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인슈타인링 관측을 위한 코로나그래피

        이선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아인슈타인 링 묘사 광학계와 엑시콘렌즈를 이용하여 코로나그래피(Coronagraph)를 구상하고 아인슈타인 링 관측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기초연구이다. 엑시콘 렌즈의 특성을 이용하여 상을 외반(Evagination)시키고 그 사이에 어포다이징 조리개를 위치하여 코로나그래피를 구현하였다. 또한, 비구면 원뿔렌즈를 이용하여 아인슈타인 링 묘사 광학계를 구현하였으며, 측면에서 태양을 묘사하고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를 이용하여 아인슈타인 링과 태양의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만들어 주었다. 비구면 원뿔렌즈를 이용하여 아인슈타인 링 묘사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아인슈타인 링 형상의 광원을 측정하였다. 또한, 아인슈타인 링 중심부의 밝은빛을 제거하기위한 방법인 코로나그래피 장치를 구섬함으로써, 엑시콘 렌즈에 의한 외반현상을 관측할수 있었고, 조래개의 개방 정도에 따라 중심부의 밝은 빛을 완전히 차단하여 아인슈타인 링의 이미지만 획득할 수 있었다.

      • 모바일 앱 서비스에서 정보제공의도에 관한 연구 :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을 중심으로

        이선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SNS, 전자상거래, 위치기반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모바일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서비스를 제공할 때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활동정보를 요구하고 수집 및 이용한다. 최근 기업의 무분별한 정보 수집과 부적절한 이용으로 각종 프라이버시 사건과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는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산업으로 인해 높아진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를 수집과 이용 단계로 구별하고,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의도를 프라이버시 염려와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은 사용자가 주어지는 서비스의 혜택과 위험을 프라이버시 관점으로 비교하고 이러한 결과가 정보제공의도와 같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SNS, 전자상거래, 위치기반서비스에서 나타나는 사용자의 태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모바일 페이스북, 배달의민족, 카카오택시 세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프라이버시 염려와 프라이버시 계산 요인의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세 가지 애플리케이션에서 나타나는 프라이버시 염려와 서비스 혜택, 위험의 회귀분석 및 조절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업의 개인정보 수집과 이용에 대한 염려를 높은 그룹과 낮은 그룹으로 나누고, 그룹별 애플리케이션의 사용빈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모든 애플리케이션에서 프라이버시 계산 요인인 서비스의 혜택이 정보제공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프라이버시 계산의 또 다른 요인인 위험의 경우 모든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제공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에 결과로는 카카오택시에서 혜택이 정보제공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수집에 대한 염려가 조절변수로써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서비스에서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의 결과가 PC 사용에 의한 웹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다르게 작용할 수 있고,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프라이버시 염려의 조절효과도 서비스의 종류마다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서비스 제공 업체들에게 모바일 서비스 개선을 위한 연구의 실증적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반직관적 결과들을 기초로 모바일 상의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이나 프라이버시 역설 이론에 관한 후속 연구들의 참고가 될 수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services are being implemen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NS, e-commerce, and location-based services. The service providers request, collect and use the user’s personal and activity information when providers offer the service. Recently, various kind of privacy incidents and problems have arisen due to indiscriminate information collection and improper usage by companies. As a result, users' privacy concerns are increasing continual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tinguish users' privacy concern raised by the mobile industry to ‘the collection’ and ‘use’ stages. Also we want to examine intention of users who provide information to use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s of privacy concern and the privacy calculus theory. The privacy calculus theory explains users compare the benefits and risks of a given service in terms of privacy, and these results affect decisions like information provision. In this paper, we collected data on privacy concern and privacy calculus factors from three main applications of mobile Facebook, Baemin, and KakaoTaxi to examine differences about user attitudes in SNS, e-commerce, and location-based services. We perform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n respective applications. We also divided the concerns of collecting and using personal information into a high group and a low group, and examin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frequency of use of each group applic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benefit of service, which is a factor of privacy calculus, significantly affects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ntion in all applications. However, The results show that another factor of privacy calculus, risk, do not affect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ntion of all applications.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s, when the benefits of the KakaoTaxi affect the information providing intention, the concerns of the colle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as a moderator variabl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sults of the privacy calculus theory in mobile services can be different from the phenomenon that appears on the web by using PC and also may vary following the type of service. It also shows that the moderator effect of privacy concerns can be different in the type of service. This results can be used as an empirical data of the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of the mobile service to the service provider. It can be a reference of the follow-up studies on the privacy calculus theory and the privacy paradox theory of the mobile on the basis of the anti-intuitive results.

      • 플라톤 초기 대화편의 '지식' 개념 : 『메논』편을 중심으로

        이선필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mall thesis is to explore the Plato´s concept of ε'πιστη'μη in the early dialogues. For this purpose, I´ve focused on the concept of ´knowledge´. First, I analyzed the concept of ´knowledge´ mainly in Plato´s early work which is called Meno. Second, I compared a few ancient philosophers´ concept of knowledge such as Aristotle, Gorgias, Heracleitos etc. Aristotle divides knowledge into five parts. They are art(τε'χνη), scientific knowledge(ε'πιστη'μη), practical wisdom(ΦρΟ'νησζ) philosophic wisdom(σΟΦι'α), and intuitive reason(νΟυ^ζ). But Plato doesn´t divide knowledge into five parts. Plato´s knowledge is the concept includes all of them. In general, the knowledge is the theoretical knowledge that is separated from practice and that is understood as the principle of science. But Plato´s ε'πιΟτη'μη isn´t only the theoretical knowledge. 1. Plato´s ε'πιστη'μη contains not only the theoretical knowledge about something but also the ability which is able to do something. A shoemaker who has ε'πιστη'μη knows the principle of being a good pair of shoes. And he can really make a good pair. Accordingly ε'πιστη'μη can be identified with τε'χνη(art). 2. For the reason that the Plato´s knowledge is knowledge the knowledge that discerns between goodness and badness in moral, political and socal situation, ε'πιστη'μη is ΦρΟ'νησιζ(practical wisdom). Man can do a good conduct through it. In man all good things depend upon ε'πιστη'μη. For example, courage, if it is courage apart from prudence, and only a sort of boldness. When a man is bold without ε'πιστη'μη, he is harmed but when he has ε'πιστη'μη, he make a profit. 3. ε'πιστη'μη is acquired through recollection(α'να'μνεσιζ). We had already learned all things before we were born, but forget them. Plato describes this situation as true opinions(Ο'ρθη' δΟ'ζ'α). True opinion is as good a guide to rightness of action as knowledge, true opinion is just as useful as knowledge. Even though true opinion is useful, it is changeable. On the other hand, knowledge is what is unchangeable, for true opinion doesn´t understand the ground for the truth, knowledge does. When man with true opinion(but obscure opinon) is questioned repeatedly on his opinion by a teacher, he find one logos. And the logos is the in all things as a common principle so that man who recollects one logos could do all other logos. Therefore α'να'μνεσιζ in Plato´s thought is the course to find knowledge being in our consciousness.

      • 플라톤의 행복주의 : 새로운 윤리의 가능성

        이선필 부산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on eudaemonism of Plato has basically two main concerns as discussed. One concern is to whom ethical conduct can be beneficial and the other is what Plato's a)gaqo/n is. That is, one concern is to identify the beneficiaries of ethical conduct, and the other is to define Plato’s a)gaqo/n. With respect to beneficiaries of ethical conduct, the traditional ethics (Sophists' hedonism, Epicureanism,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benefit unilaterally one party. But in the eudaemonism of Plato, the actors and the others all could profit from ethical acts. I have tried to determine whether Plato's eudaemonism can become an alternative ethic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deontology and utilitarian ethics. With respect to a)gaqo/n, conventionally it is regarded as something moral, inner and psychological. Thus, happiness is something moral, inner and psychological. But in this thesis, I advocate that Plato' s a)gaqo/n is a kind to love both for its own sake and for its consequences and that his happiness caused by? a)gaqo/n includes not only inner good but also external good. In order to do this, by comparing Plato's eudaemonism to stems of ethics. part Ⅱ, I have outlined Plato's eudaeimonsm. Also, in order to enable understanding of Plato’s eudaemonism, I have criticized and reorganized his eudaemonism centered on features which are distinguished from different ethics. Plato doesn't identify the good(a)gaqo/n) with the pleasure(h(donh/), and so he keeps his distance from other-sacrificed hedonism of sophism. His ethics is distinguished from Epicurean's abstemious hedonism because Plato permits different external goods in the constituent of happiness. In addition, the good of utilitarianism is the useful consequences that will contribute to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The good of deontology is to follow duty regardless of the results. But in Plato's eudaemonism, the good per se is good as a result. So Plato's eudaemonism involves the factor of utility and duty, but it is not utilitarianism or deontology. When duty and utility are conflicted with each other, it is difficult for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to resolve the conflict.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were act-centered ethics, which regard only the result of an act very highly. But Plato's eudaemonism is agent-centered ethics, which regards highly a good agent. virtuous people practice virtuous and good acts, but to practice virtuous acts doesn't make a someone a virtuous person. As this ethical system evaluates the agent himself, it can resolve the problems of act-centered ethics that performs duties but damages a number of people(deontology) and pursues the utility but questions the utility because of disregarding the ethical good(utilitarianism). After considering Plato’s eudaemonism as a whole, I have studied Plato’s happiness. According to Plato, happiness is composed of the good(a)gaqo/j). The good has two senses. One of them is the moral or inner good, the other is external goods. So, happiness is composed of the moral or inner good and external goods. In Part Ⅲ, to understand exactly Plato's eudaemonism, I have studied happiness(eu)daimoni/a) in Republic, one of Plato's middle dialogues. In Republic the soul(yuxh/)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The three components play their allotted roles equally. This is justice(dikaiosu/nh) in Republic. Justice is that the three components are united and in harmony. At Popper’s insistence, the harmony of the three parts acts as to the ruling ideology of the ruling class. But in Plato's ideal state, a ruler is a citizen, collaborator, and helper and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the ruling class and the subjugated class. ‘po/lij’ doesn't play a role in the ruling class's political ideology that suppress freedom of the subjugated class. It means merely the whole body of citizens, and is not the ideological term to suppress the people. In Plato's Republic, happiness of polis can't be separate from the individual happiness. Though today moral philosophers who have studied the ethics of virtue have tried to resolve the problem of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their attempt isn't entirely successful, because they still can't understand that virtue has relation to happiness. On Plato's viewpoint, the highest good for which virtue aims is happiness. It is possible that Virtue can profit the agent and others, for happiness is the harmony of the three parts of the soul. In order to be happy, Plato excludes possessions but preserves the ordering and harmonizing of possessions. Plato doesn't think that things like fortune or fame are worthless. He was concerned that the Soul is a slave to desire. Plato believes that justice of soul is the harmony and order of it. The harmonious and ordered soul is healthy, and then a just soul is a happy soul. virtue including justice is, however, the good both for its own sake and for its consequences. Happiness from virtue includes moral factor (the good for its own sake) and external factor (for its consequences). In Part Ⅳ, I'd like to propose that Plato's early dialogues do not also exclude external goods for happiness. In Crito 48b8-9, Plato says that virtu e is the same as happiness. According to it, Irwin asserts that only virtue is happiness. But Plato inquires, "Is life or the living when the body is worthless and ruined?" At Crito 46e-3, he regard as sound body as a factor of happiness. I have argued that in Plato's early dialogues, Happiness is composed of not only moral virtue, but external goods. To prove that Plato's happiness includes external goods, I criticized Irwin in the eyes of Vlastos, Brickhouse, and Smith. In Part Ⅴ, The principle of Plato’s eudaemonism was discussed. For sophists fu/sij is the law that the strong prey upon the weak and no/moj is a man-made law created by the weak. Therefore they deny no/moj, and they support the strong's happiness using the concept of fu/sij. But for Plato, fu/sij in which the strong prey upon the weak is not true fu/sij and is incomplete. Incomplete fu/sij is compensated by human te/xnh. When a human being contemplates true fu/sij, that is, the idea of the good, it is wisdom or te/xnh which occurs in the soul. Sophists' happiness is to satisfy freely their desir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fu/sij. For Plato, sophists' happiness is not true happiness. The te/xnh or wisdom makes a human being to be happy. It makes the soul to be harmonious. The te/xnh or wisdom corresponds with the philosopher ruler in the state. The philosopher ruler makes the state to be happy with political te/xnh. In part Ⅵ, consequently, my argument is summarized. Plato's eudaemonism doesn't have an intention of pursuing duty and utility; it includes the factor of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Plato’s eudaemonism profits the agent and the others. And Plato's a)gaqo/n is a kind to love both for its own sake and for its consequences, and a)gaqo/n cause happiness. Therefore happiness in Plato's eudaemonism is not happiness in the ideal world, but happiness is reached by moral virtue and the result of moral virtue. 본 논문은 플라톤의 행복주의를 과격한 소피스트의 쾌락주의나, 에피쿠로스의 금욕적 쾌락주의, 그리고 의무론과 공리주의와 비교․검토함으로써, 플라톤 행복주의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아울러 플라톤의 행복주의를 통해 현대 윤리학의 두 축인 칸트의 의무론과 고전적 공리주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플라톤은 쾌락과 고통의 동시(同時) 존재 가능성을 증명하고 쾌락과 선이 동일할 수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과격한 소피스트들의 쾌락주의와 자신의 행복주의를 차별화하고 있다. 그리고 그의 행복주의는 행복의 조건으로서 윤리적인 덕과 함께 외적인 좋은 것들을 부정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금욕주의적인 쾌락주의와 차별화된다. 뿐만 아니라 플라톤의 행복주의는 의무론이나 공리주의와도 명백한 차별성을 가진다. 플라톤의 행복주의에서 덕은 그 자체로도 좋고, 그 결과로도 좋다. 플라톤의 행복주의는 의무론처럼 그 자체로 선한 것만을 목적으로 하거나, 공리주의처럼 행위의 결과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두 요소들을 부분적으로 공유하고 있다. 칸트의 의무론이나 고전적 공리주의의 문제점은 개인의 경향성이나 사적인 관심을 배제하는 공평성이 행위의 정당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여기기 때문에, 행위자의 중요성은 약화되고 법칙화 된 원리의 준수 여부를 옳은 행위의 표준으로 삼는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은 윤리적 현실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의무론의 지나친 의무 요구는 사소한 의무를 지키기 위해서 중대한 희생을 불러오거나, 윤리적으로 허용하기 어려운 중대한 나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리주의는 유용한 결과를 위해서 본성적으로 윤리적 가치를 가지는 것들조차도 다수에게 유용하다는 명분 때문에 무시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행위의 동기와 결과는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윤리의 본성적 측면을 고려하지 않는 결과만을 옳은 행위라고 정당화 할 수는 없다. 둘째, 의무론이나 공리주의는 행위자를 배제하고 수용자의 관점에서 탐구된 것이기 때문에, 윤리적 행위의 결과가 행위자에 대한 고려 없이 수용자의 편으로 이익이 편향되어 있는 행위자 희생적 윤리설이다. 그래서 이 두 윤리설은 행위자에게 윤리적 행위의 동기를 부여하기 어렵다. 이 두 윤리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대안적으로 제시된 플라톤 행복주의의 독특성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플라톤의 행복주의는 행위자 중심적인 윤리설이며, 둘째, 행위자-타자 비대칭적 윤리설이며, 셋째, 플라톤의 행복주의에서 선은 이중적인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플라톤의 행복주의는 행위의 법칙보다는 그것을 활용하고 판단하는 행위자를 우선시하며, 윤리적 행위가 행위자와 타자에게 모두 유익이 되는 것이며, 플라톤의 행복주의에서 선은 본래적인 선이기도 하지만 결과로부터 생겨난 선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외적인 좋은 것들도 포함한다.

      • L'Italia e il primo tentativo inglese di aderire alla CEE(1955-1963) : Tesi di dottorato di ricerca in Storia delle Relazioni Internazionali (ⅩⅦ ciclo)

        이선필 Universita degli Studi di Roma"La Sapienza" 2004 해외박사

        RANK : 247615

        지금까지 영국의 공동체 가입 시도에 있어서 이탈리아의 역할은 무시되어 왔거나 부차적으로 취급되어 왔다. 본 논 문은 영국의 공동체 가입 시도와 프랑스 드골의 정치연합 시도 기간 중 이탈리아의 입장을 다룬다. 이탈리아는 드골의 보수적 정책에 반대하지만 그의 정치연합 시도에는 적극적 지지를 보낸다. 그러나 프랑스가 반대하는 영국의 공동체 가입에도 호의적인 태도를 최한다. 1960년대 중반까지 이탈리아는 영국의 가입에 호의적이지만 공동체 조약의 유지라는 입장을 가진다. 그러나 1960년대 중반 이후 프랑스가 독일과 접근하자 영국으로 접근을 시도한다. 따라서 영국의 가입에 대해 보다 적극적 자세를 취한다. 그러나 로마조약이 깨지는 것을 원하지는 않는다. 1962년 중반 이후 이탈리아는 완전히 영국 측으로 돌아서는데, 이는 프랑스가 독일과 긴밀히 접근했기 때문이다. 영국을 공동체에 넣어 유럽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이탈리아의 필요성 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