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기확산모델링을 이용한 화학사고 건강위해성 평가기법 개발

        이해주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Chemical material leakage accidents that threaten environment and human are happening frequently.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bout 200 chemical-related accidents have taken place in Korea during the past three years. Also, the number of accident occurrence is increasing rapidly. One of the ways to reduce the impact of these chemical accidents is risk assessment: predicting the degree of residents’ damage surrounding the accident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risk assessment model that predicts the degree of hazard and severity of toxic substance leakage accidents. The risk assessment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use a deterministic method that calculates the average daily dose for each exposure route by applying different exposure coefficients depending on gender and age. Material concentration predicted by an atmospheric dispersion model is used in exposure rate calculation. The SF (slop factor) and RfD (reference dose) values obtained from the database of US 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IRIS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are applied for dose-response assessment. The model was developed as a Fortran code. To evaluate the code, a test simulation was conducted for the risk assessment of surrounding residents in which benzene was leaked for an hour from a storage tank located in Yeosu industrial complex. Carcinogenesis risk was calculated over Yeosu area from the average daily dose, which was then multiplied by population to calculate the degree of damage. The results were represented on the map to grasp the risk and damage degree. Keyword: Chemical Accident, Risk Assessment, Atmospheric Dispersion Modeling, Average Daily Dose, Carcinogenesis Risk, Damage Degree

      • 영어 듣기 불안과 듣기성취도의 관계 : 일반계고와 특성화고 학생의 차이

        이해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영어 교육이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는 데 초점을 맞추면서 듣기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듣기의 저해 요인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교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생과 특성화 고등학생의 영어 듣기 불안을 측정한 후, 이들의 불안과 듣기성취도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고 비교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듣기 불안의 감소 방안과 영어 듣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8년 4월에 전남 소재의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52명과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45명을 대상으로 영어 듣기 불안 설문지를 활용하여 불안의 양상을 측정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들의 듣기성취도는 전국 영어듣기 능력평가의 점수를 활용하였다. 듣기 불안은 긴장감으로 인한 듣기 불안, 자신감 부족으로 인한 듣기 불안, 외부환경으로 인한 듣기 불안의 총 3 요인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반계 고등학생과 특성화 고등학생의 듣기 불안 요인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일반계고와 특성화고 모두 외부환경 요인, 자신감 부족 요인, 긴장감 요인의 순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였으나 모두 보통 수준의 불안 정도였으며 특성화 고등학생의 듣기 불안이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듣기 불안과 듣기 성취도는 전체 참여자의 긴장감 요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일반계 고등학생의 경우 자신감 부족 요인과 듣기성취도의 상관관계가 미약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외에는 모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영어 듣기 불안은 보통 수준이나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좀 더 영어의 노출 빈도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nglish listening anxiet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vocational students in Korea. It also aims to compare their relationships between listening anxieties and English listening achievemen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to reduce those anxieties and educational directions of English listening. For this research, 52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45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on listening anxiety. Participant students’ scores on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were collected to indicate students’ listening achievement. Three factors of listening anxiety (tension-worry, the lack of confidence, and external environment) were measured using the questionnai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factors and listening achievement were investiga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listening anxiety factors betwee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groups of students felt a similar level of listening anxiety although it was found tha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had slightly higher level of listening anxiety tha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mong the items in tension-worry, both groups were found to feel anxious mostly when they were in communicative situations such as meeting English native speakers or talking to them on the phone. While the lack of confidence showed the lowest mean score of listening anxiety, many of the participants were apprehensive when they didn’t understand every word while listening activity. Listening anxiety due to external environment showed the highest mean score in both general and vocational students. Especially, they felt had anxiety when the speaker talked fast or used unfamiliar accent. Second, it was found that listening anxiety and listening achieve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only with tense-worry factor of all participants and other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m, only the lack of confidence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had a non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The study also presented pedagog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 삼국시대 불상의 미의식 연구

        이해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47

        불상에는 절대자에 대한 인간의 인식과 그 시대를 풍미하는 당대의 미적 취향이 그 시대 특유의 얼굴로 자연스럽게 담기게 된다. 따라서 깨달음을 얻어 해탈한 자를 형상화한 불상은 사람들에게 초인적인 존재로써 혹은 이상적인 인간상으로써 제시된다. 이때 주목해야 할 것은 이상화 되는 배경에 경전·교리적인 요소와 더불어 그것으로는 환원되지 않는 가치가 더불어 투영된다는 점이다. 그 대표적인 가치가 바로 미(美)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불상에 투영된 미와 그것을 배태한 미의식을 불상을 만드는 사람과 보는 사람, 그리고 불상의 상호지향적인 관계를 통해 고찰했다. 첫째, 한국 미술과 불교 미술에 서구 미학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불상의 가치를 왜곡하는 것은 아닌지 검토하기 위해 고대 한국 문화와 불교 사상에서의 미의 위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를 토대로 경전이나 교리로 환원되지 않은 예술작품으로서의 불상의 성격을 고찰하여 그 미적 특성을 서술했다. 둘째, 삼국시대 불상의 조형사상과 구도적 역할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불상 조성의 배경이 되는 문화적 기제와 그 지향점을 살펴보았다. 셋째, 삼국시대 불상의 시기별 양식 변화상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미적 특질을 파악하였다. 넷째, 이러한 미적 특질을 배태한 미의식을 도출하였다. 다섯째, 미와 양식의 본질과 변천을 해석과 전통, 그리고 미의식과 전통의 관계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한 삼국시대 불상의 미의식은 원만(圓滿), 무애(無碍), 화합(和合)이다. 원만은 상호의 둥근 맛과 표정의 온화함과 같은 미적 특질로 표현되는 인격미를 가리킨다. 만약 부처의 신체적 특징을 규정한 32상 80종호의 제 규정이 구체적·특정적이었다면 사람들은 그것을 붓다의 전형으로 받아들여 그 표현에 집착했을 것이다. 그러나 부처의 외모 규정이 개성적이라기보다는‘달과 같은 얼굴’,‘초승달과 같은 눈썹’,‘사자 같은 모습’과 같이 정형화된 형용으로 제시됨으로써 나머지 부분은 만드는 사람과 보는 사람의 상상의 몫으로 남겨졌다. 그로 인해 상호(相好)는 조각가와 불상 그리고 관자(觀者)의 상호지향적인 관계 속에서 형성될 수 있었다. 무애는 입상과 반가사유상의 형식과 자세에 발현된 거리낌 없음,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특질을 낳은 가치관을 가리킨다. 정신은 신체를 통하지 않고서는 표현될 수 없으므로 조형에서 자세는 곧 정신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입상과 반가사유상에 드러나는 자세의 특징은 정적(靜的)인 가운데 동적인 생명감을 추구하는 데 있다. 이렇게 해탈한 자의 모습을 지극히 평범한 모습으로 제시한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깨닫고자 하는 마음을 갖게 하는 데 긍정적인 계기로써 작용했을 것이다. 화합은 삼존상에서 조화와 균형을 시각적으로 구현한 미적 가치관이다. 삼존불에서는 좌우(左右)·남녀(男女)·존비(尊卑) 등 통상적으로 대립적이라고 인식되는 개념이 상호교통적인 개념으로써 조형된다. 즉, 겉보기에는 대립적이지만 서로가 서로를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 서로 힘을 보충하는 관계라는 사실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것으로, 이에 삼존불은 대립을 뛰어넘어 조화를 이룰 때 최고의 생명력을 낳게 된다는 관념을 공간 구조 가운데 구현한 좋은 본보기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불상의 미에 대한 논의에는 불상이 삶의 맥락에서 인간에 의해, 그리고 인간을 위해 제작된다는 측면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할 때 비로소 삶의 맥락과 인간적 가치와 단절되지 않은 불상의 미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불상의 미를 고립시켜 이해할 경우 그 시대와 상호작용했던 불상 본연의 풍부한 생명력은 간과될 것이다. Statue of the Buddha naturally includes human awareness toward the absolute and aesthetic taste of the day as unique face of the period. The important thing is that statue of the Buddha reflects not only doctrine elements but also values unable to be reclaimed with idealized background. The representative value is beauty.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beauty in statue of the Buddha and the relation among persons who create statue of the Buddha and observers who see statue of the Buddha with aesthetic consciousness. The method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xamine if applying the western aesthetic concept for Korean art and Buddhist art distorts the value in statue of the Buddha or not, ancient Korean culture and the status of beauty of Buddhism wer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not returned to statue of the Buddha or doctrine in statue of the Buddha as artworks were figured out to describe the aesthetic attribution. Second, modeling idea in statue of the Buddha under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nd salvation role were presented to show cultural base compound and the directing point. Third, after analyzing style changes in statue of the Buddha according to period, specific aesthetic characteristics was realized. Fourth, aesthetic consciousness ba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was deducted. Fifth, relation between interpretation and traditio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radition were examined in essence and changes according to beauty and style. The deducted aesthetic consciousness in statue of the Buddha under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is Wonman(圓滿), Muae(無碍) and Hwahab(和合). Wonman refers to the beauty of personality expressed aesthetic characteristics such as mutual round beauty and gentleness in face. If the rules to define physical characteristics in statue of the Buddha according to 32 statue and 80 species(32相80種好) was specific and detailed, people would be obsessed with the expression, while accepting that as model of Buddha. The appearance of Buddha presents formulaic adjective such as 'face looking like the moon', 'eyebrow like statue of the Buddha', and 'figure like a lion' instead of individuality, which helps viewer and creator imagine the rest. Thus, it could form a relation of tendency toward support among sculptor, statue of the Buddha and viewer. Muae refers to values not involved with form and unrestrictedness based on forms and posture in standing statue and a thinking Buddhist image. Since spirit can be expressed through body, the posture of formation indicates the reflection of spirit. The characteristics of posture in standing statue and a thinking Buddhist image is to pursue an active feeling of vitality in the middle of stillness. The reason why to describe appearance of a person showing nirvana might have a positive effect on helping people to realize the truth. Hwahab is aesthetic value to realize balance and harmony visually in three statues of the Buddha. In case of three statues of the Buddha, opposition concepts such as right and left, male and female, dignity and lowness are formed mutually. That is, though they look oppositive, they include and supplement each other as a visual expression, which shows three statues of the Buddha surpasses opposition in balance to present the best vitality in the middle of space as a proper example. In the light of research, the aspect that statue of the Buddha is produced for human and by human should be considered for discussion of beauty in status of the Buddha as context of life, which support to understand the beauty in status of the Buddha involved with human value and context of life. Otherwise, the full vitality of status of the Buddha that communicated with the age would be ignored.

      • 청소년의 성품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이해주 총신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독교교육 안에서 성품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것은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까지 자라가라”(엡4:13)는 하나님의 명령에 순종하는 것이며, 복음전도와 영적인 성숙이라는 교회의 본질에도 부합되는 일이다. 그런데도 그동안의 교회교육이나 각종 기독교 단체의 교육에서 성품교육은 아예 무시되거나 일반 인성교육으로 오해하여 “있으면 좋고 없어도 그만”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생각이 한국교회와 신자들의 삶에 큰 고통과 좌절을 가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회와 기독교학교의 청소년들에게 성경적인 성품을 계발시켜 주기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것을 통해 교회나 기독교 단체에 속해 있는 청소년은 물론, 교회의 모든 연령층에 적용할 수 있는 성품교육의 준거 틀을 마련하고, 실제 수업에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진행 안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첫째 성경적인 성품교육에 대한 이론적인 배경을 조직신학적, 발달심리학적, 교육학적 접근으로 연구했고, 둘째 성품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성품교육의 특징을 고려한 성품수업 안에 대한 준거 틀을 마련했고, 셋째 이것을 기초로 청소년 문제의 가장 큰 원인 중에 하나인 올바른 가치관의 실천, 즉 솔선에 초점을 맞추어서 교회와 기독교학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성품수업 교수-학습 진행 안을 만든 후 이것을 분당에 있는 독수리기독중고등학교에서 실제 수업으로 진행한 결과를 질문지법에 의해 조사하고 평가했다. 이러한 연구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품교육에는 신학적 배경뿐만 아니라 발달심리학적 배경과 기독교교육학적 배경이 필요하며, 이것이 성품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뿌리가 된다. 또한 성품교육은 성화에 속하기 때문에 그 궁극적인 힘의 원천은 하나님이지만, 그러면서도 인간의 노력과 협력이 필요한 부분이다. 이것을 위해 우리는 인간의 내면에 대한 연구와 인격의 3요소인 지성, 감정, 그리고 의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과연 무엇이 인간을 움직이고 행동하게 하는가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을 가져야 한다. 이와 더불어 인간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인격의 3요소인 지·정·의에 주목해야 하고, 지·정·의가 함께 변화되지 않으면 인격의 변화가 어렵다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둘째, 성품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인간의 내면에 초점을 맞추고 인격의 3요소를 모두 다룰 뿐만 아니라 지·정·의 각각에 맞는 교육과정을 만들어야 하며, 청소년과 성품교육의 특징에 맞는 학습방법과 교수법을 선정해야 한다. 또한 교육내용의 조직은 청소년의 흥미와 필요를 고려할 뿐만 아니라 학습에 대한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심리적인 순서와 논리적인 순서를 다 고려한 절충식 배열을 취해야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셋째, 이렇게 만들어진 성품수업 교수-학습 진행 안을 가지고 실제 기독교학교에서 수업을 진행한 결과는, 학생들이 성품의 개념에 대한 숙지, 즉 인지적인 면에서는 많은 발전이 있었으나, 성품의 실천에 큰 영향을 주는 정서적인 면에서는 아직 동기부여가 부족했고 학생들의 자세나 태도를 바꿔줄 수 있는 방법을 좀 더 강화할 필요가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의지적인 면에서는 인간의 의지가 인지적인 깨달음과 정서 문제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앞으로 인간의 지·정·의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좀 더 진행하여 성품교육의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앞으로의 성품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에 도전이 되고, 나아가서 한국교회와 기독교학교, 또 기독교 가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성품교육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촉매제가 됨으로써 한국교회와 기독교 단체의 실천적인 기독교교육에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 기독가정에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 신앙성숙도를 매개변인으로

        이해주 총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자존감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는 과정에 있어 이 둘 사이에서 신앙성숙도가 중요한 매개효과를 보일 것으로 가정하고, 더 나아가 매개과정에서 완전매개가 이루어지는지 부분매개가 이루어지는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의 한 기독대학교에 다니는 남녀 대학생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대한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2를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16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기독대학생의 부모 양육태도가 자녀의 자존감과 신앙성숙도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독대학생의 신앙성숙도가 자존감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기독대학생의 부모 양육태도가 자녀의 신앙성숙도를 매개로 하여 자녀의 자존감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의 최종 모형은 부분매개모형으로 밝혀졌으며,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자존감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정한 본 연구의 모형이 타당한 모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를 통해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존감 사이에서 신앙성숙도가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결과 기독교 가정에서 부모의 잘못된 양육태도에 의해 손상된 자녀의 자존감을 자녀 스스로의 신앙성숙을 위한 노력을 통해서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ume that faith maturity shows an important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elf-esteem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parents’ rearing attitude on self-esteem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nd furthermore to test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is perfect mediation or partial mediation. For this study, 239 of male and female students enrolled at Christian university in Seoul were surveyed, and for the statistics process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 an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1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rearing attitude to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had an directly positive influence on self-esteem and faith maturity of children. Secondly, faith maturity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had an directly positive influence on self-esteem. Thirdly, Parents’ Rearing Attitude to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had an indirectly positive influence on self-esteem through the medium of faith maturity of children. Therefore, the final model of this study was proved a partial mediation model and the model of this study that assumes that parents’ rearing attitude affects self-esteem of childre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was verified as a reasonable model. Also, through this model it was verified that faith maturity shows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elf-esteem of children. So the self-esteem of children harmed by parents' wrong rearing attitude in christian family was identified the possibility to be overcome through children's own effort for faith maturity.

      • 漢城 都邑期 百濟人의 美意識 考察 : 風納土城 出土 百濟土器를 中心으로

        이해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美意識은 어떤 대상에 대상적 특성 혹은 의미를 부여하는 주체이며, 대상을 대하는 방식이자 태도이다. 美의 주된 성격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더욱 구체화될지언정 전혀 다른 성질의 것으로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美意識을 통해서 시대의 변화상을 포괄하는 주된 성격을 살펴볼 수 있다. 美意識에 담긴 전통성을 강조하는 까닭은 靑磁나 白磁에 선행하는 백제 토기에서 이미 그 原型이 되는 美感이 싹텄을 것임을 환기시키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단순·소박미로 귀결되는 한국의 美感을 조선의 도자가 대표하고 있지만, 그것은 백자에 이르러 비로소 비롯된 것도, 비단 백자에만 국한되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이미 백제의 토기를 통해 구현되고 있었던 것이다. 풍납토성 토기에 구현된 백제인의 미의식은 自然美的 立場과 規範美的 立場으로 고찰될 수 있다. 우선 전자의 입장으로는 器形의 적당한 이지러짐이 주는 경쾌한 율동미 내지는 음악성을, 부분에 있어 세밀하지 않지만 그것이 전체적으로 어우러져 어색하지 않아 보이는 순박함을 느낄 수 있다. 형태가 좌우대칭이 아니어서 오히려 자연스럽고 느긋하다. 완벽에의 강박에서 벗어나 그것으로부터 무심해짐으로써 획득한 차원 높은 멋스러움은 토기 제작 기술력의 한계 노정과는 거리가 멀다. 그것은 백제인의 생활 속에 내재한 낙천성 내지 자연 순응성의 발로라 여겨진다. 백제 토기를 통해 드러나는 아름다움의 진수는 이렇듯 잔재주를 부리지 않고 마음을 비우는 데서 비롯된다. 이런 요소들에서 단순함, 소박함, 질박함 등의 自然美가 도출된다. 이에 반해 규범적인 입장으로 파악되어야 할 미의식도 분명히 존재한다. 풍납토성의 층위는 네 개의 층으로 구분되는데, 상층부로 가면서 고급화된 有蓋器種과 儀器들이 출현하면서 점진적으로 세련된 면모를 갖춰간다. 향상된 기술력은 재질을 견고히 하는 기능적인 역할 외에 제품을 정돈되고 품격 있어 보이게 하는 등의 심미적 요소가 작용한 것이다. 이런 기종들은 고위 계층에서 우선적으로 사용했을 것이니, 상층부로 갈수록 양질의 토기가 제작되는 것은 사회의 계층 분화와 유관한 것으로 보인다. 즉 시간 경과에 따른 토기의 고급화 추세는 제작 기술력의 향상 이상을 뜻한다. 또한 발전된 기술이 기존의 전통을 단절시키지 않고 점진적·단계적인 양상을 보이는데, 이로 인해 ‘토기 문화의 연속성’의 맥락 내에서 技術과 審美의 변화를 탐지할 수 있다. 풍납토성에서 출토되는 고급화된 기종의 차별성은 단순함을 잃지 않은 가운데 격식을 갖춘 고전적인 꾸밈새로 정리된다. 기대나 고배 등에서 느껴지는 整齊美는 바로 단순하면서도 절제된 形과 線에서 비롯된 것이다. 여기서 형식성, 정제성, 현실성 등의 規範美的 要素가 추출된다. 풍납토성 토기의 미의식이 이렇듯 양면에서 고찰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토기가 완벽에 대한 강박 관념을 보이지 않는 탓에 핵심적인 정서에서는 자연성이나 규범성의 경향이 초월되면서 상통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풍납토성 토기의 근간을 이루는 것은 ‘자연미’이지만 미학 체계와 정치 체제의 유기적 관련 속에서, 이미 규범미적 요소 또한 이후 전개되는 고전적이고 세련된 그릇 역사의 萌芽로 배태되고 있었음을 살필 수 있다. This study endeavored to describe the Paekje potteries in aesthetic point of view in order not to simple explain the style but also to containing hearts, gestures and expression of the Paekje people. The aesthetic of harmonious the Paekje that blend into nature; the beauty of potteries created by an unknown pottery maker; handicrafts where simple sense of beauty is manifested in every life that have filtered into the lives of the people-each volume containing their living. All the creations are made by the will to model on the nature. Potteries excavated from Pungnaptoseong were not exception to that point. They were another nature made by the Paekje. Potteries previously stated, have the unrestrained freedom-the simple, the artless, the plain. And it also have the dignity, the refinement, and the reality. It shows how to Paekje people have successfully cope well with their own beauty of art midst of correlation between natural beauty and physical beauty. But both of them came from natural beauty inherited in Paekje people. Principal current is a "natural beauty", but also physical beauty is in a germinal stage clearly. Both of the beauty of natural and physical of the people who get well over the difficulties of living and display their ability all the more at such times, and of the art of Paekje which preserve a sense of optimism. The design, the sense of space, the humor, and the elegance of the potteries were introduced because they represented the identity of the Pakje. The aesthetic and periodic taste of Paekje people at middle of the history of art fully showed the introducing and model on nature that had happened the magnanimity and the high spiritual state full of vital power; for example the full moon shape jar and the egg-shaped pottery. In this study described the essence of Paekje beauty as a "natural beauty", "a craft of non craft", which excluded one's self and minimizes artificial traces as much as possible, and tried to find where the characteristic came from. Nature; live with nature and fallow nature; might be one of the sources. It maintains that an optimistic view of life also had a great effect an Paekje art. Due to this respect of nature, a nature oriented culture has been formed. As a result, nature became the primary and building the secondary; potteries was used as it was, that is, untrimmed.

      • CPTED 기법의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적용성 연구

        이해주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Design Seoul Guidelines requires not only design consideration but various complements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One of them is reducing public space users’ fear of crime and adopting CPTED strategies for safer public space.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PTED in public space by analyzing linkability between Design Seoul Guidelines and principles of CPTED. For this, we checked if each items of Design Seoul Guidelines has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6 CPTED Principles and conducted observation survey and estimated pedestrian´s satisfaction of safety. As a result, items of public space and public facilities design guidelines showed wide applicability to CPTED principles. After the enforcement of business, improv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PTED from the previous show the difference in the score depending on whether the business enforcement design Seoul street. Furthermore, a result of pedestrian´s fear of crime showed that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est Group in theft, robbery, sex crimes and assault and pedestrian´s satisfaction of Test Group was higer than satisfaction of Control Group in ensuring visibility, brightness of the lighting, maintenance items. In particular, The top three satisfacion after the project was ease route using the signal, ensuring visibility and sidewalk and roadway seg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 in crime rate based on crime data, unlike the results of crime experience questionnaire was analyzed project and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in crime rate designs Seoul street.

      • 벼 유래 글루타티온 전달효소의 클로닝, 발현 및 특성 연구

        이해주 중앙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lutathione S-transferases are a family of enzymes catalyzing the conjugation of glutathione to a wide variety of hydrophobic substrates with electrophilic centers, including drugs and xenobiotics. Genome sequencing of the Oryza sativa japonica revealed a gene which had high sequence similarity to the genes encoding the GST of other sources. The gene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as overexpressed in E. coli with the pET vector system. The expression was induced by the addition of 0.4mM isopropyl-β -D-1-thiogalactopyranoside(IPTG) and the cells grown in the presence of the inducer for various times. The GST was purified by glutathione-Sepharose affinity column. The molecular weight of Oryza sativa GST was determined to be approximately 28kDa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55kDa by gel chromatography, indicating a homodimeric structure. The enzyme was retained on GSH affinity column and the Km value for GSH was 0.35mM. The GST displayed high activities towards 1-chloro-2,4-dinitrobenzene, a general GST substrate, 1.2-epoxy-3-( р-nitrophenoxy) propane and cumene hydroperoxide. Oryza sativa GST was senstive to inhibition by S-hexyl-GSH, benastatin A and hematin.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on GSH-CDNB conjugation reaction by the enzyme were 9.0 and 45℃. Also, the midpoint of the temperature-stability curve was approximately 52℃ for the enzyme. The classification of Oryza sativa GST as belonging to the theta class was confirmed by substrate specificity and sequence homology with plant GSTs from the theta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