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ZnO 나노입자를 전자 주입층으로 이용한 고효율 녹색 인광 역구조 OLED에 관한 연구

        임세진 순천향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양극과 음극을 통해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유기박막 내에서 재결합이 이루어져 빛 에너지를 방출하는 원리를 가진 EL 소자이며 빠른 응답속도, 높은 밝기, 넓은 시야각 및 색 범위, 유연성 및 투명성 기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존재하여 상당히 넓은 분야에 사용이 가능하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AM (active matrix)-OLED의 경우 LTPS TFT 혹은 Oxide TFT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LTPS TFT의 경우 대면적 디스플레이 제작에 있어 수율이나 생산비용 면에서 상당히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형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고 있다. 대면적 디스플레이를 양산하기 위해서는 Oxide TFT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에 사용하는 재료로는 IGZO (Indium Gallium Zinc Oxide)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n-type 성질을 띄고있어 기판에 음극을 쌓는 역구조 OLED를 이에 적용할 시 TFT와 OLED 구조 간 정합성이 높다. 그러나 보편적으로 양극 재료로써 사용하는 ITO (Indium Tin Oxide)를 음극으로 사용할 경우 낮은 일함수를 가지기 때문에 전자 주입 특성이 낮은 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자 주입 및 수송이 원활한 재료를 전자 주입층으로써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산화물 반도체는 높은 이동도 및 n-type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입자 크기를 나노미터 단위로 줄일 경우 bulk 상태와는 다른 전기적, 광학적 특성들이 나타난다. 나노입자의 크기에 따라 특성이 변하기 때문에 넓은 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한 재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화물 반도체 재료 중 넓은 밴드 갭과 열적, 화학적 안정성을 가지는 ZnO (Zinc Oxide) 나노입자를 졸-겔 (sol-gel)법을 이용하여 합성 후 전자 주입층으로써 사용하여 ZnO 나노입자의 산화제에 따른 합성 방법 및 나노입자 크기에 따라 역구조의 인광 OLED를 제작하여 그에 따른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ZnO 나노입자 합성에 사용한 산화제로는 각각 TMAH (tetramethylammonium hydroxide)와 KOH (potassium hydroxide)를 이용하여 약 3 nm 크기의 ZnO 나노입자를 합성하였다. TMAH를 이용하여 합성한 ZnO 나노입자의 경우 균일한 박막이 형성 되었으며 3.37 eV의 밴드 갭을 가지고 전하 주입 및 수송 특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KOH를 이용하여 제작한 ZnO 나노입자는 입자의 뭉침 현상에 의해 코팅성이 저하되었으며 3.24 eV의 밴드 갭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전하 주입 및 수송 특성이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서 두 가지 방법으로 합성한 ZnO 나노입자를 전자 주입층으로써 이용하여 OLED를 제작하였으며 소자의 구조는 ITO / ZnO [TMAH, KOH] / TPBi / CBP: Ir(ppy) / CBP / MoO / Al 의 구조로 제작하였다. TPBi의 경우 전자 수송층으로 사용하였으며 발광층 재료로는 녹색 인광 dopant 물질인 Ir(ppy)를 이용하였으며 발광층 Host 재료와 정공 수송층의 재료로 CBP를 사용하였다. 정공 주입층 재료로는 MoO를 사용하였으며 양극은 Al을 사용하였다. 합성 방법에 따른 ZnO 나노입자를 OLED에 적용시켰을 때 앞서 연구한 전하 주입 및 수송 특성 비교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TMAH를 이용하여 합성한 ZnO 나노입자를 적용한 OLED의 전류효율이 더 우수하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TMAH를 이용하여 합성한 ZnO 나노입자의 입자 크기를 3,5,7 nm로 조절하여 합성하였을 때 입자 크기에 따른 ZnO 나노입자 모두 균일한 박막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입자 크기가 커질수록 전하 주입 및 수송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입자 크기에 따른 ZnO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앞서 제작한 OLED 구조와 동일하게 제작하여 소자의 특성을 비교하였을 때 입자 크기가 증가할수록 소자의 전류효율은 우수하였다. 7 nm 입자 크기를 가진 ZnO 나노입자를 적용한 OLED의 경우 최대 90 cd/A의 전류효율을 달성하였으며 이는 최대 26.19%의 외부양자효율을 달성하였다.

      • 간호사의 업무 요인이 근골격계 관련 건강 이상 증상에 미치는 영향

        임세진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간호사의 근골격계질환 발생 요인 및 건강 이상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간호사의 근골격계질환 예방 관리 시스템 마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신기록 통계와 신기록 사이의 시간간격의 분포

        임세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record in a time series is closely related to the first-passage property, I studied the inter-record time distribution to investigate the record statistics of Lévy walks.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Lévy walk can be classified by 5 different regimes (regime 1~ regime 5) depending on the value of the tail exponent and drift constant. I analytically derive the inter-record time distribution for each regime. From the numerical simulations, I show that the analytic results agree very well with the numerical results. As an interesting application of the obtained results, I also investigate the record statistics in stock price time series in Korea Exchange (KRX) market. Based on the analytic results of inter-record time distribution I find that the records of the stock price in KRX can be well approximated by the Lévy walks in regime 2. In addition, I analyze the records in the Korean housing market, which is also found to be in regime 2 with non-trivial jump length distribution.

      • Alginate Bead내에서의 확산에 관한 연구

        임세진 명지대학교 대학원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세포의 부동화 담체로 이상적인 Ca-alginate 구상체(gel bead)를 선택하여 3가 Al이온으로 후처리하여 이것이 구상체내의 기공확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Sodium alginate는 brown seaweed에 존재하는 다당류의 일종인 alginic acid를 Na염으로 정제한 것으로 다가 금속이온과 이온교환하여 젤화하는데, 본 실험에서는 sodium alginate 1.5%(W/V) 수용액을 액적으로 만들어 50mM 및 100mM 염화칼슘 수용액과 30~60분간 접촉시켜 구상체를 제조하였다. Alginate 구상체는 기공경이 100Å 범위이며 기공율이 99%이상의 구형 microcarrier로 부동화 담체로써 이상적이지만 부동화시 배양액중 주요 성분인 phosphate 이온에 의해 구상체의 기공구조가 파괴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조된 구상체를 50mM 질산알루미늄 용액으로 30분간 후처리하였고, 처리된 구상체와 처리되지않은 구상체를 각각 1000개씩 선택하여 반응온도 30℃시간에 용질로 선택된 L-tryptophan의 시간에 따른 농도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 실험자료를 제시된 확산이론식으로부터 평가한 결과 순수한 물에서의 확산계수(4.02×10^(-4)㎠/min)와 일치함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Al이온 후처리는 phosphate 이온에 대하여 안정화되며 L-tryptophan의 기공확산저항을 야기시키지 않으면서 구상체의 기공구조를 안정화시키는 것으로서 후처리된 alginate 젤 구상체가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이상적인 부동화담체임을 밝힐 수 있었다. A study was performed on the effect of Al ion aftertreatment on diffusion within Ca-alginate gel beads for cell immobilization carrier. As alginic acid is a kind of the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the brown seaweeds, sodium alginate is purified alginic acid with a sodium salt and this becomes to gelation with poly metal-ion(Ca, Cu, Zn, Al etc.) by ion exchange. Sodium alginate 1.5%(W/V) solution was obtained as drops, and was later made to beads contacted in 50mM and 100mM CaCl(2) solution for 30~60 minutes, respectively. Although the pore size of alginate beads was of about 100Å order and its pore structure was suitable for cell immobilization, there was such a problem as the pore structure was destroyed by phosphate anion in culture medium. To bring this problem to settlement, the beads were aftertreated with 50mM Al(NO(3))(3) solution for 30 minutes and the kinetic diffusion study was done measuring the transient concentration of aqueous L-tryptophan solution contacted with one thousand beads with and without Al ion aftertreatment, respectively. It was foun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that these experimental data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bulk diffusion mechanism of L-tryptophan in the pure water system. Since the Al ion aftertreatment made the alginate beads stabilized against phosphate anion and did not give rise to pore diffusion effect within the alginate beads, the pore structure of Al-treated alginate beads may be improved for cell entrapment.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Al-treated alginate beads was suitable for cell immobilization in the view point of physical properties, chemical stability and pore diffusion.

      •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 최적의 해운 물류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 동남아 신흥잠재시장 항만을 중심으로

        임세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중국 항만의 광범위한 개발계획과 조세감면 등의 내부적인 정책으로 환적 물동량의 증가를 꾀함에 따라 우리나라 항만의 환적 물동량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중국의 변화에 대응해서 현재 우리나라는 부산항을 중심으로 물동량의 증가세가 뚜렷한 동남아시아의 신흥잠재시장 지역에 화물 물동량의 환적 거점 항만을 확보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해당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신흥 잠재시장 항만들과 연결해 주는 해운 물류네트워크의 구축을 통하여 신흥잠재시장 내 전략적 환적 거점을 선정하고 구축된 해운 물류네트워크 내에서 최적의 선박 운영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분석과정으로는 우선 동남아시아 신흥잠재시장의 물동량 및 현존하는 해운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후보 대안 환적 거점을 선정한다. 선정된 환적 거점에 대하여 수리 모형을 통해 총 비용 관점에서 비용이 최소가 되는 순으로 최종 대안 환적 거점을 결정한다. 결정된 환적 거점별 해운 물류네트워크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그에 따른 선박 운영전략을 수립하여, 시뮬레이션 방법을 통한 환적 거점별 해운 물류네트워크를 모델링 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총 비용 및 시간 관점에서 최적의 환적 거점 및 환적 거점을 중심으로 한 해운 물류네트워크를 선정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향후 우리나라가 환적 거점에서의 사업 및 투자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어서 전략적 환적 거점을 선정하는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 increasing trend for the transshipment traffic of Busan port in Korea is slowing down because of the extensive development plan of domestic ports in china. For solving this problem, Korea is going on the project for preoccupying the transshipment port for attraction of port traffic from the newly potential markets(NPM) based on the Northeast Asia area. As a part of the project, this paper proposes the efficient methodology for selecting the optimal shipping network, strategic transshipment port and operational strategic of ship within NPM using the mathematical models and simulation analysis. For that, we firstly find the alternative transshipment ports within NPM through the status analysis of the current port traffic and shipping network and then, we choose the candidate transshipment-ports in order of minimizing the transport costs through the mathematical approach. With the scenarios based on the selected transshipment-ports, we perform the simulation analysis for choosing the optimal transshipment-ports and the shipping network minimizing the total costs and times concurrently.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used efficiently when korea select the strategic transshipment-port in the future.

      • 폐광지역의 아카이빙과 도시재생을 위한 활용 : 강원도 폐광지역을 중심으로

        임세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decline of the coal industry, which was the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of modern regions in Gangwon-do, Several development projects were carried out to revitalize the abandoned mine area. Development projects that focus on strengthening urban infrastructure rather than urban regeneration using locality did not show much improvement. Recently, as attention to regional revitalization based on local history and culture has increased, the direction of regional development is changing to urban regeneration based on local history and culture.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nd archiving of abandoned mine area.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rchiving of local identity and memory should be preceded for cultural urban regeneration. It aims to suggest the method of archiving abandoned mine area for the utilization of urban regeneration by insisting on the necessity of organized archiving of coal mine industry heritage and the memory of abandoned mine that disappears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rchiving was analyzed an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of archiving cases abroad and domestic, archiving methods and urban utilization for urban regeneration in the abandoned mine area of Gangwon-do were proposed. Archiving coal industry heritage and inhabitants' memory in abandoned mines area has the meaning of documenting and preserving the unique history, memory and evidence of the region through records representing the locality of the region. In deciding the subject, scope and method of archiving the abandoned mine area, the local conditions and appropriate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this, the abandoned mine archives are expected to be the core of the local archiving and regional development as an information hub center for local record contents development, education and research, and urban regeneration. 강원도의 근대 지역 성장의 동력이었던 석탄산업의 쇠퇴로, 낙후된 폐광지역을 다시 활성화하고자 여러 개발사업이 이루어졌으나 지역의 정체성을 활용한 도시재생보다 도시의 기반시설 강화에만 치중한 개발사업은 큰 개선 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최근에는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지역 활성화에 대한 주목이 높아짐에 따라, 지역개발의 방향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도시재생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문화적 도시재생과 폐광지역 아카이빙의 상관관계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원도 폐광지역이 지향하는 문화적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지역의 정체성과 기억에 대한 아카이빙이 선행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시간의 흐름과 도시개발 논리에 따라 사라져가는 폐광촌의 기억과 석탄산업유산에 대한 체계적인 아카이빙 필요성에 대하여 주장하며 도시재생의 활용을 위한 폐광지역 아카이빙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국내 아카이빙 현황을 분석하여 시사점과 한계점을 도출하였고, 해외 폐광지역 아카이빙 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강원도 폐광지역의 도시재생을 위한 아카이빙 방안과 그 활용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강원도 폐광지역의 석탄산업유산과 주민기억을 아카이빙하는 것은 지역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기록을 통하여 지역이 가진 고유한 역사와 기억, 증거를 기록하고 보존한다는 의의가 있다. 이를 적극적으로 아카이빙하고 활용함으로써 지역의 기록이 이어지고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활용도 가능하게 된다. 폐광지역 아카이빙의 주체 설정부터 대상과 범위, 방안을 정함에 있어서 지역의 환경과 적절한 방법을 고려하여 진행하여야 한다. 이를 통하여 지역아카이빙에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폐광지역의 기록이 보존될 수 있다. 강원도 폐광지역 아카이브는 기록의 보존을 넘어, 지역기록콘텐츠 개발이나 교육 및 연구, 도시재생으로 활용을 위한 정보허브센터로서 지역기록의 아카이빙과 지역 발전에 중추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Collaborative filtering을 활용한 온라인쇼핑몰 이용고객별 상품 추천 방안 연구 : 주 구매 카테고리 중심으로

        임세진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E-commerce business continues to grow, with companies using different marketing strategies. A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is one of the differentiated marketing methods which can attract a better response from individual customers. Customers are all individuals, with different characters, interests and behavior. Nevertheless, many E-commerce companies have been undertaking marketing activities aimed at all customers with the same product at the same events with the same message. Understandably, customers soon tire of seeing irrelevant information in repetitive messages. On the other hand, if the products you want to buy, your favorite items, and the content you want to see contain relevant advertisements and come to you as messages, your interest and the likelihood of a purchasing action will increase. Therefore, E-commerce businesses which make good use of such targeting will grow more successfu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mplement the logic behind selecting and recommending products that are suitable for individual customers with different interests and tendencies by using the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within the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system". This aims to increase customer interest and activity on the website, thereby helping companies to formulate their business strategy. Using Collaborative Filtering logic, it is possible to select a product to recommend to each customer based on the similarities between items and between buyers. By applying this logic to the website and APP of each business, it can then be further sub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business platform. Collaborative Filtering is intended to increase customer response rate (message click rate and purchasing conversion rate) and increase the number and size of related transactions by targeting recommended products for each individual, rather than recommending the same product to all customers. Utilizing this personalization recommendation logic and continuing to improve accuracy will be a major factor for e-commerce companies in establishing their business direction and strategy. 온라인 쇼핑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그에 따라 쇼핑몰들마다의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해 가고 있다. 이 차별화된 마케팅 방식 중 각 개개인인 고객들에게 보다 높은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방법이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이다. 고객들은 각기 다른 성향을 가진 개인이기에 모두 동일한 관심사와 행태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많은 쇼핑몰들은 모든 고객들에게 동일한 상품과 동일한 이벤트로 마케팅 활동을 해 왔다. 그리고 고객들은 자신과 상관없는 이 상품, 저 이벤트를 자신에게 계속 보여주고 발송하는 것에 대해 큰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 만약 자신이 지금 구매하려고 했던 상품, 좋아하는 아이템, 읽고 싶은 컨텐츠가 광고에 노출되고 메시지로 온다면 이에 대한 관심도와 호감도, 더 나아가서 구매하려고 하는 액션 비중이 높아질 것이고 이로 인한 피로도는 감소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적절히 잘 활용하는 쇼핑몰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이렇게 각기 다른 관심사와 성향을 가진 고객들 개개인에게 그들이 원하는 잘 맞는 상품을 선택하여 추천해 줌으로써 고객의 관심과 사이트 내에서의 활동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아이템간의 유사성 및 구매고객간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각 고객들에게 추천할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이 로직을 좀더 강화하여 비즈니스 플랫폼에 적용시킴으로써 모든 고객에게 동일한 상품을 추천했을 때 보다 각 개인에게 추천된 상품을 노출하였을 때 고객들의 반응률(메시지 클릭률 및 구매전환률) 증가 및 연관거래액 증대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개인화 추천 로직 고도화를 통해 비즈니스의 방향성이나 전략을 수립하는 데 큰 전환점이 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연구개발비의 자본화와 기업가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임세진 부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world with rapid technology change and globalization with open market, many companies are doing their best to gain competitive edge over other companies. In order to survive and pursue their business, company needs to satisfy customer needs by provide outstanding products, develop new technology, improve current product line and innovate production process. In order to satisfy these factors, Investing in R&D is very crucial in company’s management. Although many previous studies show that R&D expenditure give positive effect on company’s value, degrees of this effect varies depend on many factors. This paper reviews effect of capitalization rate of R&D expenditure on company’s value by examining 547 manufacturer companies from 2006 to 2010 using Ohlson model. First, assuming that current accounting treatment restricts capitalization rate of R&D expenditure, we made hypothesis that there is influence of R&D expenditure on corporate value. Based on our test on hypothesis, we conclude that market favors expensing R&D expenditure and market trusts non-capitalized company because C.E.O. do not interfere much. Second, based on conclusion from previous studies that high technology industry with high R&D expenses lacks explanation of corporate value on accounting information, we tested the relationship of capitalization rate of R&D expenditure based on the type of industries. Our result shows that expensing R&D expenditure increases company’s value on both high technology industry and non-high technology industry. But there was greater influence on high technology industry with high R&D expenditure. Third, we tested hypothesis that there is an effect of capitalization rate of R&D expenditure on company’s value based on the size of company. Our result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based on the size of company. Fourth, we tested hypothesis that there is effect of capitalization rate of R&D expenditure on company’s value based on concentration of R&D expenses. Our result shows that there is greater effect on company with high concentration on R&D expenditure than low concentration. Also, we found out that concentration of R&D expenditure has greater effect on company’s value than capitalization rate of R&D expenditure. This shows that it shows more responses from amount of R&D expenditure than method of accounting with R&D expenditure. Last, we investigate effect of R&D expenditure on company’s value and growth based on capitalization rate. We found that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R&D expenditure and company’s value when growth rate is high. This study investigate various factors that are relate to capitalization rate of R&D expenditure using empirical analysis. However, in order for a company to find out amount of money that was spend on R&D expenditure, it needs to use figures from company’s financial statement. These amount might be different from actual money that was spend due to differences in title of accounts, terminology and various methods of accounting. Also, this study shows its limit because it was investigated in the middle of transition in accounting standard from K-GAAP to IFRS. Since this affects various factors that were used in our hypothesis, further studies will need to analyze correlation of capitalization rate, concentration and relationship of R&D expenditure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IF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