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을 위한 학교부적응척도 개발 및 타당화

        정수정 광주교육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학습지도는 물론 생활지도까지 담당해야 하는 초등교사를 위해 초등학생의 학교부적응 척도 개발과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학교부적응에 관한 선행연구에 대해 알아보고, 학교부적응의 구성개념을 알아본 후, 실제적인 준거 자료를 통해 모형의 적합성과 타당도를 검증하려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연구를 2개 부문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각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위한 학교부적응 척도의 구성 및 요인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을 위한 학교부적응 척도는 타당한가? 연구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첫째, 아동상담심리학과 대학원에 재학중인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개방적 질문지를 실시하여 표본을 수집 후 유목 분류한 내용을 토대로 학교부적응 예비척도 80문항을 제작하였고, 제작된 예비척도를 전문가 평정을 통하여 학교부적응 척도 50문항을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교부적응 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 공인타당도, 재검사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부적응 예비척도 80문항을 제작하였다. 1차 제작된 예비척도 중 초등학생의 학교부적응을 평가하는데 얼마나 중요한 지표가 되는 행동인지에 대해 아동상담심리학과에 재학중인 1, 2, 3 학년 대학원생 45명 교사의 의견을 반영하여 항목별 중요도를 추출한 후 전문가 평정을 거쳐 최종 50문항의 학교부적응 척도를 개발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 60명이 각 반에서 맡고 있는 학교부적응아 2명, 학교적응아 2명을 선정하여 설문에 응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교부적응 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여러 검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공격적·자기중심적행동, 수업 및 학급규범 일탈행동, 소극적·비사회적 행동, 학교활동 적극적 기피 요인을 하위요인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타당도 분석은 120명의 학생자료를 대상으로 김혜숙 외(2009)의 ‘초등학생 문제행동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공인타당도를 구하였다.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120명의 학생자료로 검사-재검사를 하였으며, 240명의 학생자료를 이용하여 문항의 내적 합치도를 구하였다. 내적합치도는 전체 .98, 각 하위요인별로 .91~96였으며, 신뢰도는 전체적으로 .98, 각 하위요인별로 .87~.97 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 학교부적응 행동평정척도는 비교적 타당하고, 신뢰로운 척도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a teacher's rating scal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maladjustment. 50 behavior lists were established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from the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dentify sub-factors of the scale, 60 teachers rated their 240 student's behavior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4 sub-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result : aggressive·selfish behavior, misconduct of lesson and classroom rules, passive·unsociable behavior and positive evasion of school activities. To identify the validity of the scale, the data from 120 stud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 scale and the teacher rating scale of school maladjustment for Student Problem Behavior Checkli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Kim, et al., 2009).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 test-retest correlation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data from 120 students and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were calculared by using the data from 240 students. Followings were as the results.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87~97 according to sub-factors and was .98 in a total scale.

      • 중·고등학생들의 물리 오개념에 나타난 실체화와 대응오류

        정수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학생들이 갖고 있는 물리 개념은 과학적 개념의 관점에서 보면 일관성이 결여되고 상황 의존적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학생들의 인지 구조의 관점에서 보면 나름의 정합성과 일관성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힘과 운동, 열과 온도, 전류와 전압 등의 물리학 영역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오개념에 관한 연구 문헌들을 조사 분석하여 물리 오개념들이 갖는 특징들을 규명하였다.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물리에 대한 오개념을 조사하고 문항에 대한 응답유형을 물리 오개념의 특징의 관점으로 분류하여 고등학생들의 물리 문항에 대한 응답 특징을 밝혔다. 중․고등학생들의 물리 개념에 관한 특징을 힘과 운동, 열과 온도, 전류와 전압 등의 영역에 대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고등학생들의 물리에 대한 오개념의 특징은 두 가지로 사료된다. 하나는 실체화이다. 학생들은 실체가 없는 추상적 물리 개념에 저장, 소모, 흐름과 같은 물질적 속성을 부여하여 실체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다른 하나의 특징은 대응 오류이다. 두 개념이 결부된 문제 상황에서 중․고등학생들은 과학적으로 옳지 않은 개념 간 대응 관계를 설정하는 경향을 보인다. 동반과 동조, 동일시 경향이 대응 오류를 대표하는 유형이다. 중․고등학생들은 힘을 운동에 동반되는 개념으로 파악하여 운동에는 운동 방향의 힘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힘과 속력 및 질량, 열과 온도 사이에는 한 물리량의 크기 변화에 또 다른 물리량이 동조하여 변화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힘과 운동, 열과 온도, 전류와 전압에 대한 개념을 조사하고 학생들의 응답 내용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실체화와 대응 오류의 경향이 나타났는데, 힘과 운동 영역에서는 개념 사이의 연결과 관련된 대응 오류가 주로 나타났고 전류와 전압 영역에서는 전류의 속성에 초점을 맞춘 실체화 경향이 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올바른 과학 개념 형성을 위한 교수 학습 지도에서는 물리 개념의 실체화 경향성과 물리 개념의 대응 오류의 원인을 고려하여 물리 개념을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한 교육활동으로 사료된다. Students often appear to be inconsistent in the way which they apply their conceptions to different contexts, but such responses may have an internal coherence for each individual stu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characteristic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hysics conceptions. For this, the literatures related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force and motion, heat and temperature and electric current and voltage were explored. And high school students' answering patterns to 26 test items were analysed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hysics conceptions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One of these is substantialization. For students, abstract concepts such as force and electric current were considered as having materialistic properties like conservation, consumption and flow. The other type is mismatching. The properties of mismatching a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wo physical quantities, formation of accompanying concepts, and identification of two distinct concepts. Students tend to set up one - to - one correspondence between concepts of which relation is inappropriate, i e. association made between the action of a force and mo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in designing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conceptual change, the characteristic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physics conception should be considered.

      • TIMSS 2011 참여 국가들의 중학교 2학년 학생특성별 교육맥락변인과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정수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경우 TIMSS 2011에서 성취도 1위를 차지하며꾸준히 우수한 수학성취를 보이는 국가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학생들은 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비율이 높고 공교육보다는 사교육에 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획일화된 공교육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성취도의 배경변인을 분석하면서 동시에 학생들의 특성에 따라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학생 특성별로 어떻게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논의해보았다. 이처럼 특성별 집단연구를 하는 것은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 집단에 대한 다른 수준의 수업과 배려, 그들을 위한 적절한 지원을 위해 필요한 부분이다(박정, 2008).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교육맥락변인 중 수학학습시간, 가정배경,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성취도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성취도와 교육맥락변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숙제 수행시간이라는 학생특성변인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해보는 연구를 통해 공교육에서도 특성별 교수학습법을 활용하는 방안을 찾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수학학습시간과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1-1.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정규 수학 수업시간과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1-2.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주간 숙제 수행시간과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2.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가정배경과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부모 학력수준과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2.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학교위치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2-3.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학업에 대한 부모참여도와 수학 성취도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3.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수학에 대한 흥미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수학에 대한 자신감와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3. TIMSS 2011 참여 국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수학에 대한 가치인식과 수학 성취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국제비교대상은 성취도 상위권 10개국과 하위권 10개국이며, 수학학습시간은 TIMSS에서 제시하는 정규 수학 수업시간과 주간 숙제수행시간으로 분석하였고, 가정배경은 부모의 학력수준, 학교가 위치한 지역, 학업에 대한 부모의 참여도로, 수학에 대한 태도는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모든 분석은 IEA IDB Analyzer를 사용하여 TIMSS 2011에 참여한 각국의 학생들이 그 나라 학생 전체를 대표할 수 있도록 하였고, 5개의 Plausible Value값으로 주어진 학생들의 성취도 또한 IDB Analyzer를 통해 하나의 값으로 학생들의 성취도를 대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구문제 1번, 2번, 3번을 해결하기 위해 각각 빈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분석한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대만, 이스라엘, 튀니지, 러시아, 아랍에미리트, 그루지야 이상 7개국의 학생들이 학교에서 듣는 수학 정규 수업시간이 많을 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왔다. 반면, 싱가포르, 핀란드, 레바논, 말레이시아 이상 4개국의 학생들은 수학 정규 수업시간이 많을 수록 오히려 성취도가 낮게 나왔다. 우리나라는 수학 정규수업시간과 성취도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또한 상위권 국가들이 정규 수학수업시간과 성취도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왔고 하위권 국가들은 비교적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왔다. 둘째, 대한민국과 핀란드는 성취도가 높을 수록 수학숙제수행시간이 짧았고, 루마니아는 성취도가 높을 수록 수학숙제수행시간이 길었다. 성별에서 있어서 3시간 이상인 구간에서는 여학생의 비율이 더 많고 45분미만인 구간에서는 남학생의 비율이 더 많았다. 성취도 상위권과 하위권 국가들을 비교했을 때 상위권에서 숙제에 수행하는 시간이 짧은 학생들이 더 많았다. 그러나 상관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살펴 보았더니 일관성을 보이지 않아 숙제 수행시간과 성취도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숙제 수행시간은 성취도의 배경변인이 아닌 단지 학생들의 특성일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성취도 상위권국가 중에서는 대한민국, 대만, 이스라엘, 미국 4개 국가가 45분미만일 때 상관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나 부모의 학력수준에 성취도가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다. 하위권국가 중에서는 말레이시아, 아랍에미리트, 루마니아, 터키, 튀니지, 그루지야 6개가 45분 미만에서 가장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주간 숙제 수행시간이 3시간 이상인 부류에서 상관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난 나라는 성취도 상위권에서는 일본, 홍콩, 핀란드, 영국, 싱가포르 5개 국가였고, 하위권에서는 레바논, 태국, 칠레 3개 국가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가 위치한 지역과 성취도간의 관계만 봤을 때 성취도 상위권 국가에서는 대한민국, 대만, 일본, 이스라엘, 러시아 5개 국가가 지역이 클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왔다. 반면 하위권 국가에서는 칠레를 제외한 9개 국가 모두 지역이 클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왔다. 성취도 상위권 국가들 중 대한민국의 숙제 수행시간이 긴 학생들이 짧은 학생들보다 학교가 위치한 지역이 커짐에 따라 성취도가 크게 상승했다. 대만의 경우는 45분이상 3시간 미만인 구간의 학생들이 가장 지역에 따라 성취도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다. 다섯째, 전체적으로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나타난 결과는 부모가 숙제 체크를 덜하거나 거의 안할 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왔다. 그러나 대한민국과 일본, 태국은 오히려 부모가 숙제에 관여를 많이 하면 할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간 숙제 수행시간이 긴 학생들에게는 부모의 숙제 관여도가 성취도를 극대화시키는 데 다른 구간의 학생들보다 특히나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대만, 영국, 튀니지, 칠레는 구간마다 성취도를 극대화시키는 부모의 참여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여섯째, 성취도 상∙하위권 20개국 모두 흥미도가 높을 수록 성취도도 높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주간 숙제 수행시간별로 살펴보면, 숙제 수행시간이 긴 학생들은 흥미도가 높아질수록 다른 구간에서보다 큰 폭으로 상승함을 나타냈다. 일본과 영국도 수행시간이 긴 학생들의 흥미도를 높여주니 성취도가 극대화되었다. 대만은 우리나라와는 반대로 숙제를 짧게 수행하는 학생들에게 흥미를 높여주면 성취도가 극대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핀란드와 홍콩도 마찬가지의 결과였다. 성취도 하위권 국가들 중 칠레와 루마니아는 TIMSS 흥미도 조사에서 낮은 편에 속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숙제 수행시간이 3시간이상인 학생들의 성취도가 흥미도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성취도 상위권 국가들 중에서 대한민국의 경우 3시간 이상 부류의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높여줄수록 성취도점수가 큰 폭(200점이상)으로 상승하는 결과가 나타냈다. 일본 또한 3시간 이상인 구간의 학생들의 성취도가 자신감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다. 대만, 홍콩, 러시아 세 국가들은 대한민국, 일본과는 반대로 45분미만으로 수행하는 학생들이 자신감을 높았을 때 성취도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성취도 하위권 국가들을 살펴보았을 때 루마니아는 45분이상 3시간 미만인 구간에서 자신감이 높을수록 성취도가 높은 반면, 칠레, 터키는 45분미만에서 자신감이 많을 수록 8성취도가 높았고, 아르메니아와 그루지야는 3시간이상인 부류 학생들의 성취도점수가 자신감이 많을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왔다. 여덟째, 수학에 대한 가치인식에 대한 설문 응답에서 성취도 하위권 국가의 학생들이 성취도 상위권 학생들보다 수학에 대한 가치인식이 높았다. 대한민국은 3시간이상인 구간의 학생들이 가치인식이 높아질수록 성취도점수가 170점이상이 상승했다. 일본 또한 3시간 이상인 구간에서 가치인식이 높아질수록 130점정도 상승했다. 이에 반해, 대만과 홍콩은 모두 45분미만인 구간에서 가치인식이 높아질수록 100점, 89점의 상승을 보였다. 하위권 국가들은 대체로 가치인식과 성취도에서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의 결과로부터 정규 수학 수업시간과 성취도간의 관계는 나라마다 다르게 나타났으며 일본을 비롯한 7개국이 정규 수학 수업시간이 많을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왔다. 우리나라는 정규 수학 수업시간과 성취도는 상관이 없었다. 이를 통해 정규 수학 수업시간을 조정하여 성취도 향상에 도움을 주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주간 숙제 수행시간과 성취도간의 관계 또한 나라마다 다르게 나타났으며 주간 숙제수행시간이 짧을수록 성취도가 높아지는 형태를 가진 국가들은 대한민국, 핀란드, 칠레 3개국으로 나타났고, 반대로 숙제수행시간이 길수록 성취도가 높아지는 형태를 가진 국가들은 싱가포르 외 6개국임을 알 수 있었다. 나라마다 숙제수행시간에 따른 성취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에 대해서는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문제 2의 결과로부터 가정배경은 성취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주간 숙제 수행시간별로 분류해보면 국가마다 부모의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학교가 위치한 지역이 클수록, 학업에 대한 부모의 참여도가 높을수록 성취도가 높게 나타나는 구간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 또한 차이의 원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문제 3의 결과로부터 수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간의 관계는 큰 상관이 있으며 흥미가 높을수록, 자신감이 많을수록, 가치인식이 높을수록 성취도는 높아졌다. 이를 주간 숙제 수행시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더니 수학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켰을 때 성취도에 영향을 받는 구간이 나라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각 나라마다 각 학생의 특성에 맞춰 성취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참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단순히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배경변인을 분석한 연구들과는 달리 성취도 상∙하위권 20개국을 비교한 것과 배경변인을 주간 숙제 수행시간이라는 학생의 특성으로 분류하여 성취도의 극대점을 찾아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정규 수학 수업시간과 성취도 사이의 상관성, 혼자 하는 수학 공부시간과 성취도 사이의 상관성, 주간 숙제 수행시간별 가정배경 및 수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 사이의 상관성 등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정책연구가들과 수학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효율적인 수학학습을 위한 교육을 연구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case of second-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s of Korea, while taking the first place in achievement degree of TIMSS 2011, Korea has settled as a nation steadily showing excellent math achievement. But, Korean students are high in the rate of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and higher in dependence degree of private education than public education. So, to supplement weak points of public education which does not consider characteristics of students, this study discussed that in what way to teach students by feature is effective while analyzing background variables of achievement degree, at the same time, by looking into the variables di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Like this, to do a group study by characteristic is a necessary part for different levels’ teaching and consideration and proper support for students (Park Jeong, 2008).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relations of math learning time, family background, attitude toward math, and achievement degree of math one another among diverse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Thus, in relations between the achievement degree and the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through an analysis study focusing on the variable of students’ characteristics called homework-implementation time, it intends to be helpful for finding out ways of teaching methods by feature in public education. Study problems for this are like the next. 1. How is the relation of math studying time and math achievement degree of second-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s of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1-1. How is the relation of regular math class time and math achievement degree of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1-2. How is the relation of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and math achievement degree of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2.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family background and math achievement degree? 2-1.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education level of their parents and math achievement degree? 2-2.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schools’ locations and math achievement degree? 2-3.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participation degree of their parents about students’ learning and math achievement degree? 3.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attitude to math and math achievement degree? 3-1.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interest in math and math achievement degree? 3-2.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confidence toward math and math achievement degree? 3-3. When the second-grade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of the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classified based o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how is the relation of value consciousness and math achievement degree? International comparison objects are top 10 and bottom 10 countries in achievement degree. Math studying time was analyzed with regular math class time and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which are suggested by TIMSS. Family background was analyzed from being divided into education levels of parents, areas where the schools are located, participation degree of parents about students’ learning. The analysis of attitude to math was processed being divided into interest, confidence, and value consciousness. All analyses were conducted by using IEA IDB Analyzer. Students of each country which participated in TIMSS 2011 were made to represent all students of the country. With five plausible values, also achievement degree of the given students was made to represent students’ achievement degree with one value through IDB Analyzer. Based on it, to solve study problem 1, 2, and 3,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 is like the following. From the result of study problem 1, the relation of regular math class time and achievement degree was presented differently per country. Seven countries including Japan were higher in achievement degree as regular math class time is more. To Korea, regular math class time was not related to achievement degree. Through this, from adjusting regular math class time, measures to help the improvement of achievement degree will be able to be considered. The relation between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and achievement degree was shown differently per nation. As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was shorter, nations higher in achievement degree were three like Korea, Finland, and Chile. Contrariwise, as homework-implementation time was longer, countries higher in achievement degree were six including Singapore.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about the cause that achievement degree according to homework-implementation time shows differently per nation. From the result of study problem 2, it can be known that family background influences achievement degree greatly. If it is classified by each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per country, the higher were education levels of parents, the larger were areas where the schools are located, and the higher were participation rates of parents about students’ learning, it could be known that sections with high achievement degree were different. Follow-up studies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difference in diverse aspects are necessary. From the result of study problem 3, there are big relations between attitude on math and achievement degree. As interest was higher, confidence was bigger, and value consciousness was higher, achievement degree became higher. If these were examined from dividing with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when attitude on math was made to be changed, sections influenced by achievement degree appeared differently. Through these, they can be referred as ways of maximizing achievement degree fitting to properties of each student. This study has its meaning to find out the maximum point of achievement degree by comparing 20 countries in top and bottom ranks in achievement degree and classifying background variables into properties of students called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which analyzed background variables just simply influencing achievement degree. Plus, by providing information like correlation between regular math class time and achievement degree, correlation between the time of math studying lonely and achievement degree, correlation between family background per weekly homework-implementation time and achievement degree, and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 math and achievement degree, it is expected that these will be helpful for research scholars of education policies and teachers who study education for efficient math learning of students at the sites of math teaching.

      • 보건교사의 학교보건업무 실태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수정 군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들이 자신의 직무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는 수준은 그 직무의 환경적인 요인이 중요한 영향요인이다. 이에 보건교사들의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우선 그들이 근무하고 있는 학교보건 업무 전반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영역별로 파악한 후, 학교 규모나 잡무의 양에 따라 직무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효율적인 학교보건업무 수행과, 보건교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지역의 초등학교 보건교사 245명(기간제 보건교사 제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라북도 보건교사들의 커뮤니티사이트에 협조 게시글을 탑재한 후 전라북도교육청 기관 메신져 ‘JB Edunet’ 을 통해 설문지를 발송하였고, 186부를 회수하였으며, 부실 설문지 7부를 제외한 179부를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설문지 문항 구성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학교보건 업무 실태, 직무만족도에 관한 총 6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문항 신뢰도검사 Cronbach의 α= .903).

      • S. Prokofiev의<첼로 소나타(Sonata for Cello and Piano in C Major Op. 119)>에 나타난 음악적 특징과 반주법 연구

        정수정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세기의 대표적인 러시아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프로코피에프(Sergey Prokofiev, 1891-1953)의 유일한 첼로 소나타 작품인 <첼로 소나타(Sonata for Cello and Piano in C Major Op. 119)>의 분석을 통해 프로코피에프의 음악적 특징과 반주법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코피에프는 유럽의 정치적, 시대적 상황에 따라 작품 활동을 하였던 지역이 변화하였기 때문에 그의 생애와 음악 시기가 활동하였던 지역에 따라 3기로 구분된다. 반면에“서정성”,“익살스러움”,“고전적임”,“혁신적임”, 그리고“모터가 달린 듯한”의 총 5가지로 분류되는 그의 음악적 특징은 시기와 상관없이 그의 작품 속에 적절하게 결합되어 나타난다. 먼저, <첼로 소나타>의 분석에 앞서 프로코피에프의 생애를 살펴보고, 그의 음악적 특징과 대표적인 작품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작품 배경을 간단히 언급하고, 그의 음악적 특징이 5가지의 요소들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보았으며, 그에 따른 첼로와 피아노와의 상호관계가 조화롭게 잘 어우러지는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조명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첼로 소나타>가“서정성”과 “고전적임”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는 것을 형식, 조성과 화성, 박자, 선율, 리듬과 악기의 기법, 빠르기의 변화, 나타냄 말 등의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고, 앞서 언급했던 나머지 특징들 역시 작품에 모두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첼로와 피아노가 서로 주제를 주고받으면서 유기적으로 연주된다는 점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작품을 연주하기 위해서는 두 연주자가 프로코피에프의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고, 각자의 파트만이 아닌 전체적인 흐름에 맞게 앙상블을 이루어야 한다.

      • 학습동기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영어 학습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수정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seek clarification of the effects of the motivation program on self-efficacy and the achiev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 and we have set the following hypothesis. First, the motivation program will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efficacy of the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 in English. Second, the motivation program will make a positive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 in English. To verify this hypotheses se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underachievers sampled from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from 5th to 6th grade. The subjects were chosen from a pool of students who scored below 60% on a diagnostic test.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 conducted a pre-test and based on the 'learning motivation program' develop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2000), the researcher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 program to apply it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duration of the experiment was 10 sets over a period of five weeks. The length of each set was 50 minutes long. We have used a self-efficacy inventory and an English achievement test as instruments to verify the modified motivation program created earlier. Since the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s were proven to be similar through the pre-test, we conducted a post-test with MANOVA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achieved in this research.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terms of their self-efficacy. From the sub-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self-confidence, one's control self-efficacy, their challenges of difficulty and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terms of their achievement in English. From the sub-variabl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and liste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n application of the motivation program was proven to be effective in the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 in English. Through this research, we have verified the possibility of the motivation program in positively changing the definitive features of the students.

      • 초등학생 읽기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정수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의 읽기동기를 측정하여 연구 및 교육과 양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객관화된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읽기동기의 구성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생 읽기동기 척도의 측정문항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셋째, 초등학생 읽기동기 척도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넷째, 초등학생 읽기동기 척도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읽기동기의 개념을 정리함으로써 읽기동기의 요인과 문항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델파이 전문가 집단 연구를 통해 읽기동기의 구성요인별 정의를 내리고 문항을 정리하여 척도 개발 단계와 타당화를 거치는 세 단계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전문가 집단 조사는 읽기 연구자, 초등교육 및 독서교육 현장전문가 등 전문가 패널 15명을 구성하여 2단계 수정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1단계에서는 읽기동기의 범주 및 구성요인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수집된 의견을 반영하여 정리된 세 개의 범주와 13개의 가설적 구성요인에 대한 재조사와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경험적 내용을 바탕으로 고안된 총 172개의 측정문항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전문가 집단을 통해 각 요인의 문항구성에 대한 의견수렴, 요인별 정의에 대한 의견수렴을 거쳐 세 개의 범주, 13개의 구성요인, 148개의 측정문항을 추출하였다. 이 후 이 문항들이 각 학년 학생에게 적합도와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고경력교사 7명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문항들을 학년별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수정하고, 학년별 수준에 맞는 적합한 문항을 선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3-6학년에 적합한 문항 총 108개, 1-2학년에 적합한 문항 79개의 1차 예비문항이 선정되었다. 둘째, 척도 개발 연구는 예비조사, 본 조사의 단계를 거쳐 실시하였다. 첫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학생들이 응답하기 어려운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고, 3-6학년, 1-2학년 학생 대상의 4점 Likert식 척도로 초기 질문지를 각각 구성하였다. 두 번째, 경기도 한 곳의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1-6학년 학생 142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문항의 적절성과 조사 실시 상의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문항 수정하여 총 108개 문항의 2차 예비 척도를 구성하였다. 셋째, 본 조사에서는 전국 8개도의 11개 초등학교 1-6학년 아동 1,561명에게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이 중 3-6학년 학생 1,022명, 1-2학년 학생 513명의 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와 이론적 구성개념을 토대로 3범주 17요인으로 3-6학년 학생용 87문항, 1-2학년 학생용 67문항의 읽기동기 척도를 개발하였다. 셋째, 척도 타당화 연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과정을 거쳐 개발한 척도의 실제 연구 및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측면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하였다. 먼저, 내적 구조 관련 타당도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수렴-판별 타당도 분석한 결과, 개발한 측정도구의 모델 적합도 지수가 모두 양호하였고, 구성개념을 제대로 측정하는지를 평가하는 구인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또한 다른 변수와 관련한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공인타당도와 교차타당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인타당도는 준거로 삼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초등학생용 읽기 태도 검사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높은 수준의 공인타당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성별, 학년별, 지역별 집단의 교차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1-2학년 모형, 3-6학년 모형 모두 다른 집단에서 안정적으로 재현되어 사용될 수 있는 모델의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측정 결과와 관련한 결과타당도 분석을 위해 개발된 읽기동기 척도와 읽기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읽기동기와 읽기활동 간에 정적 상관을 보여주는 선행연구들을 뒷받침하여 개발된 문항들이 적절한 결과타당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읽기동기 검사는 대부분 외국에서 개발한 읽기동기 척도를 단순 번안․수정하여, 타당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변화된 읽기 환경에 대한 내용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하위요인들이 이론적 근거에 입각하여 심리측정학적이고 다차원적으로 구성되지 못한 한계점을 지녔다. 그에 반해, 본 연구에서 개발 및 타당화한 초등학생용 읽기동기 척도는 우리나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적 상황과 문화적 특성에 맞고, 변화된 읽기매체 현실을 반영하였으며, 다차원적 심리측정학적인 측면을 반영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앞으로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이 척도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읽기동기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읽기의 정의적 측면을 조기에 파악하여 읽기동기가 길러지도록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만 5세 사랑반 유아들의 사회극놀이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정수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find the factor that activates or impedes the process of beginning and unfolding of a sociodramatic play by children,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m through the method of Ethonographic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5-year-old class at a kinder garden located in Busan and the object of the study was 21 children and 1 teacher in this class. A total of 25 observations by participation, a total of 2 form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children were conducted from April 13, 2005 through September 1, 2005. Data collection was made from field jottings and the recorded content from field not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encoding and categorizing as suggested by Bogdan and Biklen (199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setting the theme and role, decorating the stage, making the props and setting the role was done in the process of starting the social role-play. This process usually took place in order but it did not always, and also few steps were omitted in some cases. The theme was set by starting the play first to find the theme, continuing the play from before, imitating the media, or taking it from what the teacher told. Setting the role was an important process. To set the role, they used the method of saying the desired role first, scissor-paper-rock, or measuring the height. Some plays were started by the stage background itself, but sometimes the stage background was set according to the theme and roles. In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characters, children on their will or on another's will set the grade, age, address, and job for characters. Secondly, character, ability to act, producer, cooperation of supporting actors, props, support from the teacher, satisfaction to content, and verbal communication affected the social role-play to run smoothly. Children showed their motivation due to getting the partner they like or having character they want. However when there were very few lines compared to other children or when their friend left, they stopped participating in the play. The children with the great ability to act made others to be absorbed in the play, and also made the play very interesting. Children who took their part as a director helped the play run smoothly but few distracted the play by their self-centered characteristics. Even with the self-centered director, the play continued because of the supporting characters' help. The attractive props made by the teacher influenced the children to participate in the play, but the destruction of props caused conflicts. The intervention of a teacher at an inappropriate time did not affect the play, but suggesting the right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isolated children helped the play run smoothly. Few children lost their interest by a change of the play or a flow of the story in a similar pattern, but most of them participated in the play with the interest in the content. Also, children continued the dramatic play with the aid of mutual and supplementary communication. And the verbal communication for continuing the dramatic play is not repeated to just imitate, but for clear expression and reception of other opinion. 본 연구는 유아들의 사회극놀이의 시작과정과 사회극놀이를 원활히 지속하게 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문화 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랑반 유아들의 사회극놀이의 시작하는 과정은 어떠한가? 2. 사랑반 유아들의 사회극놀이의 원활한 지속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S구에 위치한 성등 유치원내 만 5세 한 학급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이 학급 유아 23명과 교사 1명이었다. 2005년 4월 6일부터 2005년 9월 1일까지 총 25회 참여 관찰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현장 약기(field jottings)를 바탕으로 현장기록(field recofds)를 작성하였다. 또한 교사와 총 2회의 형식적인 교사면담, 비형식적인 유아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현장약기, 녹음, 문서 자료 수집, 사진 촬영 등을 통해 이루어졌고, 현장 약기와 녹음 내용은 현장노트로 만들었으며, 면담자료는 면담 전사본을 만들었다. 수집된 자료는 Bogdan과 Biklen(1982)이 제시한 대로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극놀이를 시작하는 과정으로 주제 정하기, 역할정하기, 무대배경 꾸미기 및 소품 만들기, 역할설정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은 순서대로 일어날 수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으며 한두 과정이 생략되어서 진행되기도 하였다. 주제선정은 역할부터 먼저 정하고 시작하는 형태이거나 어제나 오전에 하던 놀이의 연속극 형태이거나 매스컴를 모방 또는 교사의 의해 선정되는 형태가 있었다. 유아들에게 있어서 역할을 정하는 것은 중요한 과정이었고, 역할을 정하는데 있어 서로 먼저 말하거나 가위바위보 방법 또는 키재기 방법을 사용하였다. 무대배경 꾸미기 및 소품을 만드는 것은 그것 자체로 인해 극이 시작되기도 하였고, 극의 주제와 역할을 정한 다음 필요에 의해 제작되기도 하였다. 역할 설정과정에 있어 유아는 학년, 나이, 사는 곳, 하는 일 등 역할에 대해 구체적인 설정을 자의적 또는 타의적으로 결정하였다. 둘째, 유아들의 사회극놀이를 원활하게 지속하는데 있어 배역, 연기력, 감독, 조연들의 협조, 소품, 교사의 지원, 극의 내용에 대한 만족, 언어적 의사소통과 같은 요인들이 영향을 주었다. 유아들은 마음에 맞는 상대 배역으로 인해 놀이에 대한 의욕을 보였고, 자신 또한 마음에 드는 역할이 주어졌을 때 의욕을 갖고 극에 참여했다. 그러나 마음에 맞는 친구가 떠났을 때는 놀이를 중단하기도 하였다. 극중에서 연기력이 뛰어난 유아들은 다른 유아들까지 극에 몰입하게 하였고, 극이 중단되려고 하는 시점에서 극을 재생시키기도 하였다. 감독 역할을 하는 유아들은 극의 전체적 흐름을 잘 조절함으로 극의 원활한 진행을 하게 했으나 다소 독단적인 성향의 감독은 극의 흐름을 방해하기도 하였다. 독단적인 감독이라 하더라도 극이 유지되는 것은 조연 역할을 맡아주는 유아들의 협조가 있기 때문이다. 교사의 간접적 지원인 매력적인 소품들은 유아들로 하여금 스스로 탐색하게 하였고, 극에 참여하는 동기가 되기도 하였다. 적절하지 못한 시기에 교사의 개입은 극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못하기도 하였으나, 놀이에 적절한 방향제시와 소외된 유아들에 대한 지원은 유아들의 사회극놀이를 원활하게 하였다. 극의 내용진행에 만족할 때 유아들은 극 중에 남아 있지만, 극의 내용이 같은 내용으로 반복적으로 흘러가거나, 놀이 주제가 전환 되었을 때 내용진행이 만족되지 않으면 흥미를 잃어버리기도 하였다. 또한 유아들은 상호적이고 보완적인 의사소통으로 사회극놀이를 오래 지속시켰고, 반복적인 언어적 의사소통의 경우 모방적인 반복보다는 의견수용과 명확한 의사전달을 위한 반복을 사용함으로 사회극놀이를 지속시켜 나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