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억속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도자조형연구

        임초희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의 삶에서 기억이란 현재와 과거를 이어주는 중요한 매개체이며 앞으로 선택할 미래의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우리가 경험한 것들이 특정한 형태로 남아 다시금 떠오르는 현상인 기억은 과거의 축적물인 동시에 현재를 있게 해주는 밑거름이 된다. 기억의 의미를 찾아보면 과거의 산물이라는 명사적 의미도 있는 반면에 ‘기억하다’라는 동사적 행위의 의미도 가진다. 이것은 개인의 선택에 의해 기억이 지워지거나 장기간 지속되기도 하며, 전반적인 상황이 아닌 특정한 환경이나 사물, 순간의 감정이 주관적으로 기억되어짐을 알 수 있다. 과거의 산물인 기억은 누군가에겐 잃어버렸던 과거를 되살리는 매개체이고, 예술가들에게는 다양한 예술표현의 소재이며, 한 사람에게는 자아성찰의 시작점이기도 하다. 본 연구자는 잠재된 기억의 형상화를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써 폭넓은 작업의 소재를 제공받고 동시에 관람자로 하여금 감성적 교감을 일으켜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정신적 여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기억의 구체적인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기억에 대한 고찰을 문헌을 통해 연구조사 하였으며, 기억이 예술 활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기억의 소재로써의 역할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연구자의 작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억을 소재로 한 작가 및 작품들을 조형과 조형외의분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기억을 소재로 한 작가 중에서 연구자가 영향을 받은 루이스 부르주아의 생애와 작품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본 연구자는 기억을 소재로 조형 작업을 함으로써 지나간 과거를 돌아보고 반성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자아성찰의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또한 축적된 기억들을 소재로 작업을 하면서 지금의 연구자를 있게 했던 과거의 이야기들이 작품 활동에 풍부한 소재를 제공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가 앞으로의 작업 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연구자의 내면적 깊이를 표현 할 수 있는 좋은 발판이 되길 기대해 본다. Memories are important media that connects our past with our daily lives in the present and it provides direction and meaning to the choices that we make in the future. Memories are phenomena where things that we have experienced in the past remain as a particular form and enables to recollect those things of the past. It is an accumulation of things from the past and is also a foundation for the present at the same time. In determining the meaning of a memory, while it encompasses the substantive meaning, the fruit of the past, it also possesses the sense of a verbal action such as "to remember." Memories may be lost or continued for a long period based upon the individual's choice, and we can ascertain that memories are remembered based on the subjective viewpoint of a particular environment, object or an instantaneous emotion and not the overall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subject person at that time. The fruit of the past is a medium that retells the past that has been lost by someone, and for artists, it is a subject matter for a variety of artistic expressions and it is also a beginning point for introspection for certain individu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a wide range of work materials by artistically expressing new images through the projection of images contained in dormant memories, a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mental relaxation and comfort for the viewer so that he or she may look back at oneself by emotionally interacting with the work piece. As the study method to examine the detailed meaning of memories, studies on memories were conducted through relevant literature. The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role of memories as a subject matter for artistic work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ies and artistic activities. To assist in understanding the works of the author of this study, the study investigated various artists and their works that uses memory as their materials by dividing them into the field of sculptures and fields other than sculptures. Among the artists that use memories as their subject materials, this study has also examined the life and works of Louise Bourgeois through which the author of this study has been influenced by. The author of this study was able to engage in a time of introspection where the author looked back at his past, realizing his wrongs and preparing for the future amidst of such wrongs, by creating sculpture works that uses his memories as its subject matter. Furthermore, by creating artistic works using accumulated memories, the author was able to determine that past memories and stories that have made the author of today provided a wealth of subject matters for his artistic works. Also, the author looks forward that this study will be an added contribution in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expressing the depth of the author's inner thoughts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his future works.

      • 중등교사 임용시험 음악과 국악영역 문항분석 : 2014 ~ 2021년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임초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등교사임용시험을 준비 중인 예비 음악교사들의 임용시험 대비에 있어 전공 내용학 중에서도 국악영역의 학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입형·서술형·논술형이 시작한 2014년부터 2019년까지와 기입형 서술형의 형태인 2020년부터 2021년까지의 문제유형 파악과 출제경향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1991년 중등 임용교사임용시험이 시행된 이후 해마다 임용되는 신규교사는 소수 한정 인원이고 임용희망자의 수는 많다 보니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높았다. 또한 음악교사 양성기관인 사범대학에서의 교육과정을 조사하였을 때 국악은 서양음악과 교육학보다 세분화되어있지 않고 과목수도 부족 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출제되었던 국악영역의 문제유형 파악과 출제경향 분석을 통해 예비음악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문항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 따른 국악교육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들을 고찰하였으며 중등교원 임용시험의 개요와 변천사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가 교육대학원을 포함한 교원 양성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국악교육을 바탕으로 음악교사 임용시험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되어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vers the period from 2014 to 2019, when the writing, narrative and essay types were started, and the period from 2020 to 2021 when the writing and narrative type were applied for question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Middle School Teacher Appointment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ype of questions and analyze the question tend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s of questions from 2020 to 2021 and analyze the questions asked. Since the middle school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was conducted in 1991, the number of new teachers hired every year is limited and the number of applicants is big, so the competition rate was relatively high. In addition, considering the teaching level of the basic courses and the limita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at the College of Education, non-teacher department,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are music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ll the details of the question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Middle School Teacher Appointment Test. This study focused on question analysis so that it could be helpful to prospective music teacher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question types and the analysis of questions asked in the area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rom 2014 to 2021. To this end, it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t also studied the outline and history of the secondary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music teacher appointment exam based on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being conducted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clud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provide practical help.

      • '엔터테인먼트 드라마'로서의 <응답하라> 시리즈(tvN) 연구 : 드라마의 예능 프로그램 특징 도입 및 활용을 중심으로

        임초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new aspects that appear in the drama,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tvN drama series, Reply, which actively draws on elements of entertainment programs beyond the traditional drama tradition. The Reply series is regarded as a new form, combining elements in drama and entertainment programs. For that reason, it suggests referring to the Reply series as an “Entertainment Drama.” It examines the traces the development of Korean dramas and entertainment programs since the 2000s, which includes a discussion on genre hybridization. It also engages with existing studies on the Reply series, which has primarily focused on the retro narratives and nostalgia and highlights the text in new ways. This thesis examines all the episodes in the Reply trilogy - Reply 1997 (16 episodes, 2012.7.24-2019.9.18), Reply 1994 (21 episodes, 2013.10.18-2013.12.28) and Reply 1988 (20 episodes, 2015.11.6-2016.1.16.) -. In particular, it pays attention to the narrative arc and grammar when introducing entertainment elements. Chapter 1 examines existing studies to justify the necessity of this study and articulate the direction the study seeks to advance. By examining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and more specifically, the cable network channel, tvN, it also documents how the Reply series emerged as a new genre under the influence of these entertainment programs. Chapter 2 identifies drama and entertainment programs as genres before associating the Reply series with “entertainment drama.” It probes the meaning of “fun” in recent entertainment programs by linking the discussion of the sociology of play/games with Roger Caillois. The convergence of drama and entertainment programs requires a discussion of sitcoms, which I argue differ significantly with the Reply series. Lastly, I argue the narrative features draw on gamification elements of entertainment programs which include “Husband search narrative,” “Missions of characters,” and “characterization of characters.” Specific grammatical elements, which include “episodic composition,” “representing the past,” “directing the screen,” and “cameo, subtitles, parody,” are used to enhance the comedy effect, and “the use of narration and music” resonate with viewers as a lingering aftertaste. Drawing on these classifications, each series is thoroughly analyzed from Chapter 3 to Chapter 5. Chapter 6 offers a summary of the above analyses and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expectations for subsequent studies. I show that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new discussions on the Reply series by paying attention to the artistic sensibilities. 본 논문은 tvN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가 기존 드라마 전통에서 벗어나 예능 프로그램의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 이것들이 드라마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응답하라> 시리즈를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이 접합된 새로운 형태의 드라마로 간주하고, 이를 ‘엔터테인먼트 드라마’라 지칭한다. 이 연구는 한국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이 2000년대 이후 겪은 변화의 흔적을 추적하고, 그로부터 설명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간의 장르적 혼종화에 대한 논의를 포함한다. 또한 복고 서사와 노스탤지어의 관점에 집중해왔던 기존의 <응답하라> 시리즈를 향한 논의들을 보완하여, 텍스트를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응답하라 1997>(tvN, 16부작, 2012.7.24.~2019.9.18.)과 <응답하라 1994>(tvN, 21부작, 2013.10.18.~2013.12.28.), 그리고 <응답하라 1988>(tvN, 20부작, 2015.11.6.~2016.1.16.) 세 시리즈의 모든 에피소드를 살펴본다. 특히 예능적 요소의 도입으로 구성된 내러티브와 이것을 표현하는 예능적 문법들에 주목한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을 밝히면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고, 연구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분명히 한다. 또한 <응답하라> 시리즈의 등장을 가능케 했던 산업적 배경으로 미디어 환경의 변화 및 tvN 채널의 특수성에 대해 고찰한다. 제2장에서는 먼저, <응답하라> 시리즈가 ‘엔터테인먼트 드라마’로 규정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 각각의 장르에 대한 이해와 특히 예능·오락 프로그램에서 두드러지는 장르 간 융합현상에 초점을 맞춘다. 이후 예능·오락 프로그램의 최우선 가치인 ‘즐거움’을 카유아의 ‘놀이’ 논의와 연결시켜, 최근 예능 프로그램들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즐거움의 양상에 대해 이해해보고자 한다. 또한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의 접합이라는 관점에서 ‘시트콤’에 주목, 시트콤과 <응답하라> 시리즈가 분명하게 구분됨을 지적한다. 마지막으로는 <응답하라> 시리즈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지점들에서 예능 프로그램과의 유사성을 보이는지 간략히 제시한다. 예능의 게임화 요소를 도입한 내러티브의 특징으로는 ‘남편 찾기 서사’, ‘등장인물들의 미션 수행’, ‘인물들의 캐릭터화’를 다룬다. 이 내러티브의 표현은 예능적 문법을 경유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요소들로는 ‘에피소드적 구성’, ‘예능적 과거 재현’, ‘화면 연출’, 코미디 효과를 강화하는 ‘카메오, 자막, 패러디’와 감동과 여운을 주는 ‘내레이션, 음악의 활용’에 대해 살펴본다. 이러한 분류에 따라 제3장부터 제5장까지는 각각의 시리즈들을 꼼꼼히 분석한다. 제3장에서는 ‘엔터테인먼트 드라마’로서 새로운 시도들을 거침없이 감행하면서 뉴케드(뉴케이블드라마) 열풍의 시작이 되었던 <응답하라 1997>의 특징들을 살펴본다. <응답하라 1997>에서의 익숙함과 새로움을 적절히 섞으면서도 로맨스 추리게임을 전면화했던 <응답하라 1994>에 대한 분석은 제4장에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이전 시리즈들에서 축적된 노하우 및 대중들의 반응을 바탕으로 최고 시청률에 도달함과 동시에 가장 격렬한 형태의 팬덤 갈등을 보이기도 했던 <응답하라 1988>에 대해 다룰 것이다. 제6장에서는 위의 분석들을 요약 및 정리하여 제시하면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기대를 밝힘으로써 논의를 마무리한다. 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가 드러내는 예능적 감각들에 주목함으로써 이 텍스트에 대한 새로운 논의들이 생성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한국어 의존 구성 교육 방안 연구 : 담화 기능을 중심으로

        임초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드라마 담화 상황을 통해 담화 기능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의존 구성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한국어 교재는 모든 의사소통의 상황을 담아낼 수 없기 때문에 의존 용언의 기본 의미와 형태 제약을 주로 다룬다. 본고에서는 중급 이상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의존 용언의 기본 의미에서 더 나아가 실제 담화 속에서 어떠한 화자의 의도를 실현시키는 지에 대해 가르쳐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의존 용언은 실제 담화 맥락 속에서는 다양한 의미 차이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재에서는 지나치게 광범위한 개념으로 제시하고 있어 한국어 학습자들이 수업시간에는 의존 용언의 개념을 이해하였으나 실제 발화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거나 어색하게 사용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기능과 의존 구성의 교육 현황을 한국어 교재 분석, 학습자 설문, 한국어 교사 설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의존 용언이 어떠한 결합구성을 통해 화자의 의도를 실현하는 지 드라마 출현 빈도와 예문을 통해 확인한 후, 수준별 학습 단계와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담화 기능 중심의 수업과 교재 활동 중심의 수업의 실험 비교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This dissertation is intended to seek for a teach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with special focus on discourse function through a particular scene from the drama. Materials used fo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cannot convey all the possible situations in conversation. Therefore, a basic meaning and restriction on a form of dependent construction were covered. This dissertation placed a special focus on instruction to be proceeded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in intermediate level or above to apply an intention of a character in specific situations of discourse beyond to educate the basic meaning of dependent construction. Dependent construction indicated various types of disparity in the context of real discourse. However,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suggested the concept of dependent construction in too broad scope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not able to or poorly apply them in a real discourse even though they understood the concept at the class. This dissertation has identified a current status of function and organization based on dependent construction in education through analysis on Korean language materials, questionnaire with learners, and a survey with Korean language instructors. Then, it has been identified how dependent construction realized an intention of a character with what type of combination through frequency shown in the drama and an example followed by preparation for learning stage based on academic level and a specific measure of education. Lastly, an effect of it has been verified through comparison of instruction based on discourse function with textbook activity-oriented 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