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불어교육에 있어서의 광고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진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 동안 언어규범에서 벗어나지 않는 텍스트만을 교육의 교재로 삼는 교재관에 대한 회의가 일고, 학습자의 동기를 부여하고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학계의 관심은 다양한 강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연구를 속출케 하였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실제 자료나 새로운 교수 매체는 유례없는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런데 현대사회에서 대중매체로서 광고는 한 사회의 친숙한 일상생활과 문화가 녹아있는 대표적인 언어 실현의 산물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학습 자료로서의 교육적 가치와 구체적인 활용 방법에 대한 고찰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고, 학습자의 흥미를 자극하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불어 광고의 활용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과 이에 대한 적용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실제 자료로서의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과정, 유형, 구성 및 유용성을 살펴봄으로써 광고 활용의 교육적 가치나 타당성을 알아보았다. 이에 대한 적용으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불어 교육에서 광고 활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 검토하였다. 설문은 광고를 활용한 실험 수업 이전과 이후 두 번에 걸쳐 이루어졌는데, 먼저 실험 수업 이전의 설문은 불어교과에 대한 흥미, 학습자의 언어 요구와 실제 자료 사용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불어 광고를 활용한 실험 수업 이후에 이루어진 설문에서는 광고 활용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과 그 학습적 가치를 알아보고, 수업에서 학습자의 학습상의 어려움, 그 극복 전략 및 요구를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조사를 통해 본 연구자가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는 현대인의 일상적 생활이나 문화와 밀접한 연관을 지니기 때문에 광고 텍스트를 통하여 프랑스의 가장 최신의 사회·문화를 접하게 되며, 현실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반대중의 의사소통 양식을 그대로 구현해준다는 점에서 교육적 활용 가치가 있다. 또한 광고의 감각적이고 역동적인 영상과 독창적인 메시지는 학습자의 흥미를 자극하고 동기를 유발하기에 충분하다. 둘째, 불어에 대한 학생들의 낮은 성취 욕구수준의 원인을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겠지만, 특히 교재 구성의 측면에서 교과서의 지루하고 단순한 내용과 문법위주의 학습은 불어에 대한 흥미를 느끼지 못하게 하였다. 이처럼 교과서가 학습자의 흥미를 끌지 못하고, 학습의욕을 상실케 함은 불어 교과에 대한 재구성의 필요성을 시사해주며, 동기가 결여된 학습태도를 긍정적 학습태도로 선회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광고의 활용을 제안한다. 셋째, 언어 4기능 학습별로 이루어진 광고 활용 수업에 대하여 대다수 학생들이 광고를 통하여 프랑스에 대한 문화적 이해를 넓히고, 실용적인 어휘나 표현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되며, 불어 학습에 흥미를 가져다 줄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광고는 문법 위주의 학습에서 벗어나 회화 중심의 실용문 학습을 기대하는 학습자의 요구가 반영되고, 나아가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학습자료가 될 수 있다. 넷째, 광고언어는 학습자가 겪는 심리적 부담감을 줄이기 위한 교수·학습상의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게 한다. 광고의 언어가 한편으로는 교육적 여과를 거치지 않은 실제 자료의 속성으로 어휘가 산발적이고 비범주화되어 그 의미의 추측을 힘들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광고 메시지 생성에 관여하는 광고 언어적 속성으로서 광고는 압축된 언어로 가장 설득력 있는 메시지의 생성을 목표로 하는데, 이 과정에서 나타난 탈(脫)문법적 현상들과 직면하여 학습자의 의미 파악과 올바른 언어 사용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광고언어를 활용하여 불어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철저하고 다각적인 교수계획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자는 불어 광고를 활용한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다음의 몇몇 제안을 덧붙이고자 한다. 첫째, 외국어를 교육하는 데 있어 학습 자료의 선정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기준을 학습자 중심 교육 측면, 학습 목표 성취 측면, 목표어 문화 제시 측면으로 나누어 생각해보았다. 둘째, 실제 자료의 어휘문제에 있어서 교과서의 어휘 수에 준하여 실제 자료가 학습자의 학습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것에 대해 지나치게 우려를 드러낼 필요는 없다. 텍스트 내 모든 어휘와 표현의 이해를 전제하지 않고, 합당한 자료 선정 기준에 따라 광고가 선정된다면 학습자의 심리적 부담은 충분히 상쇄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셋째, 의사소통능력의 습득에 관여하는 상호작용과 학습자의 요구 분석의 상관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광고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료로 사용되는 광고가 교사-학습자, 학습자-학습자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 의사소통능력을 연습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아울러 학습자가 진정 학습하기를 원하는 것이어야 한다. 넷째, 교과서의 보조교재로서 광고의 사용 시간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학습자를 수동적으로 만들 수 있는 과도한 설명과 반복을 피하고 다양한 학습활동으로 자율적 학습 분위기를 유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수업 외 과중한 업무로 인해 교수·학습 차원의 세심한 연구를 저해하는 상황 속에서 교사의 문화 능력의 한계에 대처하는 현실적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현행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문화 교육 시간을 늘이고, 해외 연수 기회를 확대하거나, 광고 자료 은행을 운영하여 자료나 교수기술을 소개하고 참고할 수 있는 정보 공유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vec le progre`s de la te´le´communication, augmente de plus en plus l'occasion des e´changes entre les individus et ils sont permis de contacter plus facilement avec les documents de la langue cible a` l'aide de l'internet. a` cet e´gard, il va sans dire que la compe´tence communicative est absolument exige´e. L'approche communicative met l'accent non seulement sur la connaissance du savoir linquistique mais surtout sur la compe´tence du savoir-faire communicatif. Bien que le manuel de franc¸ais du lyce´e soit e´labore´ dans cette finalite´, il est loin de la de´velopper dans les situations de la classe en Core´e ou` la majorite´ des apprenants manquent de motivation pour cette langue. De plus, le manuel pre´sente souvent les exercices de structure sans situation. C'est pourquoi on a besoin d'utiliser d'autres types de mate´riaux auxiliaires afin de susciter l'inte´re^t des apprenants et de pouvoir re´aliser la communication naturelle avec les gens du pays dont nous apprenons la langue. Dans ce contexte, il nous reste de savoir quels documents authentiques choisir ou comment les re´aliser en classe? Pour re´pondre a` cette question, nous avons d'abord examine´ les caracte´ristiques de la publicite´ qui prend aujourd'hui une place e´norme dans la vie quotidienne des gens. Elle pre´sente les situations de communication abondantes, e´crite ou orale sans e^tre filtre´e par les ne´cessite´s pe´dagogiques. e´tant donne´e que la langue refle`te la socie´te´ a` un moment donne´, la publicite´ peut nous montrer vraisemblablement des pratiques socio-culturelles repre´sentatives, voire authentiques. De ce point de vue, nous pouvons conside´rer que l'introduction et l'utilisation de la publicite´ sont ne´cessaires en classe de langue. Notre e´tude se constitue en quatre chapitres. D'abord dans le chapitre II, nous avons mene´ une e´tude the´orique sur la publicite´, la communication, et la pertinence de la publicite´ dans la classe de langue. Ensuite, dans le chapitre III, nous avons pre´sente´ les expe´rimentations (questionnaire et pratique de classe) effectue´es aupre`s des apprenants et nous les avons analyse´es. Enfin dans le chapitre IV, a` partir des re´sultats de cette enque^te, nous avons donne´ des conclusions, y ajoutant quelques re´flexions. Voici nos conclusions : Premie`rement, la publicite´ permet une pe´dagogie des aspects socio-culturels non moins que des aspects langagiers. Ses images attirantes voire dynamiques et ses messages d'esprit suffisent pour capter l'attention des apprenants et les regards vers les documents. Gra^ce a` ces me´rites conside´rables, elle permet aussi une pe´dagogie stimulante. Deuxie`mement, nous avons cherche´ a` trouver des causes du manque d'animation pendant la classe. Le re´sultat de cette analyse nous a montre´ les raisons suivantes : le contenu et les sujets des maunels de franc¸ais ne tiennent pas compte du niveau intellectuel et psychologique des apprenants, donc ils sont monotones. En outre, les enseignants demandent souvent des exercices gramaticales excessives. Troisie`mement, la plupart des apprenants pensent que l'utilisation de la publicite´ est tre`s efficace pour une meilleure compre´hension socio-culturelle et une acquisition des langues vivantes sous les aspects lexicales ou syntaxiques enrichissants, et une volonte´ d'apprentissage plus forte. Quatrie`mement, les enseignants doivent essayer d'utiliser la publicite´ comme outil didactique. Ils doivent non seulment savoir utiliser les mate´riaux dont ils disposent mais surtout e^tre capable de les exploiter de fac¸on efficace pour la pratique de classe. De plus il faut qu'ils introiduisent et renouvellent les activite´s pe´dagogiques divers pour maintenir l'inte´re^t communicatif produit chez les apprenants par l'utilisation de la publicite´. Face aux obstacles psychologiques des apprenants qui se heurtent contre des vocabulaires inconnus, des formes parfois grammaticalement incorrectes de la publicite´, il faut les conduire a` se concentrer pluto^t sur le sens gobal que celui d'un mot. Pour finir, nous avons ajoute´ des propositions suivantes : Au niveau de la se´lection des documents, il est ne´cessaire de retenir trois crite`res : des besoins des apprenants, leur niveau en franc¸ais et des buts du cours. Afin de faciliter le travail dur des enseignants, il est e´galement souhaitable d'e´tablir un syste`me de banque de donne´e sur internet ou` l'on peut trouver et partager les publicite´s adaptables a` des fins didactiques et les techniques d'enseignement pour la pratique de la classe.

      • 경제적 인센티브로서의 중요무형문화재 전승지원금 분석

        진혜영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무형문화재의 전승교육을 위해서 보유자에게 지급되는 정부의 보조금인 전승지원금이 실제로는 보유자에 의해서 생활비와 같은 경제적 인센티브로서 인식되고 있다는 점을 연구의 시발점으로 삼았다. 전승지원금이 생활비로 인식되고 있는데 반하여 지원금 자체의 규모나 용도는 아직도 원래의 취지 그대로 유자하고자 하는 정부의 현실과 괴리된 정책이 오히려 문제라고 보았다. 이런 문제의식에 따라 무형문화재 보유자의 월전승지원금제도가 합당한지 지원금액의 지급액이 실경제에 맞게 지급되어 전수활동이 잘 이루어게 되고 있는지, 지원금의 증액 없이도 정책을 바꿈으로써 효율적인 방법을 찾을 수 있는지를 다각도에서 접근하여 분석해 보았다. 실질 월전승지원금액의 추이를 계산하여 실경제에 맞게 지급한 것인지 살피고, 가상인물의 총월전승지원금액의 현재가치로의 환산하여 일시불지급액으로의 가능성을 살피고, 단순 설정이지만 가상인물설정으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의 연금과 비교하여 보유자 월전승지원금액의 합당성을 확인, 데이터를 통한 보유자 월전승지원제도의 회귀분석하여, 월정지원금을 토대로 한 무형문화재 보호육성 정책이 효과가 있는지 앞으로 전승자를 늘일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 특성 및 위험요인 분석 연구

        진혜영 연세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중환자실에서는 환자의 중증도 및 각종 침습적 처치의 증가로 병원감염 발생의 위험이 높고, 실제로 일반 병동에 비해 병원감염률도 높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위험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병원감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본 연구는 후향적 조사연구로 2003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수원 시내 일개 종합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총 32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자료수집도구는 문헌고찰을 기초로 연구자가 개발한 조사 기록지와 질병 위중도(APACHE Ⅲ)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조사 기록지는 병원감염 위험요인과 관계가 있는 숙주 요인, 환경 요인, 병원감염 요인 등으로 구성되었다. 병원감염 특성은 병원감염률과 병원감염의 종류 및 분리 균주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위험요인 분석은 X2-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단변량 분석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차이를 보인 변수만을 포함시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병원감염률은 820 퇴원환자수 동안 132건의 감염이 발생하여 16.09의 병원감염발생률을 나타냈으며, 발생밀도의 개념을 적용하여 9,672 중환자실 연환자일수 동안 132건의 병원감염이 발생하여 13.6의 발생률을 보였다.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삽입기구인 호흡기, 중심정맥관, 유치도뇨관의 사용일수를 고려한 병원감염률은 각각 16.99건, 6.38건, 4.44건 이었다. 주요 감염 발생 부위로는 폐렴, 요로감염, 혈류감염, 피부와 연조직 감염, 소화기계 감염 순이었다. 주요 분리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Enterococcus faecium, Klebsiella pneumonia, Pseudomonas aeruginosa, Acinetobacter spp. 순이었다.2.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16개 변수에 대하여 단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12가지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요인은 진단명, 총 재원일, 중환자실 입실 전 위치, 중환자실 재원일수, 여러 중환자실 이동 경험, 여러 중환자실 이동한 경우 총 중환자실 재원일수, 혈청 알부민, 기저질환 종류, 질병 위중도, 고 영양 수액, 항생제 종류, 침습기구 삽입일 이었다.3.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변량 분석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단명, 총재원일, 중환자실 입실 전 위치, 중환자실 재원일수, 질병 위중도, 항생제 종류로 민감도 70.2%, 특이도 84.1%로 78.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된 병원감염 예방 전략은 병원감염 발생 위험요인을 가진 환자가 중환자실에 입실하는 경우, 입실 초기부터 집중적이고 차별화된 효과적인 감염관리 전략을 제공하여 병원감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병원감염률을 줄여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 감염발생 위험 환자 사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핵심어 : 중환자실, 병원감염, 병원감염 발생 특성, 병원감염의 위험요인의 분석중환자실에서는 환자의 중증도 및 각종 침습적 처치의 증가로 병원감염 발생의 위험이 높고, 실제로 일반 병동에 비해 병원감염률도 높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위험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병원감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본 연구는 후향적 조사연구로 2003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수원 시내 일개 종합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총 32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자료수집도구는 문헌고찰을 기초로 연구자가 개발한 조사 기록지와 질병 위중도(APACHE Ⅲ)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조사 기록지는 병원감염 위험요인과 관계가 있는 숙주 요인, 환경 요인, 병원감염 요인 등으로 구성되었다. 병원감염 특성은 병원감염률과 병원감염의 종류 및 분리 균주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위험요인 분석은 X2-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단변량 분석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차이를 보인 변수만을 포함시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병원감염률은 820 퇴원환자수 동안 132건의 감염이 발생하여 16.09의 병원감염발생률을 나타냈으며, 발생밀도의 개념을 적용하여 9,672 중환자실 연환자일수 동안 132건의 병원감염이 발생하여 13.6의 발생률을 보였다.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삽입기구인 호흡기, 중심정맥관, 유치도뇨관의 사용일수를 고려한 병원감염률은 각각 16.99건, 6.38건, 4.44건 이었다. 주요 감염 발생 부위로는 폐렴, 요로감염, 혈류감염, 피부와 연조직 감염, 소화기계 감염 순이었다. 주요 분리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Enterococcus faecium, Klebsiella pneumonia, Pseudomonas aeruginosa, Acinetobacter spp. 순이었다.2.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16개 변수에 대하여 단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12가지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요인은 진단명, 총 재원일, 중환자실 입실 전 위치, 중환자실 재원일수, 여러 중환자실 이동 경험, 여러 중환자실 이동한 경우 총 중환자실 재원일수, 혈청 알부민, 기저질환 종류, 질병 위중도, 고 영양 수액, 항생제 종류, 침습기구 삽입일 이었다.3.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변량 분석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단명, 총재원일, 중환자실 입실 전 위치, 중환자실 재원일수, 질병 위중도, 항생제 종류로 민감도 70.2%, 특이도 84.1%로 78.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된 병원감염 예방 전략은 병원감염 발생 위험요인을 가진 환자가 중환자실에 입실하는 경우, 입실 초기부터 집중적이고 차별화된 효과적인 감염관리 전략을 제공하여 병원감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병원감염률을 줄여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 감염발생 위험 환자 사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핵심어 : 중환자실, 병원감염, 병원감염 발생 특성, 병원감염의 위험요인의 분석중환자실에서는 환자의 중증도 및 각종 침습적 처치의 증가로 병원감염 발생의 위험이 높고, 실제로 일반 병동에 비해 병원감염률도 높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위험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병원감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본 연구는 후향적 조사연구로 2003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 동안 수원 시내 일개 종합병원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총 32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자료수집도구는 문헌고찰을 기초로 연구자가 개발한 조사 기록지와 질병 위중도(APACHE Ⅲ)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조사 기록지는 병원감염 위험요인과 관계가 있는 숙주 요인, 환경 요인, 병원감염 요인 등으로 구성되었다. 병원감염 특성은 병원감염률과 병원감염의 종류 및 분리 균주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위험요인 분석은 X2-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단변량 분석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차이를 보인 변수만을 포함시켜 다중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병원감염률은 820 퇴원환자수 동안 132건의 감염이 발생하여 16.09의 병원감염발생률을 나타냈으며, 발생밀도의 개념을 적용하여 9,672 중환자실 연환자일수 동안 132건의 병원감염이 발생하여 13.6의 발생률을 보였다.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삽입기구인 호흡기, 중심정맥관, 유치도뇨관의 사용일수를 고려한 병원감염률은 각각 16.99건, 6.38건, 4.44건 이었다. 주요 감염 발생 부위로는 폐렴, 요로감염, 혈류감염, 피부와 연조직 감염, 소화기계 감염 순이었다. 주요 분리 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Enterococcus faecium, Klebsiella pneumonia, Pseudomonas aeruginosa, Acinetobacter spp. 순이었다.2.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16개 변수에 대하여 단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12가지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요인은 진단명, 총 재원일, 중환자실 입실 전 위치, 중환자실 재원일수, 여러 중환자실 이동 경험, 여러 중환자실 이동한 경우 총 중환자실 재원일수, 혈청 알부민, 기저질환 종류, 질병 위중도, 고 영양 수액, 항생제 종류, 침습기구 삽입일 이었다.3.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변량 분석에서 병원감염 발생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에 대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단명, 총재원일, 중환자실 입실 전 위치, 중환자실 재원일수, 질병 위중도, 항생제 종류로 민감도 70.2%, 특이도 84.1%로 78.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된 병원감염 예방 전략은 병원감염 발생 위험요인을 가진 환자가 중환자실에 입실하는 경우, 입실 초기부터 집중적이고 차별화된 효과적인 감염관리 전략을 제공하여 병원감염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병원감염률을 줄여 질적인 간호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 감염발생 위험 환자 사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진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develop career education program as a means of increasing career awarene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phase of career development toward the phase of career awareness, raise career awareness through experience of various career-related activities, and implement this program in the onsite school environment. This program complies with Posner's model of a course design (Posner & Rudnitsky, 1980), and forms reasoning for the program procedures based on the survey of requirements from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in terms of improvement of current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This program analyzes ILOs(Intended Learning Objectives), and organizes course curriculum into the following sections: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jobs and work-world, positive job attitude and self job-value criteria, and sensible career decision-making. This program offers 3 ~ 5 class hours per one section, and these activities include occupation board game, discussion, brainstorming, TV and video watching, business card making, autography writing, and so on. They are devised to present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career awareness, and to require to follow learning steps of problem identification, problem analysis, problem solving, and feedback in order. In addition, this program provides career decision-making information for parents who influence future career of their children, so that it will give them right guide to career advice for their own children. The developed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35 students of 4th grade in S elementary school, Dongjak-gu in Seoul for 17 class-hours. In order to improve the program and its feasibility, examination of career awareness is performed before and after onsite program test. SPSS/WIN is employed to produce t-verification analysis of the examination results. Additionally, teachers use checklists to obser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students, and self-examination method by children is used for children to review by themselves education program satisfaction and their behavio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questionnaires are given participant students and their parents to study the reaction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to this program and the career education materials. The result of this onsite program test demonstrates that career awareness of testee population make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p<.05) before and after the test in terms of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f jobs and work-world, sensible career decision-making except positive job attitude and self job-value criteria.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observation by teachers, self-examination by children, testimonials, and program survey also supports the fact that this education program brings about positive change in career awareness of children, and that it provides them with attitude to have wish of and to prepare for their jobs and future. The survey of program materials for parents with some modification in this study shows that many parents answer in the affirmative about program materials, and they want to use program materials for teaching and advice. To sum up,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proves its worth by producing overall positive effects on career awareness for elementary students, and suggests that career education materials to help parents give the right guide and advice to their children are useful for many parents. But following researches are also needed to improve the strategies and refine the program that can make up for ineffective parts of this study. 21세기는 지식기반사회로 지식, 기술, 정보 등의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고, 이에 따라 직업의 다양화 및 분화가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7차 교육과정에서도 추구하는 인간상을 통하여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고 일 자체를 고귀한 것으로 여기며 일을 통하여 자아의 실현을 꾀하기 위한 진로 탐색과 개척 능력을 갖춘 인간을 지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진로발달단계에서 진로인식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아동들에게 다양한 진로 관련 활동을 통하여 진로인식을 향상시키고자 하며, 더 나아가 이를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Posner & Rudnitsky(1980)의 교육과정 설계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램 절차에 요구되는 합리적 근거를 현재 초등 진로교육에 대한 개선과 요구 내용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요구 조사 분석을 통하여 마련했으며, 의도한 학습 성과들(ILOs)을 분석하고, 진로교육의 내용영역인 자기 이해 영역, 일과 직업의 세계 이해 영역, 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및 가치관 영역, 합리적인 진로 의사결정 영역을 각각의 단원으로 설정하여 내용을 조직하였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한 단원이 3~5차시로 구성되었으며,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을 위하여 문제파악, 문제탐구, 문제해결, 가치내면화의 학습 단계를 거치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학습 활동으로는 직업 말판게임, 토의, 브레인스토밍, TV 프로그램 시청, 비디오 시청, 인터넷 활용, 명함 책갈피 만들기, 자서전 만들기 등을 활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아동의 진로인식에 영향을 주는 학부모들에게 진로교육 학부모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올바른 진로지도의 방향과 방법을 안내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서울시 동작구에 위치한 S초등학교 4학년 35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17차시에 걸쳐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평가는 진로인식 검사와 참여도에 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실시 이전과 이후에 진로인식 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 결과는 SPSS/WI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종속)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아동의 흥미와 참여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관찰기록표(checklist)에 의한 교사의 관찰과 아동의 자기평가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프로그램 종결 후에 아동과 학부모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진로교육 학부모자료에 대한 참여도와 반응을 알아보았다.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 사전, 사후 비교에 있어서 프로그램 실시 집단의 진로인식은 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및 가치관 영역을 제외한 자기 이해 영역, 일과 직업의 세계 이해 영역, 합리적인 진로 의사결정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를 보였다. 그리고 교사의 관찰과 아동의 자기 평가, 소감문, 프로그램 반응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아동의 진로인식 향상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자신의 미래생활과 직업에 대하여 관심과 기대를 갖고 준비하려는 태도가 형성되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재구성하여 학부모에게 제공된 진로교육 학부모자료에 대한 학부모의 반응을 조사해본 결과, 많은 학부모들이 진로교육 학부모자료에 대하여 높은 참여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실제 자녀지도에 활용할 의사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살펴볼 때, 진로인식 향상을 위한 초등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아동의 진로인식 향상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와 함께 학부모들에게 올바른 진로지도의 방향과 방법을 안내하기 위해 제공된 진로교육 학부모자료는 많은 학부모들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전략 모색과 프로그램 개발이 후속 연구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프로젝트 접근법을 실천하는 유아교사들의 교사학습공동체 경험 탐구

        진혜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D유치원에 근무하는 만4세반 5명의 연구 참여교사와 연구자가 유아교사로서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여 프로젝트 접근법을 실천하는 경험을 하였다. 그 경험에서 나타나는 프로젝트 접근법 실행을 위해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의 실천 경험의 변화를 관찰하고 또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의미를 함께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교사학습공동체 참여교사들의 토론 자료, 면담 자료, 연구자 저널, 관찰 사례이며,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접근법 실행을 통해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여 실천의 경험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내용은 걱정과 기대로 시작하여 두려움이 희망으로 바뀌는 것을 경험하고, 프로젝트 접근법에 대한 불확실한 추측에서 구체적인 자신감으로 발전하였으며, 프로젝트 접근법이라는 주변에 머물다가 중심에 서서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게 하는 능동적인 주체자로의 변화 과정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연구 참여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3차까지 이어지는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행에 있어 문제를 인식하고 서로 협력하여 해결방법을 모색하며 점차 나아가는 변화를 겪었다. 또한 진행하고 있는 과정들을 보다 세분화하여 적극적으로 다가서서 성장하였고, 프로젝트에 접근법에 대한 실천적인 변화에 있어 보다 성숙해지고 활동은 더욱 다양하고 의미 있게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참여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스스로 교사의 배움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고 또한 교사학습공동체 모임에서의 토론과 의견들을 모아 능동적인 수업을 실천하며 만족감과 자신감을 느끼기도 하였다. 그리고 실천 한 것에 대한 반성적 사고 과정을 할 수 있었으며, 그것을 통해 탐구와 도전 정신을 발휘하고 서로가 공감과 협력하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연구 참여교사들은 학습공동체를 통해 유아교사로서 프로젝트 접근법에 발전하는 경험을 하여 전문가로서의 진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에 각 교사마다 발전 하는 양상에 차이가 있지만 보편적인 의미를 갖는 것을 다음과 같이 결론지어 본다. 첫째, 전문가로서 점진적 성장으로 초임교사 및 저경력 교사가 자신만의 수준으로 노력 한 것이 아니라 교사학습공동체라는 울타리 속에 속해 있으며, 각자의 활동하는 것을 되돌아보는 기회가 생겨 보다 큰 성장과 발전을 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둘째. 목표를 같이 한 서로가 동반의 관계를 형성하여 연구 참여교사는 경력 차이가 서로 나고 이해관계가 서로 다를 수 있는 연령대 임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의견이나 생각들을 존중하는 모습들이 서로 공유하는 목표가 같다는 점에서 공감을 하며, 협조적인 모습들이 보여졌다. 또한 교사와의 관계 뿐 아니라 유아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역할을 맡아 참여하며, 진두지휘 하는 교사가 아니라 상호 협조적 관계와 도움을 줄 수 있는 협조자의 관계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셋째, 능동적으로 실행하며 함께 발전하여 프로젝트 접근법에 대한 경험이 1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2차, 3차에 걸쳐 진행되어 계획하고 실천하고 다시 반성하고의 과정을 거치며, 조금 더 보완하고 평가하여 다음 수업 계획시 보다 나은 수업을 할 수 있도록 반성적으로 실행하는 과정에서 참여교사들이 유아교사로서 성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프로젝트 접근법이 어느 주제에 국한되어 있거나 전형화 되어 있지 않아 스스로 찾아서 능동적으로 실행하여야 하며, 그에 따라 교사들이 함께 발전하였다. 넷째, 교사들은 배움의 동반자인 동시에 학습자로 배움을 통해서 자기성장의 열정을 찾으려고 하는 참여교사들이 공동체에 지속으로 참여하여 공동체를 유지하며, 교사들은 가르치려고 했던 생각에서 벗어나 유아들과 함께 능동적으로 수업의 역할을 맡아 참여하면서 함께 하는 동반자와 동시에 실천적 배움의 학습자로서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 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조직문화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경력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혜영 가톨릭관동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Caregivers on Customer Orienta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ommitment- Jin, Hye-Yeong Major in Aged Man Welfar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eneral Graduate School of Catholic Kwan Do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o, Jea-Ug, Ph. D. It has been considered that the study on customer orientation through organizational cultur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employees with their job commitment is insufficient, comparing with the circumstance in the graying society tend to increase desires on customer orientation since the Acti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has been enacted on July 2008. In this context, it verified about moderate factors that employee had individually perceived job commitment affected on customer orientation by the empirical study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long-term care facility. And it started the investigation with a view to looking for suggestion in order to figure out the effect and the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through job commitment of the facilities' employee with mediate variables pathway, regarding to the facilities' employee and the administrative works what the head of facilities should be done and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and its policy implication. For this purpose, the statistical survey carried out the total copies of 472 questionnaires for analysis targeting the employees who worked at the unincorporated private facilities and the corporation body of long-term care facilities where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Seoul area from 11-26-2016 to 01-17-2017. 1. The research on the differences among organization culture, job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in compliance with the central operating body : As a result, the hierarchy-oriented cult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and facilities as service providers showed the lowest on the customer orientation, while it showed highly to supply at the residential care services. 2. The research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 cultur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on an employee's job commitment :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hierarchy-oriented culture affected significantly to job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in general. Th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mad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continuity. Concerning the general effect among the employee's job commitment, the career continuity affected significantly to the customer orientation. 3. The verification for mediating effect regarding the employee's job commitment under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on the customer orientation : To be specific, the mediating effect classified as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showed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could be significant to the employee's job commitment. The second stage showed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could be significant to the customer orientation. And the third stage showed that the employee's job commitment could be significant to the customer orientation as well. Thus the employee's job commitment seemed to interact with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regarding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customer orientation. The employees who work at the nonprofit social welfare facility participated to commit their job commitment on the customer orientation. And also they contributed to extend research range on the customer orientation as an expert of career-oriented human resources. Currently it appears the shortage phenomenon of caregivers' turnover. There is a high turnover rate in this job field due to stressful conditions and they have stayed at their unemployment situation without returning to work. With low job commitment they might be considered that the job is not worthwhile to work through the whole life-long. In fact they have a low degree of job satisfaction from their own job commitment as an expert in the professional job fields. The relation-oriented culture affected to employee's career mind. It should be timely rewarded with an adequate compensation. And the managerial controls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s will be strongly necessitate for the professional capability in Social Welfare. In this study it confirmed that the hierarchy-oriented culture among the competing value models could be significantly affected to the employee's job commitment.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there are six scales A to F in grade through evaluation on customer orientation, which used to emphasize document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tability and control as the objectives-oriented model of internal organization for its efficiency. The caregivers who carry out the very important task at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are core personnel in the aging society. This means that their role is essential for sharing the burden with family whose the aged's quality of life depend on customer orientation. It has verified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employee affected on customer orientation through job commitment. Actually they have treated low wage and poor working conditions with low social awareness. Therefore they could not reach the customers even if they would like to apply a certain assistance with their job commitment, similarly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have been faced the same dilemma as well. It might be necessary to suggest a new policy that professional careers of long-term care facilities's employee should be recognized for their professional future.

      • 유아의 정보문해교육과 문제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진혜영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information age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the children to adults and its evaluation has been studied cheerfully. But unfortunately we haven't fulfilled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for children even we were all aware how important it was to educate them in their childhood to have more effect on solving problems. This study was held in children library to verify how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can help children to solve problems after having this education. This study took an experimental research and it would prove to the remarkable improvement for the young children who had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han the young children who haven't had it. The study subjects were 64 kindergartners in the age of 5~6 divided into 2 groups as one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control group. To get the accurate data they have had certain test earlier to check if they had equivalent abilities for solving problems at their ages. During the study the experiment group was taken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and the control group wasn't. In this study, the matter of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was developed through 'Super 3 model' and the sixth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and weekly topic was referred to this objective of the study. The study took 3 weeks with 3 subjects and each subject was conducted at second session. 'T-Test' acted as a measurement method after the test to verify the improvement of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s a result of the test there was keen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for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 group.

      • 면세점 사업에 대한 경쟁정책 및 제도개선 방안의 연구

        진혜영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제학과 경제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면세점 사업은 면세 사업자가 관세청에서 특허권을 획득하여 일정기간 동안 해외여행자들을 대상으로 면세 물품을 판매하는 사업이다. 본 논문은 최근 고성장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면세점 사업에 대한 정책과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이 논문은 크게 세 개의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면세점 사업자 수에 대한 최적경쟁정책을 분석하였다. 수요와 공급함수가 일반적으로 주어진 상황에서 특허 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간의 연관관계를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변수들은 면세점 판매 중 국내 소비자에 대한 판매비중, 국내생산비중, 사회후생 기여분, 내국인 지분이고 면세점 특허 수의 증감 방향을 나타내는 수리모형은 사회후생함수와 이윤함수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최적 판매량과 면세점 사업자 수는 국내수요비중이 증가할수록, 국내공급비중이 증가할수록, 판매비용의 사회후생 기여가 증가할수록, 내국인 지분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는 수요와 공급의 변화를 국내와 해외요인으로 분리하여 면세점 사업자 수에 대한 경쟁정책 방향을 분석하였다. 국내수요와 해외수요의 변화, 국내공급과 해외 공급의 변화가 면세점 사업자 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정태분석을 이용하여 수식과 그래프로 나타냈다. 분석 결과, 국내수요비중과 국내공급비중의 관계가 면세점 사업자 수의 증감을 결정할 수 있 다. 국내수요비중이 국내공급비중 보다 큰 경우, 해외수요가 증가하면 면세점 사업자 수를 줄이고, 국내수요가 증가하면 면세점 사업자 수를 늘이고, 해외공급이 증가하면 면세점 사업자 수를 줄이고, 국내공급이 증가하면 면세점 사업자 수를 늘이는 방향으로 대응하는 것이 최적임을 도출하였다. 세 번째로 면세점 사업의 정책과 관련된 최근 이슈들을 확인하고, 면세점 제도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현재 면세점 사업자의 특허 기간을 5년으로 제한하고 갱신할 수 없도록 만든 2013년 관세법 개정내용은 계속해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므로, 기존 면세 사업자와 신규 면세 사업자의 상생을 촉진할 수 있도록 더욱 정밀한 제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면세점 제도와 관련하여 향후 면세점은 수출산업이므로 관세청의 주관으로 면세점 사업자를 공정히 심사하여 선정하고, 특허제를 폐지하고 신고제와 가격입찰제를 도입하여 진입장벽을 낮추는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정부는 면세점 사업자의 사업권을 보장시켜 주고, 특허수수료로 얻은 정부 수입은 제주도 면세점의 확장과 국산특화 면세점 추진에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는 우리나라의 면세점 사업이 외화를 획득하고 관광을 진흥시키는 수출산업으로 적극적으로 육성되어야 하는 근거를 제공한다. 정부는 면세시장의 범위를 세계로 확대하여 면세점 경쟁정책과 제도를 마련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duty-free business is a duty-free business that obtains patent rights from the Korea Customs Service and sells exempt goods for overseas traveler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is paper examines the policies and problems of duty - free shops that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high - growth business in recent years.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major fields. First, we analyzed the optimal competition policy for duty - free shop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number of patents in a given situation where demand and supply functions are generally given is theoretically analyzed.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are sales portion of domestic sales to domestic consumers, proportion of domestic production, social welfare contributions, domestic stakes, and mathematical models that show the impact of duty - free patents on social welfare and profit func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optimal sales volume and the number of duty - free shops increase as the domestic demand ratio increases, the domestic supply proportion increases, the social welfare contribution increases, and the domestic share decreases. Second, we analyze the direction of competition policy for duty- free shops by separating demand and supply changes into domestic and overseas factors. The effects of changes in domestic demand, foreign demand, and changes in domestic supply and overseas supply on the number of duty - free shops are expressed in equations and graphs using the comparative static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ortion of domestic demand and the proportion of domestic supply can determine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number of duty - free shops. If the domestic demand portion is larger than the domestic supply portion, the increase in overseas demand will reduce the number of duty-free shops, while the increase in domestic demand will increase the number of duty-free shops. It is optimal to cope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businesses. Third, we have identified recent issues related to the policy of our duty - shop business and studied how to improve the duty -free shop system. Currently, the revision of the Customs Act of 2013, which restricts the patent period of duty-free shops to five years and can not be renewed, continues to raise problems. Therefore, a more precise system is in place to facilitate mutual growth between existing duty-free businesses and new duty free businesses. Need to be. Since the duty free shop is an export industry in the future, it is proposed that the duty barriers be lowered by introducing a notification system and a price bidding system. In addition. We propose to guarantee the business rights of the duty - free shops and to use the government revenues obtained from the patent fees to expand Jeju - do duty - free shops and to promote duty - free duty - free shop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rovide a basis for Korea 's duty-free business to be actively fostered as an export industry that acquires foreign currency and promotes tourism. The government seems to be expanding the scope of the duty free market to the world and setting up duty free competition policy and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