultimate business goal providing qualified training for crew. In this study, we check the correlation between crew’s training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provided to the customers. And we study the service quality affected by a psychological Recognition in various relationships through motivation in organization. Also, we check the psychological recognition, which can increase training satisfaction, shows significant control effect on two factors or not.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at we examine the training and training satisfaction in order to develop and remain service quality value that is ultimate goal for airlines. And, it is to understand that how the training satisfaction can affect service quality which is a business goal Furthermore, this study is to look for various managerial remedies can satisfy both airlines and crew individual goal in terms of service quality improvement. To achieve the objective, we conduct a survey in many angles targeting 300 crews currently employed at A airline and proceed the study as follows. First,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raining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we examine precedent studies regarding training, training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concept with factors and airlines’ distinctive respects. Second, we check the definition of Recognition and various precedent studies to find a direct effect of Recognition on service quality and control effect. In this process we consider on the basis of Herzberg’s two factor theory in motivation theory which can affect on Recognition. Lastly, we try to analyze the effect of training satisfaction on service quality in case of crew. This study comes to a conclusion as follows. Firstly, the training for flight crew is one of the important policies in human management and it can improve service quality to customers continuously. And, in terms of effective training, service quality can be improved if crew’s satisfaction increase. Secondly, psychological recognition which crew receives from organization, boss and coworkers cannot influence directly to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lthough this can be seen unexpected conclusion in some viewpoint, it is a possible conclusion depending on organization, task characteristics, workflow, and personality of individual. Lastly, there is no correlation in control effect of recognition between training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it has the same way of the second conclusion. This study does not simply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outcome. But, we can infer that the recognition on crew’s training performance can increase training satisfaction and this can eventually provide a high-quality service for customers. The service competition of modern company is the most competitive war. The service is an essential factor for core competency in this business environment where product quality is not much different among companies. Besides, the safe flight and comfortable service determine the success of company especially for airlines. Therefore the role of crew providing service is the most important and the crew training should be a top priority in investment. Giving satisfaction to crews on the training is providing service satisfaction for customers.

      • 서울시 주거유형별 지속가능성 평가

        최지윤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rently, the housing develoHnent in Seoul has been focvsed on the high density apartment te reDieve the deyelopmental benefits via constructing high-rise apsrDnent holding. However, apartment cannot receive higher scores fren all indication with regard to sustainablie. Other residential types can have higher scores in the sustainablity indication. Therefore, fhis study analyzes several different residential types including apartment using evaluation indication of sustainablity. This study finds fhat othor residential types has higher scores than apartment in some evaluation indication. Also, this study finds that appropriate residential types are different within each region. First of all, this study selects 10 indexis among 33 indexes mentioned in researth and preceding studies in order ta establish the evaluation indication of sustainablity for a residentir area. TEs study develops the evaluation model of sustainablity via the selected 10 indexes. Within this model, each evaluation indication of stainablity has 5 scores. The percentage assigned by the Korean Housing Corporation is used as the rate of open area. The average of autolnobiles is based on the 2020 Seoul Mnster Plan of Seoul Developfnent Institute. The following resvlts are indicated in this study: First the total scores of sustainablity in Seoul is 2.73. Second, in terms of residential types, the single-falnily house has the highest scores because of the environmental inacation. 0 other words, the environmental indi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indications for he sustainable. Most of the single-family house with the highest sceres of the environueDtal indication has the green area. Third, npartinent has the seeond hi hest scores. The environmental iBdication of apartment scores less thanthe single- family house. However, scores for the land use indication and the transportation indication in apartlnent are higher than other residential types because of the well-prrpared urhan infrastftrture and good accessibility. Foufh, multiple dwellings, apartment unit in a pricate house, and row house scores less than the single- family house and apartment due to the worse residential conditions. In summary, this study finds that each residential type has different scores for the evaluation indications of sustainablity. As a result, it is noted that the apartment development is not desirable in respect to the evaluation indication for the sustninablity. However,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This study only uses quotitative indications, therefore a wide range of the sustainablity is not included in this study. The used indications of the sustainablity is not only indicated the residential area because they are designed for dfferent purposes aud intentions. In addition, there are no consistent measurements of evaluation indications in this study. specialized and accurate database and to evaluate sustainablity using the qualitative indication. Also, it needs to ccnstrtlct the accurate measurement model of the residential area. Currently, political basis is not supported the need for the evaluation of the sustainabtity. Thus, consensus en it and further research are needed to draw the consistent result. In future, reliability test is required for the evaluation indication of the sustainablity. In the future, the applicable indication and he objective evaluation method should be developed. 본 논문은 아파트뿐 아니라 다른 유형의 주거들도 높은 점수를 가지는 지표가 있음을 지속가능성평가를 통해 밝혀 아파트만 건설할 것이 아니라 여러 지속가능성 지표들을 고려하여 각 지역마다 가장 적합한 주거형태를 건설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우선, 주거단지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설정하기 위해서 지속가능평가에 관한 국, 내외선행연구 총 33개에서 언급된 지표를 추출하여 최종 10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10개의 지표를 통해 지속가능성평가모형을 구축하였는데, 우선 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들을 5점 척도로 나누었다. 우선 환경지표들은 향후 10년~20년 뒤 서울시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치를 5점으로 배점하였고, 최근5년 간 평균량을 중간점수인 3점으로 책정하였다. 토지이용지표의 인구밀도지표는 건교부(2008년현재, 국토해양부)에서 제시한 적정인구밀도수치를 따랐고 초등학교와 공원, 교통지표의 대중교통에 대한 접근성, 도로율은 ‘도시계획시설의 결정, 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제 89조에 의거하여 배점하였다. 공지율은 대한주택공사에서 지정한 퍼센트를 적용하였고 자동차 평균속도는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의 202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수치를 5점 만점으로 보고 배점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지속가능성평가모형을 서울시 5개의 주거유형별로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지속가능성평가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첫째, 3개의 지표를 모두 반영한 서울시 지속가능성평가점수는 2.73으로 중간값인 3점에 조금 못 미치는 결과가 나왔다. 둘째, 주거유형별로 단독주택지의 지속가능성 점수가 가장 높게 나왔다. 그 원인은 환경지표점수가 다른 지표들보다 높기 때문인데, 이는 지속가능성을 나타낼 때에는 환경지표가 다른 지표들보다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뜻한다. 환경지표가 가장 우수한 단독주택은 녹지가 많은 지역이 대부분이었다 셋째, 단독주택 다음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유형은 아파트로, 환경지표는 단독주택지역에 못 미치지만 토지이용지표와 교통지표는 다른 주거유형들보다 우위에 있다. 이는 아파트는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났다기보다는 계획적으로 조성되기 때문에 대부분 도시기반시설이 완비되어 있고, 교육, 의료시설, 지하철 등의 접근성이 좋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넷째, 다가구, 다세대, 연립주택은 단독주택과 아파트에 비해 전체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다. 이는 기반시설을 고려하지 않고 주거지의 양적공급만을 목적으로 단순히 높이만 올려 개발밀도를 상승시켰기 때문에 주거환경이 악화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렇게 수치화 된 지속가능성평가의 결과를 통해 각 주거유형마다 우위를 나타내는 지표가 무엇인지를 밝혀내고, 각 주거유형별로 지속가능성지표점수가 다르게 나올 수 있음을 밝혀 아파트 위주로만 재정비 되는 현실이 주거지의 지속가능성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지속가능성의 평가도구인 지표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 불과 20개정도의 측정소로 서울시 522개 행정동의 주거지의 대기오염도를 평가하여 정확성이 떨어졌다는 점, 평가를 정량적인 지표에만 한정하여 지속가능성이란 개념이 가지고 있는 광범한 범위를 모두 포함하지 못했다는 점, 지표들이 주거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위주로 하는 데이터들이 아닌, 각각의 여러 목적에 의해 만들어진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데이터들을 가져다 대입하였기 때문에 주거지역의 지속가능성만을 대표하는 지표가 될 수 없다는 점, 측정방법 역시 통합된 것이 없어서 각 지표별마다 관련 선행연구들을 뒤져 개별적으로 찾아내어 통합하여야 했다는 점 등의 연구의 한계로 나타났다. 정확한 지속가능성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환경, 사회, 경제적 부문 모두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적이고도 정확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물론, 주거단지를 측정할 수 있는 정확한 방법모형, 특히 정성적인 지표에 대한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는 정책적, 제도적 뒷받침이 미약하여 이를 실행하기 어렵다. 때문에 관련 전문가들의 충분한 합의와 연구가 있어야 일관적이고 신뢰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평가기법과 지표는 신뢰성 검증의 어려움 및 주관적 개념의 개입 등과 같은 한계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구체화되고 실용 가능한 상세지표들의 보완과 다양성을 확보한 모집단을 통하여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는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