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警堂 林顯周의 生涯와 活動

        정다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Kyung Dang Im Hyeon-ju was born in Nam won-si, Jeollanam-do in 1858 and moved to Gurye-gun. He was a person out of power, but was the leader of Righteous Army in Tae-in and the teacher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t the same time. His family extremely devoted to their parents, so he continued family tradition of the filial piety(Hyo-thought). He educated himself until his early teens. However, under the serious threat by the Japanese Empire, he became a pupil of Choi Ik-hyeon and Song Byeongseon. Their teachings influenced on him to join the anti-Japanese movement. Im Hyeon-ju and Choi Ik-hyeon raised Righteous Army in Tae-in. They were called as “12 patriotic martyr of Sun-chang”. They began anti-Japanese fight together. Then Im Hyeon-ju decided to teach children as an armed struggle was not enough. In 1919, he moved to Hwajeong-ri, Muncheok-myeon, Gurye-gun, Jeollanam-do, then he built the Five Phoenix House. He studied Confucianism by reading and writing. He also promoted social intercourse among literary friends and fostered the younger generation. In 1934, He passed away at the age of 77 . He contributed to expend Confucianism for 15 years. He finally spread the thought of Wijong Choksa(衛正斥邪,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and led national education through Confucianism. He was Confucian during Han-mal(the late Jo-seon). He has not compromised with the Japanese.

      • 휴리스틱 기반 배송지역 할당 및 차량 경로 계획에 관한 연구

        정다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development of e-commerce, the volume of goods is also increasing, and the quantity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due to consumers who are accustomed to online shopping. In order to respond to this situation, the logistics industry needs to change its logistics network in order to maintain its competitivenes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flow of the logistics network by selecting the location and vehicle route of the hub terminal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three levels of decision-making. In this paper, an optimization model was designed to minimize the number of hub terminals to be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strategic level decision making. Based on company A's data, a scenario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hub terminals to be built. After selecting the optimal location where the hub terminal will be built for each scenario, the current logistics cost of Company A and the logistics cost calculated by assuming the changed hub terminal loc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Considering the tactical level of decision-making, the transportation and delivery method was determined to be a truck currently used a lot in Korea,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unifying the vehicle as an outsourced vehicle rather than a vehicle owned by a logistics company independently. Lastly, when the delivery method between the sub-terminal and the agency is changed to the milk run delivery method in consideration of decision-making at the operational level, the efficiency of route operation and reduction in transportation and delivery costs through the case study of Company A was verified. In addition, a simulat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se routes are suitable in the future even when probabilities are given to the volume and travel time by reflecting the situation where the future volume increases and the traffic volume fluctuates every day. By recombining the routes that violate the constraints, a route alternative that can handle changes in demand and traffic volume that eventually increases was suggested. 전자상거래가 발전하면서 물동량도 증가하고 있으며, 온라인 쇼핑에 익숙해진 소비자들로 인하여 물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 물류산업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물류 네트워크에 변화를 줄 필요 성이 있다. 세 가지 수준의 의사결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허브 터미널의 위치 와 차량 경로를 선정하여 물류 네트워크의 흐름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략적 수준의 의사결정을 고려하여 허브 터미널을 건설할 개 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적화 모형을 설계했다. A사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허 브 터미널이 건설될 개수에 따라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각 시나리오별로 허브 터미널이 세워질 최적의 위치를 선정한 후 현재 A사의 물류비용과 변경한 허브 터미널의 위치를 가정하여 산출한 물류비용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전술적 수준의 의사결정을 고려하여 수·배송수단은 현재 국내에서 많이 이용 하고 있는 트럭으로 결정하였으며, 물류 기업이 독자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차량 이 아닌 외주차량으로 통일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운영적 수준의 의사결정을 고려하여 서브 터미널과 대리점 간 수· 배송방식을 밀크런 수·배송방식으로 변경했을 때 A사의 사례연구를 통해 경로 운영의 효율성과 수·배송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미래의 물량 이 증가되는 상황과 매일 변동되는 교통량을 반영하여 물량과 이동시간에 확률 성을 부여했을 때도 미래에도 이 경로들이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뮬레이 션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약조건을 위배하는 경로들을 재조합하여 최종적으 로 늘어나는 수요와 교통량이 변동되어도 감당할 수 있는 경로 대안을 제시하였다.

      • 독일 연방정부 및 주(州) 차원의 상호문화교육 실태 분석

        정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독일 상호문화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찾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독일 정부가 권고하는 상호문화교육 자료와 주(州)가 제시하는 상호문화교육과정 및 지침서를 목표, 내용, 방법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것들이 초등학교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하여 한국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의 네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독일 정부차원의 상호문화교육은 어떻게 권장되고 있는가? 둘째, 독일 주(州)차원의 상호문화교육은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가? 셋째, 독일의 교과서는 상호문화교육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 넷째, 독일 상호문화교육이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질적 내용분석 방법 중 귀납적 방식으로 정부차원과 주차원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 번째 연구결과인 정부차원의 자료에서 분석된 상호문화교육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독일 정부가 권고하는 상호문화교육의 목표는 상호문화역량의 신장이며, 이는 다양성에 대한 태도, 지식, 기술, 행동으로 대별되었다. 다음으로, 상호문화교육의 내용범주는 다양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 있는 ‘자문화와 타문화’에 대한 내용과, ‘이주의 역사와 영향’, 차별과 편견과 같은 민감한 주제를 다루는 ‘상호문화적 쟁점’, 그리고 ‘범교과 학습주제’로 분석되었다. 특히 정부차원의 최신 자료에서는 유럽교육, 민주주의교육, 글로벌 학습,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같은 범교과 학습주제를 상호문화교육과 연계하여 전 교과목에서 활용하도록 권고되었으며, 상호문화교육의 내용보다는 방법에 중점을 두도록 강조되었다. 끝으로, 정부차원의 상호문화교육 방법은 ‘상호작용 및 협력활동’, ‘다관점성 활용’, ‘다언어적 접근’, ‘비판적 관점’으로 분석될 수 있었다. 정부차원의 문서는 이주배경학생들의 언어를 적극 활용하고 모든 학생의 다중언어역량을 신장시킬 것을 강조하였다. 두 번째 연구결과인 독일 주(州)차원의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호문화교육 목표는 정부 차원과 마찬가지로 상호문화역량의 신장이며, 하위 범주 역시 다양성에 대한 태도, 지식, 기술 , 행동으로 구분되었다. 주차원의 문서에서는 상호문화교육 내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문서의 형태가 교육적 실행을 위한 교사용 지침서인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 같다. 상호문화교육 내용의 범주는 차별과, 편견, 갈등, 자민족중심주의와 같은 ‘상호문화적 쟁점’과 ‘다양성 인식’, ‘이주의 역사와 영향’, ‘다문화사회의 공존’, 그리고 ‘정주민 및 이주민의 법적 권리’로 분석되었다. 교육 방법은 ‘관점의 전환과 다관점성’, ‘프로젝트학습’, ‘다언어적 접근’의 범주로 구조화되었다. 사실상 상호문화교육의 방법은 범주별로 뚜렷하게 구분되기가 어려우며, 각각의 범주들은 상관관계를 가진다. 정부차원과 주차원의 상호문화교육은 전반적으로 유사하게 제시되었다. 세 번째 연구결과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Schleswig-Holstein) 주의 초등학교 3·4학년 독일어, 영어, 생활세계수업, 종교 교과서에서 제시된 상호문화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제시된 상호문화교육 내용 범주는 크게‘다양성 인식’, ‘다양성에 대한 태도’, ‘갈등과 평등’으로 분석되었다. 먼저‘다양성 인식’은 ‘민족·종교·유럽·언어의 다양성’과 ‘목표 언어 국가의 문화에 대한 이해’에 대한 내용으로, 해당 범주가 가장 많이 제시된 교과목은 독일어와 영어였다. 독일어 과목에서는 언어적 다양성과 민족적 다양성이 빈번하게 제시되었으며 영어 과목은 언어교육의 특성상 영어권 국가의 문화가 빈번하게 다루어졌다. 다음으로‘다양성에 대한 태도’는 ‘아동권 인식’, ‘연대성’, ‘다양성 존중’등의 내용이 해당되며, 이는 종교와 영어 과목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끝으로, ‘갈등과 평등’범주의 하위 요소는 ‘갈등’, ‘불평등’, ‘전쟁의 원인과 결과’로 분석되었으며, 이 내용은 종교과목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졌다. 종합하면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는 다양성에 대한 인식적 측면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으며, 상호문화교육 내용이 가장 많이 드러난 과목은 영어 과목이었다. 그러나 교과서에는 정부와 주(州)가 강조한 상호문화교육의 성찰적 요소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네 번째 연구결과인 한국에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상호문화교육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다. 현재 시행되는 범교과 학습주제인 다문화교육에 상호문화 교수법을 접목시킬 수 있다. 둘째, 한국 정부는 다양성에 대한 피상적 접근을 넘어 다문화 사회의 쟁점과 관련된 각종 차별, 편견, 혐오, 불평등, 갈등 과 같은 민감한 주제를 다루도록 권고해야 한다. 셋째, 모든 학생의 언어적 역량을 신장시키는 것이다. 넷째, 교사연수에서 상호문화교육 실시하는 것이다. 다섯째, 장기적으로 한국 교육과정에 상호문화교육을 접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닌다. 첫째, 분석한 자료의 대상은 권고 수준에 그치고 있어 독일에서 실질적으로 교육이 어떻게 실행되는지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둘째, 본 연구는 독일의 16개 주 중에서 5개 주만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는 한국에서 구할 수 있는 자료만을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기에 모든 주에서 제시하는 상호문화교육을 분석하지는 못했다. 셋째, 하나의 주(州)의 초등학교 3·4학년 교과서를 분석하였기 때문에 전반적인 독일 교과서에 상호문화교육이 어떻게 반영되는지 판단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독일은 교과서 선정에 있어 교사의 재량권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몇몇 학교에서는 특정 과목의 교과서를 사용하지 않아 교과서 분석만으로는 실제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상호문화교육을 면밀하게 파악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되어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상호문화교육이 잘 시행되는 것으로 평가되는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을 정부차원, 주차원, 교과서에서 제시된 교육목표, 내용, 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여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이는 상호문화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한국의 일선 학교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국 다문화교육의 보완 및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추후 다문화 혹은 상호문화교육과정 개발에 함의를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 and implementation of German intercultural education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documents of the intercultural education by the German federal government and states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contents, and methods, and analyzed how these were reflect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by using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intercultural education, which is recommended by the German federal government, is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which is divided into attitudes,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s toward diversity. The content categori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clude content on “self-culture and other cultures”, “history and effect of migration”, “cross-curricular learning” and “intercultural issues” that deal with sensitive topics such as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 particular, the latest document from the federal government recommended that the cross-curricular learning such as European education, democratic education, global learning,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should be used in all subjects in connection with intercultural education. The method of intercultural education by the federal government was analyzed as “interaction and cooperation activities”, “multiperspective”, “multilingual approach” and “critical perspective”. Government-level documents emphasized to utilize the language competence of immigrant students and to develop the multilingual competence of all students. Secondly, the goal of intercultural education that the documents of states have suggested is the growth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subcategories are divided into attitudes,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s toward diversity. The content of the intercultural education occupied a large part in the documents, which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document type is often a guideline for educational practice. The content categori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clude “intercultural issues” such as discrimination, prejudice, conflict, and ethnocentrism, “awareness of diversity”, “history and effect of migration”, “coexistence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Legal rights of migrants”. Educational methods were structured into the categories of “transformation of perspectives and multiperspective”, “project learning”, and “multilingual approach”. The curriculum of intercultural education between the governmental level and the states level was presented similarly. Thirdly, contents of intercultural education presented in textbooks of Schleswig-Holstein Elementary School 3rd and 4th grade are as follows. The content categori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re analyzed as “awareness of diversity”, “attitude toward diversity”, “conflict and equality”. First, “awareness of diversity” is about “diversity of ethnicity, religion, Europe, language” and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country”. The most frequently presented subjects were German and English. Linguistic diversity and ethnic diversity are frequently presented in German subjects, and the culture of English – speaking countries is frequently presented in English subjects due to the nature of language education. Next, “attitudes toward diversity” include “recognition of children's rights”, “solidarity”, and “respect for diversity”, which were most emphasized in religion and English textbooks. Finally, the subcategories of “conflict and equality”, categories were analyzed as “conflict”, “inequality”, and “cause and effect of war”, which were the most discussed in religion textbook. In summary, the most presented part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as “awareness of diversity”, and the intercultural education contents were most revealed in English subject. However, it is analyzed that the textbooks do not fully reflect the intercultural education emphasized by the federal government and the stat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linked with the method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f education cannot be changed completely, teachers can use the intercultural teaching method.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suggest school to deal with sensitive issues such as discrimination, prejudice, inequality, and conflict related to issues of a multicultural society. Third, schools should promote the multilingual competence of all students. Fourth, intercultural educa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eacher training. Fifth,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seek ways to combine intercultural education with the curriculum in the long term.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analyzed documents are only at the recommendation level, so there was a limitation to reveal how german schools implement the education. Second, only 5 of the 16 states are analyzed. This study has not been able to analyze the intercultural education of all the states since the availability of documents were limited. Third, there was a limit to analyze how intercultural education is reflected in the overall German textbooks. In Germany, because of the discretion of the teacher in the selection of the textbooks, some schools did not use the textbooks of specific subjects, so the textbook analysis alone could not grasp the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e actual classes. These limitations should be complemented by subsequent stud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intercultural education of the German federal government and states systematically, which is regarded as a good practice of intercultural education. It will be helpful for Korea's schools where the need for intercultural education is emerging. Second, this analysis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 거꾸로 수업을 적용한 초등학교 무용 수업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무용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정다희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을 초등학교 무용 수업에 적용하여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무용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거꾸로 수업의 디딤 영상의 방식에 따라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무용표현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S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돌봄교실 저학년 학생들을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8주 동안 무용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집단은 거꾸로 수업에서 국악동요 디딤 영상을 본 집단 19명, 거꾸로 수업에서 선생님의 창작안무가 들어간 디딤 영상을 본 집단 14명, 그리고 전통적 수업을 진행한 비교집단 12명 총 45명의 학생들을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그리고 측정시기에 따라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무용표현력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반복측정이원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two-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이에 보충자료로 거꾸로 수업집단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수업 방식별 자기주도 학습능력에서 학습계획은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꾸로 수업A: 국악동요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향상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수업 방식별 무용표현력에서 창의적 표현사고력과 표현열정, 외적표출능력은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표현열정과 외적표출능력에서 거꾸로 수업A: 국악동요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향상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꾸로 수업의 디딤 영상 방식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무용표현력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계획, 표현열정, 외적표출능력에서는 거꾸로 수업A: 국악동요 집단이 창의적 표현사고력에서는 거꾸로 수업B: 율동시범 집단이 향상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담은 유목적 표집방법으로 집단별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학생들은 디딤 영상의 재미와 다양성 그리고 아이돌가요를 접목한 무용 수업을 요구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무용교육의 발전에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impact of an elementary school dance class applying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dance expressiveness.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dance expressiveness according to method of a prior learning video; which is important in flipped learning. To this purpose, the low-grade students (1st to 3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participated in a dance class for eight weeks. A total of 45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in the study. Group A was comprised of 19 people who saw a prior learning video of traditional Korean children’s songs in flipped classroom. Group B was comprised of 14 people who saw a prior learning video of a teacher’s creative choreography in flipped classroom. A comparative group was comprised of 12 people who took normal class. In a post-examination, a two-way ANOVA was applied to investigat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dance expressivenes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iming of method of dance class also applied to analyse an interaction effect. In-depth student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supplementary material, and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learning pla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method of dance class. Second, creative expressive ability and external expressive capability, passion for ex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ance expressiveness according to dance class. Further, an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group and normal learning group suggested that flipped learning achieved higher improvement rat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dance expressiveness than normal learning. As of flipped learning according to Group A achieved higher improvement rat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dance expressiveness than flipped learning Group B. A total of four students whose Group A were selected through statistics results as the interviewees of an in-depth interview. also a total of three students whose Group B were selected as interviewees. The required factors most frequently mentioned by the students throughout the in-depth interview were a desire that an idol’s song and an amusement of a prior learning video could draw interest of people, and a diversity of a prior learning video.

      • 품사 산출 분석 및 머신러닝을 통한 의미형과 발화부족형 원발진행실어증의 비교

        정다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원발진행실어증(primary progressive aphasia, 이하 PPA)은 손상된 언어 기능에 따라 비유창형(nfvPPA), 의미형(svPPA), 발화부족형(lvPPA)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lvPPA와 svPPA 환자 집단이 그림설명 과제에서 산출한 품사를 분석함으로써 두 아형을 특징적으로 감별할 수 있는 변인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출한 변수들이 lvPPA와 svPPA를 감별하는 정확성을 자동 분류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lvPPA 환자 20명(남 = 12 여 = 8; 연령 = 71.6±9.13세)과 svPPA 환자 16명(남 = 10, 여 = 6; 연령 = 70.4±6.23세)의 총 36명 PPA 환자들을 포함하였다. 그림설명 과제에서 산출한 발화를 전사한 후,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인 UTagger를 사용해 품사 태깅을 하였다. 중증도, 연령, 교육년수를 보정한 뒤, 태깅 결과에서 PPA 아형에 따른 품사 및 5언(체언, 용언, 수식언, 관계언, 독립언) 개수와 ‘품사:총 형태소 수’, ‘명사:대명사’, ‘명사:동사’, ‘내용어:기능어’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총 형태소 수, CIU 비율, 어휘 다양도를 측정하였다. 머신러닝 자동 분류 평가를 위하여 품사 변수를 데이터셋으로 모델을 학습시킨 뒤 아형을 가장 잘 분류하는 변수를 찾고자 하였다. 두 집단에서 각각 AQ가 60~90 사이에 해당하는 lvPPA 환자 10명과 svPPA 환자 10명의 데이터를 사용한 자동 분류 결과를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F1 점수를 통해 비교하였다. 또한 lvPPA와 svPPA를 가장 잘 분류하는 학습 모델을 제시하였고, 변수의 중요도 분석을 통해 두 아형을 가장 잘 분류하는 변수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svPPA 환자들은 lvPPA 환자들에 비해 명사 다양도가 낮았고, lvPPA 환자들은 svPPA 환자들에 비해 발화량을 반영하는 총 형태소 수가 많았다. 아형 자동 분류 결과, 최대 정확도는 40%였으며, 동사 다양도와 총 형태소 수가 두 아형의 감별에 중요한 변수로 제시되었다. 다만, 머신러닝 분석에서는 각 유형의 특징을 잘 반영하지 못할 수 있는 경도(mild)의 중증도 환자들이 대다수를 차지하였기 때문에 분류 정확도가 낮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lvPPA와 svPPA 환자들 각 아형에서 나타나는 표현 언어 손상 특징을 품사 측면에서 분석해 본 첫 번째 연구라는 데에 있다. 후속 연구로는 보다 다양한 중증도의 환자들을 포함한 횡단 연구 또는 시간에 따른 증상의 변화를 면밀히 관찰하는 종단 연구를 실시하여 품사 산출의 퇴행 특징을 알아볼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Primary progressive aphasia (PPA) is a progressive neurodegenerative disease that leads to a gradual loss of language skills. PPA is subcategorized into the non-fluent variant (nfvPPA), semantic variant (svPPA), and logopenic variant (lvPPA). This study analyzed the grammatical morphemes produced by patients with lvPPA and svPPA in a picture description task and deduced linguistic variables that can be used for a differential diagnosis of the two PPA subtypes. The accuracy of variables as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lvPPA and svPPA was evaluated using machine learning. Data from 16 svPPA (F = 6, age = 70.4 ± 6.23 years) and 20 lvPPA patients (F = 10, age = 71.6 ± 9.13 years) were analyzed. The patients’ responses in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from the Paradise Korea Western Aphasia Battery-Revised (P·K-WAB-R) were transcribed and parts of speech (POS) for each morpheme were tagged using UTagger, a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The POS tags were analyzed in terms of tokens and ratios (POS:total number of morphemes, noun:verb, and noun:pronoun) and compared between groups after adjusting for age, education level, language severity, and sex. POS were also analyzed after categorizing into content words and function words, and substantive, predicate, modifier, and postpositional particle. Tokens and ratios for each category were analyzed according to PPA subtypes. Correct information units (CIUs) and type-token ratios (TTR) were also compared between groups. For automatic subtyping, data from patients with an aphasia quotient (AQ) between 60 and 90 were used as the dataset. The Decision Tree (DT), Random Forests (RF),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nd Support Vector Machines (SVMs) were trained using the aforementioned morphological variables, and classification results were compared in terms of accuracy, F1 score, precision, and recall. A variable importance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variables that best classify the two PPA subtypes. Results showed that svPPA patients had a lower noun TTR than lvPPA patients, while lvPPA patients produced a greater number of morphemes compared to svPPA patients. The best-performing classification models were SVM and RF each with 40% accuracy, and verb TTR and the total number of morphemes were the best discriminating characteristics. Explanations for low automatic subtyping performance were suggested in terms of language severity, and the importance of confounding variables in the morphological analysis was highlighted. Further longitudinal studies involving patients with PPA analyzing the morphological production and cross-sectional studies including patients with varying severity are required for more conclusive evidence.

      • 신해체주의 특성과 건축외장재 질감을 응용한 젤 네일아트 디자인 개발

        정다희 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뷰티 산업의 발달과 정보화 시대로 네일아트 디자인은 손톱의 작은 공간에서 탈피·해체하여 다양한 색채, 형태, 질감을 반영하고 개개인의 취향, 자율성, 대중성을 가미한 신해체주의적 디자인 작품연구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문헌 고찰을 통해 신해체주의 3가지 특성을 도출하고 건축외장재의 8가지 질감을 융합시켜 유희성 8 작품, 다양성 8 작품, 재창조 재조합 8 작품으로 총 24 작품으로 제작하여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해체주의의 선행연구 자료 문헌 고찰과 인터넷 사진 자료를 통하여 특성을 유희성, 다양성, 재창조 재조합으로 도출하여 젤 네일아트의 개인의 감정을 부여하고 입체적인 조형적 예술의 가치로 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건축 외장재의 선행연구 자료 문헌 고찰과 인터넷 사진 자료를 통하여 형태적인 미와 소재의 질감을 벽돌, 석재, 금속재, 페인트, 타일, 노출콘크리트, 목재, 유리로 도출하여 젤 네일아트의 디자인의 입면에 질감을 다양하게 표현하여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품 Ⅰ은 유희성(Playfulness) 특성과 건축외장재 소재를 반영한 작품으로 디자인은 겉으로는 무질서로 보이지만 반복적인 구조적 법칙이 내장되어 있어 각 디자인은 목적이 없이 즐거움을 주며 고정된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재미와 유희를 직접적으로 표현하여 단순성을 지닌 예술적 감수성이 드러나는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작품 Ⅱ는 다양성(Diversity) 특성과 건축외장재 소재를 반영한 작품으로 다양하게 접근하여 기존의 방식과 새로운 방식을 아울러 긴장감과 대립을 통해 기존의 형식과 대조하여 적극적으로 관계의 화합과 통합을 이뤄 즉흥적인 사고방식을 그대로 받아들여 다문화주의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작품 Ⅲ은 재창조 재조합(Recreative Recombination) 특성과 건축외장재 소재를 반영한 작품으로 손톱의 작은 공간 속에서 동시대적인 유희성, 다양성, 과거의 요소들이 결합된 것이다. 디자인을 해체, 재창조, 비대칭, 대칭을 통해 믹스 매치하여 과거와 현재, 미래가 공존된 공간연출로 새로운 미를 창출하는 조형예술의 하나인 디자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해체주의 특성과 건축외장재를 적용하여 네일아트 디자인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며, 트렌디한 작품 제시로 긍정적인 효과와 함께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여 현시대와 함께 진보하는 디자인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창의적인 예술적 경향으로 다양한 네일아트 디자인의 개발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음악저작물의 표절에 의한 저작권 침해에 관한 연구 : 실질적 유사성을 중심으로

        정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표절에 의한 저작권 침해 판단기준 중 “실질적 유사성”의 개념과 판단 기준에 관한 국내 법원의 태도에 주목하여 음악저작물의 실질적 유사성에 관한 논의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표절에 의한 저작권 침해가 인정되기 위해서는 첫째 침해당한 자가 유효한 저작권자여야 하고, 둘째 정당한 권한이 없는 자가 당해 저작물에 의거하여 이를 이용하였어야 하며, 셋째 실질적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넷째 저작권 제한 사유에 해당 하지 않아야 한다. 즉 현재 저작권 침해의 기준은 창작성, 의거성, 실질적 유사성이다. 실질적 유사성이란 타인의 저작물을 그대로 무단 이용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로 무단 이용하는 경우에도 저작권 침해가 성립한다는 이론이다. 현재 법원에서 통용되는 판단 방법은 원고와 피고의 대비부분에서 드러나는 가락, 화성, 리듬 등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실질적 유사성의 판단 기준은 법률적으로 아무런 규정이 존재하지 않으며, 실무적으로 문화관광부가 제시한 『영화 및 음악 분야 표절방지가이드라인』 및 판례에 근거를 두고 있어 주관적 요소가 개입될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표절과 저작권 침해를 구별하여 연구대상을 표절에 의한 저작권 침 해로 명확히 하고자 한다. 그 후 시대적 흐름에 따른 저작권 침해 판단을 표절 판단 주체와 그에 따른 갈등 해결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장, 단점을 검토하고, 저작권 침해 판단 방법의 문제와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표절에 의한 저작권 침해 판단 에서의 일반론을 살피고, 음악 저작물의 경우 일반론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실질적 유사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실질적 유사성이 쟁점화 된 대법원 2015. 8. 13. 선고 2013다14828 판결 이른바 <썸데이(someday)> 사건의 사실심을 정리하여 음악저작물에 대한 법원의 저작권 침해 판단 과정의 논리를 살펴본다. 저작권 침해 소송의 당사자는 모두 음악인이며, 그 대상이 음악저작물임에도 불구하고 문화관광부의 가이드라인과 법원의 입장만을 수동적으로 따르고 있다. 음악의 실질적 유사성 개념과 판단 기준에 주목한 본 연구는 음악저작물의 실질적 유사성에 관한 음악인들의 논의의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about especially based on the attitudes of Court of Korea toward the fundamental concept and the standard judgment of the ‘Substantial similarity’ amongst the standard judgments of musical works’ copyright infringement by plagiarism. For the copyright infringement by plagiarism to be recognized: 1) the plaintiff must hold a valid copyright on the corresponding musical work, 2) the defendant must have accessed the plaintiff’s musical work with an intention to copy the object, 3) the violated work should be identical or should have a substantial similarity to the original work, and 4) the issue should not fall under the limits or exceptions to copyright. ‘Substantial similarity’ is a concept that applies to infringement of copyright not only by illegal uses of a musical work as it is, but also by substantial uses of a musical work in an analogous form. Currently accepted way to figure out the substantial similarity between the plaintiff’s musical work and the defendant’s is to compare the melody, chord, and rhythm of contrasting parts from each work. Currently, no legal regulation exists on the criteria of the substantial similarity, and even the existing practical criteria are subjective as they are based on “Guidelines for preventing plagiarism”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r the judicial precedents. The sol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tinguish copyright infringement from plagiarism, and thus to focus on the ‘copyright infringement by plagiarism.’ Then the analysis on the copyright infringement by different time periods and different solutions suggested by each plagiarism regulating institution will be followed, with pros and cons and problems of each solution, and the ways to improve those problems. Also, the generalities of the copyright infringement by plagiarism, and how those generalities are applied to the musical works will be discussed based on the substantial similarity. Lastly, attitudes of Court or Korea toward musical works will be reviewed through proceedings at trial courts and finding of ‘Supreme Court, 2015.08.13 adjudgement, 2013Da14828 judgment (Gong2015Ha, 1335).’ Both the plaintiff and the defendant of copyright infringement litigations are musicians. However, currently used criteria of determining the copyright infringement are not legally elaborated provisions, but the guidelines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r the judicial preced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the substantial similarity of music and its standard criteria. Thus, the connotation could be on providing the basis on substantial similarity on musical works.

      • 도함수의 그래프 이해에서 발생하는 오류 및 오개념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3학년 미분단원 중심으로

        정다희 西江大學敎 敎育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적분학은 초, 중등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이 배운 대수와 기하적인 부분의 지식을 종합하고 강화시키며 기하적인 직관의 발달을 자극하는 등 고등학교 수학 교육 과정에 있어서 중심이 되는 내용이다. 특히, 미분단원을 처음 배우기 시작할 때 나오는 도함수는 독립변수의 변화에 따른 종속변수의 변화율을 설명하기 때문에 함수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미분의 형식적인 알고리즘의 계산은 대수적으로 접근하여 문제를 쉽게 해결하나 도함수 그래프의 기하학적인 원리나 의미에 대해서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 같아 이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이 배우고 있는 미분법 단원에서 도함수의 그래프와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있어서 학생들이 보이는 오류 및 오개념을 분석, 정리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한 T고등학교 자연계학생 3학년 54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문항을 도함수의 개념 이해, 특정한 점에서의 접선의 개념에 대한 이해, 변곡점에서의 접선의 이해와 삼차함수의 도함수 증가, 감소 변화 파악하기, 도함수 의 그래프 개형 찾기, 도함수 의 그래프 개형 그리기, 미분가능성에 대한 개념 이해, 함수-도함수의 관계 파악하기의 7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이 많은 학생들이 도함수 그래프에 대한 많은 오류 및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수학적인 방법과 그에 대한 연구 분석을 후속 연구로서 제언하는 바이다. Differential Calculus is one of math fields that are specially emphasized in the high school math curriculum. It integrates and reinforces the knowledge on algebra and geometry that have already learned by students throug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and stimulates the development of geometric intuition. In particular, the derived function initially appearing in the Differential Calculus part clarifies the changing rates of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independent variables, thereby it provides a wider knowledge on the function. However, there are many students who seem to have lots of difficulty to understand the geometric principles or definitions of graphs of derived function, whereas they use an algebraic method to easily resolve problems of algorithm calculation related to Differential Calculus. Based on the aforesaid problem in Math Education, this study started to be conducted to analyze and summarize students' mistakes and concepts misunderstanding that occur while they solve problems related to graphs of derived function in the Differential Calculus Part of high school curriculum. A total of 54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on grade 3 at High School T located in Gimpo city,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for survey in this study. The survey questions were divided into 7 types then analyzed. These seven types of questions include: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derived functio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tangent at a specific point, understanding the tangent at the infection point and comprehending the increase, decrease, change of derived function of cubic function, identifying the graphic outline form of derived function f ' (x), drawing the graphic outline form of derived function f ' (x),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differentiation likelihood, and comprehe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 and derived function.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made lots of mistakes and had numerous failed concepts on graphs of derived function. Thus it is suggested that a further study on teaching method for resolving this problem and the analysis on the said further study need to be conducted next time.

      •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보조사 ‘도’의 교육 방안 연구

        정다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Korean textbooks for English speakers and to find out how the Korean auxiliary particles are presented and taught in those textbooks, and thereby to come up with a better way of teaching Korean auxiliary particles to English speakers. Even though particles serve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Korean language system, auxiliary particles have not been focused much in textbooks, compared to case-markers, due to their lexical nature. In particular, the Korean textbooks published by Korean universities usually deal with auxiliary particles just as simple vocabularies or expressions combined with an auxiliary particle, or only cover some limited grammatical information even though an auxiliary particle can be interpreted and used in a diverse way with its polysemy and pragmatical functions. To study the polysemy of auxiliary particles, the auxiliary particle ‘do,’ which has relatively various meanings and usages among other auxiliary particles, was selected, and the meanings of the auxiliary particle ‘do’ were reviewed and re-categorized into nine meanings for English speakers: Addition, Tandem Agreement, Expectation for Polarity, Negative Polarity, Indefinite Pronouns, Minimal Condition, Emphasis, Concessive, and Allowance. This categorization was done from the perspective of English speakers, based on the English expressions and grammar factors when expressing each meaning in English. Also, nine kinds of Korean text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see how the auxiliary particle ‘do’ is presented (such as the term, morphological and syntactic information, semantic functions, and example sentences, etc.) and which meanings among those nine are introduced in these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out that most of the Korean textbooks suggest the basic meaning of ‘do’ as ‘addition’ but do not suggest many other meanings, especially ‘expectation for polarity’ which is very often used by native speakers. Moreover,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 information is limited and sometimes not appropriate in many cases, and example sentences for each meaning are not enough. To provide more accurate and detailed information about auxiliary particles in teaching Korean, this paper suggests how to present auxiliary particles in Korean textbooks, taking ‘do’ for example; the meaning, English expressions, morphological and syntactic information, example sentences, and possible expressions combined with ‘do’ are suggested for nine meanings respectively, both in Korean and English. Even though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auxiliary particle ‘do,’ this method and suggestion can be applied to other auxiliary particles in teaching Korean and also expanded for Korean learners who speak other language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anguage.

      •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가능성과 한계 :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정다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인터랙티브 미디어와 모달리티 분석을 통해서 인터랙티브 모달리티의 분류 기준을 제안하고 수용자적 입장에서 그것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는 웹 기반의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 <Still&All>(2016)을 분석함으로써 이 새로운 형식의 다큐멘터리가 기존의 전통적 다큐멘터리와는 어떻게 구별될 수 있는지, 또한 서사 구조의 차이는 무엇인지 설명하고 하였다. 또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특징과 유형을 정리함으로써 향후의 심층적인 논의와 연구의 발전에 기초를 다지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 <Still&All>의 인터랙티브 모달리티의 분류 및 분석을 진행하고, 새로운 분류 기준 4가지를 제시했다. 또한 웹 기반의 배급과 새로운 방식으로의 창작과 수용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수용자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해봄으로써 새로운 수용자 패러다임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에 대한 개념과 정의를 중심으로 연구 배경 및 목적과 연구범위 및 방법을 설명하고, Ⅱ장에서는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개요와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다양한 유형을 정리하였다. 또한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에서 리얼리즘과 재현의 문제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원작과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의 서사 구조, 모달리티, 수용자 패러다임 등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 분석하고, 새로운 인터랙티브 모달리티 분류 기준을 제안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고, 앞서 제안한 인터랙티브 모달리티 분류 기준과 새로운 수용자론을 통해 향후 제작될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classification standard of interactive modality through interactive media and modality analysis, and to compare and analyze it from the audience standpoint. By analyzing the web-based interactive documentary <Still&All>(2015), we can see how this new type of documentary can be distinguished from traditional documentary, an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its narrative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documentary And types, so as to lay the foundations for future in-depth discussion and development of research. To do this, we conducted th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interactive modality of the interactive documentary <Still&All>, and presented four new classification criteria. We also studied the new audience paradigm by analyzing the process of web-based distribution and creation and acceptance of new ways from the viewpoint of the audience. The composi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In Chapter Ⅰ, the necessity of updating the concept and terminology of 'interactive media' is explained. In Chapter Ⅱ, the outline of interactive media and the concept and types of interactive documentary are summarized. It gives a new perspective on the realism and reproduction of the documentary. In chapter Ⅲ, we compare the narrative structure, the modality and the audience paradigm of the original and the interactive documentary, and propose a new interactive modality classification standard. Finally, Section IV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ugges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interactive media to be produced in the future through the proposed interactive modality classification criteria and new acceptance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