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류형 수평축 풍력발전기 방사소음 예측을 위한 에어포일 자가 광대역 소음 예측 기법의 개발과 적용

        이광세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Previous study (Cheong et al., 2006)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acoustic emissions of wind turbines(WTs) has been analyzed according to the power regulation methods, reported that the acoustic power of wind turbine (WT) using stall control for power regulation is more correlated with wind speed than that using pitch control. In this thesis firstly extending this work, the noise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large modern upwind WTs are experimentally indentified according to the power regulation methods. First, the noise generation mechanisms, the distribution of noise sources in rotor plane is measured by using the Beam-forming measurement system (B&K 7768, 7752, WA0890) consisting of 48 microphones. The array results for the 660 kW WT show that all noise is produced dur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blades. This shows good agreement with a theoretical result using the semi-empirical formula with the parameters: convective amplification; trailing edge noise directivity; flow-speed dependence. In addition, the sound measurement procedure of IEC 61400-11 are applied to investigate noise emission from 1.5 MW and 660 kW WTs using the stall regulation and pitch control for power regulation methods. 1/3 octave band spectrums normalized by using the scale law of the velocity dependence of the inflow broadband noise and airfoil-self noise. These analyses imply that the trailing edge noise among of the self-noise is dominant over the whole frequency range of the noise from the 660 kWWT using the pitch control for power regulation.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for main noise source, aerodynamic noise of upwind horizontal-axis wind turbines are analyzed by comparison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self-noise. Theoretical predictions are made by using the semi-empirical noise prediction model of Brooks et al. (1989)for the airfoil self-noise, and obtain 1/3 octave band sound pressure level of the noise. To compute narrow band spectrum of trailing edge noise, frequency domain prediction model is developed and validated based on point pressure spectrum. The semi-empirical models for point pressure spectrum that are completely determined by characteristic values in the boundary layer are used as an input for the prediction of the trailing edge noise. Decomposing total pressure on the surface of airfoil into two parts: incident pressure generated in the boundary layer of the airfoil with infinites trailing edge and scattered pressure formed by scattering of incident pressure at trailing edge, we investigate their relative contributions to the radiated sound pressure spectrums. By theses investigations with comparison between measurement and prediction for trailing edge noise, we validate our method to predict the noise for airfoils. Finally, this method is expanded for rotor noise and we find that it can be applied to predict trailing edge noise of wind turbine.

      • 액상강화 혼화제(HILA)를 첨가한 Soil Cement의 안정성 분석

        이광세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건설사업 수행 시 양질의 건설재료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공사기간 지연과 경비 증가가 발생한다. 또한 건설자재확보를 위하여 석산개발이나 하천 및 해상에서 골재채취 등은 자연환경 훼손 및 생태계 파괴와 같은 문제점들을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재생골재를 이용한 친환경적인 대체 재료의 개발이나 신공법의 개발 및 적용으로 대표할 수 있을 것이다. 각종 토목공사 및 기타 건설사업에 있어서 폐콘크리트 제강슬래그, 제강슬러지 등과 같은 산업폐기물 및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화강풍화토를 활용하여 유용 가능한 자원으로 재생산하고 활용하고 있다. 조제된 유제와 시멘트를 사전에 지정한 여러 가지 배합비로 혼합하여 샘플을 제작하고 7일 및 28일 강도를 측정하여 적절한 배합비를 제시하고 산업자원으로 재활용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 이용코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슬래그, 슬러지, 폐콘크리트 등과 같은 산업폐기물들을 액상강화 혼화재를 시멘트와 혼합한 후 양생과정을 거치면 강도측면에서는 항만준설매립공사, 하천제방공사, 공항활주로, 토사댐이나 연약지반의 개량 등의 목적으로의 재활용이 충분하리라 여겨진다. 또한 화강풍화토의 경우 일반도로에서의 기층 및 보조기층 뿐만이 아니라 날로 부족해가는 천연골재 및 기타 건설재료를 고려할 경우 본 유제를 활용하여 다른 용도, 즉 공항 활주로, 매립지반, 축제 등과 같은 많은 분야로의 적용성이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도로공사 적용시 인장응력으로 인한 균열의 발생은 해석결과 안정할 것으로 판단되나 실제 현장에서의 거동은 예측 불가한 여러 가지 요인들이 상존하므로 현장시험시공을 통한 검토도 향후 연구되어야 하겠다.

      • Effect of preparation method of Ag nanoparticle decorated MWNT on electrical properties of silicone composite films

        이광세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experimental is to confirm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silicone composite films filled with silver nanoparticle decorat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NT) prepared by solution processing. The pristine MWNT are oxidized (MWNT-COOH) and converted to the acyl chloride functionalized MWNT (MWNT-COCl) using thionyl chloride to introducing amino 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 (APDMS).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FT-IR) and 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results show that MWNT-COOH are converted to MWNT-COCl, which are subsequently reacted with APDMS (MWNT-APDMS). After, MWNT-APDMS are decorated with silver nanoparticle. The difference of morphology of silver-decorated MWNT-COOH and MWNT-APDMS is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d the surface conductivity of MWNT/Silicone composite films is measured by four probe. Ag-decorated MWNT-APDMS/Silicone composite films are shown higher surface conductivity than common silicone composite films. Consequently,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Ag-decorated MWNT-APDMS/Silicone composite films could be improved by the surface modification of MWNT with APDMS and decorated silver nanoparticle.

      • Open rotor noise models and its applications for cyclostationary analysis

        이광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논문의 목표는 회전자가 발생하는 광대역 소음을 예측/평가하는 방법론 개발이다, 단 주기정상적 표면 압력장이 회전익 상 형성된 회전자가 연구 대상이다. 이를 위해, 회전자 소음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 한 방법론을 실제 풍력터빈 소음의 주기정상성 분석에 이용하였고, 그 결과로 터빈소음을 성가심의 지표 중 하나인 음압변조 깊이를 정량화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적용한 회전자에 대한 소음예측은 시간영역/주파수영역 회전자 소음 모델 및단순 회전 음향 특이점 모델(RDAS모델)로 나뉜다. 시간영역 모델은 Lowson의 음향상사식에 근거한 회전자 소음 예측 모델로 이 때, 회전익 표면 상 형성한 압력 분포의 시간 데이터가 음원모델이다. 주파수영역 회전자 소음 예측 모델은 원거리 회전자 소음 모델이며, 이 때 회전익의 거동은 국부적 선형 운동을 하는 일련의 부분 회전익들로 이해한다. 부분 회전익과 수음점간 상대운동에 의한 음의 변조는 음압크기 변조모델과 주파수 변조모델로 나뉘어 주파수 영역에서 적용한다. 원거리 회전자 소음 모델의 부분 회전익이 발생하는 소음은 유한요소 익형 광대역 소음모델로 예측하였다. 회전 음향 특이점으로부터 방사하는 음향에 대한 해석적 해를 Lowson의 음향상사식으로부터 구하여 RDAS모델을 개발하였다. 익형 광대역 소음의 음원은 크게 두 가지로 논문 내 구분하고 있다: 1) 익형 앞전에서 유동장 내 유입난류가 산란하여 형성한 익형 표면 섭동압력장; 2) 난류경계층 내 대류 난류장이 익형 뒷전에서 산란하여 야기한 표면 상 섭동압력장. 전자에 의한 소음을 유입광대역 소음이라 하며, 후자를 뒷전광대역 소음이라 한다. 기존 대부분의 연구는 Amiet 등의 박막익형 모델로부터 광대역 소음을 예측하였다. 이는 수학적으로 근사화한 박막익형 모델이 국부적으로 앞전과 뒷전 산란 현상에 의한 표면 섭동압력장을 비교적 정확히 유도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압력장을 음원모델로 한 Curle의 음향상사식의 해석해를 통한 방사소음 예측결과는 앞전과 뒷전 방향을 제외한 위치에서 비교적 음향 실험과 잘 일치 한다. 본 논문은 앞전과 뒷전 방향으로의 소음 전파를 보다 정확히 정의하기 위해 유한요소 익형 광대역 소음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들 방향은 회전익 설치각이 작은 회전자 소음의 주기정상적 특성이 주로 나타나는 방향이다. 유한요소 익형 광대역 소음 모델은 다음의 세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1) 입사 난류장 또는 난류경계층 내 대류 난류장에 대한 준-경험적 모델; 2) 앞전과 뒷전에서의 각 난류장의 산란을 정의하는 박막익형 모델; 3) 실제 익형을 구성하는 각 유한요소 마다 음압 전달함수 해석해를 계산하여 광대역 소음 예측을 수행하는 수치적 모듈. 뒷전광대역 소음의 경우 각 요소마다 작용하는 음압 전달함수의 해석해는 Zhou의 식을 참조하였고, 유입광대역 소음의 요소 별 전달함수 해석해는 새롭게 유도하였다. 박막익형 모델에 의한 음압 전파에 비해 요소 별 음압전달함수의 계산은 상대적으로 계산비용이 크므로 병렬계산을 하였다. 대형 풍력터빈, 상반회전 프로펠러, 선박 추진기 그리고 가스터빈 회전자/고정자는 비-균질 입사 난류장에 의해 회전익(또는 고정익) 상 비정상적 표면 압력섭동을 형성하는 대표적인 기기 들이다. 이러한 익형 상 압력분포는 성가신 소음을 발생하거나, 피로하중에 의한 구조적으로 취약성을 유도한다. 이 중 풍력터빈 회전익 상 주기정상적 압력장에 의한 방사소음의 스위싱은 동일한 평균소음크기를 가지는 타기기 에 비해 터빈소음을 보다 성가시게 하는 이유이다. 이 에 따라, 개발한 회전자 소음 모델의 음향 분석 방법론의 응용으로, 대형 풍력터빈의 소음을 회전자 광대역 소음모델로 예측하고 주기정상성 특성을 분석한 결과, 스위싱 소음의 정량화 할 수 있는 지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터빈 소음의 저주파수역 주기정상성 음향 분석을 위해 시간영역 음향상사법을 개발하였다. 주파수 영역 회전자 모델과 RDAS 모델을 결합하여 예측한 음압변조 깊이는 실험적으로 구한 광대역 소음의 음압변조 깊이와 잘 일치함을 확인 하였다. 향후 개발한 회전자 광대역 소음의 주기정상성 특성 분석 기법을 타 기기들로 확장하여, 보다 일반적인 음향 주기정상성 특성 지표를 제시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