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패브릭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 SPA 브랜드의 텍스타일 디자인을 중점적으로

        조상문 동서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미래를 체험하고 싶다면 한국으로 가라.’미국 뉴스 전문 채널 CNN에서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것들’을 소개하면서 포함된 말이다. 워쇼스키 남매 감독 작품인 ‘클라우드 아틀라스’에서도 미래도시로 ‘네오 서울’이 등장하면서 미래에 가장 가까운 도시로 묘사된다. 이토록 빠르게 발전하는 한국의 패션은 어떠한가. 높은 스마트폰 보급률 한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83.0%로 세계 4위, 2015년 상반기 모바일 트렌드, kt경제경영연구소, 2015.7. 과 인터넷의 발전은 빠른 정보의 확산을 초래했고, 빠른 정보의 확산은 한국인의 패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SNS에서는 옷 잘 입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고 공식화 시키며, 연예인이 TV에 입고 나온 옷은 다음날부터 불티나게 팔리고, 번화가를 걸어 다니면 비슷한 스타일의 젊은이가 넘쳐난다. 최근 터져 나오기 시작한 젊은이들의 ‘똑같은 스타일’에 대한 불만이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토록 똑같은 스타일을 야기 시키는 문제의 해결점을 현대인들이 가장 많이 소비하며, 가장 빠른 트렌드를 반영하는 패션 브랜드인 SPA 브랜드에서 찾고자 한다. SPA 브랜드 의류의 외부 형태 디자인, 소재가 아닌 내부의 색채, 패턴, 패턴 배열, 그래픽을 주 연구 범위로 설정하고 전체 현황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여 현대인들이 가장 지향하는 패션에 대해서 알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현대인들이 인지하고 있는 현재 대한민국 패션의 문제점을 ‘내적 선호도’라고 규정하고 1차 설문조사를 실시, 그 후 실제 구매 선호도를 ‘외적 선호도’라고 규정하고 2차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SPA 브랜드 제품 보유 현황과 소비자 선호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텍스타일 디자인의 측면에서 소비자들은 색상에 대한 선호도와 패턴 혹은 그래픽이 삽입된 의류에 대한 선호도는 어떠한가? 3. 한국 SPA 브랜드의 현재와 한국 소비자들의 소비심리는 어떠한가? 4. 소비자들의 내부적 선호도와 외부적 선호도는 서로 일치하는가?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이용했다. 국내 시장규모 순위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상위 SPA 브랜드인 UNIQLO, ZARA, H&M에 대한 의류 제품의 현황의 색채, 패턴, 그래픽에 대해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색채는 총 7,664벌 중 1,694(22.1%)벌로 검정, 패턴 모티브 총 1,561벌 중 500(32.0%)벌로 체크, 패턴 배열 총 1,557벌 중 1,183(76.0%)벌로 규칙, 그래픽 총 301벌 중 이니셜 60(19.9%)벌로 각 항목 별로 가장 많았다. 1차 설문조사인 ‘최근 한국 패션의 가장 큰 문제점이 뭐라고 생각되십니까?’의 질문에‘비슷한 스타일이 너무 많다.’가 전체 353 응답 중 145(41.1%)로 가장 높은 응답수를 보였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주관식 답안의 경우 ‘비슷한 스타일이 너무 많다.’를 응답한 응답자의 답안 중 ‘타인을 의식한다.’가 36(24.8%)으로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2차 설문조사인 각 항목의 선호도 조사 결과 남성복 전체 색채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총 1,072 중 334(31.2%)으로 검정, 여성복 전체 색채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총 1,340 중 389(29.1%)로 검정이다. 패턴 모티브와 배열, 그래픽 선호도 조사의 경우 기본 무지(無地)도 설문항목에 포함시켜서 진행했다. 남성복 전체 패턴 모티브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총 670 중 343(51.3%)로 기본 무지, 여성복 전체 패턴 모티브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총 1,072 중 423(39.5%)로 기본 무지이다. 남성복 전체 배열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총 670 중 343(51.2%)로 규칙, 여성복 전체 배열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총 1,072 중 505(47.1%)로 규칙이다. 남성/여성복 전체 그래픽 선호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총 938 중 230(24.5%)로 기본 무지이다. 3차 설문조사인 SPA 브랜드 선호도에서는 총 응답자 173명 중 54(31.2%)명이 선택한 UNIQLO가 가장 높았다. 브랜드 선호 이유에서는 총 173명 중 58(31.2%)명이 선택한 ‘가격이 합리적이여서’가 가장 높았다. 국내 SPA 브랜드가 국외 SPA 브랜드보다 선호도가 떨어지는 이유에서는 총 173명 중 45명(26.0%)이 선택한 ‘디자인이 다양하지 않다.’가 가장 높았다. 국내 SPA 브랜드가 보다 성장하기 위해서 다음 중 가장 필요한 것에 관한 질문에서는 총 173명 중 52명(30.1%)이 선택한 ‘질 좋은 원재료 사용’이다. 마지막으로 1차 설문조사와 2차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결과의 차이에 관한 질문으로 ‘비슷한 스타일이 너무 많다’를 문제점으로 생각하면서도 색상, 패턴, 그래픽의 선호도가 다양하지 않게 구매 하는 이유에 대해서 주관식 설문하였고, 주관식 답변이기 때문에 각 답변을 군집화 하였다. 총 응답자 45명 중 16명(35.6%)명이 선택한 '주위의 시선이 신경 쓰여서 튀는 옷을 구매 하지 못한다.’가 가장 많은 응답 수를 보였다. SPA 브랜드 현황과 2차 선호도 조사 비교 분석의 결과, 현황 조사의 비율 순위와 2차 선호도 결과의 순위가 매우 유사했다. SPA 브랜드의 현황이 소비자의 선호도를 그

      • 코칭이 맞벌이가정의 부모와 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조상문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aching program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hen they have a conversation in the environment of dual-income families, and try to find out how the coaching during the conversation can affect children's behavior. To see the final result, the coaching program can be put into practice and the result can be examined and tested. The past, present, and future changes of the same groups have been comparatively tested and studied at the same time. The summary review and result of this study obtained through the hard work is as follows.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d, the coaching program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positive promotion and result through the sincere conversation between dual-income parents and their children. Unfortunately, there are no longer influence as subordinate factors during the conversation. By the coaching program, the positive promo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an be definitely ascertain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in a circumstance of lifelong education are as follows; In terms of lifelong learning, various curriculum should be created and easily accessible. To offer a great opportunities to everyone hoping to participate in these programs, the lifelong education had better be provided continuously. The absence of conversa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an make a big problems that can't be easily solved because there is a gap already between them. Therefore, the coaching programs can be a possibility to build a bridge peacefull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 strongly believe that the coaching must be carried out in order to obtain the satisfied results as expected. If parents and their children take part in the program, the better communication will be expected and effectively made. 본 연구는 맞벌이가정의 부모와 자녀 간 의사소통에 코칭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성을 검증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코칭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대상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거주하는 맞벌이가정의 부모 26명이며, 남녀의 성비는 인위적으로 조정할 상황이 되지 못해서 남성이 3명으로 현격한 차이로 진행 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실시를 위하여 참가자를 A반과 B반으로 2개의 반을 구성하여, 주1회 3시간씩 각 7회기 21시간의 코칭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동일집단의 사전 사후의 변화를 비교연구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코칭프로그램은 코칭 철학과 대화법, 경청기술, 에니어그램 유형, 유형별 코칭스킬, 감정처리 등으로 구성된 한국코치협회 코치인증프로그램인 ‘에코Ⅰ’을 선택하여 프로그램 개발자의 동의를 얻어 부모교육에 적합하게 순서를 재구성하였다. 맞벌이부모와 자녀 간 의사소통을 측정하기 위해 ‘심성경(1996)의 의사소통척도’를 토대로 박지은(2012)이 수정, 보완한 의사소통척도’를 선택하였는데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질문내용이어서 부모 모두에게 적합하도록 용어부분을 첨삭하고 본 연구자가 부정적 의사소통을 5문항 추가하여 긍정적 의사소통 15문항, 부정적 의사소통 10문항으로 만들어 사용하였고 여기에 만족도를 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은 맞벌이가정의 부모와 자녀 간 의사소통에 긍정적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의 하위요인별로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며, 코칭으로 인하여 맞벌이가정의 부모와 자녀 간 의사소통에 긍정적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평생교육적인 함의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 차원에서 코칭교육을 다양한 형태로 개설하여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우리사회가 소통의 문제로 힘들어하는 문제들을 상당수 감소시키기 위해서 평생학습의 기회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져야 될 것이다. 둘째,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교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므로 부모와 자녀가 함께 참여하는 코칭프로그램을 학교에서도 반드시 이루어져야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에 도움이 될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부모와 자녀가 함께 참여하는 코칭프로그램을 학교에서 실시되고 연구하여 상호작용의 검증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참여자들에게 교육의 효과가 지속되도록 고려한 적합한 과제를 프로그램 과정에서 제시함으로써, 코칭 기술에 대한 성공적 과제 수행을 경험하게 하고, 의사소통의 개선으로 인한 긍정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등 높은 자존감이 형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 일주기 리듬의 변화가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ensis) 유생에게 미치는 영향 연구

        조상문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빛에 의한 일주기 리듬의 변화가 계곡산개구리(Rana huanrensis)의 유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정상적인 일주기를 유지하는 A그룹(12L:12D)의 유생들과 그렇지 않은 B(12D:12L), C(24L), D(24D)그룹의 유생들을 나누어 실험기간 동안 사육하였고, 그로 인한 변화를 살펴보았다. 행동분석프로그램(Exthovision XT9, Noldus Information Technology, Netherlands)과 통계프로그램(SPSS ver 21.0, IBM,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해내었다. 총 4차례에 걸쳐 계곡산개구리 유생들의 SVL(snout-tail length) 을 측정했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상적인 일주기 리듬을 유지하는 그룹의 유생들과 그렇지 않은 그룹의 유생들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그들의 성장률에 있어서도 부화 후 10일이 지난 시점부터 정상적인 일주기 리듬을 유지하는 그룹의 유생들과 그렇지 않은 그룹의 유생들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포식자 신호를 주입하기 전 유생들 또한 정상적인 일주기 리듬을 유지하는 그룹의 유생들과 그렇지 않은 그룹의 유생들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포식자 신호를 주입하기 전 유생들과 포식자 신호를 주입한 후 유생들의 이동거리 감소율에서도 정상적인 일주기를 유지하는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 소매점 이용자 의식에 관한 연구

        조상문 동의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내 유통시장은 1990년대 산업화 및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기존 동네슈퍼 등 소 규모 점포를 중심에서 백화점과 대형마트, 홈쇼핑 등 다양한 형태의 유통업체로 빠 르게 변화하였다. 특히, 1996년 유통산업의 전면 개방화 이후 국내 유통업은 대형유 통업체를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를 통해 소비자들에게는 이전 보다 다양한 구매경로와 저렴한 가격 등의 혜택이 주어졌지만, 반면 동네슈퍼와 같은 소규모 점포와 재래시장 등은 상대적으로 약한 경쟁력으로 인해 주요 상권에서 이탈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터넷 쇼핑이나 홈쇼핑과 같은 온라인 상점의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백화점과 대형마트 같은 전통적인 유통업체 형식의 사업체들의 경쟁력이 크게 약화되고 있다. 이에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은 초대형 복합쇼핑몰로의 변화를 통해 엔터테이먼트적인 요소를 추가 하여 문화오락힐링 등 소비자의 복합적인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등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영세하여 많은 자본을 투입할 수 없는 소규모 점포들은 산업의 변화와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한 대응에 한계가 많은 상황이다. 특히, 대형 유통점과 복합쇼핑몰들이 지방으로 출점을 확대함에 따라 대표적인 중소소매점인 지방 재래시장의 매출이 격감되고 있고, 주요 상권에 위치한 다수의 소매점포들이 영업을 포기함에 따라 상가건물의 공실율도 증가하는 추세이며, 2020년 발생한 COVID-19로 인해 이러한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의 소매점을 연구대상으로 지방에 소재한 소매점포들의 경쟁력 재고 및 소매상권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부산지역에 소재한 소매 상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자 들의 소매점 선택 및 이용과 관련된 선호요인 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광역시 소매점 이용자들은 시간과 지출에 여유가 있는 장년층이 많았다. 따라서 특정 연령대를 하는 타겟으로 하는 매출 향상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품 구성과 진열, 매장 인테리어 등의 여러 가지 형태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부산광역시 소매점 이용자들은 소음 및 공해 등 주변 환경적 요소보다는 매장이 얼마만큼 눈에 잘 띄는지, 즉 가시성을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시성에 대한 부분은 약 90% 정도의 이용자들이 중요한 요소로 선택해 점포의 입지가 소매업 매출 향상에 특히나 중요한 요소라는 것이 연구결과로 나타 났다. 소매점포 업주들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효과적으로 반영하여 최대한 소비자들의시야에 잘 들어올 수 있는 입지를 선택하거나 그게 불가능하다면 여러 가지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간판이나 광고물 등을 이용해 업소의 노출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운영 방안이라고 생각 되어진다. 셋째, 부산광역시 소매점 이용자들은 접근성에 대한 부분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시설적 요인의 선호도 분석 결과 매장 내부의 시설요인보다는 도보로 이용이 가능한 거리, 생활하는 곳에서 업소까지의 거리, 대중교통과의 연계성, 주차장의 편리성 등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접근성에 관한 외부적인 시설요인에 더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이런 접근성 역시 가시성과 마찬가지로 입지에 관한 부분으로서 처음 소매업을 시작할 때 입지선정에 관한 결정을 하는 데 있어 많은 연구와 신중 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부산광역시 소매점 이용자들은 업소에서 제공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서비스들 중에 상품의 가격, 상품의 다양성 등 상품 자체에 관한 요소보다도 구매 이후의 서비스, 매장 자체의 분위기를 더 중요한 요소로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장 내의 청결과 조명 등 이용자들이 쾌적함과 편안함 등을 느낄 수 있는 요소를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점검을 통해 꾸준히 유지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늘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부산광역시 소매점 이용자들은 업소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 보다는 업소의 입지에 대한 만족도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 따라서 소매업을 시작할 때 아주 중요하게 고려해서 결정해야 하는 요인은 입지 조건이며, 이런 입지조건을 충족할 수 없는 경우라면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나 주차의 편리성, 대중교통과의 연계성 등 고객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소매점포의 경쟁 력 재고 및 소매상권의 활성화를 가져와야 할 것이다. The domestic distribution market has rapidly changed from small-scale stores such as local drugstores to various types of retailers such as department stores, supermarkets, and home shopping on the ground of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in the 1990s. In particular, since the full-scaled market opening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1996, the domestic distribution industry has been reorganized mainly by large retailers. Through these changes, consumers have been given various purchase routes and low prices than before, but small stores such as local markets and drugstores are being separated from major commercial areas due to relatively weak competitiveness. Recently, the use of online shops such as internet shopping and home shopping has been greatly increased due to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smart phones, and the competitiveness of traditional retailers such as department stores and supermarkets has been greatly weakened due to the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In addition, department stores and supermarkets are strengthening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by adding entertainment elements as one of the ways of change to mega shopping complex to satisfy the complex demands of consumers including culture, entertainment, and healing, but small stores that can not invest a lot of resources due to relatively small sizes have a lot of limitations in responding to changes in industry and demographic structure. Especially, as large retail stores and mega shopping complex open branches and stores in local areas, sales of locally representative markets are decreasing, and the vacancy rate of commercial buildings is increasing as many retail stores located in major commercial areas give up their operation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etail store users in Busan to prepare a plan to revitalize the competitiveness of retail stores in Busan, and the preference factors related to the selection and use of retail stor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users of retail stor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had many elderly people who could afford time and expendi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sales with a target of a specific age group, and various forms of efforts such as product composition, display, and store interior are needed to implement this strategy. Second, the users of retail stor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ink that the store should stick out. In other words, they think visibility more important tha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noise and pollution. The study found that about 90% of users chose visibility as an important factor, and the location of the store is especially important for improving retail sales. Retail store owners are expected to select the location that can attract the consumer's attention as much as possible by effectively reflecting these results, or if impossible, it is considered that it is the most important operation plan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increase the exposure of businesses by using signboards or advertisements that can increase various visibility. Third, the users of retail stor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lso considered accessibility as import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ference of facility factors, it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external facility factors related to easy access such as distance that can be reached on foot, distance from living place to business place, connection with public transportation, convenience of parking lot, etc., rather than facility factors inside the store. As with visibility, this accessibility is also a part of location factor.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be careful in making decisions on location selection when starting retail business. Fourth, among the various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business, It is shown that the users think that after-care service and atmosphere of the store itself are more important than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oduct itself such as the price of product and the diversity of produ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mprovement in users’ satisfaction by maintaining the elements that users can feel comfort such as cleanliness and lighting in the store through regular monitoring and inspection. In conclusion, the users of retail stor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ppreciate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location rather than that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fore, when starting retail business, a factor that should be considered very important is location, and if such location factor cannot be me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ustomers can easily access, including various methods to increase visibility, convenience of parking, and connection with public transportation, in order to bring about the competitiveness of retail stores and the activation of retail trade.

      • STAD와 LT 협동학습이 초등학생의 과학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조상문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It has demonstrated that cooperative learning is more effective on motivation to learn, social relations to form, and learning to achieve than competitive or individual learning. Most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ooperative learning have attempted to compare with competitive learning on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more recently,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tends to compare between its types or subject domains. Science subject is to improve students' thinking ability and has an appropriate contents to be applied cooperative learning to it. This study was to compare effects of STAD and LT cooperative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ers' science achievements. 41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selected among the 4th graders of an elementary school in Andong city, and assigned them to STAD and LT study groups respectively. Each cooperative learning group consists of 5 members whose have different abilities, and has 8 groups. Each group had 2 pilot study sessions, and 30th sessions for STAD and LT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respectively. The results from administration of posttest after the study sessions were analyzed to test an effect of 2 types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Results from the study showed that LT cooperative learning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STAD group was the science study. The reasons of yielding these results were explained by terms of persistent task involvement, increased students-centered experimental activities through their interaction and interdependency. In addition, it is likely that free activities for students' task involvement made LT group activate their thinking skills. According to the results, since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room is various from its types, it suggests that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appropriately applied to units, contents, and subjects. In particular, in order for STAD or LT cooperative learning to properly apply into science teaching, teachers might have good skills to use cooperative learning, sufficient materials to be utilized, and an effort to give students much practice of cooperative learning.

      • 미소농도구배 조건에서 좁은 채널내 삼지화염의 특성 변화

        조상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미소농도구배조건에서 채널내 삼지화염의 구조와 전파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가 이루어 졌다. 좁은 채널 내에서 삼지화염은 성공적으로 안정화 되었다. 메탄과 프로판 삼지화염에 대하여 화염의 형상과 전파속도가 네 가지 실험변수를 제어 함으로써 비교되어 졌다. 투입되는 혼합물의 평균유속, 화염이 존재하는 공간의 간격, 연료농도구배, 그리고 연료대 질소의 혼합비. 이렇게 네 가지가 실험의 주요 매개변수로 작용 하였다. 채널 간격에 따라 최고 전파속도가 존재하며 채널 간격이 감소할수록 확산화염의 반응률이 감소하는것을 확인 하였다. 이는 압력구배 증가에 따른 화염 선단쪽 유동재편 강화와 화염으로부터의 열손실에 따른 화염 후단쪽 온도 감소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연료희석량을 극대화 하는 방법으로 매우 낮은 전파속도를 가지는 물방울 형태의 삼지화염을 구현하였다. The structures and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a tribrachial flame in a confined narrowchannel with very small fuel concentration gradients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ribrachial flames were successfully stabilized in a narrow channel. Flame shapes and propagation velocities were compared for two fuels of methane and propane by changing the four main experimental parameters of the mean velocity, fuel concentration gradient, channel gap, and fuel dilution ratio.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maximum propagation velocity with the channel gap and that the reaction rate of the diffusion branch is diminished with the decrease of the channel gap. A flow re-direction effect coupled with the pressure resistance in the narrow channel changes the width of the premixed branch and the propagation velocity of the tribrachial flame. It was shown that the heat loss from flames to the surrounding space by a conductive or radiative process plays a key role in quenching the reaction along the diffusion branch. Additionally, a new shape of a tribrachial flame which looks like a warter drop was found when the fuel dilution ratio was very high. This can be a experimental evidence to show the transition mechanism from a raction to a flame.

      • On the Method of Least Squares by a Nonlinear Spline Stabilizer : 非線形 스플라인 安定化에 의한 최소제곱법에 관한 硏究

        조상문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1994 국내박사

        RANK : 248623

        오류를 포함하고 있는 관측 자료가 있다고 할 때, 각 자료는 오류를 포함하기 때문에 Runge-Meray 현상 등으로 보간다항식을 사용하는 방법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이 문제는 최소제곱범(method of least squares)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관측 자료가 많이 있을 때는 최소제곱법으로 근사 곡선을 찾게 되지만, 찾아진 곡선은 작은 구간에서도 심한 진동을 보이게 된다. 이 방법은 수리 물리학 등에서 접하게 되는 역문제가 보통 지니고 있는 不適切性(ill-posedness)을 컴퓨터 등에 의한 계산 과정에서 내포하기 때문이다. 보간다항식 또는 최소제곱법에 의하여 근사 곡선을 찾을 때 나타나는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線形 스플라인(spline)은 매끄러운(smooth) 곡선을 찾을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엄밀하게 말해 Tikhonov 선형 안정화 방법에 의한 스플라인은 물리적 현상을 정확하게 표현한다고 할 수 없다. 더욱이 선형 안정화는 軸의 회전 등 剛體 運動(rigid motion)에 不變(invariant)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非線形 안정화를 채택하는 것을 고찰한다. 이러한 접근 과정에서, 본 논문은 안정화의 역할을 하는 非線形 스플라인이 포함된 smoothing functional의 최소 함수가 존재함을 증명한다. 또, 안정화 母數의 변화에 따른 근사 곡선의 변화를 보이고, 오류를 포함한 관측 자료에 대한 최적의 곡선을 離散化를 이용하여 일반화된 Newton 방법으로 근사해를 구한다. We consider the problem of curve fitting for observational data containing noises. Besides noise of each datum, interpolatory polynomial is unfavorable because of Runge-Moray syndrome. In order to avoid this syndrome, we may approach the problem by using the method of least squares. But if the number of data points are large, such a curve obtained by the method of least squares usually shows a lot of fluctuations, if a high-degree polynomial is used. Furthermore, this method has oornputationally ill-posed property which is usually exposed in the inverse problem of mathematical physics. In order to overcome shortcomings of interpolating polynomials and the method of least squares, we usually consider the problem of finding a smooth function with a linear Tikhonov spline stabilizer. But since a linear stabilizer does not express physical data exactly and it is not invariant under rigid motion, we will use a nonlinear stabilizer. In this thesis, we prove the existence of a minimization of smoothing functional which uses a nonlinear spline stabiliser instead of a usual linear cubic spline. And the minimizer of that functional, as a best fitting to given data, is obtained by numerically the finite difference scheme for the nonlinear cubic spl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