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藥局 經營의 多角化 戰略에 관한 실증적 硏究

        윤효문 水原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Pharmacists are experts for drug affairs. Drug affairs are defined, in a broad sense, as all acivities relative with manufacturing, compounding, identifying, importing and exporting for drugs and drug-related materials specified in the Durg Affairs Law. This means pharmacists are esperts not only for drugs proper but also for drug-related materials. In this conection, health-related items are belonging to the category of items regarded in the Law. Nevertheless, these items have not been accepted well to the pharmacists due to their short turnover period, uncontrollable pricing disorder, lacking willgness to accept, etc.So it is natural that the main sales routes of these items are under the hands of other people than pharmacists, the experts-which is sure to be acted as weak points in the aspect of people's healt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harmacist's attitute to the health-related items (health-aid foods) and suggest ideal method of dealing with the items. For this puropoes, two approach ways were used: literatary review and questionaire analysis. In the first place, pharmacists responding to the questionaires thought that health-aid foods are not all-mighty drugs (panacea) as claimed by lay people. Pharmacological and ather medicochemical knowledge is very important for their proper usage. In this regard, these items should be dealt by pharmacists. On the other hand, 63.7% of pharmacists were satisfied with their occupation but only 15.8% thought optimistically about the prospect of pharmacy management. Practising pharmacists regarded highly on familiy, repsonsiblity, and self-confidence. 70.7% of responding pharmacists dealt with extra medical items whereas 14.9% handled health-aid foods. Ratio agaist total sales turnover were as low as 12% for extramedical items and 8% for health-aid foods. Mean of total net resting days were 45 days per year and mean duty hours per day were 13 hours. These figures suggest that pharmacists were working in more unfavorable condition: much shorter resting days compared to averge 70 days for ather jobs and much loger duty hours per day compare to average 8 hours for other jobs. Based on these figures, pharmacists worked more by 1,872 hours on yearly basis. Ratio of pharmacist's participation in the Phamacist Society were 90.1% of which passive participation was 44.8% and active participation was 27.8%. On average, pharmacists had not much free time so their service for the community were like 'participation in the servise groups', 'help to poor neighbours', 'reading books', watching movies'. More active service to the community and more emphasis on their own health promotion have to be emphasized. Pharmacists studied for 8 hours per week in order to promote their expertise. They invested 91,901 won per month for these purposes. For practical purpose, 33 items of health-aid foods were selected and asked whether pharmacists were handling and would handle in the future. 14.29% are dealing with at the present and 21.6% hope to handle. As regards extra medical items of 14 item, pharmacists dealing now were 70.7% and those hope to deal were 9.0%, Names of health-aid food in high dealing were in the following order: squalene, aloe, ginseng and bamboo-salt. Item to be handled in the futuer were in the order of E.P.A., aloe, royal jelly, beer yeast and wheatgerm oil. As to the extra medical items, most of pharmacists were handling now but items to be handled in the future were dental items, oral deordrant, sanitary cleanser, cosmetics, health promoting devices, life-care items, in the descending order. Main resons for pharmacists to deaf with drug-realted items were cosumer protection against the exagerate P.R, raison d'etre for pharmacist to deal in itself, aids to therapeutics. people's health enhancement, service to consumer, and aid the pharmacy management. Major reasons for pharmacists not to deal with above items were uncofortable sales activity, uncertain safety and efficacy, no after-service, lacking pharmacological background, inferior sales technique, difficult to select items, possible uncontrolled sales situ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obstacles imposed on the dealing, the correct scientific information, the inventroy management, the preventive aspect, the good dealing condition, the display in separate corner were considered. Criteria to purchase health-aid foods were this qualiy and efficay, the scientific information, the net profit, the after-service, the company image, and the package. Pharmacists wanted that manufacturing company should consider about the supply of scientific and managing information. The strict quality control, another packaging product, thorough after-service, wild-sales prevention, regulation of overstated P.R. At any rate, pharmacists are thinking about health-related items very positively but they are acting very conservatively. Pharmacists thought the future would not be bright for themselves. So new and basic way of thinking are very urgently needed for paving the way for the profession of pharmacist. In this regard, management diversification is the top priority outlet for the pharmacists. For the detailed stratergy, pharmacists requested to the manufacturing companies of the package differentiation exlusive for pharmacists, high-profit, sufficient supply for scientific information, guide for sales technique, and consult how to display. They also wanted pharmaceutical Association erect an appropriate research institute which studies on the pharmacy management diversification for supporting actively to pharmacists concerned. The factors responsible for unfavorable recent pharmacy management were surveyed in the folowing order: high competition from too many pharmacies, overall economic slump, high clinic use rate from medical insurance system, old-fashoined consiousness of pharmacists and high overhead costs. The factor of sluggish phamacy sitation by consumers side were easy clinic visit due to medical insurance system, high standard of living, low confidence in pharmacist. Future patterns of pharmacy are anticipated as drug prescription pharmacy,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pharmacy, total health care pharmacy, OTC pharmacy, convenience drug store, chain drug store, health aid foods handling drug store.

      • 자기분화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윤효문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아탄력성,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대학생이 건강한 학교생활적응을 하고, 나아가 사회적으로 성숙하기 위해서 어떤 조력이 필요한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기분화를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게 만드는 요인으로 가정하였고,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이룰 수 있도록 돕는 요인으로 자아탄력성을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자기분화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대학생의 인구학적 변인(성별, 학년)에 따라 자기분화, 자아탄력성, 대학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2. 대학생의 자기분화, 자아탄력성,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연구문제3.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아탄력성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4.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와 충청남도 소재의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실시하였다. 총 580명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그 중 부적합한 자료를 제외하고 총 556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학생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자기분화, 자아탄력성, 대학생활적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라 자기분화에 차이를 보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수준의 자기분화 수준을 나타냈다. 학년에 따라서는 대학생활적응에서 차이를 나타냈는데, 2학년이 1학년에 비해 높은 수준의 적응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자아탄력성, 대학생활적응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자기분화는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자아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 역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자기분화는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자기분화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정서적 반응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으며, 정서적 단절과 자기입장 순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분화와 그 하위요인이 자아탄력성에도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기분화의 5개 하위 요인 중에서는 자기입장이 가장 큰 영향력을, 정서적 반응이 영향력을 보였다. 자아탄력성 또한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넷째, 자기분화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각 하위요인의 관계를 분석하면 정서적 입장과 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는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를, 자기입장과 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는 자아탄력성이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첫째,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상담 및 교육적 접근을 시도할 때는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접근으로 자기분화 수준을 높이고,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생활적응과 관련된 상담 및 교육적 접근을 시도할 때 개인의 자기분화를 전체로 이해하는 것보다는 자기분화의 하위요인의 영향력을 고려한 접근이 요구되며, 자아탄력성에도 초점을 맞춘 접근 방법이 요구된다. 넷째, 개인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해서 자기분화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기분화에 대한 접근에서는 정서적 반응과 자기입장에 초점을 둔 접근이 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기에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그리고 자기분화의 하위요인, 대학생활의 하위요인에 대한 연구, 그 외에 자기분화와 대학생활적응을 매개하는 추가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생활적응을 도울 수 있는 긍정적 심리요인으로 자기분화와 자아탄력성의 역할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대학생이 대학생활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고 적응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예방적 차원의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