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학고등학생들의 효능감 및 부모의 학업기대가 학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채윤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 학생들의 개인특성적 요인(학업적 자기효능감, 수학적 자기효능감, 과학적 자기효능감)과 가정적 요인(부모의 기대)가 이들의 학업참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경남지역에 소재한 2개 과학고등학교 학생 3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 효능감이 과학고 학생들의 학업참여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적 자기효능감 및 과학적 자기효능감이 과학고 학생들의 학업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지지 기대는 과학고 학생들의 학업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부모의 압박 기대는 과학고 학생들의 학업참여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과학고 학생들의 학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개인특성 요인은 자기조절 효능감과 수학 및 과학 효능감이며, 가정적 요인은 부모의 기대(지지, 압박)임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how the individual features (academical self-efficacy, mathematic self-efficacy, and scientific self-efficacy) and family factors (expectation of the parents) affect of the students’ studies were investigated. With this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33 students of two Science High School in Kyungnam area. Ke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self-efficacy had greatest impact. Second, it was shown that mathematic and scientific self-efficacy had positive impact. Third, parents’ support and expectations had positive impact on academic participations of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whereas, pressure of the parents’ expectations had negative effe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confirming the fact that the critical individual key points which affect the studies of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re self-control efficacy and mathematic and scientific efficacy, and expectations of the parents (support, pressure).

      • 미중 전략 경쟁과 국력 변화 분석

        정채윤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U.S.-China power and check the hegemonic status of the two countries by examining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changes in national power together. According to a study that measured the power of a country using three factors: military, technological and economic power, it is hard to expect China's overwhelming overtaking of the U.S. in all respects, and it takes a long time, if possible. However, simply ranking the power of the United States and China by comparing national power indicators is not enough to examine the actual power or status of the two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also tracks the process of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n organizing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first, this study summarized the point where the strategic competition started to be intensified. Since China's rise as G2 began to be visible, U.S.-China political leaders have begun to antagonize each other in their diplomatic rhetoric. And after examining both economic and security competition, it has been more clear that the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s intensifying around the Indo-Pacific region. The U.S. is focusing on the Indo-Pacific strategy, while China is focusing on the One Belt One Road and A2AD strategies. And when the national power of U.S. and China was examined, sequentially in the comparison of military power, economic power, and technological power, the United States still had an edge over China in every respect. However, wha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is China's competitiveness at the regional level. The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s focused on the Indo-Pacific region. China is also increasing its power around the region. This study also shows that China has a level comparable to the United States in Asia. If the analysis framework of Brooks and Wohlforth is applied, China can be classified as a potential power in 2022, which is the second stage(emerging potential power) at the global level, but in Asia.

      •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진로적응성을 매개로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의 조절효과

        정채윤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aims to observe how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ffects occupational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y how the aforementioned variables influence career adaptabi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networks. The following questions delineate the scope of the investigation: By what mechanism do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ffect the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Is there a mediated effect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in undergraduate students? Does this relation change based on the type of social network? Does the moderating effect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social networ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In order to observe the resulting differences, if any, correlate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the three sub-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ere classified -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as the dependent variable, career adaptability as the mediator variable, and two social network types as the moderator variables. An online survey for university students was created for this research. Among the responses, 353 survey results that were deemed valid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Featur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measurement model evalu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s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findings: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avoid goal orientation were shown to have a static effect on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whereas prove goal orientation did not directly affect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Career adaptability had partial mediation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and was also proven to have partial mediation in the ways of avoid goal orientation to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Career adaptability was proved to have a thorough mediation in the effect of prove goal orientation in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It was shown that social network type controls the indirect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between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Though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types’ control in the route from prove goal orientation to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using career adaptability was not proved to be present. The indirect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when avoid goal orientation influences occupational engagement behavior, was only active in offline network.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This research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theoretical model in Korean perception by verifying sequential adapted models using Career Adapt-Abilities Scale from Savickas & Porfeli(2002). Its theoretical significance is that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areer adaptability by proving the suppressor effect of the mediator variable of avoid goal orientation, which was subject to conflicting reports in the past. Furthermore, this paper offers an explanation for how career development in the sense of learning adapting cognitive variable in careers that used to be applied when explaining students’ learning and performance in academic situations.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proposing a course of intervention for effective career education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to enhance career adaptability and increasing behavioral levels of students with varying achievement goals in circumstances involving career-related performance. 이 연구는 진로발달 관점에서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두 변인 간 경로에서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의 조절효과를 실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은 진로관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진로관여행동 간 영향 관계에서 진로적응성은 매개효과를 보이는가, 셋째,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진로적응성 간 관계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에 따라 조절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가로 설정하였다. 변인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성취목표지향성의 세 가지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종속변인으로 진로관여행동, 매개변인으로 진로적응성, 조절변인으로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 두 가지를 선정하였다. 조사는 국내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53부의 응답 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측정모형 평가, 구조모형 검증 순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목표지향성과 회피목표지향성은 진로관여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명목표지향성은 진로관여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목표지향성과 진로관여행동 사이에서 진로적응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피목표지향성이 진로관여행동으로 가는 경로에서도 진로적응성의 부분매개 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증명목표지향성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적응성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학습목표지향성과 진로관여행동 간 진로적응성이 갖는 간접효과를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명목표지향성이 진로적응성을 매개로 진로관여행동으로 가는 경로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회피목표지향성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적응성의 간접효과는 오프라인 네트워크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Savickas와 Porfeli(2002)의 진로적응척도를 사용하여 순차적 적응모형을 검증함으로써 한국적 맥락에서 이론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그동안 연구 결과가 혼재되었던 회피목표지향에 대해 매개변수의 억제효과를 증명하여, 진로적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데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학업 상황에서 학생들의 학습과 수행을 설명하던 인지-동기 변인을 진로 맥락에 적용하여 학습 관점에서 진로발달을 설명하였다. 진로와 관련된 수행 상황에서 서로 다른 성취목표를 가진 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을 강화하고 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한 환경 변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효과적 진로 교육을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실천적 함의를 갖는다.

      • 대학원생 몰입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정채윤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대학원생의 몰입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측정도구 개발은 구성요인 설정, 측정도구 개발, 측정도구 검증 3단계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다. 먼저, 구성요인 설정 단계에서 Weidman 외(1989)가 제시한 대학원생 사회화 모형을 이론적 틀로 설정하고, 학생몰입 측정도구에 관한 문헌 분석과 대학원생 심층 면담 내용을 토대로 잠정적 구성요인과 측정 문항을 도출하였다. 측정도구 개발 단계에서는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도출된 구성요인과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와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구성요인과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내용타당도가 검증된 문항에 대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안면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측정도구 개발 단계에서 9개 요인으로 구성된 82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측정도구 검증 단계에서는 대학원생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여 문항 분석, 타당도 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표본은 요인 분석을 위해 무작위로 할당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과정을 거쳐 대학원생 몰입 측정도구는 6개 요인, 23개 문항으로 축소되었으며, 경쟁모형 분석을 통해 6요인 모형이 채택되었다. 최종 도출된 문항에 대해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신뢰도는 내적일관성 계수를 검토하였으며, 타당도는 수렴타당도, 교차타당도, 예측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대학원생 몰입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25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요인 간 정적 상관을 보고하였다. 수렴타당도 검증 결과 6개 요인은 개별 구인을 적절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사회계열과 이공계열로 분할하여 교차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대학원생 몰입 척도는 상이한 표본에서도 측정 동일성이 확보되었다. 예측타당도 검증에서 대학원생 학생몰입은 학업지속 의도와 경력 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대학원생 몰입 측정도구는 연구 관심, 학술교류참여, 동료와의 관계, 지도교수와의 관계, 연구실 소속감, 대학원몰입 총 6개 요인, 2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원생 몰입 측정도구는 대학원생의 학업적 성공과 대학원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graduate student engagement scale.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followed a three- step procedure: construct building, measurement development, and measurement validation. In the first stage, Weidman et al. (1989) model of graduate student socialization was us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tentative constructs and the item pool were derived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of student engagement measurement and in-depth interviews with graduate students. In the measurement development stage, an exper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of the derived constructs and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test and expert opinions, the components and item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was reviewed for face validity by graduate students. In the instrument development stage, 82 items comprising 9 factors were derived. In the measurement validation stag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370 graduate students to conduct item analysis, validit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collected sample was randomly assigned for factor analysis.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graduate student engagement scale was reduced to six factors and 23 items, and a six-factor model was adopted through competitive model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were conducted on the finalised items. For reliability,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examined, and for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cross validity, and predictive validity were tested.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Graduate Student Engagement Scale was found to be high at .925, wit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The convergent validity test showed that the six factors adequately explained each component. The cross-validity of the Graduate Student Engagement Scale was tested by splitting it into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he scale was found to be valid across the different samples. Predictive validity tests confirmed that graduate student eng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degree persistence and career engagement. The graduate student engagement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23 items and six factors: research interest, participation in academic exchange, relationship with peers,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sense of belonging to the lab, and graduate school engagement. It can be used as an indicator for graduate student academic success and quality management of graduate education.

      • 한국판 De Jong Gierveld 외로움 척도(K-DJGLS)의 타당화 연구

        정채윤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외로움의 다차원적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de Jong-Gierveld와 Kamphuls(1985)가 개발한 De Jong Gierveld Loneliness Scale을 한국 성 인을 대상으로 번안 및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 남녀 78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설문 도중 응답을 중단한 자료를 제외한 총 756명(남자 414명, 여자 342명) 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척도의 타당화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타당도 분석, 집단 동일성 및 잠재평균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 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한국판 De Jong Gierveld 외로움 척도(K-DJGLS)는 사회적 외로움과 정서적 외로움으로 구성 된 2요인 구조를 가짐을 잠재적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 과, 2요인 구조의 모델적합도는 단일요인과 비교하여 우수하게 나타나 K-DJGLS의 2요인 구조를 확정하였다. 셋째, 타당도 분석 결과, K-DJGLS는 다른 외로움 척도(UCLA, SELSA-S)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나 수렴 타당도가 확보되었으며, 사회적 고립(LSNS-6)과 자기결정적 고독동기(SDS) 와 낮은 부적 상관이 나타나 변별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우울(CES-D), 행복(COMOSWB)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나 준거 타당도가 확보되었으 며, 증분타당도 분석을 통해 K-DJGLS가 다른 외로움 척도보다 외로움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량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넷째, 집단 동일성 및 잠재평균 분석 결과, 성별과 연령별 측정 동일성이 성립되었으며, K-DJGLS가 다양한 집단에서 동일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K-DJGLS가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끝으로 K-DJGLS 타당화 연구의 공헌과 함의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De Jong Gierveld Loneliness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De Jong Gierveld et al. (1985), for Korean adults,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of loneliness. An online survey was implemented among 756 adults(414 males and 342 femal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uggested a potential two-factor structure for the Korean version of De Jong Gierveld Loneliness Scale (K-DJGLS), comprising social loneliness and emotional loneliness.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a good fit for two-factor model compared to a single-factor model. Third, correlation analysis to verify validity demonstr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other loneliness scales (UCLA, SELSA-S), confirming convergent validity; lower nega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isolation(LSNS-6) and Self-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SDS) confirmed discriminant validit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CES-D) and happiness(COMOSWB) confirmed criterion-related validity. In addition, incremental validity was verified by demonstrating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over other loneliness scales in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loneliness in K-DJGLS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ronbach's alpha of K-DJGLS was .87 while those of factors ranged from .83 to .88. Fourth, the results of the group equivalence and latent mean analyses confirmed the measurement equivalence by gender and age, and that the K-DJGLS can be utilized equally in various populations. Overall,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K-DJGLS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measuring the concept of loneliness among diverse groups in Korea. Finally we discussed contributions from validation study on K-DJGLS along with i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